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888A - 건설 기계용 캡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888A
KR20240035888A KR1020247006305A KR20247006305A KR20240035888A KR 20240035888 A KR20240035888 A KR 20240035888A KR 1020247006305 A KR1020247006305 A KR 1020247006305A KR 20247006305 A KR20247006305 A KR 20247006305A KR 20240035888 A KR20240035888 A KR 20240035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monitor device
cap
front window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이치 기하라
다쿠마 구와하라
쇼고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ublication of KR20240035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88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캡 박스(15) 내에 마련되며,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21)는, 앞창(18)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니터 장치(21)는, 앞창(18)의 이동에 수반하여, 캡 박스(15)의 창틀(16)에 수납되어 개구(16A)를 폐색하는 폐창 위치와, 캡 박스(15)의 천정면부(15E) 하에 격납되는 개창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용 캡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 유압 크레인 등에 마련되며, 개폐 가능한 앞창을 가진 건설 기계용 캡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가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상부 선회체와, 상부 선회체의 전측(前側)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마련된 작업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캡이 마련되어 있다. 이 유압 셔블용 캡은, 전측에 개구가 형성된 캡 박스와, 캡 박스에 마련되며, 개구를 폐색하는 폐창(閉窓) 위치와 캡 박스의 천정면부 하에 격납(格納)되는 개창(開窓)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앞창과, 캡 박스 내에 마련되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위의 화상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캡 박스 내에는, 오퍼레이터가 앉는 운전석이 마련되어 있다(특허문헌 1).
모니터 장치는, 운전석에 앉은 오퍼레이터가 전방을 목시(目視)하였을 때에 방해되지 않으며, 또한 시계(視界)에 들어가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모니터 장치는, 캡 내의 스페이스를 압박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니터 장치는, 캡 박스의 우측 전부(前部)의 필러에 장착되어 있다. 추가로, 모니터 장치는, 우측 전부의 필러에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특허문헌 1의 모니터 장치는, 앞창을 개폐하는 경우에, 이동하는 앞창과 당해 모니터 장치가 간섭하지 않도록 장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4-136943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의한 모니터 장치는, 앞창을 개폐할 때에 모니터 장치의 장착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앞창이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오퍼레이터는, 앞창을 개폐하는 경우에 모니터 장치의 장착 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을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앞창의 개폐 동작 시에 앞창이 모니터 장치에 접촉하여 모니터 장치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모니터 장치는, 캡 박스의 개구의 우측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앞창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개구로부터 들어온 우수(雨水), 먼지, 토사 등이 모니터 장치에 걸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모니터 장치가 고장나거나, 더럽혀지거나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 시에 이동되는 앞창과의 접촉, 캡 박스 내에 들어온 우수, 토사 등이 모니터 장치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모니터 장치의 내구성이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용 캡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전측에 개구가 형성된 캡 박스와, 상기 캡 박스에 마련되며,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폐창 위치와 상기 캡 박스의 천정면부 하에 격납되는 개창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앞창과, 상기 캡 박스 내에 마련되며,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캡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장치는, 상기 앞창에 장착되며, 상기 앞창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폐창 위치와 상기 개창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 시에 이동되는 앞창과의 접촉, 캡 박스 내에 들어온 우수, 토사 등이 모니터 장치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모니터 장치의 내구성이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캡을 구비한 유압 셔블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앞창이 폐창 위치에 배치된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앞창이 개창 위치에 배치된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앞창, 유니버설 조인트, 모니터 장치를 캡의 내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앞창, 유니버설 조인트, 모니터 장치를 캡의 외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유니버설 조인트와 모니터 장치를 제거한 앞창을 도 4와 마찬가지의 위치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건설 기계용 캡으로서, 크롤러식의 유압 셔블에 탑재된 캡을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6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1)은, 자주가 가능한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상부 선회체(3)와, 상부 선회체(3)의 전측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마련된 스윙식의 작업 장치(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작업 장치(4)는, 토사 굴삭 작업 등을 행한다.
건설 기계용 캡으로서의 캡(11)은, 상부 선회체(3)의 전측에 마련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11)은, 후술의 플로어 부재(12), 운전석(13), 작업용의 레버 장치(14), 캡 박스(15), 앞창(18), 유니버설 조인트(20), 모니터 장치(2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플로어 부재(12)는, 캡(11)의 베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플로어 부재(12)는, 후측이 스텝상(狀)으로 솟아올라서, 이 스텝 부분이 운전석 대좌(12A)로 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 부재(12)의 주위에는, 캡 박스(15)가 장착되어 있다.
운전석(13)은, 플로어 부재(12)의 운전석 대좌(12A) 상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운전석(13)은, 캡 박스(1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운전석(13)은, 오퍼레이터가 앉는 시트면(13A)과, 시트면(13A)의 후부(後部)로부터 솟아오른 등받이(13B)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용의 레버 장치(14)는, 운전석(13)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좌측만 도시). 작업용의 레버 장치(14)는, 작업 장치(4) 등을 동작시킬 때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주행용의 레버·페달 장치(도시 생략)는,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킬 때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플로어 부재(12)의 전측에 마련되어 있다.
캡 박스(15)는, 플로어 부재(12)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캡 박스(15)는, 캡(11)의 외각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내부에 운전실을 형성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박스(15)는, 전면부(15A), 후면부(15B), 좌면부(15C), 우면부(15D) 및 천정면부(15E)에 의해 박스상(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 박스(15)는, 전면부(15A)와 좌면부(15C)의 경계 위치(좌전(左前) 모서리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마련된 좌전 필러(15F)와, 전면부(15A)와 우면부(15D)의 경계 위치(우전(右前) 모서리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마련된 우전 필러(15G)를 구비하고 있다. 추가로, 캡 박스(15)의 좌면부(15C)는, 전후 방향의 중간부로부터 전측 부분이 승강구(15H)로 되어서 개구하고 있다. 이 승강구(15H)는, 도어(15J)에 의해 개폐된다.
창틀(16)은, 캡 박스(15)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캡 박스(15)의 전면부(15A)에 마련되어 있다. 창틀(16)은, 전면부(15A)보다도 약간 작은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창틀(16)은, 캡 박스(15)의 전면부(15A)의 전체 면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창틀(16)의 좌단(左端) 가장자리는, 좌전 필러(15F)에 장착되어 있다. 우단(右端) 가장자리는, 우전 필러(15G)에 장착되어 있다. 창틀(16)은, 그 전체 면에 걸쳐서 직사각 형상의 개구(16A)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구(16A)는, 후술의 앞창(18)에 의해 폐색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7)은, 캡 박스(15)의 좌전 필러(15F)와 우전 필러(15G)에 마련되어 있다(우측만 도시). 좌우의 가이드 레일(17)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오목홈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가이드 레일(17)은, 창틀(16)(좌전 필러(15F), 우전 필러(15G))을 따르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후에, 상부에서 후측으로 굴곡하고, 천정면부(15E)의 하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17)에는, 앞창(18)의 롤러(18E)가 이동 가능하게 감합(嵌合)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 레일(17)은, 앞창(18)을 후술의 폐창 위치와 개창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앞창(18)은, 캡 박스(15)에 마련되어 있다. 앞창(18)은, 창틀(16)에 수납되어 개구(16A)를 폐색한 폐창 위치(도 2에 나타내는 위치)와, 천정면부(15E)의 하측에 격납된 개창 위치(도 3에 나타내는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앞창(18)의 개창 위치에서는, 창틀(16)의 개구(16A)가 개방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창(18)은, 폐창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장척인 직사각 형상의 글라스판으로 이루어지는 창 유리(18A)와, 창 유리(18A)의 좌변(左邊)에 장착되며, 좌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프레임부(18B)와, 창 유리(18A)의 우변(右邊)에 장착되며, 우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우측 프레임부(18C)와, 창 유리(18A)의 하변에 장착되며, 하변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하측 프레임부(18D)와, 좌측 프레임부(18B)의 양단부(兩端部) 및 우측 프레임부(18C)의 양단부에 마련된 롤러(18E)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18E)는, 가이드 레일(17)에 이동 가능하게 감합된다. 이에 의해, 앞창(18)은, 롤러(18E)가 가이드 레일(17)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폐창 위치와 개창 위치에 올바르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앞창(18)은, 복수 개, 예를 들면 3개의 C자 형상의 손잡이(18F,18G,18H)를 가지고 있다. 앞창(18)의 폐창 위치에 있어서, 손잡이(18F)는, 좌측 프레임부(18B)의 상측 위치(길이 방향의 중간부보다도 상측 위치)에 캡(11) 내를 향하여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18G)는, 우측 프레임부(18C)의 상측 위치(길이 방향의 중간부보다도 상측 위치)에 캡(11) 내를 향하여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18H)는, 하측 프레임부(18D)의 좌측 위치에 캡(11) 내를 향하여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18F,18G,18H)는, 앞창(18)을 개폐할 때에 쥐어진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앞창(18)을 개폐할 때에 손잡이(18F,18G,18H)를 쥠으로써, 가벼운 힘으로 간단하게 앞창(18)을 이동시킬 수 있다.
추가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창(18)의 우측 프레임부(18C)에는, 브래킷(18J)이 캡(11) 내를 향하여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브래킷(18J)은, 판체로 이루어지며, 손잡이(18G)의 하측 근방(우측 프레임부(18C)의 상하 방향의 중간 위치)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브래킷(18J)에는, 유니버설 조인트(20)(모니터 장치(21))가 장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장치(19)는, 캡(11)의 후측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카메라 장치(19)는, 예를 들면 CCD 카메라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 장치(19)는, 캡(11) 내의 오퍼레이터에 있어서 사각(死角)이 되는 유압 셔블(1)의 후방의 범위를 촬영한다. 카메라 장치(19)가 촬영한 영상은, 캡(11) 내의 모니터 장치(21)에 표시된다.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니버설 조인트(20)는, 앞창(18)의 우측 프레임부(18C)에 마련되어 있다. 유니버설 조인트(20)는, 연결 부재를 구성하여, 후술의 모니터 장치(21)를 앞창(18)에 장착할 때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유니버설 조인트(20)는, 손잡이(18G)의 하측 근방이 되는 우측 프레임부(18C)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의 중간 위치, 즉, 브래킷(18J)에 마련되어 있다. 유니버설 조인트(20)는, 예를 들면, 구상체(球狀體)를 2개의 오목 구면부(球面部)로 끼우고, 나사 부재를 이용하여 오목 구면부를 구상체로 누르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유니버설 조인트(20)의 일방의 단부가 앞창(18)의 우측 프레임부(18C)의 브래킷(18J)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유니버설 조인트(20)의 타방의 단부에는, 후술의 모니터 장치(21)가 장착되어 있다.
유니버설 조인트(20)는, 나사 부재를 느슨하게 하여 구상체와 오목 구면부의 사이의 마찰력을 작게 함으로써, 모니터 장치(21)의 장착 각도의 변경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 장치(21)의 장착 각도가 결정되면, 나사 부재를 체결하여 구상체와 오목 구면부의 사이의 마찰력을 크게 함으로써, 모니터 장치(21)의 장착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니버설 조인트(20)는, 앞창(18)이 폐창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개창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모니터 장치(21)의 화면(21A)을 운전석(13)에 앉은 오퍼레이터를 향하게 할 수 있다.
모니터 장치(21)는, 캡 박스(15) 내에 마련되어 있다. 모니터 장치(21)는, 카메라 장치(19)가 촬영한 유압 셔블(1)의 후방의 화상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모니터 장치(21)는, 컨트롤러(도시 생략)에 대하여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되어 있다.
모니터 장치(21)는, 예를 들면, 전면측에 사각 형상의 화면(21A)을 구비하고 있다. 모니터 장치(21)는, 후면측이 유니버설 조인트(20)의 타방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즉, 모니터 장치(21)는, 유니버설 조인트(20)를 개재하여 앞창(18)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니터 장치(21)는, 앞창(18)의 이동에 수반하여 폐창 위치와 개창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모니터 장치(21)는, 유니버설 조인트(20)를 개재하여 앞창(18)의 우측 프레임부(18C)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니터 장치(21)는, 캡 박스(15)의 승강구(15H)와 반대측이 되는 좌우 방향의 타방측, 즉, 앞창(18)의 우측 프레임부(18C)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니터 장치(21)는, 승강구(15H)를 통하여 승강할 때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모니터 장치(21)는, 앞창(18)의 우측 프레임부(18C)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의 중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모니터 장치(21)의 위치는, 도 2에 나타내는 앞창(18)의 폐창 위치에서는, 운전석(13)에 앉은 오퍼레이터가 전방을 목시하였을 때에 방해되는 일 없이, 자연히 시계에 들어가고, 또한 캡(11) 내의 스페이스를 압박하지 않는 위치로 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앞창(18)의 개창 위치(격납 위치)에서는, 모니터 장치(21)는, 운전석(13)의 등받이(13B)보다도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개창 위치의 모니터 장치(21)는, 운전석(13)에 앉은 오퍼레이터가 전방을 목시하였을 때에, 또는, 조금만 시선을 우측으로 트는 것만으로 시인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 장치(21)는, 유니버설 조인트(20)의 움직임에 의해, 앞창(18)이 폐창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개창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모니터 장치(21)의 화면(21A)을 운전석(13)에 앉은 오퍼레이터를 향하게 할 수 있다.
추가로, 모니터 장치(21)는, 앞창(18)을 개방하여 창틀(16)의 개구(16A)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앞창(18)과 함께 캡 박스(15)의 천정면부(15E)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우수, 먼지, 토사 등이 창틀(16)의 개구(16A)로부터 캡(11) 내에 들어왔다고 하여도, 모니터 장치(21)에는, 우수, 먼지, 토사 등이 걸리기 어렵다. 이에 의해, 모니터 장치(21)에 우수가 침입하여 고장나거나, 화면(21A)이 우수, 먼지, 토사 등에 의해 더럽혀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적용된 유압 셔블(1)은 상기 서술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으로,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오퍼레이터는, 캡(11)에 탑승하여 운전석(13)에 앉아, 주행용의 레버·페달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용의 레버 장치(14)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4)를 회전 운동시켜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추가로, 유압 셔블(1)을 후퇴시킬 때나, 상부 선회체(3)를 선회시킬 때에는, 오퍼레이터는, 캡(11) 내에 마련된 모니터 장치(21)의 화면(21A)에 비추어진 후방 등의 영상을 목시함으로써, 캡(11) 내에서는 보기 어려운 범위도 보면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작업 장치(4)로 깊은 구멍을 굴삭하는 경우에는, 운전석(13)에 앉은 채로는 작업 장치(4)의 선단측이 보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앞창(18)을 개방하고, 운전석(13)으로부터 허리를 들어서 상반신을 전측으로 내밀어, 아래를 들여다보도록 하고 작업 장치(4)의 조작을 행한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주위의 작업자와 말을 주고 받으면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도, 앞창(18)을 개방하여 작업을 행한다.
그래서, 캡(11)의 앞창(18)을 개창 위치, 폐창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의 수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창(18)을 개방하여 캡 박스(15)의 천정면부(15E)측에 격납하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는, 앞창(18)의 로크를 해제하고, 손잡이(18F~18H)의 어느 것을 쥐고 앞창(18)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앞창(18)은, 각 롤러(18E)가 가이드 레일(17)을 따라 이동하여 개창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앞창(18)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개창 동작과 반대의 수순으로 작업을 행함으로써, 앞창(18)을 폐창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리 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캡 박스(15) 내에 마련되며,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21)는, 앞창(18)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니터 장치(21)는, 앞창(18)의 이동에 수반하여, 캡 박스(15)의 창틀(16)에 수납되어 개구(16A)를 폐색하는 폐창 위치와, 캡 박스(15)의 천정면부(15E) 하에 격납되는 개창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창(18)을 폐창 위치와 개창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때에 모니터 장치(21)가 앞창(18)에 접촉할 일이 없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창(18)의 접촉에 의한 모니터 장치(2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이, 앞창(18)을 개폐하기 위하여 모니터 장치(21)의 장착 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앞창(18)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게다가, 앞창(18)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모니터 장치(21)를 앞창(18)과 함께 캡 박스(15)의 천정면부(15E)의 하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니터 장치(21)에는, 창틀(16)의 개구(16A)로부터 캡(11) 내에 들어온 우수, 먼지, 토사 등이 걸리기 어려워, 모니터 장치(21)의 고장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모니터 장치(21)의 내구성이나 화면(21A)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니터 장치(21)는, 장착 각도가 조정 가능한 유니버설 조인트(20)를 이용하여 앞창(18)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모니터 장치(21)는, 앞창(18)이 폐창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개창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유니버설 조인트(20)에 의해 화면(21A)을 운전석(13)에 앉은 오퍼레이터를 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니터 장치(21)의 화면(21A)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앞창(18)을 천정면부(15E) 하에 격납한 상태에서도, 오퍼레이터에게 모니터 장치(21)의 화면(21A)의 영상(정보)을 제공할 수 있다.
캡 박스(15) 내에는, 오퍼레이터가 앉는 운전석(13)이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모니터 장치(21)는, 앞창(18)이 도 3에 나타내는 개창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운전석(13)의 등받이(13B)보다도 전측에 위치하도록 앞창(18)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니터 장치(21)는, 앞창(18)과 함께 개창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운전석(13)에 앉은 오퍼레이터로부터 보기 쉬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추가로, 캡 박스(15)는, 좌우 방향의 일방이 되는 좌면부(15C)에, 출입하기 위한 승강구(15H)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모니터 장치(21)는, 승강구(15H)와 반대측이 되는 앞창(18)의 우측(좌우 방향의 타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니터 장치(21)는, 승강구(15H)를 통하여 승강할 때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건설 기계용 캡으로서 크롤러식의 유압 셔블(1)의 캡(11)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캡(11)을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에 적용하여도 된다. 추가로, 예를 들면 유압 크레인 등의 다른 건설 기계의 캡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유압 셔블(건설 기계)
11 캡(건설 기계용 캡)
13 운전석
13B 등받이
15 캡 박스
15A 전면부
15C 좌면부
15E 천정면부
15H 승강구
16 창틀
16A 개구
18 앞창
20 유니버설 조인트
21 모니터 장치

Claims (4)

  1. 전측에 개구가 형성된 캡 박스와,
    상기 캡 박스에 마련되며,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폐창 위치와 상기 캡 박스의 천정면부 하에 격납되는 개창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앞창과,
    상기 캡 박스 내에 마련되며,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캡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장치는, 상기 앞창에 장착되며, 상기 앞창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폐창 위치와 상기 개창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장치는, 장착 각도가 조정 가능한 유니버설 조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앞창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박스 내에는, 오퍼레이터가 앉는 운전석이 마련되며,
    상기 모니터 장치는, 상기 앞창이 상기 개창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운전석의 등받이보다도 전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앞창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박스는, 좌우 방향의 일방에 출입하기 위한 승강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모니터 장치는, 상기 승강구와 반대측이 되는 상기 앞창의 좌우 방향의 타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캡.
KR1020247006305A 2021-10-28 2022-10-27 건설 기계용 캡 KR202400358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76834 2021-10-28
JPJP-P-2021-176834 2021-10-28
PCT/JP2022/040126 WO2023074789A1 (ja) 2021-10-28 2022-10-27 建設機械用キャブ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888A true KR20240035888A (ko) 2024-03-18

Family

ID=8615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6305A KR20240035888A (ko) 2021-10-28 2022-10-27 건설 기계용 캡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3074789A1 (ko)
KR (1) KR20240035888A (ko)
CN (1) CN117881860A (ko)
WO (1) WO202307478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6943A (ja) 2013-01-18 2014-07-28 Komatsu Ltd 油圧ショベ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5739B2 (ja) * 2002-04-18 2006-05-17 住友建機製造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用フロント窓構造
JP2008094195A (ja) * 2006-10-10 2008-04-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13087577A (ja) * 2011-10-21 2013-05-13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の表示装置
DE112017000135T5 (de) * 2017-03-31 2019-03-14 Komatsu Ltd. Arbeitsfahrzeug
JP7238720B2 (ja) * 2019-09-26 2023-03-1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6943A (ja) 2013-01-18 2014-07-28 Komatsu Ltd 油圧ショ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881860A (zh) 2024-04-12
JPWO2023074789A1 (ko) 2023-05-04
WO2023074789A1 (ja)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1799B2 (ja) 作業車両
KR102641400B1 (ko) 캡 및 작업 차량
JP2002371595A (ja) 建設機械
JP2017145649A (ja) 作業機械
KR20240035888A (ko) 건설 기계용 캡
EP1201833B1 (en) A cab for earth-moving machines
JP5094649B2 (ja) ローダ作業機
JP5119094B2 (ja) ローダ作業機
JP5016572B2 (ja) ローダ作業機
JP4053924B2 (ja) 建設機械
JP2018044328A (ja) 作業車両
JP2010059681A5 (ko)
JP4704853B2 (ja) 建設機械
JP5696717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ヘッドガード装置
JP4073768B2 (ja) 建設機械
JP2010059684A5 (ko)
JP6673391B2 (ja) 作業機械
JP2010059683A5 (ko)
JP2022081187A (ja) 建設機械
JP2022155962A (ja)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04034783A (ja) 建設機械
JP7404130B2 (ja) 建設機械
JP6539615B2 (ja) 小型油圧ショベル
JP2023051224A (ja) 作業機械
JPS6225922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