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496A - 안전 카테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안전 카테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496A
KR20240037496A KR1020220116069A KR20220116069A KR20240037496A KR 20240037496 A KR20240037496 A KR 20240037496A KR 1020220116069 A KR1020220116069 A KR 1020220116069A KR 20220116069 A KR20220116069 A KR 20220116069A KR 20240037496 A KR20240037496 A KR 20240037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utton
housing
catheter assembly
safety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우메디칼
구홍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우메디칼, 구홍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우메디칼
Priority to KR1020220116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496A/ko
Publication of KR20240037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1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fully covering the needle after its withdrawal, e.g. needle being withdrawn inside the handle or a cover being advanced over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18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protecting only the distal tip of the needle, e.g. a needle guard
    • A61M25/0625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protecting only the distal tip of the needle, e.g. a needle guard with a permanent connection to the needle hub, e.g. a guiding rail, a locking mechanism or a guard advancemen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5Guid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58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vascular access, e.g. blood stream acc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킹 버튼부에 형성된 로킹 걸림턱부에 니들 중공 허브의 로킹 플랜지가 조립(로킹)/해제(언로킹)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 조립 자동화, 작동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킨, 안전 카테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 카테터 조립체{safety catheter assembly}
본 발명은 로킹 버튼부에 형성된 로킹 걸림턱부에 니들 중공 허브의 로킹 플랜지가 조립(로킹)/해제(언로킹)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 조립 자동화, 작동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킨, 안전 카테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안전 카테터 조립체로서, 예컨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문헌(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44154호)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안전 카테터 조립체에 있어서, 로킹 링크는 중공 하우징의 버튼 장착홈을 통해 링크수용홈부에 삽입 수용될 수 있다.
이렇게 삽입 수용된 로킹 링크는 링크수용홈부 내에서 유동(흔들림)할 수 있다. 만약 로킹 링크가 유동할 경우 로킹 버튼이 후퇴(작동)했을 때가 로킹 버튼의 개구삽입편이 로킹 링크의 개구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을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로킹 링크의 크기가 작아서 링크수용홈부 내에 삽입할 때 수작업으로 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수작업은 로킹 링크의 개구가 위쪽에 있는지 또한 개구 입구가 앞쪽에 있는지 확인하고 링크수용홈부에 삽입할 경우 조립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4415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로킹 버튼에 로킹 걸림턱을 형성하여 조립이 편리하고, 조립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며, 로킹/언로킹과 같은 작동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 카테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카테터 조립체는 로킹 버튼의 하면에 로킹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로킹이나 언로킹할 때의 작동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중공 하우징에로의 조립이 쉽고 조립의 자동화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 카테터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로킹 걸림턱이 로킹 버튼부에 형성됨으로써, 로킹 플랜지와의 조립/해제가 대단히 편리하고 작동 안정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윙편과 로킹 탄성편 사이에 수평 간극을 둠으로써, 로킹 버튼의 조립 시 수평 간극을 통해 윙편이 탄성 변형을 허용하여 로킹 버튼의 임의적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다.
버튼 장착홈에 로킹 걸림턱이 타고 넘어가는 제1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로킹 버튼의 해제 시 로킹 버튼의 위로 들림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로킹 걸림턱에 제2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로킹 플랜지와의 조립과 제1경사면과의 상호 작용으로 로킹 버튼의 위로 상승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로킹 걸림턱의 하측에 형성되는 로킹 걸이에, 로킹 플랜지의 걸이 돌기가 걸려 로킹되면, 인위적인(임의적인) 작동 없이는 언로킹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로킹 탄성편의 탄성 변형에 따라 수직 간극을 지나 로킹 걸림턱의 상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됨으로써, 로킹 버튼부의 높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제1전방밀림방지턱과 제2전방밀림방지턱을 통해, 로킹 버튼부가 중공 하우징에서 임의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돌기와 슬라이딩가이드홈을 통해, 로킹 버튼부의 정확한 당김을 안내할 수 있다.
하우징 챔버의 내부에 파지돌기가 형성됨으로써, 후퇴한 니들 중공 허브의 플랜지의 외주면이 파지돌기에 박혀 움직이지 않아서 임의로 니들 중공 하우징이 중공 하우징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카테터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및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보호 캡을 제거한 로킹 및 언로킹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중공 하우징과 로킹 기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도 5의 로킹 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니들 중공 허브의 로킹(조립)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의 로킹 상태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로킹을 해제하는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카테터 조립체(10)는 내부에 하우징 공동(131)과 하우징 챔버(231)를 갖는 하우징(30)과, 하우징(30)의 전측에 설치되는 카테터(400)와, 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되는 니들 중공 허브(500)와, 니들 중공 허브(500)를 하우징 챔버(231) 내로 후퇴시키는 코일 스프링(600)과, 압축된 코일 스프링(600)의 해제로 니들 중공 허브(500)를 하우징 챔버(391) 내로 후퇴시키는 로킹 기구(7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30)은, 중공 하우징(130)과 캡 하우징(230)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중공 하우징(130)은, 전후로 관통한 하우징 공동(131)을 포함한다. 캡 하우징(230)은, 중공 하우징(130)의 후측에 설치되며 하우징 챔버(231)를 포함한다.
중공 하우징(130)의 하우징 공동(131) 내에는 니들 중공 허브(500)가 배치된다.
중공 하우징(130)의 외주면은 파이프 형상의 내주면과 달리 사각형상으로 되어, 시술자가 손으로 잡기 쉬울 수 있다.
하우징 챔버(231)는, 한쪽이 막힌 관 형상이다.
또한, 캡 하우징(230)은 중공 하우징(130)의 후측에서 연장 형성된 캡하우징 연결관(133)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맞춤 밀폐 조립됨으로써 누액 및 이탈을 방지한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하우징 연결관(133)의 외주면에는 끼움홈(133a)이 형성되고, 캡 하우징(230)의 선단에는 끼움홈(133a)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30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캡 하우징(230)의 하우징 챔버(231) 끝 내주면에, 파지돌기(235)가 형성될 수 있다. 파지돌기(235)는, 도 4와 같이 니들 중공 허브(500)가 캡 하우징(230)으로 후퇴되면, 로킹 플랜지(550)를 잡아줄 수 있다. 즉 로킹 플랜지(550)가 캡 하우징(230) 내로 박히면서 파지돌기(235)가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카테터(400)는 혈관 등에 삽입되는 카테터 튜브(410)와, 카테터 튜브(410)를 홀딩하는 카테터 중공 허브(430)로 이루어진다.
카테터 중공 허브(430)는 중공 하우징(130)의 전측에서 연장 형성된 카테터 연결관(134)의 외주면에 삽입된다.
니들 중공 허브(500)는 혈관 등에 삽입되는 니들(510)과, 니들(510)을 홀딩하는 니들 중공 홀더(530)로 이루어진다.
니들(510)은 날카로운 니들 팁(511)이 외부로 노출되게 카테터 튜브(410)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니들 중공 홀더(530)의 끝단의 외주면에는 직경이 큰 로킹 플랜지(550)가 형성되어 있다.
로킹 플랜지(550)는,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rink) 또는 육상 트랙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로킹 플랜지(550)에는 멤브레인(570)이 설치되어, 에어 필터 벤트로서 혈액 및 체액의 누출 방지 등의 기능을 한다.
코일 스프링(6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시트인 중공 하우징(130)의 걸림턱(135)과 후방 시트인 로킹 플랜지(55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600)이 도 3과 같이 압축된 상태(로킹 상태)에서는 니들 중공 허브(500)가 전진해 있고, 도 4와 같이 해제된 상태(언로킹 상태)에서는 니들 중공 허브(500)가 캡 하우징(230)으로 후퇴되어 카테터(400)로부터 니들(510)이 완전히 벗어난다.
로킹 기구(70)는 코일 스프링(600)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로킹)하거나 해제(언로킹)시켜 니들 중공 허브(500)를 뒤로 후퇴시키는 기구이다.
로킹 기구(7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 버튼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버튼부(170)는, 중공 하우징(130)의 버튼 장착홈(3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로킹 버튼부(170)는, 풀(pull) 버튼(171)을 포함할 수 있다. 풀 버튼(171)은, 시술자의 당김에 의해 로킹이 해제될 수 있다. 풀 버튼(171)은 버튼 장착홈(350)의 상부에 배치되며, 그 전면에는 검지로 잡고 뒤로 당기기 편리하게 직각에 대해 1상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171a)이 형성될 수 있다.
로킹 버튼부(170)는, 슬라이딩 판(172)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판(172)은, 풀 버튼(17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판(172)의 하면에, 슬라이딩가이드돌기(172a)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돌기(172a)는, 장착 버튼홈(350)에 형성된 슬라이딩가이드홈(172b)을 따라 가이드 될 수 있다. 슬라이드 판(172)은 풀 버튼(171)의 경사면(171a)보다 앞으로 더 돌출한 돌출판(17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판(173a)은 도 2와 같이 중공 하우징(130)의 조립구(134)의 외주면에 카테터 보호 캡(800)이 끼워지면서 덮여지는 동시에 풀 버튼(171)의 경사면(171a) 높이와도 거의 같게 배치된다.
따라서, 카테터 보호 캡(800)이 제거되기 전에는 돌출판(173a)이 눌려져 있으면서도 풀 버튼(171)을 뒤로 당길 위치가 없어 로킹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시술하기 전까지 포장을 뜯거나 이송 등의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뒤로 당겨지는 오작동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취급이 대단히 편리할 수 있다.
로킹 버튼부(170)는, 연결편(17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편(173)은, 풀 버튼(171)의 좌우측과 슬라이딩 판(172)의 좌우측 사이에 도 6과 같은 수직 간극(s1)이 형성되게 연결될 수 있다. 수직 간극(s1)은 레일 홈(273)의 상단(273a)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로킹 기구(70)는, 로킹 걸림턱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걸림턱부(370)는, 중공 하우징(130)의 작동개구부(135)를 통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로킹 걸림턱부(370)는, 로킹 플랜지(550)의 걸림으로 니들 중공 허브(500)를 로킹시킬 수 있다.
로킹 걸림턱부(370)는, 로킹 탄성편(371)을 포함할 수 있다. 로킹 탄성편(371)은, 슬라이딩 판(172)의 후측 중심부에서 뒤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로킹 탄성편(371)의 일단은 슬라이딩 판(172)에 고정되는 고정단이고, 로킹 탄성편(371)의 타단은 자유단인 보(beam) 형태일 수 있다. 로킹 탄성편(371)과 풀 버튼(171) 사이에, 도 9와 같이 수직 간극(s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 간극(s2)은, 로킹 탄성편(371) 또는 로킹 걸림턱(373)이 위로 탄성휨을 허용할 공간일 수 있다.
로킹 걸림턱부(370)는, 로킹 걸림턱(373)을 포함할 수 있다. 로킹 걸림턱(373)은, 로킹 탄성편(371)의 자유단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수직 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로킹 걸림턱(373)은, 도 13과 같이 제1경사면(374)을 타고 원활히 넘어갈 수 있다. 제1경사면(374)은, 경사면이 완만한 미끄럼틀 형태일 수 있다. 제1경사면(374)은, 버튼 장착홈(350)의 후측 또는 작동개구부(135)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로킹 걸림턱(373)의 후면에, 제2경사면(37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경사면(375)은, 제1경사면(374)과 마주하는 평행 사선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경사면(375)은, 도 13과 같이 제1경사면(374)을 타고 원활히 넘어가 로킹이 해제되거나,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로킹 플랜지(550)가 원활히 타고 앞으로 진행되게 해서 로킹될 수 있다.
로킹 걸림턱(373)은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홈(376)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홈(376)은, 풀 버튼(171)의 후측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376)은, 로킹 탄성편(371)의 탄성 변형에 따라 수직 간극(s2)을 지나 로킹 걸림턱(373)의 상측을 수용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로킹 걸림턱(373)의 하측에, 로킹 걸이(373a)가 형성될 수 있다. 로킹 걸이(373a)는, 로킹 걸림턱(373)의 내면 하측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로킹 플랜지(550)에, 걸이 돌기(373b)가 형성될 수 있다. 걸이돌기(373b)는, 로킹 플랜지(550)의 끝면 가장자리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이 돌기(373b)는, 로킹 걸이(373a)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인위적인 작동 없이는 언로킹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로킹 기구(70)는, 후방밀림방지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밀림방지부(270)는, 버튼 장착홈(350)에 대해 로킹 버튼부(170)의 후방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후방밀림방지부(270)는, 윙편(271)을 포함할 수 있다. 윙편(271)은, 슬라이딩 판(172)의 좌우에서 후방으로 수평 연장될 수 있다. 윙편(271)은, 슬라이딩 판(172)과의 사이에 수평 간극(s3)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 간극(s3)은, 윙편(271)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공간일 수 있다. 윙편(271)은 레일 홈(273)에 끼워질 때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레일 홈(273)의 벽에 가압력을 가할 수 있다.
후방밀림방지부(270)는, 제1후방밀림방지턱(27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후방밀림방지턱(272a)은, 윙편(271)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후방밀림방지턱(272a)은, 제2후방밀림방지턱(272b)에 걸릴 수 있다. 제2후방밀림방지턱(272a)은, 레일 홈(273)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일 홈(273)은, 버튼 장착홈(350)의 좌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일 홈(273)에, 슬라이딩 판(172)과 윙편(271)이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윙편(271)의 외측면에, 제1전방밀림방지턱(274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전방밀림방지턱(274a)은, 제2전방밀림방지턱(274b)에 걸릴 수 있다. 제2전방밀림방지턱(274b)은 레일 홈(273)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2후방밀림방지턱(272a)(272b)과 제1,2전방밀림방지턱(274a)(272b)은, 볼록한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최대한 걸림 효과를 높이면서도 인위적으로 로킹 버튼부(170)를 밀거나 당겨 조립 또는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과 같이 외력을 가해 로킹 버튼부(170)가 후방밀림방지부(270)를 타고 뒤로 밀리면, 로킹 걸림턱부(370)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니들 중공 허브(500)가 코일 스프링(600)의 탄성에 의해 하우징 챔버(231)로 후퇴될 수 있다.
또한, 로킹 걸림턱(371)이 로킹 버튼부(170)에 형성됨으로써, 중공 하우징(130)에 조립 또는 자동 조립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10 : 안전 카테터 조립체 30 : 하우징
130 : 중공 하우징 230: 캡 하우징
400 : 카테터 500 : 니들 중공 허브
550 : 로킹 플랜지 600 : 코일 스프링
70 : 로킹 기구 170 : 로킹 버튼부
270: 후방밀림방지부 370 : 로킹 걸림턱부
800 : 카테터 보호 캡

Claims (9)

  1. 중공 하우징(130)의 후측에 캡 하우징(230)이 설치되는 하우징(30); 상기 중공 하우징(130)의 전측에 설치되는 카테터(400); 상기 중공 하우징(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니들 중공 허브(500); 상기 중공 하우징(130)과 상기 니들 중공 허브(500)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600); 및 압축된 상기 코일 스프링(600)의 해제로 로킹된 상기 니들 중공 허브(500)를 상기 캡 하우징(230)의 하우징 챔버(231) 내로 후퇴시키는 로킹 기구(70)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기구(70)는,
    상기 중공 하우징(130)의 버튼 장착홈(3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버튼부(170)와,
    상기 로킹 버튼부(170)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 하우징(130)의 작동개구부(135)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니들 중공 허브(500)의 로킹 플랜지(550)의 걸림으로 로킹하는 로킹 걸림턱부(370)와,
    상기 버튼 장착홈(350)에 대해 상기 로킹 버튼부(170)의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후방밀림방지부(270)를 포함하고,
    외력을 가해 상기 로킹 버튼부(170)가 상기 후방밀림방지부(270)를 타고 뒤로 밀리면, 상기 로킹 걸림턱부(170)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니들 중공 허브(500)가 상기 코일 스프링(600)의 탄성에 의해 상기 하우징 챔버(231)로 후퇴되는,
    안전 카테터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킹 버튼부(170)는,
    풀(pull) 버튼(171)과,
    상기 풀 버튼(171)의 하면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판(172)과,
    상기 풀 버튼(171)의 좌우측과 상기 슬라이딩 판(172)의 좌우측 사이에 수직 간극(s1)이 형성되게 연결하는 연결편(173)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빌림방지부(270)는,
    상기 슬라이딩 판(172)의 후측 좌우에서 후방으로 수평 연장되는 윙편(271)과,
    상기 윙편(27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후방밀림방지턱(272a)과,
    상기 버튼 장착홈(350)의 좌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판(172)과 윙편(271)이 끼워지는 레일 홈(273)과,
    상기 레일 홈(273)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후방밀림방지턱(272a)이 걸리는 제2후방밀림방지턱(272b)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 걸림턱부(370)는,
    상기 윙편(271) 사이의 슬라이딩 판(17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풀 버튼(171)의 하면과의 사이에 수직 간극(s2)이 형성되며, 상기 윙편(271)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수평 간극(s3)이 형성되는 로킹 탄성편(371)과,
    상기 로킹 탄성편(371)의 끝단에 형성되는 로킹 걸림턱(373)을 포함하는,
    안전 카테터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장착홈(350)의 후측에, 상기 로킹 걸림턱(373)이 타고 넘어가는 제1경사면(374)이 형성되는,
    안전 카테터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킹 걸림턱(373)의 후면에, 제2경사면(375)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375)은, 상기 제1경사면(374)을 타고 넘어가 로킹이 해제되거나, 상기 로킹 플랜지(550)가 타고 앞으로 진행하여 로킹되는,
    안전 카테터 조립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킹 걸림턱(373)의 하측에, 로킹 걸이(373a)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 플랜지(550)에, 상기 로킹 걸이(373a)에 걸리는 걸이 돌기(373b)가 형성되는,
    안전 카테터 조립체.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윙편(27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전방밀림방지턱(274a)과,
    상기 레일 홈(273)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전방밀림방지턱(274a)이 걸리는 제2전방밀림방지턱(274b)을 포함하는,
    안전 카테터 조립체.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판(172)의 하면에, 슬라이딩가이드돌기(172a)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 버튼홈(350)에,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돌기(172a)가 가이드되는 슬라이딩가이드홈(172b)이 형성되는,
    안전 카테터 조립체.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풀 버튼(171)의 후측 하면에, 수용홈(376)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76)은, 상기 로킹 탄성편(371)의 탄성 변형에 따라 상기 수직 간극(s2)을 지나 상기 로킹 걸림턱(373)의 상부를 수용하는,
    안전 카테터 조립체.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챔버(231)의 내주면에, 후퇴한 상기 로킹 플랜지(550)의 외주면을 잡아주는 파지돌기(235)가 형성되는,
    안전 카테터 조립체.
KR1020220116069A 2022-09-15 2022-09-15 안전 카테터 조립체 KR20240037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069A KR20240037496A (ko) 2022-09-15 2022-09-15 안전 카테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069A KR20240037496A (ko) 2022-09-15 2022-09-15 안전 카테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496A true KR20240037496A (ko) 2024-03-22

Family

ID=9048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069A KR20240037496A (ko) 2022-09-15 2022-09-15 안전 카테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4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154B1 (ko) 2019-04-01 2019-11-13 주식회사 덕우메디칼 안전 카테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154B1 (ko) 2019-04-01 2019-11-13 주식회사 덕우메디칼 안전 카테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0884A (en) Needle device for safely collecting blood or injecting drugs
JP3610304B2 (ja) 翼付きi.v.装置
US5779679A (en) Winged IV set with retractable needle
US20060254584A1 (en) Powder Inhaler
US9844327B2 (en) Safety lancing device
HUE026641T2 (en) Automatic injection device with needle cover
IL111464A (en) Needle protection assemblies
US20060074349A1 (en) Blood sampler
WO2013067759A1 (zh) 一种安全采血笔
EP2893886A1 (en) Disposable scalpel blade assembly and associated non-disposable scalpel handle
KR20130051920A (ko) 주사 장치용 병 홀더
WO2013067760A1 (zh) 安全型采血笔
KR20240037496A (ko) 안전 카테터 조립체
JP5027121B2 (ja) 患者皮膚穿刺装置
JP4342945B2 (ja) 再利用可能な主要部品を備えた安全注射器、注射針を容器に廃棄する方法、及び廃棄可能な部品用容器
CN113499513A (zh) 自动注射笔
WO2021147811A1 (zh) 一种带有屏蔽针偏心挡片的留置针
US11529080B2 (en) Blood collection assembly
CN202305892U (zh) 光纤连接器插头
KR102480888B1 (ko) 안전 카테터 조립체
CN111184930A (zh) 一种两段式药物自动注射装置
EP2295099A1 (en) Unit for safe unsheathing and re-sheathing of syringe needles
EP3393550B1 (en) Disposable safety butterfly needle
CN113288235A (zh) 一种具有保险结构的全自动活检针
KR102067956B1 (ko) 바늘 자동후퇴식 안전 정맥주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