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612A - 감귤 껍질 알코올 추출물, 이의 획득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귤 껍질 알코올 추출물, 이의 획득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612A
KR20240038612A KR1020230121187A KR20230121187A KR20240038612A KR 20240038612 A KR20240038612 A KR 20240038612A KR 1020230121187 A KR1020230121187 A KR 1020230121187A KR 20230121187 A KR20230121187 A KR 20230121187A KR 20240038612 A KR20240038612 A KR 20240038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hours
extraction
cit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뱅상 리학
메바 질레
Original Assignee
샤넬 파르퓜 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넬 파르퓜 보트 filed Critical 샤넬 파르퓜 보트
Publication of KR20240038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6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2Aftershav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귤 껍질의 알코올 추출물, 특히 피부 박리 예방 효과를 갖는 이러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귤 껍질 알코올 추출물, 이의 획득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조성물{Alcoholic Extract of Citrus Depressa Peels, Method for Obtaining it, and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it}
본 발명은 감귤(Citrus depressa) 껍질 추출물, 이의 획득 방법,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조성물 및 이의 화장품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주로 가장 바깥층부터 시작하여 표피, 진피, 피하의 3개 층으로 구성된다.
피부의 외층인 표피는 층화되어 있어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 이는 주로 각질세포(매우 우세), 멜라닌세포 및 랑게르한스 세포인 세 가지 유형의 세포로 구성된다. 각각의 세포 유형은, 고유한 기능을 통해, 유기체에서 피부가 수행하는 필수적인 역할, 특히 "장벽 기능"이라고 불리는 외부 공격(기후, 자외선, 담배 등)으로부터 유기체를 보호하는 역할에 기여한다.
표피의 노화는 주로 두께의 감소로 나타난다. 표피의 위축은 각질세포 증식이 느려지고 노화된 각질세포가 축적된 결과이다. 각질층이 둔해진다.
박리는 피부의 최상층을 구성하는 표피가 지속적으로 재생되는 것과 관련된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표피는 여러 층의 세포로 구성되며, 가장 깊은 층은 미분화 세포로 구성된 기저층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들 세포는 표피 표면에 박리로 제거되는 죽은 세포인 각질세포를 형성할 때까지 분화되어 표피 표면으로 이동하면서 그 안의 다양한 층을 구성한다. 이러한 표면 손실은 기저층에서 표피 표면으로의 세포 이동으로 보상된다. 이것은 피부의 지속적인 재생이다.
그러나, 각질층 세포의 너무 많거나 불규칙 박리는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크고 두피의 맥락에서 "인설" 또는 "비듬"이라고 불리는 두꺼운 세포 덩어리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고 또는 다른 상황에서는 압박감과 불편함의 느낌을 일으킬 수 있는 각질층의 얇아짐을 유도할 수 있다. 비정상적이거나 불규칙한 박리로 인해 발생하는 박리 장애는 표피의 취약성 또는 심지어 표피 장벽 특성의 결핍을 초래할 수 있다.
인설 또는 비듬의 존재는 빈번하고 반복적인 상태일 수 있으며, 보기 흉하고 확실히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또는 인설의 과도한 박리를 제한 및/또는 예방하여 피부 편안함에 기여하기 위해 작용하는 새로운 활성제가 필요한다.
감귤은 일본에서 재배되는 운향과 계통의 감귤류 과일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과일의 수성 추출물은 화장품 용도에 대한 요구가 있다.
예를 들어, 문서 KR 2012/0043288은 피부 재생을 자극하는 미백제로서 감귤 추출물의 사용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저자는 매우 놀랍게도 감귤 껍질의 알코올 추출물이 박리와 관련된 메커니즘, 특히 박리와 관련된 특정 효소를 억제함으로써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매우 놀랍게도 입증하였다.
이러한 관찰은 박리를 예방하거나 제한함으로써 피부 편안함을 개선하고자 하는 모든 응용분야에 특히 유용한 새로운 비치료용 화장품 조성물의 개발로 이어졌다.
따라서 제 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헤스페리딘, 노빌레틴 및 아이소시넨세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감귤 껍질의 알코올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중에 본 발명에 따른 감귤 껍질의 적어도 하나의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이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여 감귤 껍질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미리 건조 및 분쇄된 감귤 껍질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알코올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b) 단계 a)로부터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고, 선택적으로 활성탄 상에 흡착시켜 얻은 여과액을 탈색시키는 단계;
c) 증발에 의해 건조 추출물을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의 건조 추출물의 함량까지 농축하는 단계;
d) c)에서 얻은 혼합물을 4개의 별개의 상이 얻어질 때까지 적어도 6시간 동안 침강되도록 방치하는 단계;
e) 2개의 고형 및 오일 하부 상과 에센셜 오일 상부 상을 제거하고 감귤 껍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상을 수집함으로써 단계 d)에서 형성된 상을 분리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제 4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과도한 박리를 제한/보호하고 피부 편안함에 기여하기 위해 위에서 기술한 감귤 껍질의 알코올 추출물을 비치료적으로 화장품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감귤 껍질의 알코올 추출물 0.033%로 처리한 후 피부 박리와 관련된 두 가지 세린 프로테아제인 칼리크레인(KLK) KLK5 및 KLK7의 유전자 발현 감소를 보여준다.
감귤
시쿠아사라고도 알려진 감귤은 일본에서 재배되는 운향과 계통의 감귤 과일이다.
시쿠아사라는 단어는 식물과 과일을 모두 나타낸다.
키가 5m 정도 되는 작은 관목나무로 튼튼하고 밀도가 높으며 열매를 맺는다. 4월에 흰색 꽃이 핀다(꽃 직경 3cm). 열매는 10월부터 11월까지 수확된다.
열매는 작으며(지름 2.5-4cm, 높이 2-3cm, 무게 25-60g), 기둥이 약간 오목하고 얇은 과피(껍질)가 있다. 이는 특히 8개 또는 10개의 즙이 많은 조각과 씨앗을 함유한다. 펄프는 부드럽고 젤라틴 같으며 주스는 산성이다. 과피에 함유된 에센스는 사츠마 만다린 향이 난다. 따라서 주스는 주로 식품 산업에 사용되며 껍질은 에센셜 오일 제조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감귤 껍질로부터 얻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과즙을 얻기 위해 감귤을 압착한 후 얻는다.
감귤 껍질의 알코올 추출물
본 발명에 따른 감귤 껍질의 알코올 추출물은 헤스페리딘, 노빌레틴 및 아이소시넨세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매우 구체적인 추출 과정을 통해 얻은 이 세 가지 관심 분자의 조합은 실제로 피부 박리와 관련된 두 가지 세린 프로테아제인 칼리크레인(KLK) KLK5 및 KLK7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켜, 과도한 박리를 제한/보호하고 박리 및 피부 편안함에 기여한다.
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귤 껍질의 알코올 추출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 건조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0.1 내지 5중량%의 헤스페리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중량%,
- 0.1 내지 5중량%의 노빌레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중량%,
- 0.1 내지 3중량%의 아이소시넨세틴,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중량%,
백분율은 건조 추출물의 중량에 대한 중량으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헤스페리딘, 노빌레틴 및 아이소시넨세틴은 0.5/1/1.5 내지 1.5/3/4 및 바람직하게는 1.1/1.4/0.7의 헤스페리딘/노빌레틴/아이소시넨세틴 중량비로 존재한다.
감귤 껍질의 알코올 추출물의 제조 방법
한 특정 실시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감귤 껍질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이다:
a) 미리 건조 및 분쇄된 감귤 껍질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알코올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b) 단계 a)로부터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고, 선택적으로 활성탄 상에 흡착시켜 얻은 여과액을 탈색시키는 단계;
c) 증발에 의해 건조 추출물을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의 건조 추출물의 함량이 될 때까지 농축하는 단계;
d) c)에서 얻은 혼합물을 4개의 별개의 상이 얻어질 때까지 적어도 6시간 동안 침강되도록 방치하는 단계;
e) 2개의 고형 및 오일 하부 상과 에센셜 오일 상부 상을 제거하고 감귤 껍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상을 수집함으로써 단계 d)에서 형성된 상을 분리하는 단계.
실제로, 매우 특정한 조건에서 감귤 껍질로부터 추출함으로써, 헤스페리딘, 노빌레틴 및 아이소시넨세틴과 같은 박리 방지를 위한 관심 분자가 풍부한 추출물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 것은 출원인의 공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알코올 용매를 사용하여 감귤 껍질로부터 추출하는 첫 번째 단계 a)를 수행한다.
과일을 압착하여 생성된 껍질은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후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분쇄 공정, 예를 들어 실온의 나이프 밀에서 또는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저온 연마에 의해 분산성 분말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감귤 껍질의 분산성 분말은 500μm 미만, 바람직하게는 300μm 미만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
단계 a)에서, 감귤 껍질은 예를 들어 다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코올 용매로 추출된다:
- C1-C4 모노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이소프로판올; 및
- 다이올,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페인다이올 또는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용매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모노알코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추출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실온 내지 80℃ 범위의 온도에서, 약 30분 내지 8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위에 언급된 용매 중 하나 이상에 감귤 껍질을 담그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의 추출은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된다.
특히, 감귤 껍질/알코올 용매의 중량비는 1/1 내지 1/15이며, 바람직하게는 1/8이다.
추출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50μm 내지 150μm, 바람직하게는 100μm에서 체질하는 단계로 이어진다.
한 특정 실시태양에 따르면, 추출 단계 a)는 2회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미리 건조 및 분쇄된 감귤 껍질로부터 알코올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50μm 내지 150μm로 체질하는 단계;
a') 단계 a)에서 얻은 감귤 껍질 잔여물로부터 알코올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2차 추출한 후, 50μm 내지 150μm로 체질하는 단계.
단계 a) 후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30μm, 바람직하게는 15μm의 임계값까지 수행되는 여과 단계 b)를 수행한다.
단계 b)는 또한 선택적으로 활성탄 상에 안료를 흡착하여 얻은 여과액을 탈색하는 것을 포함한다. 활성탄 상에서의 여과액의 탈색은 예를 들어 20 내지 30℃ 사이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주위 온도(20℃)에서 교반하면서 1 내지 6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 수행된다.
탈색을 위해, 활성탄 함량은 일반적으로 추출물의 건조 물질의 전체 중량에 대해 20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30중량%이다.
탈색의 종료시, 활성탄은 여과에 의해 5μm, 바람직하게는 2μm의 임계값까지 제거된다.
탈색될 수 있는 단계 b)로부터 생성된 알코올 여과액은 이어서 건조 추출물 함량이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가 얻어질 때까지 용매를 증발시켜 농축된다(단계 c). 용매의 증발은 예를 들어 회전 증발기 또는 강하막 증발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계 c)의 농축 추출물은 4개의 별개의 상이 얻어질 때까지 적어도 6시간 동안 침강하도록 방치된다: 2개의 고체 및 유상 하부 상, 에센셜 오일 상부 상, 및 감귤 껍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중간 알코올 상. 예를 들어 침강은 앰플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침강 단계 d)는 적어도 12시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4시간,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48시간 동안 수행된다.
침강은 0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침강이 완료되어 4개의 상이 얻어지면, 관심 상은 2개의 고형 및 유상 하부상과 에션설 오일을 함유하는 상부 상을 제거하여 추출되고, 감귤 껍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상이 수집된다.
그런 다음 감귤 껍질의 알코올 추출물은 5μm, 바람직하게는 2μm의 임계값까지 여과한 다음(단계 f), 단계 a)에서 사용된 추출 용매와 다른 알코올 용매로 희석된다.
단계 a)에서 도입된 추출 용매는 추출 용매의 1%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미만의 잔류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증발된다(단계 g).
마지막으로, 단계 g)의 종료시에 얻은 혼합물은 적어도 6시간,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동안 침강하도록 방치된 후, 5μm, 바람직하게는 2μm의 임계값까지 여과된다. 침강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0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감귤 껍질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미리 건조 및 분쇄된 감귤 껍질을 알코올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50μm 내지 150μm로 체질하는 단계;
a') 단계 a)에서 얻은 감귤 껍질 잔여물을 알코올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2차 추출한 후 50μm 내지 150μm로 체질하는 단계.
b) 단계 a)로부터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고, 선택적으로 활성탄 상에 흡착시켜 얻은 여과액을 탈색시키는 단계,
c) 증발에 의해 건조 추출물을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의 건조 추출물의 함량까지 농축하는 단계,
d) c)에서 얻은 혼합물을 4개의 별개의 상이 얻어질 때까지 적어도 6시간 동안 침강되도록 방치하는 단계;
e) 2개의 고형 및 오일 하부 상과 에션셜 상부 상을 제거하고 감귤 껍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상을 수집하여 단계 d)에서 형성된 상을 분리하는 단계;
f) 단계 e)에서 수집된 알코올 분획을 5μm, 바람직하게는 2μm의 임계값까지 여과한 후, 여과된 추출물을 다른 알코올 용매로 최종 희석하는 단계;
g) 추출 용매의 잔류 농도가 1%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미만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 a)에서 도입된 추출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
h) g)에서 얻은 혼합물을 적어도 6시간 동안 침강되도록 방치시킨 후, 5μm, 바람직하게는 2μm의 임계값까지 여과하는 단계.
더욱 바람직하게는, 감귤 껍질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미리 건조 및 분쇄된 감귤 껍질로부터 에탄올을 사용하여 감귤 껍질/에탄올 중량비 1/8로,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100μm로 체질하는 단계;
a') 단계 a)에서 얻은 감귤 껍질 잔류물로부터 에탄올을 사용하여 감귤 껍질/에탄올 중량비 1/8로,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2차 추출한 후, 100μm로 체질하는 단계;
b) 단계 a)로부터의 혼합물을 여과하고, 얻은 여과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활성탄 상에 흡착시켜 탈색시키는 단계,
c) 증발에 의해 건조 추출물을 10 내지 11%의 건조 추출물의 함량까지 농축하는 단계,
d) c)에서 얻은 혼합물을 4개의 별개의 상이 얻어질 때까지 4 내지 5℃의 온도에서 적어도 12시간 동안 침강되도록 방치되는 단계;
e) e) 2개의 고형 및 오일 하부 상과 에센셜 오일 상부 상을 제거하고 감귤 껍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상을 수집함으로써 단계 d)에서 형성된 상을 분리하는 단계;
f) 단계 e)에서 수집된 에탄올 분획을 2μm의 임계값까지 여과한 다음, 펜틸렌 글리콜에서 여과된 추출물을 최종 희석하는 단계;
g) 잔류 에탄올 농도가 0.5% 미만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 a)에서 도입된 추출 에탄올을 증발시키는 단계;
h) g)에서 얻은 혼합물을 4 내지 5℃의 온도에서 적어도 12시간 동안 침강하도록 방치한 후, 2μm의 임계값까지 여과하는 단계.
화장품 조성물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중에 전술한 감귤 껍질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추출물 외에도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을 포함하며, 이는 독성, 부적합성, 불안정성, 알레르기 반응의 위험이 없고 특히 불편함(발적, 조임, 따끔거림)을 유발하지 않고 인간 피부와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화장품 또는 피부과 조성물은 분말,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나노에멀젼, 현탁액, 용액, 로션, 크림, 수성 또는 하이드로알코올 겔, 폼, 세럼, 에어로졸 용액이나 분산액, 또는 지질 소포의 분산액일 수 있다.
에멀젼의 경우, 유중수 에멀젼 또는 수중유 에멀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또는 피부과 조성물은 또한 다양한 성분 및 투여 형태에 따라 선택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는 물(바람직하게는 탈염수 또는 꽃수) 또는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을 포함한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이외에, 예를 들어 연화제 또는 습윤제, 겔화제 및/또는 증점제, 계면활성제, 오일, 활성제, 착색제, 방부제, 항산화제, 활성제, 유기 또는 미네랄 분말, 자외선 차단제 및 향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과 같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인 하나 이상의 첨가제, 특히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하나 이상의 습윤제(들), 예를 들어 폴리올(글리세린, 다이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카프릴릴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헥산다이올), 당,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 및 이의 염 및 에스터; 및 폴리쿼터늄, 예를 들어, 리피듀어-PMB. 상기 습윤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0%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것이다.
- 에스터, 예를 들어 호호바 에스터, 지방산 및 지방 알코올의 에스터(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트라이에틸헥사노인, 다이카프릴릴 카보네이트, 아이소스테아릴 아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라이글리세리드), 버터, 예를 들어, 시어 버터(부티로스퍼뭄 파키 버터 추출물, 시어 버터 에틸 에스터, LIPEX SHEASOFT, LIPEX SHEA-U, LIPEX SHEA, LIPEX SHEALIGHT, LIPEX SHEA TRIS라는 명칭으로 시판됨) 또는 모링가 버터(모링가 오일/수소화 모링가 오일 에스터), 왁스(아카시아 디커렌스 꽃 왁스 및 헬리안투스 아누스 종자 세라 종자 왁스, C10-18 트라이리글리세라이드), 식물성 오일, 피토스쿠알란, 알케인(운데케인, 트라이데케인) 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완화제(들). 상기 완화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것이다.
-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유도체, 식물 유래 검(구아, 캐롭, 알기네이트, 카라기난, 펙틴), 미생물 유래 검(잔탄), 점토(라포나이트), 아크릴아미도 메틸프로페인 설폰산(AMPS) 및/또는 아크릴아마이드 및/또는 아크릴산 및/또는 아크릴산의 염 또는 에스터의 가교 또는 비가교 친수성 또는 양친매성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ARISTOFLEX AVC, Aristoflex AVS, Aristoflex HMB, SIMULGEL NS, Simulgel EG, Simulgel 600, Simulgel 800, Pemulen, carbopol, Sepiplus 400, Seppimax zen, Sepiplus S, COSMEDIA SP라는 명칭으로 시판됨)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겔화제 및/또는 증점제(들). 상기 겔화제 및/또는 증점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0%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것이다.
-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들), 특히:
*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이세티오네이트, 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글리시네이트, 글루타메이트, 인산염(SENSANOV WR이라는 명칭으로 시판매되는 C20-22 알킬 인산염)
* 양쪽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베타인 유도체, 암포아세테이트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롤 유도체, 당 유도체(MONTANOV 68, MONTANOV 202, Montanov 82, MONTANOV L, EASYNOV라는 명칭으로 시판되는 글루코사이드 또는 자일로사이드 유도체), 레시틴.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0.1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할 것이다;
- 비타민, 예를 들어 비타민 C 및 이의 유도체(아스코르빌 글루코사이드, 3-O-에틸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비타민 A 및 이의 유도체, 비타민 E 및 이의 유도체, 비타민 B3 또는 니아신아마이드, 판테놀, 미량 원소, 알란토인, 아데노신, 펩타이드(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7, 팔미토일 트라이펩타이드-1,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 , 아세틸 다이펩타이드-1 세틸 에스터, 아세틸 테트라펩타이드-5, NP RIGIN, MATRIXYL 3000, IDEALIFT, EYESERYL이라는 명칭으로 시판됨), 식물 추출물(감초 추출물, 병풀 잎 추출물, 세칼레 시리얼 종자 추출물), 효모 추출물, 알파 하이드록시산, 예를 들어, 글리콜산 또는 락트산, 트라넥삼산 및 세틸 트라넥삼 에스터와 같은 이의 유도체 등으로부터 선택된 생물학적 활성을 갖고 생물학적 부위를 통해 피부에 효능을 갖는 천연, 생명공학 또는 합성 기원의 하나 이상의 활성제(들). 상기 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의 약 0.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것이다.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첨가제, 특히 해당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부제, 항산화제 또는 향수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존재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이러한 모든 가능한 첨가제 중에서, 조성물에 첨가될 것의 성질 및 양을 모두 선택하여, 상기 조성물이 이의 모든 특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과도한 박리를 제한/보호하고 피부 편안함에 기여하기 위한 감귤 껍질 알코올 추출물의 비치료적 화장품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태양에서, 추출물 또는 조성물은 변형되었으나 병리학적이 아닌 피부에 도포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칼리크레인(KLK) KLK5 및 KLK7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기 위한 제제로서 위에서 기술한 감귤 껍질의 알코올 추출물의 비치료적 화장품 용도이다.
이제 본 발명은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예시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감귤 껍질의 알코올 추출물로 처리한 정상 인간 각질세포의 표피 박리 관련 효소의 발현 억제
추출물 제조:
본 발명에 따른 감귤 껍질의 알코올 추출물은 다음 단계에 따라 제조하였다:
a) 건조된 껍질 1kg을 분쇄하여 분말로 만든다. 껍질로부터 추출은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8kg의 96°에탄올에서 이루어진다. 혼합물을 100μm로 체질하여 껍질 잔여물을 수집하고 추출물을 따로 보관한다.
a') 껍질 잔류물을 다시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8kg의 96°에탄올에서 추출한다. 혼합물을 100μm로 체질한다.
b) 단계 a)와 a')의 액체 분획을 합한 다음 15μm에서 여과한다.
에탄올 분획을 활성탄 70g(추출물의 건조 물질 대비 30질량%)으로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탈색시킨다.
그런 다음 활성탄을 2μm에서 여과하여 제거한다.
c) 에탄올 추출물을 회전식 증발기 또는 강하막 증발기에서 에탄올을 증발시켜 농축하여 10% 내지 11%의 건조 물질 함량을 갖는 농축 추출물을 얻는다.
d) 전체를 앰플에 넣어 4℃에서 1 내지 2일 동안 침강되도록 방치한다.
e) 하부 고체 및 유상은 물론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상부 상도 제거된다.
f) 에탄올 분획을 수집하고 2μm에서 여과한다. 건조 물질의 측정은 추출물에 대해 수행되며 135g의 건조 추출물을 함유한다.
1215g 펜틸렌 글리콜을 에탄올 추출물에 첨가하여 최종 추출물을 10% 건조 물질로 희석한다.
g) 에탄올을 회전식 증발기 또는 강하막 증발기(최종 에탄올 농도 0.5% 미만)에서 완전히 증발시킨다.
h) 추출물을 4℃에서 밤새 방치하고 2μm에서 여과한다.
1350g의 최종 추출물 1701EXT를 얻는다.
프로토콜:
세 명의 서로 다른 기증자로부터 얻은 정상적인 인간 표피 각질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각질세포-SFM(k-SFM) 보충 배지에서 37℃ 및 5% CO2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세포를 48시간 동안 0.033% 추출물과 함께 또는 없이(미처리 조건) 배양하였다. 각 조건은 이중으로 수행하였다. 전체 RNA 추출은 공급업체가 권장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TriPure Isolation Reagent®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상보적인 DNA를 Affymetrix GeneChip Human Transcriptome Array 2.0 칩에서 합성하고 전사체를 생산하였다. 발현이 적어도 2배만큼 조절되는 유전자의 생물정보학적 분석은 Ingenuity Pathway Analysis 소프트웨어(IPA®, QIAGEN)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결과:
추출물은 피부 박리와 관련된 두 가지 세린 프로테아제인 칼리크레인(KLK) KLK5 및 KLK7의 전사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다. KLK 계열은 피부1의 상층에서 발현되고 특히 표피 항상성2에 관여하는 KLK5 및 KLK7를 포함하는 15개의 아이소형을 포함한다. 실제로, 이들 두 효소는 각질층을 구성하는 각질세포 사이의 응집을 보장하는 표면 각질층을 분해할 수 있다.
도 1은 정상 인간 각질세포에서 0.033% 추출물에 의한 KLK5 및 KLK7의 전사 발현 억제를 예시한다.
실시예 2: 화장품 조성물
하기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아래 표시된 양은 중량%로 표시된다. 대문자로 표시된 성분은 INCI 이름에 따라 식별된다.
A - 애프터쉐이브 로션
b - 애프터쉐이브 겔
c - 샤워 겔
이들 조성물은 매일, 아침 및/또는 저녁에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이들은 과도한 박리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안함을 제공한다.

Claims (11)

  1. 헤스페리딘, 노빌레틴 및 아이소시넨세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감귤(Citrus depressa) 껍질의 알코올 추출물.
  2. 제 1 항에 있어서,
    - 건조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0.1 내지 5중량%의 헤스페리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중량%,
    - 0.1 내지 5중량%의 노빌레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중량%,
    - 0.1 내지 3중량%의 아이소시넨세틴,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중량%을 포함하며,
    백분율은 건조 추출물의 중량에 대한 중량으로 표시되는 것인 알코올 추출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헤스페리딘, 노빌레틴 및 아이소시넨세틴은 0.5/1/1.5 내지 1.5/3/4 및 바람직하게는 1.1/1.4/0.7의 헤스페리딘/노빌레틴/아이소시넨세틴 중량비로 존재하는 것인 알코올 추출물.
  4. 화장품적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중에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감귤 껍질로부터 추출된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국소 도포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조성물.
  6. a) 미리 건조 및 분쇄된 감귤 껍질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알코올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b) 단계 a)로부터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고, 선택적으로 활성탄 상에 흡착시켜 얻은 여과액을 탈색시키는 단계;
    c) 증발에 의해 건조 추출물을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의 건조 추출물의 함량까지 농축하는 단계;
    d) c)에서 얻은 혼합물을 4개의 별개의 상이 얻어질 때까지 적어도 6시간 동안 침강되도록 방치하는 단계;
    e) 2개의 고형 및 오일 하부 상과 에센셜 오일 상부 상을 제거하고 감귤 껍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상을 수집함으로써 단계 d)에서 형성된 상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감귤 껍질로부터 추출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단계 a)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50℃ 내지 70℃ 온도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실행되는 것인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추출은 다음 두 단계에서 실행되는 것인 방법:
    a) 미리 건조 및 분쇄된 감귤 껍질로부터 에탄올을 사용하여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50μm 내지 150μm로 체질하는 단계;
    a') 단계 a)에서 얻은 감귤 껍질 잔여물로부터 에탄올을 사용하여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2차 추출한 후, 50μm 내지 150μm로 체질하는 단계.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과 단계 b)는 30μm, 바람직하게는 15μm의 임계값까지 수행되고, 활성탄 상에서의 여과액의 탈색은 1 내지 6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 수행되며, 이후 활성탄은 5μm, 바람직하게는 2μm의 임계값까지 여과에 의해 제거되는 것인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 단계 e)에서 수집된 알코올 분획을 5μm, 바람직하게는 2μm의 임계값까지 여과한 후, 여과된 추출물을 다른 알코올 용매로 최종 희석하는 단계;
    g) 추출 용매의 잔류 농도가 1%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미만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 a)에서 도입된 추출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
    h) g)에서 얻은 혼합물을 적어도 6시간 동안 침강되도록 방치시킨 후, 5μm, 바람직하게는 2μm의 임계값까지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과도한 박리를 제한/보호하고 피부 편안함에 기여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감귤 껍질의 알코올 추출물의 화장품 용도.
KR1020230121187A 2021-12-02 2023-09-12 감귤 껍질 알코올 추출물, 이의 획득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조성물 KR202400386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306695 2021-12-02
EP22196220.2 2022-09-16
EP22196220.2A EP4338724A1 (fr) 2021-12-02 2022-09-16 Extrait alcoolique d ecorces de citrus depressa, son procede d obtention, et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le conten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612A true KR20240038612A (ko) 2024-03-25

Family

ID=7895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1187A KR20240038612A (ko) 2021-12-02 2023-09-12 감귤 껍질 알코올 추출물, 이의 획득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91133A1 (ko)
EP (1) EP4338724A1 (ko)
JP (1) JP2024043524A (ko)
KR (1) KR20240038612A (ko)
CN (1) CN117717501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145B1 (ko) 2010-10-26 2018-03-09 (주)아모레퍼시픽 플랫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2355B1 (ko) * 2016-04-25 2017-11-2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조직 재생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91133A1 (en) 2024-03-21
EP4338724A1 (fr) 2024-03-20
JP2024043524A (ja) 2024-03-29
CN117717501A (zh)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006951A (zh) 酸橙地上部分的发酵提取物
JP2023175749A (ja) 植物体抽出方法
JP6377879B1 (ja) 皮膚外用剤
FR3013985A1 (fr) Compositions hydratantes comprenant au moins un extrait de caesalpinia spinosa, avec au moins de la vaseline et de la glycerine
JP7136618B2 (ja) ペパーミント抽出物を含む化粧品組成物
FR2928549A1 (fr) Utilisation d'un extrait de l'orchidee brassocattleya marcella koss en tant qu'actif pour prevenir ou retarder l'apparition d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e
KR20240038612A (ko) 감귤 껍질 알코올 추출물, 이의 획득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조성물
KR102334348B1 (ko) 파슬리, 약모밀, 페퍼민트잎 및 노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7431878B2 (ja) チレッタセンブリ(swertia chirata)エキスおよびそれ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7486535B2 (ja) ガルデニア・ヤスミノイデスの花からの油抽出物及び同抽出物を含む化粧用組成物
FR3097762A1 (fr) Utilisation d'un extrait hydro-alcoolique d'Onagre pour hydrater la peau et améliorer la fonction barrière
US11590070B2 (en) Hydroalcoholic extract of camellia japonica and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it
KR102555418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2k-3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천심련 및 바위손의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EP4043005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 hydrolysat de levure
FR3064479A1 (fr) Compositions cosmetiques comprenant une association d'ingredients et leurs utilisations
KR20190048931A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R3066118A1 (fr) Extrait de sechium edule pour lutter contre les effets nocifs des rayonnements ultraviolets
FR3102365A1 (fr) Utilisation d’un extrait deLimonium vulgarepour hydrater la peau et améliorer la fonction barrière.
FR3097763A1 (fr) Utilisation d'un extrait d'Armérie maritime (Armeria maritima) pour hydrater la peau et améliorer la fonction barrière
WO2013117866A2 (fr) Utilisation d'un extrait de feuille de pommier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raffermissement de la peau
KR20210046193A (ko) 에퀴세툼 기간테움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20111540A (ja) 植物由来の抽出物によるカリクレイン7前駆体産生促進剤、カリクレイン7活性促進剤、表皮角化細胞増殖剤、角層重層改善剤、ターンオーバー改善剤、皮膚弾力性改善剤又は過角化改善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