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859A - 신경 감지 및 이미지 촬영을 위한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 Google Patents

신경 감지 및 이미지 촬영을 위한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859A
KR20240038859A KR1020220116979A KR20220116979A KR20240038859A KR 20240038859 A KR20240038859 A KR 20240038859A KR 1020220116979 A KR1020220116979 A KR 1020220116979A KR 20220116979 A KR20220116979 A KR 20220116979A KR 20240038859 A KR20240038859 A KR 20240038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opening
nasal cavity
present
electro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학순
Original Assignee
린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린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20116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8859A/ko
Priority to PCT/KR2023/013883 priority patent/WO2024058594A1/ko
Publication of KR2024003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85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293Inva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6Impedance imaging, e.g. by 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4Coupling media or elements to improve sensor contact with skin or tissue

Abstract

본 발명은 비강 내의 원하는 위치에 전극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는, 미세 홀이 형성된 제1 단부 및 유체가 출입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제2 단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전극이 배치되는 전극부; 및 팽창 가능하게 형성된 제3 단부 및 유체가 출입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제4 단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3 단부는 인접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신경 감지 및 이미지 촬영을 위한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Electrode module assembly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for neural sensing and imaging}
본 발명은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강 내의 원하는 위치에 전극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뇌활동을 위한 측정방법으로, 뇌신경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뇌전도(electroencephalography; EEG)와 뇌자도(Magnetoencephalography; MEG)기술이 있다. 또한, 기타 뇌의 구조적 변화를 측정하는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EIT)과 뇌의 전기적 자극을 위한 전기적 접촉 수단이 있다.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 기술은 인체의 표면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전류를 인가한 후에 표면에 부착된 다른 전극들을 통해 전압을 측정하여 생체의 임피던스, 또는 전기전도도나 유전율을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상술한 방법들에서 센서 또는 전극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골(skull) 위의 두피 상에 위치하여 뇌의 활동이나 상태를 측정한다. 통상, 금속 또는 세라믹으로 구성된 전극들을 전기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두피에 붙이거나, 머리를 감싸는 신축성이 있는 두건 위에 고정한 후 전도성 젤을 통해 두피와 전기적으로 접촉시킨다. 하지만 종래의 이러한 전극 배치는 두개골의 낮은 전기전도도로 인해 신호를 왜곡시키거나 또는 뇌 이미지를 정확하게 영상화하기 힘든 한계점이 있다.
최근,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 기술을 사용하여 방사선 요법 중에 실시간으로 내부 방사선 량을 측정하고 방사선 조사에 따른 뇌조직과 신호등의 반응 정도 및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뇌의 연구는 기억, 감정 등의 고차인지기능을 다루고 있으며, 이런 주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시상(thalamus), 해마(Hippocampus) 등 뇌의 심부구조(brain deep structure)로부터의 신호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1. 특허등록 제 10-2189518 호 '비강 내 점막접촉탐침을 구비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2020년 12월 11일 공고)
이에,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는 두개골 상에 위치하는 전극과 병행하여 뇌전도 신호 또는 전기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하는 비강 내 삽입형의 전극 장치를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는 비강 내 조직 및 신경세포 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전극이 원하는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비강 내 삽입형의 전극 장치를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이 형성된 제1 단부 및 유체가 출입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제2 단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전극이 배치되는 전극부; 및 팽창 가능하게 형성된 제3 단부 및 유체가 출입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제4 단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3 단부는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는, 상기 전극부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 단부가 U자 형상을 갖도록 구부러진 튜브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은 상기 제2 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미세 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는,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의 양측 개방부인 제1 개방부 및 제2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는 상기 제1 개방부에서 유입되어 상기 제2 개방부로 유출되되, 상기 제1 개방부와 상기 제2 개방부의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미세 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방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는, 상기 전극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고, 전극은 상기 제1 개방부로부터 분기된 제1 전극 출입부 또는 상기 제2 개방부로부터 분기된 제2 전극 출입부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는, 상기 가이드부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3 단부가 U자 형상을 갖도록 구부러진 튜브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팽창 가능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는, 상기 제4 단부는 상기 튜브의 양측 개방부인 제3 개방부 및 제4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개방부는 밀폐 부재로 밀폐되고, 상기 유체는 상기 제4 개방부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팽창 가능한 부재를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는, 상기 전극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는 바디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는, 상기 제3 단부가 팽창되는 경우 상기 제3 단부가 상기 제1 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전극부 및 상기 가이드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에 따르면, 비강 내 사골판(Cribriform plate of ethmoide bone)과 같은 두개골에 근접하게 전극(들)을 배치할 수 있으며, 이 전극(들)을 이용하여 뇌전도 신호 또는 전기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하고, 필요한 정도의 전류를 사골판을 통하여 뇌조직 내부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두피 상에 배치된 전극과 병행하여 뇌의 심부 구조의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뇌 영상화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에 따르면, 비강 내 조직의 손상, 또는 전극 자체의 성능을 유지하며, 원하는 위치에 전극을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의 예시적인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의 가이드부가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의 전극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의 가이드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의 예시적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두피 상에 위치한 전극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의 예시적인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2)는, 두개골 상에 위치하는 두피 전극(1)과 병행하여 뇌전도 신호 또는 전기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2)는 비강 내의 점막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2)는 사골판(Cribriform plate of ethmoide bone)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비강과 뇌 사이의 두개골에는 후각신경의 연결을 위한 천공 구조인 사골판이 있어, 이 부위에 전극이 위치되는 경우 높은 전도도로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2)는 코의 양 쪽으로 각각 삽입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강 내에 한 쌍으로 위치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위치 및 개수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전극 장치(10)의 정면 상태를 도시하고, 도 2의 (b) 전극 장치(10)의 측면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10)는 내부에 전극(130)이 배치되는 전극부(100), 전극부(10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200) 및 전극부(100) 및 가이드부(200)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는 바디부(300)를 포함한다.
전극부(100)는 미세 홀이 형성된 제1 단부(110) 및 유체가 출입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제2 단부(120)를 포함하고, 전극부(100)의 내부에 전극(130)이 배치된다. 가이드부(200)는 팽창 가능하게 형성된 제3 단부(210) 및 유체가 출입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제4 단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전극부(100)의 제1 단부(110) 및 가이드부(200)의 제3 단부(210)는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10)의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한다.
도 3은 도 2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10)의 가이드부(200)의 일부가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10)의 전극부(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10)의 가이드부(2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극부(10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제1 단부(110)가 U자 형상을 갖도록 구부러진 튜브로 형성된다. 전극부(100)의 내부에 배치된 전극(130)은 제2 단부(120)를 통해 삽입되어, 제1 단부(110) 측에 형성된 미세 홀(11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미세 홀(111)은 전극부(100)의 튜브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된 형태일 수 있다. 미세 홀(111)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전극부(100)의 제2 단부(120)는 튜브의 양측 개방부인 제1 개방부(121) 및 제2 개방부(122)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단부(120)는 제1 개방부(121)로부터 분기된 제1 전극 출입부(123) 및 제2 개방부(122)로부터 분기된 제2 전극 출입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100)의 내부는 유체(F1)가 유동되며, 전극(130)은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F1)에 의해 다른 위치에 설치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유체(F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방부(121)에서 유입되어 제2 개방부(122)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유체(F1)는 제1 개방부(121)와 제2 개방부(122)의 압력 차에 의해 제1 단부(110)에 형성된 미세 홀(111)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방출될 수 있다.
이때, 유체(F1)는 예시적으로 인산완충생리식염수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인공 뇌척수액(artificial cerebrospinal fluid; aCSF)과 같은 액체일 수 있다. 또한, 유체(F1)는 기체일 수도 있다. 유체(F1)는 그 밖에도 다양한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극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전극(13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전극(130)은 제1 개방부(121)로부터 분기된 제1 전극 출입부(123) 및 제2 개방부(122)로부터 분기된 제2 전극 출입부(124)로부터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전극(130)은 예시적으로 절연체가 도포된 미세 금속선 (tungsten, stainless steel, gold, iridium, platinum)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Ag/AgCl 전극, Iridium Oxide 전극등 표면 처리 및, 도포 과정을 통해, 높은밀도의 전하를 방출할 수 있도록 성능을 높인, 그리고, 생체 친화적인 미세 전극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부(20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제3 단부(210)가 U자 형상을 갖도록 구부러진 튜브로 형성된다. 제3 단부(210)의 적어도 일부는 팽창 가능한 부재(211)로 형성된다.
가이드부(200)의 제4 단부(220)는 튜브의 양측 개방부인 제3 개방부(221) 및 제4 개방부(222)를 포함한다.
제3 개방부(221)는 밀폐 부재(223)로 밀폐될 수 있으며, 유체(F2)는 제4 개방부(222)로부터 유입되어 제3 단부(210)의 팽창 부재(211)를 팽창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팽창 부재(211)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200)의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F2)의해 마치 풍선처럼 부풀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00)의 제3 단부(210)의 팽창 부재(211)가 팽창되는 경우, 제3 단부(210)가 전극부(100)의 제1 단부(110)를 감싸게 된다. 팽창된 제3 단부(210)가 제1 단부(110)를 감싸게되므로,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10)가 비강 내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비강 내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다. 특히, 전극(130)이 배치된 제1 단부(110)가 비강 내 조직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300)는 전극부(100) 및 가이드부(200)의 상대 위치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바디부(300)는 전극부(100)의 제1 단부(110) 및 가이드부(200)의 제3 단부(210)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전극부(100) 및 가이드부(200)의 상대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부(300)는 제3 단부(210)의 팽창 부재(211)가 팽창되는 경우, 제3 단부(210)가 제1 단부(110)를 감쌀 수 있도록 전극부(100) 및 가이드부(200)의 상대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의 예시적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10)가 비강 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전극부(100) 및 가이드부(200)가 동작하는 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의 (a)는 가이드부(200)의 팽창 부재(211)가 팽창된 상태로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10)가 비강 내로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팽창 부재(211)가 가이드부(200)의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F2)에 의해 풍선처럼 부풀게 된다. 팽창 부재(211)는 전극부(100)의 제1 단부(110)를 감싸고, 전극(130)이 배치된 제1 단부(110)가 비강 내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혹은 비강 내 조직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기설정된 위치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위치라 함은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강과 뇌 사이의 두개골의 일부인 사골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10)가 기설정된 위치에 삽입된 경우 가이드부(200)의 팽창 부재(211)가 비강 내 접막에 접촉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신호로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10)의 진입을 종료할 수 있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10)가 원하는 위치에 안착된 후 가이드부(200)의 팽창 부재(211)가 원복된 모습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가이드부(200)의 내부로 유동되는 유체의 압력이 낮아지며 팽창 부재(211)가 원래의 상태로 수축된 모습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전극(130)이 배치된 전극부(100)의 제1 단부(110)가 다시 노출될 수 있다.
도 6의 (c)는 전극부(100)로부터 유체(F1)가 방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부(100)의 내부에 유체(F1)가 유동되며, 유체(F1)는 전극부(100)의 양측으로 개방된 개방부의 압력 차에 의해 미세 홀(111)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방출될 수 있다.
도 6의 (d)와 같이, 유체(F1)는 전극부(100)의 내부에 위치한 전극(130)과 비강 내 조직(예컨대, 사골판)과의 원할한 전기적인 접촉을 유도하고, 유체(F1)에 의해 전극부(100) 내의 전극(130)이 다른 위치에 설치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본 발명의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10)는 비강 내에 뇌전도 신호 또는 전기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하는 전극을 배치할 수 있고, 두피 상에 배치된 다른 전극과 병행하여 심부 구조의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거나 뇌 영상화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전극 장치
100 … 전극부
110 … 제1 단부
111 … 미세 홀
120 … 제2 단부
121 … 제1 개방부
122 … 제2 개방부
123 … 제1 전극 출입부
124 … 제2 전극 출입부
130 … 전극
200 … 가이드부
210 … 제3 단부
211 … 팽창 부재
220 … 제4 단부
221 … 제3 개방부
222 … 제4 개방부
223 … 밀폐 부재
300 … 바디부
F1, F2 … 유체

Claims (8)

  1. 미세 홀이 형성된 제1 단부 및 유체가 출입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제2 단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전극이 배치되는 전극부; 및
    팽창 가능하게 형성된 제3 단부 및 유체가 출입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제4 단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3 단부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 단부가 U자 형상을 갖도록 구부러진 튜브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은 상기 제2 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미세 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의 양측 개방부인 제1 개방부 및 제2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는,
    상기 제1 개방부에서 유입되어 상기 제2 개방부로 유출되되, 상기 제1 개방부와 상기 제2 개방부의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미세 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방출되는,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고,
    전극은 상기 제1 개방부로부터 분기된 제1 전극 출입부 또는 상기 제2 개방부로부터 분기된 제2 전극 출입부로부터 삽입되는,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3 단부가 U자 형상을 갖도록 구부러진 튜브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팽창 가능한 부재로 형성되는,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부는 상기 튜브의 양측 개방부인 제3 개방부 및 제4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개방부는 밀폐 부재로 밀폐되고,
    상기 유체는 상기 제4 개방부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팽창 가능한 부재를 팽창시키는,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는 바디부; 를 더 포함하는,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부가 팽창되는 경우 상기 제3 단부가 상기 제1 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전극부 및 상기 가이드부가 배치되는,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KR1020220116979A 2022-09-16 2022-09-16 신경 감지 및 이미지 촬영을 위한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KR20240038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979A KR20240038859A (ko) 2022-09-16 2022-09-16 신경 감지 및 이미지 촬영을 위한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PCT/KR2023/013883 WO2024058594A1 (ko) 2022-09-16 2023-09-15 신경 감지 및 이미지 촬영을 위한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979A KR20240038859A (ko) 2022-09-16 2022-09-16 신경 감지 및 이미지 촬영을 위한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859A true KR20240038859A (ko) 2024-03-26

Family

ID=90275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979A KR20240038859A (ko) 2022-09-16 2022-09-16 신경 감지 및 이미지 촬영을 위한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8859A (ko)
WO (1) WO202405859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518B1 (ko) 2018-11-08 2020-12-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비강 내 점막접촉탐침을 구비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7478B2 (ja) * 2008-12-26 2013-1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鼻腔拡張用補助具
CN106821512B (zh) * 2010-12-16 2020-12-08 英弗伊蒂股份有限公司 照明吸引设备
KR101528418B1 (ko) * 2014-02-05 2015-06-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체내 삽입용 도관
JP2016165406A (ja) * 2015-03-10 2016-09-15 東レ・メディカル株式会社 生体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
KR102499241B1 (ko) * 2021-03-17 2023-02-13 린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신경 감지 및 이미지 촬영을 위한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518B1 (ko) 2018-11-08 2020-12-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비강 내 점막접촉탐침을 구비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8594A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5486B2 (en) Intracranial sensing and monitoring device with macro and micro electrodes
AU20102065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aberrant neural-electric activity
US20180289950A1 (en) Lead and methods for brain monitoring and modulation
EP0214527B1 (en) External ear canal electrode to be placed proximate the tympanic membrane
US7608064B2 (en) Depth probe for intracranial treatment
KR101315013B1 (ko) 제세동 카테터
US7257439B2 (en) Brain-machine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JP3705546B2 (ja) 嗅粘膜刺激性化合物ス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方法
KR102499241B1 (ko) 신경 감지 및 이미지 촬영을 위한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US20150045766A1 (en) Microelectrode-equipped subdural therapeutic agent delivery strip
Falcone et al. A novel microwire interface for small diameter peripheral nerves in a chronic, awake murine model
Vomero et al. Achieving ultra-conformability with polyimide-based ECoG arrays
KR20200045476A (ko) 후두의 신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반사를 유발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38859A (ko) 신경 감지 및 이미지 촬영을 위한 비강 내 삽입형 전극 장치
KR102189518B1 (ko) 비강 내 점막접촉탐침을 구비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
CN110680311B (zh) 一种干电极脑电采集装置
Lee et al. Flexible sling electrode for bidirectional neural signal recording and selective stimulation
JP2005319316A (ja) 実験動物の嗅球に埋め込まれる測定電極部
Stechison Neurophysiologic monitoring during cranial base surgery
KR20240051426A (ko) 와이어 프로브 및 그를 포함하는 뇌 모니터링 시스템
JPS58163334A (ja) 深部電極
KR20230002765A (ko) 진폭통합 뇌파검사용 전극 장치
JPS58127639A (ja) 外耳道用電極
CN112999514A (zh) 腭帆张肌电疗仪
AU20152004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aberrant neural-electric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