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149A - 클래드 부재가 부착된 버스바 - Google Patents

클래드 부재가 부착된 버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149A
KR20240035149A KR1020220114263A KR20220114263A KR20240035149A KR 20240035149 A KR20240035149 A KR 20240035149A KR 1020220114263 A KR1020220114263 A KR 1020220114263A KR 20220114263 A KR20220114263 A KR 20220114263A KR 20240035149 A KR20240035149 A KR 20240035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clad member
bar body
metal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1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5149A/ko
Priority to PCT/KR2023/013407 priority patent/WO2024054058A1/ko
Publication of KR20240035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14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6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버스바 본체, 및 상기 버스바 본체 중 상대물과 결합되는 결합부에 부가되는 클래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래드 부재는 2종의 금속이 접착된 형태이며, 상기 클래드 부재는 용접에 의해 상기 버스바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버스바에 대한 것으로, 버스바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대물과 결합되는 부분에만 클래드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도금부 형성시 생기는 불량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래드 부재가 부착된 버스바 {Bus Bar Having Clad Member}
본원발명은 클래드 부재가 부착된 버스바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버스바의 부식을 방지하고 도금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대물과 결합하는 부분에 클래드 부재가 부착된 버스바에 대한 것이다.
재충전이 가능하며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리튬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 특성을 갖는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또는 포터블(portable)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전기자동차와 같은 고출력 및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디바이스의 에너지원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고출력 및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리튬 이차전지를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하고, 복수의 전지모듈들에 전지팩을 센싱하고 제어하는 기타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전지팩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전지셀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구성하거나, 복수의 전지셀들과 전지팩 커넥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부품으로서 버스바를 사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종래의 버스바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버스바(10)는 버스바 본체(110)와 외면 중 일부에 형성된 도금부(20)를 포함한다.
알루미늄 버스바에 니켈 또는 구리 등으로 이루어진 상대물을 결합하는 경우, 갈바닉 부식으로 인해 알루미늄 버스바가 부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버스바에 니켈 도금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알루미늄 버스바에 전지셀과 와이어 용접을 하는 경우, 전지셀과 와이어 용접하는 부분은 알루미늄이 노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와이어 용접을 위한 부분은 니켈 도금을 하지 않고 알루미늄이 노출되도록 하고, 그 외의 부분에 니켈 도금을 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와 같이 버스바의 일부에만 니켈 도금을 하는 경우에는 니켈 도금이 불필요한 부분은 테이프 등으로 마스킹하는 공정 및 도금 후 마스킹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 때, 도금을 외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버스바를 외주 업체로 왕복 이동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버스바 제조 공정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마스킹 공정의 편의를 위해 실제로 도금이 필요한 영역 보다 넓은 영역에 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고, 마스킹 불량이 있는 경우에는 도금액의 얼룩이 생기는 등 도금 불량이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에 연결된 버스바 프레임, 상기 버스바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의 하측부에 희생 양극부가 있는 전지 모듈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1은 버스바의 부식에 의해 버스바 간의 쇼트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스바와 인접한 하측부에 희생 양극부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전지셀들로부터 누액된 전해액에 의해 버스바들의 하측부가 침지되면, 침지된 부분에 위치한 희생 양극부가 전해액 내로 이온화되어 사라짐으로써, 희생 양극부의 상측에 위치한 버스바 부분과 희생 양극부의 하측에 위치한 버스바 부분이 서로 분리된다. 이로 인해, 버스바의 하단 부분이 인접한 버스바 하단 부분과 부식을 통해 연결되어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즉, 특허문헌 1은 버스바의 부식에 따른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스바와 인접한 부분에 희생 양극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버스바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상대물과 결합하더라도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도금 불량의 문제도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21-0155526호 (2021.12.23)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스바와 소재가 상이한 상대물이 버스바에 결합하더라도 버스바의 부식을 방지하고, 버스바 도금시 도금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클래드 부재가 부착된 버스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버스바 본체, 및 상기 버스바 본체 중 상대물과 결합되는 결합부에 부가되는 클래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래드 부재는 2종의 금속이 접합된 형태이며, 상기 클래드 부재는 용접에 의해 상기 버스바 본체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본체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종의 금속 중 하나는 상기 버스바 본체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래드 부재를 구성하는 2종의 금속 중 상기 버스바 본체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는 제1금속이 상기 버스바 본체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클래드 부재의 제1금속과 접합된 제2금속은 상기 버스바 본체 보다 전위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래드 부재가 상기 버스바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나사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래드 부재 및 상기 버스바 본체의 결합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래드 부재가 부가되는 버스바 본체의 결합부는 상기 클래드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본체는, 복수의 전지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용접부, 및 상대물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있고, 상기 와이어 용접부의 일측 끝단에 있는 통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용접부는 상기 통합부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복수의 납작한 막대들이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통합부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통합부의 양 끝단 중 적어도 일측 끝단의 절곡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버스바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지셀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을 다양하게 조합한 형태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는 버스바 본체에서 결합이 형성되는 결합부에 버스바 본체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클래드 부재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클래드 부재와 버스바 본체 간의 용접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 본체의 외면 중 결합부에만 클래드 부재를 부착함에도 종래에 불필요하게 넓게 도금부를 형성했던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3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와 상대물 간의 결합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를 한정하거나 부가하여 구체화하는 설명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모든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단수로 표시된 것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또는"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A 또는 B를 포함하는"은 A를 포함하거나, B를 포함하거나, A 및 B를 포함하는 상기 3가지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본원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버스바의 갈바닉 부식 방지를 위해 넓은 영역에 도금을 하는 대신, 상대물과 결합이 필요한 결합부에만 2종의 금속이 접합된 형태의 클래드를 부가함으로써, 부식방지용 도금이 형성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갈바닉 부식은, 전해액에 서로 다른 금속이 접촉되면 두 금속의 전위차로 인해 전자의 이동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전위가 낮은 금속에서 부식속도가 촉진되는 것이다.
버스바가 부식되면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대물과 결합이 필요한 부분은 부식이 되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원발명은 버스바 본체 중 전지셀들과 와이어 용접을 위해 버스바 본체가 노출되어야 하는 부분 이외에, 상대물과 결합이 필요한 부분은 클래드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도금을 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버스바(10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버스바 본체(110), 및 버스바 본체(110) 중 상대물과 결합되는 결합부(120)에 부가되는 클래드 부재(200)를 포함하고, 클래드 부재(200)는 2종의 금속이 접합된 형태이다. 또한 클래드 부재(200)는 버스바 본체(11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대물은 버스바와 결합하는 부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그 대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버스바 본체(110) 중 결합부(12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스바 본체(110) 보다 전위가 높은 금속을 부착할 수 있는데, 버스바 본체(110)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금속을 용접을 통해 버스바 본체(110)에 부착하는 것은 접착력이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 본체(110)가 제1금속으로 구성될 때, 클래드 부재(200)를 구성하는 2종의 금속은 버스바 본체(110)와 동일한 소재인 제1금속(201) 및 제2금속(202)으로 구성되고, 클래드 부재(200)의 제1금속(201)이 버스바 본체(110)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바 본체(110)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클래드 부재(200)의 제1금속(201)은 버스바 본체(110)와 동일한 소재인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래드 부재(200)가 버스바 본체(110)에 결합될 때, 제1금속(201)이 버스바 본체(110)에 용접으로 결합되면, 동종 금속 간의 결합이 형성되기 때문에 우수한 용접 강도로 결합될 수 있다.
클래드 부제(200)의 제1금속(201)과 접합된 제2금속(202)은 버스바 본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바 본체보다 전위가 높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제1금속이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때, 제2금속은 니켈로 구성될 수 있다.
클래드 부재(200)가 버스바 본체(20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대물이 클래드 부재(200)의 제2금속(202)과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버스바 본체(200)와 상대물의 결합을 위해 나사 체결될 수 있는 바, 클래드 부재(200) 및 버스바 본체(110)의 결합부(120)를 관통하는 관통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클래드 부재(200)를 구성하는 제1금속(201) 및 제2금속(202)의 두께는 자유롭게 설정이 가능하나, 예를 들어, 제1금속(201)의 두께를 0.1T, 제2금속(202)의 두께를 0.1T로 하여 전체 클래드 부재(200)의 두께가 0.2T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클래드 부재에서 제1금속은 버스바 본체와 결합하는 금속으로, 버스바 본체와 결합력을 확보하는 데에 기여하는 소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금속은 버스바 본체와 결합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고, 제2금속은 클래드 부재 제조시 상기 제1금속과 부착 가능한 최소한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래드 부재를 구성하는 제1금속 및 제2금속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경우에는, 버스바 본체에 부착했을 때 버스바 전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100)에서 버스바 본체(110)는 복수의 전지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용접부(111) 및 상대물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20)가 있고 와이어 용접부(111)의 일측 끝단에 있는 통합부(112)를 포함하고, 와이어 용접부(111)는 통합부(112)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복수의 납작한 막대들이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합부(120)는 통합부(112)의 양 끝단 중 적어도 일측 끝단의 절곡된 면에 형성되는 바, 결합부(120)에 클래드 부재(200)가 결합된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버스바(100)의 구조가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와 차이가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100)에서 버스바 본체는 복수의 전지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용접부(111) 및 상대물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20)가 있고 와이어 용접부(111)의 일측 끝단에 있는 통합부(112)를 포함하고, 와이어 용접부(111)는 통합부(112)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복수의 납작한 막대들이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합부(120)는 통합부(112)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바, 결합부(120)에 클래드부재(200)가 결합된다.
그 외에, 버스바 본체(110)와 클래드 부재(200)의 소재, 및 클래드 부재(200) 및 버스바 본체(110)의 결합부(1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구(210)에 대한 설명 등은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설명을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설명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제3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는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와 비교하면, 클래드 부재(200)가 부가되는 버스바 본체(110)의 결합부(120)에 클래드 부재(200)가 삽입되기 위한 홈(220)이 형성된 점에 차이가 있다.
홈(220)의 깊이를 클래드 부재(200)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클래드 부재(200)가 버스바 본체(110)의 홈(220)에 장착되었을 때, 버스바 본체(110)의 외면과 클래드 부재(200)의 외면이 동일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바, 클래드 부재(200)가 삽입된 상태의 통합부(112) 외면이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 외에, 버스바 본체(110)와 클래드 부재(200)의 소재, 및 클래드 부재(200) 및 버스바 본체(110)의 결합부(1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구(210)에 대한 설명 등은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설명을 제3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설명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와 상대물 간의 결합부 확대도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1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지셀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는 전지팩(400)의 일부 확대도로서, 전지팩(400)에서 버스바(100)의 결합부가 일측 외면으로 노출된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지팩(400)의 외면에 노출되는 버스바(100)의 결합부에 클래드 부재(200)의 제1금속이 결합되고, 클래드 부재(200)의 제2금속에 상대물(300)이 결합되어 있다.
버스바(100)에 상대물(300)을 결합하기 위하여, 나사(410)를 결합부와 클래드 부재(200)에 형성된 관통구(210)에 삽입하고 전지팩에 있는 인서트 너트와 체결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대물(300)은 부식 방지를 위하여 표면에 니켈 도금이 형성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대물로서 구리 소재의 버스바를 사용하고, 상기 버스바에서 제2금속과 접촉하는 부분에 니켈 도금이 된 형태일 수 있다.
클래드 부재(200)의 제2금속을 니켈로 구성하는 경우, 클래드 부재의 제2금속과 상대물의 니켈 도금이 형성된 부분 간에 용접을 하면 동종 금속 간의 용접이므로 높은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용접에 의한 결합과 함께 나사를 이용한 체결을 병행한다면, 버스바와 상대물 간에 견고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스바에서 상대물과 결합되는 부분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스바 본체의 결합부에만 클래드 부재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버스바 본체에 도금하는 과정, 마스킹하는 과정, 마스킹을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버스바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금 불량에 따른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도금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원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 100: 버스바
11, 110: 버스바 본체
20: 도금부
111: 와이어 용접부
112: 통합부
120: 결합부
200: 클래드 부재
201: 제1금속
202: 제2금속
210: 관통구
220: 홈
300: 상대물
400: 전지팩
410: 나사

Claims (11)

  1.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버스바 본체; 및
    상기 버스바 본체 중 상대물과 결합되는 결합부에 부가되는 클래드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클래드 부재는 2종의 금속이 접합된 형태이며,
    상기 클래드 부재는 용접에 의해 상기 버스바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버스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본체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버스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종의 금속 중 하나는 상기 버스바 본체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버스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 부재를 구성하는 2종의 금속 중 상기 버스바 본체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는 제1금속이 상기 버스바 본체와 결합하는 버스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 부재의 제1금속과 접합된 제2금속은 상기 버스바 본체 보다 전위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버스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 부재가 상기 버스바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나사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래드 부재 및 상기 버스바 본체의 결합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버스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 부재가 부가되는 버스바 본체의 결합부는 상기 클래드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버스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본체는,
    복수의 전지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용접부; 및
    상대물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있고, 상기 와이어 용접부의 일측 끝단에 있는 통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용접부는 상기 통합부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복수의 납작한 막대들이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진 버스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통합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버스바.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통합부의 양 끝단 중 적어도 일측 끝단의 절곡된 면에 형성되는 버스바.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스바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지셀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는 전지팩.
KR1020220114263A 2022-09-08 2022-09-08 클래드 부재가 부착된 버스바 KR20240035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263A KR20240035149A (ko) 2022-09-08 2022-09-08 클래드 부재가 부착된 버스바
PCT/KR2023/013407 WO2024054058A1 (ko) 2022-09-08 2023-09-07 클래드 부재가 부착된 버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263A KR20240035149A (ko) 2022-09-08 2022-09-08 클래드 부재가 부착된 버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149A true KR20240035149A (ko) 2024-03-15

Family

ID=9019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263A KR20240035149A (ko) 2022-09-08 2022-09-08 클래드 부재가 부착된 버스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5149A (ko)
WO (1) WO202405405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526A (ko) 2020-06-16 2021-12-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3255B2 (en) * 2009-10-01 2012-09-11 Sb Limotive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JP6070490B2 (ja) * 2013-09-11 2017-02-01 日立金属株式会社 電池用端子および電池用端子の製造方法
KR102056361B1 (ko) * 2015-07-20 2019-1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 연결 구조물, 전극 리드 연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190130927A (ko) * 2018-05-15 2019-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220065548A (ko) * 2020-11-13 2022-05-20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526A (ko) 2020-06-16 2021-12-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4058A1 (ko)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709B1 (ko)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전극 연결부재 및 그것을포함하는 전지모듈
JP6393086B2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JP4649548B2 (ja) 三次元的相互接続構成を有する電源電池装置
US9318734B2 (en) Bimetal buss bar assembly
JP6233891B2 (ja) 蓄電装置
US11289776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JP2007265945A (ja) ラミネートセル集積型バッテリ及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CN109103402B (zh) 电线连接汇流条以及导电模块
CN112204810B (zh) 电池组件
AU2012373356A1 (en) Non-welded battery module
JP2013536979A (ja) 抵抗溶接によるセルタブ連結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
CN113519086B (zh) 母线以及使用母线的电池模块
CN211980657U (zh) 一种固定架结构及其电池组件
US20140363728A1 (en) Battery pack
CN112889180A (zh) 电池模块
KR20240035149A (ko) 클래드 부재가 부착된 버스바
JPWO2019004296A1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209786058U (zh) 电池组件、用电设备和可移动平台
CN211828874U (zh) 一种电池模组
CN211828998U (zh) 一种用于电池模组的汇流片及其电池组件
WO2023013155A1 (ja) 組電池
CN220821948U (zh) 电力传输件、电连接组件和充电座
CN217719582U (zh) 轴向二极管、接线盒及光伏组件
JP2019008877A (ja) 電線接続バスバ及び導電モジュール
CN218867266U (zh) 电池模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