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837A -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 Google Patents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837A
KR20240033837A KR1020220112584A KR20220112584A KR20240033837A KR 20240033837 A KR20240033837 A KR 20240033837A KR 1020220112584 A KR1020220112584 A KR 1020220112584A KR 20220112584 A KR20220112584 A KR 20220112584A KR 20240033837 A KR20240033837 A KR 20240033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trigger
fishing
reel seat
stora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호
Original Assignee
신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호 filed Critical 신승호
Priority to KR1020220112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837A/ko
Publication of KR2024003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8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낚시에 사용하는 낚시대 손잡이에 장착하기 위한 보조구에 있어서, 낚시대를 관통 및 수납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낚시대 수납부와, 상기 낚시대 수납부 어느 한 측면에 릴시트의 트리거를 관통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 최하단과 낚시대 수납부의 파지되는 측면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고정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하는 연결프레임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는 낚시대 특히, 릴시트 및 트리거에 대응하여 장착이 가능하고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여 장기간 및 무리한 캐스팅으로 사용자의낚시대 사용 피로감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Fishing rod trigger cover}
본 발명은 낚시대 사용자가 파지하는 릴시트와 트리거 부분을 포함하여 감싸면서 장착 가능하여, 장기간 낚시대 사용과 빈번한 낚시 캐스팅으로 사용자의 손피로를 저감할 수 있는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루어낚시(lure. 가짜 미끼를 달아서 하는 낚시질)는 낚시대상 물고기의 먹이가 될 수 있는 작은 어류 또는 곤충의 모양을 본 떠 만든 루어를 이용하여 고패질(올렸다 내렸다 하는 행동)을 통해 실제의 움직임과 흡사하게 연출하면서 낚시대상 물고기를 유인하여 낚는 낚시방법이다.
신축성이 좋은 서양식 낚싯대를 로드(rod)라고 하는데, 로드(rod)는 가이드, 블랭크(낚싯대의 몸통), 릴시트, 그립(손잡이)으로 구성되며, 루어낚시는 로드(rod)를 휘둘러 그 운동에 의해 채비 및 루어를 원하는 곳으로 던지고 다시 감아 들이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면서 낚시 대상 물고기를 낚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어 낚시대는 민물 낚시대와 바다 낚시대로 나눌 수 있고, 가벼운 채비와 섬세한 루어를 운용하는 스피닝 낚시와, 중량이 나가는 채비와 루어를 이용하여 롱 캐스팅에 의해 물고기를 낚는 베이트 낚시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피닝낚시에는 스피닝 로드가 사용되고 베이트낚시에는 베이트 로드가 사용되고 있다.
낚시대의 구조는 낚시대 내부를 형성하는 블랭크와 앞쪽부터 라인을 견인하는 역할을 하는 가이드와,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는 손잡이(그립부), 낚시줄의 권출 및 수납되는 릴과, 릴이 부착되는 릴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피닝 낚시대와 베이트 낚시대의 차이점은 가이드에 있는데 스피팅 로드는 릴을 낚시대 아래쪽에 장착하기 때문에 가이드도 로드의 아래쪽에 있는 반면, 베이트 로드는 낚시대 위에 릴을 장착하기 때문에 가이드가 위쪽에 있다.
손잡이는 앞손잡이(fore grip)와 뒷손잡이(rear grip)으로 이루어지고 보통 앞손잡이는 릴을 고정하는 용도이고 낚시대를 파지하는 부분은 뒷손잡이다. 손잡이는 낚시대 사용자가 장시간 또는 캐스팅 시 손에 부담이 갈 수 있기 때문에 코르크, 스폰지, EVA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루어낚시는 릴의 조작을 통해 루어의 움직임을 실제와 같이 연출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낚시를 하면서 느끼는 낚싯대 자체의 무게는 물론이고 다른 포인트로 이동하면서 느끼는 무게까지 고려한다면 항상 무거운 낚싯대를 견고하고 안정되게 잡고 있어야 한다. 또한, 엄지와 검지 손가락의 움직임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하는데, 특히 베이트낚시에 있어서는 롱캐스팅을 하거나 또는 오랜 시간 동안 계속하여 낚시를 할 때면 손과 팔에 큰 무리가 따르게 된다.
낚싯대 손잡이는 원통형으로 된 리어그립 외부에 파지감을 높일 수 있는 재질을 입히거나 엠보싱 처리하여 파지 시, 손바닥과의 마찰을 높여주고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강이나 갯바위 또는 선상 낚시에 있어서 낚싯줄에 매달린 채비, 루어를 멀리 캐스팅하는 경우에는 낚싯대 손잡이를 잡고 있는 손가락의 지지가 약해서 낚싯대를 놓쳐 분실할 수도 있다. 특히, 선상낚시에서 장시간 낚싯대를 들고 서 있어야 하는 경우, 잠깐의 실수로 인해 낚싯대를 놓치게 되어 고가의 낚싯대를 바다 속으로 떨어뜨려 분실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99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뒷손잡이와 릴시트가 연결되는 부분에 돌출 형상 또는 방아쇠 형상의 트리거가 형성되어 낚싯대를 바다 속으로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국내 공개실용신안번호 제 20-2013-0002914호에 개시된 파지 보조구와 같이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한편, 손의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루어낚싯대 손잡이 파지보조구가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들은 낚시대가 손에서 이탈하는 문제는 해결하였지만 통상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장기간 사용시 손의 피로감이 유지되거나, 릴시트와 연결된 트리거를 사용하게 되는 낚시의 경우 여전히 손의 피로감을 호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릴시트 또는 앞 손잡이에 형성된 트리거를 포함하는 부분을 감싸면서 장착하여 사용자가 장기간 낚시대를 파지하여 손에 피로감이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낚시대 커버용 보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13-0002914호에는 장시간 동안의 낚시에도 손과 손목의 피로를 덜고 롱캐스팅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실수로 낚싯대를 놓치게 되어 고가의 낚싯대를 분실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낚싯대 손잡이를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는 루어낚싯대 손잡이 파지보조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83992호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루어 낚싯대의 손잡이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하도록 제공하여 장시간의 낚시 및 캐스팅(casting)에도 손과 손목의 피로를 최소화하면서, 낚싯대가 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파지가 용이한 루어 낚시대용 손잡이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083693호에는 장대 소재의 외주면(外周面의) 소정 위치에 고무계 도료제의 고무계 도료 도장층을 형성하고 있는 낚싯대이고, 상기 장대 소재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고무계 도료 도장층의 형성 영역의 단부(端??)에 상당하는 부위에 요입(凹入) 홈을 형성하고, 그 요입 홈내에 상기 장대 소재의 외주면에 시공한 상기 고무계 도료 도장층의 단부를 위치시키고 있는 낚싯대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003744호에는 낚시에 이용하는 낚싯대를 구성하는 장대에 장착하기 위한 부재이고, 내부에 장대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대략 통상체(筒狀體)이고 긴 쪽 방향의 한 쪽이 개구(開口)하고 있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개구측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된 이 개구를 단단히 조여 본체부를 장대 상에 고정하는 면패스너를 가지는 낚싯대용 커버 부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릴시트 또는 앞 손잡이에 형성된 트리거를 포함하는 부분을 감싸면서 장착하여 사용자가 장기간 낚시대를 파지하여 손에 피로감이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는 낚시에 사용하는 낚시대 손잡이에 장착하기 위한 보조구에 있어서, 낚시대를 관통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낚시대 수납부와, 상기 낚시대 수납부 어느 한 측면에 릴시트의 트리거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 최하단과 낚시대 수납부의 파지되는 측면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고정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하는 연결프레임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는 통상형으로 낚시대를 관통 및 수납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낚시대 관통부; 상기 낚시대 관통부 어느 한 측면에 릴시트의 트리거를 관통하여 수납하는 릴시트 수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는 열가소성 탄성체, 연성실리콘, 연질계 폴리에스테르형, 우레탄 수지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 보조구 측면에는 요철(凹凸), 엠보싱, 통공 등이 추가적으로 가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릴시트 수납부는 상, 하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릴시트의 트리거의 하단부가 관통되어 돌출되면서 수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는 낚시대 특히, 릴시트 및 트리거부분에 대응하여 장착이 가능하고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여 장기간 및 무리한 캐스팅으로 사용자의 낚시대 사용 피로감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낚시대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좌우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저면 및 평면 사시도를 나타
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사진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장착 사진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프레임을 갖는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낚시 릴시트 커버 부재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1에는 통상적인 낚시대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낚시대(10)는 가늘고 긴 로드로 이루어지는 본체(이하, 간단히 간체라고 지칭한다)로 이루어지고 간체는 통상적으로 가늘고 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낚시대는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낚시줄 가이드(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간체 외주면에 감기실 및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거나, 간체에 끼워 맞춤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이 이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면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에 또는 물고기를 낚아 올릴 때에 낚싯줄을 안내한다. 낚시줄은 릴(미도시)에 수납되며, 릴은 낚시줄을 방출하거나 감도록 구성된다. 릴은 낚싯줄이 감겨 수납되는 스풀과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릴시트(20)는 간체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릴시트를 매개로 릴이 간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돕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릴시트는 파이프 또는 슬리브 형상으로 간체의 후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릴시트는 릴의 다리부를 놓기 위해서 낚시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면, 장착면의 축 방향 일단에 형성된 후드상의 고정후드, 장착면의 축 방향 타단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후드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에는 트리거(30)가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상기 릴시트 형상은 릴의 장착이 가능하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트리거는 통상적으로 릴시트 하면에 형성되어 낚시대 및 사용자의 손을 걸수 있는 돌출된 그립 형상의 프레임으로 고리, 또는 방아쇠 형상 등 사용자의 손에 쥘 수 있거나 거치가 가능한 것으로 다양하게 구현된다.
손잡이(40)는 원통형으로 앞 손잡이(fore grip)과 뒷 손잡이(rear grip)으로 이루어지며 낚시대 사용자가 장시간 또는 캐스팅 시 손에 부담이 갈 수 있기 때문에 코르크, 스폰지, EVA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낚시대 둘레면에 장착하는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 낚시꾼이 낚시대를 파지(把持)하는 부분에 특히, 릴시트 및 트리거 또는 손잡이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와 관련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의 좌측 및 우측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저면 및 평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는 통상형으로 낚시대를 관통 및 수납할 수 있는 낚시대가 관통하는 수납부(100)와, 상기 낚시대 수납부 어느 한 측면에는 릴시트의 트리거를 관통하여 수납하는 릴시트의 트리거 수납부(200)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낚시대 수납부(100)는 통상형으로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낚시대 일단부가 삽입되어 장착이 이루어진다. 낚시대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낚시대 일단부를 낚시대 수납부로 삽입하고, 릴시트 또는 손잡이에 장착시킨다. 이와 같이 장착한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를 통하여, 사용자는 커버 부재가 장착된 릴시트 또는 손잡이를 파지하게 됨으로써, 장기간 낚시대 사용에도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대 수납부는 측단면 구조가 사다리꼴을 형성하는 상협하광의 통상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트리거 수납부가 낚시대 수납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트리거 수납부와 연결되는 낚시대 수납부 하측부는 사용자의 손가락 (특히, 검지)이 트리거에 걸리는 파지 면적을 제공함으로써 통상 손가락과 릴시트가 맞닿는 곳에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손 피로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측면에는 요철(凹凸), 엠보싱, 통공 등이 추가적으로 가공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때의 미끄럼 방지는 물론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요철, 엠보싱, 통공 등이 형성되는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커버 부재 내주면 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트리거가 커버되는 전후 부분 및 낚시대가 커버되는 하측면에 좌우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돌출부가 일정간격을 갖고 형성되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의 저면 및 평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는 릴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릴 시트를 가지는 낚시대에 있어서, 개구부를 통해 낚시대 릴시트가 삽입 및 보관되고 릴시트 수납부에 릴시트의 트리거부가 관통 및 고정될 수 있다.
릴시트의 트리거 수납부(200)는 통상적인 릴시트에 형성된 트리거를 수용하여 트리거의 끝단부분이 릴시트 수납부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돌출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 하 방향으로 트리거가 삽입되어 보관되고 트리거의 하단 일부가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트리거는 사용자의 손을 걸 수 있다면 다양한 프레임과 크기로 구현화되고 사용자는 목적하는 어종 또는 낚시 방법에 따라 다양한 릴시트로 교체하므로, 트리거 프레임을 수납하는 공간만을 제공되거나 트리거 수납을 위해 일방향으로만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일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로 다양한 크기의 릴시트 트리거를 가지는 낚시대에 장착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의 릴시트 수납부는 상, 하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됨으로써 트리거가 삽입 및 보관되면서 하단부 일부분은 관통부를 통해 노출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트리거를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사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가소성 탄성체, 연성 실리콘, 연질계 폴리에스테르형, 우레탄 수지 등과 같은 탄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나 탄성과 신축성을 가진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재질은 감촉이 부드럽고 우수한 탄성력이 있으며 내흠집성이나 내마모성이 높고 가요성(可撓性)이 풍부하다. 이와 같은 신축성으로 다양한 크기의 낚시대 및 트리거를 수납 및 장착할 수 있으며 장착과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는 금형틀을 사용하여 용융된 재료를 금형에 넣어 제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장착 사진을 나타낸다. 도 5에는 릴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릴 시트를 가지는 낚시대에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가 장착되는 과정의 전, 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는 낚시대 후단부 손잡이를 통해 낚시대 수납부가 릴시트 프레임을 관통하여 수납하고, 낚시대 릴시트 하부에 형성된 트리거가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낚시대 수납부와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쥐게 되는 그립면이 손가락과 낚시대 접촉부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낚시대 수납부의 측단면구조는 상협하광의 사다리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는 상, 하로 통공이 형성되어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 내부로 수용된 트리거 프레임이 릴시트 수납부보다 큰 경우 하부 통공으로 트리거 하단부가 돌출하여 장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트리거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낚시대 커버부재는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어 낚시대의 분리 없이 낚시대 후단부 손잡이를 통해 장착이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프레임을 갖는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낚시대 트리거 거버용 보조구 실시예는 통상형으로 수평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는 낚시대 수납부와, 상기 낚시대 수납부 어느 한 측면에는 릴시트의 트리거를 관통하여 수납하는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 최하단과 낚시대 수납부의 파지되는 측면을 연결하도록 연결프레임(55)이 설치되어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통공(5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트리거 수납부 최하단 및 낚시대 수납부의 파지 측면에는 고리형상의 통공부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통공부를 관통하여 걸릴 수 있다. 통상 낚시가 이루어지는 장소는 선체상이나 파고에 의해 불안정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연결프레임으로 인해 형성되는 통공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낚시대를 휘두르거나 파지하는 동안 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낚시대 수납부와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의 외주면에 돌기(60)가 형성됨으로서 파지되는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으로 방지하고 손가락과 낚시대 수납부와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와의 밀착력을 강화시켜, 낚시대를 휘두르거나 파지하는 동안 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낚시대 사용자의 손 피로를 최대로 저감하고 단일의 부재로 다양한 크기의 릴시트를 수용할 수 있는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를 제공함으로써, 낚시인의 편의성 향상 및 낚시 산업의 발전에 기여함으로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100: 낚시대 수납부
200: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
10: 낚시대 20: 릴시트
30: 트리거 40: 손잡이
50: 통공 55: 연결프레임
60: 돌기

Claims (3)

  1. 낚시에 사용하는 낚시대 손잡이에 장착하기 위한 보조구에 있어서, 낚시대를 관통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낚시대 수납부와,
    상기 낚시대 수납부 어느 한 측면에 릴시트의 트리거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 하단과 낚시대 수납부의 파지되는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관통 고정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커버부재는 열가소성 탄성체, 연성 실리콘, 연질계 폴리에스테르형, 우레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시트 트리거 수납부는 상, 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트리거의 하단부가 돌출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KR1020220112584A 2022-09-06 2022-09-06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KR20240033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584A KR20240033837A (ko) 2022-09-06 2022-09-06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584A KR20240033837A (ko) 2022-09-06 2022-09-06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837A true KR20240033837A (ko) 2024-03-13

Family

ID=9029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584A KR20240033837A (ko) 2022-09-06 2022-09-06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83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3693A (ko) 2009-01-14 2010-07-2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싯대
KR101003744B1 (ko) 2003-01-24 2010-12-2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싯대용 커버 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44B1 (ko) 2003-01-24 2010-12-2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싯대용 커버 부재
KR20100083693A (ko) 2009-01-14 2010-07-2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싯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83992호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루어 낚싯대의 손잡이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하도록 제공하여 장시간의 낚시 및 캐스팅(casting)에도 손과 손목의 피로를 최소화하면서, 낚싯대가 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파지가 용이한 루어 낚시대용 손잡이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240B1 (ko) 낚시바늘 집
KR20120055470A (ko) 챔버형 리더 루어
US7627980B2 (en) Snell holding and storing device
US10194646B2 (en) Modular chambered leader fishing lure
US6269583B1 (en) Jig and fishing system
KR20240033837A (ko) 낚시대 트리거 커버용 보조구
US7363743B2 (en) Safety bobber
US6691448B2 (en) Fish hook protector guard
KR200467070Y1 (ko)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KR101926313B1 (ko)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KR101935724B1 (ko) 낚시대
WO2017005593A1 (en) A device for use in sea fishing
US7007425B2 (en) Tangle free fishing pole
AU2015243436B2 (en) Modular chambered leader fishing lure
JPH0340148Y2 (ko)
US2697564A (en) Hand-held fishing line reel for casting rods
JPH1128992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用釣竿の指掛け
JPH0130058Y2 (ko)
EP2926653A1 (en) Fishing pole for increasing casting power
US20220394966A1 (en) Casting Rod Handle
JPH0524286Y2 (ko)
JPS6222143Y2 (ko)
JP3097645U (ja) ルアー
KR20170127411A (ko) 챔버형 리더 루어
KR200286692Y1 (ko) 낚시바늘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