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090A - 항-dll3 항체 및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약물 접합체 및 용도 - Google Patents

항-dll3 항체 및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약물 접합체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090A
KR20240040090A KR1020247005529A KR20247005529A KR20240040090A KR 20240040090 A KR20240040090 A KR 20240040090A KR 1020247005529 A KR1020247005529 A KR 1020247005529A KR 20247005529 A KR20247005529 A KR 20247005529A KR 20240040090 A KR20240040090 A KR 20240040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amino acid
acid sequence
represented
cdr1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칭송 구오
이준 션
통 양
베이 가오
팡 우
리카이 멩
바오시아 왕
웬보 장
Original Assignee
상하이 후단-장지앙 바이오-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후단-장지앙 바이오-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후단-장지앙 바이오-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40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09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61K47/6803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the drug being a maytan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61K47/68037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the drug being a camptothecin [CPT]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1T-cell receptor (TcR)-CD3 complex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02Regulators; Modulating acti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DLL3 항체 및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약물 접합체 및 용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항-DLL3 항체는 우수한 내재화 활성을 가지고, 인간 DLL3 단백질과 더 나은 결합 활성을 가지며, 단백질 수준에서 친화력이 모두 비교적 강하다. 본 발명의 DLL3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 접합 약물은 우수한 약용성, 생물학적 활성과 체내 및 체외 항종양 활성을 가지며, 이는 SCLC를 포함한 신경내분비 특성을 갖는 종양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의 세포독성 약물의 용도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DLL3 항체 및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약물 접합체 및 용도
본 출원은 출원일자가 2021년 7월 30일인 PCT 특허출원 PCT/CN2021/109517의 우선권 및 출원일자가 2022년 3월 11일인 중국 특허출원 CN2022102395912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상기 특허출원의 전문을 인용한다.
본 발명은 생명공학 및 의약 분야에 속하며, 구체적으로 항-DLL3 항체 및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약물 접합체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소세포폐암(SCLC)은 폐암 중 악성도가 가장 높은 유형으로, 진행이 빠르고 조기에 전이되고 재발이 용이한 등 특징을 갖고 있으며, 신규 폐암의 약 15% 내지 20%를 차지하고, 이의 발생은 장기적인 흡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SCLC는 주로 제한기 환자 및 확장기 환자로 나뉘며, 그 중 확장기 환자가 주를 이루며 SCLC의 약 70%를 차지한다. 현 단계에서 SCLC의 치료는 주로 화학 요법을 기반으로 하며, 이의 1차 화학 요법은 주로 백금계 약물을 기반으로 한 병용 요법이고,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은 에토포사이드+시스플라틴 또는 카르보플라틴(EP 또는 CE 방안)이다. 지침에서는 제한기 또는 확장기 여부에 관계없이 모두 4 내지 6개 치료 과정의 시스플라틴/카르보플라틴 병용 요법을 받아야 한다고 권장하며, 그 중 제한기 SCLC의 1차 치료에 대한 반응률은 70% 내지 90%이며, 확장기 SCLC의 반응률은 50% 내지 60%이다. 현재 SCLC는 1차 치료 후 1년 이내에, 제한기 환자의 약 80% 및 확장기 환자의 거의 전부가 재발하거나 진행되고 있어 2차 치료의 효과가 SCLC 환자의 최종 생존율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토포테칸 단일 요법을 2차 치료의 표준 요법으로 하고, 이의 환자 반응률이 약 22%이고, 환자의 전체 생존 기간이 약 8개월이지만; 약물 내성 재발 환자의 경우 이의 반응률은 약 4%에 불과하고, 이의 중앙 생존 기간은 5개월에 불과하여, 이의 임상적 이점이 극히 제한적이며 임상적 미충족 수요가 매우 크다. 요약하면, SCLC는 높은 재발률과 약물 내성률이 존재하고 2차 치료 약물의 선택이 제한되고 환자의 생존 혜택이 제한되고 있어, 치료에 있어서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기존의 임상적 미충족 수요를 변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치료 수단이 시급히 필요하다. 현재 여러 연구에 따르면 Notch 경로가 억제되는 것이 SCLC의 발생 및 발달과 고도로 관련이 있으며, 이의 리간드 DLL3은 SCLC의 치료에 가장 잠재적인 표적 중 하나로 간주된다.
DLL3은 고처리량 시퀀싱을 통해 확인된 비전형적인 Notch 경로 리간드이고, 상기 리간드는 61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일 막관통 단백질로서, 완전한 구조는 1개의 DSL 도메인, 1개의 세포내 도메인 및 6개의 표피 성장 인자 유사 도메인(즉 도메인 EGF1, EGF2, EGF3, EGF4, EGF5 및 EGF6)을 포함하며, SCLC의 발생 및 발달의 중요한 표적이다. 면역조직화학에 따르면 상기 표적이 정상 조직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고 다른 종양에서도 발현되지 않으나, 특이적으로 신경내분비 종양에서 다량으로 발현되며 SCLC의 약 80%의 종양 조직 및 암세포 표면에 높은 수준의 DLL3이 존재하고, 재발된 SCLC의 약 85%도 DLL3 단백질을 높게 발현하며, 이는 SCLC의 구성적으로 발현되는 수용체이다. DLL3은 정상 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SCLC와 같은 신경내분비 종양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어, 이가 항체 또는 항체 약물 접합체(antibody drug conjugate, ADC) 개발의 표적 중 하나가 되도록 한다.
현재 DLL3 표적을 표적으로 하는 여러 약물이 개발 중에 있으며, 주로 이중특이성 항체, 세포 치료 및 ADC 약물(예를 들어 CN104520324A를 참조)이 있다. Rova-T는 애브비(AbbVie)가 개발한 DLL3 표적을 표적으로 하는 최초의 ADC 약물이자, SCLC의 임상 연구에서의 최초의 표적 치료 약물이기도 하며, 상기 약물은 종양 세포 표면에 발현된 DLL3을 이용하여 종양 세포를 식별하고 세포독성 약물인 PBD를 종양 세포 내로 전달하여 종양 세포를 표적적으로 사멸하는 효과를 달성하지만, 상기 약물의 임상 3상 연구에서 세포독성 활성 약물인 PBD가 독성 부작용이 너무 크고, 환자가 견딜 수 없어 유효성이 부족하여 현재 개발이 종료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 기술의 항-DLL3 항체의 단점, 및 DLL3을 표적으로 하는 ADC 약물이 임상적으로 개발에 성공하지 못한 현 상황에 관한 것으로, DLL3을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항-DLL3 항체, DLL3을 표적으로 하는 ADC, 이의 중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 기술에서 DLL3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 약물 접합체가 부족하다는 단점에 대해, 본 발명에 서술된 항체 약물 접합체는 SCLC를 비롯한 신경내분비 특징을 갖는 종양 환자를 치료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아래의 기술적 해결 수단을 통해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중쇄 가변 영역(VH) 및 경쇄 가변 영역(VL)을 포함하는 항-DLL3 항체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VH는 하기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 또는 이의 돌연변이: 서열번호 9, 19, 29, 39, 59, 69, 79, 89, 99 또는 63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VH CDR1, 서열번호 10, 20, 30, 40, 60, 70, 80, 90, 100, 110 또는 83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VH CDR2, 및/또는, 서열번호 11, 21, 31, 41, 61, 71, 81, 91, 101, 111 또는 93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VH CDR3을 포함하고;
상기 VL은 하기의 CDR 또는 이의 돌연변이: 서열번호 12, 32, 42, 62, 72, 82, 92, 102, 112 또는 103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VL CDR1, GAS, GAT, TTS, NAK, YTS, RAN, WAS, FTS 또는 NAN로 표시되는 VL CDR2, 및/또는 서열번호 14, 24, 34, 44, 64, 74, 84, 94, 104, 114 또는 113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VL CDR3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돌연변이는 상기 CDR의 아미노산 서열에 3, 2 또는 1개의 아미노산의 삽입, 결실 또는 치환을 갖는다.
본 출원에 있어서, 유사한 “3, 2 또는 1개의 아미노산의 삽입, 결실 또는 치환을 갖는”에서 “아미노산 돌연변이”는 원래의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원래의 아미노산 서열의 기초에서 아미노산의 삽입, 결실 또는 치환이 발생하는 것을 포함하여 변이체의 서열에 아미노산 돌연변이가 있는 것을 지칭한다. 예시적인 해석으로는 CDR의 돌연변이가 3개, 2개 또는 1개의 아미노산의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CDR 사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수의 아미노산 잔기를 임의로 선택하여 돌연변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DR1에 대해 1개의 아미노산의 돌연변이를 수행하고 CDR2 및 CDR3에 대해 아미노산 돌연변이를 수행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돌연변이는 현재 당업자에게 공지된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항체의 생산 또는 적용 과정에서 항체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일부 돌연변이이며, 예를 들어 존재할 수 있는 특히 CDR 영역의 번역 후 수식(Potential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PTMs)된 부위에 대해 돌연변이를 수행하는 것이고, 항체의 응집, 아스파라긴 탈아미드화 민감(asparagine deamidation) 부위(NG, NS, NH 등), 아스파테이트 이성질화(DG, DP) 민감 부위, N-글리코실화(N-{P}) 민감 부위 및 산화 민감 부위 등 관련 돌연변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9, 10 및 1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9, 20 및 2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9, 30 및 3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9, 40 및 4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59, 60 및 6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9, 70 및 7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79, 80 및 8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9, 90 및 9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99, 100 및 10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9, 110 및 11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3, 83 및 93으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2, GAS 및 서열번호 1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2, GAS 및 서열번호 2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2, GAT 및 서열번호 3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42, TTS 및 서열번호 4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2, NAK 및 서열번호 6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72, NAK 및 서열번호 7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2, YTS 및 서열번호 8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92, RAN 및 서열번호 9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02, WAS 및 서열번호 10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12, FTS 및 서열번호 11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03, NAN 및 113으로 표시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에서,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9, 10 및 1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2, GAS 및 서열번호 14로 표시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에서,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9, 20 및 2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2, GAS 및 서열번호 24로 표시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에서,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9, 30 및 3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2, GAT 및 서열번호 34로 표시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에서,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9, 40 및 4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42, TTS 및 서열번호 44로 표시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에서,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59, 60 및 6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2, NAK 및 서열번호 64로 표시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에서,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9, 70 및 7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72, NAK 및 서열번호 74로 표시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에서,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79, 80 및 8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2, YTS 및 서열번호 84로 표시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에서,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9, 90 및 9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92, RAN 및 서열번호 94로 표시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에서,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99, 100 및 10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02, WAS 및 서열번호 104로 표시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에서,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9, 110 및 11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12, FTS 및 서열번호 114로 표시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에서,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3, 83 및 93으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03, NAN 및 113으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항-DLL3 항체에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VH)은 중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영역(VH FWR)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VH FWR은 인간 또는 마우스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영역이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VH는 서열번호 15, 25, 35, 45, 65, 75, 85, 95, 105, 13 또는 22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항-DLL3 항체에서, 상기 경쇄 가변 영역(VL)은 경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영역(VL FWR)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VL FWR은 인간 또는 마우스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영역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VL은 서열번호 16, 26, 36, 46, 66, 76, 86, 96, 106, 33 또는 23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VH는 서열번호 15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16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VH는 서열번호 25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VL은 서열번호 26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VH는 서열번호 35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36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VH는 서열번호 45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46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VH는 서열번호 65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66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VH는 서열번호 75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76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VH는 서열번호 85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86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VH는 서열번호 95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96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VH는 서열번호 105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106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VH는 서열번호 13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33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VH는 서열번호 22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23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상기 돌연변이는 상기 VH 및/또는VL의 아미노산 서열 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아미노산 잔기의 결실, 치환 또는 첨가가 발생하는 것이고, 상기 돌연변이된 아미노산 서열은 상기 VH 및/또는 VL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고, 상기 항체와 DLL3의 결합을 유지하거나 개선하며; 상기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의 서열 동일성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96%, 97%, 98%의 서열 동일성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이다.
본 출원에서, 상기 나열된 CDR의 아미노산 서열은 모두 kabat 정의 규칙에 따라 표시된 것이다(본 출원의 서열도 kabat 정의 규칙에 따라 표시됨). 그러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항체의 CDR을 정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열 가변성에 기초한 Kabat 정의 규칙(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5th E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91)) 및 구조적 고리 영역의 위치에 기초한 Chothia 정의 규칙(JMol Biol 273:927-48, 1997을 참조)이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당업자는 주어진 항체 또는 이의 영역(예를 들어 가변 영역)의 용어 “CDR” 및 “상보성 결정 영역”은 본 발명에 서술된 상기 공지된 형태에서의 임의의 하나에 의해 정의된 상보성 결정 영역을 포괄하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보호를 청구하고 있는 범위는 kabat 정의 규칙에 따라 표시된 서열이지만, 다른 CDR의 정의 규칙에 따른 상응하는 아미노산 서열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DLL3 항체는 전장 항체, Fab, Fab’, F(ab’)2, Fv 바람직하게는 scFv, 이중특이성 항체, 다중특이성 항체, 중쇄 항체 또는 단일 도메인 항체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는 전장 항체이고, 상기 전장 항체는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고; 중쇄에 포함된 중쇄 불변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 또는 마우스 유래 항체 중쇄 불변 영역이며; 경쇄에 포함된 경쇄 불변 영역에 서술된 항체 경쇄 불변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 또는 마우스 유래 항체 경쇄 불변 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간 유래 경쇄 불변 영역은 인간 κ 또는 λ 경쇄 불변 영역이고; 상기 인간 유래 중쇄 불변 영역은 인간 IgG1, IgG2, IgG3 또는 IgG4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17, 27, 37, 47, 67, 77, 87, 97, 107, 43 또는 73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18, 28, 38, 48, 68, 78, 88, 98, 108, 53 또는 109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장 항체에서,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17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18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27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28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37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38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47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48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67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68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77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78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87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88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97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98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107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108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43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53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73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109 또는 이의 돌연변이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상기 돌연변이는 상기 중쇄 및/또는 경쇄의 아미노산 서열 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아미노산 잔기의 결실, 치환 또는 첨가가 발생하는 것이고, 상기 돌연변이된 아미노산 서열은 상기 중쇄 및/또는 경쇄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고, 상기 항체와 DLL3의 결합을 유지하거나 개선하며; 상기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의 서열 동일성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96%, 97% 또는 98%의 서열 동일성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와 경쟁적으로 DLL3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DLL3 항체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를 코딩하는 분리된 핵산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핵산을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를 더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현 벡터는 진핵 세포 발현 벡터 및/또는 원핵 세포 발현 벡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형질전환체를 더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형질전환체의 숙주 세포는 원핵 세포 및/또는 진핵 세포이고, 상기 원핵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TG1, BL21 세포와 같은 E. coli 세포이고, 상기 진핵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HEK293 세포 또는 CHO 세포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항체 약물 접합체(ADC)를 더 제공하며, 이의 구조 일반식은 Ab-(L3-L2-L1-D)m이며;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D는 세포독성 약물 또는 이고;
m은 2 내지 8이고;
L1의 구조는 식 I, 식 II, 식 III 또는 식 IV로 표시되고, 이의 a 말단은 상기 세포독성 약물과 서로 연결되고, e 말단은 상기 L2의 c 말단과 서로 연결되며;
;
(L)p에서, L은 독립적으로 페닐알라닌 잔기, 알라닌 잔기, 글리신 잔기, 글루탐산 잔기, 아스파라긴산 잔기, 시스테인 잔기, 글루탐산 잔기, 히스티딘 잔기, 이소류신 잔기, 류신 잔기, 라이신 잔기, 메티오닌 잔기, 프롤린 잔기, 세린 잔기, 트레오닌 잔기, 트립토판 잔기, 티로신 잔기 및 발린 잔기 중 하나 또는 복수이고; p는 2 내지 4이며;
R1은 하나 또는 복수의 -NR1-1R1-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 하나 또는 복수의 R1-3S(O)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 C1-C6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또는 5원 내지 14원 헤테로아릴이며; 상기 5원 내지 14원 헤테로아릴에서 헤테로원자는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이고, 헤테로원자의 수는 1, 2, 3 또는 4이고; 상기 R1-1, R1-2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6알킬이며;
L2, , , , , , , , , , , , , , , 또는 이고, 상기 식에서, n은 독립적으로 1 내지 12이고, 예를 들어 8, 9, 10, 11 및 12이며, c 말단은 카르보닐을 통해 L1과 연결되고, f 말단은 상기 L3의 d 말단과 연결되며;
L3 또는 이고, 여기서 b 말단은 상기 Ab와 연결되고. d 말단은 상기 L2의 f 말단과 연결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는 DLL3 단백질 중 하기의 항원 결합 에피토프: DSL 도메인, N 말단, EGF2 도메인 및 EGF3 내지 EGF6 도메인 중 하나에 결합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에 서술된 바와 같은 항-DLL3 항체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는 DLL3 단백질 중 EGF2 도메인의 항원 결합 에피토프에 결합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는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거나, 또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및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를 포함하는 항-DLL3 항체이거나, 또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및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를 포함하는 항-DLL3 항체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L은 페닐알라닌 잔기, 알라닌 잔기, 글리신 잔기, 이소류신 잔기, 류신 잔기, 프롤린 잔기 및 발린 잔기 중 하나 또는 복수이고, 바람직하게는 페닐알라닌 잔기, 알라닌 잔기, 글리신 잔기 및 발린 잔기 중 하나 또는 복수이다.
어느 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L은 발린 잔기 및/또는 알라닌 잔기이고, 상기 복수는 두 가지 또는 세 가지이며, 상기 p는 2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L)p이고, 여기서 g 말단은 카르보닐을 통해 상기 L2의 c 말단과 연결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R1은 하나 또는 복수의 -NR1-1R1-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 하나 또는 복수의 R1-3S(O)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 또는 C1-C6알킬이고; 상기 R1-1, R1-2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4알킬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R1이 하나 또는 복수의 -NR1-1R1-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인 경우, 상기 C1-C6알킬은 C1-C4알킬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또는 tert-부틸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틸이며; 상기 복수는 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R1-1 및 R1-2가 각각 독립적으로 C1-C4알킬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또는 tert-부틸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메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NR1-1R1-2는 -N(CH3)2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이 하나의 -NR1-1R1-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인 경우, 상기 하나의 -NR1-1R1-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은 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R1이 하나 또는 복수의 R1-3S(O)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인 경우, 상기 C1-C6알킬은 C1-C4알킬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또는 tert-부틸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에틸이며; 상기 복수는 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R1-3은 C1-C4알킬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또는 tert-부틸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메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이 하나의 R1-3S(O)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인 경우, 상기 하나의 R1-3S(O)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은 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R1이 C1-C6알킬인 경우, 상기 C1-C6알킬은 C1-C4알킬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또는 tert-부틸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L1의 구조가 식 I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2는 바람직하게는 , , , , , , 또는 이고; 상기 L3은 바람직하게는 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L1의 구조가 식 II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2는 바람직하게는 , 또는 이고; 상기 L3은 바람직하게는 이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L1의 구조가 식 III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2는 바람직하게는 , , , , 또는 이고; 상기 L3은 바람직하게는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L1의 구조가 식 IV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2는 바람직하게는 또는 이고; 상기 L3은 바람직하게는 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L1의 구조가 식 I 또는 식 III로 표시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 III는 바람직하게는 , 또는 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 III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L3의 b 말단은 바람직하게는 티오에테르 결합의 형태로 상기 항체의 메르캅토에 연결된다. 를 예로 들어, 이 상기 항체의 시스테인 잔기와 연결되는 형태는 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m은 2 내지 8의 정수이고, 예를 들어, 2, 3, 4, 5, 6, 7, 8, 또는 비정수이며, 예를 들어 7.68, 7.53, 4.43, 7.12, 6.92, 7.43, 7.23, 6.83, 7.32, 7.56, 7.54, 7.47, 5.82, 6.78, 2.28, 6.32, 7.45, 7.65, 7.64, 7.36, 7.75, 7.80, 7.77 또는 7.76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이며,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상기 식에서, Ab는 상기 항-DLL3 항체이고, m은 2 내지 8이고, 바람직하게는 7.68, 7.53, 4.43, 7.12, 6.92, 7.43, 7.23, 6.83, 7.32, 7.56, 7.54, 7.47, 5.82, 6.78, 2.28, 6.32, 7.45, 7.65, 7.64, 7.36, 7.75, 7.80, 7.77 또는 7.76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이며,
, , , , , , , , , , , , 또는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번호 2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이며,
, , , , , , , , , , 또는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번호 1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7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번호 10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4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4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4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번호 4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를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포함하는 유전자 변형된 세포를 더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자 변형된 세포는 진핵 세포이고, 바람직하게는 분리된 인간 세포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면역세포인 T 세포, 또는 NK 세포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체를 배양하고, 배양물로부터 항-DLL3 항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DLL3 항체의 제조 방법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또는 상기 유전자 변형된 세포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더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액체 제형, 기체 제형, 고형 제형 및 반고형 제형이고, 및/또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 주사 투여, 비강 투여, 경피 투여 또는 점막 투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화학요법제, 방사선치료제, 면역억제제 및/또는 세포독성 약물을 포함하는 복합 치료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DLL3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물, 키트 및/또는 약물 전달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의, 상기 항-DLL3 항체, 상기 항체 약물 접합제,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 상기 유전자 변형된 세포, 및/또는 상기 약학 조성물의 용도; 또는, DLL3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있어서의, 상기 항-DLL3 항체, 상기 항체 약물 접합제,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 상기 유전자 변형된 세포, 및/또는 상기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더 제공한다. 상기 DLL3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관련된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종양이고, 상기 종양은 바람직하게는 암이고, 상기 암은 바람직하게는 신경내분비종양, 전립선암, 췌장암, 대장암 등 내분비종양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소세포폐암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 상기 유전자 변형된 세포, 및/또는 상기 약학 조성물; 및 선택적으로,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1) 상기 약학 조성물을 필요한 피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주입 모듈, 및 (2) 선택적인 약효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를 사용하여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LL3을 검출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비진단 및/또는 치료를 위한 목적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 상기 유전자 변형된 세포, 및/또는 상기 약학 조성물을 필요한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DLL3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관련된 질환을 진단,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DLL3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관련된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종양이고, 상기 종양은 바람직하게는 암이고, 상기 암은 바람직하게는 신경내분비종양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소세포폐암이다.
본 발명은 항체군(항체 단편 또는 변이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된 분자를 포함)을 더 제공하며, 여기서 군 구성원은 본 발명의 1개, 2개, 3개, 4개, 5개,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항체[예를 들어 완전 항체, Fab, F(ab)2 단편 및 scFv 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항체 약물 접합체를 더 제공하고, 이의 구조 일반식은 Ab-(L5-L4-L3-L2-L1-D)m이며;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상기 항-DLL3 항체는 DLL3 단백질 중 DSL 도메인 및/또는 N 말단에 결합되고;
D는 세포독성 약물이고;
m은 2 내지 8이고;
L1의 구조는 식 I, 식 II, 식 III 또는 식 IV로 표시되고, 이의 a 말단은 상기 세포독성 약물과 서로 연결되고, e 말단은 상기 L2의 c 말단과 서로 연결되며;
;
(L)p에서, L은 독립적으로 페닐알라닌 잔기, 알라닌 잔기, 글리신 잔기, 글루탐산 잔기, 아스파라긴산 잔기, 시스테인 잔기, 글루탐산 잔기, 히스티딘 잔기, 이소류신 잔기, 류신 잔기, 라이신 잔기, 메티오닌 잔기, 프롤린 잔기, 세린 잔기, 트레오닌 잔기, 트립토판 잔기, 티로신 잔기 및 발린 잔기 중 하나 또는 복수이고; p는 2 내지 4이며;
R1은 하나 또는 복수의 -NR1-1R1-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 하나 또는 복수의 R1-3S(O)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 C1-C6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또는 5원 내지 14원 헤테로아릴이며; 상기 5원 내지 14원 헤테로아릴에서 헤테로원자는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이고, 헤테로원자의 수는 1, 2, 3 또는 4이고; 상기 R1-1, R1-2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6알킬이며;
L2, , , , , , , , , , , , , , , 또는 이고, 상기 식에서, n은 독립적으로 1 내지 12이며, c 말단은 카르보닐을 통해 L1과 연결되고, f 말단은 상기 L3의 d 말단과 연결되며;
L3 또는 이고, 상기 식에서, b 말단은 상기 Ab와 연결되고. d 말단은 상기 L2의 f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L4는 비존재이거나, 절단성 링커, 비절단성 링커, 친수성 링커, 사전 하전된 링커 및 디카르복실산 기반인 링커에서 선택되고;
상기 L5는 비존재이거나, 하기 식 V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식 V
상기 식에서, X1은 수소 원자, 할로겐, 하이드록실, 시아노, 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에서 선택되고;
X2는 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에서 선택되고; m은 0 내지 5이고; S는 황 원자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D는 예를 들어 미세소관 억제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와 같은 하이드록실, 메르캅토 또는 아미노를 포함하는 세포독성 약물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L은 바람직하게는 페닐알라닌 잔기, 알라닌 잔기, 글리신 잔기, 이소류신 잔기, 류신 잔기, 프롤린 잔기 및 발린 잔기 중 하나 또는 복수이고, 바람직하게는 페닐알라닌 잔기, 알라닌 잔기, 글리신 잔기 및 발린 잔기 중 하나 또는 복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L은 발린 잔기 및/또는 알라닌 잔기이며, 상기 복수는 2개 또는 3개이고, 상기 p는 2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R1은 하나 또는 복수의 -NR1-1R1-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 하나 또는 복수의 R1-3S(O)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 또는 C1-C6알킬이고; 상기 R1-1, R1-2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4알킬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L1의 구조가 식 I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2, , , , , , 또는 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L1의 구조가 식 II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2, 또는 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L1의 구조가 식 III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2, , , , 또는 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L1의 구조가 식 IV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2 또는 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n은 독립적으로 8, 9, 10, 11 및 12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m은 2 내지 8의 정수 또는 비정수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L3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L4는 N-숙신이미딜 4-(2-피리딜디티오)펜타노에이트(SPP), N-숙신이미딜(4-아이오도아세틸) 아미노벤조에이트(SIAB), N-숙신이미딜 4-(말레이미도메틸)사이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SMCC), 6-말레이미도카프로일(MC), 말레이미도프로피오닐(MP), 발린-시트룰린(VC), 알라닌-페닐알라닌(ala-phe), p-아미노벤질옥시카르보닐(PAB) 및 MC-VC-PAB에서 선택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L5에서, X1이 수소 원자이고, X2가 알킬이고, m이 1인 경우, 식 V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S-(3-카르보닐프로필)티오아세테이트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D는 마이탄신(Maytansine) 유도체, 돌라스타틴 10(Dolastatin 10) 유도체,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유사체 또는 캠프토테신(Camptothecin) 유사체의 하나 또는 복수이다.
상기 마이탄신 유도체는 예를 들어 DM1, DM3 및 DM4이다.
상기 돌라스타틴 10 유도체는 예를 들어 MMAE 및 MMAF이다.
상기 아드리아마이신 유사체는 예를 들어 독소루비신(Doxorubicin) 및 캄시루비신(Camsirubicin)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D는 캠프토테신 유사체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식 Va 또는 식 Vb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며,
(Va) 또는 (Vb);
R2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6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R3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6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R4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6알킬이고;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L)p이고, 여기서 g 말단은 카르보닐을 통해 상기 L2의 c말단과 연결된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 III는 , 또는 이다.
어느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이며,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상기 항-DLL3 항체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및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를 포함하는 항-DLL3 항체이거나, 또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및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를 포함하는 항-DLL3 항체이며;
상기 m은 7.23 또는 7.32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이며,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고 또는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DMSO에 과량 용해된 링커-약물 접합체를 항-DLL3 항체가 포함된 완충액에 적가하여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항체 약물 접합체의 제조 방법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항체 약물 접합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더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액체 제형, 기체 제형, 고형 제형 또는 반고형 제형이고, 및/또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 주사 투여, 비강 투여, 경피 투여 또는 점막 투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화학요법제, 방사선치료제, 면역억제제 및/또는 세포독성 약물을 포함하는 복합 치료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DLL3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물, 키트 및/또는 약물 전달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따른 항체 약물 접합체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더 제공한다.
상기 DLL3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관련된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종양이고, 상기 종양은 바람직하게는 암이고, 상기 암은 바람직하게는 신경내분비종양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소세포폐암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항체 약물 접합체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및 선택적으로,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1) 본 발명에 따른 항체 약물 접합체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필요한 피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주입 모듈, 및 (2) 선택적인 약효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항체 약물 접합체를 사용하여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L3을 검출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LL3을 검출하는 방법은 비진단 및/또는 치료를 위한 목적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 본 발명에 따른 항체 약물 접합체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필요한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DLL3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관련된 질환을 진단,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 반응의 조건 및 작업은 당업계의 해당 접합 반응의 통상적인 조건 및 작업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m은 세포독성 약물 분자와 Ab의 몰비(DAR라고도 함, 즉 약물 항체 접합 비율)를 나타내고, m은 정수 또는 소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단일클론 항체 분자와 세포독성 약물이 접합된 후 수득된 항체 약물 접합체에서의 약물 분자와 단일클론 항체 분자의 몰비의 평균값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Hydrophobic-Interaction Chromatography, HIC), 폴리아크릴아미드-SDS 겔 전기영동(SDS-PAGE, electrophoresi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liquid chromatograph-mass spectrometer, LC-MS) 등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C1-C6알킬”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1 내지 6개, 특히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또는 tert-부틸이고, “C1-C6알킬”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이다.
본 발명의 항체는 예를 들어 하이브리도마 방법, 재조합 DNA 기술,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 합성 기술 또는 이러한 기술들의 조합,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기술과 같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선택적” 또는 “특이적”은, 길항제의 보충으로 인해 다른 추가적인 DLL3 특이적 결합 부분과 상이한 특이성(예를 들어, 이중특이성 또는 이중작용성 분자이고, 여기서 상기 분자의 설계는 두 가지 기능을 결합하거나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그 중 적어도 하나는 DLL3에 특이적으로 결합함)을 갖도록 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개시된 길항제가 DLL3 이외의 물질에 대해 유의한 결합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사실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항체 분자” 또는 “항체”는 면역글로불린 분자 및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면역학적 활성 부분, 즉 항원에 면역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분자를 지칭한다. 따라서, 용어 항체는 온전한 항체 분자뿐만 아니라 상기 항체의 단편 및 상기 항체 및 항체 단편의 변이체(유도체 포함)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항체 분자는 예를 들어 단일 사슬Fv(scFv), Fab 단편, Fab’ 단편, F(ab’)2, 이황화 결합으로 연결된 Fv(sdFv), Fv, 및 온전한 항체 또는 전장 항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단일 사슬 Fv” 또는 “scFv”는 항체 VH 도메인과 연결된 항체의 VL 도메인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를 지칭한다. DLL3에 면역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는 다른 항원과 교차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DLL3에 면역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는 다른 항원과 교차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DLL3에 면역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는 예를 들어 면역 측정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방법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온전한 항체” 또는 “전장 항체”는 두 개의 중쇄(H) 및 두 개의 경쇄(L)를 포함하는 단백질을 지칭하며, 상기 중쇄 및 경쇄는 이황화 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단백질은, (1) 중쇄의 경우, 중쇄 가변 영역(본 명세서에서는 “VH”로 약칭함) 및 3개의 도메인 CH1, CH2, CH3을 포함하는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고; 및 (2) 경쇄의 경우, 경쇄 가변 영역(본 명세서에서는 “VL”로 약칭함) 및 하나의 도메인 CL을 포함하는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체는 단일클론, 다중특이성, 인간 또는 키메라 항체, 단일 사슬 항체, Fab 단편, F(ab’) 단편, 항-이디오타입(항-Id) 항체(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항체의 항-Id 항체를 포함), 및 상기 임의의 항체의 에피토프-결합 단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 분자는 면역글로불린의 임의의 유형(예를 들어 IgG, IgE, IgM, IgD, IgA 및 IgY), 유형(예를 들어 IgG1, IgG2, IgG3, IgG4, IgA1 및 IgA2) 또는 하위 유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는 단일클론 항체 또는 다중클론 항체일 수 있으며, 상기 단일클론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마우스 항인간 단일클론 항체이다. 본 발명의 항체는 초인간화 항체 또는 이중 항체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중쇄 항체”는 1개의 중쇄 가변 영역(VHH)과 2개의 통상적인 CH2 및 CH3 영역만을 포함하는 항체를 지칭하며, HCAb라고도 한다.
“단일 도메인 항체”는 “나노 바디”라고도 하고, 중쇄 항체에서 클로닝된 VHH 구조를 지칭하며 표적 항원에 결합 가능한 가장 작은 단위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서술된 “90%, 95%, 98%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은 상기 서열표에 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삽입, 결실 또는 대체하여 수득하며, 상기 대체는 예를 들어, 서열에 대해 컴퓨터 구조 시물레이션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고, 존재할 수 있는 특히 CDR 영역의 번역 후 수식(Potential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PTMs)된 부위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며, 항체의 응집, 아스파라긴 탈아미드화 민감(asparagine deamidation) 부위(NG, NS, NH 등), 아스파테이트 이성질화(DG, DP) 민감 부위, N-글리코실화(N-{P}S/T) 민감 부위 및 산화 민감 부위 등 분석 및 대체를 포함한다.
“KD”는 Kd(특정 결합 분자-표적 단백질 상호작용의 해리 속도) 및 Ka(특정 결합 분자-표적 단백질 상호작용의 결합 속도)의 비율(또는 Kd/Ka, 몰 농도(M)로 표시함)로부터 얻은 해리 상수를 지칭한다. 당업계에 충분히 확립된 방법을 사용하여 Kd값을 측정할 수 있다. 결합 분자의 KD를 측정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사용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Biacore™(GE Healthcare Life Sciences) 시스템과 같은 바이오센서 시스템이다.
용어 “치료” 또는 이의 동등한 표현이 예를 들어 암에 적용되는 경우, 환자 체내의 암 세포의 수가 감소 또는 제거되거나 암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차 또는 과정을 지칭한다. 암 또는 다른 증식성 장애의 “치료”는 반드시 암세포 또는 다른 장애가 실제로 제거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세포 또는 장애의 수가 실제로 감소되거나 암 또는 다른 장애의 증상이 실제로 완화됨을 지칭한다. 통상적으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은 성공 가능성이 낮더라도 수행하게 되지만 환자의 병력과 예상되는 생존 기대치를 고려하여 여전히 전반적으로 유익한 효과 과정을 유도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본 발명의 유효량의 활성 물질, 활성 물질을 방해하지 않는 생물학적 활성을 전달할 수 있으며 숙주 또는 환자에 대해 독성 부작용이 없는 모든 제제 또는 담체 매질을 지칭하며, 대표적인 담체로는 물, 오일, 야채 및 미네랄, 크림 기질, 로션 기질, 연고 기질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질은 현탁제, 증점제, 경피투과 촉진제 등을 포함한다. 이들의 제제는 화장품 분야 또는 국소 의학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 각 바람직한 조건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위반하지 않는 기초에서 본 발명의 각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얻기 위하여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시약 및 원료는 모두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긍정적인 진보 효과는: 본 발명의 항-DLL3 항체가 우수한 내재화 활성을 가지고, 인간 DLL3 단백질과 더 나은 결합 활성을 가지며, 단백질 수준에서 친화력이 모두 비교적 강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항체 접합 약물은 우수한 약용성, 생물학적 활성과 체내 및 체외 항종양 활성을 가지며, 이는 SCLC를 포함한 신경내분비 특성을 갖는 종양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의 세포독성 약물의 용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pV81 백터의 스펙트럼이다.
도 2는 실시예 4에 따른 항체의 내재화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키메라 항체와 hDLL3의 결합 활성의 용량-반응 곡선을 나타낸다.
도 4는 키메라 항체와 hDLL1(왼쪽), hDLL4(오른쪽)의 결합 활성의 용량-반응 곡선을 나타낸다.
도 5는 키메라 항체와 마우스(왼쪽), 원숭이 DLL3(오른쪽)의 결합 활성의 용량-반응 곡선을 나타낸다.
도 6은 상이한 ADC 후보 물질이 DLL3 표적 세포를 6일 동안 처리한 세포독성 활성 용량-반응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7은 NCI-H82 모델에서 ADC 약물의 체내 항종양 상태를 나타낸다.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해당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조건을 명시하지 않은 실험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 및 조건에 따르거나 제품 설명서에 따라 선택된다.
실시예 1. hDLL3을 특이적으로 표적으로 하는 단일클론 항체 FDA027 및 FDA031의 제조
본 발명에서 친화도가 높고 hDLL3을 특이적으로 표적으로 하는 단일클론 항체FDA027 및 FDA031을 선택하고, 여기서 FDA027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경쇄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중쇄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FDA031은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경쇄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중쇄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FDA027 경쇄 및 중쇄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전체 유전자 합성(Suzhou Genewiz) 방법을 통해 수득하고, EcoR I(NEB에서 구입, R3104S) 및 Hind III(NEB에서 구입, R3101S) 이중 효소 절단을 통해 각각 단독으로 pV81 벡터로 구축되고(도 1), 연결을 통해 Trans 1-T1 수용성 세포(TransGen Biotech에서 구입, CD501)로 형질전환하고, 그 중에서 클론을 선택하여 시퀀싱 확인을 수행하고, 양성 클론을 배양 및 증폭시킨 후 플라스미드를 중간량으로 추출하여 항체 경쇄 진핵 발현 플라스미드 FDA027-L/pV81 및 항체 중쇄 진핵 발현 플라스미드 FDA027-H/pV81을 수득하고, 경쇄 및 중쇄 진핵 발현 플라스미드의 질량비는 1.5:1이며, 전기천공법을 통해 현탁 성장에 이미 적응된 CHO 세포로 형질전환하고(ATCC에서 구입), 전기천공된 세포를 2000 내지 5000개 세포/웰로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3주 동안 배양한 후 HTRF 방법(균질 시간 분해 형광)을 사용하여 키트(Cisbio에서 구입, 62HFCPEG)의 설명서에 따라 발현량을 측정하고, 발현량이 가장 높은 세포 풀(cell pool)을 선택하여 125ml의 진탕 플라스크에 확장시키고(배양 체적 30ml), 37℃, 5.0% CO2, 130r/min로 진탕하면서 배양하고, 3일 후 1000ml의 진탕 플라스크에 확장시키고(배양 체적 300ml), 37℃, 5.0% CO2, 130r/min로 진탕하면서 배양하고, 4일째부터 초기 배양 체적의 5 내지 8%의 공급 배지를 격일로 추가하고, 10 내지 12일 후 배양이 끝나고, 수확액을 9500r/min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한 다음 0.22μm의 필터로 여과하고, 처리된 시료를 MabSelect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컬럼(GE에서 구입)으로 정제하여 최종적으로 순도가 비교적 높은 항-DLL3 항체 FDA027을 수득하였다. FDA031은 FDA027과 동일한 작업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인간 hDLL3 과발현 벡터 및 안정적으로 형질전환된 세포주의 제조
형질감염된 발현 플라스미드의 증폭에 사용하기 위해 인간 DLL3 발현 플라스미드 pCMV3-DLL3-t1(Sino Biological Inc.에서 구입, HG20010-UT)을 사용하여 대장균 수용성 세포 Trans1-T1(TransGen Biotech에서 구입, CD501)을 형질전환시켰다. 형질전환 과정은 수용성 세포의 사용 지침서를 참조하였다. 형질전환 플레이트에서 단일 클론을 선택하여 배지에서 밤새 증폭시킨 후, 6000r/min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플라스미드 추출을 위한 균액을 수집하며, 플라스미드 중간량 추출 키트(MN에서 구입, 제품번호: DP117)를 사용하여, 설명서에 따라 플라스미드 DNA를 추출하였다.
성장 상태가 양호한 대수 성장기의 HEK293 세포(중국과학원 세포 은행에서 구입)를 선별하여, 신선한 배지 DMEM에 10% 소 태아 혈청을 가하여 세포를 5×105개 세포/ml의 밀도로 희석하고, 6웰 배양 플레이트에 2ml/웰씩 접종하고, 인큐베이터(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다음날 형질감염 시약인 lipofectamin3000(Thermo에서 구입, L3000-008)을 사용하여 플라스미드 pCMV3-DLL3-t1을 HEK293 세포에 형질감염시키고, 작업은 lipofectamin3000 형질감염 키트의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형질감염 48시간 후, 세포를 96웰 배양 플레이트에 웰당 1개의 접종 밀도로 접종하고, 200μg/ml의 히그로마이신 B(Thermo에서 구입, 10687010)를 포함한 신선한 배지를 가하여 배양하고, 3 내지 4일 간격으로 히그로마이신 B를 포함한 신선한 배지를 교체하여, hDLL3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안정적으로 형질감염된 단일클론 세포를 수득하였다. 유세포 분석법으로 hDLL3을 발현하는 HEK293 세포를 스크리닝하고, 검출 항체인 염소 항-hDLL3-PE(R&D에서 구입, FAB4315P)를 PBS로 10μg/ml로 희석하고, 5×105개의 시험 세포에 100μl를 가하여 4℃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2% 소 태아 혈청을 포함한 1ml의 PBS를 가하여 세포를 재현탁하고, 1500r/min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청을 버리고, 작업을 2회 반복하였다. 1ml의 PBS를 가하여 세포를 재현탁하고, CytoFLEX로 검출하고(Beckman에서 구입), 인간 DLL3 발현 양성률이 85% 이상이면 양성 클론이며, HEK293-DLL3 안정적으로 형질감염된 세포주가 성공적으로 구축되었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이한 hDLL3 도메인을 포함하는 HEK293 과발현 세포주를 안전적으로 형질감염시키며, 각각 N-말단을 포함하지 않는 hDLL3(이의 서열은 서열번호 5로 표시됨) 과발현 세포주, N-말단 및 DSL 도메인을 포함하지 않는 hDLL3(이의 서열은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됨) 과발현 세포주, N-말단, DSL 및 EGF1 도메인을 포함하지 않는 hDLL3(이의 서열은 서열번호 7로 표시됨) 과발현 세포주, N-말단, DSL 및 EGF1 및 EGF2 도메인을 포함하지 않는 hDLL3(이의 서열은 서열번호 8로 표시됨) 과발현 세포주이다.
서열번호 5
GKPIPNPLLGLDSTSGARCEPPAVGTACTRLCRPRSAPSRCGPGLRPCAPLEDECEAPLVCRAGCSPEHGFCEQPGECRCLEGWTGPLCTVPVSTSSCLSPRGPSSATTGCLVPGPGPCDGNPCANGGSCSETPRSFECTCPRGFYGLRCEVSGVTCADGPCFNGGLCVGGADPDSAYICHCPPGFQGSNCEKRVDRCSLQPCRNGGLCLDLGHALRCRCRAGFAGPRCEHDLDDCAGRACANGGTCVEGGGAHRCSCALGFGGRDCRERADPCAARPCAHGGRCYAHFSGLVCACAPGYMGARCEFPVHPDGASALPAAPPGLRPGDPQRYLSGGGGSGAGVIAVIVVVVIAIVAGIVVLVISRKKRMAKYEKAEIKEMGEMHRELNA
서열번호 6
GKPIPNPLLGLDSTSGAPLVCRAGCSPEHGFCEQPGECRCLEGWTGPLCTVPVSTSSCLSPRGPSSATTGCLVPGPGPCDGNPCANGGSCSETPRSFECTCPRGFYGLRCEVSGVTCADGPCFNGGLCVGGADPDSAYICHCPPGFQGSNCEKRVDRCSLQPCRNGGLCLDLGHALRCRCRAGFAGPRCEHDLDDCAGRACANGGTCVEGGGAHRCSCALGFGGRDCRERADPCAARPCAHGGRCYAHFSGLVCACAPGYMGARCEFPVHPDGASALPAAPPGLRPGDPQRYLSGGGGSGAGVIAVIVVVVIAIVAGIVVLVISRKKRMAKYEKAEIKEMGEMHRELNA
서열번호 7
GKPIPNPLLGLDSTSGGPGPCDGNPCANGGSCSETPRSFECTCPRGFYGLRCEVSGVTCADGPCFNGGLCVGGADPDSAYICHCPPGFQGSNCEKRVDRCSLQPCRNGGLCLDLGHALRCRCRAGFAGPRCEHDLDDCAGRACANGGTCVEGGGAHRCSCALGFGGRDCRERADPCAARPCAHGGRCYAHFSGLVCACAPGYMGARCEFPVHPDGASALPAAPPGLRPGDPQRYLSGGGGSGAGVIAVIVVVVIAIVAGIVVLVISRKKRMAKYEKAEIKEMGEMHRELNA
서열번호 8
GKPIPNPLLGLDSTSGSGVTCADGPCFNGGLCVGGADPDSAYICHCPPGFQGSNCEKRVDRCSLQPCRNGGLCLDLGHALRCRCRAGFAGPRCEHDLDDCAGRACANGGTCVEGGGAHRCSCALGFGGRDCRERADPCAARPCAHGGRCYAHFSGLVCACAPGYMGARCEFPVHPDGASALPAAPPGLRPGDPQRYLSGGGGSGAGVIAVIVVVVIAIVAGIVVLVISRKKRMAKYEKAEIKEMGEMHRELNA
참고: 밑줄은 V5 태그이고 기울임꼴 부분은 세포내 서열이다.
실시예 3. 하이브리도마 단일클론 항체의 제조 및 항체의 스크리닝
3-1. 면역접종 및 혈청 역가 검출
6주령의 SPF 등급 Balb/C 암컷인 건강한 6마리의 마우스(Shanghai Jihui Laboratory Animal Care Co.,Ltd.에서 구입)를 선택하여, 무작위로 A, B의 2개 군으로 나누며, 2주 간격으로 재조합 DLL3 단백질로 1회 면역화시키고(ACRO에서 구입, DL3-H5255), 첫 번째 면역에는 프로인트 완전 면역보조제를 사용하고, 이후 면역에는 프로인트 불완전 면역보조제를 사용하였다. 35일째, 49일째에 마우스의 안와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ELISA 및 유세포 분석법(FACS)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우스의 면역 혈청 역가를 검출하였다.
ELISA 검출 방법: PBS로 DLL3 단백질을 1μg/ml의 농도로 희석하고, 100μl/웰을 96웰 효소 플레이트에 가하고 4℃에서 밤새 방치하고, 2일째에 플레이트 웰에서 상청액을 버리고, 각 웰에 200μl의 2% 우유를 포함한 PBS 용액을 가하여 블로킹하고, 2시간 후 블로킹 용액을 버리고 200μl의 PBST(1‰의 Tween20)를 가하여 플레이트 웰을 3회 세척한 후, 시험 혈청을 100배로 사전 희석하고, 11개의 농도로 3배 구배 희석하며, 각 웰에 100μl를 효소 플레이트에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플레이트 웰의 상청을 버리고, 200μl의 PBST(1‰의 Tween20)를 가하여 5회 세척하고, 100μl의 HRP-표지된 염소 항-마우스 2차 항체(Jackson, 1:10000)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청을 버리고, 각 웰에 200μl의 PBST(1‰의 Tween20)를 가하여 7회 세척하였다. 각 웰에 100μl의 TMB 발색 용액을 가하여 10분 동안 발색시키고, 2M의 HCl를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450nm에서의 흡광도 값을 판독하였다(biotek에서 구입, Elx808).
FACS 검출 방법: 96웰 V형 마이크로플레이트(axygen에서 구입, wipp02280)의 각 웰에 3×105개의 HEK293-DLL3 안정적으로 형질감염된 세포 또는 내인성 발현 세포 SHP-77(ATCC에서 구입)을 가하고, 1500r/min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청을 버렸다. 면역 혈청을 PBS로 1:50으로 희석한 후, 8개의 농도로 4배 구배 희석하고, 50μL/웰을 마이크로플레이트에 가하고 얼음 위에서 30분 동안 배양한 다음, 각 웰에 150μL의 PBS를 가하여 세포를 재현탁하고 1500r/min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작업을 2회 반복하였다. APC 표지된 염소 항-마우스 IgG(Jackson, 제품 번호 115-605-164, PBS로 1:800으로 희석함)를 웰당 50μL씩 가하고 얼음 위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웰에 150μL의 PBS를 가하여 세포를 재현탁하고 1500r/min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작업을 2회 반복하며 CytoFLEX로 검출하였다(Beckman에서 구입). 검출 후, 역가가 가장 높고 2회 연속 면역 혈청 역가가 안정화된 마우스를 선택하여 융합하고, 융합 3일 전에 DLL3 단백질을 복강내 주사하여 1회 러시 면역화(rush immunization)를 수행하였다.
3-2. 하이브리도마 융합 스크리닝 및 클로닝
러시 면역화된 Balb/C 마우스의 비장을 취하여 세포 현탁액을 제조하고, 전기 융합 방법을 통해 비장 세포를 SP2/0 세포(중국과학원 세포은행에서 구입, TCM42)와 융합시키고, 융합된 후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웰당 2×104개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한 후, HAT 배지를 사용하여 스크리닝하고, 7일 후 웰 플레이트의 상청을 취하여 각각 ELISA 검출을 수행하고, 방법은 실시예 3-1에 서술된 바와 같으며, ELISA 양성인 세포에 대해 FACS 검출 방법을 사용하여 DLL3을 과발현하는 293 세포주 및 SHP-77 내인성 세포주를 각각 검출하였다. 세포 결합 양성인 클론을 제한 희석하고, 2회 반복하며, 희석된 클론을 실시예 3-1의 ELISA 및 FACS 방법을 사용하여 양성 클론을 확인하였다. 2회 제한 희석 후 검출된 양성 클론 하이브리도마를 증폭시켜 항체의 생산 및 정제와 항체 발현 유전자의 시퀀싱에 사용하였다.
3-3. 하이브리도마 항체의 생산 및 정제
기능적 특성화를 위한 mg 양의 항체를 생산하기 위해 선택된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2.5×105/mL의 밀도로 250mL의 하이브리도마 무혈청 배지(Yuanpei Biotechnology에서 구입, H630KJ)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플라스크에 접종하고, 37℃ 하에 130r/min에서 진탕 플라스크에서 배양하며, 세포 생존율이 약 30%로 떨어지면 원심분리하여 세포 상청액을 수득하였다. Protein G 매질을 사용하여 마우스의 단일클론 항체를 정제하고 투석 방법을 통해 항체를 PBS pH7.2 완충액에 치환하였다. 미량 분광 광도계(Hangzhou Aosheng Instruments에서 구입, Nano-300)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체의 농도 및 순도를 결정하였다.
실시예 4. 항체 내재화 활성 분석
실시예 3-1에 서술된 FACS 검출 방법을 사용하여 SHP-77 세포를 사용하여 실시예 3-3에서 수득된 하이브리도마 항체의 내재화 활성을 검출하였다. 검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5×105개의 SHP-77 세포를 6부로 분주하여 96웰 V형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배치하고, 1500r/min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청을 버렸다. 포화된 1μg/ml의 검출할 항체를 웰당 200μL씩 가하고, 얼음 위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웰당 150μL의 PBS를 가하고, 1500r/min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청을 버리고, 작업을 4회 반복하였다. 200μl의 PBS로 재현탁하고, 각각 1부씩 꺼내 37℃의 세포 인큐베이터에 넣고 각각 5시간, 3시간, 1시간, 0.5시간, 15분 동안 방치한 후, 나머지 마지막 1부의 세포를 얼음 위에 방치하고, 배양 시간이 끝난 후, 모든 시료 세포를 4℃, 1500r/min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청을 버리고, APC 표지된 염소 항-마우스 IgG(Jackson, 제품 번호 109-605-098, PBS로 1:800으로 희석함)를 가하고, 각 웰에 50μL를 가하고, 얼음 위에서 30분 동안 배양하며, 이어서 각 웰에 150μl의 PBS를 가하여 세포를 재현탁하고, 1500r/min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청을 버리고, 작업을 4회 반복하고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웰에 100μL의 PBS를 가하여 세포를 재현탁하고 CytoFLEX(Beckman에서 구입)를 사용하여 검출하며, 검출된 형광값의 통계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고, 도 2는 실시예 3의 3-3에서 수득된 항체의 내재화 결과를 나타내며,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3의 3-3에서 수득된 항체는 우수한 내재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하이브리도마 항체 발현 유전자 서열의 획득
각 클론에서 2×105개의 하이브리도마 세포(실시예 3-2에서 유래)를 수집하여 RNA 추출에 사용하고, 세포를 300g(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속도 단위이고, 이하 동일)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청을 버리고, 250μl의 Trizol(TAKARA에서 구입, T9108) 용해 완충액을 가하여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용해시키고, 이어서 50μl의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에멀션으로 볼텍싱하고 균일하게 혼합하고, 실온에서 5분 동안 방치한 후 12000g, 4℃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청을 새로운 Rnase-free의 1.5ml 원심분리 튜브에 흡인하고, 125μl의 이소프로필알코올을 가하고 충분히 균일하게 혼합한 후 실온에 10분 동안 방치하였다. 12000g, 4℃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확인하고, 상청을 버리고, 250μl의 75%의 에탄올을 가하고, 부드럽게 위아래로 뒤집어 균일하게 혼합하고 12000g, 4℃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흡인하여 버리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침전을 건조시켰다. 이어서 각각 20μl의 Rnase-free 물을 가하여 침전을 30분 동안 용해시키고, 용해된 후 피펫으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농도를 측정하였다. RNA 농도에 따라 PrimeScript?? RT Master Mix 키트(TAKARA에서 구입, RR036A)를 사용하여 시험 클론의 RNA를 cDNA로 역전사하였다. 항체의 경쇄 및 중쇄 특이적 프라이머를 합성하고, PCR 방법을 통해 항체의 경쇄 및 중쇄 서열을 수득하고, Universal DNA 정제 및 회수 키트(TIANGEN Biotech에서 구입, DP214-03)를 사용하여 증폭된 단편을 겔 회수한 후, pMD18T 벡터(TAKARA에서 구입, 6011)와 4℃에서 30분 동안 연결하였다. 5μL의 연결 생성물을 취하여 50μl의 TG-1(Lucigen회사) 수용성 세포에 가하고 부드럽게 균일하게 혼합하고 42℃에서 90초 동안 열 충격을 가하고, 열 충격 후 얼음 위에서 3분 동안 배양하고, 1mL의 비저항성 2 YT 액체 배지(Sangon Biotech에서 구입, A507019-0250)를 가하고, 37℃, 220r/min의 쉐이커에 1시간 동안 배치하고, 100μL의 박테리아 액체를 취하여 Amp 저항성(Sangon Biotech에서 구입, A600469-0005)의 2 YT 고체 플레이트 위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37℃에서 14 내지 16시간 동안 거꾸로 배치하여 배양하였다. 단일클론을 선택하고 시퀀싱을 위해 Sangon으로 보냈다. 시퀀싱 결과를 얻은 후 Vector NTI, Vbase2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시퀀싱 결과를 분석하여 우수한 결합 활성 및 내재화 활성을 갖는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수득하였으며, 수득된 결과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6. 키메라 항체의 구축과 제조 및 결합 활성 검출
상기 실시예 5에서 수득된 우수한 결합 활성 및 내재화 활성을 갖는 하이브리도마 클론의 중쇄 가변 영역 서열을 유전자 합성한 후 상동재조합을 통해 인간 유래 항체 IgG1 중쇄 불변 영역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pFUSEss-CHIg-hG1 벡터(InvivoGen에서 구입, 제품 번호 pfusess-hchg1)에 클로닝하여 키메라 항체 중쇄 발현 벡터를 수득하였다. 클로닝된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동일한 방법으로 상동재조합을 사용하여 인간 유래 항체 Kappa 경쇄 불변 영역 아미노산 서열 CL을 포함하는 pFUSE2ss-CLIg-hk 벡터(InvivoGen에서 구입, 제품 번호 pfuse2ss-hclk)에 각각 클로닝하여 키메라 항체 경쇄 발현 벡터를 수득하였다. 구축되어 수득된 키메라 항체의 경쇄 및 중쇄 전장에 해당하는 아미노산 서열 번호는 표 3-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성장 상태가 양호한 대수 성장기의 293F 세포를 수집하여 250mL의 세포 배양 플라스크에 접종하고 50mL의 배지에서 배양하고, PEI로 경쇄 및 중쇄 발현 플라스미드 각각 25μg을 공동 형질감염시켰다. 형질감염 후 7일째 배양된 세포 상청을 수집하여 원심분리하고 0.45μM 필터로 여과한 후, Protein A 매질을 사용하여 항체를 정제하고 투석 방법을 통해 항체를 PBS pH7.2 완충액에 치환하였다. 미량 분광 광도계(Hangzhou Aosheng Instruments에서 구입, Nano-300)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체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ELISA의 방법을 통해 수득된 키메라 항체와 인간 DLL3 단백질의 결합 활성을 검출하고(결과는 도 3 및 표 3-2에 나타낸 바와 같음), ELISA 검출 방법은 실시예 3-1에 서술된 바와 같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수득된 키메라 항체는 모두 인간 DLL3 단백질과 더 나은 결합 활성을 갖는다.
실시예 7. 키메라 항체의 경쟁 분석 및 결합 에피토프 분석
실시예 6에서 수득된 키메라 항체를 각각 비오틴(Biotin)으로 표지하고, ELISA 방법을 통해 상호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활성을 검출하였다. 검출 방법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PBS로 DLL3 단백질의 농도를 1μg/ml로 희석하고, 384-웰 효소 플레이트(Corning에서 구입, 3700) 40에 밤새 플레이팅한 후, 다음날 플레이트 웰의 상청을 버리고, 80μl의 3% 우유(PBS에 용해됨)를 사용하여 2시간 동안 블로킹하고, 80μl의 PBST(1‰의 Tween20)로 3회 세척한 후, 비표지 키메라 항체를 각각 100μg/ml로 사전 희석하고, 그 다음 11개 농도 포인트로 3배 구배 희석하며, 웰당 25μl를 이미 블로킹이 끝난 효소 플레이트에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플레이트 웰의 상청을 버리고, 80μl의 PBST(1‰의 Tween20)를 사용하여 5회 세척한 다음 25μl의 비오틴 표지된 키메라 항체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다시 상청을 버리고 80μl의 PBST(1‰의 Tween20)로 플레이트 웰을 5회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HRP 표지된 스트렙트아비딘 2차 항체 1:5000(GenScript에서 구입, M00091)으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고 상청을 버리고 80μl의 PBST(1‰의 Tween20)로 7회 세척하였다. 25μl의 TMB 발색 용액을 가하여 10분 동안 발색시키고, 2M의 HCl를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biotek에서 구입, Elx808)로 450nm에서의 흡광도 값을 판독하였다.
항체가 구체적으로 결합하는 영역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2에 서술된 바와 같이 상이한 hDLL3 도메인을 포함하는 HEK293 과발현 세포주(대응 서열은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임)를 FACS로 키메라 항체와 이들 4개 세포의 결합능을 검출하고 항체의 결합 영역을 확인하였다. 요약하여, 5×105개의 DSL, EGF1, EGF2, EGF3의 과발현 세포를 96웰 V형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배치하고, 1500r/min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청을 버렸다. 포화된 1μg/ml의 검출할 항체를 웰당 200μL를 가하고, 얼음 위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웰당 150μL의 PBS를 가하고, 1500r/min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청을 버리고, 플레이트를 4회 반복하여 세척하였다. APC 표지된 염소 항-인간 IgG(Jackson, PBS로 1:800으로 희석함)를 웰당 50μL를 가하고 얼음 위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PBS로 플레이트를 4회 세척하고 각 웰에 100μL의 PBS를 가하여 세포를 재현탁하고 CytoFLEX로 검출하며(Beckman에서 구입), 수득된 결과에 따르면, 항체 ch1A5, ch33F11 및 ch32E8은 DLL3의 EGF2 도메인에 결합하고, FDA031, ch13C2 및 ch15G2 항체는 DLL3의 N 말단에 결합하고, FDA027은 DLL3의 DSL 도메인에 결합하며, 나머지 항체는 모두 DLL3의 EGF3 내지 EGF6 도메인에 결합함으로써, ch15G2의 결합 에피토프는 N 말단 도메인이고; ch32E8, ch1A5 및 ch33F11의 결합 에피토프는 EGF2 도메인이며; ch36H10, ch6A2, ch19C7, ch26D9, ch23G2, ch10B1 및 ch4H7의 결합 에피토프는 EGF3 내지 EGF6 도메인임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인간 DLL1, DLL4 단백질 및 마우스, 원숭이 DLL3 세포에 결합하는 항체의 교차 반응성
실시예 6에서 수득된 키메라 항체를 ELISA 방법을 통해 인간 DLL1(Acro에서 구입, DL1-H52H8), DLL4(Acro에서 구입, DL4-H5227) 단백질에 대한 결합능을 검출하고, ELISA 검출 방법은, DLL1 및 DLL4 단백질을 최종 농도가 1μg/ml가 되도록 각각 PBS로 희석하고, 각각 384웰 효소 플레이트(Corning에서 구입, 3700)에 플레이팅하여 4℃에서 밤샘 후, 다음날 플레이트 웰의 상청을 버리고, 80μl의 3% 우유(PBS에 용해됨)를 사용하여 2시간 동안 블로킹하고, 80μl의 PBST(1‰의 Tween20)로 플레이트 웰을 3회 세척한 후, 시험 키메라 항체, FDA027 및 FDA031을 각각 20μg/ml로 희석하고, 11개 농도 포인트로 3배 구배 희석하며, 웰당 25μl를 이미 블로킹이 끝난 효소 플레이트에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상청을 버리고, 80μl의 PBST(1‰의 Tween20)를 사용하여 5회 세척한 다음 웰당 25μl의 HRP 표지된 염소 항-인간의 2차 항체(Jackson, 1:10000)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청을 버리고 80μl의 PBST(1‰의 Tween20)로 7회 세척하였다. 25μl의 TMB 발색 용액을 가하여 10분 동안 발색시키고, 2M의 HCl를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450nm에서의 흡광도 값을 판독하며(biotek에서 구입, Elx808), 결과(도 4에 도시됨)에 따르면, 12개의 후보 항체는 hDLL1 및 hDLL4의 단백질과 모두 유의한 교차 반응이 없고, 그 중 36H10, 4H7 항체와 hDLL1은 높은 농도(20μg/mL)에서 비교적 약한 교차 반응이 있으며; 6A2 항체와 hDLL4는 높은 농도(20μg/mL)에서 소정의 교차 반응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마우스, 원숭이 DLL3에 대한 항체의 교차 반응 능력을 검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 DLL3 발현 플라스미드 pCMV3-mDLL3(Sino Biological에서 구입, MG58052-UT) 및 원숭이 DLL3 발현 플라스미드 pCMV3-rheDLL3(Sino Biological에서 구입, CG90919-UT)을 사용하여 과발현 세포주를 구축하였다. 과발현 세포의 구축 방법은 실시예 2-3에 서술된 바와 같다. 유세포 분석법으로 키메라 항체와 이들 2개 세포의 결합능을 검출하고 항체의 종 교차 반응 능력을 확인하였다. 구축되어 수득된 5×105개의 마우스 DLL3 세포 Mouse-DLL3, 원숭이 DLL3 세포 Rhesus-DLL3을 각각 96웰 V형 마이크로플레이트(Axygen에서 구입, wipp02280)에 접종하고, 1500r/min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청을 버렸다. 키메라 항체, FDA027 및 FDA031을 50μg/ml로 사전 희석하고, 8개 농도 포인트로 4배 구배 희석하고, 상이한 농도의 시험 항체를 웰당 200μL를 각각 가하고 얼음 위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각 웰에 150μL의 PBS를 가하고, 1500r/min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청을 버리고, 플레이트를 4회 반복하여 세척하였다. APC 표지된 염소 항-인간 IgG(Jackson, PBS로 1:800으로 희석함)를 웰당 50μL를 가하고 얼음 위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PBS로 플레이트를 4회 세척한 후 각 웰에 100μL의 PBS를 가하여 세포를 재현탁하고 CytoFLEX(Beckman)를 사용하여 검출하며, 결과(도 5에 도시됨)에 따르면 ch32E8, ch13C2 및 ch15G2가 원숭이, 마우스 DLL3을 식별하지 못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9개 항체는 모두 마우스, 원숭이 DLL3과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9. 인간 DLL3 단백질과 결합하는 항체의 친화도 검출
인간 DLL3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의 결합 친화도를 검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BLI 방법을 사용하여 고형화된 항체와 유리된 DLL3의 결합 동역학 곡선을 검출하며, 검출 방법은 기기(공급업체: Fortebio, 기기 모델: Octet 96e)의 사용 지침을 참조하여 수행하고, 요약하면 먼저 로딩 완충액(Loading Buffer)/샘플 희석 완충액(Sample dilution buffer)(1×PBS, pH7.4, 0.1% BSA 및 0.02% Tween-20을 포함)을 사용하여 AMC 센서를 60초 동안 평형화하여 기준선 1을 수득하였다. 시험 항체를 로딩 완충액으로 10ug/ml의 농도로 희석하고 평형화된 센서와 결합하고, 결합된 후의 센서를 다시 로딩 완충액으로 재평형화하여 기준선 2를 수득하였다. 그 다음 항체가 로딩된 센서를 샘플 희석 용액으로 100 내지 3.13nM으로 희석된 인간 DLL3 ,His tag(공급업체: acrobiosystems, 제품 번호: DL3-H52H4)에 배치하여 90초 동안 결합하여 항체와 단백질의 결합 곡선을 수득하였다. 그 다음 항원이 결합되어 있는 센서를 다시 샘플 희석 완충액에 배치하여 180초 동안 해리시켜 해리 곡선을 수득하였다. 결합 및 해리 곡선을 통해 항체와 단백질의 결합의 k-on, k-off 값을 각각 계산하고, KD 값을 계산하며, 수득된 결과(표 4를 참조)는 다음과 같다.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키메라 항체는 단백질 수준에서 친화도가 모두 비교적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0. 링커 약물 접합체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링커 약물 접합체 LE00 및 LE01 내지 LE24의 구조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여기서 LE00(GGFG-Dxd)은 WO2015146132A에 보고된 방법을 참조하여 합성하고, LE01 내지 LE24는 WO2020259258A1에 보고된 방법을 참조하여 합성하였다.
실시예 11. 항체와 링커 약물 접합체를 접합시킨 ADC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및 6에서 수득된 상이한 항-DLL3 항체를 각각 G25 탈염 컬럼을 사용하여 50mM의 PB/1.0mM의 EDTA 완충액(pH 7.0)으로 치환하고, 12당량의 TECP를 가하고, 37℃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항체 사슬 간의 이황화 결합을 완전히 열리도록 한 후, 인산을 사용하여 환원된 항체 용액의 pH를 6.0으로 조절하고, 수조의 온도를 25℃로 낮추어, 접합 반응을 위해 준비하였다. 실시예 10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수득된 링커 약물 접합체를 DMSO로 용해시키고, 12당량의 링커-약물 접합체를 흡입하여 각각 상기 환원된 항-DLL3 항체 용액에 천천히 적가하고, 시료를 모두 최고 DAR에 따라 제조(즉 과량의 접합)하며, 각 접합 반응이 발생할 때 침전이 생성되는 것을 관찰하고, 이의 최종 농도가 10%(v/v)가 되도록 DMSO를 추가로 가하여, 2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키고, 반응이 완료된 후, 0.22μm의 막으로 시료를 여과하였다. 접선 흐름 여과 시스템으로 정제하여 접합되지 않은 소분자를 제거하고, 완충액은 50mM의 PB/1.0mM의 EDTA 용액(pH 6.0)이고, 정제한 후 최종 농도가 6%인 수크로스를 가하고 -20℃의 냉장고에 방치하여 보관하였다. UV법으로 각각 280nm 및 370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여 DAR 값을 계산하였고, 결과는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결과에 따르면 ch1A5, ch33F11, ch32E8, ch13C2, FDA027, FDA031, ch15G2 및 ch4H7 항체가 LE14와 모두 정상적으로 접합될 수 있고, ch33F11이 LE01-LE11, LE23 및 LE24와 모두 정상적으로 접합될 수 있고, ch1A5가 LE00, LE12, LE13, LE15, LE16, LE17, LE18, LE19, LE20, LE21 및 LE22와 모두 정상적으로 접합될 수 있으며, 접합되어 수득된 ADC의 DAR 값, 유리 Dxd 함량 등이 모두 예상 요구 사항과 일치하였다. ch19C7, ch23G2, ch6A2, ch26D9의 4개의 항체가 LE14와 접합될 때 ADC 시료는 원심분리 농축 과정에서 유의한 응집 침전 현상이 나타나 수집된 량이 비교적 적으므로 이의 접합 약용성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며, ch36H10 및 ch10B1의 2개 항체가 접합되어 수득된 ADC 시료의 DAR 값은 각각 1.89 및 1.90으로 양자의 불순물 함량이 모두 매우 높으며, 특히 ch36H10의 소분자 잔류가 49.35%로 높아 접합에 실패하였음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ADC 시료의 체외 세포독성 활성 평가
DLL3에 의해 안정적으로 형질감염된 높게 발현되는 HEK293 세포를 실험적 체외 활성 검출을 위한 세포주로 선택하고, 세포 사멸에 대한 상이한 항체 약물 접합체의 용량 반응관계를 관찰하였다.
웰당 2000개의 세포를 96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20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항체 약물 접합체를 80, 20, 5, 1.25, 0.3125, 0.0781, 0.0195, 0.00488 및 0.000488μg/ml의 총 9개 농도로 구배된 시험 용액으로 조제하고, 100μl/웰의 희석된 시험 용액을 취하여 세포가 접종된 배양 플레이트에 가하고, 37℃, 5% CO2의 인큐베이터에서 144시간 동안 배양한 후 CellTiter-Glo® 발광 세포 생존능 검정 시약(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 Reagent)(50μl/웰)을 가하고, 실온에서 500rpm으로 10분 동안 진탕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SpectraMaxL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로 데이터(OD570nm, 2s 간격으로 판독)를 판독한 후 약물 첨가 없이 전체 세포군의 생존율을 100%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IC50을 계산하였으며, 결과는 도 6 및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12: 모두 평균 값이다.
표 7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ch19C7-LE14 및 ch13C2-LE14의 체외 세포독성 활성이 상대적으로 비교적 약한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에 개시된 ADC는 DLL3 양성 세포에 대해 모두 유의한 체외 세포 사멸 효과를 가지고, FDA027-LE14의 체외 세포독성 활성은 상대적으로 가장 강하며, FDA027-LE14는 체외 활성 IC50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개시된 각 ADC의 IC90 값은 FDA027-LE14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실시예 13: NCI-H82 모델에서 ADC 약물의 생체내 항종양 활성
6 내지 8주령의 암컷 Balb/c 누드 마우스(Shanghai Lingchang Biotechnology Co., Ltd.에서 구입)를 선택하여 200μl의 마트리겔(Matrigel)에 용해된 5×106 인간 유래 소세포 폐암 세포(NCI-H82)를 오른쪽 등에 피하 주사하고, 종양의 평균 체적이 약 140mm3까지 성장하면 종양 크기와 마우스의 체중에 따라 무작위로 15개 군으로 나누고, 군 1 내지 13은 군당 8마리의 동물이고, 각각 용매 블랭크 대조군, ch1A5-LE14, ch33F11-LE14, ch23G2LE14, ch32E8-LE14, FDA031-LE14 및 FDA027-LE14 접합체의 각 2개의 투여군이고 즉 각각 2.5mg/kg 및 5.0mg/kg으로 주 1회, 총 3회 정맥 투여하였다. 군 14 내지 15는 군당 6마리의 동물이고, 각각 대조군 러비넥테딘(Lurbinectedin) 및 염산토포테칸(Topotecan hydrochloride)이고, 각각 0.18mg/kg 및 1.8mg/kg이며, 러비넥테딘 군은 주 1회, 총 3회 정맥 투여하고, 염산토포테칸 군은 주 2회 복강내 투여하고 1일째, 2일째에 연속 투여하여 총 3회 투여하였다. 실험 동물의 체중 및 종양 체적을 매주 3회 측정하고 실험 과정에서 동물의 생존 상태를 관찰하였다. 결과는 도 7 및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매 블랭크 대조군(군 01) 마우스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2773mm3이고, FDA027-LE14(2.5mg/kg, 군 12) 치료군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486mm3이고, FDA027-LE14(5mg/kg, 군 13) 치료군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305mm3였다. 시험약 2.5mg/kg의 ch1A5-LE14 치료군(군 02)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607mm3이고, 시험약 5mg/kg의 ch1A5-LE14 치료군(군 03)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245mm3였다. 시험약 2.5mg/kg의 ch33F11-LE14 치료군(군 04)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715mm3이고, 시험약 5mg/kg의 ch33F11-LE14 치료군(군 05)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293mm3였다. 시험약 2.5mg/kg의 ch23G2-LE14 치료군(군 06)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1322mm3이고, 시험약 5mg/kg의 ch23G2-LE14 치료군(군 07)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441mm3였다. 시험약 2.5mg/kg의 ch32E8-LE14 치료군(군 08)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945mm3이고, 시험약 5mg/kg의 ch32E8-LE14 치료군(군 09)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433mm3였다. FDA031-LE14(2.5mg/kg, 군 10) 치료군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564mm3이고, FDA031-LE14(5mg/kg, 군 11) 치료군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245mm3였다. 0.18mg/kg의 러비넥테딘(CE Pharm Pharmaceutical Co., Ltd.에서 구입, 제품 번호 000039-87-CE013BA-a1) 대조군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2268mm3이고, 1.8mg/kg의 염산토포테칸(Sain Chemical Technology (Shanghai) Co., Ltd.에서 구입, 제품 번호 R3URR4E) 대조군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1553mm3였다. 실험 결과는 상기 치료군(특히 ch1A5-LE14)이 모두 비교적 좋은 체내 항종양 활성을 가지며, 동시에 염산토포테칸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 마우스에서 사망이 없고, 체중 감소가 없어, 각 시험 약물이 우수한 안전성을 가짐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NCI-H209 모델에서 ADC 약물의 생체내 항종양 활성
6 내지 8주령의 암컷 Balb/c 누드 마우스를 선택하여 200μl의 마트리겔에 용해된 1×107의 인간 유래 소세포폐암 세포(NCI-H209)를 오른쪽 등에 피하 주사하고, 종양의 평균 체적이 약 150mm3으로 성장하면 종양의 크기와 마우스의 체중에 따라 무작위로 6마리씩 7개의 군으로 나누고, 각각 용매 블랭크 대조군이고, ch1A5-LE14 및 FDA027-LE14 접합체의 각 3개의 투여군 즉 각각 1.5mg/kg, 2.5mg/kg 및 5.0mg/kg이며, 단일 투여하였다. 실험 동물의 체중 및 종양 체적을 매주 3회 측정하고 실험 과정에서 동물의 생존 상태를 관찰하였다. 결과는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매 블랭크 대조군(군 1) 마우스의 투여가 끝난 후의 평균 종양 체적은 2006mm3이고, 1.5mg/kg의 FDA027-LE14 치료군(군 5)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0mm3이고, 2.5mg/kg의 FDA027-LE14 치료군(군 6)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0mm3이고, 5mg/kg의 FDA027-LE14 치료군(군 7)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0mm3였다. 1.5mg/kg의 ch1A5-LE14 치료군(군 2)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0mm3이고, 2.5mg/kg의 ch1A5-LE14 치료군(군 3)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0mm3이고, 5mg/kg의 ch1A5-LE14 치료군(군 4)의 투여가 끝난 후 21일째의 평균 종양 체적은 0mm3였다. 실험 결과는 FDA027-LE14 및 ch1A5-LE14가 비교적 좋은 체내 항종양 활성을 가지며, 동시에 모든 실험 마우스에서 사망, 체중 감소가 없어, 시험 약물이 우수한 안전성을 가짐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마우스에서의 ADC 약물의 독성 평가
KM 계통의 마우스를 선택하여 독성 평가를 수행하고, 마우스의 체중에 따라 무작위로 4개 군으로 나누어 군당 10마리의 마우스로 수컷 및 암컷이 각각 절반이며, 각 군에 600μl의 ch1A5-LE14 접합체를 꼬리 정맥에 투여하고, 투여량은 각각 200mg/kg, 400mg/kg, 500mg/kg 및 640mg/kg이고 단일 투여이며, 투여 후 14일 이내에 ch1A5-LE14 접합체에 의한 독성 반응을 관찰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0mg/kg군에서 1마리의 동물만 D3일에 체중이 약간 감소한 후 회복 및 증가하고, 다른 동물들은 전체 실험 기간 동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임상 관찰 결과에 따르면 200mg/kg군의 동물을 제외하고 별다른 이상이 없고, 나머지 군의 마우스는 투여 당일날 털이 푹신해지다가 빠르게 정상으로 회복되며, 14일의 관찰 기간이 끝날 때 모든 동물은 빈사 상태 또는 사망 없이 건강하며, 결과는 본 발명의 접합체가 마우스 체내에서 우수한 내성을 가지며, 최대 내성 용량은 640mg/kg에 도달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KM 마우스에서의 ch1A5-LE14 접합체의 독성을 평가하는 또 다른 연구에서 복강내 주사 용량은 각각 410mg/kg, 512mg/kg, 640mg/kg, 800mg/kg 및 1000mg/kg이고, 각 군의 동물은 털이 푹신해지고, 등이 굽혀지고, 활동성이 감소되고, 웅크리게 되고, 설사, 묽은 변 및 항문 주위 오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1000mg/kg군에서 5마리의 마우스(군당 총 10마리의 마우스)가 사망하고, 800mg/kg군에서 1마리의 마우스가 14일간의 관찰 기간 동안 3회 연속으로 체중이 30% 이상 감소하여 동물 복지에 따라 해당 동물을 안락사시키고, 다른 군에서는 사망한 동물이 없으며, 결과는 추가로 본 발명의 접합체가 마우스에서 매우 우수한 내성을 갖는 것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랫트에서의 ADC 약물의 독성 평가
SD 랫트를 선택하여 본 발명의 ch1A5-LE14 접합체를 꼬리 정맥 주사하여 랫트 체내에서의 ch1A5-LE14의 내성 용량을 평가하고, 랫트의 체중에 따라 무작위로 3개 군으로 나누어 군당 8마리로 수컷 및 암컷이 각각 절반이며, 1개의 군은 100mg/kg를 주 1회 총 3회를 투여하고, 1개의 군은 300mg/kg를 단일 투여하고, 동시에 블랭크 대조군을 설정하여 투여 체적은 랫트 체중에 따라 10μl/g으로 하고, 마지막 투여가 완료된 후 12일 동안 관찰하였다. 마지막 투여 후 12일 관찰 기간이 끝난 후, 전체 실험 기간 동안 각 군의 동물은 빈사 상태 또는 사망이 없고; 투여량이 높은 300mg/kg군은 투여 후 모든 동무이 털이 푹신해지고, 100mg/kg군의 동물은 투여 후 이상이 없고; 투여량이 높은 300mg/kg군은 투여 후 체중이 약간 감소되고, D7일 이후 생존한 모든 동물의 체중이 회복 추세를 나타내며; 관찰 기간이 끝난 후 모든 동물을 안락사시켜 부검을 수행하였으며, 장기에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았다. 랫트 체내 독성 연구 결과는 추가로 본 발명의 접합체가 랫트 체내에서도 매우 우수한 내성 용량을 갖는 것을 나타내었다.
비록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는 이들이 단순한 예이며 본 발명의 원리 및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이러한 실시 형태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22)

  1. 중쇄 가변 영역(VH) 및 경쇄 가변 영역(VL)을 포함하되;
    상기 VH는 하기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 서열번호 9, 19, 29, 39, 59, 69, 79, 89, 99 또는 63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VH CDR1, 서열번호 10, 20, 30, 40, 60, 70, 80, 90, 100, 110 또는 83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VH CDR2, 및, 서열번호 11, 21, 31, 41, 61, 71, 81, 91, 101, 111 또는 93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VH CDR3을 포함하고;
    상기 VL은 하기의 CDR: 서열번호 12, 32, 42, 62, 72, 82, 92, 102, 112 또는 103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VL CDR1, GAS, GAT, TTS, NAK, YTS, RAN, WAS, FTS 또는 NAN로 표시되는 VL CDR2, 및, 서열번호 14, 24, 34, 44, 64, 74, 84, 94, 104, 114 또는 113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VL CDR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DLL3 항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9, 10 및 1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9, 20 및 2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9, 30 및 3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9, 40 및 4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59, 60 및 6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9, 70 및 7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79, 80 및 8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9, 90 및 9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99, 100 및 10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9, 110 및 111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3, 83 및 93으로 표시되며;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2, GAS 및 서열번호 1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2, GAS 및 서열번호 2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2, GAT 및 서열번호 3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42, TTS 및 서열번호 4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2, NAK 및 서열번호 6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72, NAK 및 서열번호 7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2, YTS 및 서열번호 8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92, RAN 및 서열번호 9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02, WAS 및 서열번호 10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12, FTS 및 서열번호 114로 표시되고; 또는,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03, NAN 및 11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DLL3 항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9, 10 및 1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2, GAS 및 서열번호 14로 표시되며;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9, 20 및 2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2, GAS 및 서열번호 24로 표시되며;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9, 30 및 3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2, GAT 및 서열번호 34로 표시되며;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9, 40 및 4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42, TTS 및 서열번호 44로 표시되며;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59, 60 및 6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2, NAK 및 서열번호 64로 표시되며;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9, 70 및 7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72, NAK 및 서열번호 74로 표시되며;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79, 80 및 8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2, YTS 및 서열번호 84로 표시되며;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9, 90 및 9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92, RAN 및 서열번호 94로 표시되며;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99, 100 및 10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02, WAS 및 서열번호 104로 표시되며;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9, 110 및 111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12, FTS 및 서열번호 114로 표시되며; 또는,
    상기 VH에 포함되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3, 83 및 93으로 표시되고, 및 상기 VL에 포함되는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03, NAN 및 11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DLL3 항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VH)은 중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영역(VH FWR)을 더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경쇄 가변 영역(VL)은 경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영역(VL FWR)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VH FWR은 인간 또는 마우스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영역이고, 상기 VL FWR은 인간 또는 마우스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영역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VH는 서열번호 15, 25, 35, 45, 65, 75, 85, 95, 105, 13 또는 2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VL은 서열번호 16, 26, 36, 46, 66, 76, 86, 96, 106, 33 또는 2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VH는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VH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VH는 서열번호 3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3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VH는 서열번호 4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4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VH는 서열번호 6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6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VH는 서열번호 7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7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VH는 서열번호 8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8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VH는 서열번호 9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9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VH는 서열번호 10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10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VH는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3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VH는 서열번호 2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VL은 서열번호 2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DLL3 항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장 항체, Fab, Fab’, F(ab’)2, Fv 바람직하게는 scFv, 중쇄 항체 또는 단일 도메인 항체, 및/또는, 단일클론 항체, 이중특이성 항체 또는 다중특이성 항체인
    항-DLL3 항체.
  6. 제5항에 있어서,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는 전장 항체이고; 여기서,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17, 27, 37, 47, 67, 77, 87, 97, 107, 43 또는 7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18, 28, 38, 48, 68, 78, 88, 98, 108, 53 또는 10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1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1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2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2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3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3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4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4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6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6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7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7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8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8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9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9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10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10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4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5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중쇄는 서열번호 7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쇄는 서열번호 10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DLL3 항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DLL3 항체를 코딩하는 분리된 핵산.
  8. 제7항에 따른 분리된 핵산을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현 벡터는 진핵 세포 발현 벡터 및/또는 원핵 세포 발현 벡터를 포함한다.
  9. 제8항에 따른 재조합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형질전환체:
    바람직하게는, 상기 형질전환체의 숙주 세포는 원핵 세포 및/또는 진핵 세포이고, 상기 원핵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TG1, BL21 세포와 같은 E. coli 세포이고, 상기 진핵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HEK293 세포 또는 CHO 세포이다.
  10. 구조 일반식이 Ab-(L3-L2-L1-D)m인 항체 약물 접합체: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D는 세포독성 약물 또는 이고;
    m은 2 내지 8이고;
    L1의 구조는 식 I, 식 II, 식 III 또는 식 IV로 표시되고, 이의 a 말단은 상기 세포독성 약물과 서로 연결되고, e 말단은 상기 L2의 c 말단과 서로 연결되며;
    ;
    (L)p에서, L은 독립적으로 페닐알라닌 잔기, 알라닌 잔기, 글리신 잔기, 글루탐산 잔기, 아스파라긴산 잔기, 시스테인 잔기, 글루탐산 잔기, 히스티딘 잔기, 이소류신 잔기, 류신 잔기, 라이신 잔기, 메티오닌 잔기, 프롤린 잔기, 세린 잔기, 트레오닌 잔기, 트립토판 잔기, 티로신 잔기 및 발린 잔기 중 하나 또는 복수이고; p는 2 내지 4이며;
    R1은 하나 또는 복수의 -NR1-1R1-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 하나 또는 복수의 R1-3S(O)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 C1-C6알킬, C3-C10사이클로알킬, C6-C14아릴 또는 5원 내지 14원 헤테로아릴이며; 상기 5원 내지 14원 헤테로아릴에서 헤테로원자는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이고, 헤테로원자의 수는 1, 2, 3 또는 4이고; 상기 R1-1, R1-2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6알킬이며;
    L2, , , , , , , , , , , , , , , 또는 이고, 상기 식에서, n은 독립적으로 1 내지 12이며, c 말단은 카르보닐을 통해 L1과 연결되고, f 말단은 상기 L3의 d 말단과 연결되며;
    L3 또는 이고, 여기서 b 말단은 상기 Ab와 연결되고. d 말단은 상기 L2의 f 말단과 연결된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는 DLL3 단백질 중 하기의 항원 결합 에피토프: DSL 도메인, N 말단, EGF2 도메인 및 EGF3 내지 EGF6 도메인 중 하나 또는 복수에 결합되고;
    및/또는, 상기 L은 바람직하게는 페닐알라닌 잔기, 알라닌 잔기, 글리신 잔기, 이소류신 잔기, 류신 잔기, 프롤린 잔기 및 발린 잔기 중 하나 또는 복수이고, 바람직하게는 페닐알라닌 잔기, 알라닌 잔기, 글리신 잔기 및 발린 잔기 중 하나 또는 복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L은 발린 잔기 및/또는 알라닌 잔기이며, 상기 복수는 2개 또는 3개이고, 상기 p는 2이며;
    및/또는, 상기 R1은 하나 또는 복수의 -NR1-1R1-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 하나 또는 복수의 R1-3S(O)2-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 또는 C1-C6알킬이고; 상기 R1-1, R1-2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4알킬이고;
    및/또는, L1의 구조가 식 I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2는 바람직하게는 , , , , , , 또는 이고;
    및/또는, L1의 구조가 식 II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2는 바람직하게는 , 또는 이고;
    및/또는, L1의 구조가 식 III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2는 바람직하게는 , , , , 또는 이고;
    및/또는, L1의 구조가 식 IV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2는 바람직하게는 또는 이고;
    및/또는, 상기 n은 독립적으로 8, 9, 10, 11 및 12이고;
    및/또는, 상기 m은 2 내지 8의 정수 또는 비정수이고;
    및/또는, 상기 L3은 바람직하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체 약물 접합체.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항-DLL3 항체는 DLL3 단백질 중 EGF2 도메인의 항원 결합 에피토프에 결합되고;
    및/또는, 상기 (L)p이고, 여기서 g 말단은 카르보닐을 통해 상기 L2의 c 말단에 연결되며;
    및/또는, 상기 식 III는 바람직하게는 , 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체 약물 접합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이며,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상기 Ab는 항-DLL3 항체이고, 상기 항-DLL3 항체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DLL3 항체,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및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를 포함하는 항-DLL3 항체, 또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및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를 포함하는 항-DLL3 항체이며;
    상기 m은 7.68, 7.53, 4.43, 7.12, 6.92, 7.43, 7.23, 6.83, 7.32, 7.56, 7.54, 7.47, 5.82, 6.78, 2.28, 6.32, 7.45, 7.65, 7.64, 7.36, 7.75, 7.80, 7.77 또는 7.76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체 접합 약물은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이며,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고,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2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2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고,
    또는 , 상기 식에서, Ab는 항-DLL3 항체이고, 이는 서열번호 4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 서열번호 4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L를 포함하는
    것인 항체 약물 접합체.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DLL3 항체를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1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DLL3 항체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자 변형된 세포는 진핵 세포이고, 바람직하게는 분리된 인간 세포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면역세포인 T 세포, 또는 NK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변형된 세포.
  16. 제9항에 따른 형질전환체를 배양하고, 배양물로부터 항-DLL3 항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DLL3 항체의 제조 방법.
  17. 약학 조성물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DLL3 항체,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 제14항에 따른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또는 제15항에 따른 유전자 변형된 세포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액체 제형, 기체 제형, 고형 제형 또는 반고형 제형이고, 및/또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 주사 투여, 비강 투여, 경피 투여 또는 점막 투여에 의해 투여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화학요법제, 방사선치료제, 면역억제제 및/또는 세포독성 약물을 포함하는 복합 치료제를 더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8. DLL3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물, 키트 및/또는 약물 전달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DLL3 항체,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 제14항에 따른 키메라 항원 수용체, 제15항에 따른 유전자 변형된 세포 및/또는 제17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용도:
    상기 DLL3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관련된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종양이고, 상기 종양은 바람직하게는 암이고, 상기 암은 바람직하게는 신경내분비종양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소세포폐암이다.
  1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DLL3 항체,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 제14항에 따른 키메라 항원 수용체, 제15항에 따른 유전자 변형된 세포 및/또는 제17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 및 선택적으로,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
  20. (1) 제17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필요한 피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주입 모듈, 및 (2) 선택적인 약효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21. DLL3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DLL3 항체를 사용하여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비진단 및/또는 치료를 위한 목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L3을 검출하는 방법.
  2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DLL3 항체,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항체 약물 접합체, 제14항에 따른 키메라 항원 수용체, 제15항에 따른 유전자 변형된 세포 및/또는 제17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필요한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DLL3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관련된 질환을 진단, 예방 및 또는 치료하는 방법.
KR1020247005529A 2021-07-30 2022-07-29 항-dll3 항체 및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약물 접합체 및 용도 KR202400400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9517 2021-07-30
CNPCT/CN2021/109517 2021-07-30
CN202210239591.2 2022-03-11
CN202210239591 2022-03-11
PCT/CN2022/109050 WO2023006084A1 (zh) 2021-07-30 2022-07-29 一种抗dll3抗体及其制备方法、其药物偶联物和应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090A true KR20240040090A (ko) 2024-03-27

Family

ID=8508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529A KR20240040090A (ko) 2021-07-30 2022-07-29 항-dll3 항체 및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약물 접합체 및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78955A1 (ko)
KR (1) KR20240040090A (ko)
AU (1) AU2022317608A1 (ko)
CA (1) CA3226938A1 (ko)
WO (1) WO2023006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74599A (zh) * 2023-07-11 2023-10-13 四川大学 靶向人dll3的嵌合抗原受体t细胞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93294A1 (en) 2012-02-24 2016-11-16 Stemcentrx, Inc. Dll3 modulators and methods of use
JP2017114763A (ja) 2014-03-26 2017-06-29 第一三共株式会社 抗cd98抗体−薬物コンジュゲート
PE20181292A1 (es) * 2015-08-20 2018-08-07 Abbvie Stemcentrx Llc Conjugados anticuerpo anti-dll3-farmaco y metodos de uso
US20190225685A1 (en) * 2018-01-24 2019-07-25 Abbvie Stemcentrx Llc Anti-dll3 antibody drug conjugates and methods of use
US20210047399A1 (en) * 2018-05-08 2021-02-18 Phanes Therapeutics, Inc. Anti-dll3 antibodies and uses thereof
CA3144790A1 (en) 2019-06-28 2020-12-30 Shanghai Fudan-Zhangjiang Bio-Pharmaceutical Co., Ltd. Antibody-drug conjugate, intermediate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78955A1 (en) 2024-06-05
CA3226938A1 (en) 2023-02-02
AU2022317608A1 (en) 2024-03-14
WO2023006084A1 (zh)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104941A (ja) ヒト化抗cd73抗体
JP2023099088A (ja) 活性化可能抗pdl1抗体、およびその使用方法
EP3909982A1 (en) Cd73 antibody,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JP2021531826A (ja) 栄養膜細胞表面抗原2(trop2)に対する特異的な抗体
KR20190104160A (ko) 항 gpr20 항체 및 항 gpr20 항체-약물 콘쥬게이트
AU2015308894A1 (en) Internalizing moieties for treatment of cancer
KR20190075921A (ko) 암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
WO2019024911A1 (zh) B7h3抗体-药物偶联物及其医药用途
US20220356246A1 (en) Anti-ROR1 antibodies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KR20210125511A (ko) 항-cd228 항체 및 항체-약물 컨쥬게이트
TW202102225A (zh) 抗her2抗體-吡咯并苯二氮呯衍生物結合物
KR102649942B1 (ko) 클라우딘 18.2를 표적화하는 항체-약물 콘쥬게이트
US10947316B2 (en) Antibody-drug conjugates containing anti-Globo H antibodies and uses thereof
JP2021531825A (ja) 葉酸受容体アルファに特異的な抗体
TW202126700A (zh) 一種融合蛋白及其應用
TW202115123A (zh) 一種抗pd-l1抗原結合蛋白及其應用
CN114853890A (zh) 一种prlr抗原结合蛋白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40040090A (ko) 항-dll3 항체 및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약물 접합체 및 용도
TW202003585A (zh) 抗her2雙互補位抗體-藥物結合物及使用方法
EP3904384A1 (en) Fully humanized anti-gitr antibod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JP2022514786A (ja) Muc18に特異的な抗体
TWI815136B (zh) 一種雙特異性抗體及其用途
JP2024514855A (ja) Dll3に対する結合分子及びその使用
CN117897407A (zh) 抗Nectin-4抗体、药物缀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ES2831651T3 (es) Uso de anticuerpos y antagonistas dirigidos contra Lrg1 en un tratamien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