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275A -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275A
KR20240036275A KR1020220114869A KR20220114869A KR20240036275A KR 20240036275 A KR20240036275 A KR 20240036275A KR 1020220114869 A KR1020220114869 A KR 1020220114869A KR 20220114869 A KR20220114869 A KR 20220114869A KR 20240036275 A KR20240036275 A KR 20240036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ndow
piece
safety device
device insta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폴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폴딩
Priority to KR1020220114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275A/ko
Publication of KR20240036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27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8Edge-protecting devices for door le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F21V33/0016Furnishing for windows and do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05Y2800/27Profiles; Strips
    • E05Y2800/272Profiles; Strips hollow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결합부를 형성하여 문 또는 창문에 결합되며, 타측에 절곡편이 양측으로 대향되도록 마련되어 중앙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지지부를 형성하는 고정프레임부;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고 타단부가 지지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절곡편의 절곡면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며, 지지부의 공간만큼 움직임을 형성할 수 있는 유동편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력을 얻되 상기 움직이는 유동편의 복귀력을 형성하도록, 지지부와 유동편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Safety devices installed on doors or windows}
본 발명은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이나 창문을 열고 닫을 시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5556호(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에는 여닫이 문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648182호(미닫이문의 프레임구조)에는 미닫이 문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문과 창문 등은 상기 특허들과 같이 문이나 창문의 본체와, 문이나 창문의 본체가 열고 닫아지는 공간을 마련하는 외측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문이나 창문이 외측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거나 외측 프레임에 대해 고정된 일측을 축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문과 창문 등은 폐쇄시에 외측 프레임과 문 또는 창문의 본체 사이가 직접 대면되어 폐쇄하므로 손이나 발 등의 신체가 끼일 시에 충격이 그대로 신체에 전달되어 다치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문이나 창문을 열고 닫을 시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는, 일측에 결합부를 형성하여 문 또는 창문에 결합되며, 타측에 절곡편이 양측으로 대향되도록 마련되어 중앙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지지부를 형성하는 고정프레임부;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고 타단부가 지지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절곡편의 절곡면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며, 지지부의 공간만큼 움직임을 형성할 수 있는 유동편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력을 얻되 상기 움직이는 유동편의 복귀력을 형성하도록, 지지부와 유동편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편은, 상기 절곡편의 절곡면에 걸리도록 양측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내측단에서 전방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와 'ㄱ'자 형태를 이루도록 수직부에서 외측 직각 방면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직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수평부를 덮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되되, 수평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편은, 상/하 길이를 따라 다중 분할되어 복수의 분할체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체마다 대응되도록 상기 탄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체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양측으로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을 형성하되, 상단의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의 형성방향과 하단의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의 형성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형성되어, 일 분할체의 가이드돌기와 타 분할체의 가이드홈이 상응하고, 일 분할체의 가이드홈과 타 분할체의 가이드돌기가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장치는, 상기 지지부와 유동편이 맞닿을 시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소자를 지지부 또는 유동편에 구비하고, 상기 압전소자의 압력 감지 시 빛을 상기 문 또는 창문 방향으로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LED 모듈을 고정프레임부 또는 유동편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장치는, 상기 아치부의 양단에는 문 또는 창문 결합 방향으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산하는 거리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프레임부에는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발산되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센싱신호 수신부를 형성하여, 상기 유동편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장치는, 상기 아치부의 양단에 롤러가 장착되는 롤러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체가 압축되도록 유동편이 움직일 때에 상기 고정프레임과 유동편 사이에 구름마찰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장치는, 상기 탄성체가 압축되는 유동편의 움직임에 대해 저항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저항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항체는, 회전축이 장착되는 고정편;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이 절곡편의 절곡면으로 갈수록 외측 경사지는 형태로 유지하도록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판을 복귀시키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는, 문 또는 창문을 열고 닫을 시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도 1의 안전 장치의 일 외력 방향에 대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안전 장치의 다른 외력 방향에 대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6은 유동편이 복수의 분할체로 다중 분할된 형태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안전 장치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8은 압전소자 및 LED 모듈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안전 장치의 LED 모듈 발광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의 거리센서와 센싱신호 수신부로 유동편의 움직임 측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a)는 롤러가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의 개략도이며, (b)는 (a)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2의 (a)는 저항체가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의 개략도이며, (b)는 (a)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13은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안전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안전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의 (a) 및 (b)는 도 1의 안전 장치의 일 외력 방향에 대한 작동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안전 장치의 다른 외력 방향에 대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는, 고정프레임부(10), 유동편(20) 및 탄성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프레임부(10)는 일측에 결합부(12)를 형성하여 문 또는 창문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문 또는 창문은 프레임이나 틀을 포함하는 형태임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문 또는 창문을 구성하는 유리 등이 직접 고정프레임부(10)와 결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즉, 문 또는 창문을 구성하는 유리 등이 직접 고정프레임부(10)와 결합되는 형태일 경우, 본 발명의 안전 장치가 문 또는 창문을 구성하는 프레임이나 틀의 일측을 구성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부(10)는 결합되는 문 또는 창문이 미닫이 형태, 여닫이 형태, 회전문 형태 등 어느 특정한 형태에만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문 또는 창문이라면 모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충격흡수 효과를 발생시키는 일 구성인 유동편(20)이 직선 운동과 회전운동이 모두 가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유동편(20)과 탄성체(30)를 통한 충격흡수 효과를 설명할 때에 후술하기로 한다.
고정프레임부(10)는 타측에 절곡편(14a)이 양측(문 또는 창문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14)는 결합부(12)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는 기초면(14a-1)과 기초면(14a-1)에서 절곡되는 절곡면(14a-2)으로 형성되는 절곡편(14a) 2개가 대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절곡편(14a)의 절곡면(14a-2)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중앙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앙에 형성된 개방부(14b)는 충격흡수를 위한 유동편(20)과 탄성체(30)가 움직일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동편(20)은 일단부가 지지부(14)에 장착되고 타단부가 지지부(14)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부재로서, 일단부는 절곡면(14a-2)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부(14)에 장착될 수 있고, 일단부를 통해 지지부(14)의 공간만큼 움직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동편(20)은 걸림부(21), 수직부(22), 수평부(23), 연결부(24) 및 아치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부(21)는 절곡편(14a)의 절곡면(14a-2)에 걸리도록 양측으로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걸림부(21)는 유동편(20)이 측방으로 최대치 이동했을 때에 절곡면(14a-2)과 마주하여 유동편(20)이 지지부(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절곡편(14a)의 기초면(14a-1) 길이에 따라 유동편(20)이 직선 운동 범위의 임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21)는 수평 즉,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유동편(20)의 측방에서 발생되는 외력에도 반대 방향으로 유연하게 회전하도록 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로 인해 미닫이뿐만 아니라 여닫이 또는 회전문 등의 회전형태의 문이나 창문에도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수직부(22)는 걸림부(21)의 내측단에서 전방으로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부(22)는 절곡면(14a-2) 사이의 개방부(14b)로 유동하는 면으로서 수직부(22)의 길이는 상술한 절곡편(14a)의 기초면(14a-1)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기초면(14a-1) 또는 수직부(22)의 길이를 조절하여 유동편(20)의 직선 이동반경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 중 더 짧은 길이로 유동편(20)의 직선 이동반경이 조절될 수 있다.
수평부(23)는 수직부(22)와 'ㄱ'자 형태를 이루도록 수직부(22)에서 외측 직각 방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양측 수평부(23)는 연결부(2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수평부(23)는 아치 형태의 아치부(25)에 의해 덮혀질 수 있는데, 이때 수평부(23)의 단부와 아치부(25)는 연결될 수 있다. 즉, 아치부(25)는 수평부(23)에 의해 받들여지는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아치부(25)의 양단은 고정프레임부(10)와 유동편(20) 간의 노출공간 즉, 틈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유동편(20)이 충격을 받거나 문 또는 창문이 닫히어 유동편(20)이 문 또는 창문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는 기초면(14a-1)의 외측 일부를 덮어 틈을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아치부(25)의 전단은 굴곡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평면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문 또는 창문이 닫힐 때에 밀착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탄성체(30)는 지지부(14)에 의해 지지력을 얻되, 지지부(14)의 공간만큼 움직임을 형성하는 유동편(20)의 복귀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부(14)와 유동편(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30)는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부(14) 또는 탄성체(30) 중 하나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지지부(14) 또는 탄성체(30) 중 하나에는 탄성체 장착부(35)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탄성체(30)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탄성체(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문 또는 창문을 닫을 때에 사람이 부딪치거나 손과 발 등이 끼일 여지가 있는데, 이로 인해 유동편(20)에 외력이 발생하게 되면 유동편(20)은 외력 발생 방향의 반대로 탄성체(30)를 가압하며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유동편(20)의 움직임은 직선방향은 물론 걸림부(21)의 경사형태에 의해 회전운동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문 또는 창문 등의 닫히는 힘이 사람에게 그대로 전달되지 않고 힘의 일부를 상쇄하도록 충격을 흡수한 채로 사람에게 전달함으로써 보다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후, 유동편(20)에 대한 외력이 사라지면 탄성체(30)에 의해 다시 제자리로 복귀하여 차후에도 다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는 외력 발생 시 유동편(20)이 모두 움직이는 것이 아닌 외력 발생체의 형태에만 맞추어 변형될 수도 있다.
이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유동편이 복수의 분할체로 다중 분할된 형태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안전 장치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는, 외력 발생체의 형태에만 맞추어 변형되기 위해 유동편(20)이 상/하 길이를 따라 다중 분할되어 복수의 분할체(4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분할체(40) 마다 탄성체(3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유동편(20)이 일 몸체로 움직이는 것이 아닌 복수의 분할체(40)로 형성되어 복수의 분할체(40)가 개별 몸체로 움직이는 형태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7과 같이 발이 끼인 것으로 가정하면 신발의 형태에 맞추어 하단부에 위치한 분할체(40)들만 충격을 흡수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이는 유동편(20)이 일 몸체로 형성되는 되는 것에 대비하여 유동저항을 낮추어 충격흡수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분할체(40)들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양측으로 가이드돌기(42)와 가이드홈(44)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단의 가이드돌기(42)와 가이드홈(44)의 형성방향과 하단의 가이드돌기(42)와 가이드홈(44)의 형성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 분할체(40)의 가이드돌기(42)와 타 분할체(40)의 가이드홈(44)이 상응하고, 일 분할체(40)의 가이드홈(44)과 타 분할체(40)의 가이드돌기(42)가 상응하여 복수의 분할체(40)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압전소자 및 LED 모듈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안전 장치의 LED 모듈 발광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는, 지지부(14)와 유동편(20)이 맞닿을 시에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소자(50)를 지지부(14) 또는 유동편(20)에 서로 맞닿는 위치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압전소자(50)와 연동되어 압전소자(50)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에 의해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LED 모듈(52)을 고정프레임부(10) 또는 유동편(2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LED 모듈(52)은 바람직하게는 문 또는 창문(G) 방향으로 발산할 수 있다.
이는, LED 모듈(52)을 통해 문 또는 창문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을뿐더러, LED 모듈(52)에 글씨나 그림 형태로 조사할 수 있는 필름 등을 장착하여 글씨나 그림 형태로 조사함으로써 광고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의 거리센서와 센싱신호 수신부로 유동편의 움직임 측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는, 유동편(20)의 아치부(25) 양단에 문 또는 창문 결합 방향으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산하는 거리센서(6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부(10)에는 거리센서(60)로부터 발산되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센싱신호 수신부(62)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신호 수신부(62)는 기 설정된 단말이나, 스피커 또는 LED 모듈과 연동되어 외부로 알림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유동편(20)의 양단에 대해 거리, 방향 등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이는 스프링의 교체 여부 또는 문이나 창문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아치부(25)의 양단으로부터 측정되는 거리가 일정 시간 또는 기간 동안 다르다고 판단될 시 스프링의 내구성이 다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스프링의 교체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
또한, 아치부(25)로부터 측정되는 거리가 좁아지거나 넓어진 상태가 설정된 시간이나 기간을 초과할 시에 문이나 창문의 개방이나 폐쇄로 판단하여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쉽게 유지보수와 창문 개폐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1의 (a)는 롤러가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의 개략도이며, (b)는 (a)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는, 아치부(25)의 양단에 롤러(72)가 장착되는 롤러 결합부(7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탄성체(30)가 압축되도록 유동편(20)이 움직일 시 즉, 유동편(20)에 대한 외력이 발생했을 시에 롤러(72)가 기초면(14a-1)에 맞닿아 회동하도록 고정프레임부(10)와 유동편(20) 사이에 구름마찰을 형성하여 유동편(20)의 움직임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저항체가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의 개략도이며, (b)는 (a)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는, 탄성체(30)가 압축되는 유동편(20)의 움직임에 대해 저항하도록 지지부(14)에 설치되는 저항체(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항체(80)는 고정편(82), 회전축(84), 회전판(86), 토션스프링(88)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편(82)은 회전축(84)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회전판(86)은 회전축(84)과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84)은 토션스프링(88)이 장착되어 회전판(86)을 일정 형태로 복귀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판(86)은 절곡면(14a-2)으로 갈수록 외측 경사지는 형태로 유지하도록 회전판을 복귀시킬 수 있다.
이는, 유동편(20)의 걸림부(21)가 탄성체(30) 압축방향으로 이동할 시에 너무 강하게 이동하여 소음 등이 발생하고 걸림부(21)에 대한 충격이 크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회전판(86)이 걸림부(21)의 움직임에 저항하여 유동편(20)의 힘을 일부 상쇄하면서 회전하여 유동편(20)이 보다 부드럽게 움직이고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유동편(20)이 복귀될 시에는 토션스프링(88)에 의해 회전판(86)도 복귀되도록 형성되어 차후에 다시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는 소음 저감을 위해 스펀지 등의 충격흡수부재(90)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충격흡수부재(90)는 유동편(20)과 지지부(14)가 맞닿는 위치 예컨대, 절곡면(14a-2), 수평부(23), 걸림부(21)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어도 보다 다양한 위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고정프레임부
12 : 결합부
14 : 지지부
14a : 절곡편
14a-1 : 기초면
14a-2 : 절곡면
14b : 개방부
20 : 유동편
21 : 걸림부
22 : 수직부
23 : 수평부
24 : 연결부
25 : 아치부
30 : 탄성체
35 : 탄성체 장착부
40 : 분할체
42 : 가이드돌기
44 : 가이드홈
50 : 압전소자
52 : LED 모듈
60 : 거리센서
62 : 센싱신호 수신부
70 : 롤러 결합부
72 : 롤러
80 : 저항체
82 : 고정편
84 : 회전축
86 : 회전판
88 : 토션스프링
90 : 충격흡수부재
G : 문 또는 창문

Claims (9)

  1. 일측에 결합부를 형성하여 문 또는 창문에 결합되며, 타측에 절곡편이 양측으로 대향되도록 마련되어 중앙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지지부를 형성하는 고정프레임부;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고 타단부가 지지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절곡편의 절곡면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며, 지지부의 공간만큼 움직임을 형성할 수 있는 유동편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력을 얻되 상기 움직이는 유동편의 복귀력을 형성하도록, 지지부와 유동편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편은,
    상기 절곡편의 절곡면에 걸리도록 양측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내측단에서 전방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와 'ㄱ'자 형태를 이루도록 수직부에서 외측 직각 방면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직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수평부를 덮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되되, 수평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아치부를 포함하는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편은,
    상/하 길이를 따라 다중 분할되어 복수의 분할체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체마다 대응되도록 상기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체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양측으로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을 형성하되,
    상단의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의 형성방향과 하단의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의 형성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형성되어,
    일 분할체의 가이드돌기와 타 분할체의 가이드홈이 상응하고, 일 분할체의 가이드홈과 타 분할체의 가이드돌기가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유동편이 맞닿을 시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소자를 지지부 또는 유동편에 구비하고, 상기 압전소자의 압력 감지 시 빛을 상기 문 또는 창문 방향으로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LED 모듈을 고정프레임부 또는 유동편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의 양단에는 문 또는 창문 결합 방향으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산하는 거리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프레임부에는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발산되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센싱신호 수신부를 형성하여,
    상기 유동편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의 양단에 롤러가 장착되는 롤러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체가 압축되도록 유동편이 움직일 때에 상기 고정프레임과 유동편 사이에 구름마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압축되는 유동편의 움직임에 대해 저항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저항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항체는,
    회전축이 장착되는 고정편;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이 절곡편의 절곡면으로 갈수록 외측 경사지는 형태로 유지하도록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판을 복귀시키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KR1020220114869A 2022-09-13 2022-09-13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KR20240036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869A KR20240036275A (ko) 2022-09-13 2022-09-13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869A KR20240036275A (ko) 2022-09-13 2022-09-13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275A true KR20240036275A (ko) 2024-03-20

Family

ID=9048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869A KR20240036275A (ko) 2022-09-13 2022-09-13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62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228B2 (en) Counterbalance system for a tilt-in window
KR20240036275A (ko) 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JP5988498B2 (ja) 自動扉
JP6292517B2 (ja) 換気装置及びドア
KR102113967B1 (ko) 창호 완충구조
JP2005163525A (ja) 開閉装置用障害物感知構造
JP6018864B2 (ja) 自動ドア用センサ装置
KR100505368B1 (ko) 도어의 하부 차폐장치
JPH08459Y2 (ja) 引戸の減速装置
JP2005344315A5 (ko)
JP2011184981A (ja) 引戸用制動装置
EP1650393A1 (en) Door with protection element
JP5154073B2 (ja) エレベータ乗降口の扉装置
JPH0439805Y2 (ko)
JP3705767B2 (ja) 側窓ダンパーと回転窓装置
JP2010133194A (ja) 引戸減速具
JP7489764B2 (ja) 引戸
US355852A (en) John b
JP6136013B2 (ja) ドア
JP4221276B2 (ja) 開閉装置用障害物感知構造及び該開閉装置用障害物感知構造を用いた開閉装置
KR102030738B1 (ko)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JP4261318B2 (ja) 開閉装置用障害物感知構造
JP2005139836A (ja) 開閉装置用障害物感知構造
JP2515075Y2 (ja) ドアーの下端隙間のシヤッター装置
US368917A (en) Chaeles 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