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133A - 전기 밸브 - Google Patents

전기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133A
KR20240033133A KR1020247006686A KR20247006686A KR20240033133A KR 20240033133 A KR20240033133 A KR 20240033133A KR 1020247006686 A KR1020247006686 A KR 1020247006686A KR 20247006686 A KR20247006686 A KR 20247006686A KR 20240033133 A KR20240033133 A KR 20240033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seat
wall portion
electric val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롱 장
시안랑 웨이
시아오우 왕
Original Assignee
제지앙 산후아 인텔리전트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874122.3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681512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871629.3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681511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874162.8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681513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1274091.4A external-priority patent/CN116066581A/zh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산후아 인텔리전트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산후아 인텔리전트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33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13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t Valve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밸브 시트 조립체(10) 및 너트 조립체(40)를 포함하는 전기 밸브. 상기 밸브 시트 조립체(10)는 제1 밸브 시트 부재(101) 및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시트 부재(101)는 측벽부(1011) 및 상부벽부(101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벽부(1012)는 측벽부(1011)으로부터 전기 밸브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측벽부(1011)는 제2 밸브 시트 부재(102)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상부벽부(1012)는 정합 구멍부(mating hole portion)(1013)를 포함하고; 상기 정합 구멍부(1013)는 상부벽부(1012)를 통해 이어지고; 상기 너트 조립체(40)는 너트 본체부(401)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 본체부(401)는 외측 에지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에지 섹션은 정합 구멍부(1013)를 통해 연장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외측 에지 섹션은 정합 구멍부(1013)와 정합하고; 상기 너트 조립체(40)는 상기 상부벽부(1012)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전기 밸브의 외측 에지 섹션은 상기 정합 구멍부를 관통하고, 상기 외측 에지 섹션은 상기 정합 구멍부와 정합하고, 상기 너트 조립체와 상기 밸브 시트 조립체를 조립할 때, 상기 정합 구멍부는 상기 너트 조립체의 외측 에지 섹션에 대한 소정의 안내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밸브 시트 조립체와 상기 너트 조립체의 동축성이 양호하다.

Description

전기 밸브
본 출원은 아래의 4가지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1) 2021년 7월 30일에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에 출원된 "전기 밸브"라는 명칭의 중국특허출원 202110871629.3호,
2) 2021년 7월 30일에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에 출원된 "전기 밸브"라는 명칭의 중국특허출원 202110874162.8호,
3) 2021년 7월 30일에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에 출원된 "전기 밸브"라는 명칭의 중국특허출원 202110874122.3호, 및
4) 2021년 10월 29일에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에 출원된 "전기 밸브"라는 명칭의 중국특허출원 202111274091.4호.
본 출원은 냉동 제어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밸브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 냉장고, 히트펌프 온수기와 같은 각종 냉동 및 가열 장치에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전기 밸브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전기 밸브는 밸브 시트 조립체, 너트 조립체, 밸브-니들 스크류 조립체로 구성된다. 밸브 시트 조립체는 너트 조립체에 고정 연결되고, 밸브-니들 스크류 조립체는 너트 조립체와 나사 결합된다. 밸브-니들 스크류 조립체가 회전 운동할 때, 밸브 니들은 축방향으로 변위를 만들어 밸브 니들이 밸브 포트에 접근하거나 밸브 포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다.
밸브 코어 시트와 너트 사이의 동축성이 좋지 않은 경우, 밸브 포트의 밀봉 불량이나 밸브 포트의 편마모의 문제가 쉽게 발생하여, 전기 밸브의 작동 신뢰성이 떨어지고, 또한 전기 밸브의 수명도 단축된다.
본 출원의 목적은 밸브 시트 조립체 및 너트 조립체를 구비하는 전기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밸브 시트 조립체는 제1 밸브 시트 부재와 제2 밸브 시트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밸브 시트 부재는 측벽부과 상부벽부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벽부는 측벽부로부터 전기 밸브의 중심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측벽부는 제2 밸브 시트 부재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상부벽부는 상기 상부벽부를 통해 연장되는 정합 구멍부를 구비한다. 상기 너트 조립체는 외측 에지 섹션을 갖는 너트 본체부를 구비한다. 상기 외측 에지 섹션은 상기 정합 구멍부를 통해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외측 에지 섹션은 상기 정합 구멍부와 끼워진다. 상기 너트 조립체는 상기 상부벽부에 고정 연결된다.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에지 섹션은 상기 정합 구멍부를 통해 연장되어 끼워맞춰지고, 상기 외측 에지 섹션은 상기 정합 구멍부와 끼워맞춰짐으로써, 상기 정합 구멍부는 상기 너트 조립체와 상기 밸브 시트 조립체의 조립 동안에 상기 너트 조립체의 외측 에지 섹션을 안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밸브 시트 조립체와 상기 너트 조립체가 양호한 동축성으로 배열된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 시트 부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a는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가 과도하게 개방되려고 하는 임계점에서의 밸브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가 과도하게 개방된 경우에 나사산 쌍이 풀려진 상태의 밸브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부분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밸브 시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 시트 부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가 과도하게 개방되려고 하는 임계점에서의 밸브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가 과도하게 열린 경우에 나사산 쌍이 풀려진 상태의 밸브 본체의 단면도이다.
당업자가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출원은 첨부된 도면 및 특정 실시예와 함께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 시트 조립체(1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3a는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가 과도하게 개방되려고 하는 임계점에서의 밸브 본체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가 과도하게 개방된 경우에 나사산 쌍이 풀려진 상태의 밸브 본체의 단면도이다.
특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는 밸브 본체와, 밸브 본체 외부에 슬리브 결합된 코일(50)을 구비한다. 밸브 본체는 밸브 시트 조립체(10),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 하우징(30), 및 너트 조립체(40)를 구비한다. 전기 밸브의 스테이터 코일(50)은 구동 컨트롤러에 연결된다. 구동 컨트롤러는 전원이 공급된 후 펄스형 구동 신호를 코일(50)에 보내고, 코일(50)은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가변 자기장을 생성한다.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는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는 수나사산부(201a)가 제공되는 밸브 샤프트(2011)를 구비한다. 너트 조립체(40)는 너트 본체부(401)를 구비하고, 너트 본체부(401)의 내측 보어부에는 암나사산부(40b)가 제공된다. 밸브 샤프트(2011)는 너트 본체부(401)와 나사 결합된다.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가 회전하면, 밸브 샤프트(2011)는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밸브 코어(202)가 밸브 포트부(10a)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 시트 조립체(10)는 제1 밸브 시트 부재(101) 및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를 구비한다. 제1 밸브 시트 부재(101)는 측벽부(1011) 및 상부벽부(1012)을 구비한다. 측벽부(1011)는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이다.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는 제1 밸브 시트 부재(101)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상부벽부(1012)는 측벽부(1011)로부터 전기 밸브의 중심을 향해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벽부(1012)와 제1 밸브 시트 부재(101)는 일체로 형성되고 플레이트 연신(plate stretching) 또는 바아 단조(bar forging)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측벽부(1011)의 하부 개방측은 제2 밸브 시트 부재(102)에 고정 연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는 삽입부(1021)와 제한부(1022)를 구비한다. 삽입부(1021)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고, 제한부(1022)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된다. 삽입부(1021)의 원주방향 외측에는 제한부(1022)가 배치된다. 제1 밸브 시트 부재(101)와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를 조립하여 고정할 때, 삽입부(1021)는 우선 제1 밸브 시트 부재(101)의 개방측을 통해 끼워질 수 있으므로, 삽입부(1021)는 측벽부(1011)의 내부면과 연동한다. 이 경우, 전기 밸브의 종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삽입부(1021)의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은 상기 평면 상의 측벽부(1011)의 정사영과 중첩된 영역을 갖는다. 측벽부(1011)는 삽입부(1021)를 측벽부(1011)에 끼워맞추는 과정에서 삽입부(1021)를 안내하므로, 제1 밸브 시트 부재(101)의 축과 제2 밸브의 축의 동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밸브의 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측벽부(1011)의 정사영은 상기 평면 상의 제한부(1022)의 정사영과 중첩된 영역을 갖는다. 삽입부(1021)가 측벽부(1011)에 어느 정도 끼워지면, 제한부(1022)가 측벽부(1011)의 개방 단부에 맞닿아 삽입부(1021)가 측벽부(1011)에 더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므로, 제1 밸브 시트 부재(101)와 제2 밸브 시트 부재(102)의 상대적 위치를 축방향으로 제한한 다음, 제1 밸브 시트 부재(101)와 제2 밸브 시트 부재(102)가 예컨대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는 밸브 포트부(10a)를 갖고, 밸브 시트 조립체(10)는 제1 입구 및 출구 통로(10d)와 제2 입구 및 출구 통로(10e)를 더 구비한다. 밸브 포트부(10a)는 제1 입구 및 출구 통로(10d)와 제2 입구 및 출구 통로(10e)와 연통되어 유체 매체(예를 들어, 냉매)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측벽부(1011)에는 측벽 연결부(10111)가 제공된다. 측벽 연결부(10111)에는 제1 이음관부(103)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연결된다. 제2 밸브 시트 부재(102)에는 정합 연결부(1023)가 제공되어 제2 이음관부(104)에 고정 연결되고, 제2 이음관부(104)는 (밸브 코어(202)를 고려하지 않고서) 밸브 포트부(10a)와 연통된다. 제1 이음관부(103)와 제2 이음관부(104)는 전기 밸브의 유체 매체의 유입 또는 유출 통로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에어컨과 같은 냉동 또는 난방 시스템에 장착될 때 시스템 파이프라인에 연결되는데 사용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밸브 시트 조립체(10)에 밸브 챔버(10b)가 형성되므로, 밸브 챔버(10b)의 용적을 비교적 쉽게 증가시킬 수 있고, 유체의 압력 안정성을 향상시키므로, 종래 기술에서 바아를 이용하여 기계가공된 밸브 시트에 비해 유체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시트 조립체(10)는 상부벽부(1012)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통해 연장되는 정합 구멍부(1013)를 더 구비한다. 너트 본체부(401)는 외측 에지 섹션(4011)을 구비하므로, 너트 조립체(40)가 밸브 시트 조립체(10)와 조립되면, 너트 본체부(401)의 외측 에지 섹션(4011)이 정합 구멍부(1013)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너트 조립체(40)는 정합 구멍부(1013)를 통해 배열된다. 너트 조립체(40)는 밸브 시트 조립체에 삽입될 때 정합 구멍부(1013)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너트 조립체(40)의 축과 밸브 시트 조립체(10)의 축의 동축성이 양호하여, 전기 밸브의 축에 대한 밸브 코어(202)의 편향 정도는 밸브 코어(202)가 밸브 포트(10a)에 접근하거나 멀리 이동할 때 상대적으로 작다.
너트 본체부(401)는 정합 구멍부(1013)와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중간 끼워맞춤(transition fit) 또는 틈새 끼워맞춤(clearance fit)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너트 본체부(401)는 정합 구멍부(1013)와 억지 끼워맞춤된다. 너트 본체부(401)가 정합 구멍부(1013)와 틈새 끼워맞춤되는 경우, 너트 본체부(401)의 외측 에지 섹션(4011)과 정합 구멍부(1013) 사이의 각 측부에서 간극은 0.15mm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더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너트 조립체(4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너트 연결부(402)를 더 구비한다. 너트 연결부(402)는 인서트로서 사출 성형에 의해 너트 본체부(401)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너트 연결부(402)와 상부벽부(1012)는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서로 고정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 밸브의 단면이 위치하는 평면에서, 이러한 평면 상의 너트 연결부(402)의 정사영은 이러한 평면 상의 상부벽부(1012)의 정사영과 중첩된 영역을 가짐으로써, 너트 본체부(401)가 정합 구멍부(1013)에 어느 정도 끼워졌을 때, 너트 연결부(402)가 상부벽부(1012)에 맞닿아 너트 본체부(401)가 정합 구멍부(1013)에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므로, 너트 조립체(40)와 밸브 시트 조립체(10)의 상대 위치를 축방향으로 제한하고, 그 다음 너트 연결부(402)와 상부벽부(1012)가 서로 고정되어 너트 조립체(40)와 밸브 시트 조립체(40)의 조립을 완성한다.
너트 연결부(402)의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이고, 상부벽부(1012)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이며, 너트 연결부(402)의 하부면의 평면 부분은 상부벽부(1012)의 상부면의 평면 부분과 끼워맞춰진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끼워맞춤"은 너트 연결부(402)의 하부면의 모든 평면 부분이 상부벽부(1012)의 상부면의 모든 평면 부분과 끼워맞춰지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너트 연결부(402)의 하부면 및 상부벽부(1012)의 상부면도 평면이다. 따라서, 너트 조립체(40)가 밸브 시트 조립체(10)에 조립되어 고정될 때, 너트 연결부(402)의 하부면은 서로 끼워맞춤된 후 상부벽부(1012)의 상부면에 고정 연결된다. 너트 조립체(40)의 축은 수평방향에 대해 수직이다. 너트 조립체(40)는 밸브 시트 조립체(10)의 축방향에 대해 편향될 가능성이 적다. 한편, 너트 본체부(401)가 외측 에지 섹션(4011)에서 정합 구멍부(1013)에 끼워맞춤될 때, 정합 구멍부(1013)는 또한 수평방향에 대해 너트 조립체(40)의 축의 수직성(perpendicular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너트 조립체(40)의 축과 밸브 시트 조립체(10)의 축의 동축성이 양호하다.
도 1과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는 하우징(30)을 더 구비한다. 하우징(30)은 얇은 벽 부재로서 커버 형태이다. 하우징(30)의 하부 개구측은 밸브 시트 조립체(10)에 밀폐식으로 용접되어, 너트 본체부(401)의 상반부와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의 메인 본체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챔버를 형성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측벽부(1011)는 실질적으로 측벽부(1011)의 원주방향 외측에 배열되고 환형 단차 형상인 단차부(10112)를 더 구비한다. 단차부(10112)는 횡단차부(101121)와 종단차부(101122)를 구비한다. 횡단차부(101121)는 단차부(10112)의 일부로서 보다 수평방향으로 배향된다. 종단차부(101122)는 단차부(10112)의 일부로서 보다 수직방향으로 배향된다. 본 실시예에서, 횡단차부(101121)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고, 종단차부(101122)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된다.
밸브 시트 조립체(10)가 하우징(30)과 조립될 때, 하우징(30)은 종단차부(101122)를 따라 점진적으로 슬리브 결합된다. 하우징(30)이 종단차부(101122)를 따라 점진적으로 슬리브 결합되는 과정에서, 종단차부(101122)는 하우징(30)을 안내할 수 있어서, 하우징(30)의 축이 밸브 시트 조립체(10)의 축에 대해 편향될 가능성이 적고, 이에 따라 밸브 시트 조립체(10)의 축과 및 하우징(30)의 축의 동축성이 양호하다. 또한, 전기 밸브의 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하우징(30)의 정사영은 상기 평면 상의 횡단차부(101121)의 정사영과 중첩된 영역을 가지므로, 하우징(30)의 개방 단부가 종단차부(101122)를 따라 어느 정도 점진적으로 슬리브 결합되면, 하우징(30)의 개방 단부는 횡단차부(101121)에 맞닿아 하우징(30)이 밸브 시트 조립체(10) 내로 더욱 슬리브 결합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우징(30)과 밸브 시트 조립체(10)의 상대 위치를 축방향으로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횡단차부(101121)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하우징(30)의 하단부의 개구측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하우징(30)과 밸브 시트 조립체(10)가 서로 끼워맞춰진 후에 하우징(30)이 밸브 시트 조립체(10)에 대해 평향될 가능성이 적게 되어, 하우징(30)의 축과 밸브 시트 조립체(10)의 축의 동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기 밸브에는 실질적으로 2개의 챔버, 즉 너트 연결부(402) 위에 위치하는 수용 챔버와, 너트 연결부(402) 아래에 위치하는 밸브 챔버(10b)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시트 조립체(10)는 상부벽부(1012)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통해 연장되는 밸런싱 구멍부(1014)를 더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수용 챔버의 압력과 밸브 챔버(10b)의 압력이 밸런싱 구멍부(1014)를 통해 더욱 신속하게 균형될 수 있어, 수용 챔버의 압력과 밸브 챔버(10b)의 압력의 불균형으로 인해 또는 긴 밸런싱 시간 주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밸런싱 구멍부(1014)는 수용 챔버의 압력과 밸브 챔버(10b)의 압력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본 출원의 밸런싱 구멍부(1014)를 유일한 밸런싱 통로인 것으로 제한하지 않고, 밸런싱 구멍부(1014)는 전기 밸브 내의 밸런싱 통로 중 하나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밸런싱 구멍부(1014)와 정합 구멍부(1013)는 모두 상부벽부(1012)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통해 연장되므로, 밸런싱 구멍부(1014)와 정합 구멍부(1013)는 중첩되지 않는 방식으로, 또는 밸런싱 구멍부(1014)의 일부와 정합 구멍부(1013)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물론, 밸런싱 구멍부(1014)의 개수가 2개 이상일 경우에는 밸런싱 구멍부(1014)와 정합 구멍부(1013)의 일부가 중첩되지 않는 형태를 채택할 수도 있으며, 밸런싱 구멍부(1014)의 일부는 정합 구멍부(1013)의 일부와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여기서, "중첩"이라는 용어는 밸런싱 구멍부(1014)와 정합 구멍부(1013)가 하나의 단일 구멍으로 함께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는 제2 밸브 시트 본체부(102a)와 차단부(1024)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부(1024)는 실질적으로 환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는 제2 밸브 시트 본체부(102a)의 상부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실질적으로 형성된다. 제1 밸브 시트 부재(101)에 제1 이음관부(103)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제1 밸브 시트 부재(101)와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를 우선 서로 고정 연결한 후, 제1 이음관부(103)는 측벽 연결 구멍부(10111)를 통해 삽입된다. 제1이음관부(103)가 측벽 연결 구멍부(10111)에 어느 정도로 들어갈 때, 차단부(1024)가 제1 이음관부(103)와 맞닿아 제1 이음관부가 측벽 연결 구멍부(10111)로 더욱 들어가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차단부(1024)는 제1 이음관부(103)의 삽입 깊이를 제어할 수 있어, 제1 이음관부(103)의 측벽 연결 구멍부(10111)에 대한 삽입 깊이가 제품 간에 보다 일관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삽입방향(X)은 제1 이음관부(103)가 측벽 연결 구멍부(10111)를 통해 연장되어 끼워지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삽입방향(X)에 수직인 평면 상의 차단부(1024)의 정사영은 그 평면 상의 제1 이음관부(103)의 정사영과 중첩된 영역을 갖는다.
이 경우, 제1 이음관부(103)가 측벽 연결 구멍부(10111)에 어느 정도로 들어가면, 차단부(1024)가 제1 이음관부(103)에 맞닿아 제1 이음관부(103)의 삽입 깊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는 로터(203) 및 밸브 코어(202)를 더 구비한다. 로터(203)에는 원주방향으로 자극(magnetic poles)이 제공되고, 밸브 코어(202)는 밸브 샤프트(2011)의 중앙 관통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끼워맞춤된다. 또한,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는 밸브 샤프트(2011)의 중앙 관통구멍 내에 배열된 탄성 부재(204)와, 탄성 부재(204)의 상단부에 배열된 상부 로드(205)를 더 구비한다.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는 밸브 샤프트(2011)의 상단부에 고정 연결된 부싱(2012)을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204)는 스프링으로 구현된다.
도 1 및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너트 본체부(401)에는 환형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된 고정 정지부(40a)가 제공되며, 이는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에 제공된 가동 정지부(201b)와 연동하여 전기 밸브의 스트로크의 하단부에서 정지 메커니즘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가 밸브 시트 조립체(10)에 대해 어느 정도로 하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동 정지부(201b)는 고정 정지부(40a)에 맞닿아 밸브 시트 조립체(10)에 대한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의 추가적인 회전을 제한하여,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가 축방향으로 계속 하향 작용하는 것을 제한하므로,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의 하측방향 운동의 스트로크를 제어한다.
전기 밸브의 코일(50)이 구동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하면, 밸브 본체의 로터(203)가 여기되어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샤프트(2011)는 로터(203)에 고정 연결되어, 밸브 샤프트(2011)는 로터(203)를 따라 동기식으로 회전하고, 밸브 샤프트(2011)와 너트 본체부(401)의 스크류 공급 기구는 로터(203)의 회전 운동을 축방향 운동으로 변환하여, 밸브 코어 헤드(202a)가 밸브 포트(10a)에 접근하거나 멀어지게 이동하게 하도록 밸브 코어(202)를 구동하므로, 전기 밸브의 유량의 선형 전환 조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는 원주방향으로 자극을 갖는 로터(203)와, 로터(203)에 고정 연결되는 밸브 샤프트(2011)와, 밸브 샤프트(2011)의 중앙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밸브 코어(202)와, 밸브 샤프트(2011)의 내부 보어의 챔버에 배치된 탄성 부재(204)와, 탄성 부재(204)의 상단부에 배열된 상부 로드(205)와, 밸브 샤프트(2011)의 상단부에 고정 연결된 부싱(2012)를 구비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에서, 탄성 부재(204)는 밸브 샤프트(2011)의 내부 보어의 챔버에 배치되고 원주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모두 밸브 샤프트(2011)에 의해 구속되어, 탄성 부재(204)가 실질적으로 축방향 변위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축방향 변위에 따른 소음이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탄성 부재(204)의 탈락, 변위를 포함하는 고장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밸브 샤프트(2011)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관통구멍의 내벽은 실질적으로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를 형성한다.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의 내경은 밸브 샤프트(2011)의 축방향을 따라 일치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는 제1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1),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 및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를 구비한다. 제1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1)는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 위에 위치되고, 밸브 샤프트(2011)의 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제1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1)의 정사영(폐쇄라인 또는 환형)은 상기 평면 상의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의 정사영(폐쇄라인 또는 환형)의 외부에 위치된다. 가공 및 제조의 편의를 위해, 제1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1)와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의 단면은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제1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1)의 직경은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의 직경보다 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1)와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는 각각 높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직경을 가지므로, 밸브 샤프트(2011)의 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제1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1)와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의 정사영은 둘 다 원형이다.
또한,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는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연장된다.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의 외측 에지는 제1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1)와 교차하고,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의 내측 에지는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와 교차한다. 제1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1)와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의 단면은 모두 원형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밸브 샤프트(2011)의 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의 정사영은 환형이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는 수평방향으로 배향된다. 물론,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는 완전히 평면이 아닌 형태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밸브축(2011)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점차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설정될 수도 있다.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 거리를 갖는다는 요건만 만족하면 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밸브 샤프트(2011)는 제1 주변부(20161) 및 제2 주변부(20162)를 갖는 외측 에지부(2016)를 구비한다. 제1 주변부(20161)는 제2 주변부(20162) 위에 배열되고, 밸브 샤프트(2011)의 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제1 주변부(20161)의 정사영은 상기 평면 상의 제2 주변부(20162)의 정사영의 외부에 위치된다. 제1 주변부(20161)와 제2 주변부(20162)는 모두 가공을 위해 원형 단면이 제공된다. 제1 주변부(20161)가 위치하는 밸브 샤프트(2011)의 일부에는 로터 고정부(201c)가 배치된다. 로터(203)와 로터 고정부(201c)는 직간접적 용접, 리벳팅, 플라스틱 자성재의 사출 성형, 접착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를 인서트로 구성하여 플라스틱 자성재와 사출 성형을 통해 연결한 후, 밸브 샤프트(2011)를 연결 부재에 용접으로 고정 연결한다. 밸브 샤프트(2011)는 로터(203)와 밸브 샤프트(2011)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자성재와 연결되는 인서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2 주변부(20162)가 위치하는 밸브 샤프트(2011)의 일부에는 수나사산부(201a)가 제공된다. 너트 본체부(401)의 내부 보어에 제공된 수나사산부(201a)와 암나사산부(40b)는 전기 밸브의 스크류 공급 기구(나사산 쌍)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는 제1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1) 내에 배치되는 부싱(2012)을 더 구비한다. 부싱(2012)은 압입, 용접 등에 의해 밸브 샤프트(2011)에 고정 연결된다. 부싱(2012)은 부싱(2012)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통해 연장되는 부싱 보어(20121)를 더 구비한다.
도 3a 및 도 3b를 더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밸브 코어(202)는 밸브 샤프트(2011)를 통해 연장되도록 배열된다(밸브 코어(202)의 일부는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 내에 위치됨). 또한, 밸브 코어(202)는 밸브 코어 헤드(202a)를 구비하는 단차형 샤프트로 구성된다. 밸브 코어 헤드(202a)는 밸브 코어(202)의 실질적인 하단부에 배치되며, 밸브 코어 헤드(202a)의 팁의 형상은 전기 밸브에 요구되는 유량 조절 곡선과 관련이 있다. 밸브 코어(202)는 밸브 코어(202)의 상단부에 실질적으로 근접하게 배열된 밸브 코어 맞댐부(202b)를 더 구비한다. 밸브 코어(202)의 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밸브 코어 헤드(202a)의 정사영은 상기 평면 상의 밸브 코어 맞댐부(202b)의 정사영 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코어 헤드(202a)와 밸브 코어 맞댐부(202b)는 모두 원형 단면을 가지므로, 밸브 코어 맞댐부(202b)의 직경은 밸브 코어 헤드(202a)의 직경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코어(202)는 하향방향으로 밸브 샤프트(2011)의 내부 챔버를 관통하여 끼워맞춤되고, 밸브 코어 맞댐부(202b)는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에 맞닿아 있을 수 있으며, 밸브 코어 헤드(202a)는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로부터 돌출한다. 밸브 코어(202)의 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밸브 코어 맞댐부(202b)의 정사영과, 상기 평면 상의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의 정사영은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따라서, 밸브 코어 맞댐부(202b)는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에 맞닿을 수 있다. 물론, 와셔와 같은 부재가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와 밸브 코어 맞댐부(202b) 사이에 제공되어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와 밸브 코어 맞댐부(202b)가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는 경우, 밸브 코어 맞댐부(202b)와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 사이의 돌출 관계는 상기한 관계를 만족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코어 맞댐부(202b)의 외측 에지, 제1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1) 및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의 단면은 모두 원형이다. 밸브 코어 맞댐부(202b)의 직경은 제1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1)의 직경보다 약간 작고, 밸브 코어 맞댐부(202b)의 직경은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의 직경보다 크고, 밸브 코어 헤드(202a)의 최대 직경은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의 직경보다 약간 작으므로, 밸브 코어(202)는 밸브 샤프트(2011)의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는 탄성 부재(204)를 더 구비한다. 탄성 부재(204)는 원통형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더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는 상부 로드(205)를 더 구비한다. 상부 로드(205)는 상부 로드 본체부(2051)와 상부 로드 맞댐부(205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로드 맞댐부(2052)는 실질적으로 상부 로드 본체부(2051)의 원주방향 연장에 의해 형성된 구조체이다. 상부 로드 맞댐부(2052)는 부싱(2012) 아래에 위치되고, 상부 로드 본체부(2051)는 부싱 보어(20121)를 통해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 외부로 관통되고, 탄성 부재(204)의 하단부는 밸브 코어(202)에 맞닿고, 탄성 부재(204)의 상단부는 상부 로드(205)의 상부 로드 맞댐부(2052)에 맞닿는다.
도 3a 및 도 3b를 더 참조하면,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의 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부싱 보어(20121)의 정사영과, 상기 평면 상의 상부 로드 맞댐부(2052)의 정사영은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상기 평면 상의 상부 로드 본체부(2051)의 정사영은 상기 평면 상의 부싱 보어(20121)의 정사영 내에 위치되어, 상부 로드 맞댐부(2052)가 부싱 보어(20121)를 통해 상측방향으로 외부로 연장될 수 없는 반면, 상부 로드 본체부(2051)는 부싱 보어(20121)를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물론, 부싱(2012)과 상부 로드 맞댐부(2052) 사이에 와셔와 같은 부재가 제공되어 부싱(2012)과 상부 로드 맞댐부(2052)가 서로 간접적으로 맞닿게 되는 경우에, 부싱(2012)과 상부 로드 맞댐부(2052) 사이의 돌출 관계는 상기한 관계를 만족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로드 본체부(2051)의 외측 에지, 상부 로드 맞댐부(2052)의 외측 에지 및 부싱 보어(20121)의 단면은 모두 원형이다. 상부 로드 맞댐부(2052)의 직경은 부싱 보어(20121)의 직경보다 크고, 상부 로드 본체부(2051)의 직경은 부싱 보어(20121)의 직경보다 작다. 상부 로드 본체부(2051)의 상단부는 부싱 보어(20121)의 상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상부 로드 맞댐부(2052)는 탄성 부재(204)에 의해 상향 탄성 압축력을 받는다. 상부 로드 맞댐부(2052)는 부싱(2012)에 맞닿는다(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예를 들어 부싱(2012)과 상부 로드 맞댐부(2052) 사이에 와셔와 같은 부재가 제공되는 경우, 상부 로드 맞댐부(2052)는 부싱(2012)에 간접적으로 맞닿는다). 부싱(2012)이 밸브샤프트(2011)에 고정 연결된 후, 탄성 부재(204)는 압축된 상태가 된다.
본 출원에 따른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는 상부 로드 맞댐부(2052)에 맞닿는 맞댐부(20b)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싱(2012)은 상부 로드 맞댐부(2052)에 맞닿고, 그에 따라 부싱(2012)은 맞댐부(20b)를 구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코어 로터 조립체(20)가 과도하게 열리려고 하는 임계점에서의 밸브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4의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는 과도하게 개방되려고 하는 상태에 있고 ("과도하게 개방된"은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가 그 특정된 상한 스트로크 한계를 초과하는 지점으로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가 상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지칭한다). 도 4의 밸브 코어 헤드(202a)는 밸브 샤프트(2011)의 수나사산부(201a) 중 소정의 길이의 일부분이 여전히 너트 본체부(401)의 암나사산부(40b)와 나사 결합된 상태에 있는 동안, 이미 밸브 포트(10a)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고, 그 경우 상부 로드 본체부(2051)는 하우징(30)의 상부에 바로 접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의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가 과도하게 개방되었을 때(나사산 쌍이 나사산 풀림)의 밸브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는 L의 스트로크 높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위치에 대해 계속해서 위향으로 작용한다. 이때, 밸브 샤프트(2011)의 가동 나사산부(201a)는 너트 본체부(401)의 고정 나사산부(10b)로부터 바로 나사산 풀림된다. 탄성 부재(204)는 L의 압축량만큼 도 4의 상태에 대해 더욱 압축된다. 상부 로드(205)의 상부 로드 본체부(2051)의 선단부는 견고하게 압축되어 하우징(30)의 내벽에 맞닿는다. 최종적으로, 탄성 부재(204)의 하향 탄성력이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에 작용하도록 전달되는데, 즉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는 탄성 부재(204)의 하향 탄성 부하를 받게 된다.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가 과도한 개방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는 나사산 쌍이 나사산 풀림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 본체부(401)에 대해 상향으로 계속하여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가 코일(40)에 의해 구동되어 차단방향으로 하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밸브 샤프트(2011)는 탄성 부재(204)에 의해 하향 탄성 압축력을 받기 되므로, 수나사산부(201a)와 암나사산부(40b)는 리셋되어 서로 나사산 재결합되고, 그 다음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는 회전 구동되어 하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출원에 따른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는 통로부(20c)를 구비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밸브는 베어링부(20d)를 구비한다. 상부 로드(205)의 상부 로드 본체부(2051)는 상부 로드 본체부(2051)가 베어링부(20d)에 맞닿게 하도록 통로부(20c)를 통해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 위에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로드 본체부(2051)는 부싱 보어(20121)를 통해 연장되어 하우징(30)에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부싱 보어(20121)는 통로부(20c)를 구비하고, 하우징(30)은 베어링부(20d)를 구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의 밸브 코어(202)는 분할 구조(split structure)로 설계된다. 본 출원에 따른 밸브 코어(202)는 밸브 코어 본체(2021) 및 밸브 코어 슬리브(2022)를 구비한다. 밸브 코어 슬리브(2022)는, 밸브 코어 슬리브(2022)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통해 연장되는 밸브 코어 슬리브 보어(20221)를 구비하고, 밸브 코어 본체(2021)의 상단부는 밸브 코어 슬리브 보어(20221)를 통해 연장되고, 밸브 코어 본체(2021)와 밸브 코어 슬리브(2022)는 압입, 용접, 접착 등에 의해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202)에서, 밸브 코어 헤드(202a)의 직경은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밸브 코어 헤드(202a)의 직경이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의 직경보다 큰 경우에, 밸브 코어(202)는 밸브 샤프트(2011)의 중앙 관통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끼워맞춰진 다음, 밸브 코어 슬리브(2022)는 하측방향으로 슬리브 결합되어 밸브 코어 본체(2021)에 고정되고, 탄성 부재(204)는 밸브 코어 슬리브(2022)에 맞닿는다. 본 실시예의 밸브 코어 슬리브(2022)는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에 맞닿을 수 있는 밸브 코어 맞댐부(202b)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204)는 밸브 코어 슬리브(2022)의 상부에 맞닿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밸브 코어 본체(2021)는 밸브 코어 슬리브 보어(20221)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고 탄성 부재(204) 내부에 위치된다. 탄성 부재(204)의 하단부가 반경방향으로 편향되게 될 때, 밸브 코어 슬리브 보어(20221) 외부로 연장되는 밸브 코어 본체(2021)의 일부분은 탄성 부재(204)의 반경방향 편향을 억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탄성 부재(204)는 전기 밸브의 작동 중에 더욱 안정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다른 부분의 구조적 해결책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물론, 밸브 코어 슬리브 보어(20221)는 블라인드 구멍의 형태일 수도 있는데, 즉 밸브 코어 본체(2021)는 밸브 코어 슬리브(2022)에 고정 연결되지만 밸브 코어 본체(2021)는 밸브 코어 슬리브 보어(20221)의 상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지 않는다. 즉, 밸브 코어 슬리브 보어(20221)는 관통구멍의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밸브 코어 슬리브 보어(20221)는 관통구멍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지만, 밸브 코어 본체(2021)는 밸브 코어 슬리브 보어(20221)의 상부로부터 외부로 관통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인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주로 밸브 코어 슬리브(2022)의 상단부와 탄성 부재(204)의 하단부 사이에 추가적인 와셔(206)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도 6의 제2 실시예와는 다르다. 와셔(206)는 와셔(206)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통해 연장되는 보어부(2061)를 구비한다. 와셔(206)를 제공하면 밸브 코어(202)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켜 탄성 부재(204)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기 밸브의 작동 신뢰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204)의 하단부는 와셔(206)의 상단부면과 맞닿고, 본 실시예의 다른 부분의 구조적 해결책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인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주로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와 밸브 코어 맞댐부(202b) 사이에 위치하는 와셔(206)의 위치가 변경된다는 점에서 도 7의 제3 실시예와는 다르다. 와셔(206)에는 보어부(2061)가 더 제공된다. 밸브 코어 맞댐부(202b)는 와셔(206)에 맞닿는다. 탄성 부재(204)의 하단부는 밸브 코어(202)에 맞닿는다. 와셔(206)를 제공하면 밸브 코어(202)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켜 밸브 샤프트(2011)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기 밸브의 작동 신뢰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부분의 구조적 해결책은 제3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본 출원에 사용된 "맞닿는"은 서로 직접적으로 맞닿는 2개의 부분과, 또 다른 부분 또는 다른 부분에 의해 서로 맞닿는 2개의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는 주로 부싱(2012)이 약간 다른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도 3a 및 3b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20)와는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 부싱(2012)은 밸브 샤프트(2011) 위를 덮고 밸브 샤프트(2011)에 고정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싱(2012)은 원주방향 외측 에지를 따라 하측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형성된 부싱 연장부(20122)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싱(2012)은 실질적으로 커버와 같은 형상이고, 부싱(2012)의 부싱 연장부(20122)는 밸브 샤프트(2011)의 원주방향 외측에 슬리브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다른 부분의 구조적 해결책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부싱(2012)이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 내에 배치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인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주로 밸브 코어(202)의 상단부와 탄성 부재(204)의 하단부 사이에 스페이서(207)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3a 및 도 3b의 제1 실시예와는 다르다. 스페이서(207)를 제공하면 밸브 코어(202)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켜 탄성 부재(204)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밸브 코어(202)가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를 따라 함께 회전하는 상황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밸브 코어 헤드(202a)와 밸브 포트(10a)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어, 밸브 포트(10a)와 밸브 코어 헤드(202a)의 마모 및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 밸브의 작동 신뢰성과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204)의 하단부가 스페이서(207)와 맞닿고, 본 실시예의 다른 부분의 구조적 해결책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본 출원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로터 부재(203)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3a 및 도 3b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면,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의 구조는 제1 실시예에 기초하여 재구성 및 재통합된다. 본 실시예의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는 밸브 샤프트 본체부(2013)와 원통형 부재(2014)를 구비한다. 밸브 샤프트 본체부(2013)에는 그 상부면 및 바닥면을 통해 연장되는 관통구멍이 제공된다. 밸브 샤프트 본체부(2013)에는 수나사산부(201a)가 제공되고 원통형 부재(2014)에 고정 연결된다. 밸브 샤프트 본체부(2013)의 실질적인 내측벽부는 밸브 샤프트 본체부(2013)가 원통형 부재(2014)에 고정 연결될 때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샤프트 본체부(2013)의 일부분은 원통형 부재(2014)의 관통구멍 내부에 위치된다. 물론, 밸브 샤프트 본체부(2013)가 원통형 부재(2014)의 관통구멍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밸브 샤프트 본체부(2013)가 원통형 부재(2014)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원통형 부재(2014)는 실질적으로 중공 실린더의 형상이고, 원통형 부재 맞댐부(20141)는 원통형 부재(2014)의 실질적으로 위에 제공된다. 원통형 부재 관통구멍부(201411)는 원통형 부재 맞댐부(20141)의 실질적인 중앙 위치에 제공된다.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의 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원통형 부재 관통구멍부(201411)의 정사영은 상기 평면 상의 상부 로드 본체부(2051)의 정사영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평면 상의 상부 로드 맞댐부(2052)의 정사영 내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원통형 부재 관통구멍부(201411), 상부 로드 본체부(2051)의 외측 에지, 상부 로드 맞댐부(2052)의 외측 에지의 단면은 모두 원형이고, 원통형 부재 관통구멍부(201411)의 직경은 상부 로드 본체부(2051)의 직경보다 크고 상부 로드 맞댐부(2052)의 직경보다 작다.
밸브 코어 맞댐부(202b)는 밸브 코어 본체(2013)의 상단부면에 맞닿을 수 있다. 그 경우,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는 밸브 코어 본체(2013)의 상단부면에 형성된다.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 상에 배치된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의 측면 구멍벽은 제1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1)를 형성하고, 밸브 샤프트 맞댐부(20152) 아래에 배치된 측면 구멍벽은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20153)를 형성한다. 탄성 부재(204)는 원통형 부재(2014)와 밸브 코어 본체(2013)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부에 수용된다. 원통형 부재 맞댐부(20141)는 상부 로드 맞댐부(2052)에 맞닿을 수 있으므로, 원통형 부재 맞댐부(20141)는 맞댐부(2052)를 구비하고, 상부 로드(205)의 상부 로드 본체부(2051)는 원통형 부재 관통구멍부(201411)를 통해 상측방향 외부로 연장되고 베어링부(20d)에 맞닿을 수 있으므로, 원통형 부재 관통구멍부(201411)는 통로부(20c)를 구비한다.
원통형 부재(201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거나, 2개 이상의 부품을 고정 연결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3a 및 도 3b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면,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의 구조는 제1 실시예에 기초하여 재구성 및 재통합되며, 기하학적으로 대응하는 부품은 조립된 후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다른 부분의 구조적 해결책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본 출원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부분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는 주로 부싱(2012) 아래에 상부 와셔(209)가 구비되고, 상부 와셔에는 상부 와셔(209)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통해 연장되는 상부 보어부(2091)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도 3a 및 도 3b의 제1 실시예와는 다르다. 상부 와셔(209)의 상단부면은 부싱(2012)에 맞닿고, 상부 와셔(209)의 하단부는 상부 로드 맞댐부(2052)에 맞닿는다. 상부 로드 본체부(2051)는 본 실시예에서 통로부(20c)를 구비하는 부싱 보어(20121)를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상부 와셔(209)는 상부 로드 맞댐부(2052)에 맞닿는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의 구조면에서 서로 다른 상부 와셔(209)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서로 다른 매칭 관계에 관한 것이므로, 일반적인 개념은 본 출원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본 출원에 기술된 맞댐은 직접적인 맞댐 및 간접적인 맞댐을 모두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전기 밸브의 일부 부품에 대해 종래의 분리, 통합 및 기타 변경이 가능하지만 기하학적 대응 부분의 기능은 조립된 후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본 출원의 개념 내에 여전히 속함을 보여준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부 로드(205)가 하우징(30)에 맞닿을 수 있는 형태가 사용되고, 이 경우 하우징(30)은 베어링부(20d)를 구비한다. 물론, 하우징(30)에 하우징 연결 부재를 용접으로 제공하고, 상부 로드(205)가 하우징 연결 부재에 맞닿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부 로드(205)와 맞닿는 부분이 로딩부(20d)로서 기능한다. 즉, 본 출원의 로딩부(20d)는 상부 로드(205)와 맞닿을 수 있는 부분으로, 하우징(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핵심 구성을 사용하여 이루어진 마모 감소 와셔 또는 개스킷의 추가에 대한 적응적 변경은 본 출원의 특허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은 본 출원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밸브 시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밸브 시트 조립체(10)의 구조는 도 1 및 도 2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부(1024)는 더 이상 환형 형상이 아니며 실질적으로 돌출 블록의 형태이다. 제1 이음관부(103)가 측벽 연결 구멍부(10111)에 어느 정도 삽입되면, 돌출된 차단부(1024)가 제1 이음관부(103)에 맞닿게 된다.
차단부(1024)는 제2 밸브 시트 본체부(102a)에 별도로 제작된 후 고정 연결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차단부(1024)는 제2 밸브 시트 본체부(102a)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 밸브 시트 부재(101)와 제2 밸브 시트 부재(102)의 연결 방식도 어느 정도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는 밸브 시트 저벽부(10251)와 밸브 시트 주변부(10252)를 구비하는 밸브 시트 연결부(1025)를 구비한다. 밸브 시트 주변부(10252)는 실질적으로 환형인 밸브 시트 저벽부(10251)의 축방향 외측 에지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형성된 구조이다. 측벽부(1011)의 하부 개구는 밸브 시트 주변부(10252) 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벽부(1011)는 실질적으로 역환형 단차 형상인 제2 단차부(10113)를 더 구비한다. 제2 단차부(10113)는 측벽부(1011)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제2 횡단차부(101131) 및 제2 종단차부(101132)를 구비한다. 제2 횡단차부(101131)는 제2 단차부(10113)에 대해 보다 수평방향으로 배향되고, 제2 종단차부(101132)는 제2 단차부(10113)에 대해 보다 수직방향으로 배향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횡단차부(101131)는 수평방향으로 배향되고, 제2 종단차부(101132)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된다.
제1 밸브 시트 부재(101)와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를 서로 연결할 때, 제2 종단차부(101132)의 하단부는 우선 제2 종단차부(101132)의 하단부가 밸브 시트 저벽부(10251)에 맞닿을 때까지 밸브 시트 주변부(10252)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밸브 시트 주변부(10252)의 상단부와 제2 횡단차부(101131) 사이에는 0 이상의 사전결정된 거리가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제1 밸브 시트 부재(101)와 제2 밸브 시트 부재(102) 사이의 연결이 확실하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기 밸브는 밸브 시트 조립체(10)와 너트 조립체(40)를 구비한다. 밸브 시트 조립체(10)는 제1 밸브 시트 부재(101)와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를 구비하고, 제1 밸브 시트 부재(101)는 측벽부(1011)(외벽부(1011)로도 정의될 수 있음), 상부벽부(1012) 및 내벽부(1013)를 구비한다. 상부벽부(1012)는 환형 구조이고, 외벽부(1011)는 상부벽부(1012)의 외주부를 따라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벽부(1013)는 상부벽부(1012)의 내주부를 따라 축방향 하향으로 연장된다. 내벽부(1013)는 정합 구멍부(10131)를 구비하고, 외벽부(1011)는 제2 밸브 시트 부재(120)에 고정 연결된다. 너트 조립체(40)는 너트 본체부(401)를 구비한다. 너트 본체부(401)는 정합 구멍부(10131)와 정합되는 외측 에지 섹션(4011)을 구비하고, 밸브 시트 부재(10)와 너트 조립체(40)는 고정 연결된다.
제1 실시예와 비교하면, 그 차이점은 본 실시예에서 제1 밸브 시트 부재(101)에 내벽부(1013)가 제공된다는 점이다. 너트 본체부(401)에 끼워지는 정합 구멍부,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합 구멍부(10131)는 내벽부(1013)에 의해 형성된다. 나머지 구조는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제1 밸브 시트 부재(101)는 외벽부(1011), 상부벽부(1012) 및 내벽부(1013)를 구비한다. 상부벽부(1012)는 실질적으로 환형 구조(즉, 내부가 중공형)이고, 외벽부(1011)는 실질적으로 상부벽부(1012)의 외주부를 따라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이고, 내벽부(1013)는 실질적으로 상부벽부(1012)의 내주부를 따라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이고, 외벽부(1011)와 내벽부(1013)는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이다.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는 제1 밸브 시트 부재(101)의 하단부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벽부(1012), 외벽부(1011) 및 내벽부(1013)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는 판금 연신 또는 바아 단조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외벽부(1011)의 하부 개구측은 제2 밸브 시트 부재(102)에 고정 연결된다.
너트 본체부(401)는 내벽부(1013)와 억지 끼워맞춤, 중간 끼워맞춤, 또는 틈새 끼워맞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너트 본체부(401)는 내벽부(1013)와 억지 끼워맞춤 상태에 있다. 너트 본체부(401)가 정합 구멍부(10131)와 틈새 끼워맞춤되는 경우, 너트 본체부(401)의 외측 에지 섹션(4011)과 내벽부(1013) 사이의 각 측면의 간격이 0.15mm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내벽부(1013)의 하단부는 제1 이음관부(103)의 가장 높은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체가 제1 이음관부(103)로부터 밸브 챔버(10b) 내로 흐를 때 밸브 코어(202)에 대한 유체의 충격이 감소될 수 있고, 밸브 포트부(10a)의 축에 대한 밸브 코어(202)의 편향이 감소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기 밸브의 수명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의 전기 밸브는 흐름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유형으로 예시된다. 당업자는 전기 밸브가 흐름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는 전기 밸브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즉, 밸브 코어(202)가 밸브 포트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밸브 코어(202)가 위치될 때 밸브 코어(202)가 밸브 포트(10a)에 맞닿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를 토대로 밸브 코어(202)와 밸브 샤프트 조립체(201) 등의 부품을 별도의 부품으로 조립하거나, 기하학적인 기능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기계적으로 분할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적응형 변화 및 조합을 갖는 이러한 구조도 본 출원의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위, 아래, 좌측, 우측과 같은 방향 용어는 모두 설명의 도면을 기반으로 설명을 위해 도입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구성요소의 명칭에서 "제1", "제2"와 같은 서수적인 용어도 설명을 위해 도입된 것이며, 구성요소의 순서에 어떠한 제한도 두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상, 본 출원에 따른 전기 밸브가 상세히 설명되었다. 본 출원의 원리 및 실시예는 여기서 구체적인 예를 통해 설명된다. 실시예에 대한 위의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핵심 개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에 많은 수정 및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및 개선 역시 본 출원의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10: 밸브 시트 조립체
101: 제1 밸브 시트 부재
1011: 측벽부, 외벽부
10111: 측벽 연결 구멍부
10112: 제1 단차부
101121: 제1 횡단차부
101122: 제1 종단차부
10113: 제2 단차부
101131: 제2 횡단차부
101132: 제2 종단차부
1012: 상부벽부
1013, 10131: 정합 구멍부
1013: 내벽부
1014: 밸런싱 구멍부
102: 제2 밸브 시트 부재
1021: 삽입부
1022: 제한부
1023: 정합 연결부
1024: 차단부
1025: 밸브 시트 연결부
102a: 제2 밸브 시트 본체부
103: 제1 이음관부
104: 제2 이음관부
10a: 밸브 포트부
10b: 밸브 챔버
10d: 제1 입구 및 출구 통로
10e: 제2 입구 및 출구 통로
20: 밸브 코어 로터 조립체
201: 밸브 샤프트 조립체
2011: 밸브 샤프트
2012: 부싱
20121: 부싱 보어
20122: 부싱 연장부
2013: 밸브 샤프트 본체부
2014: 원통형 부재
20141: 원통형 맞댐부
201411: 원통형 부재 관통 구멍부
2015: 밸브 샤프트 내벽부
20151: 제1 밸브 샤프트 내벽부
20152: 밸브 샤프트 맞댐부
20153: 제2 밸브 샤프트 내벽부
2016: 외측 에지부
20161: 제1 주변부
20162: 제2 주변부
201a: 수나사산부
201b: 가동 정지부
201c: 로터 고정부
202: 밸브 코어
2021: 밸브 코어 본체
2022: 밸브 코어 부싱
20221: 밸브 코어 부싱 보어
202a: 밸브 코어 헤드
202b: 밸브 코어 맞댐부
203: 로터
204: 탄성 부재
205: 상부 로드
2051: 상부 로드 본체부
2052: 상부 로드 맞댐부
206: 와셔
2061: 보어부
207: 개스킷
209: 상부 와셔
2091: 상부 보어부
20b: 맞댐부
20c: 통로부
20d: 베어링부
30: 하우징
40: 너트 조립체
401: 너트 본체부
402: 너트 연결부
40a: 고정 정지부
40b: 암나사산부
50: 코일

Claims (19)

  1. 밸브 시트 조립체(10) 및 너트 조립체(40)를 포함하는 전기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 조립체(10)는 제1 밸브 시트 부재(101) 및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시트 부재(101)는 측벽부(1011) 및 상부벽부(101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벽부(1012)는 측벽부(1011)으로부터 전기 밸브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측벽부(1011)는 제2 밸브 시트 부재(102)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상부벽부(1012)는 상기 상부벽부(1012)를 통해 연장되는 정합 구멍부(mating hole portion)(1013)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 조립체(40)는 외측 에지 섹션(4011)을 갖는 너트 본체부(401)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에지 섹션(4011)은 정합 구멍부(1013)를 통해 연장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정합 구멍부(1013)와 끼워맞춰지며, 상기 너트 조립체(40)는 상기 상부벽부(1012)에 고정 연결되는,
    전기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에지 섹션(4011)은 상기 정합 구멍부(1013)와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press fit) 또는 중간 끼워맞춤(transition fit)되는,
    전기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에지 섹션은 상기 정합 구멍부(1013)와 틈새 끼워맞춤(clearance fit)되고, 상기 외측 에지 섹션(4011)과 상기 정합 구멍부(1013) 사이의 각 측부에서의 간극은 0.15mm 이하인,
    전기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조립체(40)는 너트 본체부(401) 및 너트 연결부(402)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 본체부(401)는 인서트로서 상기 너트 연결부(402)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너트 연결부(402)는 상기 상부벽부(1012)에 고정 연결되는,
    전기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연결부(402)의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이고, 상기 상부벽부(1012)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이며, 상기 너트 연결부(402)의 하부면의 평면 부분은 상기 상부벽부(1012)의 상부면의 평면 부분과 끼워져 고정 연결되는,
    전기 밸브.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부(1012)는, 상기 상부벽부(1012)를 통해 연장되는 밸런싱 구멍부(1014)를 포함하는,
    전기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 구멍부(1014)와 상기 정합 구멍부(1013)는 서로 중첩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밸런싱 구멍부(1014)의 일부와 상기 정합 구멍부(1013)의 일부는 서로 중첩되는,
    전기 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1011)는 환형 단차 형상인 단차부(10112)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10112)는 횡단차부(101121)와 종단차부(101122)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30)은 상기 종단차부(101122)의 외측에 슬리브 결합되고,
    상기 전기 밸브의 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상기 하우징(30)의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 및 상기 전기 밸브의 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상기 횡단차부(101121)의 정사영은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하우징(30)은 상기 밸브 시트 조립체(10)에 고정 연결되는,
    전기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의 개구측은 수평으로 배향되고, 상기 횡단차부(101121)는 수평으로 배향되고, 상기 하우징(30)과 상기 횡단차부(101121)는 서로 끼워맞춰지고, 상기 하우징(30)과 상기 밸브 시트 조립체(10)는 서로 고정 연결되는,
    전기 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는 삽입부(1021)와 제한부(1022)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1021)는 상기 측벽부(1011)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전기 밸브의 종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상기 삽입부(1021)의 정사영 및 상기 전기 밸브의 종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상기 측벽부(1011)의 정사영은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상기 전기 밸브의 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상기 측벽부(1011)의 정사영 및 상기 전기 밸브의 단면이 위치하는 평면 상의 상기 제한부(1022)의 정사영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전기 밸브.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 조립체(10)는 제1 이음관부(1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1011)는 측벽 연결 구멍부(10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음관부(103)는 상기 측벽 연결 구멍부(10111)를 통해 연장되어 끼워맞춰지며, 상기 제1 이음관부(103)는 상기 제1 밸브 시트 부재(101)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는 차단부(1024)를 포함하고, 삽입방향(X)은 상기 제1 이음관부(103)가 상기 측벽 연결 구멍부(1011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정의되고, 평면(Y)은 상기 삽입방향(X)에 수직으로 정의되고,
    상기 평면(Y) 상의 상기 차단부(1024)의 정사영 및 상기 평면(Y) 상의 상기 이음관부(103)의 정사영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전기 밸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1011)와 상기 상부벽부(10120)는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 밸브.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1024)는 환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차단부(1024)는 돌출 블록 구조로 형성되는,
    전기 밸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는 제2 밸브 시트 본체부(102a)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1024)는 상기 제2 밸브 시트 본체부(102a)에 고정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 밸브.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시트 부재(102)는 밸브 시트 연결부(1025)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시트 연결부(1025)는 밸브 시트 저벽부(10251) 및 밸브 시트 주변부(10252)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시트 주변부(10252)는 상기 밸브 시트 저벽부(10251)의 원주방향 외측 에지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벽부(1011)는 상기 밸브 시트 주변부(10252) 내부에 위치된 개방 단부를 갖는,
    전기 밸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1011)는 역환형 단차 형상의 제2 단차부(101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차부(10113)는 제2 횡단차부(101131) 및 제2 종단차부(10113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종단차부(101132)의 하단부는 상기 밸브 시트 저벽부(10251)에 맞닿아 있고, 상기 밸브 시트 주변부(10252)의 상단부와 상기 제2 횡단차부(101131) 사이의 사전결정된 거리가 설정되는,
    전기 밸브.
  17.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시트 부재(101)는 내벽부(10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벽부(1012)는 환형 구조이고, 상기 측벽부(1011)는 상기 상부벽부(1012)의 외주부를 따라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벽부(1013)는 상기 상부벽부(1012)의 내주부를 따라 축방향 및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벽부(1013)는 상기 정합 구멍부(10131)를 포함하고, 상기 외벽부(1011)는 상기 제2 밸브 시트 부재(102)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너트 조립체(40)는 외측 에지 섹션(4011)을 구비하는 너트 본체부(401)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에지 섹션(4011)은 상기 정합 구멍부(10131)와 끼워맞춰지고, 상기 밸브 시트 조립체(10)과 상기 너트 조립체(40)는 서로 고정 연결되는,
    전기 밸브.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1014)의 하단부는 상기 제1 이음관부(103)의 가장 높은 위치 아래에 위치되는,
    전기 밸브.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연결부(402)는 상기 상부벽부(1012)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전기 밸브.
KR1020247006686A 2021-07-30 2022-01-28 전기 밸브 KR202400331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874122.3 2021-07-30
CN202110874122.3A CN115681512A (zh) 2021-07-30 2021-07-30 一种电动阀
CN202110871629.3A CN115681511A (zh) 2021-07-30 2021-07-30 一种电动阀
CN202110874162.8 2021-07-30
CN202110871629.3 2021-07-30
CN202110874162.8A CN115681513A (zh) 2021-07-30 2021-07-30 一种电动阀
CN202111274091.4 2021-10-29
CN202111274091.4A CN116066581A (zh) 2021-10-29 2021-10-29 一种电动阀
PCT/CN2022/074462 WO2023005178A1 (zh) 2021-07-30 2022-01-28 一种电动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133A true KR20240033133A (ko) 2024-03-12

Family

ID=85086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6686A KR20240033133A (ko) 2021-07-30 2022-01-28 전기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519134A (ko)
KR (1) KR20240033133A (ko)
WO (1) WO2023005178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8308C2 (de) * 1980-12-20 1986-02-13 Theodor Heimeier Metallwerk Gmbh, 4782 Erwitte Heizungsventil
KR101455952B1 (ko) * 2010-10-15 2014-10-28 쯔지앙 산화 컴퍼니 리미티드 전동밸브
US11441694B2 (en) * 2015-04-10 2022-09-13 Viraraghavan S. Kumar Solenoid controlled valve assembly including a poppet and diaphragm
CN205715985U (zh) * 2016-05-06 2016-11-23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WO2019148692A1 (zh) * 2018-01-31 2019-08-08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动阀及电动阀的制造方法
CN111853261A (zh) * 2019-04-30 2020-10-30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9134A (ja) 2024-05-08
WO2023005178A1 (zh)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959B1 (ko) 전자밸브
EP3293470B1 (en) Electric valve
JP2019168060A (ja) 電気的駆動弁
CN109538772B (zh) 电子膨胀阀
CN212455694U (zh) 阀装置
CN111810654B (zh) 电动阀以及冷冻循环系统
KR20240033133A (ko) 전기 밸브
US11313485B2 (en) Electric valv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12564642U (zh) 阀装置
CN117905928A (zh) 电动阀以及冷冻循环系统
CN113446404A (zh) 一种电子膨胀阀
CN219242649U (zh) 一种电动阀
WO2022166782A1 (zh) 一种电动阀
CN115681513A (zh) 一种电动阀
CN116066581A (zh) 一种电动阀
CN110094524B (zh) 一种电动阀
KR20200094213A (ko) 전자 팽창 밸브
CN112997028A (zh) 流路切换阀
CN215928555U (zh) 电磁阀组件
WO2022161426A1 (zh) 一种电动阀
KR20230162682A (ko) 전기 작동식 밸브
CN115681512A (zh) 一种电动阀
CN212564643U (zh) 阀装置
EP4273428A1 (en) Electric valve
CN114635975B (zh) 电动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