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266A - 타겟 평면과 평행하거나 합동인 이미지 평면을 갖춘 포커싱 장치 - Google Patents

타겟 평면과 평행하거나 합동인 이미지 평면을 갖춘 포커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266A
KR20240037266A KR1020247004446A KR20247004446A KR20240037266A KR 20240037266 A KR20240037266 A KR 20240037266A KR 1020247004446 A KR1020247004446 A KR 1020247004446A KR 20247004446 A KR20247004446 A KR 20247004446A KR 20240037266 A KR20240037266 A KR 20240037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ing
laser beam
target material
optical axis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4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리스 레가드
Original Assignee
트럼프 레이저시스템즈 포 세미컨덕터 매뉴팩처링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럼프 레이저시스템즈 포 세미컨덕터 매뉴팩처링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트럼프 레이저시스템즈 포 세미컨덕터 매뉴팩처링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4003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26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used as aids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2/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X-rays, not involving X-ray tubes, e.g. involving generation of a plasma
    • H05G2/001X-ray radiation generated from plasma
    • H05G2/008X-ray radiation generated from plasma involving a beam of energy, e.g. laser or electron beam in the process of exciting the plasm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95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05Optical devices external to the laser cavity, specially adapted for lasers, e.g. for homogenisation of the beam or for manipulating laser pulses, e.g. pulse shap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2/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X-rays, not involving X-ray tubes, e.g. involving generation of a plasma
    • H05G2/001X-ray radiation generated from plasma
    • H05G2/003X-ray radiation generated from plasma being produced from a liquid or gas
    • H05G2/005X-ray radiation generated from plasma being produced from a liquid or gas containing a metal as principal radiation generating compon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X-Ray Techniq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EUV 방사선을 생성하기 위한 포커싱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포커싱 장치(10)는 타겟 평면(14) 상의 타겟 재료(12)를 조명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포커싱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빔 성형 요소(26, 28)를 포함하고, 상기 빔 성형 요소(26, 28)의 광축(30, 32)은 상기 타겟 평면(14)에 수직이다. 결과적으로, 포커싱 요소(26, 28)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안내되는 레이저 빔(18, 20)들의 이미지 평면은 상기 타겟 평면(14)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이는 타겟 재료(12)의 효율적인 조사를 가능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빔(18, 20)의 완전히 왜곡 없는 이미징은 이 레이저 빔(18, 20)이 안내되는 포커싱 요소(26, 28)의 광축(30, 32)에 대한 레이저 빔(18, 20)의 주축의 오프셋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타겟 재료(12)의 중간 조사를 위한 제 3 레이저 빔(50)은 상기 포커싱 요소(26, 28)들 중 하나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Description

타겟 평면과 평행하거나 합동인 이미지 평면을 갖춘 포커싱 장치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리소그래피를 위한 EUV(극자외선) 방사선을 생성하기 위해 타겟 영역에서 이동하는 타겟 재료에 적어도 2개의 레이저 빔들을 포커싱하기 위한 포커싱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포커싱 장치는
a) 타겟 영역 내의 제 1 위치 상의 타겟 재료에 제 1 레이저 빔을 포커싱하기 위한 제 1 포커싱 요소;
b) 타겟 영역 내의 제 2 위치 상의 타겟 재료에 제 2 레이저 빔을 포커싱하기 위한 제 2 포커싱 요소;
c) 타겟 재료에 의해 생성된 EUV 방사선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 광학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포커싱 장치를 갖춘 EUV 빔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포커싱 장치 및 이러한 EUV 빔 생성 장치는 출원인에게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내부의 미공개 종래 기술일 수 있다.
추가 포커싱 장치들 또는 EUV 빔 생성 장치들은 WO 2015/036024 A1 및 WO 2015/036025 A1으로부터 알려졌다.
이러한 포커싱 장치들 또는 빔 생성 장치들의 단점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 타겟 영역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타겟 재료에 각각의 레이저 빔을 포커싱함으로써 타겟 조사의 효율성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타겟 재료의 훨씬 더 효율적인 조사를 가능하게 하는 포커싱 장치 및 EUV 빔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포커싱 장치 및 청구항 제 8 항에 따른 EUV 빔 생성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바람직한 개발들을 제시한다.
상기 과제는
c) 제 1 포커싱 요소 및/또는 제 2 포커싱 요소의 광축은, 특히 ±4°, 바람직하게는 ±2°의 편차로, 반사 광학 요소의 광축과 평행하거나 합동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한 포커싱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이는 제 1 포커싱 요소의 이미지 평면 및/또는 제 2 포커싱 요소의 이미지 평면이 반사 광학 요소의 광축에 수직으로 또는 대략 수직으로 정렬되는 결과를 낳는다. 특히, 타겟 재료는 반사 광학 요소의 광축에 대략 수직인 또는 수직인, 따라서 두 포커싱 요소들의 이미지 평면들 중 하나와 대략 평행한, 평행한 또는 합동인 평면에서 이동될 수 있다(타겟 평면). 포커싱 광학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광학 요소의 광축을 반사 광학 요소의 광축과 대략 평행하게, 평행하게 또는 합동으로 정렬함으로써, 타겟 재료가 특히 효과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반사 광학 요소는 타겟 재료에 레이저 방사선이 조사될 때 방출되는 EUV 방사선을 반사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반사 광학 요소는 예를 들어 회전 타원체 형태의 반사 표면을 갖는 거의 수직 입사 컬렉터 미러(near-normal incidence collector mirror)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반사 광학 요소는 타겟 재료에 레이저 빔(들)이 조사되는 영역에 또는 영역 근처에 제 1 초점을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포커싱 요소들의 적어도 하나의 광축,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광축들이 타겟 재료의 비행 방향 또는 궤적에 수직으로 또는 대략 수직으로 정렬되고, 타겟 재료는 타겟 영역 내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된다. 제 1 레이저 빔은 포커싱 장치의 제 1 빔 경로를 따라 타겟 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 2 레이저 빔은 포커싱 장치의 제 2 빔 경로를 따라 타겟 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빔 경로의 주축은 포커싱 요소의 광축에 평행하게 오프셋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반면에 "클래식" 이미지에서는 광축이 레이저 빔의 빔 경로의 주축과 동축이다. 결과적으로, 근거리 필드에서 레이저 빔을 국부적으로 분리하고 원거리 필드에서 중첩하려면 두 개의 광축들이 서로에 대해 기울어져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포커싱 요소들은 평행하거나 동일한 광축들, 특히 ±4°, 바람직하게는 ±2°의 편차를 가지고 평행하거나 동일한 광축들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두 개의 포커싱 요소들에 대해 대략 평행하거나, 평행하거나 합동인 이미지 평면들이 생성된다. 이는 타겟 재료에 특히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 포커싱 요소는 요소 그룹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2 포커싱 요소는 요소 그룹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제 1 빔 경로의 주축은 바람직하게는 제 1 포커싱 요소의 광축과 동축이 아니다. 제 2 빔 경로의 주축은 바람직하게는 제 2 포커싱 요소의 광축과 동축이 아니다.
빔 경로의 각 주축들은 포커싱 요소 앞에서 시준되고 동일선상에 있을 수 있다. 가능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개별 시준된 레이저 빔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레이저 빔이 빔 경로에서 각 포커싱 요소 앞에서 비스듬하게 이미징되었던 경우(예: 광축이 레이저 빔의 전파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정렬된 시준 렌즈를 통과할 때), 타겟 재료가 이동하는 평면에서 이미지 평면을 정렬하기 위해, 포커싱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Scheimpflug 조건에 따라 레이저 빔의 빔 경로의 주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다. 개별 시준된 레이저 빔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지 않은 경우에도, 타겟 재료가 이동하는 평면에서 초점면을 정렬하기 위해, 포커싱 요소들, 특히 그 주요 평면들은 바람직하게는 Scheimpflug 조건에 따라 레이저 빔의 빔 경로의 주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다.
타겟 재료는 주석 방울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방사선을 조사하면 주석 방울에, EUV 방사선을 방출하는 플라즈마가 생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 1 빔 경로의 주축 및/또는 제 2 빔 경로의 주축은 각각의 포커싱 요소의 광축에 대해, 특히 평행하게, 오프셋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포커싱 요소 또는 두 포커싱 요소들은 각각의 광축에 대해 회전 비대칭이 되도록 설계된다. 이를 통해 이미지 평면에 왜곡 없는 투영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단면이 원형인 레이저 빔 또는 단면이 원형인 레이저 빔들은 원형 투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포커싱 요소는 회전 대칭 포커싱 요소의 단면 형태로 설계된다. 결과적으로, 포커싱 장치는 구조적으로 특히 간단하고 빔 경로를 계산하기가 상대적으로 쉽다.
빔 경로의 주축이 오프셋되면 움직이는 타겟 재료에 두 개의 레이저 빔이 서로 시간 오프셋되어 조사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광축이 각각의 타겟 재료를 통과하도록 두 포커싱 광학 요소의 광축들을 서로 평행하게 이동함으로써, 이동하는 타겟 재료는 시간(따라서 공간) 오프셋되어 타격될 수 있다. 포커싱 요소들의 광축들은 바람직하게는 3mm 미만, 특히 1mm 미만만큼 서로 오프셋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포커싱 요소, 특히 두 빔 성형 요소들은 렌즈 또는 거울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거울의 경우, 특히 축외 포물선 거울 또는 축외 포물선 거울과 축외 타원체 거울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제 1 빔 성형 요소 및/또는 제 2 빔 성형 요소는 진공 챔버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진공 챔버는 제 1 레이저 빔이 진공 챔버에 진입하기 위한 제 1 개구 및/또는 제 2 레이저 빔이 진공 챔버에 진입하기 위한 제 2 개구를 가질 수 있다.
편향 거울, 특히 이중 거울 배열이 제 1 빔 경로 및/또는 제 2 빔 경로에 제공될 수 있다. 이중 거울 배열은 비점수차를 상당히,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감소시킨다(장승혁: Linear astigmatism of confocal off-axis reflectiveimaging systems with N-conic mirrors and its elimination;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A, 32권 5호/2015년 5월호, 852-859 페이지 참조). 그러나 이러한 배열에서는 이미징되는 레이저 빔이 이론적인 광축에서 안내되지 않아 비점수차 없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지만, 타겟 평면에 평행한 이미지 평면을 갖는 출력측의 기울어진 주축의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입력측(시준된 입력 빔)에서 그에 평행하게 오프셋된다. 이는 렌즈 광학의 등가 모델에서 렌즈의 광축에 대한 레이저 빔의 빔 경로의 주축 변위에 해당한다. 출력측 레이저 빔의 빔 경로의 주축의 각도는 입력측 레이저 빔의 빔 경로의 주축의 거리를 유효 초점 길이 EFL로 나눈 탄젠트에 해당한다.
포커싱 장치는 제 3 레이저 빔을 타겟 영역 내로 안내하기 위한 제 3 빔 경로를 가질 수 있다. 타겟 재료는 그 경로에서 먼저 제 1 레이저 빔에 의해 조사되고, 그 다음에 제 3 레이저 빔에 의해 그리고 끝으로 제 2 레이저 빔에 의해 조사될 수 있다. 제 3 레이저 빔은 제 1 레이저 빔에 대해 2°보다 큰, 특히 4°보다 큰 각도로 제 1 포커싱 요소에 닿을 수 있다. 따라서, 제 3 빔 경로 및 이에 따른 제 3 레이저 빔은 타겟 재료가 이동하는 평면과 대략 평행하거나, 평행하거나 합동인 이미지 평면을 갖는다. 제 3 빔 경로의 주축 및 이에 따른 제 3 레이저 빔의 주축은 - 특히 제 1 포커싱 요소를 통과한 후 - 바람직하게는 제 1 포커싱 요소의 광축과 동축이 아니다. 대안적으로, 제 3 빔 경로 또는 추가 빔 경로는 또한 제 3 포커싱 요소를 가질 수 있으므로 처음 두 개의 빔 경로와 동일한 경계 조건을 갖는 국부적으로 분리된 광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또한 타겟 재료가 타겟 영역 내로 도입되어 EUV 방사선을 생성할 수 있는 진공 챔버를 갖춘 EUV 빔 생성 장치에 의해 해결되며, 상기 EUV 빔 생성 장치는 여기에 설명된 포커싱 장치, 및 제 1 레이저 빔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빔 소스와 제 2 레이저 빔을 생성하기 위한 제 2 빔 소스를 포함한다.
각각의 레이저 빔의 주축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빔이 안내되는 각각의 빔 경로의 주축에 해당한다.
레이저 빔들은 다양한 파장들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 1 레이저 빔은 500nm 내지 1200nm의 파장을 가질 수 있고, 제 2 레이저 빔은 8㎛ 내지 12㎛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제 1 광학 요소는 특히 언급된 파장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석영 유리, 붕규산염 크라운 유리, 사파이어 유리로 만들어진 렌즈 형태이거나 알루미늄, 탄화규소 또는 구리로 만들어진 거울 형태이다. 제 2 광학 요소는 특히 언급된 파장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셀렌화아연 또는 (인조) 다이아몬드로 만들어진 렌즈 형태이거나 구리로 만들어진 거울 형태이다. 언급된 재료들은 우수한 기계 가공성 및 우수한 냉각 특성과 함께 특히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레이저 빔 및/또는 제 2 레이저 빔은 펄스화된다. 이는 무엇보다도 타겟 재료 내로 도입되는 전력과 이에 따라 방출되는 EUV 방사선의 출력이 특히 높아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EUV 빔 생성 장치는 제 3 레이저 빔을 생성하기 위한 제 3 빔 소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3 레이저 빔의 주축은 바람직하게는 제 3 빔 경로의 주축에 해당한다.
제 3 레이저 빔은 펄스화될 수 있다. 펄스화된 제 3 레이저 빔은 타겟 재료에 대해 제 1 레이저 빔으로부터의 펄스와 제 2 레이저 빔으로부터의 펄스 사이의 중간 펄스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들은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에서 언급한 특징들과 추가로 설명될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그룹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들은 완전히 열거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성격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포커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싱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EUV 빔 생성 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포커싱 장치(10)를 도시한다. 이는 출원인에게 알려진 종래 기술이지만 반드시 공개된 종래 기술은 아니다.
포커싱 장치(10)는 비행 방향(16)으로 타겟 평면(14)에서 움직이는 타겟 재료(12)를 갖는다. 타겟 재료(12)는 제 1 레이저 빔(18)과 제 2 레이저 빔(20)에 의해 조사된다. 타겟 재료(12)의 조사는 EUV 방사선을 생성하고, 상기 EUV 방사선은 반사 광학 요소(70)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 광학 요소(70)는 특히 반사 광학 요소(70)의 제 1 및 제 2 초점이 배열되는 광축(72)을 갖는다. 특히, 타겟 재료(12)는, EUV 방사선이 제 1 초점에서 생성되며 반사 광학 요소(70)에 의해 제 2 초점에 포커싱되도록 조사된다. 타겟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반사 광학 요소(70)의 광축(72)에 수직인 타겟 평면(14)에서 이동한다. 제 1 레이저 빔(18)은 제 1 빔 경로(22)에서 안내되고, 제 2 레이저 빔(20)은 제 2 빔 경로(24)에서 안내된다. 제 1 포커싱 요소(26)는 제 1 빔 경로(22)에 배열된다. 제 2 포커싱 요소(28)는 제 2 빔 경로(24)에 배열된다. 포커싱 요소(26, 28)들은 각각 광학 포커싱 요소의 형태로 설계된다. 포커싱 요소(26, 28)들은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포커싱 요소(26, 28)들은 레이저 빔(18, 20)들의 빔 경로(22, 24)들의 주축들과 동축인 광축(30, 32)들을 갖는다. 레이저 빔(18, 20)들은 이들의 파장 및/또는 편광으로 인해 중첩될 수 없다. 그러므로 광축(30, 32)들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반사 광학 요소(70)의 광축(72)에 대해 4°보다 큰 각도를 이룬다. 결과적으로, 이미지 평면(34, 36)들은 타겟 평면(14)에 대해 4°보다 큰 각도를 이룬다. 이는 타겟 재료(12) 상의 레이저 빔(18, 20)들의 왜곡된 이미지(38)를 야기한다(비행 방향의 평면에서 볼 때). 관찰 방향(40)으로 타겟 재료(12)를 볼 때, 타겟 재료(12)가 구형이 아니고 변형되면 원형 레이저 빔(18, 20)들은 단면이 타원형으로 이미지화된다. 특히 조사로 인해 변형이 발생한다. 이는 타겟 재료(12)의 비효율적인 조사를 초래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싱 장치(10)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포커싱 장치(10)의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차이점을 제외하고 도 1에 따른 알려진 포커싱 장치(10)의 구조에 대응하고, 상기 알려진 포커싱 장치(10)의 구조는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참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30, 32)들은 반사 광학 요소(70)의 광 축(72)에 평행하다. 대안적으로, 2개의 광 축(30, 32)들 중 하나만이 반사 광학 요소(70)의 광 축(72)에 평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레이저 빔(들)(18, 20)의 이미지 평면(들)(34, 36)은 타겟 재료의 궤적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하거나 합동이다. 이미지(38)들은 왜곡되지 않기 때문에 효과적인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 빔(18, 20)들이 포커싱 요소(34, 36)들을 통과한 후 안내되는 빔 경로(22, 24)들의 주축(42, 44)들은 광축(30, 32)들에 대해 오프셋된다. 대안적으로, 빔 경로(22, 24)들의 주축(42, 44)들 중 하나만이 각각의 광축(30, 32)에 대해 오프셋될 수 있다. 포커싱 요소(26, 28)들은 도 2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광축(30, 32)에 대해 회전 대칭이지만, 주축(42, 44)들에 대해 회전 비대칭이다. 대안적으로, 포커싱 요소(26, 28)들 중 하나만이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광축(30, 32)에 대해 회전 대칭이지만, 주축(42, 44)들에 대해 회전 비대칭일 수 있다.
포커싱 요소(26, 28)들은 바람직하게는 광학 포커싱 요소들의 형태로, 특히 각각 집광 렌즈 또는 집광 거울의 형태로 설계된다. 대안적으로, 포커싱 요소(26, 28)들 중 하나만이 바람직하게는 광학 포커싱 요소의 형태로, 특히 집광 렌즈 또는 집광 거울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편향 거울(46, 48)(들)은 빔 경로(22, 24)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는 도 2에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편향 거울(46, 48)들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이미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편향 거울(46, 48)들은 각각 적어도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각각 적어도 하나의 이중 거울 배열(미도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타겟 재료(12)는 주축(54)을 갖는 제 3 빔 경로(52)에서 안내되는 제 3 레이저 빔(50)에 의해 조사된다. 제 3 빔 경로(52)는 제 1 빔 성형 요소(26)를 통과한다. 제 3 빔 경로(52)의 주축(54)은 제 1 빔 경로(22)의 주축(42)에 대해 2°보다 큰, 특히 4°보다 큰 각도를 갖는다.
타겟 재료(12)는 레이저 빔(18, 20, 50)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증발할 수 있다. 그 결과, 일부 경우에, 타겟 재료(12)의 이동은 대략 타겟 평면(14)에서만 발생할 수 있다. 타겟 평면(14)으로부터의 타겟 재료(12)의 궤적의 편차들은 도면에서 개략적으로 과장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EUV 빔 생성 장치(55)의 일부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포커싱 장치(10)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포커싱 장치(10)의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된 차이를 제외하고 도 2에 따른 알려진 포커싱 장치(10)의 구조에 대응하며, 상기 알려진 포커싱 장치(10)의 구조는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참조된다.
도 3에 도시된 제 1 레이저 빔(18) 및 선택적인 제 3 레이저 빔(50)은 제 1 포커싱 요소(26)의 광축(30)에 대해 2°보다 큰, 특히 4°보다 큰 각도로 빔 성형 요소(26)에 닿는다. 제 1 빔 경로(22)의 주축(42)과 선택적인 제 3 빔 경로(52)의 주축(54)은 제 1 포커싱 요소(26)에서 제 1 포커싱 요소(26)의 광축(30)과 교차한다. 따라서, 제 1 포커싱 요소(26)에서 주축(42, 54)들은 제 1 포커싱 요소(26)의 광축(30)에 대해 오프셋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이미지(38)에서 약간의 왜곡(및 원거리 필드에서의 코마)이 생긴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도 빔 경로(22, 52)들은 타겟 재료의 궤적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또는 평행 이미지 평면을 갖는다.
도 3은 제 1 레이저 빔(18)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빔 소스(56), 제 2 레이저 빔(20)을 생성하기 위한 제 2 빔 소스(58), 및 제 3 레이저 빔(50)을 생성하기 위한 선택적인 제 3 빔 소스(6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서는 타겟 재료(12)가 진공 챔버(64)의 타겟 영역(62) 내로 도입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진공 챔버(64)는 제 1 레이저 빔(18) 또는 제 1 빔 경로(22)의 진입을 위한 제 1 개구(66)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인 제 3 레이저 빔(50) 또는 제 3 빔 경로(52)는 제 1 개구(66)를 통해 진공 챔버(64) 내로 들어갈 수 있다. 진공 챔버(64)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2 레이저 빔(20) 또는 제 2 빔 경로(24)의 진입을 위한 제 2 개구(68)를 가질 수 있다.
모든 도면을 요약하면, 본 발명은 특히 EUV 방사선을 생성하기 위한 포커싱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포커싱 장치(10)는 타겟 평면(14) 상의 타겟 재료(12)를 조명하도록 설계된다. 포커싱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빔 성형 요소(26, 28)를 포함하며, 상기 빔 성형 요소(26, 28)의 광축(30, 32)은 타겟 평면(14)에 수직이다. 결과적으로, 이미지 평면은 포커싱 요소(26, 28)들 중 하나를 통해 안내되는 레이저 빔(18, 20)에 의해 타겟 평면(14)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이는 타겟 재료(12)의 효율적인 조사를 가능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빔(18, 20)의 완전히 왜곡 없는 이미징은 이 레이저 빔(18, 20)의 빔 경로의 주축을, 이 레이저 빔(18, 20)이 안내되는 포커싱 요소(26, 28)의 광축(30, 32)에 대해 오프셋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 3 레이저 빔(50)은 타겟 재료(12)의 중간 조사를 위해 포커싱 요소(26, 28)들 중 하나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10: 포커싱 장치
12: 타겟 재료
14: 타겟 평면
16: 비행 방향
18: 제 1 레이저빔
20: 제 2 레이저 빔
22: 제 1 빔 경로
24: 제 2 빔 경로
26: 제 1 포커싱 요소
28: 제 2 포커싱 요소
30: 제 1 포커싱 요소(26)의 광축
32: 제 2 포커싱 요소(28)의 광축
34: 제 1 포커싱 요소(26)의 초점면
36: 제 2 포커싱 요소(28)의 초점면
38: 이미지
40: 관찰 방향
42: 제 1 빔 경로(22)의 주축
44: 제 2 빔 경로(24)의 주축
46: 편향 거울
48: 편향 거울
50: 제 3 레이저빔
52: 제 3 빔 경로
54: 제 3 빔 경로(52)의 주축
55: EUV 빔 생성 장치
56: 제 1 빔 소스
58: 제 2 빔 소스
60: 제 3 빔 소스
62: 타겟 영역
64: 진공 챔버
66: 진공 챔버(62)의 제 1 개구
68: 진공 챔버(62)의 제 2 개구
70: 반사 광학 요소
72: 반사 광학 요소(70)의 광축

Claims (13)

  1. EUV 방사선을 생성하기 위해 타겟 영역(62)에서 이동하는 타겟 재료(12)에 적어도 2개의 레이저 빔을 포커싱하기 위한 포커싱 장치(10)로서,
    a) 상기 타겟 영역(62) 내의 제 1 위치 상의 상기 타겟 재료(12)에 제 1 레이저 빔(18)을 포커싱하기 위한 제 1 포커싱 요소(26);
    b) 상기 타겟 영역(62) 내의 제 2 위치 상의 상기 타겟 재료(12)에 제 2 레이저 빔(20)을 포커싱하기 위한 제 2 포커싱 요소(28);
    c) 상기 타겟 재료(12)에 의해 생성된 EUV 방사선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 광학 요소(70)를 포함하는, 상기 포커싱 장치(10)에 있어서,
    d) 상기 제 1 포커싱 요소(26)의 광축(30) 및/또는 상기 제 2 포커싱 요소(28)의 광축(32)은 상기 반사 광학 요소(70)의 광축(72)에 대략 평행하거나 합동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장치(10)는,
    e) 상기 제 1 레이저 빔(18)을 상기 제 1 포커싱 요소(26)와 상기 타겟 영역(62) 사이에서 제 1 주축(42)을 따라 안내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1 주축(42)은 상기 제 1 포커싱 요소(26)의 상기 광축(30)에 대해 오프셋되고 및/또는 기울어져 있고; 및/또는
    f) 상기 제 2 레이저 빔(20)을 상기 제 2 포커싱 요소(28)와 상기 타겟 영역(62) 사이에서 제 2 주축(44)을 따라 안내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2 주축(44)은 상기 제 2 포커싱 요소(28)의 상기 광축(32)에 대해 오프셋되고 및/또는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빔 성형 요소(26)는 그 광축(30)에 대해 회전 대칭인 포커싱 요소의 단면 형태로 설계되고; 및/또는
    상기 제 2 빔 성형 요소(28)는 그 광축(32)에 대해 회전 대칭인 포커싱 요소의 단면 형태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커싱 요소(26)와 상기 제 2 포커싱 요소(28)의 광축들(30, 32)은 상기 반사 광학 요소(70)의 상기 광축(72)에 대략 평행하거나, 평행하거나 합동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 1 포커싱 요소(26)와 상기 제 2 포커싱 요소(28)의 광축(30, 32)들은 서로 3mm 미만만큼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빔 성형 요소(26)는 렌즈 또는 거울의 형태로 설계되고; 및/또는
    상기 제 2 빔 성형 요소(28)는 렌즈 또는 거울의 형태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 1 포커싱 요소(26) 하류에 이중 거울 배열이 있고; 및/또는
    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 2 포커싱 요소(28) 하류에 이중 거울 배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장치(10)는 제 3 레이저 빔(50)을 제 3 주축(54)을 따라 상기 제 1 빔 성형 요소(26)로부터 상기 타겟 영역(62)으로 안내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3 주축(54)은 상기 제 1 레이저 빔(18)의 상기 제 1 주축(42)에 대해 2°보다 큰, 특히 4°보다 큰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장치.
  8. 타겟 재료(12)가 타겟 영역(62)으로 도입되어 EUV 방사선을 생성할 수 있는 진공 챔버(64),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타겟 영역에서 이동하는 타겟 재료(12)에 적어도 2개의 레이저 빔들을 포커싱하기 위한 포커싱 장치, 및 제 1 레이저 빔(18)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빔 소스(56)와 제 2 레이저 빔(20)을 생성하기 위한 제 2 빔 소스(58)를 포함하는 EUV 빔 생성 장치(55).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저 빔(18)은 제 1 파장을 갖고, 상기 제 2 레이저 빔(20)은 상기 제 1 파장과는 다른 제 2 파장을 갖는, EUV 빔 생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은 500 내지 1200nm이고, 상기 제 2 파장은 8㎛ 내지 12㎛인, EUV 빔 생성 장치.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저 빔(18)은 펄스화되고 및/또는 상기 제 2 레이저 빔(20)은 펄스화된, EUV 빔 생성 장치.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레이저 빔(50)을 생성하기 위한 제 3 빔 소스(60)를 갖춘 제 8 항에 따른 포커싱 장치를 포함하는, EUV 빔 생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레이저 빔(50)은 펄스화되고 및/또는 상기 제2 레이저 빔(20)과는 다른 파장 및/또는 상기 제 2 레이저 빔(20)과는 다른 편광을 갖는, EUV 빔 생성 장치.
KR1020247004446A 2021-07-28 2022-07-27 타겟 평면과 평행하거나 합동인 이미지 평면을 갖춘 포커싱 장치 KR202400372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88167.7A EP4125165B1 (de) 2021-07-28 2021-07-28 Fokussiereinrichtung mit einer parallel oder deckungsgleich zu einer targetebene verlaufenden bildebene
EP21188167.7 2021-07-28
PCT/EP2022/071088 WO2023006821A1 (de) 2021-07-28 2022-07-27 Fokussiereinrichtung mit einer parallel oder deckungsgleich zu einer targetebene verlaufenden bildebe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266A true KR20240037266A (ko) 2024-03-21

Family

ID=7710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4446A KR20240037266A (ko) 2021-07-28 2022-07-27 타겟 평면과 평행하거나 합동인 이미지 평면을 갖춘 포커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68306A1 (ko)
EP (1) EP4125165B1 (ko)
KR (1) KR20240037266A (ko)
CN (1) CN117769793A (ko)
IL (1) IL310429A (ko)
TW (1) TW202321756A (ko)
WO (1) WO2023006821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8243B2 (ja) * 2007-10-25 2014-04-02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Euv光の放射方法、および前記euv光を用いた感応基板の露光方法
US9265136B2 (en) * 2010-02-19 2016-02-16 Gigaphoton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extreme ultraviolet light
JP5758662B2 (ja) * 2011-03-23 2015-08-05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極端紫外光生成装置及び極端紫外光生成方法
JP6134313B2 (ja) * 2012-04-27 2017-05-24 ギガフォトン株式会社 レーザシステム及び極端紫外光生成システム
WO2015036025A1 (de) 2013-09-12 2015-03-19 Trumpf Laser- Und Systemtechnik Gmbh Strahlführungseinrichtung und euv-strahlungserzeugungsvorrichtung mit einer überlagerungseinrichtung
EP3045022B1 (de) 2013-09-12 2017-11-08 TRUMPF Lasersystems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GmbH Strahlführungseinrichtung und euv-strahlungserzeugungsvorrichtung mit einer überlagerungseinrichtung
JP7356439B2 (ja) * 2018-04-03 2023-10-04 エーエスエムエル ネザーランズ ビー.ブイ. 光ビームの空間変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21756A (zh) 2023-06-01
EP4125165B1 (de) 2023-11-01
EP4125165A1 (de) 2023-02-01
WO2023006821A1 (de) 2023-02-02
CN117769793A (zh) 2024-03-26
US20240168306A1 (en) 2024-05-23
IL310429A (en) 202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5136B2 (ja) シート光を発生するための光学装置
US8022332B2 (en) Laser processing device
JP4762593B2 (ja) 外部レーザ導入装置
US10327318B2 (en) Adjusting a beam diameter and an aperture angle of a laser beam
US9939633B2 (en) Flat field telecentric scanner with diffraction limited performance
US9766442B2 (en) Confocal scanner and confocal microscope
JP5384350B2 (ja) 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
TWI576612B (zh) 光照射裝置及描繪裝置
JP6341500B2 (ja) レーザレーダ装置
TWI576188B (zh) 光照射裝置及描繪裝置
JP2016109517A (ja) レーザレーダ装置
US4723845A (en) Optical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position
WO2015098130A1 (ja) 2次元走査型のレーザビーム投射装置およびレーザレーダ装置
JP6417198B2 (ja) 2次元走査型のレーザビーム投射装置およびレーザレーダ装置
KR20080039449A (ko) 선 초점을 생성하기 위한 광학 시스템, 그러한 광학시스템을 이용하는 스캐닝 시스템, 및 기판의 레이저 공정방법
US11112615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generation of a double or multiple spot in laser material processing
KR20240037266A (ko) 타겟 평면과 평행하거나 합동인 이미지 평면을 갖춘 포커싱 장치
JP7431756B2 (ja) 光学配置とレーザシステム
JP2012145687A (ja) 走査型顕微鏡
JP2012042513A (ja) ビーム整形光学系および走査型顕微鏡
TWI697162B (zh) 用於產生線狀的強度分佈的雷射輻射的裝置
TWI834736B (zh) 雷射加工系統
US20230341679A1 (en) Optical apparatus and processing apparatus
JP6014767B2 (ja) レーザ光を収束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H10282441A (ja) 光源装置及びその光源装置を備えたマルチビーム走査光学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