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963A - 비화재보 방지 가능한 화재 수신기 - Google Patents

비화재보 방지 가능한 화재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963A
KR20240035963A KR1020240030456A KR20240030456A KR20240035963A KR 20240035963 A KR20240035963 A KR 20240035963A KR 1020240030456 A KR1020240030456 A KR 1020240030456A KR 20240030456 A KR20240030456 A KR 20240030456A KR 20240035963 A KR20240035963 A KR 20240035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alarm
type receiver
signal line
voltag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필준
Original Assignee
미리방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리방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리방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3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5963A/ko
Publication of KR2024003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96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시 해당 화재 감지기의 LED는 계속 점등(점멸)하면서 경종은 오프(OFF)시키도록 조치하는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은, 다수의 화재 감지기 및 발신기가 신호선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화재 감지기나 발신기 작동시 점등하는 LED를 구비하는 감시 구역; 및
상기 감시 구역의 다수와 연결되어 신호선의 전압 레벨을 감시하여 화재로 판단한 경우 경종(주경종과 지구경종 포함)을 작동하고, 경종 정지 조건이 충족되면 경종의 작동을 중지하다가 신호선의 새로운 전압 레벨을 감시하여 화재로 판단한 경우 경종을 다시 작동하는 P형 수신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비화재보 방지 가능한 화재 수신기{FIRE RECEIVER CAPABLE OF PREVENTING NON-FIRE ALARM}
본 발명은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시 해당 화재 감지기의 LED는 계속 점등(점멸)하면서 경종은 오프(OFF)시키도록 조치하는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또는 고층건물과 같은 복합건물에는 각 세대, 사무실 또는 층을 최소단위로 하여 화재 감지기가 배치된다.
각각의 화재 감지기는 통합수신기에 연결되며, 화재발생시 자체적으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한편, 통합수신기에 화재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통합수신기가 설치되는 경비실, 중앙통제실 등의 요원은 상기의 신호로 인해 건물의 특정장소의 화재발생을 인지하게 되고 이에 따른 후속조처를 취하게 된다.
소방관리에 사용되는 수신기는 화재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 또는 소방서 측으로 경보하여 주는 것으로서, P형 수신기, R형 수신기, M형 수신기, GP형 수신기, GR 수신기 등이 있다.
상기 P형 수신기 시스템에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단신호형 감지기나 발신기가 하나의 신호선 케이블을 통해 병렬로 연결된다.
단신호형 감지기의 경우, 직류 24V의 전압이 인가되며, 감지기에서 내부의 감지 회로가 화재의 열기, 불꽃, 연기에 의해 단락되거나 또는 사람의 스위치 누름 조작에 의해 단락될 때에 발생하는 신호선의 전압 강하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신호선이 배치된 구역의 화재 발생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신호선에는 일정한 전압이 유지되어야 하나 설치 후 화재가 나지 않는 이상 수년에서 수십 년의 장시간이 지난 후에는 부식, 변성이나 습기에 의한 열화, 서지(surge)나 낙뢰에 의한 절연 특성의 저하가 일어날 수 있고, 신규 건물이라도 인접 설치된 상용 AC 전원선이나 직류 48V를 사용하는 전화선에 의한 전압 유도 등의 현상에 의해, 신호선 자체에서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대개 오경보(비화재보)와 감지기의 오작동, 고장으로 이어진다.
또한, 감지기 자체가 노후화되어 잘못된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고, 실제로 많은 건물에서 선로 노후화나 전압 유도, 감지기의 노후화로 인해 오경보(비화재보)가 관찰되며, 상당수의 건물주는 신호선을 교체하고 원인을 제거하는 대신에 화재 경보 시스템을 꺼버리는 잘못된 선택을 하게 된다.
종래의 화재감지 시스템은 건물의 특정장소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경보음이 건물 전체에 걸쳐 작동하게 된다.
또한, 화재상황이 아님에도 화재 감지기나 시스템 일부의 오작동으로 인해 잘못된 경보, 즉 비화재보가 빈번히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특정 층의 화재 감지기가 불량이어서 경종(주경종, 지구경종 포함이 오작동하는 경우 시스템을 리셋시킬 경우가 발생하는 데, 오작동된 화재 감지기의 화재감지램프(화재 감지기에 설치되어 화재감지시 점멸됨)도 정상으로 복귀(표시램프가 다시 오프됨)되어 불량난 화재 감지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화재보로 인한 경종으로부터 거주자의 혼란을 방지하고자 비화재보 발생시 경종을 정지시키는 경우가 발생하는 데, 이 경우 화재감지시스템이 무용지물이 되어 실제 화재 발생시 그에 대한 조처가 지체되어 큰 피해를 일으킬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현재 P형 수신기는 감지기가 작동되면 감지된 감지기의 LED가 점등(점멸)되어 그 회로에 연결된 감지기 중 어느 것이 작동되었는지 알 수 있고, 만약 비화재보가 울릴 경우 관리자는 감지기의 LED 점등(점멸) 여부로 비화재보를 발령하게 한 감지기를 찾아 조치한다.
이때 화재경보 원인을 찾아 조치할 관리자가 멀리 있거나 심야의 시간 등과 같이 현장 도착에 많은 시간이 소용될 경우 큰 소리의 경종이 계속 울려 주위의 사람들에게 큰 고통을 준다.
이 경우 두 가지 중 하나의 조치를 취하는 바, 하나는 주경종, 지구경종 등 경보음을 울리지 않게 조치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복구 스위치를 눌러 수신기를 초기화하는 것이다.
전자의 조치를 취하면 시끄러운 경종 소리를 피할 수는 있으나 만약 관리자가 도착하기 전에 실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경보가 울리지 않기 때문에 대피가 늦어져 큰 피해를 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조치를 취하면 비정상 작동을 한 감지기의 LED가 초기화되어 점등(점멸) 상태에서 해제되어 버림으로 어느 감지기가 비화재보의 원인인지 찾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 두 가지 조치없이 경보를 울리지 않으면서도 비화재보의 원인이 된 감지기의 LED를 끄지(off) 않는 P형 수신기 즉, 경종을 꺼놓아도 새로운 회로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경종이 울릴 수 있도록 해서 상기 두 가지의 조치가 아닌 제3의 조치가 가능한 P형 수신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번호 제10-2018-0055468호(공개일자 2018년05월25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P형 수신기 비화재보시 해당 화재 감지기의 LED는 계속 점등(점멸)하면서 경종은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경종을 오프시킨 상태에서도 비화재보의 원인이 된 화재 감지기의 식별이 용이한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은, 다수의 화재 감지기 및 발신기가 신호선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화재 감지기나 발신기 작동시 점등하는 LED를 구비하는 감시 구역; 및
상기 감시 구역의 다수와 연결되어 신호선의 전압 레벨을 감시하여 화재로 판단한 경우 경종(주경종과 지구경종 포함)을 작동하고, 경종 정지 조건이 충족되면 경종의 작동을 중지하다가 신호선의 새로운 전압 레벨을 감시하여 화재로 판단한 경우 경종을 다시 작동하는 P형 수신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종 정지 조건은 발신기가 아닌 화재 감지기의 전압 레벨 신호와 정지버튼 신호의 입력이고, 신호선의 새로운 전압 레벨은 발신기의 전압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형 수신기는 신호선에 일대 일로 연결되어 신호선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고 신호선에 각각 연결되는 정지버튼을 내부에 구비하는 선택정지부와,
상기 선택정지부에 연결되어 신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해서 전압 레벨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선택정지부를 제어하며, 발신기가 아닌 화재 감지기의 전압 레벨 신호와 정지버튼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경종의 작동을 중지하는 CPU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정지부와 CPU는 다수의 선택선으로 연결되어 CPU의 제어에 의해 선택선의 0 또는 1의 2진수 조합으로 선택정지부가 다수의 신호선 중 어느 하나의 신호선을 선택하여 해당 신호선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화재 감지기의 일측에 LED와 SCR(사이리스터)의 애노드가 연결되고, 타측에 SCR의 게이트와 캐소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려 수단에 의하면, P형 수신기 비화재보시 해당 화재 감지기의 LED는 계속 점등(점멸)하면서 경종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경종을 오프시킨 상태에서도 비화재보의 원인이 된 화재 감지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P형 수신기 비화재보시 경종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하여 실제 화재 발생시 경보를 울리게 함으로써 신속한 대피로 인명 사고와 같은 큰 화재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P형 수신기 시스템의 예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P형 수신기에 연결되는 화재감지(입력) 회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화재보 처리를 위한 선택 정지부와 도 2에 나타낸 입력 회로의 연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화재보 처리를 위한 입력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P형 수신기 시스템의 예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P형 수신기 시스템은 감시 구역(20), P형 수신기(1), 화재 관리 서버(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시 구역(20)은 도 2처럼 다수의 화재 감지기(21a,21b,…) 및 발신기(23)가 신호선(22)에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P형 수신기(1)는 다수의 감시 구역(20)과 연결되어 해당 감시 구역(20)의 신호선(22)의 전압 레벨을 감시하여 화재로 판단한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고 이 상황을 터치스크린 기능의 디스플레이(감시 제어반)에 표시하며 동시에 화재 관리 서버(2)에 전송한다.
또한, 원격 조작 명령을 화재 관리 서버(2)로부터 수신하여 P형 수신기(1)를 조작시킨다.
화재 관리 서버(2)는 다수의 P형 수신기(1)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해당 감시 구역의 화재 발생(감지) 상황을 수신하고, 그에 맞는 원격 조작 명령을 P형 수신기(1)에 송신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관할 소방서 및 주변 사람들에게 즉각적인 화재 상황 전파하고, 대피 경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P형 수신기(1) 내부에는 신호 감지부(1a), 제어부(1b), 통신부(1d), 저장부(1c)를 구비한다.
신호 감지부(1a)는 신호선(22)을 통해 감시 구역에 구비된 화재 감지기(21) 및 발신기(23)와 연결되어 감지 신호와 발신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b)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b)는 신호선(22)에 걸린 직류 전압의 레벨을 감시하고 있다가, 화재 감지기(21)나 발신기(23)의 내부 저항이 갑자기 떨어질 때에 신호선(22)의 등가 저항에 따라 직류 전압 레벨이 예를 들어 화재 감지기(21)는 24V에서 5V로, 발신기(23)는 24V에서 OV 안팎으로 떨어지는 전압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화재를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b)는 화재라고 판단한 경우 주경종(42)과 해당 지구경종(44)을 울려 대피를 유도한다.
이때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비상 방송을 하고 화재 발생 상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유도등(미도시)을 점등하여 대피를 유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b)는 신호 감지부(1a)에서 전달받은 화재 감지기(21)나 발신기(23) 등의 상황을 해석하여 저장부(1c)에 저장하는 한편, 이를 메시지화하여 통신부를(1d) 통해 화재 관리 서버(2)에 전송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b)(도 3의 CPU(10)에 해당)는 주경종(42)과 해당 지구경종(44)이 울리는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낸 선택정지부(30)의 정지버튼(32)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압 레벨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조건이 충족되면 주경종(42)과 해당 지구경종(44)의 울림을 정지한다.
즉, 상기 제어부(1b)는 발신기(23)가 off 상태이고 정지버튼(32)이 on 상태이며 직류 전압 레벨이 예를 들어 24V에서 5V 안팎으로 떨어지는 경우 경종의 작동을 멈추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실제 화재가 발생하여 주위 사람이 발신기(23)를 눌러 발신기(23)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화재 감지기와 발신기의 전압 강하량이 서로 달라 전압 레벨을 감지함으로써 화재 감지기의 신호인지 발신기의 신호인지 판단) 주경종(42)과 해당 지구경종(44)을 작동하여 경종을 울린다.
또한, 상기 제어부(1b)는 통신부(1d)를 통해 화재 관리 서버(2)의 원격 조작 명령을 수신하여 P형 수신기(1)에 연결되는 예를 들어 스피커, 디스플레이, 주경종(42), 지구경종(44), 유도등 등의 작동을 제어하고 그 내용을 저장부(1d)에 저장한다.
도 2는 도 1의 P형 수신기에 연결되는 화재감지(입력) 회로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비화재보 처리를 위한 선택 정지부와 도 2에 나타낸 입력 회로의 연결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화재 감지기(21a,21b,…)와 발신기(23)가 신호선(22)에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감시 구역(20)과, 다수의 신호선(22)의 전압 레벨을 감시하는 P형 수신기(1)가 구비된다.
여기서는 P형 수신기(1)에 연결된 감시 구역(20)이 8개로서 그에 따라 감시 구역(20)의 감시 전압을 P형 수신기(1)에 입력하는 입력회로가 8개(입력회로1 ~ 입력회로8)로 구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화재 경보의 수신을 위한 신호선의 결선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수의 화재 감지기(21a,21b,…)와 발신기(23)는 신호선(22)에 병렬로 연결되고, 신호선(22)에는 관련 규정에 따른 소정의 직류 전압, 예를 들어 직류 24V 전압이 P형 수신기(1)로부터 또는 그 밖의 전원으로부터 인가된다.
상기 화재 감지기(21a,21b,…)는 화재에 의한 화염, 열이나 연기가 소정 수준 이상 가해지면 내부 저항이 급격히 낮아지거나 단락된다.
상기 발신기(23)는 화재를 발견한 사람이 손으로 누르는 외력에 의해 스위치가 닫히면서 내부 저항이 낮아진다.
상기 P형 수신기(1)는 신호선(22)에 걸린 직류 전압의 레벨을 감시하고 있다가, 화재 감지기(21a,21b,…)나 발신기(23)의 내부 저항이 갑자기 떨어질 때에 신호선(22)의 등가 저항에 따라 직류 전압 레벨이 24V에서 5V나 0V 안팎으로 떨어지는 전압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형 수신기(1)는 다수의 신호선(22)에 연결되는 선택정지부(30)와, 상기 선택정지부(30)에 연결되어 다수의 신호선(2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해서 전압 레벨을 감시할 수 있도록 선택정지부(30)를 제어하고 그 전압 레벨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화재라고 판단하는 경우 경종을 울리는 CPU(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선(22)의 선택을 위해 상기 선택정지부(30)와 CPU(10)는 3개의 선택선 A, B, C에 연결되어 CPU(10)의 제어로 선택선 A, B, C의 0 또는 1의 2진수 조합(23)에 의해 선택정지부(30)가 8개의 입력회로(신호선) 중 어느 하나의 입력회로(신호선)를 선택하면, 24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선택정지부(30)는 해당 선택 신호선(22)의 전압 레벨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S1)를 생성한다.
상기 감지 신호(S1)는 신호선 전압 레벨의 측정치로서 아날로그 신호이고 선택정지부(30)를 통해 CPU(10)에 하나의 인풋(INPUT)선을 통해 입력된다.
여기서 화재 감지기(21a,21b,…) 내부의 회로가 화재의 열기, 불꽃, 연기에 의해 단락되어 작동하면 전류가 흘러 전압 강하가 일어나고 이때 화재 감지기 특성에 의해 전압 레벨이 결정된다.
또한, 상기 선택정지부(30)에는 예를 들어 8개의 신호선(22)에 각각 연결되는 정지버튼(32)을 구비한다.
비화재보로 인해 경종이 계속하여 시끄럽게 울리고 관리자가 P형 수신기(1)가 있는 현장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건물의 입주민이나 근처에 있는 사람이 정지버튼(32)을 눌러 정지버튼 신호가 CPU(10)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CPU(10)는 경종 정지 조건이 충족되면 즉, 발신기(23)가 off 상태이고 정지버튼(32)이 on 상태이며 직류 전압 레벨이 예를 들어 24V에서 5V 안팎으로 떨어지면 주경종(42)과 해당 지구경종(44)의 작동을 멈춘다.
이 상태에서 해당 지구에서 실제 화재가 발생하여 건물의 입주민이나 근처에 있는 사람이 발신기(23)를 눌러 직류 전압 레벨이 예를 들어 24V에서 OV 안팎으로 떨어지는 것이 감지되면 CPU(10)는 발신기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작동을 중지했던 주경종(42)과 해당 지구경종(44)을 다시 울린다.
또한, 상기 CPU(10)는 아날로그 감지 신호(S1)를 CPU(10)에 내장된 A/D 컨버터(12)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함으로써 전압 레벨 변화를 숫자나 그래프 등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R1, R2, R3는 저항이고 C1은 콘덴서이다.
이상에서는 A/D 컨버터(12)가 CPU(10)에 내장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선택정지부(30)에 내장하거나 또는 CPU(10)와 선택정지부(30) 사이에 버스(BUS) 구조로 일대 일로 연결하여 디지털 감지 신호를 CPU(10)에 인풋선을 통해 입력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화재보 처리를 위한 입력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감지기(21)의 일측에 발광다이오드(LED)와 사이리스터(SCR)의 애노드가 연결되고, 화재 감지기(21)의 타측에 사이리스터(SCR)의 게이트와 캐소드가 연결된다.
평상시에는 예를 들어 DC 24V 전원이 인가되더라도 사이리스터(SCR)를 통해서도, 화재 감지기(21)를 통해서도 전류가 흐르지 않아 LED는 점등(점멸)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화재에 의한 것이든 비화재에 의한 것이든 화재 감지기(21)가 작동하면 화재 감지기(21)의 내부 저항이 급격히 낮아지거나 단락되어 먼저 화재 감지기(21)를 통해서 전류가 흐름으로써 LED가 점등된다.
상기 화재 감지기(21)를 통해 전류가 흐름에 따라 사이리스터(SCR)의 게이트에 전압이 인가되고 이에 의해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가 도통되어(단락되어) 사이리스터(SCR)를 통해서 전류가 흐른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화재 감지기(21)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상기 사이리스터(SCR)를 통해 전류가 흘러 LED는 계속 점등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도 3의 회로와 연계하면, 비화재가 울린 상태에서 정지버튼(32)을 눌러 경종이 울리지 않더라도 LED는 계속 점등 상태를 유지하여 관리자가 나중에 비화재보의 원인과 화재 감지기(21)를 쉽게 찾아 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P형 수신기 2: 화재 관리 서버
3: 스마트폰 10: CPU
20: 감시 구역 21a,21b,…: 화재 감지기
22: 신호선 23: 발신기
30: 선택정지부 32: 정지버튼
42: 주경종 44: 지구경종

Claims (1)

  1. 신호선에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화재 감지기 및 발신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감시 구역과 연결되어 화재 대피를 위해 경종을 작동시키되 비화재보에 따른 혼란 방지를 위해 상기 경종의 작동을 중지 가능한 화재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에 일대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선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고, 상기 신호선에 각각 연결되어 경종 정지 신호를 입력 받는 정지버튼을 구비하는 선택정지부; 및
    상기 선택정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해 전압 레벨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정지부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정지부가 상기 화재 감지기의 작동에 따른 전압 레벨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일단 화재로 판단해 상기 경종을 작동시키고,
    상기 화재 감지기의 작동에 따른 전압 레벨 변화와 함께 상기 정지버튼을 통한 상기 경종 정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경종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CPU를 포함하는 화재 수신기.
KR1020240030456A 2020-07-03 2024-03-04 비화재보 방지 가능한 화재 수신기 KR20240035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0456A KR20240035963A (ko) 2020-07-03 2024-03-04 비화재보 방지 가능한 화재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817A KR20220004238A (ko) 2020-07-03 2020-07-03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KR1020220140820A KR102644624B1 (ko) 2020-07-03 2022-10-28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KR1020240030456A KR20240035963A (ko) 2020-07-03 2024-03-04 비화재보 방지 가능한 화재 수신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820A Division KR102644624B1 (ko) 2020-07-03 2022-10-28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963A true KR20240035963A (ko) 2024-03-19

Family

ID=7935569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817A KR20220004238A (ko) 2020-07-03 2020-07-03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KR1020220140820A KR102644624B1 (ko) 2020-07-03 2022-10-28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KR1020240030456A KR20240035963A (ko) 2020-07-03 2024-03-04 비화재보 방지 가능한 화재 수신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817A KR20220004238A (ko) 2020-07-03 2020-07-03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KR1020220140820A KR102644624B1 (ko) 2020-07-03 2022-10-28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200042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468A (ko)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내비퀘스트 P형 수신기의 화재감지 오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8978B2 (ja) * 2015-04-30 2020-01-15 ホーチキ株式会社 防災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468A (ko)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내비퀘스트 P형 수신기의 화재감지 오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238A (ko) 2022-01-11
KR20220151587A (ko) 2022-11-15
KR102644624B1 (ko)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727B1 (ko) 소방중계기방송장치 선로의 단락검사에 따른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911371B1 (ko) 부가기능 확장형 화재감지기
US20080258924A1 (en) Fire alarm system
CN109819676B (zh) 具有灾难警报及灾难训练功能的led照明灯系统
KR20180055468A (ko) P형 수신기의 화재감지 오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50513B1 (ko)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
JP2002074535A (ja) 火災警報設備およびそれに利用する火災警報器
KR101145414B1 (ko)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JP5890121B2 (ja) 警報システム及び発信機
JP6253951B2 (ja) 警報器
KR101527371B1 (ko) 아날로그 전류감응식 주소형 화재 감지시스템
KR102644624B1 (ko)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KR102060467B1 (ko) 개선된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비상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방법
KR20210156957A (ko) 스마트폰 연동 화재 수신기 시스템
KR101269232B1 (ko) 화재 속보 기능을 겸한 화재 수신 장치
KR20220019972A (ko) P형수신기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KR20210154386A (ko) 비화재보율 감소 p형 수신기
JP2003196761A (ja) 煙感知器
JP6646839B2 (ja) 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
KR102140896B1 (ko)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
KR20090080282A (ko) 화재 단계별 통지기능을 구비한 소방관리용 가스 수신기
KR102140895B1 (ko) 자가 차단이 가능한 경종이 구비된 화재감지 시스템
KR102666092B1 (ko) 다른 화재감지기에서 감지된 화재에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아날로그형 감지기 및 경보장치
KR102484403B1 (ko) 화재 경보 전달 및 방송시스템
JP6814985B2 (ja) 親機、及び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