KR20240040818A - 전동 송풍기 및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송풍기 및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818A
KR20240040818A KR1020247007310A KR20247007310A KR20240040818A KR 20240040818 A KR20240040818 A KR 20240040818A KR 1020247007310 A KR1020247007310 A KR 1020247007310A KR 20247007310 A KR20247007310 A KR 20247007310A KR 20240040818 A KR20240040818 A KR 20240040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blower
diffusion
blade
channel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룽 딩
Original Assignee
광동 웰링 모터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1040388.4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775546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22146261.2U external-priority patent/CN215672813U/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웰링 모터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웰링 모터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4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44Bladed diffu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05D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전동 송풍기 및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동 송풍기는 에어 후드(100), 이동 임펠러(200), 하우징 어셈블리(400), 고정 임펠러(300) 및 모터를 포함한다. 이동 임펠러(200)는 에어 후드(100) 내에 설치되고, 에어 후드(100)와의 사이에 공기 유입 채널(110)을 형성하고, 최대 외측 에지 직경이 D1인 이동 임펠러 본체(210) 및 공기 유입 블레이드(220)를 포함하며; 하우징 어셈블리(400)는 외경이 D2인 외통체(410) 및 지지 구조를 포함하며; 고정 임펠러(300)는 지지 구조와 연결되고, 외통체(410)와의 사이에 제1 디퓨전 채널(31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외경이 D3인 지지 시트(320) 및 제1 디퓨전 블레이드(330)를 포함하며; 여기서, D2=(1.2-1.6)D1이고,D2=(1.15-1.6)D3이다.

Description

전동 송풍기 및 청소 장치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9월 6일자로 출원한 출원 번호가 제202111040388.4호이고 발명의 명칭이 "전동 송풍기 및 청소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 및 2021년 9월 6일자로 출원한 출원 번호가 제202122146261.2호이고 발명의 명칭이 "전동 송풍기 및 청소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모든 내용은 참조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전동 송풍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 송풍기 및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 송풍기는 제품의 핵심 동력 부품으로서, 청소기 및 기타 관련 가정용 청소 장치가 발전함에 따라 점차 소형화, 경량화 및 고출력 쪽으로 발전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전동 송풍기가 소형화와 경량화 요구를 충족할 경우 전력에 대해서도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마찬가지로 전동 송풍기가 일정한 전력 요구를 충족할 때 크기 또한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동 송풍기의 구조를 최적화해야 한다.
본 개시는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적 과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는 소형화 요구를 충족함과 동시에 전동 송풍기의 전력 캡(power cap)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전동 송풍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전동 송풍기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를 더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는, 에어 후드; 상기 에어 후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 후드와의 사이에 공기 유입 채널이 형성되며, 최대 외측 에지 직경(Out Edge Diameter)이 D1인 이동 임펠러 본체 및 상기 이동 임펠러 본체의 외주에 설치된 공기 유입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이동 임펠러; 외경이 D2이고 상기 에어 후드와 연결된 외통체 및 상기 외통체 내에 설치된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하우징 어셈블리; 외경이 D3인 지지 시트 및 상기 지지 시트의 외주에 설치된 제1 디퓨전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 임펠러와 인접하는 상기 지지 구조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외통체와의 사이에 상기 공기 유입 채널과 연통하는 제1 디퓨전 채널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고정 임펠러; 및 상기 이동 임펠러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여기서, D2=(1.2-1.6)D1, D2=(1.15-1.6)D3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구조는 내통체 및 상기 내통체 내에 설치된 장착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내통체와 상기 외통체 사이에 제2 디퓨전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디퓨전 채널은 상기 제1 디퓨전 채널의 공기 유출단과 연통하며, 상기 내통체와 상기 외통체 사이에 제2 디퓨전 블레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 임펠러는 상기 장착 허브에 장착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 허브는 상기 지지 시트의 내벽과 밀봉 결합하는 제1 밀봉 단차부가 하나 이상 설치된 베어링 마운트; 및 상기 베어링 마운트와 상기 내통체 사이에 설치된 연결 구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구조는 상기 베어링 마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분포된 복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하며, 두 개 이상의 상기 연결 리브에는 제1 연결홀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 시트에는 두 개 이상의 제2 연결홀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은 패스너(fastener)를 관통시켜 고정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시트는 상기 제1 밀봉 단차부와 밀봉 결합하는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결합면 및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결합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밀봉 단차부에는 서로 연결되어 협각을 이루는 제1 벽면과 제2 벽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벽면은 상기 제1 결합면과 맞닿고, 상기 제2 벽면은 상기 제2 결합면과 맞닿으며, 상기 협각은 90°보다 크거나 같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통체 내에 고정자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자 수용 캐비티 내에 삽입되는 고정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임펠러와 멀리 떨어진 상기 내통체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자 수용 캐비티와 상기 제2 디퓨전 채널을 연통하는 노치 홈이 설치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통체에는 상기 지지 시트의 내주벽과 밀봉 결합하는 제2 밀봉 단차부가 설치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시트의 상기 제1 디퓨전 채널의 공기 유입단에 기류가 상기 공기 유입 채널에서 상기 제1 디퓨전 채널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전환 섹션이 설치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환 섹션의 외부 윤곽선은 호 모양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환 섹션의 외부 윤곽선 양단의 연결선이 위치한 직선은 수평선과 30° 내지 65°의 협각을 이룬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임펠러의 축방향에서, 상기 공기 유출 채널의 공기 유출단과 인접한 상기 전환 섹션의 외부 윤곽선의 일단과 상기 이동 임펠러 본체의 최대 외측 에지 사이의 거리는 0.5mm 내지 1mm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디퓨전 블레이드의 개수는 상기 제1 디퓨전 블레이드의 개수보다 많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디퓨전 블레이드는 제1 블레이드 구조 및 제2 블레이드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블레이드 구조는 상기 제2 디퓨전 채널의 기류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메인부 및 두께 증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께 증가부와 상기 메인부의 연결위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구조의 현 길이의 0.5 내지 0.8배되는 위치에 있으며, 상기 내통체와 멀리 떨어진 상기 제2 블레이드 구조의 일단은 외측 에지이고, 상기 메인부의 외측 에지의 두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구조로부터 현 길이의 0.1 내지 0.3배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기류 방향을 따라 점차 증가하며, 상기 두께 증가부의 외측 에지의 두께는 상기 기류 방향을 따라 변하지 않으며; 상기 제1 블레이드 구조는 이웃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구조 사이에 설치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블레이드 구조의 외측 에지의 최소 두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구조의 외측 에지의 최대 두께의 0.1 내지 0.3배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 후드와 멀리 떨어진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의 일단에는 전기 제어 보드가 설치되며, 상기 에어 후드와 상기 전기 제어 보드는 축방향에서 최대 거리가 H이고, 전동 송풍기의 최대 입력 전력은 P이며, 전동 송풍기의 최대 전력 밀도는 σ이고, σ=P/(3.14*(D2/2)2*H)이며, 상기 σ는 0.0045 W/mm3보다 크거나 같다.
본 개시의 제2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추가 측면 및 장점은 아래 설명 부분에서 기술되며, 그 일부는 다음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지거나 본 개시의 실시를 통해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즉, 모터는 이동 임펠러가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기류를 형성하고, 기류는 공기 유입 채널을 통해 제1 디퓨전 채널에 유입하여 가압된 후 유출한다. 상기 기술적 방안의 전동 송풍기는 외통체의 외경(D2)과 이동 임펠러 본체의 최대 외측 에지 직경(D1) 및 지지 시트의 외경(D3) 사이의 관계를 D2=(1.2-1.6)D1, D2=(1.15-1.6)D3으로 한정하고, 하우징 어셈블리의 외경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한 경우, 전동 송풍기의 디퓨전 효과를 유지하는 동시에 이동 임펠러와 지지 시트를 크게 제작할 수 있어 이동 임펠러의 공기 유입량을 증가시키고,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전동 송풍기의 전력을 대폭 증가함으로써 전동 송풍기의 소형화 요구를 충족하도록 확보하는 동시에 전력의 최대화를 구현할 수 있어 45mm 이하의 외경을 갖는 전동 송풍기가 450W의 전력 요구를 충족하며, 전동 송풍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하고, 소형화 전동 송풍기의 전력 캡을 대폭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를 이용하면, 전동 송풍기는 모터를 통해 이동 임펠러가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기류를 형성하고, 기류는 공기 유입 채널을 통해 제1 디퓨전 채널에 유입하여 가압된 후 유출한다. 전동 송풍기는 외통체의 외경(D2)과 이동 임펠러 본체의 최대 외측 에지 직경(D1) 및 지지 시트의 외경(D3) 사이의 관계를 D2=(1.2-1.6)D1, D2=(1.15-1.6)D3으로 한정하고, 하우징 어셈블리의 외경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한 경우, 전동 송풍기의 디퓨전 효과를 유지하는 동시에 이동 임펠러와 지지 시트를 크게 제작할 수 있어 이동 임펠러의 공기 유입량을 증가시키고,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전동 송풍기의 전력을 대폭 증가함으로써 전동 송풍기의 소형화 요구를 충족하도록 확보하는 동시에 전력의 최대화를 구현할 수 있어 45mm 이하 외경을 갖는 전동 송풍기가 450W의 전력 요구를 충족하며, 소형화 전동 송풍기의 전력 캡을 대폭 높이고 청소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이하 첨부 도면 및 실시예를 결부하여 본 개시를 추가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의 일 각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의 다른 일 각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어셈블리 및 고정 임펠러의 분해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임펠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어셈블리의 일 각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체를 제거한 후의 하우징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어셈블리의 다른 일 각도의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 실시예의 예시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소자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를 해석하기 위해 제공될 뿐,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방향과 관련된 설명, 예를 들어 상, 하 등이 지시하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된 도면에 의해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이며, 이는 설명의 편의상 그리고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사용한 것으로, 지정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갖거나 특정한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동작하는 것을 가리키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복수는 두 개 이상을 가리킨다. 제1, 제2는 기술적 특징을 구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뿐, 상대적인 중요도를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지시한 기술적 특징의 수량 또는 지시한 기술적 특징의 선후관계를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한정하다', '설치하다', '장착하다', '연결하다' 등은 별도로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은 한, 일반적인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기술적 방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결합하여 상기 용어가 본 개시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합리적으로 확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청소기와 같은 청소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전동 송풍기를 제공한다. 전동 송풍기는 청소기와 같은 청소 장치의 핵심 기능 부재로서, 성능의 우열은 청소기와 같은 청소 장치의 품질의 우열을 직접 결정한다. 특히 휴대식 청소기 또는 청소 로봇 등과 같은 휴대식 청소 장치인 경우, 점차적으로 경량화, 휴대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전동 송풍기의 소형화, 고전력 및 경량화 등에 대한 요구는 더 높아졌다.
현재, 시중에 판매 중인 45mm 이하의 외경을 갖는 전동 송풍기들은 전력이 450W에 도달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는 내부 구조를 최적화는 것을 통해 소형화 요구를 충족하는 동시에 전동 송풍기의 전력을 대폭 증가할 수 있으므로 45mm 이하의 외경을 갖는 전동 송풍기가 450W의 전력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전동 송풍기의 최대 전력 밀도 σ가 0.0045W/mm3 이상이 되도록 보장하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는 에어 후드(100), 이동 임펠러(200), 하우징 어셈블리(400), 고정 임펠러(300) 및 모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 임펠러(200)는 에어 후드(100) 내에 장착하되, 에어 후드(100)와의 사이에 공기 유입 채널(110)이 한정된다. 모터는 이동 임펠러(200)가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기류를 형성한다. 기류는 공기 유입 채널(110)에 유입하면, 기류의 운동 에너지를 증가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임펠러(200)는 이동 임펠러 본체(210) 및 이동 임펠러 본체(210)의 외주에 설치된 공기 유입 블레이드(220)를 포함하며, 이동 임펠러 본체(210)에 장착홈 또는 장착홀이 설치된다. 모터는 이동 임펠러 본체(210)의 장착홈 또는 장착홀에 삽입되어 이동 임펠러 본체(210)와 동력 전달 가능하도록 연결되므로 이동 임펠러(200)의 전반 회전을 구동하여 기류를 형성한다. 청소기와 같은 청소 장치는 전동 송풍기의 음압 작용에 의해, 바닥면 또는 기타 매질 표면 상의 먼지, 쓰레기 등의 이물질을 청소 장치의 필터백(filter bag) 또는 기타 처리 구조로 흡입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 흡입 작업을 완성한다. 여기서, 이동 임펠러 본체(210)의 최대 외측 에지 직경은 D1이고, 즉, 이동 임펠러 본체(210)의 외부 윤곽선이 방사 방형에서 최대 거리가 D1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 어셈블리(400)는 외통체(410) 및 외통체(410)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 구조(미도시)를 포함하며, 외통체(410)는 에어 후드(100)와 연결되고, 외경은 D2이다. 고정 임펠러(300)는 지지 구조와 연결하되, 이동 임펠러(200)와 인접하는 지지 구조의 일단에 설치되며, 지지 구조는 고정 임펠러(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 임펠러(300)와 외통체(410) 사이에 제1 디퓨전 채널(310)이 한정되며, 제1 디퓨전 채널(310)의 공기 유입단은 공기 유입 채널(110)의 공기 유출단과 연통함으로써 기류가 공기 유입 채널(110)에서 제1 디퓨전 채널(310)까지 흐르도록 한다. 기류가 공기 유입 채널(110)에서 제1 디퓨전 채널(310)로 유입하면, 제1 디퓨전 채널(310)은 기류의 운동 에너지를 기압 에너지로 전화하여 디퓨전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기류의 압력을 증가시켜 제1 디퓨전 채널(310)의 공기 유출단으로부터 유출된 기류가 더 멀리 유출하도록 하여 전동 송풍기의 송풍 세기 및 송풍 효율을 증가시킨다.
설명해야 할 것은, 지지 구조와 외통체(410) 사이에 축방향의 채널이 예비되어 있고, 기류는 제1 디퓨전 채널(310)로부터 빠져나와 채널을 통해 유출하므로 송풍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해 가능한 것은, 지지 구조는 내포(nested), 용접 또는 연결부재에 의한 연결 등과 같은 방식을 통해 외통체(4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외통체(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바, 여기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임펠러(300)는 지지 시트(320) 및 제1 디퓨전 블레이드(330)를 포함한다. 제1 디퓨전 블레이드(330)는 지지 시트(320)의 외주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지지 시트(320)의 외경은 D3이다. 이해 가능한 것은, 지지 시트(320)는 내주벽 및 내주벽에 설치된 내벽을 구비한다. 여기서, 내주벽은 통 모양을 이루며, 내벽은 통 모양 내주벽에 설치되고, 또한 중심 위치에 관통홀이 설치된다. 제1 디퓨전 블레이드(330)는 내주벽의 벽면에 설치하되, 내주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D2=(1.2-1.6)D1, D2=(1.15-1.6)D3이고, 외통체(410)의 외경(D2) 즉, 하우징 어셈블리(400)의 외경이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경우, 전동 송풍기의 디퓨전 효과를 유지하는 동시에 이동 임펠러(200) 및 지지 시트(320)를 최대한 크게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임펠러 본체(210)의 최대 외측 에지 직경(D1)의 크기를 D2/(1.2-1.6)로 설정할 경우, 이동 임펠러(200)의 전체 크기도 상응하게 증가하며, 종래의 외경 규격이 동일한 전동 송풍기의 이동 임펠러(200)에 비해, 이동 임펠러(200) 크기의 증가로 인해 이동 임펠러(200) 회전 시의 공기 유입량이 증가하였다. 지지 시트(320)의 외경(D3)의 크기를 D2/(1.15-1.6)로 설정할 경우, 모터를 수용하는 지지 시트(320)의 내부 캐비티도 상응하게 커지며, 종래의 외경 규격이 동일한 전동 송풍기의 모터 수용 캐비티에 비해 모터를 수용하는 지지 시트(320)의 내부 캐비티의 크기 증가로 인해 모터의 고정자 어셈블리(500)를 최대한 크게 제작할 수 있어 모터의 출력 전력이 증가하여 이동 임펠러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단위 시간 내의 공기 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동 송풍기의 외경 크기가 일정한 경우, 외통체(410)의 외경(D2), 이동 임펠러 본체(210)의 최대 외측 에지 직경(D1) 및 지지 시트(320)의 외경(D3) 사이의 관계를 한정하여 전동 송풍기의 디퓨전 효과를 유지하는 동시에 이동 임펠러(200) 및 지지 시트(320)를 최대한 크게 제작할 수 있다. 이동 임펠러(200)의 공기 유입량을 증가시키고 모터에 의한 이동 임펠러(200)의 회전 속도를 높임으로써 전동 송풍기의 기류 흡입량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전동 송풍기의 소형화 요구를 충족하는 동시에 다시 말해 전동 송풍기의 외경 크기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함과 동시에, 전력의 최대화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45mm 이하의 외경을 갖는 전동 송풍기가 450W의 전력 요구에 도달할 수 있으며, 청소기와 같은 청소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는 내통체(420) 및 장착 허브(430)를 포함한다. 내통체(420)의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장착 허브(430)는 내통체(420)의 내부 즉, 장착공간 내에 설치된다. 고정 임펠러(300)는 장착 허브(430)에 설치되고, 장착 허브(430)는 고정 임펠러(300)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내통체(420)와 외통체(410) 사이에 제2 디퓨전 채널(440)을 한정하며 즉, 앞서 기술된 예비 채널을 형성한다. 제2 디퓨전 채널(440)의 공기 유입단은 제1 디퓨전 채널(310)의 공기 유출단과 연통되므로 기류는 제1 디퓨전 채널(310)에서 제2 디퓨전 채널(440)로 유입하고 다시 제2 디퓨전 채널(440)로부터 유출한다.
내통체(420)와 외통체(410) 사이에 제2 디퓨전 블레이드(450)가 설치되고, 제2 디퓨전 블레이드(450)가 제2 디퓨전 채널(440)에 위치하므로 기류는 제1 디퓨전 채널(310)로부터 유출한 후, 계속하여 제2 디퓨전 채널(440)에 진입하고, 또한 제2 디퓨전 블레이드(450)의 작용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압되어 기류 유출 시의 세기를 더욱 높인다. 여기서, 제2 디퓨전 블레이드(450)는 내통체(420)의 외벽면에 고정되거나 외통체(410)의 내벽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내통체(420)의 외벽면과 외통체(410)의 내벽면 사이에 동시에 고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도 5를 참조하면, 장착 허브(430)는 연결 구조(미도시) 및 베어링 마운트(431)를 포함한다. 연결 구조는 베어링 마운트(431)와 내통체(420) 사이에 설치되며, 고정 임펠러(300)를 지지 및 고정하도록 고정 임펠러(300)와 연결된다. 이해 가능한 것은, 연결 구조와 고정 임펠러(300)는 나사 연결, 클램핑 연결 또는 원기둥과 클램핑 홈의 상호 내포 등의 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어링 마운트(431)의 원주 벽에 여러 개의 제1 밀봉 단차부(321)가 설치되며, 제1 밀봉 단차부(321)의 개수는 1개, 2개 또는 2개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베어링 마운트(431)는 지지 시트(320)의 내벽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제1 밀봉 단차부(321)를 통해 지지 시트(320)의 내벽과 밀봉 결합하므로 기류가 공기 유입 채널(110)의 공기 유출단을 통해 유출한 후 지지 시트(320)의 내부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기류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기류의 송풍 세기를 보장하고, 전동 송풍기의 작업 효율을 효과적으로 보장한다. 이해 가능한 것은, 제1 밀봉 단차부(321)의 개수는 실제 장착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제1 밀봉 단차부(321)를 복수 개로 설정할 경우, 복수의 제1 밀봉 단차부(321)는 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분포된다. 마찬가지로, 지지 시트(320)의 내벽의 결합면도 제1 밀봉 단차부(321)의 개수 및 형상 크기에 따라 상응하게 설치하여 밀봉 결합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시트(320)는 제1 밀봉 단차부(321)와 밀봉 결합하는 위치에 제1 결합면 및 제2 결합면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결합면은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 결합면은 방사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밀봉 단차부(321)는 제1 벽면(3211) 및 제2 벽면(3212)을 구비하고, 제1 벽면(3211)과 제2 벽면(3212)은 서로 연결되어 협각을 형성하는데, 즉, 제1 벽면(3211)과 제2 벽면(3212) 사이는 일정한 협각을 이루고, 이 협각은 90° 이상이다. 다시 말해, 제1 벽면(3211)과 제2 벽면(3212) 사이의 협각은 90°보다 같거나 크다. 여기서, 제1 벽면(3211)과 제1 결합면은 맞닿으며 이를 통해 축방향 상에서 지지 시트(320)와 제1 밀봉 단차부(321)의 밀봉을 구현할 수 있다. 제2 벽면(3212)과 제2 결합면은 맞닿으며 이를 통해 방사 방향에서 지지 시트(320)와 제1 밀봉 단차부(321)의 밀봉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맞닿다"는 제1 벽면(3211)과 제1 결합면 사이에 접촉이 발생하여 적어도 일부 구조가 서로 접합되거나, 또는 제2 벽면(3212)과 제2 결합면 사이에 접촉이 발생하여 적어도 일부 구조가 서로 접합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축방향 및 방사 방향에서 밀봉 효과를 구현하여 지지 시트(320)와 제1 밀봉 단차부(321)의 결합 시의 밀봉성을 확보한다. 한편, 제1 벽면(3211)과 제2 벽면(3212) 사이에 형성된 협각을 90°보다 크거나 같도록 설정하므로 탈형(demold)이 더 쉬워지고, 생산이 더 편리하고, 밀봉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마찬가지로, 도 1,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내통체(420)에 지지 시트(320)와 밀봉 결합하는 제2 밀봉 단차부(421)가 설치된다. 다시 말해, 제2 밀봉 단차부(421)는 지지 시트(320)의 내주벽과 접합되어 기류가 내통체(420)와 제2 밀봉 단차부(421)의 결합 위치로부터 내통체(420)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류의 누설을 줄이고, 기류의 안정성 및 가압 효과를 보장한다. 제1 밀봉 단차부(321)와 제2 밀봉 단차부(421)의 이중 설치를 통해 기류가 누설되어 내통체(420)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구현 가능하므로 밀봉성이 더욱 강하다. 따라서 기류가 제2 디퓨전 채널(440)의 공기 유출단으로부터 유출할 때, 기류의 기압은 더욱 안정적이고, 세기는 더욱 높으므로 전동 송풍기의 작업 효율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장착 허브(430)는 베어링 마운트(431) 상의 제1 밀봉 단차부(321)를 통해 지지 시트(320)와 결합하는 동시에 연결 구조를 통해 지지 시트(320)와 안정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연결 구조는 복수의 리브를 베어링 마운트(431)의 주변에 설치하는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씰링판을 베어링 마운트(431)의 외부에 씌우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즉, 베어링 마운트(431)와 내통체(420) 사이에 링 형상의 씰링판을 설치하되, 씰링판의 내환은 베어링 마운트(431)와 연결되고, 씰링판의 외환은 내통체(420)와 연결된다. 게다가 복수의 마운트와 리브를 동시에 이격되게 분포하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구조는 베어링 마운트(431)의 주변을 따라 이격되게 분포된 복수의 연결 리브(432)를 포함하며, 연결 리브(432)의 개수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결 리브(432)는 6개 내지 9개 등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두 개 이상의 연결 리브(432)에 각각 제1 연결홀(4321)이 설치되고, 지지 시트(320)에 제2 연결홀(322)이 설치되며, 제2 연결홀(322)의 개수는 제1 연결홀(4321)의 개수와 동일하다. 지지 시트(320)와 연결 리브(432)를 연결하도록 제1 연결홀(4321)과 제2 연결홀(322)은 패스너를 관통시켜 고정되므로 고정 임펠러(300)를 내통체(420)에 장착하여 고정 임펠러(300)와 하우징 어셈블리(400) 사이의 고정 작업을 구현한다.
또한, 연결 구조는 복수의 연결 리브(432)를 이격되게 설치하는 방식으로 베어링 마운트(431)와 내통체(420)를 연결하는 동시에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재료의 양을 줄이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해 가능한 것은, 제1 연결홀(4321)과 제2 연결홀(322)의 개수는 실제 연결 요구에 따라 2개 또는 3개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등간격으로 분포된 3개의 연결 리브(432)에 각각 제1 연결홀(4321)이 설치되고, 지지 시트(320)에는 등간격으로 분포된 3개의 제2 연결홀(322)이 설치되며, 제1 연결홀(4321)과 제2 연결홀(322)의 위치는 일대일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패스너는 3개가 설치되고, 각각 제1 연결홀(4321)과 제2 연결홀(3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고정 임펠러(300)와 하우징 어셈블리(400)를 연결하도록 지지 시트(320)와 연결 리브(432)를 연결한다. 하우징 어셈블리(400)와 고정 임펠러(300) 사이에는 3개의 위치를 통해 연결 고정되므로 안정적인 삼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 연결이 더욱 견고하다.
더 나아가, 하우징 어셈블리(400)와 고정 임펠러(300) 사이의 연결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연결 리브(432)의 개수는 3의 배수로 한다. 이로써 지지 시트(320)와 연결 리브(432) 사이는 3개의 등간격 위치를 통해 연결되므로 고정 임펠러(300)의 장착 요구를 충족할 수 있고, 장착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해 가능한 것은, 베어링 마운트(431)에 베어링 장착실(4311)이 형성되어 있고, 모터는 고정자 어셈블리(500) 및 회전자 어셈블리(600)를 포함하며, 고정자 어셈블리(500)는 하우징 어셈블리(400)에 장착하되, 제2 디퓨전 채널(440)의 공기 유출단과 인접하는 일단에 위치한다. 고정자 어셈블리(500)와 하우징 어셈블리(400)는 외통체(410)의 방사 방향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회전자 어셈블리(600)는 회전축(610) 및 베어링 장착실(4311)에 장착된 베어링(620)을 포함한다. 회전축(610)의 제1 단부는 고정자 어셈블리(500)와 결합되고, 회전축(610)의 제2 단부는 베어링(620)을 통과한 후 이동 임펠러(200)에 연결되어 이동 임펠러(200)가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기류를 형성한다.
즉, 회전축(610)은 베어링(620)을 통과한 후, 회전축(610)의 제1 단부는 고정자 어셈블리(500)와 결합되고, 회전축(610)의 제2 단부는 이동 임펠러 본체(210)에 삽입되어 이동 임펠러(200)에 연결된다. 여기서, 베어링(620)은 회전축(6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회전축(610)은 고정자 어셈블리(500)의 작용에 의해 이동 임펠러(200)의 회전을 신속하게 구동하여 기류를 형성하고, 송풍을 구현한다.
외통체(410)의 방사 방향에서, 고정자 어셈블리(500)와 하우징 어셈블리(400)가 완전히 엇갈리게 배치될 경우, 전동 송풍기의 크기도 상응하게 증가한다. 더 나아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내통체(420)의 내부에는 고정자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고정자 수용 캐비티(422)가 형성되고, 고정자 어셈블리(500)는 하우징 어셈블리(400)와 연결되되, 적어도 일부가 고정자 수용 캐비티(422)에 삽입된다. 즉, 고정자 어셈블리(500)가 하우징 어셈블리(400)와 연결된 후, 고정자 어셈블리(500)는 방사 방향에서 내통체(420)와 부분적으로 겹치므로 이동 임펠러(200)와 멀리 떨어진 고정자 어셈블리(500)의 일단과 이동 임펠러(200)와 멀리 떨어진 하우징 어셈블리(400)의 일단의 축방향 거리를 단축함으로써 축방향의 전동 송풍기의 전체 크기를 축소하고, 전동 송풍기의 크기를 대폭 감소시켜, 모터 전력이 동일한 조건에서 더욱 소형화의 설치 요구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회전축(610)은 고정자 어셈블리(500)와 결합하여 고정자 어셈블리(500)의 작용하에 고속 회전한다. 고정 임펠러(300)와 멀리 떨어진 내통체(420)의 일단에 노치 홈(423)이 설치된다. 이해 가능한 것은, 고정 임펠러(300)와 멀리 떨어진 내통체(420)의 일단에서 일부 벽면을 절삭하여 노치 홈(423)을 형성한다. 고정자 수용 캐비티(422)는 노치 홈(423)을 통해 제2 디퓨전 채널(440)과 연통되므로 고정자 수용 캐비티(422), 노치 홈(423) 및 제2 디퓨전 채널(440) 사이를 서로 연통하여 모터의 방열 채널(424)을 형성한다.
모터가 작동할 때, 회전축(610) 및 고정자 어셈블리(500)의 내부에 열이 발생하면서 발열현상이 나타난다. 고정자 수용 캐비티(422), 노치 홈(423) 및 제2 디퓨전 채널(440) 사이에 순차적으로 연통하여 방열 채널(424)을 형성하므로 고정자 어셈블리(500)와 회전축(610)에서 발생한 열은 방열 채널(424)을 통해 발산되고, 복사 방열 및 전도 방열 등 방식을 통해 열을 신속하게 확산하므로 모터 작동 시 발생한 열을 신속하게 방출하여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고정자 어셈블리(500)와 회전축(610)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전동 송풍기 작동 시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보장하며 모터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 가능한 것은, 노치 홈(423)의 개수는 실제 수요에 따라 1개, 2개, 3개 또는 3개 이상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노치 홈(423)이 2개로 설치될 경우, 노치 홈(423)은 대칭 설치 방식으로 따뜻한 기류를 고정자 수용 캐비티(422)로부터 각각 두 개의 노치 홈(423)으로 유출시키므로 균일한 방열이 가능하다. 노치 홈(423)이 3개 또는 3개 이상으로 설치될 경우, 노치 홈(423)은 고정 임펠러(300)와 멀리 떨어진 내통체(420)의 일단에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분포되므로 균일 방열에 유리하고, 방열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회전축(610)이 이동 임펠러(200)의 회전을 구동할 때, 기류는 공기 유입 채널(110)과 제1 디퓨전 채널(310)을 따라 순차적으로 유동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시트(320)에 전환 섹션(323)이 설치되고, 전환 섹션(323)은 제1 디퓨전 채널(310)의 공기 유입단과 인접하는 지지 시트(320)의 일단에 위치하며, 전환 섹션(323)은 기류가 공기 유입 채널(110)로부터 제1 디퓨전 채널(310)으로 유입하도록 가이드하여 기류가 공기 유입 채널(110)로부터 제1 디퓨전 채널(310)로 유동하도록 한다. 이로써 기류가 공기 유입 채널(110)로부터 제1 디퓨전 채널(310)로 유입할 때의 운동 에너지 손실을 가장 많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송풍 효율이 더욱 높다.
이해 가능한 것은, 전환 섹션(323)은 테이프 형상, 접시 형상 또는 테이프 형상과 접시 형상이 결합되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는바, 즉 전환 섹션(323)의 외부 윤곽선은 경사진 직선 모양, 호 모양, 또는 여러 개의 경사진 직선 및/또는 여러 개의 호로 연결 형성된 모양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전환 섹션(323)의 외부 윤곽선은 호 모양을 이루는바, 즉 전환 섹션(323)은 접시 모양을 이루므로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어 우수한 전환 효과를 갖는다.
더 나아가, 전환 섹션(323)의 외부 윤곽선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있으며, 제1 단부의 축방향의 높이가 제2 단부보다 높다. 다시 말해, 축방향에서, 제1 단부는 제2 단부에 비해 이동 임펠러(200)에 더 인접되어 있다. 전환 섹션(323)의 외부 윤곽선의 양단 연결선이 위치하는 직선과 수평선의 협각은 30° 내지 65°이며, 다시 말해 전환 섹션(323)의 외부 윤곽선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의 연결선과 수평선의 협각이 30° 내지 65°이다. 기류가 이동 임펠러(200)로부터 고정 임펠러(300)에 유동할 때, 즉, 제1 디퓨전 채널(310)로부터 제2 디퓨전 채널(440)에 유동하는 과정에, 기류가 고속 저압의 상태에서 저속 고압의 상태로 전환된다. 전환 섹션(323)의 외부 윤곽선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의 연결선과 수평선의 협각을 30° 내지 65°으로 설정하므로 우수한 전환 효과를 가지며, 디퓨전 효과가 보장되고, 기류가 제1 디퓨전 채널(310)로부터 제2 디퓨전 채널(440)로 유입할 때의 디퓨전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선은 전동 송풍기를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거치했을 때, 내통체(420)의 방사 방향과 평행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임펠러(200)의 축방향에서, 공기 유출 채널의 공기 유출단과 인접한 전환 섹션(323)의 외부 윤곽선의 일단과 이동 임펠러 본체(210)의 최대 외부 에지 사이의 거리는 0.5mm 내지 1mm이고, 상기 거리는 기류가 이동 임펠러 본체(210)의 최대 외부 에지를 경과한 후 전환 섹션(323)의 외부 윤곽 위치까지 바로 유동하도록 확보할 수 있어 기류가 공기 유입 채널(110)의 공기 유출단으로부터 제1 디퓨전 채널(310)에 유입하므로 우수한 전환 효과를 구현한다. 이는 지나치게 먼 거리로 인해 일부 기류가 누설되어 지지 시트(320)와 이동 임펠러(200)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유입되어 기류 손실을 일으키고 송풍 효율에 영향 미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지나치게 짧은 거리로 인해 장착 시의 불편을 막을 수 있다. 상기 거리를 0.5mm 내지 1mm로 설정하므로 우수한 장착효과를 확보하고, 장착이 쉬우며, 전동 송풍기의 송풍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기류는 제1 디퓨전 채널(310)에 유입하여 가압된 후, 계속하여 제2 디퓨전 채널(440)에 유입하여 2차 가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디퓨전 블레이드(450)의 개수는 제1 디퓨전 블레이드(330)의 개수보다 많고, 제2 디퓨전 블레이드(450)는 제1 디퓨전 채널(310)로부터 유출된 기류를 여러 줄기로 분할하여, 기류의 압력 맥동을 낮추므로 기류를 안정시키는데 유리하고 감속 증압 효과가 있으며, 소음 감소에 도움이 된다.
여기서, 제1 디퓨전 채널(310) 중의 제1 디퓨전 블레이드(330) 및 제2 디퓨전 채널(440) 중의 제2 디퓨전 블레이드(450)의 형상, 두께 및 설치 각도 등은 모두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 가능하다. 더 나아가, 도 6을 참조하면, 제2 디퓨전 블레이드(450)는 제1 블레이드 구조(451) 및 제2 블레이드 구조(452)를 포함하며, 제2 블레이드 구조(452)는 제2 디퓨전 채널(440)의 기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메인부 및 두께 증가부를 포함한다. 두께 증가부의 두께는 메인부의 두께보다 두껍고, 두께 증가부와 메인부의 연결위치는 제2 블레이드 구조(452)의 현 길이의 0.5 내지 0.8배되는 위치에 있다.
내통체(420)와 멀리 떨어진 제2 블레이드 구조(452)의 일단은 외측 에지이고, 즉, 외통체(410)와 인접하는 제2 블레이드 구조(452)의 일단은 외측 에지이다. 메인부의 외측 에지의 두께는 제2 블레이드 구조(452)의 현 길이의 0.1 내지 0.3배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기류방향을 따라 점차 증가하고, 두께 증가부의 외측 에지의 두께는 기류방향을 따라 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제2 블레이드 구조(452)는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된 호형면(4521)을 구비하고, 제2 디퓨전 채널(440)의 공기 유입단과 인접하는 호형면(4521)의 일단은 리딩 에지(leading edge)를 가지며, 제2 디퓨전 채널(440)의 공기 유출단과 인접하는 호형면(4521)의 일단은 트레일링 에지(trailing edge)를 가지고, 호형면(4521)에서 리딩 에지_ 및 트레일링 에지의 연결선은 현 길이를 형성한다. 제2 블레이드 구조(452)는 원주 방향에서 리딩 에지와 현 길이의 0.1 내지 0.3배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트레일링 에지와 현 길이의 0.2 내지 0.5배만큼 떨어진 위치까지 두께가 점차 증가하며, 제2 블레이드 구조(452)는 원주 방향에서 트레일링 에지와 현 길이의 0.2 내지 0.5배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트레일링 에지 위치까지 두께가 변하지 않는다. 제1 블레이드 구조(451)는 이웃하는 두 제2 블레이드 구조(452) 사이에 설치되고, 제2 블레이드 구조(452)는 기류방향을 따라 두께가 점차 증가한 후 일정하게 유지되어 기류의 유동 면적이 점차 감소한 후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제2 디퓨전 블레이드(450)에 의한 기류 가압 효과를 구현한다. 동시에, 상기 방식으로 설치된 제2 블레이드 구조(452)는 트레일링 에지에 두꺼운 구조를 형성하므로 제2 블레이드 구조(452)의 트레일링 에지에 고정자 어셈블리(500)를 장착하도록 쉽게 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자 어셈블리(500)의 장착을 구현하는 동시에 기류의 디퓨전 효과를 확보한다.
더 나아가, 제2 블레이드 구조(452)의 외측 에지의 최소 두께는 제2 블레이드 구조(452)의 외측 에지의 최대 두께의 0.1 내지 0.3 배이며, 즉, 원주 방향에서 제1 블레이드 구조(451)의 최소 두께는 제1 블레이드 구조(451)의 최대 두께의 0.1 내지 0.3 배이므로 증압 효과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2 블레이드 구조(452)의 외측 에지의 최대 두께는 천공 요구를 충족해야 한다. 한편, 제2 블레이드 구조(452)의 외측 에지의 최소 두께는 약 0.4mm 내지 0.5mm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제2 블레이드 구조(452)의 외측 에지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 제품 불량 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의 주형 제작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동 송풍기는 전기 제어 보드(700) 및 두 개 이상의 제1 나사식 패스너를 더 포함하며, 전기 제어 보드(700)는 에어 후드(100)와 멀리 떨어진 외통체(410)의 일단과 연결된다. 여기서, 외통체(410)는 전기 제어 보드(700)와 인접한 일단으로 연장되어 두 개 이상의 지지암(412)을 형성하며, 지지암(412)은 내통체(420)와 인접한 일측으로 연장되어 제2 블레이드 구조(452)와 연결되며, 즉, 제2 블레이드 구조(452)의 두께 증가부와 연결된다. 지지암(412)에는 제1 나사식 구멍(4121)이 설치되고, 제1 나사식 구멍(4121)은 외통체(410)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전기 제어 보드(700)에는 두 개 이상의 제1 연통홀(710)이 설치되고, 제1 연통홀(710)은 외통체(410)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제1 연통홀(710)의 개수 및 위치는 제1 나사식 구멍(4121)의 개수 및 위치와 대응한다. 제1 나사식 패스너는 연통홀을 대응 통과한 후 제1 나사식 구멍(4121)에 삽입되어 전기 제어 보드(700)와 지지암(412)을 연결하고 전기 제어 보드(700)와 하우징 어셈블리(400)를 고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동 송풍기는 3개의 제1 나사식 패스너를 포함하고, 외통체(410)는 전기 제어 보드(700)와 인접한 일단으로 연장되어 3개의 지지암(412)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전기 제어 보드(700)에는 3개의 제1 연통홀(710)이 설치되고, 외통체(410)와 전기 제어 보드(700)는 제1 나사식 패스너를 대응 관통시켜 고정된다. 더 구체적으로, 3개의 지지암(412)은 등간격으로 전기 제어 보드(700)와 인접하는 외통체(410)의 일단에 분포되고, 3개의 제1 연통홀(710)은 전기 제어 보드(700)에 등간격으로 분포되고, 지지암(412) 상의 제1 나사식 구멍(4121)과 일대일 대응된다. 하우징 어셈블리(400)와 전기 제어 보드(700) 사이에는 3개의 위치를 통해 연결 고정을 구현하므로 안정적인 삼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이 더욱 견고하다.
더 나아가, 도 7을 참조하면, 전동 송풍기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나사식 패스너를 더 포함하며, 고정자 어셈블리(500)에는 적어도 두 개의 포지셔닝 슬롯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연통홀이 설치되고, 전기 제어 보드(700)와 인접하는 제2 디퓨전 블레이드(450)의 일측에는 적어도 두 개의 보스(453)가 설치되고, 보스(453)에는 제2 나사식 구멍(4531) 및 포지셔닝 포스트(4532)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2 연통홀과 제2 나사식 구멍(4531)은 모두 외통체(410)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포지셔닝 포스트(4532)는 포지셔닝 슬롯과 서로 결합하여 위치 고정된다. 제2 나사식 패스너는 제2 연통홀을 대응 관통한 후 제2 나사식 구멍(4531)에 삽입되어 고정자 어셈블리(500)와 보스(453)를 연결함으로써 고정자 어셈블리(500)와 하우징 어셈블리(400)의 연결을 구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동 송풍기는 3개의 제2 나사식 패스너를 포함하며, 고정자 어셈블리(500)에는 3개의 포지셔닝 슬롯 및 3개의 제2 연통홀이 설치되고, 전기 제어 보드(700)와 인접하는 제2 디퓨전 블레이드(450)의 일측에는 3개의 보스(453)가 설치된다. 하우징 어셈블리(400)와 고정자 어셈블리(500) 사이에는 3개 위치를 통해 연결 고정을 구현하므로 안정적인 삼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이 더욱 견고하다.
더 나아가, 제2 디퓨전 블레이드(450)의 개수는 3의 배수로 하고, 이는 하우징 어셈블리(400)와 전기 제어 보드(700) 사이, 또는 하우징 어셈블리(400)와 고정자 어셈블리(500) 사이가 3개의 연결 위치를 통해 쉽게 연결되도록 하므로 장착 및 고정 작업이 용이하다.
하우징 어셈블리(400)는 외통체(410)를 통해 에어 후드(100)와 연결되고, 에어 후드(100)와 외통체(410) 사이는 내포(nested), 용접 또는 밀봉 결합 등과 같은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외통체(410)와 인접하는 에어 후드(100)의 일단에는 제3 밀봉 단차부(120)가 설치되고, 에어 후드(100)와 인접하는 외통체(410)의 일단에는 제4 밀봉 단차부(411)가 설치되며, 제3 밀봉 단차부(120)와 제4 밀봉 단차부(411)는 밀봉 결합하여 장치의 밀봉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신속한 위치고정 및 장착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는 내부구조를 최적화하여 소형화 요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전동 송풍기의 전력을 대폭 증가하여 전동 송풍기의 최대 전력 밀도 σ를 0.0045W/mm3 이상으로 확보하므로 전동 송풍기의 전력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여기서, σ=P/(3.14*(D2/2)2*H)이며, 설명해야 할 것은, H는 축방향에서 에어 후드(100)와 전기 제어 보드(700)의 최대 거리이며, 즉, 축방향에서 전기 제어 보드(700)와 멀리 떨어진 에어 후드(100)의 일단과 에어 후드(100)와 멀리 떨어진 전기 제어 보드(700)의 일단의 거리가 H이다. D2/2는 외통체(410)의 외경(D2)의 1/2이다. 또한, P는 전동 송풍기의 최대 입력 전력이고, 최대 입력 전력(P)이 전동 송풍기의 규격값이고, 또한 전동 송풍기의 최대 입력 전력(P)이 제품의 라벨에 표기되어 있으므로 여기서 추가 설명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는 청소 장치를 더 제공하며, 청소 장치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를 포함한다. 전동 송풍기의 모터를 통해 이동 임펠러(200)가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기류를 형성하며, 기류는 공기 유입 채널(110)을 통해 제1 디퓨전 채널(310)에 유입하여 가압된 후 유출한다. 그 동안, 청소 장치는 전동 송풍기의 작용에 의해 음압을 형성하고, 청소 장치의 흡입구를 통해 바닥면 또는 기타 청소할 매질 표면의 먼지 등 이물질을 청소 장치에 흡입하여 청소 작업을 진행한다. 전동 송풍기는 외통체(410)의 외경(D2), 이동 임펠러 본체(210)의 최대 외측 에지 직경(D1) 및 지지 시트(320)의 외경(D3) 사이의 관계를 D2=(1.2-1.6)D1, D2=(1.15-1.6)D3으로 한정하므로 전동 송풍기의 소형화 요구를 충족하는 동시에 전력의 최대화를 구현할 수 있어 45mm 이하의 외경을 갖는 전동 송풍기에서 450W의 전력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형화 전동 송풍기가 도달할 수 있는 전력 캡을 대폭 높이고, 청소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결합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에 속한 기술자가 갖고 있는 지식 범주 내에서,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다양한 변화를 진행할 수 있다.
100: 에어 후드 110: 공기 유입 채널
120: 제3 밀봉 단차부 200: 이동 임펠러
210: 이동 임펠러 본체 220: 공기 유입 블레이드
300: 고정 임펠러 310: 제1 디퓨전 채널
330: 제1 디퓨전 블레이드 320: 지지 시트
321: 제1 밀봉 단차부 3211: 제1 벽면
3212: 제2 벽면 322: 제2 연결홀
323: 전환 섹션 400: 하우징 어셈블리
410: 외통체 412: 지지암
4121: 제1 나사식 구멍 411: 제4 밀봉 단차부
440: 제2 디퓨전 채널 450: 제2 디퓨전 블레이드
451: 제1 블레이드 구조 452: 제2 블레이드 구조
4521: 호형면 453: 보스
4531: 제2 나사식 구멍 4532: 포지셔닝 포스트
420: 내통체 421: 제2 밀봉 단차부
422: 고정자 수용 캐비티 423: 노치 홈
424: 방열 채널 430: 장착 허브
431: 베어링 마운트 4311: 베어링 장착실
432: 연결 리브 4321: 제1 연결홀
500: 고정자 어셈블리 600: 회전자 어셈블리
610: 회전축 620: 베어링
700: 전기 제어 보드 710: 제1 연통홀

Claims (16)

  1. 전동 송풍기로서,
    에어 후드;
    상기 에어 후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 후드와의 사이에 공기 유입 채널이 형성되며, 최대 외측 에지 직경(Out Edge Diameter)이 D1인 이동 임펠러 본체 및 상기 이동 임펠러 본체의 외주에 설치된 공기 유입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이동 임펠러;
    외경이 D2이고 상기 에어 후드와 연결된 외통체 및 상기 외통체 내에 설치된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하우징 어셈블리;
    외경이 D3인 지지 시트 및 상기 지지 시트의 외주에 설치된 제1 디퓨전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 임펠러와 인접하는 상기 지지 구조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외통체와의 사이에 상기 공기 유입 채널과 연통하는 제1 디퓨전 채널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고정 임펠러; 및
    상기 이동 임펠러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여기서, D2=(1.2-1.6)D1, D2=(1.15-1.6)D3인, 전동 송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내통체 및 상기 내통체 내에 설치된 장착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내통체와 상기 외통체 사이에 제2 디퓨전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디퓨전 채널은 상기 제1 디퓨전 채널의 공기 유출단과 연통하며, 상기 내통체와 상기 외통체 사이에 제2 디퓨전 블레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 임펠러는 상기 장착 허브에 장착되는 전동 송풍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착 허브는 상기 지지 시트의 내벽과 밀봉 결합하는 제1 밀봉 단차부가 하나 이상 설치된 베어링 마운트; 및 상기 베어링 마운트와 상기 내통체 사이에 설치된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전동 송풍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는 상기 베어링 마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분포된 복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하며, 두 개 이상의 상기 연결 리브에는 제1 연결홀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 시트에는 두 개 이상의 제2 연결홀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은 패스너(fastener)를 관통시켜 고정되는 전동 송풍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 시트는 상기 제1 밀봉 단차부와 밀봉 결합하는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결합면 및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결합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밀봉 단차부에는 서로 연결되어 협각을 이루는 제1 벽면과 제2 벽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벽면은 상기 제1 결합면과 맞닿고, 상기 제2 벽면은 상기 제2 결합면과 맞닿으며, 상기 협각은 90°보다 크거나 같은 전동 송풍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 내에 고정자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자 수용 캐비티 내에 삽입되는 고정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임펠러와 멀리 떨어진 상기 내통체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자 수용 캐비티와 상기 제2 디퓨전 채널을 연통하는 노치 홈이 설치되는 전동 송풍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에는 상기 지지 시트의 내주벽과 밀봉 결합하는 제2 밀봉 단차부가 설치되는 전동 송풍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시트의 상기 제1 디퓨전 채널의 공기 유입단에 기류가 상기 공기 유입 채널에서 상기 제1 디퓨전 채널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전환 섹션이 설치되는 전동 송풍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환 섹션의 외부 윤곽선은 호 모양인 전동 송풍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환 섹션의 외부 윤곽선 양단의 연결선이 위치한 직선은 수평선과 30° 내지 65°의 협각을 이루는 전동 송풍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임펠러의 축방향에서, 상기 공기 유출 채널의 공기 유출단과 인접한 상기 전환 섹션의 외부 윤곽선의 일단과 상기 이동 임펠러 본체의 최대 외측 에지 사이의 거리는 0.5mm 내지 1mm인 전동 송풍기.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디퓨전 블레이드의 개수는 상기 제1 디퓨전 블레이드의 개수보다 더 많은 전동 송풍기.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디퓨전 블레이드는 제1 블레이드 구조 및 제2 블레이드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블레이드 구조는 상기 제2 디퓨전 채널의 기류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메인부 및 두께 증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께 증가부와 상기 메인부의 연결위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구조의 현 길이의 0.5 내지 0.8배되는 위치에 있으며, 상기 내통체와 멀리 떨어진 상기 제2 블레이드 구조의 일단은 외측 에지이고, 상기 메인부의 외측 에지의 두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구조로부터 현 길이의 0.1 내지 0.3배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기류 방향을 따라 점차 증가하며, 상기 두께 증가부의 외측 에지의 두께는 상기 기류 방향을 따라 변하지 않으며; 상기 제1 블레이드 구조는 이웃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전동 송풍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 구조의 외측 에지의 최소 두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구조의 외측 에지의 최대 두께의 0.1 내지 0.3배인 전동 송풍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후드와 멀리 떨어진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의 일단에는 전기 제어 보드가 설치되며, 상기 에어 후드와 상기 전기 제어 보드는 축방향에서 최대 거리가 H이고, 전동 송풍기의 최대 입력 전력은 P이며, 전동 송풍기의 최대 전력 밀도는 σ이고, σ=P/(3.14*(D2/2)2*H)이며, 상기 σ는 0.0045 W/mm3보다 크거나 같은 전동 송풍기.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동 송풍기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KR1020247007310A 2021-09-06 2022-03-04 전동 송풍기 및 청소 장치 KR202400408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040388.4 2021-09-06
CN202111040388.4A CN113775546A (zh) 2021-09-06 2021-09-06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CN202122146261.2U CN215672813U (zh) 2021-09-06 2021-09-06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CN202122146261.2 2021-09-06
PCT/CN2022/079373 WO2023029422A1 (zh) 2021-09-06 2022-03-04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818A true KR20240040818A (ko) 2024-03-28

Family

ID=8541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310A KR20240040818A (ko) 2021-09-06 2022-03-04 전동 송풍기 및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0818A (ko)
WO (1) WO202302942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27670A (en) * 1957-01-23 1960-02-10 Davidson &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otors for axial flow fans and the like
DE102013104849A1 (de) * 2012-06-20 2013-12-24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Lüfterrad sowie Elektromotor
JP2016223431A (ja) * 2015-05-29 2016-12-28 日本電産株式会社 インペラ、送風装置、および掃除機
KR102336547B1 (ko) * 2017-04-24 202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 모터 및 그 제조방법
CN109185196B (zh) * 2018-09-30 2020-04-10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电风机
JP2020112145A (ja) * 2019-01-17 2020-07-27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動送風機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WO2021027079A1 (zh) * 2019-08-09 2021-02-18 美的威灵电机技术(上海)有限公司 风机和电器设备
CN112879323B (zh) * 2019-11-29 2023-03-14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送风装置
CN113775546A (zh) * 2021-09-06 2021-12-10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CN215672813U (zh) * 2021-09-06 2022-01-28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9422A1 (zh)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8515B2 (en) Vacuum cleaner
JP2010281232A (ja) 電動送風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US11116367B2 (en) Electric fan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CN113027795B (zh) 风机及清洁设备
US20230336056A1 (en) Motor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effect
CN113775544A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WO2023124700A1 (zh) 组合式扇叶装置及组合出风装置
CN113775545A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CN113775547A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WO2006035724A1 (ja) 立軸形遠心ポンプおよびそのロータならびに空気調和装置
CN215521343U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CN215521345U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KR20240040818A (ko) 전동 송풍기 및 청소 장치
CN215672813U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CN109296532B (zh) 旋片电子抽气泵
CN115714506A (zh) 一种风冷电机的气道式冷却装置
CN113775546A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CN215521344U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CN215595958U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US8317496B2 (en) Motor-fan assembly having a tapered fan with a concave underside
CN108547777B (zh) 一种具有防腐功能的斜流风机
KR20240042075A (ko) 전동 송풍기 및 청소 장치
CN111237213A (zh) 一种外置驱动源的流体离心贯流装置及风机
KR20240042659A (ko) 전동 송풍기 및 청소 장치
CN113530868B (zh) 电风机及清洁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