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006A -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006A
KR20240037006A KR1020220115759A KR20220115759A KR20240037006A KR 20240037006 A KR20240037006 A KR 20240037006A KR 1020220115759 A KR1020220115759 A KR 1020220115759A KR 20220115759 A KR20220115759 A KR 20220115759A KR 20240037006 A KR20240037006 A KR 20240037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frame
seat cushion
reinforcing
seat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정찬호
김무영
이상학
정호석
임덕수
박상도
백인선
양신찬
조찬기
이명수
장재용
황준식
강호성
곽해동
고현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5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006A/ko
Priority to US18/105,472 priority patent/US20240083384A1/en
Publication of KR20240037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00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어 패널에 시트쿠션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슬라이딩 기능이 적용된 레그부가 장착되고, 이 레그부에 버클이 장착된 시트쿠션 프레임이 슬라이딩 구조물에 의하여 장착되는 경우, 시트쿠션 프레임이 레그부에 슬라이딩 구조물에 의하여 연결되어 강도적인 측면에서 취약한 것을 보강하고자, 레그부와 시트쿠션 프레임 간에 하중 보강 구조물을 연결함으로써, 차량 충돌사고시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인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으로 전달되더라도, 하중 보강 구조물에 의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이 레그부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Device for reinforcement strength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시 시트벨트 등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하여, 레그부에 슬라이딩 구조물에 의하여 연결되어 강도적인 측면에서 취약한 시트쿠션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벨트 착용을 위한 구성은 시트벨트의 잠금 및 인출을 위하여 차체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리트렉터(Retractor),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되는 시트벨트를 승객쪽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차체에 장착되는 앵커(Anchor), 시트벨트에 체결되는 텅(Tongue), 그리고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되는 버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벨트 착용을 위해 승객이 텅을 원하는 위치까지 잡아 당기면, 리트렉터로부터 앵커를 경유하여 시트벨트가 인출되고, 텅을 버클에 락킹되게 삽입시킴으로써, 시트벨트 착용이 완료된다.
이에, 차량 급정거 또는 충돌사고시 리트렉터의 시트벨트 잠금 기능이 발휘됨으로써, 시트벨트를 착용한 승객의 신체가 전방으로 급격히 쏠리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충돌사고 등으로 인하여 전방으로 급격히 쏠리는 승객의 신체 하중이 시트벨트에 작용할 때, 시트벨트의 텅이 버클에 체결된 상태, 그리고 버클이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이 텅과 버클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텅과 버클 간의 체결 강도 뿐만 아니라 시트쿠션 프레임에 대한 버클의 장착 강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대한 버클의 장착 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트벨트의 안전도 시험의 일종인 시트벨트 앵커리지 테스트(SEAT BELT ANCHORAGE TEST)를 실시하고 있다.
상기 시트벨트 앵커리지 테스트는 각종 사양의 시트에 인체 모형을 착석시킴과 함께 시트벨트를 착용시킨 다음, 충돌사고를 모사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인체 모형을 전방으로 잡아 당길 때, 인체 모형에 의하여 시트벨트에 작용되는 하중(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으로 인하여, 시트벨트의 텅과 결합된 버클이 시트쿠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을 말한다.
참고로, 차량의 충돌사고 등으로 인하여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 등을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라 칭한다.
그러나, 각종 사양의 다양한 차량 시트에 대한 시트벨트 앵커리지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차량 시트의 사양 중 시트쿠션 프레임의 저부에 장착된 이동레일이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고정레일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타입과 달리, 시트쿠션 프레임이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레그부에 직접 장착되는 타입의 경우,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으로 인하여 버클이 장착된 시트쿠션 프레임이 레그부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부연하면, 차량 시트 사양 중 시트쿠션 프레임이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레그부에 직접 장착되는 타입의 경우, 차량의 충돌사고 등으로 인하여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 즉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으로 전달될 때, 버클이 시트쿠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지만, 오히려 시트쿠션 프레임이 레그부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차량의 충돌사고 등으로 인하여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 즉,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으로 전달될 때, 시트쿠션 프레임이 레그부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면,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된 버클도 제위치를 벗어나게 되므로, 결국 승객이 시트벨트에 의하여 보호되지 못하면서 관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벗어나게 됨으로써, 승객 상해치가 증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플로어 패널에 시트쿠션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레그부가 장착되고, 이 레그부에 버클이 장착된 시트쿠션 프레임이 슬라이딩 구조물에 의하여 장착되는 경우, 시트쿠션 프레임이 레그부에 슬라이딩 구조물에 의하여 연결되어 강도적인 측면에서 취약한 것을 보강하고자, 레그부와 시트쿠션 프레임 간에 하중 보강 구조물을 연결함으로써, 차량 충돌사고시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인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으로 전달되더라도, 하중 보강 구조물에 의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이 레그부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는 레그부; 상기 레그부에 슬라이딩 구조물에 의하여 장착되는 시트쿠션 프레임; 및 상기 레그부와 시트쿠션 프레임 간에 연결되는 하중 보강 구조물; 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으로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전달될 때, 상기 하중 보강 구조물에 의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이 레그부에 락킹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중 보강 구조물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간에 연결되는 횡파이프; 상기 횡파이프에 장착되는 서포트 와이어; 및 하단부는 상기 레그부에 장착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후크부가 형성된 서포트 브라켓;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하중 보강 구조물의 구성 중, 상기 서포트 와이어는 사각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어, 그 상단부가 상기 횡파이프에 용접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하중 보강 구조물의 구성 중,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상기 레그부에 장착되는 제1하판과, 제1하판으로부터 수직 절곡된 제1상판과, 제1상판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후크부로 구성되는 제1서포트 브라켓; 상기 레그부에 장착되는 제2하판과, 제2하판으로부터 수직 절곡된 제2상판과, 제2상판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2후크부로 구성되는 제2서포트 브라켓;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하판과 제2하판은 상기 레그부에 용접 또는 볼팅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상판과 제2상판이 밀착되는 동시에 상기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가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며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에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중 보강 구조물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간에 연결되는 횡파이프; 상단부는 상기 횡파이프에 장착되고, 하단부에는 후크부가 형성된 서포트 브라켓; 및 상기 레그부에 장착되어 상기 후크부에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서포트 와이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하중 보강 구조물의 구성 중, 상기 서포트 와이어는 사각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어, 그 하단부가 상기 레그부에 용접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하중 보강 구조물의 구성 중,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상단부에 상기 횡파이프에 밀착되는 제1요홈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후크부가 형성된 제1서포트 브라켓; 상단부에 상기 횡파이프에 밀착되는 제2요홈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2후크부가 형성된 제2서포트 브라켓;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요홈부와 제2요홈부는 상기 횡파이프에 밀착되어 용접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서포트 브라켓과 제2서포트 브라켓이 밀착되는 상기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가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며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에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중 보강 구조물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간에 연결되는 횡파이프; 상기 횡파이프에 장착되는 서포트 와이어; 및 전단부 및 후단부는 상기 레그부에 장착되고,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는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전후 이동 및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홀이 형성된 서포트 브라켓;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구현예에 따른 하중 보강 구조물의 구성 중, 상기 서포트 와이어는 사각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어, 그 상단부가 상기 횡파이프에 용접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구현예에 따른 하중 보강 구조물의 구성 중,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상기 레그부에 전후로 이격되며 장착되는 프론트 플레이트와 리어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리어 플레이트 간에 일체로 연결되고, 저부에 상기 슬라이드홀이 형성된 연결플레이트;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프론트 플레이트와 리어 플레이트는 상기 레그부에 밀착되어 볼팅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홀의 전후 길이는 시트쿠션 프레임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하는 서포트 와이어의 최대 전진 또는 후진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레그부와 버클이 장착된 시트쿠션 프레임이 슬라이딩 구조물에 의하여 장착되는 경우, 시트쿠션 프레임이 레그부에 슬라이딩 구조물에 의하여 연결되어 강도적인 측면에서 취약한 것을 보강하고자, 레그부와 시트쿠션 프레임 간에 하중 보강 구조물을 연결함으로써, 차량 충돌사고시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으로 전달되더라도, 시트쿠션 프레임이 하중 보강 구조물에 의하여 레그부에 락킹되는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쿠션 프레임이 레그부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차량의 충돌사고 등으로 인하여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으로 전달되더라도, 하중 보강 구조물에 의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이 변형되지 않고 레그부에 장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충돌 사고시 시트쿠션 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승객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차량의 충돌사고 등으로 인하여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으로 전달되더라도, 하중 보강 구조물에 의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이 변형되지 않고 레그부에 장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된 버클도 제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승객의 시트벨트 착용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로서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방 이동 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로서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방 이동 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는 레그부(10)에 시트쿠션 프레임(20)이 장착되되, 슬라이딩 구조물(40)에 의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레그부(10)에 슬라이딩홀(42)을 갖는 슬라이딩 가이드브라켓(41)이 장착되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에 형성된 슬라이딩핀(43)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브라켓(41)의 슬라이딩홀(42)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레그부(10)에 시트쿠션 프레임(2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레그부(10)와 시트쿠션 프레임(20)이 위와 같은 슬라이딩 구조물(40)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시트쿠션 프레임(20)이 강도적인 측면에서 취약해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레그부(10)와 슬라이딩 구조물(40)에 의하여 연결된 시트쿠션 프레임(20)의 후측방 부분에 대한 강도가 취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사고 등으로 인하여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으로 전달될 때, 버클이 시트쿠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지만, 오히려 시트쿠션 프레임이 레그부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는 레그부(10)에 시트쿠션 프레임(20)이 슬라이딩 구조물(40)에 의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에 있어서, 레그부와 시트쿠션 프레임의 후단부 간에 하중 보강 구조물을 보강 연결하여, 차량 충돌사고시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으로 전달되더라도, 시트쿠션 프레임이 하중 보강 구조물에 의하여 레그부에 락킹되는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쿠션 프레임이 레그부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을 각 실시예별로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제1실시예
첨부한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은 레그부를 지시한다.
상기 레그부(10)는 리어 시트용 시트쿠션 프레임(20)의 장착 자리면이면서 시트쿠션 프레임(20)을 받쳐주며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차량 실내의 플로어 패널(미도시됨)에 용접 내지 볼팅에 의하여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은 리어 시트쿠션의 골격체로서 그 저면부가 상기 레그부(10) 상에 볼팅 등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의 일측부에는 시트벨트의 텅을 체결시키기 위한 버클(미도시됨)이 장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이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레그부((10)에 직접 장착되는 타입의 경우, 차량의 충돌사고 등으로 인하여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 즉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으로 전달될 때, 버클이 시트쿠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지만, 오히려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이 레그부(10)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이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에 의하여 레그부(10)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과 레그부(10) 간에 하중 보강 구조물(100)이 연결된다.
이에,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으로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전달될 때, 상기 하중 보강 구조물(100)에 의하여 시트쿠션 프레임(20)이 레그부(10)에 락킹되는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쿠션 프레임(20)이 레그부(10)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중 보강 구조물(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의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22) 간에 연결되는 횡파이프(24)와, 상기 횡파이프(24)에 장착되는 서포트 와이어(110)와, 상기 서포트 와이어(110)가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후크부(121-3,122-3)를 갖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레그부(10)에 장착되는 서포트 브라켓(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트 브라켓(120)의 하단부는 상기 레그부(10)에 장착되고, 서포트 브라켓(120)의 상단부에 상기 서포트 와이어(110)가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후크부(121-3,122-3)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 와이어(110)는 사각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어, 그 상단부가 상기 횡파이프(24)에 용접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포트 브라켓(120)은, 상기 레그부(10)에 대한 하중 분산 및 레그부(10)와의 결합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시트쿠션 프레임(20)으로 전달되는 방향이 다름에 따라 시트쿠션 프레임(20)의 후단부가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분리되며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밀착되는 제1서포트 브라켓(121)과 제2서포트 브라켓(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서포트 브라켓(120)은,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시트쿠션 프레임(20)으로 전달되는 방향이 다름에 따라 시트쿠션 프레임(20)의 후단부가 일측방향으로 분리되며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서포트 브라켓(121)과, 시트쿠션 프레임(20)의 후단부가 타측방향으로 분리되며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서포트 브라켓(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서포트 브라켓(121)은 상기 레그부(10)에 장착되는 제1하판(121-1)과, 제1하판(121-1)으로부터 수직 절곡된 제1상판(121-2)과, 제1상판(121-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 와이어(110)가 삽입되는 제1후크부(121-3)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서포트 브라켓(122)은 상기 레그부(10)에 장착되는 제2하판(122-1)과, 제2하판(122-1)으로부터 수직 절곡된 제2상판(122-2)과, 제2상판(122-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 와이어(110)가 삽입되는 제2후크부(122-3)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하판(121-1)과 제2하판(121-1)은 상기 레그부(10)에 용접 또는 볼팅에 의하여 장착됨으로써, 제1서포트 브라켓(121)과 제2서포트 브라켓(122)이 레그부(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하판(121-1)과 제2하판(121-1)이 상기 레그부(10)에 용접 또는 볼팅에 의하여 장착될 때, 상기 제1상판(121-2)과 제2상판(122-2)이 서로 밀착되는 동시에 상기 제1후크부(121-3)와 제2후크부(122-3)가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며 서로 밀착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하판(121-1)과 제2하판(121-1)이 상기 레그부(10)에 용접 또는 볼팅에 의하여 장착될 때, 상기 서포트 와이어(110)가 제1후크부(121-3)와 제2후크부(122-3)에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과 레그부(10) 간에 장착되는 전후 슬라이딩 및 틸팅 메커니즘(30)에 의하여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상기 서포트 와이어(110)도 함께 이동되어 서포트 와이어(110)가 상기 제1후크부(121-3)와 제2후크부(122-3)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후크부(121-3)와 제2후크부(122-3)의 전후방향 길이를 도 2에 점선박스 및 화살표로 지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거리에 맞게 더 증가시켜 줌으로써, 상기 서포트 와이어(110)가 상기 제1후크부(121-3)와 제2후크부(122-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20)으로 전달되면, 도 3에 화살표로 지시한 바와 같이 시트쿠션 프레임(20)의 횡파이프(24)에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당겨주는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인가될 수 있지만, 시트쿠션 프레임(20)의 횡파이프(24)에 장착된 서포트 와이어(110)가 레그부(10)에 장착된 제1 및 제2서포트 브라켓(121,122)의 각 후크부(121-3, 122-3)에 걸려서 락킹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시트쿠션 프레임(20)이 레그부(10)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충돌사고시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인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20)으로 전달되더라도, 시트쿠션 프레임(20)이 하중 보강 구조물(100)에 의하여 레그부(10)에 락킹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시트쿠션 프레임(20)이 레그부(10)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충돌사고시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인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20)으로 전달되더라도, 상기 하중 보강 구조물(100)에 의하여 시트쿠션 프레임(20)이 변형되지 않고 레그부(10)에 장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시트쿠션 프레임(20)에 장착된 버클도 제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충돌사고시에도 승객의 시트벨트 착용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첨부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은 레그부를 지시한다.
상기 레그부(10)는 리어 시트용 시트쿠션 프레임(20)의 장착 자리면이면서 시트쿠션 프레임(20)을 받쳐주며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차량 실내의 플로어 패널(미도시됨)에 용접 내지 볼팅에 의하여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은 리어 시트쿠션의 골격체로서 그 저면부가 상기 레그부(10) 상에 볼팅 등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의 일측부에는 시트벨트의 텅을 체결시키기 위한 버클(미도시됨)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이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에 의하여 레그부(10)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과 레그부(10) 간에 하중 보강 구조물(200)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중 보강 구조물(200)은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서포트 와이어와 서포트 브라켓의 형상 및 장착 위치가 다른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중 보강 구조물(2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의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22) 간에 연결되는 횡파이프(24)와, 상기 레그부(10)에 장착되는 서포트 와이어(210)와, 상기 서포트 와이어(210)가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후크부(221-3,222-3)를 갖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횡파이프(24)에 장착되는 서포트 브라켓(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트 브라켓(120)의 상단부는 상기 횡파이프(24)에 장착되고, 서포트 브라켓(120)의 하단부에 상기 서포트 와이어(210)가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후크부(221-3,222-3)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 와이어(210)는 사각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어, 그 하단부가 상기 레그부(10)에 용접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포트 브라켓(220)은, 상기 레그부(10)에 대한 하중 분산 및 레그부(10)와의 결합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시트쿠션 프레임(20)으로 전달되는 방향이 다름에 따라 시트쿠션 프레임(20)의 후단부가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분리되며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밀착되는 제1서포트 브라켓(221)과 제2서포트 브라켓(2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서포트 브라켓(221)은 그 상단부에 상기 횡파이프(24)에 밀착되는 제1요홈부(221-1)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서포트 와이어(210)가 삽입되는 제1후크부(221-3)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제2서포트 브라켓(222)은 그 상단부에 상기 횡파이프(24)에 밀착되는 제2요홈부(222-1)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서포트 와이어(210)가 삽입되는 제2후크부(222-3)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요홈부(221-1)와 제2요홈부(222-1)는 상기 횡파이프(24)의 외경면에 밀착되어 용접에 의하여 장착됨으로써, 제1서포트 브라켓(221)과 제2서포트 브라켓(222)이 횡파이프(24)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요홈부(221-1)와 제2요홈부(222-1)가 상기 횡파이프(24)에 용접에 의하여 장착될 때, 제1서포트 브라켓(221)과 제2서포트 브라켓(222)이 서로 밀착되는 동시에 상기 제1후크부(221-3)와 제2후크부(222-3)가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며 상태로 배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요홈부(221-1)와 제2요홈부(222-1)가 상기 횡파이프(24)에 용접에 의하여 장착될 때, 상기 서포트 와이어(210)가 제1후크부(221-3)와 제2후크부(222-3)에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과 레그부(10) 간에 장착되는 전후 슬라이딩 및 틸팅 메커니즘(30)에 의하여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상기 제1 및 제2서포트 브라켓(221,222)도 함께 이동되어, 레그부(10)에 장착된 서포트 와이어(210)가 상기 제1후크부(221-3)와 제2후크부(222-3)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후크부(221-3)와 제2후크부(222-3)의 전후방향 길이를 도 5에 점선박스 및 화살표로 지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거리에 맞게 더 증가시켜 줌으로써, 상기 서포트 와이어(210)가 상기 제1후크부(221-3)와 제2후크부(222-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20)으로 전달되면, 시트쿠션 프레임(20)의 횡파이프(24)에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당겨주는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인가될 수 있지만, 시트쿠션 프레임(20)의 횡파이프(24)에 장착된 제1 및 제2서포트 브라켓(221,222)의 각 후크부(221-3, 222-3)에 상기 레그부(10)에 장착된 서포트 와이어(110)가 걸려서 락킹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시트쿠션 프레임(20)이 레그부(10)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충돌사고시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인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20)으로 전달되더라도, 시트쿠션 프레임(20)이 하중 보강 구조물(200)에 의하여 레그부(10)에 락킹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시트쿠션 프레임(20)이 레그부(10)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충돌사고시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인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20)으로 전달되더라도, 상기 하중 보강 구조물(200)에 의하여 시트쿠션 프레임(20)이 변형되지 않고 레그부(10)에 장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시트쿠션 프레임(20)에 장착된 버클도 제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충돌사고시에도 승객의 시트벨트 착용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첨부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은 레그부를 지시한다.
상기 레그부(10)는 리어 시트용 시트쿠션 프레임(20)의 장착 자리면이면서 시트쿠션 프레임(20)을 받쳐주며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차량 실내의 플로어 패널(미도시됨)에 용접 내지 볼팅에 의하여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은 리어 시트쿠션의 골격체로서 그 저면부가 상기 레그부(10) 상에 볼팅 등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의 일측부에는 시트벨트의 텅을 체결시키기 위한 버클(미도시됨)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이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에 의하여 레그부(10)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과 레그부(10) 간에 하중 보강 구조물(300)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중 보강 구조물(300)은 제1 및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시 서포트 와이어가 서포트 브라켓으로 이탈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중 보강 구조물(30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의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22) 간에 연결되는 횡파이프(24)와, 상기 횡파이프(24)에 장착되는 서포트 와이어(310)와, 상기 서포트 와이어(310)가 전후 이동 및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홀(324)을 갖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레그부(10)에 장착되는 서포트 브라켓(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 와이어(310)는 사각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어, 그 상단부가 상기 횡파이프(24)에 용접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포트 브라켓(320)은, 상기 레그부(10)에 전후로 이격되며 장착되는 프론트 플레이트(321)와 리어 플레이트(323),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21)와 리어 플레이트(323) 간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322)로 구성될 수 있고, 특히 상기 연결플레이트(322)의 저부에는 서포트 와이어(310)가 전후 이동 및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홀(324)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홀(324)의 전후 길이는 시트쿠션 프레임(20)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하는 서포트 와이어(310)의 풀 이동 스크로크 즉, 최대 전진 또는 후진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의 전후 이동시 서포트 와이어(310)의 전후 이동 및 락킹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21)와 리어 플레이트(323)가 상기 레그부(10)에 밀착되어 볼팅에 의하여 장착됨으로써, 서포트 브라켓(320)이 레그부(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21)와 리어 플레이트(323)가 상기 레그부(10)에 밀착되어 볼팅될 때, 상기 서포트 와이어(310)를 미리 슬라이드홀(324)에 삽입하여 갇혀진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서포트 와이어(310)가 슬라이드홀(324)에 전후 이동 및 락킹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과 레그부(10) 간에 장착되는 전후 슬라이딩 및 틸팅 메커니즘(30)에 의하여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횡파이프(24)에 장착된 서포트 와이어(310)가 함께 이동될 때, 서포트 와이어(310)가 슬라이드홀(324)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고, 또한 서포트 와이어(310)가 슬라이드홀(32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기 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파이프(24)에 장착된 서포트 와이어(310)가 서포트 브라켓(320)의 슬라이드홀(324) 구간 중 가장 뒤쪽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파이프(24)에 장착된 서포트 와이어(310)가 서포트 브라켓(320)의 슬라이드홀(324) 구간 중 가장 앞쪽이 위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20)으로 전달되면, 시트쿠션 프레임(20)의 횡파이프(24)에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당겨주는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인가될 수 있지만, 시트쿠션 프레임(20)의 횡파이프(24)에 장착된 서포트 와이어(310)가 레그부(10)에 장착된 서포트 브라켓(320)의 슬라이드홀(324)에 걸려서 락킹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시트쿠션 프레임(20)이 레그부(10)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충돌사고시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인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20)으로 전달되더라도, 시트쿠션 프레임(20)이 하중 보강 구조물(300)에 의하여 레그부(10)에 락킹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시트쿠션 프레임(20)이 레그부(10)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변형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충돌사고시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승객의 신체 하중인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텅과 버클을 통하여 시트쿠션 프레임(20)으로 전달되더라도, 상기 하중 보강 구조물(300)에 의하여 시트쿠션 프레임(20)이 변형되지 않고 레그부(10)에 장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시트쿠션 프레임(20)에 장착된 버클도 제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충돌사고시에도 승객의 시트벨트 착용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각 실시예별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 레그부 20 : 시트쿠션 프레임
22 :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24 : 횡파이프
30 : 슬라이딩 및 틸팅 메커니즘 40 : 슬라이딩 구조물
41 : 슬라이딩 가이드브라켓 42 : 슬라이딩홀
43 : 슬라이딩핀
100 : 하중 보강 구조물 110 : 서포트 와이어
120 : 서포트 브라켓 121 : 제1서포트 브라켓
121-1 : 제1하판 121-2 : 제1상판
121-3 : 제1후크부 122 : 제2서포트 브라켓
122-1 : 제2하판 122-2 : 제2상판
122-3 : 제2후크부
200 : 하중 보강 구조물 210 : 서포트 와이어
220 : 서포트 브라켓 221 : 제1서포트 브라켓
221-1 : 제1요홈부 221-3 : 제1후크부
222 : 제2서포트 브라켓 222-1 : 제2요홈부
222-3 : 제2후크부
300 : 하중 보강 구조물 310 : 서포트 와이어
320 : 서포트 브라켓 321 : 프론트 플레이트
322 : 연결플레이트 323 : 리어 플레이트
324 : 슬라이드홀

Claims (16)

  1.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는 레그부;
    상기 레그부에 슬라이딩 구조물에 의하여 장착되는 시트쿠션 프레임; 및
    상기 레그부와 시트쿠션 프레임 간에 연결되는 하중 보강 구조물;
    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으로 시트벨트 앵커리지 하중이 전달될 때, 상기 하중 보강 구조물에 의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이 레그부에 락킹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중 보강 구조물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간에 연결되는 횡파이프;
    상기 횡파이프에 장착되는 서포트 와이어; 및
    하단부는 상기 레그부에 장착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후크부가 형성된 서포트 브라켓;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와이어는 사각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어, 그 상단부가 상기 횡파이프에 용접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상기 레그부에 장착되는 제1하판과, 제1하판으로부터 수직 절곡된 제1상판과, 제1상판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후크부로 구성되는 제1서포트 브라켓;
    상기 레그부에 장착되는 제2하판과, 제2하판으로부터 수직 절곡된 제2상판과, 제2상판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2후크부로 구성되는 제2서포트 브라켓;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하판과 제2하판은 상기 레그부에 용접 또는 볼팅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상판과 제2상판이 밀착되는 동시에 상기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가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며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에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중 보강 구조물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간에 연결되는 횡파이프;
    상단부는 상기 횡파이프에 장착되고, 하단부에는 후크부가 형성된 서포트 브라켓; 및
    상기 레그부에 장착되어 상기 후크부에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서포트 와이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와이어는 사각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어, 그 하단부가 상기 레그부에 용접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상단부에 상기 횡파이프에 밀착되는 제1요홈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후크부가 형성된 제1서포트 브라켓;
    상단부에 상기 횡파이프에 밀착되는 제2요홈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2후크부가 형성된 제2서포트 브라켓;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요홈부와 제2요홈부는 상기 횡파이프에 밀착되어 용접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서포트 브라켓과 제2서포트 브라켓이 밀착되는 상기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가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며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에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중 보강 구조물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간에 연결되는 횡파이프;
    상기 횡파이프에 장착되는 서포트 와이어; 및
    전단부 및 후단부는 상기 레그부에 장착되고,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는 상기 서포트 와이어가 전후 이동 및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홀이 형성된 서포트 브라켓;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와이어는 사각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어, 그 상단부가 상기 횡파이프에 용접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상기 레그부에 전후로 이격되며 장착되는 프론트 플레이트와 리어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리어 플레이트 간에 일체로 연결되고, 저부에 상기 슬라이드홀이 형성된 연결플레이트;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프론트 플레이트와 리어 플레이트는 상기 레그부에 밀착되어 볼팅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홀의 전후 길이는 시트쿠션 프레임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하는 서포트 와이어의 최대 전진 또는 후진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KR1020220115759A 2022-09-14 2022-09-14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KR20240037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759A KR20240037006A (ko) 2022-09-14 2022-09-14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US18/105,472 US20240083384A1 (en) 2022-09-14 2023-02-03 Vehicle seat reinforce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759A KR20240037006A (ko) 2022-09-14 2022-09-14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006A true KR20240037006A (ko) 2024-03-21

Family

ID=9014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759A KR20240037006A (ko) 2022-09-14 2022-09-14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83384A1 (ko)
KR (1) KR2024003700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83384A1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7304A (en)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and seat belt
US6886889B2 (en)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US7029067B2 (en) Vehicle seat including an integrated child seat
US7857350B2 (en) Seat apparatus for vehicle
JP5065542B2 (ja) 建設機械用シートベル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
US8104841B2 (en) Energy absorbing seat anchor restraint system for child safety seats
KR102017899B1 (ko) 차량용 시트
US20070126277A1 (en) Inboard buckle attachment for a four-way seat
US20080303325A1 (en) Child Seat for Vehicles
US11485256B2 (en) Seat sliding structure for vehicle
US8123293B2 (en) Seat assembly with rotatable seat bottom
US20100052378A1 (en) Seat assembly for a vehicle
US20120193960A1 (en) Reinforcement assembly for reinforcing a seat belt apparatus of a seat assembly
US20090167073A1 (en) Vehicle seats
US6719369B1 (en) Child seat arrangement on a motor vehicle seat
JP2015505772A (ja) 事故における車両座席の後方への変位を選択的に制御し、かつ削減するための装置
CA2775789C (en) Webbing adjuster for a seat belt assembly
JP2008279921A (ja) 車両用シート
KR20240037006A (ko) 자동차용 시트의 강도 보강 장치
US20060255633A1 (en) Vehicle passenger seat with tear-away upholstery cover
CN114212048A (zh) 用于车辆的座椅安全带的带扣的锁定装置
US10377339B2 (en) Seatbelt tensioning assembly
KR100803041B1 (ko) 차량의 리어시트부의 강도 보강 구조
JP4067344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EP4071005B1 (en) Seat belt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