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436A - 커넥터 블록 및 흡입 회로를 구비하는 마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블록 및 흡입 회로를 구비하는 마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436A
KR20240035436A KR1020247000259A KR20247000259A KR20240035436A KR 20240035436 A KR20240035436 A KR 20240035436A KR 1020247000259 A KR1020247000259 A KR 1020247000259A KR 20247000259 A KR20247000259 A KR 20247000259A KR 20240035436 A KR20240035436 A KR 20240035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head
friction
plate
assembl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이크 아담크작
아드리엔 매스트르
파스칼 보노
Original Assignee
탈라노 테크놀로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탈라노 테크놀로지즈 filed Critical 탈라노 테크놀로지즈
Publication of KR20240035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43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31Devices for retaining friction material debris, e.g. dust collectors 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5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the systems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wo or more command signals, e.g.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60T17/043Brake line couplings, air hoses and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8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5/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es with substantially 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2069/0425Attachment methods or devices
    • F16D2069/0433Connecting elements not integral with the braking member, e.g. bolts, ri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마찰 어셈블리(1)는 2차 채널(38)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헤드(3), 1차 채널(28)을 포함하고 브레이크 헤드(3)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마찰 플레이트(2), 2차 채널(38) 내에 삽입되고, 1차 채널(28)이 2차 채널(38)에 정렬될 때 1차 채널(28)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 및 브레이크 헤드(3)에 고정되는 커넥터 블록(50)을 포함한다. 블록(50)은 흡입 장치에 연결되고 홀(58)에 의해 2차 채널(38)에 연결되는 공동(55)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링(8)은 연결 플레이트(4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연결 플레이트(40)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에 의해 형성된 개체는 브레이크 헤드(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블록 및 흡입 회로를 구비하는 마찰 어셈블리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제동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 차량용 제동 시스템의 마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철도 차량이란 기차, 트램, 지하철 등과 같이 레일 위를 주행하도록 구성된 모든 차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제동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의 바퀴나 축에 고정된 디스크를 포함한다. 제동 시스템은 마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레이크 헤드를 포함하는 마찰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마찰 플레이트는 통상적으로 브레이크 헤드에 대한 부착 수단과 마찰 패드로 구성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면, 마찰 플레이트의 마찰 패드가 디스크와 접촉해서 디스크에 제동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마찰에 의해 마찰 플레이트는 휠이나 축에 고정된 디스크의 속도를 늦춘다. 철도 차량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마찰 어셈블리로 구성되며, 이들은 디스크를 양쪽에서 압박하기 위해 디스크를 잡거나 즉 끼워 넣기 위해 디스크의 양쪽에 하나씩 배열된다. 마찰 플레이트의 마찰 패드는 일반적으로 주철 등의 금속 재료, 소결 재료, 복합 재료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마찰 플레이트의 마찰 패드가 디스크와 마찰할 때, 마찰 패드와 디스크의 재료 입자가 마찰 어셈블리 주변 대기로 방출된다. 따라서 제동 시스템은 다양한 입도의 입자 형태로 대기 오염물을 방출한다.
따라서 특히 마찰 플레이트의 마찰 패드에서 나오는 입자 방출 영역 근처에 펌프로 구동되는 흡입 장치를 배치하여 제동 중에 방출되는 입자를 포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또한 이러한 입자 흡입이 최대한 효과적이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이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마찰 어셈블리이다. 이 종래 기술은 문헌 FR 3 088 394호에 설명되어 있다. 도 9는 이 어셈블리의 저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브레이크 헤드(103)는 종방향(X)으로 연장되고, 횡방향(Y)으로 횡단된다. 평면 X-Y는 수평이다. 기준 프레임(X, Y, Z)을 형성하기 위해, 평면 X-Y에 수직인 Z 방향은 수직으로, 위쪽을 향한다. 브레이크 헤드(103)는 마찰 플레이트(102)를 수용하기 위한 하측(131)과 상측(132)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평면 X-Y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브레이크 헤드(103)는 하측(131)에 오목한 더브테일 수용 슬라이드(105)를 가진다. 이는 브레이크 헤드(103)의 제1 단부로부터 이 슬라이드에 개구부가 없는 브레이크 헤드(103)의 제2 단부 부근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브레이크 헤드(103)는 종축 X 상에 서로 이격된 2개의 2차 채널(138)을 포함한다. 각각의 2차 채널(138)은 상측(132)을 상측 상의 슬라이드(105)의 바닥에 연결한다.
마찰 플레이트(102)는 두 개의 동일한 부분(예를 들어 대칭)으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부분은 차량의 디스크(도시되지 않음)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마찰 측(121)과 반대 측(122)을 갖는다. 반대 측(122)은 수용 슬라이드(105)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볼록한 더브테일 섹션(104)을 구비한다. 사용 중에, 마찰 플레이트(102)의 제1 부분은 슬라이드(105)의 단부에 대해 눌려질 때까지 슬라이드(105)의 더브테일 섹션(104)이 슬라이딩함으로써 종축 X를 따라 밀어진다. 그러면, 마찰 플레이트(102)의 제2 부분은 마찰 플레이트(102)의 제1 부분에 대해 압박될 때까지 슬라이드(105)의 더브테일 섹션(104)이 슬라이딩함으로써 종축 X를 따라 밀어지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접촉 표면은 이상적으로는 전체 표면을 따라 서로 부합(fit)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마찰 플레이트(102)의 각각의 부분은 수직축 Z를 따라 배향된 1차 채널(128)을 포함한다. 이들 부분이 사용 중에 브레이크 헤드(103)와 조립될 때, 2개의 1차 채널(128) 각각은 2차 채널(138)과 일직선으로 위치된다. 축 B는 1차 채널(128)과 이에 마주하는 2차 채널(138)의 주축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1차 채널(128)과 2차 채널(138)은 동축이다. 따라서, 각각의 1차 채널(128)은 브레이크 헤드(103)에 제공된 2차 채널들(138) 중 하나와 함께 제동 중에 마찰 플레이트(102)에 의해 방출되는 입자를 흡입할 수 있게 하는 회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축 B는 수직축 Z와 평행하다.
튜브와 이 튜브의 일 단부에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플랜지(1082)로 구성된 연결 링(108)이 2차 채널(138)에 장착된다. 튜브는 2차 채널(138) 내에 삽입되며, 최상의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튜브의 외경은 2차 채널(138)의 내경과 동일해야 한다. 플랜지(1082)는 브레이크 헤드(103)의 환형 하우징에 수용되며, 이 하우징은 주축 B의 중심에 있고 마찰 플레이트(102)의 반대 측(122)을 향하고 있다. 환형 하우징의 직경은 2차 채널(138)의 직경보다 크고, 플랜지(1082)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플랜지(1082)는 마찰 플레이트(102)의 더브테일 부분과 브레이크 헤드(103)의 슬라이드(105) 바닥 사이에 끼워진다. 일단 하우징에 들어가면, 플랜지(1082)는 마찰 플레이트(102)의 더브테일 부분(104)의 측(122)과 접촉한다. 이 접촉은 예를 들어 하우징 바닥과 측(122) 사이의 플랜지(1082)의 변형(납작하게 함(crushing))에 의해 달성된다.
대안적으로(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접촉은 플랜지(1082)와 하우징 바닥 사이에서 튜브에 장착된 나선형 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플랜지(1082) 자체 또는 나선형 스프링은 플랜지(1082)가 더브테일 섹션(104)에 대해 가압되도록 하는 복귀 기구(190)이다(아래 참조).
연결 링(108)은 브레이크 헤드(103)를 완전히 가로질러 그 상측(132)을 넘어 슬라이드(105)가 제공되는 하측(131)으로 돌출한다. 링(108) 튜브의 이 단부에는 파이프(150)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는 흡입 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마찰 플레이트(102)의 마모로 인해 철도 차량의 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입자를 1차 채널(128)과 2차 채널(138)을 통해 흡입할 수 있게 한다. 파이프(150)와 흡입 장치는 입자 제거 장치를 구성한다.
연결 링(108)은 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입자를 마찰 플레이트(102)의 1차 채널(128)에서 브레이크 헤드(103)의 2차 채널(138)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연결 링(108)은 1차 채널(128)과 2차 채널(138)을 통한 누출 가능성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연결 링(108)은 제동으로 인해 마찰 플레이트(102)와 브레이크 헤드(103) 사이의 틈내로 미끄러질 수 있는 입자의 양을 감소시키고, 무엇보다도 외부 공기의 흐름이 이 틈을 통해 2차 채널(138)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렇지 않으며, 흡입 장치에 의한 흡입력이 저하된다.
또한, 연결 링(108)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귀 기구(190)에 의해 더브테일 섹션(104)에 대해 가압된다. 복귀 기구(190)는 1차 채널(128)과 2차 채널(138)에서 마찰 플레이트(102)와 브레이크 헤드(103) 사이의 경계면에서 공기의 통과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러한 공기의 통과는 브레이크 헤드(103)와 마찰 플레이트(102) 사이의 경계면에서의 간극으로 인해 발생한다.
브레이크 헤드(103)와 일체화되도록 링(108)은 축 B를 따라 양 방향으로 병진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는, 한 방향으로는 링(108)의 하단에 있는 플랜지(1082)에 의해 달성된다. 다른 방향으로는, 흡입 장치에 연결된 파이프(150) 상에 고정된 링(108)의 상단부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우리는 철도 차량용 제동 시스템용 마찰 어셈블리로, 상기 마찰 어셈블리는, 한편으로는 하측, 상측, 및 상기 하측과 상측을 연결하는 중심축 B의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헤드; 다른 한편으로는, 마찰 측인 제1 측, 조립 기구에 의해 상기 하측에 조립되게 구성된 제2 측, 및 상기 제1 측과 상기 제2 측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을 포함하는 마찰 재료로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이 마찰 어셈블리는 2차 채널에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에 정렬될 때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과 연결을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 마찰 어셈블리는 흡입 장치에 연결되고, 상측에서 브레이크 헤드에 고정되는 커넥터 블록을 추가로 포함하는 마찰 어셈블리를 갖게 된다.
그러나, 브레이크 헤드, 커넥터 블록 및 연결 링(들) 간의 조립을 개선하고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흡입 시스템에 연결되는 커넥터 블록 예를 들어 공압 매니폴드 블록이 브레이크 헤드에 고정되는 철도 제동 시스템용 마찰 어셈블리로, 이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의 브레이크 헤드 상에 장착하는 것이 간단하게 되며, 마찰 플레이트의 마모로 인해 방출되는 입자를 흡입 장치를 향해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마찰 어셈블리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블록이 회로에 의해 흡입 장치에 연결되고, 공동과 상측을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과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공동을 갖는다는 사실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이 연결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연결 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에 의해 형성된 개체가 브레이크 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는 사실로 인해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각의 연결 링은 마찰 플레이트가 흡입 장치와 연통되도록 배치하기 위해 각각의 홀과 2차 채널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삽입은 연결 플레이트와 이 연결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고 브레이크 헤드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링들(또는 링)으로 구성되는 단일 개체의 조작으로 인해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마찰 플레이트으로부터 발생하는 입자는 마찰 어셈블리가 작동하는 중에 흡입 장치로 확실하게 운반된다. 특히, 연결 플레이트에서 링들을 분리할 수 있고, 이 연결 플레이트와 링으로 구성된 개체를 브레이크 헤드에서 분리할 수 있어 조립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예를 들어, 커넥터 블록과 브레이크 헤드 사이에 연결 플레이트가 수용되고, 커넥터 블록과 브레이크 헤드 사이에 연결 플레이트가 고정되도록 커넥터 블록이 브레이크 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링들은 브레이크 헤드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유지되면서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측에는 하우징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이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에 삽입될 때 연결 플레이트가 하측의 나머지 부분에서 돌출되지 않고 이 하우징에 수용되고, 마찰 플레이트는 조립 기구에 의해 마찰 플레이트가 브레이크 헤드에 조립될 때 연결 플레이트를 덮는다.
따라서 링들은 블록이 브레이크 헤드에 고정되는 것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브레이크 헤드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은 브레이크 헤드에 통합된 부분이다.
따라서 브레이크 헤드의 일 측(블록 쪽)에서 접근할 수 없는 경우에도, 링을 브레이크 헤드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결 플레이트는 고정 기구에 의해 브레이크 헤드 또는 블록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링(들)은 이 고정 기구로 인해 브레이크 헤드에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탭 홀(tapped hole)을 포함하고, 연결 플레이트는 연결 플레이트가 하우징에 수용될 때 탭 홀과 일치하는 나사 홀으로 관통되며, 고정 기구는 탭 홀과 나사 홀을 통해 연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탭 홀에 나사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나사(V)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기구가 단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마찰 어셈블리는 링들을 제2 측에 대해 누르도록 구성된 복귀 기구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링(8)과 마찰 플레이트(2) 사이의 밀봉이 개선된다.
예를 들어, 조립 기구는 하측에 형성된 수용 슬라이드와, 제2 측에 형성되고 수용 슬라이드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더브테일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헤드에 대한 마찰 플레이트의 조립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루어져서 용이해지며, 제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커넥터 블록이 흡입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브레이크 헤드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을 장착하는 방법으로, 브레이크 헤드는 하측, 상측 및 중심축 A의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을 포함하고, 브레이크 헤드 및 연결 링은 철도 차량의 제동 시스템용 마찰 어셈블리의 일부를 형성하며, 이 마찰 어셈블리는 마찰 측인 제1 측과, 조립 기구에 의해 하측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제2 측 및 제1 측과 제2 측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을 포함하며, 마찰 재료로 제작된 마찰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은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들)에 정렬될 때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과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 헤드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을 장착하는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장착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a) 회로에 의해 흡입 장치에 연결되는 공동과, 공동과 상측을 연결하며,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과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블록에 제공하는 단계;
(b) 연결 플레이트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을 연결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
(c) 그런 다음, 연결 플레이트를 브레이크 헤드의 상측에 대해 배치하고, 이와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을 상측으로부터 축 A를 따라 슬라이딩시켜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에 삽입하고, 그런 다음 연결 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에 의해 형성된 개체가 브레이크 헤드와 블록 사이에 끼워지도록 블록을 연결 플레이트 상에 배치하는 단계;
(d) 블록을 브레이크 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
(e) 마찰 플레이트가 2차 채널들을 커버할 때가지 조립 기구로 마찰 플레이트를 브레이크 헤드에 조립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은 하측과 상측을 포함하고, 상측에 위치하며 흡입 장치에 연결된 커넥터 블록을 구비하는 브레이크 헤드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을 장착하는 방법으로, 브레이크 헤드는 중심축 A의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을 포함하고, 브레이크 헤드와 연결 링은 철도 차량의 제동 시스템용 마찰 어셈블리의 일부를 형성하며, 마찰 어셈블리는 마찰 측인 제1 측과, 조립 기구에 의해 하측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제2 측 및 제1 측과 제2 측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을 포함하며, 마찰 재료로 제작된 마찰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은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들)에 정렬될 때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과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 헤드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을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장착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a) 회로에 의해 흡입 장치에 연결되는 공동과, 공동과 상측을 연결하며,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과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블록에 제공하며, 하측에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b) 연결 플레이트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을 연결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
(c) 그런 다음, 연결 플레이트가 하측의 나머지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하우징 내에 배치하고, 이와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을 하측으로부터 축 A를 따라 슬라이딩시켜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에 삽입하고, 연결 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에 의해 형성된 개체가 브레이크 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단계;
(d) 마찰 플레이트가 2차 채널들과 결 플레이트를 덮을 때까지 조립 기구에 의해 마찰 플레이트를 브레이크 헤드에 조립하는 단계.
예를 들어, 블록은 상측에서 브레이크 헤드의 일체형 부분이다.
예를 들어, 단계 (a)에서 블록이 브레이크 헤드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예를 들어, 방법은 단계 (c) 이후 및 단계 (d) 이전에 다음 단계 (c2)를 포함한다.
(c2) 연결 플레이트가 고정 기구에 의해 브레이크 헤드 또는 블록에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단계.
비제한적인 예들로 제시된 일부 실시형태들에 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본 발명을 잘 이해하게 되고, 본 발명의 이점들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마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로, 마찰 플레이트이 브레이크 헤드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블록을 포함하는, 도 1의 마찰 어셈블리 영역의 평면(X, Z)에서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마찰 어셈블리의 연결 플레이트과 링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변형에 따른 마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로, 마찰 플레이트이 브레이크 헤드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블록을 포함하는, 도 4에 따른 마찰 어셈블리 영역의 평면(X, Z)에서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마찰 플레이트이 없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마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링을 포함하는, 도 6에 따른 마찰 어셈블리 영역의 평면 (X, Z)에서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마찰 어셈블리의 연결 플레이트와 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마찰 어셈블리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위에서 설명한 도 9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은 철도 차량의 제동 시스템용 마찰 어셈블리(1)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브레이크는 디스크 브레이크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브레이크는 철도 차량 바퀴의 주행 표면에 있는 브레이크이다. 어셈블리는 종축 X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위쪽을 향하는 수직축 Z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횡축 Y는 축 X 및 Z와 함께 삼각법 기준 프레임을 형성하며, 도 1, 2, 4, 5 및 6에서 이 기준 프레임을 사용한다. 마찰 어셈블리(1)는 명확성을 위해 다양한 부품을 분리한 상태에서, 아래로부터 바라 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마찰 어셈블리(1)는 브레이크 헤드(3)와 마찰 재료로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 플레이트(2)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헤드(3)는 하측(31)과 상측(32)을 갖는다. 마찰 플레이트(2)는 마찰측인 제1 측(21)과 제2 측(22)을 갖는다. 마찰 플레이트(2)는 하나의 부품이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반쪽일 수도 있다. 작동 중에, 마찰 플레이트(2)는 조립 기구(4, 5)에 의해 브레이크 헤드(3)에 조립된다. 예를 들어, 이 조립 기구는 하측(31)에 형성된 수용 슬라이드(5)와, 제2 측(22)에 형성되어 수용 슬라이드(5)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더브테일 섹션(4)을 포함한다. 따라서, 더브테일 섹션(4)을 종축 X를 따라 슬라이드(5)에 삽입하여 병진 이동시킴으로써, 마찰 플레이트(2)가 브레이크 헤드(3)에 조립된다. 그런 다음 조립 기구는 이 조립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마찰 플레이트(2)를 브레이크 헤드(3)에서 분리할 수 있어서, 마모된 마찰 플레이트(2)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마찰 플레이트(2)는 제1 측(21)과 제2 측(22)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28)을 포함한다. 1차 채널(28)의 측벽은 유체-기밀이고, 제1 측(21)에 존재할 수 있는 그루브에서만 개방된다. 도 1에서, 마찰 플레이트(2)는 2개의 1차 채널(28)(마찰 플레이트(2)의 각각의 절반에 하나씩)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헤드(3)는 수용 슬라이드(5)의 바닥에서 하측(31)과 상측(32)을 유체-기밀 방식으로 연결하는 중심축 A의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38)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브레이크 헤드(3)는 2개의 2차 채널(38)을 포함한다. 마찰 어셈블리(1)는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38)에 삽입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28)과의 연결을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브레이크 헤드(3)는 2개의 연결 링(8)을 포함한다. 마찰 플레이트(2)가 브레이크 헤드(3)에 조립되면, 각각의 1차 채널(28)은 2차 채널(38)과 정렬되는데, 이는 각각의 1차 채널(28)의 중심축이 2차 채널(38)의 중심축 A와 정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결 링(8)은 관형 바디(8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축 X를 따라 마찰 플레이트(2)와 브레이크 헤드(3) 사이의 유격을 보상하기 위해, 바디(81)의 내경이 1차 채널(28)의 직경보다 크다. 각각의 연결 링(8)은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82)에 의해 바디(81)의 일 단부에서 연장된다. 바디(81)의 타 단부는 바디(81)의 원위 단부이다.
연결 플레이트(40)가 모든 연결 링(8)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연결 링(8)은 연결 플레이트(4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각의 링(8)은 연결 플레이트(40)가 플랜지(82)에 대해 지탱되도록 연결 플레이트(40)에 장착된다. 따라서 바디(81)의 원위 단부는 플랜지(82)에 대한 연결 플레이트(40)의 다른 쪽에 위치한다. 연결 플레이트(40)는 실질적으로 평면 내에서 연장되고, 각각의 바디(81)의 종축은 이 평면에 수직이다. 2개의 링(8)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연결 플레이트(40)와 연결 링(8)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각각의 링(8)의 바디(81)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부분은 다른 부분의 연장선에 있다. 링(8)과 연결 플레이트(40)에 의해 형성된 실체는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대안적으로, 바디(81)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아래 설명에서, 부재들이 둘 이상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1차 채널들(primary channels)(28)", "2차 채널들(secondary channels)(28)", 연결 링들(connecting rings)(8)", "홀들(holes)(58)"과 같이 복수 형태를 사용하거나 "각각의(each)"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아래 설명은 하나의 1차 채널(28), 하나의 2차 채널(38), 하나의 연결 링(8) 및 하나의 홀(58)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이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브레이크 헤드(3)의 하측(31)은 하우징(314)을 갖는다. 이 하우징은 오목부이다. 각각의 2차 채널(38)의 일 단부는 하우징(314)으로 연결된다.
마찰 어셈블리(1)는 커넥터 블록(50)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블록(50)은 공압식 매니폴드 블록이다. 블록(50)은 2차 채널(38)의 개구를 포함하는 상측(32) 부분에서 브레이크 헤드(3)의 상측(32)을 덮는다. 블록(50)은 흡입 장치에 연결된 회로(51)에 연결되는 공동(55)을 포함한다. 블록(50)은 공동(55)과 상측(32)을 연결하는 홀(58)을 가지며, 각각의 홀(58)은 2차 채널(38) 중 하나와 일렬로 위치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50)은 2개의 홀(58)을 갖는다.
한 경우에서, 블록(50)은 브레이크 헤드(3)에 착탈식으로 고정된다(예를 들어 나사 및 너트를 사용하는 기계적 연결에 의해).
대안적으로, 다른 경우에서는, 블록(50)이 상측(32)에서 브레이크 헤드(3)의 일체형 부분이다. "일체형 부분(integral part)"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블록(50)이 브레이크 헤드(3)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블록(50)이 브레이크 헤드(3)와 함께 성형되거나 브레이크 헤드(3)에 용접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해결책이 특히 중요한데, 그 이유는 블록(50)이 브레이크 헤드(3)의 일체형 부분을 형성하기 때문에 링(8)이 상측(32)을 통해 2차 채널(38) 내로 삽입될 수 없기 때문이다
두 경우 모두에서, 각각의 링(8)은 마찰 플레이트(2)를 브레이크 헤드(3)에 조립하기 전에 하측(31)을 통해서만 2차 채널(38)에 삽입된다. 블록(50)의 각각의 홀(58) 직경은 바디(81)의 외경과 같거나 더 크다. 따라서, 각각의 링(8)의 바디(81)가 2차 채널(38)에 삽입될 때, 바디(81)도 홀(58) 내에서 슬라이딩 한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40)가 하측(31)에 의해 위치된다. 연결 링(8)은 블록(50)의 홀(58)과 2차 채널(38) 안에서 슬라이딩 하고, 연결 플레이트(40)는, 연결 플레이트(40)가 하측(31)의 나머지 부분에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하우징(314)에 수용된다.
도 1 및 도 2는 하우징(33)이 상측(32)에서 개방되지 않은 상황을 도시한다. 도 2는 블록(50)을 포함하는 도 1의 마찰 어셈블리 영역의 평면(X, Z)에서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이 경우, 하우징(314)은 바닥을 갖는 공동이고, 하우징(314)의 깊이는 공동의 바닥과 공동 주위의 하측(31) 사이의 거리(Z 방향을 따른)이다. 하우징(314)의 깊이는 브레이크 헤드(3)의 두께(이 두께는 하측(31)과 상측(32) 사이의 거리이다)보다 엄격히 작다. 연결 플레이트(40)의 두께는 하우징(314)의 깊이보다 작아서, 연결 플레이트(40)가 하우징(314)의 바닥(공동의 바닥을 의미함)과 접촉할 때 연결 플레이트(40)가 하우징(314)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이어서, 연결 플레이트(40)가 하우징(314)의 바닥에 접할 때까지 하우징(314) 내에 배치된다. 동시에, 플랜지(82)가 2차 채널(38) 내에서 슬라이딩 하고, 연결 링(8)의 바디(81)는 2차 채널(38) 및 블록(50)의 홀(58)에 결합된다.
이제 링(8)이 연결 플레이트(40)에서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3을 참조하여 링(8)과 연결 플레이트(40)에 의해 형성된 개체를 설명한다.
연결 플레이트(40)에는 연결 링(8) 개수만큼의 홀(42)이 마련된다. 도시된 경우에는 두 개의 링(8)에 대해 두 개의 홀(42)이 있다. 양쪽 링(8)은 동일하고, 양쪽 홀(42)도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일부 참조부호는 표시하지 않았다. 각각의 링(8)의 바디(81)는 서로 연장되어 있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바디(81)의 근위 부분(811)은 플랜지(82)를 지탱한다. 바디(81)의 원위 부분(812)은 근위 부분(811)의 연장부에 놓여 있고, 그 원위 단부에 방사상 립(8121)을 지탱한다. 원위 부분(812)의 외경 및 근위 부분(811)의 외경 각각은 홀(42)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으므로 이들 각각의 부분이 홀(42)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부분(812)의 외경은 근위 부분(811)의 외경과 동일하다. 바디(81)의 근위 부분(811)은 플랜지(82)가 홀(42)의 가장자리에 접할 때까지 홀(42)에 삽입된다. 그런 다음, 연결 플레이트(40)의 다른 측을 통해 원위 부분(812)이 근위 부분(811)에 조립된다. 이 조립은 예를 들어 나사 결합 또는 스냅 잠금 방식으로 수행된다. 플랜지(82)의 외경 및 립(8121)의 외경은 각각이 홀(42)의 직경보다 커서, 조립 후 링(8)이 연결 플레이트(40) 밖으로 미끄러질 수 없다. 따라서 링(8)이 연결 플레이트(40)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다. 조립 후, 플랜지(82)의 환형 상단(바디(81)의 원위 단부에서 가장 먼 플랜지 부분을 의미)은 연결 플레이트(40)의 표면 너머로 돌출한다. 예를 들어, 이 환형 상단은 플랜지(82) 측에서 연결 플레이트(40)의 표면 너머로 돌출되는 링(8)의 유일한 부분이다.
복귀 기구(90)가 연결 플레이트(40)와 링(8)의 플랜지(82) 사이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이 복귀 기구는 바디(81)에 장착되는 스프링(예를 들어 나선형 스프링)이다. 휴지(rest) 시, 복귀 기구(90)는 연결 플레이트(40) 및 플랜지(82)와 접촉하고, 연결 플레이트(40)는 하측(31)으로부터 돌출한다(예를 들어, 슬라이드(5)가 존재하는 경우 슬라이드(5)의 바닥에서). 마찰 플레이트(2)가 브레이크 헤드(3)에 조립되면(예를 들어 슬라이드(5)에서 마찰 플레이트(2)의 더브테일 섹션(4)을 슬라이딩시켜), 제2 측(22)이 하측(31)과 접촉하고, 링(8)은 하우징(314) 내에 있는 연결 플레이트(40)에 대해 뒤로 밀려나서 복귀 기구(90)를 압축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복귀 기구(90)는 하나의 링(8)에 대해서는 휴지 상태로, 다른 링(8)에 대해서는 압축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복귀 기구(90)는 홀(42)을 둘러싸는 환형 하우징(49)에 수용되어 플랜지(82)의 상단만이 연결 플레이트(40)의 표면 너머로 돌출된다.
도 4 및 도 5는 하우징(314)의 깊이가 브레이크 헤드(3)의 두께와 동일한 변형 예를 도시한다. 브레이크 헤드(3)의 다른 특성은 도 1와 및 도 4와 동일하다. 도 5는 블록(50)을 포함하는 도 4의 마찰 어셈블리 영역의 평면(X, Z)에서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이 경우, 하우징(314)은 상측(32)에서 개방된다. 이는 하우징(314)이 브레이크 헤드(3)의 관통 홀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40)는 브레이크 헤드(314)의 가장자리에 접할 때까지 하우징(314)에 배치된다. 동시에, 플랜지(82)는 2차 채널(38) 내에서 슬라이딩 하고, 연결 링(8)의 바디(81)는 2차 채널(38) 및 블록(50)의 홀(58) 내에서 슬라이딩 한다.
모든 경우에 플랜지(82)의 상부는 복귀 기구(90)에 의해 마찰 플레이트(2)의 제2 측(22)에 대해 가압된 상태로 유지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따라서 플랜지(82)는 또한 링(8)과 제2 측(22) 사이의 밀봉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밀봉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40)의 주변을 둘러싸고, 하우징(314)의 측면을 지탱하는 밀봉부(48)에 의해 보강된다. 밀봉부(48)는 도 3 및 도 7에서도 볼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연결 플레이트(40)는 축 A를 따라 2차 채널(38) 내에서 연결 링(8)의 양 방향 병진 이동을 차단한다.
연결 플레이트(40)의 각각의 홀(42)의 측면은 O-링(428)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환형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O-링(428)은 링(8)과 연결 플레이트(40) 사이에 밀봉을 생성하기 위해 링(8)의 바디(81)의 측면에 대해 지탱된다. 이러한 O-링(428)은 도 7에서 볼 수 있다.
브레이크 헤드(3)에 하나 이상의 연결 링(8)을 장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커넥터 블록(50)은 브레이크 헤드(3)의 상측(32) 측에 위치하며, 블록(50)이 브레이크 헤드(3)의 상측에서 일체형인 경우, 제1 단계(단계 (a))는 회로(51)에 의해 흡입 장치에 연결된 공동(55)과, 공동(55)과 브레이크 헤드(3)의 상측(32)을 연결하며, 각각이 브레이크 헤드(3)의 2차 채널(38)에 정렬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홀(58)을 블록(50)에 제공하는 단계 및 하측(31)에 하우징(314)을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 방법은 블록(50)이 미리 브레이크 헤드(3)의 상측(3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이 경우, 단계 (a) 중에, 블록(50)이 브레이크 헤드(3)의 상측(3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2 단계(단계 (b))에서는 연결 플레이트(40)을 마련하고, 연결 플레이트(40)에 각각의 연결 링(8)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다.
단계 (b) 이후의 제3 단계(단계(c))에서, 연결 플레이트(40)가 하측(31)의 나머지 부분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우징(314)에 연결 플레이트(40)을 수용함과 동시에 각각의 연결 링(8)이 하측(31)으로부터 축 A를 따라 슬라이딩 하여 2차 채널(38)에 삽입되어, 연결 플레이트(40)와 연결 링(들)(8)에 의해 형성된 개체(entity)가 브레이크 헤드(3)에 착탈식으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연결 플레이트(40)는 각각의 홀(42) 주위에 홀(58)의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은 외경을 갖는 환형 숄더(44)가 있으며, 이는 플레이트(40)와 링(8)으로 형성된 개체의 브레이크 헤드(3) 및 블록(50)에 대한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면 각각의 링(8)의 바디(81)는 적어도 홀(58)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다. 예를 들어, 바디(81)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58)에 침입한다.
복귀 기구(90)가 존재하는 경우, 복귀 기구(90)는 플랜지(82)가 하측(31)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압축되어야 한다.
다음 단계(단계 (d))에서, 마찰 플레이트(2)가 2차 채널(28)과 연결 플레이트(40)를 덮을 때까지 조립 기구(4, 5)에 의해 마찰 플레이트(2)를 브레이크 헤드(3)에 조립한다.
복귀 기구(90)가 존재하는 경우, 복귀 기구(90)는 마찰 플레이트(2)의 제2 측(22)에 대해 링(8)의 플랜지(82)를 압박한다. 이에 따라 링(8)과 마찰 플레이트(2) 사이에 밀봉이 이루어진다.
변형에 따르면, 마찰 어셈블리(1)는, 연결 플레이트(40)가 하우징(314)에 수용될 때, 연결 플레이트(40)를 브레이크 헤드(3) 또는 블록(5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70)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 기구(70)는 연결 플레이트(40)가 하우징(314)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 링(8)이 2차 채널(38)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고정 기구(70)는 해제될 수 있고, 이는 원할 경우 연결 플레이트(40)와 링(8)을 쉽게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단계 (c) 이후 및 단계 (d) 이전에, 연결 플레이트(40)는 고정 기구(70)에 의해 브레이크 헤드(3) 또는 블록(50)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단계 c2).
고정 기구(70)는 연결 플레이트(40)가 하우징(314)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고정 기구(70)의 예와 연결 플레이트(40)를 브레이크 헤드(3) 또는 블록(50)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하우징(314)은 탭 홀(75)을 포함한다. 하우징(314)이 상측(32)(도 2)으로 개방되지 않는 경우, 탭 홀(75)은 하우징(314)의 바닥에 위치하며, 추가로 블록(50)에도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3)이 브레이크 헤드(3)(도 5)를 횡단하는 경우, 탭 홀(75)은 블록(50)에 위치한다. 연결 플레이트(40)는 나사(V)가 통과할 수 있는 나사 홀(47)(도 3에서 볼 수 있음)으로 관통된다. 나사(V)는 연결 플레이트(40)를 횡단할 수 있다. 나사(V)는 나사(V)가 나사 홀(47)을 통과할 때 연결 플레이트(40)에 대해 지지되고 나사(V)가 연결 플레이트(40)를 완전히 횡단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를 갖는다. 연결 플레이트(40)는 나사(V)의 헤드를 수용하게 구성된 함몰부를 갖는다. 예를 들어, 나사(V)의 헤드는 원추형이고, 함몰부는 이 헤드의 모양에 맞도록 원추형으로 벌어져 있다. 따라서 나사(V)의 헤드는 연결 플레이트(40)에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나사(V)는 브레이크 머리(3)에 대한 마찰 플레이트(2)의 슬라이딩을 방해하지 않는다. 나사 홀(47)은 연결 플레이트(40)가 하우징(314) 내부에 수용될 때 탭 홀(75)과 일치한다. 나사(V)는 탭 홀(75)에 나사 고정될 수 있다. 고정 기구(70)는 탭 홀(75)과 나사(V)로 구성된다.
따라서, 단계 (c2)에서는 나사(V)의 헤드가 연결 플레이트(40)의 함몰부에 수용될 때까지 나사(V)를 나사 홀(47)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연결 플레이트(40)를 브레이크 헤드(3) 또는 블록(50)에 기계적으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나사(V)의 나머지 부분은 연결 플레이트(40)를 가로지른다. 그런 다음 나사(V)는 탭 홀(75)에 나사로 고정된다. 나사(V)는 연결 플레이트(40)가 브레이크 헤드(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6은 위에서 본 분해 사시도로 마찰 어셈블리(1)를 도시한다. 마찰 플레이트(2)는 표시되지 않았다. 브레이크 헤드(3)의 상측(32)은 연결 플레이트(4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324)을 갖는다. 2차 채널(38) 각각은 하우징(324)에 입구(mouth)를 갖는다. 링(8)이 제공된 연결 플레이트(40)가 하우징(324)에 수용될 때, 링의 플랜지(82) 및 바디(81)가 브레이크 헤드(3)의 2차 채널(38) 내로 삽입된다. 그런 다음 블록(50)을 브레이크 헤드(3)의 상측(32), 연결 플레이트(40)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부착은 기계적 부착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예를 들어, 이 기구는 복수의 나사와 너트로 구성되며, 브레이크 헤드(3)와 블록(50)에는 이러한 나사를 수용할 수 있는 홀이 있다. 예를 들어, 나사와 너트의 개수는 4개이며, 연결 플레이트(40) 주위에 분산되어 있다. 이러한 부착 후에 각각의 플랜지(82)는 마찰 플레이트(2)의 제2 측(22)과 접촉하게 된다.
복귀 기구(90)가 존재하는 경우, 복귀 기구(90)는 제2 측(22)에 대해 링(8)의 플랜지(82)를 가압한다. 이러한 상황은, 블록(50)과 2차 채널(38)을 포함하는 도 6의 영역의 부분 단면 사시도인 도 7에서 볼 수 있다.
유리하게는, 블록(50)과 브레이크 헤드(3) 사이의 밀봉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40)(또는 존재하는 경우 환형 숄더(44))의 주변을 둘러싸고, 하우징(324)의 바닥에 맞닿아 있는 밀봉부(43)에 의해 생성되거나 강화된다.
전술한 설명에서, 각각의 연결 링(8)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 바디(81)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변형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연결 링(8)은 하나의 부분이다. 이 변형예가 도 8에 예시되어 있으며,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변형예에서, 바디(81)는 단일 부품이고, 그 원위 단부에 휴지 시에 바디(81)와 꽃잎부를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시키는 탄성 페탈(813)을 갖느다. 링(8)을 연결 플레이트(40)의 홀(42)에 삽입하기 시작할 때, 페탈(813)은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밀려서)되어, 원위 단부가 홀(42)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페탈(813)이 홀(42)을 통과하면, 초기 상태(휴지) 위치로 복귀한다. 홀(42)에서 링(8)을 제거하려고 하면 페탈(813)이 홀(42)의 가장자리에 접하여서 각각의 링(8)이 홀(42)에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블록(50)이 브레이크 헤드(3)에서 제거 가능한 경우, 브레이크 헤드(3)에 하나 이상의 연결 링(8)을 장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제1 단계(단계 (a))는 회로(51)에 의해 흡입 장치에 연결되는 공동(55), 및 공동(55)과 상측(32)을 연결하고 2차 채널(38)과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58)을 블록(50)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단계(단계 (b))에서는 연결 플레이트(40)을 마련하고, 각각의 연결링(8)을 연결 플레이트(40)에 착탈식으로 장착한다.
단계 (b) 이후의 제3 단계(단계 (c))에서는, 연결 플레이트(40)가 브레이크 헤드(3)의 상측(32)의 하우징(324)에 배치되는 동시에 각각의 연결 링(8)을 축 A를 따라 상측(32)으로부터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별개의 2차 채널(38) 내로 삽입한다. 그런 다음 블록(50)은, 연결 플레이트(40)와 연결 링(들)(8)에 의해 형성된 개체가 브레이크 헤드(3)와 블록(50) 사이에 끼워지도록 연결 플레이트(40) 위에 배치된다.
그러면 각각의 링(8)의 플랜지(82)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플레이트(2)의 제2 측(22)과 접촉하게 된다.
다음 단계(단계 (d))에서, 블록(50)을 브레이크 헤드(3)에 착탈식으로 고정한다.
다음 단계(단계 (e))에서, 마찰 플레이트(2)이 2차 채널(28)과 연결 플레이트(40)를 덮을 때까지 조립 기구(4, 5)에 의해 마찰 플레이트(2)를 브레이크 헤드(3)에 조립한다.

Claims (13)

  1. 철도 차량의 제동 시스템용 마찰 어셈블리(1)로서, 상기 마찰 어셈블리(1)는, 한편으로는 하측(31), 상측(32), 및 상기 하측(31)과 상측(32)을 연결하는 중심축 A의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38)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헤드(3); 다른 한편으로는, 마찰 측인 제1 측(21), 조립 기구(4, 5)에 의해 상기 하측(31)에 조립되게 구성된 제2 측(22), 및 상기 제1 측(21)과 상기 제2 측(22)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28)을 포함하는 마찰 재료로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 플레이트(2)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어셈블리(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38)에 삽입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28)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38)에 정렬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28)과 연결을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마찰 어셈블리(1)는 흡입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상측(32)에서 상기 브레이크 헤드(3)에 고정되는 커넥터 블록(50)을 추가로 포함하는 마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블록(50)은 회로(51)에 의해 흡입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공동(55)과 상기 상측(32)을 연결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38)에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58)을 포함하는, 공동(55)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이 연결 플레이트(40)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4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에 의해 형성된 개체가 상기 브레이크 헤드(3)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40)는 상기 블록(50)과 상기 브레이크 헤드(3)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블록(50)은 상기 연결 플레이트(40)를 상기 블록(50)과 상기 브레이크 헤드(3) 사이에 고정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헤드(3)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31)은 하우징(314)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4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38) 내에 삽입될 때 상기 하측(31)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으면서 상기 하우징(314) 내에 수용되며, 상기 마찰 플레이트(2)가 상기 조립 기구(4, 5)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헤드(3)에 조립될 때 상기 마찰 플레이트(2)가 상기 연결 플레이트(40)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50)이 상기 브레이크 헤드(3)에 통합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어셈블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고정 기구(70)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40)가 상기 브레이크 헤드(3) 또는 상기 블록(50)에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4)은 탭 홀(75)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40)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40)가 상기 하우징(314)에 수용될 때 상기 탭 홀(75)과 일치하는 나사 홀(47)로 관통되며, 상기 고정 기구(70)는 상기 탭 홀(75)과, 나사 홀(47)을 통해 상기 연결 플레이트(40)를 관통하는 상기 탭 홀(75)에 나사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나사(V)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어셈블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8)을 상기 제1 측(22)에 대해 압박하도록 구성된 복귀 기구(9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어셈블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기구(4, 5)는 상기 하측(31) 상에 형성된 수용 슬라이드(5), 및 상기 제2 측(22)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 슬라이드(5)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도브테일 섹션(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어셈블리.
  9. 커넥터 블록(50)이 흡입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브레이크 헤드(3)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을 장착하는 방법으로, 상기 브레이크 헤드(3)는 하측(31), 상측(32) 및 중심축 A의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38)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헤드(3) 및 상기 연결 링(8)은 철도 차량의 제동 시스템용 마찰 어셈블리(1)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마찰 어셈블리(1)는 마찰 측인 제1 측(21)과, 조립 기구(4, 5)에 의해 상기 하측(31)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제2 측(22) 및 상기 제1 측(21)과 상기 제2 측(22)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28)을 포함하며, 마찰 재료로 제작된 마찰 플레이트(2)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38)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28)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들)(38)에 정렬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28)과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 헤드(3)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을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착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헤드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을 장착하는 방법.
    (a) 회로(51)에 의해 흡입 장치에 연결되는 공동(55)과, 상기 공동(55)과 상기 상측(32)을 연결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38)과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58)을 상기 블록(50)에 제공하는 단계;
    (b) 연결 플레이트(40)가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을 상기 연결 플레이트(4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
    (c) 그런 다음, 상기 연결 플레이트(40)를 상기 브레이크 헤드(3)의 상측(32)에 대해 배치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을 상기 상측(32)으로부터 축 A를 따라 슬라이딩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38)에 삽입하고, 그런 다음 상기 연결 플레이트(4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에 의해 형성된 개체가 상기 브레이크 헤드(3)와 상기 블록(50)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블록(50)을 상기 연결 플레이트(40) 상에 배치하는 단계;
    (d) 상기 블록(50)을 상기 브레이크 헤드(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
    (e) 상기 마찰 플레이트(2)가 2차 채널들(38)을 커버할 때가지 상기 조립 기구(4, 5)로 상기 마찰 플레이트(2)를 상기 브레이크 헤드(3)에 조립하는 단계.
  10. 하측(31)과 상측(32)을 포함하고, 상측(32)에 위치하며 흡입 장치에 연결된 커넥터 블록(50)을 구비하는 브레이크 헤드(3)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을 장착하는 방법으로, 상기 브레이크 헤드(3)는 중심축 A의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38)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헤드(3)와 상기 연결 링(8)은 철도 차량의 제동 시스템용 마찰 어셈블리(1)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마찰 어셈블리(1)는 마찰 측인 제1 측(21)과, 조립 기구(4, 5)에 의해 상기 하측(31)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제2 측(22) 및 상기 제1 측(21)과 상기 제2 측(22)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28)을 포함하며, 마찰 재료로 제작된 마찰 플레이트(2)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38)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28)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들)(38)에 정렬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 채널(28)과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 헤드(3)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을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착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헤드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을 장착하는 방법.
    (a) 회로(51)에 의해 흡입 장치에 연결되는 공동(55)과, 상기 공동(55)과 상기 상측(32)을 연결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38)과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58)을 상기 블록(50)에 제공하며, 상기 하측(31)에 하우징(314)을 제공하는 단계;
    (b) 연결 플레이트(40)가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을 상기 연결 플레이트(4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
    (c) 그런 다음, 상기 연결 플레이트(40)가 상기 하측(31)의 나머지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314) 내에 배치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을 상기 하측(31)으로부터 축 A를 따라 슬라이딩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 채널(38)에 삽입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4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8)에 의해 형성된 개체가 상기 브레이크 헤드(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단계;
    (d) 상기 마찰 플레이트(2)가 상기 2차 채널들(28)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40)를 덮을 때까지 상기 조립 기구(4, 5)에 의해 상기 마찰 플레이트(2)를 상기 브레이크 헤드(3)에 조립하는 단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50)이 상기 상측(32)에서 상기 브레이크 헤드(3)에 통합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헤드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을 장착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a) 중에, 상기 블록(50)이 브레이크 헤드(3)의 상측(3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헤드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을 장착하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 후에 그리고 단계 (d) 이전에,
    (c2) 고정 기구(70)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 플레이트(40)를 상기 브레이크 헤드(3) 또는 상기 블록(50)에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헤드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을 장착하는 방법.
KR1020247000259A 2021-07-16 2022-06-28 커넥터 블록 및 흡입 회로를 구비하는 마찰 어셈블리 KR202400354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2107701 2021-07-16
FR2107701A FR3125267B1 (fr) 2021-07-16 2021-07-16 Ensemble à friction avec bloc connecteur et circuit d’aspiration
PCT/EP2022/067690 WO2023285130A1 (fr) 2021-07-16 2022-06-28 Ensemble à friction avec bloc connecteur et circuit d'aspi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436A true KR20240035436A (ko) 2024-03-15

Family

ID=7741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0259A KR20240035436A (ko) 2021-07-16 2022-06-28 커넥터 블록 및 흡입 회로를 구비하는 마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70398A1 (ko)
KR (1) KR20240035436A (ko)
CN (1) CN117730025A (ko)
CA (1) CA3223703A1 (ko)
FR (1) FR3125267B1 (ko)
WO (1) WO20232851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9832B1 (fr) * 2017-08-01 2019-09-06 Tallano Technologie Ensemble a friction pour systeme de freinage ferroviaire
FR3076877B1 (fr) * 2018-01-17 2020-01-03 Tallano Technologie Plaquette de frein a disque comprenant une rainure de collecte s'etendant en biais
FR3088394B1 (fr) 2018-11-08 2020-11-20 Tallano Tech Systeme de captation de particules de frein a disque ferroviaire avec bague d'etancheite et mecanisme de rappel
FR3094428B1 (fr) * 2019-03-28 2021-04-16 Tallano Tech Système de freinage avec soufflage dans rainure de la garniture
FR3098178B1 (fr) * 2019-07-03 2021-07-30 Tallano Tech Système de sécurisation de pièce montée sur porte-seme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70398A1 (fr) 2024-05-22
FR3125267B1 (fr) 2023-07-28
CA3223703A1 (fr) 2023-01-19
WO2023285130A1 (fr) 2023-01-19
FR3125267A1 (fr) 2023-01-20
CN117730025A (zh)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2199B2 (en) System for capturing railway disc brake particles with sealing bushing and return mechanism
KR102492785B1 (ko) 철도 제동 시스템용 마찰 세트
KR102540251B1 (ko) 철도 제동 시스템용 마찰 세트
US6701850B2 (en) Friction wedge liner with backing plate
BR0208666B1 (pt) cinta de freio, disco de freio a disco ventilado, e caixa de macho para produção de um macho para disco de freio a disco.
US20220364615A1 (en) Securing system for a part mounted on a brake head
KR20240035436A (ko) 커넥터 블록 및 흡입 회로를 구비하는 마찰 어셈블리
US4466513A (en) Railroad brake shoe-brake beam assembly
CN102197238B (zh) 特别用于商用车辆的钳盘式制动器、制动钳及该制动钳的操纵机构
AU2017203507B2 (en) ABDW to ABDX-R control valve conversion
JP2024525828A (ja) コネクタブロック及び吸引回路を有する摩擦アセンブリ
KR20240035435A (ko) 병진 이동이 방지되는 밀봉 링
CA2187001C (en) An improved pneumatic pressure to hydraulic pressure intensifier mechanism
RU2778896C1 (ru) Система улавливания частиц для дискового тормоза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2799281C1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детали, установленной на держателе колодки
US20190381985A1 (en) Control Valve Conversion System
JPH0511382Y2 (ko)
JPH0138350Y2 (ko)
EP1508490B1 (en) Friction wedge assembly for a railway truck, with a replaceable backing plate supporting the liner
JPS6225521Y2 (ko)
KR920000648Y1 (ko) 철도차량의 차륜 제동장치
JPS6124545U (ja) デイスクブレ−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