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943A -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943A
KR20240033943A KR1020220112862A KR20220112862A KR20240033943A KR 20240033943 A KR20240033943 A KR 20240033943A KR 1020220112862 A KR1020220112862 A KR 1020220112862A KR 20220112862 A KR20220112862 A KR 20220112862A KR 20240033943 A KR20240033943 A KR 20240033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tilting
connecting bar
vehic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김무영
이상학
정호석
박상도
정찬호
이동훈
강혜윤
임덕수
장승필
김선호
윤종석
김효진
신동규
서진호
김영준
남택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다스
포레시아코리아 주식회사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다스, 포레시아코리아 주식회사,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2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943A/ko
Priority to US18/134,393 priority patent/US20240075853A1/en
Publication of KR2024003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9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with simultaneous height and inclination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ith independent front and/or rear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8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electric motor for adjusting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81Rods
    • B60N2/1814Parallelogram-lik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쿠션의 틸팅동작 및 틸팅상태의 구속력을 발휘하는 틸팅모터(100)와 피니언기어(200) 및 섹터기어(300)와 틸팅링크(600)가 시트쿠션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에 모두 연결되게 구비되고, 좌우측에 위치한 2개의 섹터기어(300)가 연결바(700)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성으로, 시트쿠션 전방부의 구속력 강화를 통해 충돌사고 발생시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APPARATUS FOR TILTING SEAT CUSH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쿠션 전방부의 구속력을 강화시켜서 충돌사고 발생시 승객의 상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및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시트백과 시트쿠션은 각각 시트백프레임 및 시트쿠션프레임에 의해 골격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승객은 시트의 각도를 조절해서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일예로 시트 착좌 승객은 상체와 허벅지 및 종아리 각도를 최적화하여 관절의 부담을 줄이고 신체 균형을 잡아주는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시트 착좌자세를 무중력 중립 자세 또는 릴렉스 컴포트 자세 또는 피로저감 자세로 정의할 수 있다.
무중력 중립 자세는 착좌 승객이 같은 자세로 장시간 유지하더라도 집중 체압 부위를 완화 및 분산시켜서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자세이며, 시트 착좌 상태에서 허벅지와 종아리사이의 하체 각도는 28~32도 사이를 유지하고, 상체와 하체사이의 각도는 105~120도 사이를 유지하며, 수평에 대한 상체 각도는 32~47도를 유지하는 상태가 무중력 중립 자세에 해당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무중력 중립 자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시트쿠션의 틸팅동작이 필요하며, 시트쿠션의 틸팅동작은 시트쿠션의 전방부가 후방부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이동하는 회전을 함에 따라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시트쿠션의 틸팅동작을 위해 모터와 기어기구 및 링크기구들이 필요하며, 모터와 기어기구는 시트쿠션의 틸팅동작 뿐만 아니라 틸팅 후 구속력을 발휘해서 틸팅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틸팅상태의 구속력을 발휘하는 모터 및 기어기구가 시트쿠션의 일측에만 구비되고, 시트쿠션의 타측에는 구속력을 발휘하는 모터 및 기어기구가 없고 대신에 틸팅동작시 회전하는 링크기구만이 구비된 구성으로, 시트쿠션 전방부의 구속력이 일측에만 존재하는 편측 구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구조는 시트쿠션 전방부의 구속력이 약한 단점이 있고, 특히 충돌사고 발생시 구속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시트쿠션의 타측이 과도하게 상측으로 들리고 또한 시트백이 과도하게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승객의 상해치를 가중시키게 됨에 따라 승객 안전 차원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8-0002299
본 발명은, 시트쿠션의 틸팅동작 및 틸팅상태의 구속력을 발휘하는 모터 및 기어기구가 시트쿠션의 일측과 타측에 모두 구비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시트쿠션 전방부의 구속력 강화를 도모하고, 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의 과도한 들림 및 시트백이 과도하게 회전을 방지하여 승객의 상해치를 경감시킬 수 있는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는, 시트쿠션의 틸팅동작을 구현하는 틸팅모터와 피니언기어 및 섹터기어가 시트쿠션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틸팅모터의 작동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단이 후방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시트쿠션의 틸팅동작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팅모터는 시트쿠션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해서 모터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모터브라켓은 전방셋브라켓 및 후방셋브라켓과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전방셋브라켓과 후방셋브라켓은 시트레일에 전후방으로 이격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니언기어는 시트쿠션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틸팅모터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섹터기어는 시트쿠션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피니언기어와 치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서 섹터기어와 시트쿠션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틸팅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의 아래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섹터기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바는 시트쿠션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2개의 섹터기어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바의 양단이 섹터기어와 결합된 위치는 동심축으로 동일한 위치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섹터기어의 안쪽 측면에 연결바마운팅브라켓이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마운팅브라켓에 연결바의 양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섹터기어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연결바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결합구멍에 연결바의 양단이 삽입되어서 섹터기어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는, 시트쿠션의 틸팅동작 및 틸팅상태의 구속력을 발휘하는 틸팅모터와 피니언기어 및 섹터기어와 틸팅링크가 시트쿠션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모두 연결되게 구비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시트쿠션 전방부의 구속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충돌사고 발생시에는 시트쿠션의 과도한 들림 방지 및 시트백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의 편측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승객의 목 상해 성능 개선 및 승객의 상해치 경감을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틸팅모터가 결합된 모터브라켓이 전방셋브라켓 및 후방셋브라켓과 결합되고, 전방셋브라켓과 후방셋브라켓이 시트레일과 결합된 구성으로, 모터브라켓과 전방셋브라켓 및 후방셋브라켓을 이용해서 강건한 지지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전후방향의 충돌사고 발생시 강건한 지지력으로 충돌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승객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시트쿠션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2개의 섹터기어가 연결바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성으로, 연결바를 이용해서 2개의 틸팅모터의 구동시 좌우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또한 2개의 틸팅모터의 rpm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틸팅모터의 작동시 섹터기어의 동작 밸런싱을 유지시켜줄 수 있게 됨에 따라 동작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를 구비한 시트쿠션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가 결합된 부위의 확대도,
도 5는 도 4에서 연결바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섹터기어에 연결바결합구멍이 형성된 도면 및 연결바결합구멍에 연결바의 양단이 삽입되어서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터 제어기(MCU: Motor Control Unit),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Hybrid Control Unit) 등의 명칭에 포함된 유닛(Unit) 또는 제어 유닛(Control Unit)은 차량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Controller)의 명명에 널리 사용되는 용어일 뿐, 보편적 기능 유닛(Generic function unit)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기(Controller)는 담당하는 기능의 제어를 위해 다른 제어기나 센서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운영체제나 로직 명령어와 입출력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담당 기능 제어에 필요한 판단, 연산, 결정 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의 틸팅동작을 구현하는 틸팅모터(100)와 피니언기어(200) 및 섹터기어(300)가 시트쿠션프레임(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틸팅모터(100)의 작동시 시트쿠션프레임(10)의 전방단이 후방의 힌지축(20)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시트쿠션의 틸팅동작이 구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시트쿠션프레임(10)의 전방단 좌측과 우측에 각각 틸팅모터(100)가 위치하고, 2개의 틸팅모터(100)는 각각 모터브라켓(400)과 결합된다.
모터브라켓(400)의 전방단과 후방단은 각각 전방셋브라켓(510) 및 후방셋브라켓(520)과 결합되고, 전방셋브라켓(510)과 후방셋브라켓(520)은 시트레일(30)에 전후방으로 이격되게 결합된다.
시트레일(30)은 시트쿠션프레임(10)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며, 차체에 해당하는 플로어패널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레일(31), 및 고정레일(31)과 결합되어서 고정레일(3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레일(32)을 포함한다.
전방셋브라켓(510)과 후방셋브라켓(520)은 시트레일(30)을 구성하는 이동레일(32)에 전후방으로 이격되게 결합된다.
틸팅모터(100)가 결합된 모터브라켓(400)이 전방셋브라켓(510) 및 후방셋브라켓(520)과 결합되고, 전방셋브라켓(510)과 후방셋브라켓(520)이 시트레일(30)과 결합된 구성으로, 모터브라켓(400)과 전방셋브라켓(510) 및 후방셋브라켓(520)을 이용해서 강건한 지지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전후방향의 충돌사고 발생시 강건한 지지력으로 충돌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승객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개의 틸팅모터(100)에는 피니언기어(200)가 각각 결합되고, 피니언기어(200)는 시트쿠션프레임(10)의 좌측과 우측에서 섹터기어(300)와 각각 치합된다.
섹터기어(300)의 일단은 원호형상의 기어부(310)로 형성되어서 기어부(310)가 피니언기어(200)와 외접기어 형태로 서로 치합된다.
시트쿠션프레임(10)의 좌측과 우측에는 틸팅링크(600)가 각각 위치하고, 틸팅링크(600)의 일단은 섹터기어(300)의 타단과 링크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틸팅링크(600)의 타단은 시트쿠션프레임(10)의 측면과 링크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틸팅모터(100)가 구동하면 피니언기어(200)와 섹터기어(300) 및 틸팅링크(600)가 회전하고, 틸팅링크(600)의 회전에 의해 시트쿠션프레임(10)의 전방단이 후방의 힌지축(20)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회전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 시트쿠션의 틸팅동작 구현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시트 착좌 승객은 무중력 중립 자세와 같은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시트쿠션의 틸팅동작 및 틸팅상태의 구속력을 발휘하는 틸팅모터(100)와 피니언기어(200) 및 섹터기어(300)와 틸팅링크(600)가 시트쿠션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에 모두 연결되게 구비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시트쿠션 전방부의 구속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충돌사고 발생시에는 시트쿠션의 과도한 들림 방지 및 시트백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의 편측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승객의 목 상해 성능 개선 및 승객의 상해치 경감을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시트쿠션프레임(10)의 아래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섹터기어(3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바(700)를 더 포함한다.
시트쿠션프레임(10)의 좌우측에 위치한 2개의 틸팅모터(100)의 구동시 좌우 비틀림이나 2개의 틸팅모터(100)의 rpm(revolutions per minute)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2개의 섹터기어(300)를 연결하도록 연결바(700)를 적용한다.
또한, 연결바(700)는 2개의 틸팅모터(100)의 구동시 좌우 비틀림을 최소화하고, 또한 2개의 틸팅모터(100)의 rpm 차이를 최소화하며, 또한 틸팅모터(100)의 작동시 섹터기어(300)의 동작 밸런싱을 유지시켜주는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연결바(700)는 시트쿠션프레임(10)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2개의 섹터기어(300)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특히 연결바(700)의 양단이 섹터기어(300)와 결합된 위치는 동심축으로 동일한 위치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연결바(700)의 중간부분은 벤딩을 주거나 축이 달라도 상관없지만 섹터기어(300)와 결합된 양단의 위치는 섹터기어(300)내에서 동심축으로 동일한 위치에 결합된 것이 섹터기어(300)의 동작 밸런싱을 유지시켜주는 데에 보다 바람직한 구조인 것이다.
연결바(700)의 설치를 위해 섹터기어(300)의 안쪽 측면에 연결바마운팅브라켓(800)이 고정되게 결합되고, 연결바마운팅브라켓(800)에 연결바(700)의 양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섹터기어(300)의 안쪽 측면에 연결바마운팅브라켓(800)의 일단이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용접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고, 연결바마운팅브라켓(800)의 타단과 연결바(700)의 양단이 볼트 체결로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용접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연결바(700)의 양단이 섹터기어(300)의 측면에 직접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용접 결합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는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섹터기어(300)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연결바결합구멍(320)이 형성되고, 연결바결합구멍(320)에 연결바(700)의 양단이 삽입되어서 섹터기어(300)와 결합된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연결바(700)의 양단이 연결바결합구멍(320)으로 삽입된 후 용접을 통해 서로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는, 시트쿠션의 틸팅동작 및 틸팅상태의 구속력을 발휘하는 틸팅모터(100)와 피니언기어(200) 및 섹터기어(300)와 틸팅링크(600)가 시트쿠션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에 모두 연결되게 구비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시트쿠션 전방부의 구속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충돌사고 발생시에는 시트쿠션의 과도한 들림 방지 및 시트백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의 편측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승객의 목 상해 성능 개선 및 승객의 상해치 경감을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틸팅모터(100)가 결합된 모터브라켓(400)이 전방셋브라켓(510) 및 후방셋브라켓(520)과 결합되고, 전방셋브라켓(510)과 후방셋브라켓(520)이 시트레일(30)과 결합된 구성으로, 모터브라켓(400)과 전방셋브라켓(510) 및 후방셋브라켓(520)을 이용해서 강건한 지지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전후방향의 충돌사고 발생시 강건한 지지력으로 충돌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승객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시트쿠션프레임(10)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2개의 섹터기어(300)가 연결바(700)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성으로, 연결바(700)를 이용해서 2개의 틸팅모터(100)의 구동시 좌우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또한 2개의 틸팅모터(100)의 rpm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틸팅모터(100)의 작동시 섹터기어(300)의 동작 밸런싱을 유지시켜줄 수 있게 됨에 따라 동작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시트쿠션프레임 20 - 힌지축
30 - 시트레일 31 - 고정레일
32 - 이동레일 100 - 틸팅모터
200 - 피니언기어 300 - 섹터기어
310 - 기어부 320 - 연결바결합구멍
400 - 모터브라켓 510 - 전방셋브라켓
520 - 후방셋브라켓 600 - 틸팅링크
700 - 연결바 800 - 연결바마운팅브라켓

Claims (9)

  1. 시트쿠션의 틸팅동작을 구현하는 틸팅모터와 피니언기어 및 섹터기어가 시트쿠션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틸팅모터의 작동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단이 후방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시트쿠션의 틸팅동작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모터는 시트쿠션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해서 모터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모터브라켓은 전방셋브라켓 및 후방셋브라켓과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전방셋브라켓과 후방셋브라켓은 시트레일에 전후방으로 이격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시트쿠션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틸팅모터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섹터기어는 시트쿠션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피니언기어와 치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서 섹터기어와 시트쿠션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틸팅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의 아래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섹터기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시트쿠션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2개의 섹터기어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양단이 섹터기어와 결합된 위치는 동심축으로 동일한 위치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섹터기어의 안쪽 측면에 연결바마운팅브라켓이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마운팅브라켓에 연결바의 양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섹터기어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연결바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결합구멍에 연결바의 양단이 삽입되어서 섹터기어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KR1020220112862A 2022-09-06 2022-09-06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KR20240033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862A KR20240033943A (ko) 2022-09-06 2022-09-06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US18/134,393 US20240075853A1 (en) 2022-09-06 2023-04-13 Apparatus for tilting seat cushion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862A KR20240033943A (ko) 2022-09-06 2022-09-06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943A true KR20240033943A (ko) 2024-03-13

Family

ID=9006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862A KR20240033943A (ko) 2022-09-06 2022-09-06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75853A1 (ko)
KR (1) KR202400339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299A (ko)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다스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299A (ko)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다스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75853A1 (en)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0527B2 (en) Vehicle seat
JP7004271B2 (ja) 車両用シート
CN107921895B (zh) 乘坐物用座椅框架
US5026120A (en) Headrest assembly for vehicle seats
US20220161695A1 (en) Vehicle seat
US8764111B2 (en)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vehicle seat
US20090273220A1 (en) Ottoman Device
EP3636485B1 (en) Vehicle seat
US6095475A (en) Manual height adjustment assembly for a vehicle seat
JPH04303034A (ja) シート装置
US6629732B1 (en) Load compensating device for adjusting a seat rest
KR20240033943A (ko)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CN113829968A (zh) 一种座靠联动的零重力座椅调节机构
JPH04201637A (ja) 車両用シート
CN218892464U (zh) 零重力车辆座椅及座椅骨架
EP0863820B1 (en) Anti-rotational link for vehicle power seat adjuster
KR20040013862A (ko) 자동차용 프론트시트의 리클라이너 잠금장치
CN104608662A (zh) 多级控制的防下潜汽车座椅
KR20220016369A (ko) 차량의 암레스트
CN113525187A (zh) 车用座椅的多向控制装置
JP2003276489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構造
JP4050137B2 (ja) 車両用リフタ付きシート構造
EP1055549A1 (en) Seat height adjuster
CN215928255U (zh) 齿轮传动件及基于调角器的齿轮驱动机构
US11760232B2 (en) Motor vehicle s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