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517A -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517A
KR20240033517A KR1020220112250A KR20220112250A KR20240033517A KR 20240033517 A KR20240033517 A KR 20240033517A KR 1020220112250 A KR1020220112250 A KR 1020220112250A KR 20220112250 A KR20220112250 A KR 20220112250A KR 20240033517 A KR20240033517 A KR 20240033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device
inner body
detachable
installa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이기봉
임수경
안희열
김경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517A/ko
Priority to US17/985,266 priority patent/US11994277B2/en
Priority to DE102022212558.4A priority patent/DE102022212558A1/de
Priority to CN202211494052.XA priority patent/CN117646885A/zh
Publication of KR2024003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60Q3/53Modular mounting systems, e.g. using tracks, rails or multiple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spotlighting, e.g. read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intended to be mounted on a light t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interchangeability, i.e. component parts being especially adapted to be replaced by another part with the same or a different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실내 공간에서 설치레일을 따라 조명기구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며, 조명기구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갯수를 조절할 수 있어 실내 공간에서 각 탑승자가 요구하는 배광 만족이 가능한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DETACHABLE LAMP APPARATUS}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빌리티의 실내에서 조명이 요구되는 위치에 빛을 제공하기 위한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빌리티에는 실내의 공간을 밝히기 위해 실내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실내 조명은 도어 개방시 또는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실내를 조명하기 위해 작동되며, 실내 공간에서 루프측에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모빌리티의 자율 주행이 개발되고 있으며, 자율 주행에 맞춰 실내 공간을 운전석, 조수석, 후석으로 한정하지 않고 좌석의 위치를 변경시켜 다양한 위치에 착좌공간을 제공한다.
일례로, 모빌리티 내부에서 시트의 위치를 가변하여 자율주행 상황에서 동승한 사람들이 서로 마주보거나 둘러 앉을수 있도록 시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종래에는 실내 조명이 실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빛을 제공하는 위치도 한정적이게 된다. 즉, 실내 조명은 전방 좌석 상단의 중앙부분과 뒷좌석 상단의 중앙부분에 설치됨으로써, 시트의 위치를 변경시 실내 조명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탑승자의 체형 또는 취향에 맞춰 배광 각도를 조절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탑승자의 시트 포지션이 이동되는 경우 실내 조명의 배광으로 인하여 탑승자의 신체에 조명이 가려지거나, 불필요한 곳으로 빛이 조사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정작 탑승자가 필요로 하는 위치에는 빛이 조사되지 않음에 따라 탑승자에게 불편함이 제공될 수 밖에 없다.
이를 위해, 시트의 모든 위치로 빛을 조사하기 위해, 실내 조명의 배광각을 과대하게 넓히는 경우 다른 탑승자에게 불필요한 빛이 조사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21-0101128 A (2021.08.18)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실내 공간에서 다양한 시트 위치 및 시트 포지션에 대응하여 빛을 제공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는 복수의 설치홈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가 형성된 설치레일; 및 복수의 설치홈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 몸체와, 내부 몸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내부 몸체의 장착 상태를 락킹 또는 락킹 해제하는 외부 몸체와, 내부 몸체에 설치되어 내부 몸체가 설치레일에 장착시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조명램프로 구성된 조명기구;를 포함한다.
외부 몸체는 상부에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 배치된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 관통홀 사이에 변형 유도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부 몸체는 상부에 제1 관통홀을 관통하여 변형 유도 돌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고정용 플랜지가 구비되고, 고정용 플랜지는 끝단에 내외측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형 유도 돌기는 끝단이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부 몸체의 상하방 이동시 고정용 플랜지가 벌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하여 걸림돌기가 설치홈에 걸리거나 이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명램프는 외부 몸체에 고정된 기판부와, 기판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기판부의 상부에서 제2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전원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명램프는 광원부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부가 더 구성되고, 광원부는 스위치부의 터치 횟수 또는 터치 시간에 따라 기설정된 조명 모드로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 몸체에는 제1 방향의 양측면에 개통홀이 형성되며, 내부 몸체에는 제1 방향의 양측면에서 제1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고 개통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후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크부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말단부가 개통홀에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되 말단부의 상단의 경우 개통홀에 상단에 접촉시 슬라이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말단부의 하단의 경우 개통홀에 하단에 접촉시 걸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 몸체에는 제2 방향의 양측면에 개방홀이 형성되고 개방홀에는 제2 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걸림부가 형성되며, 내부 몸체에는 제2 방향의 양측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부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끝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되되 반원형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지지돌기는 반원형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치레일은 길이방향으로 따라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삽입홈부를 따라 복수의 설치홈이 형성되며, 삽입홈부의 외측으로 전원 단자가 삽입홈부를 따라 연장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명 기구의 외부 몸체는 고정부와 틸팅부로 구성되며, 고정부에는 내부 몸체가 실장되어 내부 몸체의 장착 상태를 락킹 또는 락킹 해제하고, 틸팅부에는 조명램프가 실장되며 고정부에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명램프의 빛 조사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 몸체는 하부가 조명램프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는 실내 공간에서 설치레일을 따라 조명기구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며, 조명기구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갯수를 조절할 수 있어 실내 공간에서 각 탑승자가 요구하는 배광 만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의 조명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의 설치레일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 및 설치레일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를 위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락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락킹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락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락킹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락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락킹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의 틸팅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의 조명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의 설치레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 및 설치레일의 측면도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를 위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락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락킹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락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락킹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락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락킹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의 틸팅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설치홈(110)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120)가 형성된 설치레일(100); 및 복수의 설치홈(110)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 몸체(210)와, 내부 몸체(2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내부 몸체(210)의 장착 상태를 락킹 또는 락킹 해제하는 외부 몸체(220)와, 내부 몸체(210)에 설치되어 내부 몸체(210)가 설치레일(100)에 장착시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조명램프(230)로 구성된 조명기구(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치레일(100)은 모빌리티의 실내에서 루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실내 루프에서 직선상 또는 곡선상으로 연장되어 실내 공간의 각각의 좌석을 경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레일(100)은 복수의 설치홈(110)과 전원 단자(120)가 구비되어 조명기구(200)가 설치홈(110)에 장착되고, 조명기구(200)는 전원 단자(12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한다.
즉, 조명기구(200)는 내부 몸체(210), 외부 몸체(220), 조명램프(230)로 구성되며, 내부 몸체(210)는 설치레일(100)의 설치홈(110)에 장착되고, 외부 몸체(220)는 내부 몸체(210)의 장착 상태를 락킹시켜 장착이 유지되도록 하거나 락킹 해제하여 설치레일(100)로부터 탈거되도록 한다. 조명램프(230)는 전원 단자(12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외부 몸체(220)는 하부가 조명램프(23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조명램프(230)를 외부의 충격 또는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처럼, 조명기구(200)는 내부 몸체(210), 외부 몸체(220)의 상호 작용을 통해, 설치레일(100)의 복수의 설치홈(110) 중 어느 하나에 장착 또는 탈거됨으로써, 설치레일(100)에서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조명기구(200)는 설치레일(100)에 장착시, 조명램프(230)가 전원 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조명램프(230)에서 빛이 조사되어 실내 배광을 만족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기구(200)는 복수로 구성되어 실내에서 요구하는 배광을 만족할 수 있으며, 각 조명기구(200)의 설치 위치를 다양화함으로써 탑승자가 만족하는 배광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레일(100)은 길이방향으로 따라 삽입홈부(130)가 형성되고, 삽입홈부(130)를 따라 복수의 설치홈(110)이 형성되며, 삽입홈부(130)의 외측으로 전원 단자(120)가 삽입홈부(130)를 따라 연장되게 마련된다.
이처럼, 설치레일(100)에는 조명기구(200)가 삽입되는 삽입홈부(130)가 형성되며, 삽입홈부(130)의 경우 설치레일(100)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부(130)는 조명기구(200)의 외부 몸체(220)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홈부(130)의 내측면이 측방으로 함몰되어 설치홈(110)이 형성된다. 설치홈(110)의 경우 삽입홈부(130)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됨으로써, 조명기구(200)가 설치레일(100)에서 다양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설치레일(100)은 삽입홈부(130)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전원 단자(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원 단자(120)는 삽입홈부(130)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설치레일(100)에 조명기구(200)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장착된 조명기구(2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빛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조명기구(200)는 외부 몸체(220)와 내부 몸체(210)의 기구적 연결 구조를 통해, 설치레일(100)에 장착되어 락킹되거나 또는 락킹 해제될 수 있다.
도 6 내지 10은 설치레일(100)에 대한 조명기구(200)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를 토대로 각 부품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서로 다른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몸체(220)는 상부에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 배치된 제1 관통홀(221)과 제2 관통홀(222)이 형성되고 제1 관통홀(221) 사이에 변형 유도 돌기(223)가 형성된다.
또한, 내부 몸체(210)는 상부에 제1 관통홀(221)을 관통하여 변형 유도 돌기(223)의 양측에 배치되는 고정용 플랜지(211)가 구비되고, 고정용 플랜지(211)는 끝단에 내외측으로 걸림돌기(211a)가 돌출된다.
즉, 본 발명에서 조명기구(200)는 내부 몸체(210)가 설치레일(100)에 장착되고, 외부 몸체(220)에 의해 내부 몸체(210)가 설치레일(100)로부터 탈거되거나 장착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조명기구(200)는 외부 몸체(22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221)을 통해 내부 몸체(210)에 구비된 고정용 플랜지(211)가 통과되고, 고정용 플랜지(211)가 설치레일(100)의 설치홈(110)에 장착시 조명기구(200)가 설치레일(10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몸체(220)에는 제1 관통홀(221) 사이로 변형 유도 돌기(223)가 형성된다. 이러한 변형 유도 돌기(223)는 조명기구(200)를 설치레일(100)에 장착시 내부 몸체(210)의 고정용 플랜지(211)를 변형시켜 고정용 플랜지(211)가 설치홈(110)에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몸체(210)로부터 외부 몸체(220)의 이동 위치에 따라 고정용 플랜지(211)가 변형 유도 돌기(223)에 의해 변형되어 설치홈(110)에 걸리거나 이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변형 유도 돌기(223)는 끝단이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변형 유도 돌기(223)는 설치홈(110)에 걸림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부 몸체(220)의 상하방 이동시 고정용 플랜지(211)가 벌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하여 걸림돌기(211a)가 설치홈(110)에 걸리거나 이탈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200)의 장착 및 탈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200)를 설치레일(100)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내부 몸체(210)의 고정용 플랜지(211)가 오므라진 상태에서 삽입홈부(130)에 삽입되고, 외부 몸체(220)가 계속적으로 상방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변형 유도 돌기(223)가 고정용 플랜지(211)를 강제로 벌린다. 이로 인해, 고정용 플랜지(211)는 끝단에서 내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11a)가 설치레일(100)의 설치홈(110)에 걸림에 따라 내부 몸체(210)가 설치레일(100)에 고정되고 락킹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200)를 설치레일(10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외부 몸체(220)가 내부 몸체(210)에서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변형 유도 돌기(223)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변형 유도 돌기(223)는 고정용 플랜지(211)의 걸림돌기(211a)로부터 이탈되고, 고정용 플랜지(211)는 원위치로 복원되어 걸림돌기(211a)가 설치홈(110)으로부터 이탈되어 락킹 해제됨으로써 내부 몸체(210)가 설치레일(100)에서 탈거될 수 있다.
한편, 외부 몸체(220)의 제2 관통홀(222)을 통해, 조명램프(230)가 설치레일(100)의 전원 단자(12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램프(230)는 외부 몸체(220)에 고정된 기판부(231)와, 기판부(231)의 하부에 설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232)와, 기판부(231)의 상부에서 제2 관통홀(222)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전원 단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233)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부(231)는 PCB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판부(231)에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232)가 설치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이 결정된다. 특히, 기판부(231)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부(233)가 구비되며, 단자부(233)는 외부 몸체(220)의 제2 관통홀(222)을 통과하여 설치레일(100)의 전원 단자(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232)의 경우 외부 몸체(220)의 하방 뿐만 아니라, 외부 몸체(220)의 일부를 투명하게 구성하여 투명한 부분을 통해서 빛이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명기구(200)는 설치레일(100)에 장착시, 내부 몸체(210)가 설치레일(100)의 설치홈(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 몸체(22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고, 조명램프(230)의 단자부(233)가 설치레일(100)의 전원 단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광원부(232)를 통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조명램프(230)는 광원부(232)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부(234)가 더 구성되고, 광원부(232)는 스위치부(234)의 터치 횟수 또는 터치 시간에 따라 기설정된 조명 모드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부(234)는 광원부(232)를 이루는 렌즈 또는 외부 몸체(220)에 별도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식, 가압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조명 모드는 온/오프, 단계별 밝기 조절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스위치부(234)의 터치 횟수 또는 터치 시간에 따라 각각의 조명 모드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조명기구(200)는 내부 몸체(210)와 외부 몸체(220)의 구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락킹 또는 락킹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몸체(220)에는 제1 방향의 양측면에 개통홀(224)이 형성되며, 내부 몸체(210)에는 제1 방향의 양측면에서 제1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고 개통홀(224)에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후크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조명기구(200)를 중심으로 측방향이 될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제1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외부 몸체(220)에는 제1 방향의 양측면에 개통홀(224)이 형성되고, 내부 몸체(210)에는 개통홀(224)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후크부(212)가 형성됨으로써, 후크부(212)가 개통홀(224)에 체결 여부에 따라 조명기구(2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개통홀(224)과 후크부(212)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방향에 대해 양측면에 동일하게 구성되어 내부 몸체(210)와 외부 몸체(220)의 위치 고정이 안정화되도록 한다.
일실시예로서, 내부 몸체(210)의 후크부(212)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말단부가 개통홀(224)에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되 말단부의 상단의 경우 개통홀(224)에 상단에 접촉시 슬라이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말단부의 하단의 경우 개통홀(224)에 하단에 접촉시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후크부(212)는 상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측방으로 변형이 허용되며, 말단부의 경우 상단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이 직각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 몸체(220)의 이동 위치에 따른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200)를 설치레일(100)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내부 몸체(210)가 설치레일(100)의 설치홈(110)에 장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데, 내부 몸체(210)의 후크부(212) 하단이 외부 몸체(220)의 개통홀(224)의 하단에 접촉되어 걸림으로써 외부 몸체(220)의 상방 이동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조명기구(200)를 설치레일(100)에 장착시 외부 몸체(220)가 상방으로 과도하게 이동됨에 따라, 상술한 변형 유도 돌기(223)가 고정용 플랜지(211)의 걸림돌기(211a)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명기구(200)는 설치레일(100)에 고정되어 락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200)를 설치레일(10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외부 몸체(220)가 내부 몸체(210)에서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후크부(212)가 개통홀(224)의 하단에서 이격되어 외부 몸체(220)의 하방 이동이 허용된다.
한편, 외부 몸체(220)에는 제2 방향의 양측면에 개방홀(225)이 형성되고 개방홀(225)에는 제2 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걸림부(226)가 형성되며, 내부 몸체(210)에는 제2 방향의 양측면에 지지돌기(2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몸체(210)에는 제2 방향의 양측면에 지지돌기(213)가 형성되고, 외부 몸체(220)에는 제2 방향의 양측면에 지지돌기(213)가 삽입되는 개방홀(225)이 형성되어 외부 몸체(220)가 내부 몸체(21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부 몸체(220)에는 개방홀(225)의 하단에 걸림부(226)가 형성되고, 걸림부(226)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며 지지돌기(213)에 접촉됨에 따라 조명기구(2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내부 몸체(210)의 지지돌기(213), 외부 몸체(220)의 개방홀(225) 및 걸림부(226)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방향에 대해 양측면에 동일하게 구성되어 내부 몸체(210)와 외부 몸체(220)의 위치 고정이 안정화되도록 한다.
이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걸림부(226)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끝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되되 반원형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지지돌기(213)는 반원형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부(226)와 지지돌기(213)는 상호 걸림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외부 몸체(220)의 이동량에 따라 걸림부(226)가 변형되면서 지지돌기(213)가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200)를 설치레일(100)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내부 몸체(210)가 설치레일(100)의 설치홈(110)에 장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데, 외부 몸체(220)의 걸림부(226)가 내부 몸체(210)의 지지돌기(213)를 넘어가 지지돌기(213)의 상단에 접촉되어 걸림으로써 외부 몸체(220)는 하방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조명기구(200)를 설치레일(100)에 장착시 외부 몸체(220)의 위치가 고정되어 상술한 변형 유도 돌기(223)가 고정용 플랜지(211)의 걸림돌기(211a)로부터 이탈되지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명기구(200)는 설치레일(100)에 고정되어 락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200)를 설치레일(10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외부 몸체(220)가 내부 몸체(210)에서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외부 몸체(220)의 걸림부(226)가 내부 몸체(210)의 지지돌기(213)를 넘어 지지돌기(213)의 하단으로 이동된다. 또한, 외부 몸체(220)가 내부 몸체(210)에서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변형 유도 돌기(223)가 고정용 플랜지(211)의 걸림돌기(211a)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조명기구(200)는 설치레일(100)로부터 탈거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명기구(200)를 설치레일(10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조명기구(200)를 설치레일(100)에 장착할 경우 조명기구(200)를 설치레일(100)측에 밀어주는 것으로, 외부 몸체(220)의 변형 유도 돌기(223)에 의해 내부 몸체(210)의 고정용 플랜지(211)가 설치홈(110)에 걸리게 되고, 내부 몸체(210)의 후크부(212)가 외부 몸체(220)의 개통홀(224)에 체결되며, 외부 몸체(220)의 걸림부(226)가 내부 몸체(210)의 지지돌기(213) 상단에 걸림으로써 내부 몸체(210) 및 외부 몸체(220)의 위치가 유지되어 락킹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조명기구(200)를 설치레일(100)에서 탈거할 경우, 외부 몸체(220)를 설치레일(100)의 반대방향으로 잡아 당겨주는 것으로, 외부 몸체(220)의 변형 유도 돌기(223)가 내부 몸체(210)의 고정용 플랜지(211)로부터 이탈되어 고정용 플랜지(211)가 설치홈(110)에서 이탈된다. 또한, 내부 몸체(210)의 후크부(212)가 외부 몸체(220)의 개통홀(224)로부터 이격되고, 외부 몸체(220)의 걸림부(226)가 내부 몸체(210)의 지지돌기(213) 하단으로 이동됨으로써, 외부 몸체(220)의 락킹이 해제되어 외부 몸체(220)가 내부 몸체(210)로부터 이동되면서 조명기구(200)가 탈거될 수 있다.
한편, 도 12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200)의 외부 몸체(220)는 고정부(220a)와 틸팅부(220b)로 구성되며, 고정부(220a)에는 내부 몸체(210)가 실장되어 내부 몸체(210)의 장착 상태를 락킹 또는 락킹 해제하고, 틸팅부(220b)에는 조명램프(230)가 실장되며 고정부(220a)에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명램프(230)의 빛 조사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조명기구(200)는 외부 몸체(220)가 고정부(220a)와 틸팅부(220b)로 구성되며, 고정부(220a)와 틸팅부(220b)가 힌지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틸팅부(220b)의 회전 위치에 따라 빛 조사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220a)는 내부 몸체(210)가 실장됨으로써 내부 몸체(210)를 통해 설치레일(100)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틸팅부(220b)에는 조명램프(230)가 실장되어 틸팅부(220b)의 위치에 따라 조명램프(230)에서 조사되는 빛의 방향이 조절된다. 이러한 틸팅부(220b)는 도 12에서와 같이 어느 한 방향으로 틸팅될 뿐만 아니라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는 실내 공간에서 설치레일(100)을 따라 조명기구(200)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며, 조명기구(200)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갯수를 조절할 수 있어 실내 공간에서 각 탑승자가 요구하는 배광 만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설치레일 110:설치홈
120:전원 단자 130:삽입홈부
200:조명기구 210:내부 몸체
211:고정용 플랜지 211a:걸림돌기
212:후크부 213:지지돌기
220:외부 몸체 220a:고정부
220b:틸팅부 221:제1 관통홀
222:제2 관통홀 223:변형 유도 돌기
224:개통홀 225:개방홀
226:걸림부 230:조명램프
231:기판부 232:광원부
233:단자부 234:스위치부

Claims (13)

  1. 복수의 설치홈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가 형성된 설치레일; 및
    복수의 설치홈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 몸체와, 내부 몸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내부 몸체의 장착 상태를 락킹 또는 락킹 해제하는 외부 몸체와, 내부 몸체에 설치되어 내부 몸체가 설치레일에 장착시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조명램프로 구성된 조명기구;를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몸체는 상부에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 배치된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 관통홀 사이에 변형 유도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내부 몸체는 상부에 제1 관통홀을 관통하여 변형 유도 돌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고정용 플랜지가 구비되고, 고정용 플랜지는 끝단에 내외측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변형 유도 돌기는 끝단이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부 몸체의 상하방 이동시 고정용 플랜지가 벌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하여 걸림돌기가 설치홈에 걸리거나 이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조명램프는 외부 몸체에 고정된 기판부와, 기판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기판부의 상부에서 제2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전원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조명램프는 광원부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부가 더 구성되고, 광원부는 스위치부의 터치 횟수 또는 터치 시간에 따라 기설정된 조명 모드로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몸체에는 제1 방향의 양측면에 개통홀이 형성되며,
    내부 몸체에는 제1 방향의 양측면에서 제1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고 개통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후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후크부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말단부가 개통홀에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되 말단부의 상단의 경우 개통홀에 상단에 접촉시 슬라이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말단부의 하단의 경우 개통홀에 하단에 접촉시 걸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몸체에는 제2 방향의 양측면에 개방홀이 형성되고 개방홀에는 제2 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걸림부가 형성되며,
    내부 몸체에는 제2 방향의 양측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걸림부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끝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되되 반원형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지지돌기는 반원형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설치레일은 길이방향으로 따라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삽입홈부를 따라 복수의 설치홈이 형성되며, 삽입홈부의 외측으로 전원 단자가 삽입홈부를 따라 연장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조명 기구의 외부 몸체는 고정부와 틸팅부로 구성되며, 고정부에는 내부 몸체가 실장되어 내부 몸체의 장착 상태를 락킹 또는 락킹 해제하고, 틸팅부에는 조명램프가 실장되며 고정부에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명램프의 빛 조사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몸체는 하부가 조명램프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KR1020220112250A 2022-09-05 2022-09-05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KR20240033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250A KR20240033517A (ko) 2022-09-05 2022-09-05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US17/985,266 US11994277B2 (en) 2022-09-05 2022-11-11 Detachable lighting device
DE102022212558.4A DE102022212558A1 (de) 2022-09-05 2022-11-24 Abnehmbare Beleuchtungsvorrichtung
CN202211494052.XA CN117646885A (zh) 2022-09-05 2022-11-25 可拆卸照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250A KR20240033517A (ko) 2022-09-05 2022-09-05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517A true KR20240033517A (ko) 2024-03-12

Family

ID=8990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250A KR20240033517A (ko) 2022-09-05 2022-09-05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94277B2 (ko)
KR (1) KR20240033517A (ko)
CN (1) CN117646885A (ko)
DE (1) DE10202221255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128A (ko) 2020-02-07 2021-08-18 도요타 지도샤(주) 차 실내 조명 시스템, 차 실내 조명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기억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9999B2 (en) * 2012-09-24 2014-12-02 Abl Ip Holding Llc Track adapter and lighting fix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128A (ko) 2020-02-07 2021-08-18 도요타 지도샤(주) 차 실내 조명 시스템, 차 실내 조명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기억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646885A (zh) 2024-03-05
DE102022212558A1 (de) 2024-03-07
US11994277B2 (en) 2024-05-28
US20240085007A1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9167B2 (ja) 可変焦点および方向性を有するランプアセンブリ
KR101601507B1 (ko) 차량용 시트
US6550946B2 (en) Inside handle illuminator
KR20040101010A (ko) 자동차 도어핸들 모듈
JP2011105161A (ja) 車両用照明装置
US10093226B1 (en) Deployable vehicle light assembly
KR20240033517A (ko)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 장치
US20090001789A1 (en) Panel assembly for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US10907803B2 (en) Vehicle lamp assembly
JP2017007503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JP5543787B2 (ja) 照明装置
JP2605551B2 (ja) エレベーターかご室照明装置
JP3888574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80002907U (ko)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DE102011121251B4 (de) Leuchtenmodul für eine Innenraumbeleuchtung eines Fahrzeugs und Fahrzeugteil mit einem solchen Leuchtenmodul
US20060062007A1 (en) Control panel with light source for control illumination
JP2008230271A (ja) 車両用信号灯の取付構造
JP6233979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車両用ルームライト
KR100526979B1 (ko)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
RU36313U1 (ru) Устройство освещения интерьер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5097272U (zh) 车内氛围营造系统和车辆
KR102082399B1 (ko) 록킹장치가 구비된 인사이드 핸들 커버
WO2021221002A1 (ja) 車両用照明装置
US20060056180A1 (en) Light source for control illumination
KR20060089279A (ko) 자동차용 독서등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