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856A -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856A
KR20240036856A KR1020220115408A KR20220115408A KR20240036856A KR 20240036856 A KR20240036856 A KR 20240036856A KR 1020220115408 A KR1020220115408 A KR 1020220115408A KR 20220115408 A KR20220115408 A KR 20220115408A KR 20240036856 A KR20240036856 A KR 20240036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essel
post
unit
driving
cr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률
Original Assignee
동일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산업(주) filed Critical 동일산업(주)
Priority to KR1020220115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856A/ko
Priority to PCT/KR2023/013750 priority patent/WO2024058553A1/ko
Publication of KR20240036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8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04Cleaning containers having tubular shape, e.g. casks, barrels, drums
    • B08B9/0808Cleaning containers having tubular shape, e.g. casks, barrels, drums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e.g. by brushes,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7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e.g. brushes,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3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using scrapers, chains, grains of shot, sand or other abras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8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containers, e.g.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압력용기의 내측면에 고착되어 잔존하는 고형물질(일 예로서, 경화된 촉매 찌꺼기, 슬러지 등을 말함)을 파쇄 및 제거하기 위한,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는
압력용기의 내측면에 고착되는 내부잔존물 제거장치에 적용되고,
상기 압력용기의 개구부를 통해 투입 및 인출되고, 랙기어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포스트;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에 의해 상기 포스트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체에 장착되고, 내측단이 관절구동부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체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며 외측단이 상기 압력용기 내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승강체에 장착되는 제 1 선회유닛 구동에 의해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레그유닛;
상기 포스트 하부에 장착되는 제 2 선회유닛 구동에 의해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구동시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잔존물을 파쇄하기 위한 드럼-크러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device for clearing remains in the pressure vessel}
본 명세서는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압력용기 내측면에 고착되어 잔존(殘存)하는 고형물질(일 예로서, 경화된 촉매찌꺼기, 슬러지, 등을 말함)을 파쇄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석유화학 플랜트는 촉매 공정을 위한 반응기(Reactor)를 포함하게 된다. 반응기의 내부에 채워진 촉매는 반응기의 가동 시간이 누적될수록 비활성화되어 그 효율이 저하되므로 주기적으로 교체하게 된다.
반응기의 촉매 교체 작업시, 셧-다운(Shut-Down)되어 열기가 식은 반응기의 내부에는 돌덩이처럼 단단하게 고착된 촉매 찌꺼기가 존재하고, 이를 반응기의 외부로 언로딩(Unloading)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수의 작업자가 반응기 내부로 직접 들어가 드릴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흡입가능한 크기로 파쇄시킨 후, 석션 파이프(Suction Pipe)로 흡입하여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반응기로부터 촉매 찌꺼기를 파쇄 및 제거하는 모든 작업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져 작업자 피로도를 가중시키게 되고,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277862호(2021.7.19)에 정제 및 석유 화학 반응기 및 기타 베셀에서 촉매 및 기타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가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압력용기(pressure vessel), 반응기(reactor), 드럼(drum), 탱크 등의 용기 내측면에 고착된 고형물질을 파쇄 및 제거하는 드럼-크러셔 등을 압력용기의 내부 보강구조물에 간섭없이 승강시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포스트에 대해 레그유닛, 드럼-크러셔 및 석션유닛을 회전시킬 경우 다축 관절구동모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용기의 내측면에 고착되는 내부잔존물 제거장치에 적용되고,
상기 압력용기의 개구부를 통해 투입 및 인출되고, 랙기어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포스트;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에 의해 상기 포스트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체에 장착되고, 내측단이 관절구동부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체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며 외측단이 상기 압력용기 내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승강체에 장착되는 제 1 선회유닛 구동에 의해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레그유닛;
상기 포스트 하부에 장착되는 제 2 선회유닛 구동에 의해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구동시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잔존물을 파쇄하기 위한 드럼-크러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반응기 등의 내부에 고착된 촉매 찌꺼기를 교체하는 작업시 레그 유닛, 석션 유닛, 드럼-크러셔를 압력용기의 내부에 투입 및 승강시키는 작업이 무인 자동화공정에 의해 이루어져 작업자 피로도를 줄이고, 고형물질 등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파쇄 및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구조물(일 예로서, 보강리브 등을 말함)이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압력용기 내부에서 레그 유닛, 석션 유닛, 드럼-크러셔를 회전시킬 경우 다축 관절구동모터를 이용함에 따라 구조 간단화로 인해 부피를 축소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에서, 압력용기를 제외시킨 상태의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거장치에서, 포스트에 장착된 랙기어 및 피니언기어의 치합됨에 의해 레그유닛이 장착된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거장치에서, +자 형태로 형성되는 레그유닛의 평면 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거장치에서, 포스트에 대해 레그유닛, 석션유닛, 드럼-크러셔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의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거장치에서, 포스트에 대해 레그유닛을 정역방향으로 승강 및 회전시키는 구동부의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거장치에서, 드럼-크러셔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의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거장치에서, 작업자가 압력용기 내부를 모니터닝하면서 레그유닛, 석션유닛 및 드럼-크러셔의 승강모드 및 작업모드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 키트의 도면,
도 8(a,b,c,d)은 도 1에 도시된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a,b,c,d)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는
통상의 압력용기(일 예로서, 압력용기(pressure vessel), 반응기(reactor), 드럼(drum), 탱크 등의 용기를 의미하고, 이들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의 내측면에 고착되는 내부잔존물(일 예로서, 경화된 촉매 찌꺼기, 슬러지, 등을 의미하고, 이들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거장치에 적용되고,
압력용기(10)의 개구부를 통해 투입 및 인출되고, 통상의 랙기어(rack gear)(11)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포스트(post)(일 예로서, 통상의 H beam 또는 + 자형 스틸플레이트(steel plate)가 사용될 수 있다)(12);
정방향(시계 방향),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44)에 연결되고, 랙기어(11)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pinion gear)(13) 회전에 의해 포스트(12)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체(36)에 장착되고, 내측단이 통상의 관절구동부(45;45a,45b,45c,45d) 구동에 의해 승강체(36)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며 외측단이 압력용기(10) 내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며, 승강체(36)에 장착되는 제 1 선회유닛(14) 구동에 의해 포스트(2)를 중심축으로 180도 내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레그유닛(leg unit)(15,15a);
포스트(12) 하부에 장착되는 제 2 선회유닛(16) 구동에 의해 포스트(12)를 중심축으로 회전되고, 구동시 압력용기(10)의 내부잔존물을 파쇄하기 위한 통상의 드럼-크러셔(drum-crusher)(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포스트(12)에 장착되는 제 3 선회유닛(18) 구동에 의해 포스트(12)를 중심축으로 회전되고, 드럼-크러셔(17)에 의해 파쇄되는 파쇄물을 압력용기(10) 외부의 진공장치(미 도시)에 의해 흡입 및 배출하기 위한 석션유닛(suction unit)(1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술한 제 1 선회유닛(14)은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선회모터(swing motor)(46)와, 선회모터(46)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47)(swing reducer)와, 감속기(47)에 연결되는 제1기어(48)와, 제1기어(48)와 치합되어 기어비에 의해 감속되는 제2기어(49)를 포함하며, 포스트(12)를 중심축으로 레그유닛(15,15a)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위블조인트(swivel joint)(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 2 선회유닛(16) 및 제 3 선회유닛(18)은 이들의 구동에 의해 포스트(12)를 중심축으로 회전되는 드럼-크러셔(17) 및 석션유닛(19)을 제외한 구성은, 제 1 선회유닛(14)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한편, 전술한 제1,2,3 선회유닛(14,16,18)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내용에 속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8(a,b,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석션유닛(19)은
제 3 선회유닛(18)의 회전판(18a)에 고정되는 제 1 관절구동부(20) 구동에 의해 포스트(12)에 일단이 180도 내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연결관(21);
제 2 관절구동부(22) 구동에 의해 제 1 연결관(21) 타단에 180도 내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관(23);
제 3 관절구동부(24) 구동에 의해 제 2 연결관(23) 타단에 180도 내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파쇄물을 흡입하는 버큠흡입파이프(25);
버큠흡입파이프(25)에 연결되고, 버큠흡입파이프(25)에 흡입되는 파쇄물을 압력용기(1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플렉시블한 배출호스(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도 8(a,b,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드럼-크러셔(17)는
제 2 선회유닛(16)의 회전판(16a)에 고정되는 제 4 관절구동부(27) 구동에 의해 포스트(12)에 180도 내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통상의 제 1 실린더(28)가 신축가능하게 내설되는 제 1 하우징(29);
제 5 관절구동부(30) 구동에 의해 제 1 하우징(29) 타단에 180도 내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통상의 제 2 실린더(31)가 신축가능하게 내설되는 제 2 하우징(32);
제 6 관절구동부(33) 구동에 의해 제 2 하우징(32) 타단에 180도 내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상의 크러셔(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4관절구동부(27)는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51)와, 구동모터(51)를 회전가능하게 감싸 지지하는 케이스(52)와, 구동모터(51) 양측 출력축에 고정되어 임의각도내에서 회전되는 날개형 브라킷(53)을 구비한다.
전술한 제 5 관절구동부(30) 및 제 6 관절구동부(33)는 이들의 구동에 의해 제2하우징(32) 및 드럼-크러셔(17)를 회전시키는 것을 제외한 구성은 제 4 관절구동부(27)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제4,5,6 관절구동부(27,30,33)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내용에 속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8(a,b,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레그유닛(15,15a)은
포스트(12)의 상부 및 하부에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도 8(a,b,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레그유닛(15,15a)은 내부의 통상적인 실린더 구동에 의해 신축가능한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도 2, 도 4, 도 5, 도 8(a,b,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레그유닛(15,15a)의 내측단이 절첩가능하게 장착되며 포스트(12)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체(36)에 장착되고, 레그유닛(15,15a)을 포스트(12)를 따라 승강시킬 경우 포스트(12)에 지지되어 레그유닛(15,15a)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통상의 가이드롤러(35)(일 예로서, 4개가 사용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압력용기(10) 외부에 설치되고, 포스트(12) 상단에 와이어(wire)(40)를 통해 연결되며, 압력용기(10)의 내부잔존물을 제거하는 작업중 레그유닛(15,15a), 석션유닛(19) 및 드럼-크러셔(17)가 장착된 포스트(12)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통상의 윈치(winch)(4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포스트(12) 상부에 +자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신장구동되는 로드가 압력용기(10)의 개구부 내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레그유닛(15,15a), 석션유닛(19) 및 드럼-크러셔(17)가 장착된 포스트(12)를 압력용기(10) 내부에 투입시 중앙에서 수직으로 하강시키도록 유도하기 위한 통상의 쟈킷실린더(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작업자에 의해 압력용기(10) 외부에서 조작시 로드를 신축구동시키는 쟈킷실린더(39)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이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압력용기(10)의 내부잔존물을 자동화공정에 의해 제거하는 작업중, 내부 보강구조물(43)의 간섭으로 인해 이상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작업자가 압력용기(10) 내부를 모니터닝하면서 레그유닛(15,15a), 석션유닛(19) 및 드럼-크러셔(17)가 장착된 포스트(12)의 승강모드 및 내부잔존물을 파쇄시키는 작업모드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상의 리모트 컨트롤 키트(remote control kit)(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도 3, 도 8(a,b,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레그유닛(15,15a)의 단부에 형성되고, 압력용기(10) 내측면에 밀착되는 레그유닛(15,15a)의 접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통상의 마찰패드(friction pad)(37)(일 예로서, 실리콘재, 고무재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전술한 관절구동부(45;45a-45d)는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54)와, 구동모터(54)를 회전가능하게 감싸 지지하는 케이스(55)와, 구동모터(54)의 일측 출력축에 연결되어 임의각도내에서 회전되는 고정플레이트(56)를 구비한다.
전술한 제1,2,3관절부(20,22,24)는 제1연결관(21), 제2연결관(23), 버큠흡입파이프(25)를 회전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관절구동부(45;45a-45d)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관절구동부(45;45a-45d), 제1,2,3관절부(20,22,24)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내용에 속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a,b,c,d)에서와 같이, 전술한 압력용기(10) 내측면에 고착된 내부잔존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압력용기(10) 내부로 레그유닛(15,15a), 석션유닛(19) 및 드럼-크러셔(17)가 장착된 포스트(12)를 투입시킨다.
즉, 압력용기(10) 외부에 설치된 통상의 크레인(42) 구동에 의해 포스트(12)를 인양한 후, 크레인(42)의 릴에 권선된 와이어(40)를 이완시킴에 따라 압력용기(10)의 개구부를 통해 포스트(12)를 투입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용기(10)에 포스트(12)를 투입시킨 후에는 포스트(12)는 압력용기(10) 외부에 설치된 윈치(41)에 와이어(40)를 통해 메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압력용기(10) 내측면에 고착된 내부잔존물(일 예로서, 경화된 촉매 찌꺼기 등을 의미하고, 이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을 드럼-크러셔(17)의 크러셔(34) 구동에 의해 파쇄시킨 후, 파쇄물을 셕션유닛(19)에 의해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업중, 윈치(41)에 와이어(40)를 통해 연결된 포스트(12)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8(a)에서와 같이, 포스트(12)의 상부 및 하부에 장착된 승강체(36)에 관절구동부(45;45a-45d) 구동에 의해 각각 절첩가능하게 장착된 레그유닛(15,15a), 포스트(1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석션유닛(19)을 포스트(12)와 동일방향으로 접고, 드럼-크러셔(17)의 제1,2하우징(29,32) 및 크러셔(34)를 수직으로 전개시킨 상태에서 압력용기(10)의 개구부를 통과시켜 투입시킬 수 있다.
이때, 포스트(12) 상부에 +자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통상의 쟈킷실린더(39)(일 예로서, 4개가 사용됨)의 로드를 신장구동시켜 압력용기(10)의 개구부 내측면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포스트(12)를 압력용기(10) 내부에 투입시 정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침없이 수직으로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용기(10)의 개구부를 통과시킨 상부 및 하부 레그유닛(15,15a)중, 상부 레그유닛(15)은 포스트(12)에 접혀진 상태를 유지시키되, 하부 레그유닛(15a)은 관절구동부(45c,45d) 구동에 의해 포스트(12)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이의 내부에 형성된 실린더를 신장구동시킴에 따라 압력용기(10)의 곡면부 밑의 원통부(10a) 내측면에 외측단을 밀착시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12) 상부를 쟈킷실린더(39)에 의해 압력용기(10)의 개구부 내측면에 지지하고, 포스트(12) 중간을 하부 레그유닛(15a)에 의해 압력용기(10)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포스트(12)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체(36)에 장착된 제1구동모터(44)를 구동시킴에 따라 구동모터(44)에 연결된 피니언기어(13)와, 피니언기어(13)와 치합된 랙기어(11)가 형성된 포스트(12)를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12)에 장착된 석션유닛(19) 및 드럼-크러셔(17)를 압력용기(10) 내측면에 형성된 보강구조물(43)을 통과시켜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석션유닛(19) 및 드럼 크러셔(17)를 하강시키는 도중에 내부 보강구조물(43)로 인해 간섭을 받게 될 경우, 석션유닛(19) 및 드럼 크러셔(17)를 180도 정방향(시계 방향) 또는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3선회유닛(16,18)구동에 의해 임의각도만큼 회전시켜 보강구조물(43)을 우회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b)에서와 같이, 전술한 하부 레그유닛(15a)을 보강구조물(43)을 통과시키되, 상부 레그 유닛(15)은 보강구조물(43) 위쪽에 배치하여 외측단의 마찰패드(37)를 압력용기(10) 내측면의 원통부(10a)에 밀착시켜 지지하고, 하부 레그유닛(15a)은 보강구조물(42) 아래쪽에 배치하여 외측단의 마찰패드(37)를 압력용기(10) 내측면에 밀착시켜 원통부(10a)에 지지시킬 수 있다.
포스트(12)를 상부 레그유닛(15) 및 하부 레그유닛(15a)에 의해 압력용기(10) 내측면에 흔들림없이 지지함에 따라 포스트(12)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압력용기(10) 개구부에 지지된 쟈킷실린더(39)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통상의 쟈킷실린더(39)는 압력용기(10) 외부에서 작업자 조작에 의해 수축구동시킴에 따라 로드 단부에 형성된 마찰패드(39a)를 개구부로부터 분리시킨 후 포스트(1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이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 및 하부에 레그유닛(15,15a)의 마찰패드(37)를 압력용기(10) 내측면의 원통부(10a)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압력용기(10) 내측면에 고착된 내부잔존물을 드럼-크러셔(17)의 크러셔(34) 회전에 의해 파쇄시킬 수 있다.
이때, 드럼-크러셔(17)는 포스트(12) 하부에 장착된 제2선회유닛(16)의 구동에 의해 포스트(12)를 중심축으로 180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상의 크러셔(34) 회전에 의해 압력용기(10) 내측면으로부터 파쇄되어 탈리되는 파쇄물을 압력용기(10) 외부에 설치된 통상의 진공장치(미 도시)에 연결된 플렉시블한 배출호스(26)(도 8(d) 참조) 및 버큠흡입파이프(25)(도 8(b,c,d) 참조)를 통과하여 흡입하여 압력용기(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c)에서와 같이, 전술한 드럼-크러셔(17)를 압력용기(10)의 중앙(포스트(12) 하방을 말함)에 고착된 내부잔존물(일 예로서, 촉매 찌꺼기 등을 말함)을 파쇄시킬 경우, 포스트(12) 하부에 장착되는 제1관절 구동부(20) 구동에 의해 180도 회전되는 제1연결관(21), 제2관절 구동부(22) 구동에 의해 제1연결관(21)에 180도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관(23), 제3관절구동부(24) 구동에 의해 180도 회전되는 버큠흡입파이프(25)에 의해 흡입하되, 배출호스(26)를 통해 압력용기(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d)에서와 같이, 압력용기(10)의 내측면 하부에 위치한 내부잔존물을 파쇄시켜 제거하기 위해, 압력용기(10) 내부의 보강구조물(43) 위쪽으로 배치된 상부 레그유닛(15)을 보강구조물(43)을 통과시킨 후, 상부 및 하부 레그유닛(15,15a)의 마찰패드(37)를 보강구조물(43) 아래쪽으로 압력용기(10) 내측면에 각각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레그유닛(15,15a)의 마찰패드(37)를 압력용기(10)의 내측면에 지지한 상태에서, 승강체(36)에 장착된 구동모터(44)를 구동시킴에 따라 구동모터(44)에 연결된 피니언기어(13) 및 랙기어(11)의 상호 치합됨에 의해 포스트(12)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이때, 상부 및 하부 레그유닛(15,15a)는 압력용기(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
이로 인해, 포스트(12)에 장착된 석션유닛(19) 및 드럼-크러셔(17)를 임의높이만큼 압력용기(10) 내부에서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부 레그유닛(15a) 밑으로 포스트(12)에 180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드럼-크러셔(17)의 크러셔(34) 구동에 의해 압력용기(10) 내측면의 잔존물을 파쇄시킬 수 있다.
이때, 파쇄물은 포스트(12)에 180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석션유닛(19)의 버큠흡입파이프(25)에 의해 흡입하여 배출호스(26)를 통과시켜 압력용기(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용기(10) 개구부를 통해 투입되는 포스트(12)에 장착된 상부 및 하부 레그유닛(15,15a), 드럼-크러셔(17) 및 석션유닛(19)의 구동을 프로그램에 의해 무인 자동화시켜 원격으로 제어하여 압력용기(10) 내측면에 고착된 내부잔존물을 파쇄 및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압력용기(10)의 내측면에 고착된 내부잔존물을 파쇄 및 제거하는 작업중, 내부의 보강구조물(43) 간섭으로 인해 이상상황(비상상황을 말함)이 발생되는 경우, 작업자가 통상의 리모트 컨트롤 키트(remote control kit)(38)를 이용하여 압력용기(10) 내부를 모니터닝하면서 레그유닛(15,15a), 석션유닛(19) 및 드럼-크러셔(17)의 승강모드 및 작업모드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세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사상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압력용기
11; 랙기어(rack gear)
12; 포스트(post)
13; 피니언기어(pinion gear)
14; 제 1 선회유닛
14a; 회전판
15,15a; 레그유닛(leg unit)
16; 제 2 선회유닛
16a; 회전판
17; 드럼-크러셔(drum-crusher)
18; 제 3 선회유닛
18a; 회전판
19; 석션유닛
20; 제 1 관절 구동부
21; 제 1 연결관
22; 제 2 관절 구동부
23; 제 2 연결관
24; 제 3 관절 구동부
25; 버큠흡입파이프(vacuum suction pipe)
26; 배출호스
27; 제 4 관절 구동부
28; 제 1 실린더
29; 제 1 하우징
30; 제 5 관절 구동부
31; 제 2 실린더
32; 제 2 하우징
33; 제 6 관절 구동부
34; 크러셔(crusher)
35; 가이드롤러(guide roller)
36; 승강체
37; 마찰패드(friction pad)
38; 리모트 컨트롤 키트(remote control kit)
39; 쟈킷실린더(jacket cylinder)
40; 와이어(wire)
41; 윈치(winch)
42; 크레인(crane)
43; 보강구조물
44; 구동모터
45a-45d; 관절구동부
46; 선회모터(swing motor)
47; 감속기(swing reducer)
48; 제1기어
49; 제2기어
50; 스위블조인트(swivel joint)

Claims (11)

  1. 압력용기의 내측면에 고착되는 내부잔존물 제거장치에 적용되고,
    상기 압력용기의 개구부를 통해 투입 및 인출되고, 랙기어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포스트;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에 의해 상기 포스트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체에 장착되고, 내측단이 관절구동부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체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며 외측단이 상기 압력용기 내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승강체에 장착되는 제 1 선회유닛 구동에 의해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레그유닛;
    상기 포스트 하부에 장착되는 제 2 선회유닛 구동에 의해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구동시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잔존물을 파쇄하기 위한 드럼-크러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에 장착되는 제 3 선회유닛 구동에 의해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드럼-크러셔에 의해 파쇄된 파쇄물을 상기 압력용기 외부의 진공장치에 의해 흡입 및 배출하기 위한 석션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유닛은
    상기 제 3 선회유닛의 마운팅판에 고정되는 제 1 관절구동부 구동에 의해 상기 포스트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연결관;
    제 2 관절구동부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관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관;
    제 3 관절구동부 구동에 의해 상기 제 2 연결관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내부잔존물을 흡입하기 위한 버큠흡입파이프;
    상기 버큠흡입파이프에 연결되고, 상기 버큠흡입파이프에 흡입되는 파쇄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플렉시블한 배출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크러셔는
    상기 제 2 선회유닛의 마운팅판에 고정되는 제 4 관절구동부 구동에 의해 상기 포스트에 일단이 180도 내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실린더가 신축가능하게 내설되는 제 1 하우징;
    제 5 관절구동부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 하우징 타단에 180도 내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실린더가 신축가능하게 내설되는 제 2 하우징;
    제 6 관절구동부 구동에 의해 상기 제 2 하우징 타단에 180도 내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러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유닛은
    상기 포스트의 상부 및 하부에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유닛은 내부의 실린더 구동에 의해 신축가능하게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유닛 내측단이 절첩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포스트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체에 장착되고, 상기 레그유닛을 상기 포스트를 따라 승강시킬 경우 상기 포스트에 지지되어 상기 레그유닛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용기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 상단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잔존물을 제거하는 작업중 상기 레그유닛, 석션유닛 및 드럼-크러셔가 장착된 상기 포스트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윈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상부에 +자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신장구동되는 로드부가 상기 압력용기의 개구부 내측면에 지지되며, 상기 레그유닛, 석션유닛 및 드럼-크러셔가 장착된 상기 포스트를 상기 압력용기 내부에 투입시 중앙에서 수직으로 하강시키도록 유도하기 위한 쟈킷실린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잔존물을 제거하는 작업중 상기 내부 보강구조물의 간섭으로 인해 이상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작업자가 상기 압력용기 내부를 모니터닝하면서 상기 레그유닛, 석션유닛 및 드럼-크러셔가 장착된 상기 포스트의 승강모드 및 작업모드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 키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유닛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압력용기 내측면에 밀착되는 상기 레그유닛의 접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마찰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KR1020220115408A 2022-09-14 2022-09-14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KR20240036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408A KR20240036856A (ko) 2022-09-14 2022-09-14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PCT/KR2023/013750 WO2024058553A1 (ko) 2022-09-14 2023-09-13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408A KR20240036856A (ko) 2022-09-14 2022-09-14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856A true KR20240036856A (ko) 2024-03-21

Family

ID=9027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408A KR20240036856A (ko) 2022-09-14 2022-09-14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6856A (ko)
WO (1) WO202405855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862B1 (ko) 2016-05-18 2021-07-19 월리파슨스 서비시즈 피티와이 리미티드 정제 및 석유 화학 반응기 및 기타 베셀에서 촉매 및 기타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6027A (ja) * 2002-03-15 2003-09-24 Sankyu Inc 固着触媒除去装置
US7434601B2 (en) * 2002-12-23 2008-10-14 Catalyst Services, Inc. Cleaning and/or inspecting robot for hazardous environments including catalyst removal
JP2005324163A (ja) * 2004-05-17 2005-11-24 Zenitaka Corp 垂直円筒体内の清掃装置
CA3216921A1 (en) * 2014-10-06 2016-04-14 Stoneage, Inc. Flexible cleaning lance positioner guide apparatus
US20230062870A1 (en) * 2020-02-12 2023-03-02 Cs Catalyst Services (Pty)Ltd Device for handling catalyst and other material in a reactor vess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862B1 (ko) 2016-05-18 2021-07-19 월리파슨스 서비시즈 피티와이 리미티드 정제 및 석유 화학 반응기 및 기타 베셀에서 촉매 및 기타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8553A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8250B2 (ja) 石油精製・化学反応器等の容器から触媒等の物質を除去するための装置
US7896971B2 (en) Methods for removing concrete accretions from mixing drum
US20040134518A1 (en) Cleaning and/or inspecting robot for hazardous environments including catalyst removal
JP5564582B2 (ja) 原子炉圧力容器の床部から異物を除去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240036856A (ko) 압력용기 내부잔존물 제거장치
CN208070521U (zh) 一种新型清库设备
JP4200076B2 (ja) 円筒状構造物の修復装置
EP3644706A1 (en) A sweep conveyor assembly for use in a silo or granary
CN202298587U (zh) 车载式硬臂清污机
CN113635309A (zh) 一种散装料仓清库机器人及其施工方法
EP15688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trieval of radioactive material from an enclosure vault
JP2018096156A (ja) アースドリル
US6722592B2 (en) Apparatus for removing frangible objects from a container
CN218987584U (zh) 一种原料仓自清洁式清理疏通装置
JP6089195B2 (ja) 炉心上部機構の交換工法
JPH0990093A (ja) マニピュレータ付き移送容器
CN218579101U (zh) 一种翻车机人身防护报警装置
CN217049938U (zh) 一种原料仓挂臂式清理疏通装置
JP7241044B2 (ja) 作業機器の案内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作業装置および放射性廃棄物の回収方法
CN218438333U (zh) 一种工地卸料结构
CN216613837U (zh) 有效防止断钢丝绳的散装头提升机构
CN212957686U (zh) 一种建筑施工用卸料平台
CN218249829U (zh) 一种安全环保的炉灰排放装置
CN217296461U (zh) 一种适用于伸缩布袋的清料装置
KR101310023B1 (ko) 적재물 커버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