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771A -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 - Google Patents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771A
KR20240032771A KR1020240027396A KR20240027396A KR20240032771A KR 20240032771 A KR20240032771 A KR 20240032771A KR 1020240027396 A KR1020240027396 A KR 1020240027396A KR 20240027396 A KR20240027396 A KR 20240027396A KR 20240032771 A KR20240032771 A KR 20240032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ic acid
acid film
drug
film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호
전소희
Original Assignee
에이디엠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엠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디엠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27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2771A/ko
Publication of KR20240032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77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를 가로질러 약물의 확산에 의존하는 경피 전달 기술에서 핵산필름을 적용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약물의 피부 침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에 핵산을 파우더 형태로 투입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혼합단계와, 혼합단계를 거친 상기 혼합액을 교반하는 교반단계와, 완성되는 핵산필름의 형태에 대응하는 성형몰드에 혼합액을 도포하는 혼합액도포단계 및 성형몰드에 도포된 혼합액이 핵산필름으로 변화되도록 성형몰드에 도포된 혼합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MANUFACTURING METHOD OF DEOXYRIBONUCLEIC ACID FILM AND APPARATUS FOR INJECTING MEDICINE USING THE DEOXYRIBONUCLEIC ACID FILM}
본 발명은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를 가로질러 약물의 확산에 의존하는 경피 전달 기술에서 핵산필름을 적용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약물의 피부 침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약물은 경구로 투여된다. 그러나, 일부 약물, 특히, 단백질 및 펩티드 약물은, 위장관 내에서의 격심한 분해, 장 세포막에서의 빈약한 흡수 및/또는 간에 의한 초회통과의 중단 때문에 이 방법으로는 효과적으로 흡착될 수 없다.
다른 약물 투여 기술은, 표준 시린지 또는 카테터를 사용하는 비경구 주입이다. 주사바늘 주입은 많은 환자들에서 주사바늘 공포증, 실질적인 통증, 피부에 국소적인 손상을 일으킨다. 진단 목적을 위한 혈액과 같은 체액의 회수는 유사한 불안함을 일으킨다. 또한, 주사바늘 주입은 약물의 지속적인 전달, 또는 지속적인 진단을 위해 이상적이지 않다.
또 다른 약물 전달 기술은, 보통 피부를 가로질러 약물의 확산에 의존하는 경피 전달이다. 이 방법은 많은 약물의 부족한 피부 투과성 때문에 널리 적용되지 않는다. 피부의 가장 바깥층, 각질층은 경피 약물 침투에 대한 주 장벽을 나타낸다. 일단 약물이 진피 깊이(상피층 아래)에 도달하면, 약물은 혈액 순환을 통해 깊은 조직층 및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신속하게 확산한다.
피부를 통한 단백질 약물 전달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시도에서, 화학적 인핸서, 이온삼투요법(iontophoresis), 전기 천공법(electroporation), 초음파, 및 열 소자가 약물 전달을 보충하는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은 일부 약물의 형태에 적합하지 않으며 종종 치료적 수준의 전달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들 기술은 때때로 원치 않는 피부 반응을 야기하며, 수시간 또는 수일의 기간에 걸쳐 약물을 전달함에 있어서, 약물 전달의 제어에 비실용적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50580호(발명의 명칭 : 약물 입자 및/또는 약물 흡착된 입자를 함유하는 고용체퍼포레이터, 2008. 06. 0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부를 가로질러 약물의 확산에 의존하는 경피 전달 기술에서 핵산필름을 적용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약물의 피부 침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에 핵산을 파우더 형태로 투입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를 거친 혼합액을 교반하는 교반단계; 완성되는 핵산필름의 형태에 대응하는 성형몰드에 상기 혼합액을 도포하는 혼합액도포단계; 및 상기 성형몰드에 도포된 상기 혼합액이 상기 핵산필름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성형몰드에 도포된 상기 혼합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단계를 거쳐 최종 완성되는 상기 핵산필름에는, 인체의 피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마이크로바늘 또는 약물전달부;가 포함되고, 본 발명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마이크로바늘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상기 마이크로바늘을 감싸거나, 상기 약물전달부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상기 약물전달부를 감싸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사증착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성형몰드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도록 함몰 형성되는 바늘홈 또는 전달홈;이 포함되고, 본 발명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혼합액도포단계에 앞서, 상기 바늘홈의 끝단부를 제외하고 적어도 상기 바늘홈의 입구부에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상기 전달홈의 끝단부를 제외하고 적어도 상기 전달홈의 입구부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사증착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액도포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핵산필름의 일측에는 인체의 피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마이크로바늘 또는 약물전달부가 포함되고, 본 발명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마이크로바늘 또느 상기 약물전달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구되도록 상기 핵산필름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사증착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경사증착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코팅층을 감싸도록 상기 핵산필름에 마감액을 도포하는 마감도포단계; 및 상기 성형몰드에 도포된 상기 마감액이 마감층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핵산필름에 도포된 상기 마감액을 건조시키는 마감건조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건조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성형몰드로부터 상기 핵산필름을 분리시키는 필름획득단계; 상기 혼합액도포단계에 앞서, 완성되는 상기 핵산필름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성형몰드를 가공하는 몰드준비단계; 및 상기 혼합액도포단계에 앞서, 상기 성형몰드의 표면을 소수성으로 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단계에는, 상기 혼합액에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의 약물을 액상 또는 파우더 또는 캡슐 형태로 더 투입한다.
여기서, 상기 핵산은, 수산물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수산가공부산물과, 식물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농산가공부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추출된다.
여기서, 상기 핵산은 수산가공부산물 중 연어에서 추출되는 연어핵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는 인체의 피부와 접촉되도록 핵산의 혼합액으로 제조되는 핵산필름; 상기 핵산필름에 적층 고정되는 마감필름; 및 상기 핵산필름과 상기 마감필름 사이에 충진되는 약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는 인체의 피부와 접촉되도록 핵산의 혼합액으로 제조되는 핵산필름; 상기 핵산필름에 적층 고정되는 경계필름; 상기 경계필름에 적층 고정되되, 상기 경계필름을 천공하는 천공바늘이 돌출 형성되는 마감필름; 상기 핵산필름과 상기 경계필름 사이에 충진되는 약물; 및 상기 경계필름과 상기 마감필름 사이에 충진되되,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로 이루어진 분해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는 인체의 피부와 접촉되도록 약물이 함유된 상태로 제조되는 핵산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는 인체의 피부와 접촉되도록 약물이 함유된 상태로 제조되는 핵산필름; 상기 핵산필름에 적층 지지되는 경계필름; 상기 경계필름에 적층 지지되되, 상기 경계필름을 천공하는 천공바늘이 돌출 형성되는 마감필름; 및 상기 경계필름과 상기 마감필름 사이에 충진되되,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로 이루어진 분해액;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핵산필름의 일측에는, 인체의 피부를 향하도록 마이크로바늘 또는 약물전달부가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핵산필름의 타측에는, 상기 마이크로바늘 또는 상기 약물전달부에 대응하여 버퍼홈이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핵산필름의 일측에는, 상기 마이크로바늘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상기 마이크로바늘을 감싸거나, 상기 약물전달부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상기 약물전달부를 감싸는 코팅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핵산필름의 타측에는, 상기 마이크로바늘 또는 상기 약물전달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구되도록 코팅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을 감싸도록 상기 핵산필름에 적층 고정되는 마감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핵산필름과 상기 마감층 사이에는, 상기 코팅층이 삽입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약물전달부에는, 상기 약물이 배출되도록 약물주입홀이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에 따르면, 피부를 가로질러 약물의 확산에 의존하는 경피 전달 기술에서 핵산필름을 적용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약물의 피부 침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핵산필름에서 마이크로바늘, 버퍼홈, 약물주입홀이 관통 형성된 약물전달부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고, 핵산필름의 두께를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핵산필름의 형상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핵산필름에 이물질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핵산필름의 분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핵산필름에 분해액을 안정되게 공급하고, 약물의 공급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의 투입 형태에 따른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패턴에 따라 약물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주입홀에서 약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약물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핵산필름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성형몰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에 구비되는 마이크로바늘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서 핵산필름에 직접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서 성형몰드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핵산필름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서 핵산필름에 코팅층이 내장되는 공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성형몰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에 구비되는 마이크로바늘을 도시한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서 핵산필름에 직접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의 (a)는 성형몰드(5) 중 바늘홈(311)이 형성된 제1몰드(301)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b)는 성형몰드(5) 중 버퍼형성홈(312)과 바늘홈(311)이 형성된 제2몰드(302)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의 (c)는 성형몰드(5) 중 전달홈(313)과 주입돌기(314)가 형성된 제3몰드(30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의 상부는 완성된 핵산필름(10)에 코팅층(15)을 형성하는 경사증착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하부는 완성된 핵산필름(10)에 코팅층(15)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파우더 형태의 핵산(1b)을 이용하여 핵산필름(10)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핵산(1b)은 수산물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수산가공부산물과, 식물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농산가공부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추출된다.
일예로, 수산가공부산물은 연어의 정소, 연어의 껍질, 명태의 정소, 게의 등딱지, 오징어의 먹물, 이들의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농산가공부산물은 맥주효모, 쌀의 효모, 보리의 효모 등과 같은 곡물 또는 씨앗의 효모, 이들의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핵산(1b)은 수산가공부산물 중 연어에서 추출되는 연어핵산을 포함할 수 있다. 핵산(1b)이 연어핵산을 포함하면, 연어핵산에 함유된 PDRN(Poly Deoxy Ribo Nucleotide) 성분으로 인하여 특정 약물의 혼합 없이도 상처 및 흉터 치료, 피부 재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인체의 피부로부터 약물주입장치를 제거한 후 마이크로바늘에 의한 피부 상처를 빠르게 치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혼합단계(S1)와, 교반단계(S2)와, 혼합액도포단계(S3)와, 건조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단계(S1)는 혼합용기(1)에서 수용액(1a)에 핵산(1b)을 투입하여 혼합액을 형성한다.
혼합용기(1)는 바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나타냄으로써, 수용액(1a)과 핵산(1b)을 안정되게 교반시킬 수 있다. 이때, 수용액(1a)은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로 이루어지고, 핵산(1b)은 파우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100 중량부의 수용액(1a,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에 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핵산(1b)를 투입하여 혼합액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핵산(1b)의 투입량은 최종 완성되는 상기 핵산필름(10)의 두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핵산(1b)의 투입량은 0.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핵산(1b)의 투입량은 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핵산(1b)의 투입량은 0.5 중량부 내지 3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핵산(1b)의 투입량은 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사이에서 0.5 중량부 단위로 변경이 가능하다.
핵산(1b)의 투입량이 기설정된 수치 한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에 구멍이 발생하거나 필름 형상을 나타내지 못하거나,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에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을 사용함에 있어서 분해 시간을 연장시켜, 약물의 피부 침투를 지연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게 된다.
하지만, 핵산(1b)의 투입량이 기설정된 수치 한정범위 내에 해당되는 경우,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이 안정된 필름 형상을 나타내고,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 안에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을 후술하는 분해액(50)으로 간편하게 분해할 수 있고, 약물의 피부 침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혼합용기(1)는 탈이온수와, 이소프로필알콜과, 아세톤과, 탈이온수 순으로 세정한 다음, 수용액(1a)과 핵산(1b)을 혼합함으로써, 수용액(1a)과 핵산(1b)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혼합단계(S1)에서 혼합액에는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의 약물(40)을 액상 또는 파우더 또는 캡슐 형태로 더 투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약물(40)의 투입량은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사이에서 0.5 중량부 단위로 변경이 가능하다. 약물(40)의 투입량은 인체의 피부에 침투되는 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그러면, 수용액(1a)에는 핵산(1b)과 약물(40)이 모두 혼합되고,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에는 핵산(1b)과 약물(40)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반단계(S2)는 혼합단계(S1)를 거친 상기 혼합액을 교반한다. 교반단계(S2)는 혼합용기(1)의 입구를 파라필름(parafilm) 등과 같은 봉인재(4)로 밀봉하고, 교반유닛(2)에서 혼합액을 교반한다.
일예로, 교반유닛(2)은 자석교반기를 사용함에 따라 혼합용기(1)에는 탈이온수로 세정된 마그네틱(3)을 침지시킬 수 있다. 이때, 마그네틱(3)은 봉인재(4)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교반단계(S2)에서 혼합액은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면서 콘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혼합액에서 핵산(1b)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한다.
교반단계(S2)는 600rpm ~ 1000rpm 의 회전속도로 10시간 ~ 24시간을 교반한다. 일예로, 교반단계(S2)는 700rpm의 회전속도로 1시간 ~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900rpm의 회전속도로 9시간 ~ 10시간 동안 추가 교반할 수 있다.
그리고, 교반단계(S2)는 자외선과 태양광이 차단된 공간에서 나머지 시간을 방치하여 혼합액의 혼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혼합액도포단계(S3)는 교반단계(S2)를 거쳐 교반된 혼합액을 성형몰드(5)에 도포한다. 성형몰드(5)는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의 형태에 대응하여 필요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성형몰드(5)에 도포되는 혼합액의 양은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혼합액도포단계(S3)에서는 혼합액을 성형몰드(5)에 도포한 상태에서 약 1시간 정도(55분 내지 70분) 정도를 진공 처리함으로써, 성형몰드(5)에서 혼합액의 도포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혼합액의 건조를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S4)는 성형몰드(5)에 도포된 혼합액이 핵산필름(10)으로 변화되도록 성형몰드(5)에 도포된 혼합액을 건조시킨다. 건조단계(S4)는 혼합액이 도포된 성형몰드(5)를 건조유닛(7)에서 일정온도, 일정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건조단계(S4)는 섭씨 40도 ~ 섭씨 60도를 유지하는 건조유닛(7)에서 2일 내지 4일간 건조시킬 수 있다. 일예로, 건조단계(S4)는 섭씨 45도 ~ 섭씨 50도를 유지하는 건조유닛(7)에서 3일 내지 4일간 건조시킬 수 있다. 여기서, 건조단계(S4)의 온도가 임계온도보다 낮은 경우,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건조단계(S4)의 온도가 임계온도보다 높은 경우, 완성된 핵산필름(10)에 균열 등과 같은 불량의 원인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단계(S4)의 온도는 상술한 임계온도 범위 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건조됨에 따라 안정된 핵산필름(10)을 완성할 수 있다.
건조단계(S4)는 피펫팅유닛(8)을 통해 성형몰드(5)에서 건조되는 혼합액에서 버블(bubbles)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표면처리단계(S5)와, 몰드준비단계(S6)와, 필름획득단계(S7)와, 경사증착단계(S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단계(S5)는 혼합액도포단계(S3)에 앞서, 성형몰드(5)의 표면을 소수성으로 처리한다. 표면처리단계(S5)는 산소플라즈마가 발생되는 표면처리유닛(6)을 통해 성형몰드(5)의 표면을 소수성으로 처리할 수 있다. 표면처리단계(S5)는 표면처리유닛(6)을 거친 성형몰드(5)를 하루 정도 실온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표면처리단계(S5)를 거침에 따라 성형몰드(5)의 표면을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변화시키고, 혼합액이 성형몰드(5)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도록 한다.
성형몰드(5)의 표면이 소수성을 나타냄으로써, 혼합액과 성형몰드(5) 사이에 가상의 막을 형성하고, 완성되는 핵산필름(10)이 성형몰드(5)에서 안전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몰드준비단계(S6)는 혼합액도포단계(S3)에 앞서, 좀더 자세하게는, 표면처리단계(S5)에 앞서, 완성되는 핵산필름(10)의 형태에 대응하여 성형몰드(5)를 가공한다.
일예로, 몰드준비단계(S6)는 표면이 평평한 성형몰드(5)를 가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몰드준비단계(S6)는 성형몰드(5)에 바늘홈(311)을 함몰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형몰드(5)는 제1몰드(301)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몰드(301)의 표면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바늘홈(311)을 함몰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에는 마이크로바늘(11)이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몰드준비단계(S6)는 성형몰드(5)에 버퍼형성홈(312)을 함몰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형몰드(5)는 제2몰드(30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몰드(302)의 표면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약물(40)이 수용되는 버퍼형성홈(312)을 함몰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버퍼형성홈(312)에는 바늘홈(311)이 추가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에는 인체의 피부를 향해 버퍼홈(12)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한편, 버퍼홈(12)의 외주면으로 인체의 피부를 향해 마이크로바늘(11)이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몰드준비단계(S6)는 성형몰드(5)에 전달홈(313)을 함몰 형성하는 한편, 전달홈(313)에 주입돌기(314)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형몰드(5)는 제3몰드(303)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몰드(303)의 표면에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전달홈(313)을 함몰 형성하는 한편, 전달홈(313)에서 주입돌기(3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에는 약물전달부(13)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약물전달부(13)에 약물주입홀(14)이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필름획득단계(S7)는 건조단계(S4)를 거침에 따라 성형몰드(5)로부터 핵산필름(10)을 분리시킨다. 필름획득단계(S7)를 거침에 따라 기설정된 두께의 핵산필름(10)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핵산필름(10)은 10나노미터 내지 수백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일예로, 핵산필름(100)은 수백 나노미터의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증착단계(S8)는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에 코팅층(15)을 형성한다. 코팅층(15)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포함하고, 후술하는 분해액(50)에 분해되지 않으며,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코팅층(15)은 금, 은 등과 같은 물질을 주원료로 포함할 수 있다. 경사증착단계(S8)를 거침에 따라 핵산필름(10)의 형상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경사증착단계(S8)를 거침에 따라 핵산필름(10)에서 돌출 형성되는 마이크로바늘(11), 버퍼홈(12), 약물전달부(13)의 형상을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고, 핵산필름(10)의 평평한 상태 또는 핵산필름(10)이 인체에 밀착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경사증착단계(S8)는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몰드(5) 중 제1몰드(301) 또는 제2몰드(302) 또는 제3몰드(303)에 대하여 건조단계(S4) 또는 필름획득단계(S7)를 거쳐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에 실시한다.
이때, 건조단계(S4) 또는 필름획득단계(S7)를 거쳐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에는 인체의 피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마이크로바늘(11) 또는 약물전달부(13)가 포함된다.
그러면, 경사증착단계(S8)는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마이크로바늘(11)을 감싸거나, 약물전달부(13)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약물전달부(13)를 감싸는 코팅층(15)을 형성한다. 특히, 약물전달부(13)가 형성된 핵산필름(10)에서는 코팅층(15)으로 인해 후술하는 약물주입홀(14)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경사증착단계(S8)에는 제1증착보조부재(15a)로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를 감싼 상태에서 코팅층(15)이 적어도 마이크로바늘(11)을 감싸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사증착단계(S8)에는 제1증착보조부재(15a)로 약물전달부(13)의 끝단부를 감싼 상태에서 코팅층(15)이 적어도 약물전달부(13)를 감싸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증착단계(S8)에서 코팅층(15)을 형성한 다음에는 핵산필름(10)으로부터 제1증착보조부재(15a)를 분리한다.
첫째,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 또는 약물전달부(13)의 끝단부가 노출된다는 것은 제1몰드(301)를 이용하여 완성된 핵산필름(10)에 대하여 코팅층(15)이 다음과 같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코팅층(15)은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를 제외한 마이크로바늘(11)만을 감싸기도 하고,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를 제외한 마이크로바늘(11) 및 이를 포함하는 핵산필름(10)의 일측면 일부를 감싸기도 하며,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를 제외한 마이크로바늘(11) 및 이를 포함하는 핵산필름(10)의 일측면 전체를 감싸기도 한다.
둘째,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 또는 약물전달부(13)의 끝단부가 노출된다는 것은 제2몰드(302)를 이용하여 완성된 핵산필름(10)에 대하여 코팅층(15)이 다음과 같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코팅층(15)은 버퍼홈(12)의 외주면만 감싸기도 하고, 버퍼홈(12)의 외주면과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를 제외한 마이크로바늘(11)만을 감싸기도 하며, 적어도 버퍼홈(12)의 외주면 및 이를 포함하는 핵산필름(10)의 일측면 일부를 감싸기도 하고, 적어도 버퍼홈(12)의 외주면 및 이를 포함하는 핵산필름(10)의 일측면 전체를 감싸기도 한다.
셋째,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 또는 약물전달부(13)의 끝단부가 노출된다는 것은 제3몰드(303)를 이용하여 완성된 핵산필름(10)에 대하여 코팅층(15)이 다음과 같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코팅층(15)은 약물전달부(13)의 끝단부를 제외한 약물전달부(13)만을 감싸기도 하고, 약물전달부(13)의 끝단부를 제외한 약물전달부(13) 및 이를 포함하는 핵산필름(10)의 일측면 일부를 감싸기도 하며, 약물전달부(13)의 끝단부를 제외한 약물전달부(13) 및 이를 포함하는 핵산필름(10)의 일측면 전체를 감싸기도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에서 마이크로바늘(11), 버퍼홈(12), 약물주입홀(14)이 형성된 약물전달부(13)에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증착단계(S8)는 경사증착, 부분도금, 부분코팅, 스퍼터링 등 다양한 형태를 통해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 또는 약물전달부(13)의 끝단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경사증착을 통해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 또는 약물전달부(13)의 끝단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증착단계(S8)에는 코팅층(15)을 경화시키는 공정이 포함된다.
그러면,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에는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 또는 약물전달부(13)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코팅층(15)이 형성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서 성형몰드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핵산필름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7의 상부는 성형몰드(5)에 코팅층(15)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의 중간은 코팅층(15)이 형성된 성형몰드(5)에 핵산필름(10)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의 하부는 핵산필름(10)에 코팅층(15)이 고정된 상태에서 성형몰드(5)로부터 핵산필름(10)과 코팅층(15)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혼합단계(S1)와, 교반단계(S2)와, 혼합액도포단계(S3)와, 건조단계(S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표면처리단계(S5)와, 몰드준비단계(S6)와, 필름획득단계(S7)와, 경사증착단계(S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경사증착단계(S8)는 성형몰드(5)에 코팅층(15)을 형성한 다음, 핵산필름(10)에 코팅층(15)을 고정시킨다.
경사증착단계(S8)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몰드(5) 중 제1몰드(301) 또는 제2몰드(302)에 대하여 혼합액도포단계(S3)에 앞서 실시된다. 다른 표현으로, 성형몰드(5) 중 제1몰드(301) 또는 제2몰드(302) 또는 제3몰드(303)에 대하여 경사증착단계(S8)는 표면처리단계(S5)와 혼합액도포단계(S3) 사이에 실시된다.
이때, 몰드준비단계(S6)를 거침에 따라 성형몰드(5)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도록 함몰 형성되는 바늘홈(311)이 포함된다.
그러면, 경사증착단계(S8)는 혼합액도포단계(S3)에 앞서, 바늘홈(311)의 끝단부를 제외하고 적어도 바늘홈(311)의 입구부에 코팅층(15)을 형성한다.
일예로, 바늘홈(311)의 끝단부를 제외한다는 것은 제1몰드(301)에 대하여 코팅층(15)이 다음과 같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코팅층(15)은 바늘홈(311)의 입구부에만 형성되기도 하고, 바늘홈(311)의 입구부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몰드(5)의 일측면 일부에 형성되기도 하며, 바늘홈(311)의 입구부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몰드(5)의 일측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바늘홈(311)의 끝단부를 제외한다는 것은 제2몰드(302)에 대하여 코팅층(15)이 다음과 같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코팅층(15)은 버퍼형성홈(312)에도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5)은 버퍼형성홈(312)에만 형성되기도 하고, 버퍼형성홈(312)과 바늘홈(311)의 입구부에 형성되기도 하며, 적어도 버퍼형성홈(312)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몰드(5)의 일측면 일부에 형성되기도 하고, 적어도 버퍼형성홈(312)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몰드(5)의 일측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바늘홈(311)의 끝단부를 제외한다는 것은 제3몰드(302)에 대하여 코팅층(15)이 다음과 같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코팅층(15)은 전달홈(313)에도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5)은 전달홈(313)에만 형성되기도 하고, 적어도 전달홈(313)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몰드(5)의 일측면 일부에 형성되기도 하고, 적어도 전달홈(313)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몰드(5)의 일측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주입돌기(314)는 코팅층(15)의 형성 과정에 간섭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경사증착단계(S8)에는 별도의 증착보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바늘홈(311)의 끝단부, 버퍼형성홈(312)의 끝단부, 전달홈(313)의 끝단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코팅층(15)이 바늘홈(311) 또는 전달홈(312)의 입구부에 형성되도록 한 다음, 별도의 증착보조부재(미도시)를 분리할 수 있다.
경사증착단계(S8)는 경사증착, 부분도금, 부분코팅, 스퍼터링 등 다양한 형태를 통해 바늘홈(311)의 끝단부, 버퍼형성홈(312)의 끝단부, 전달홈(313)의 끝단부를 제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경사증착을 통해 코팅층(15)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증착단계(S8)에는 코팅층(15)을 경화시키는 공정이 포함된다.
그리고, 혼합액도포단계(S3)를 거침에 따라 혼합액은 바늘홈(311)에 충진됨은 물론 성형몰드(5)에 도포되고, 건조단계(S4)를 거침에 따라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에는 코팅층(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필름획득단계(S7)는 성형몰드(5)로부터 일체화된 핵산필름(10)과 코팅층(15)을 동시에 분리시킨다.
그러면,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에는 바늘홈(311)에 의해 형성된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코팅층(15)이 형성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서 핵산필름에 코팅층이 내장되는 공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9의 최상부는 핵산필름(10)에 버퍼홈(12)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의 중간 상부는 버퍼홈(12)이 형성된 핵산필름(10)에 코팅층(15)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의 중간 하부는 핵산필름(10)에 코팅층(15)이 적층된 상태에서 마감층(100)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의 최하부는 핵산필름(10)에 코팅층(15)과 마감층(1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성형몰드(5)로부터 핵산필름(10)과 코팅층(15)과 마감층(10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혼합단계(S1)와, 교반단계(S2)와, 혼합액도포단계(S3)와, 건조단계(S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표면처리단계(S5)와, 몰드준비단계(S6)와, 필름획득단계(S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은 경사증착단계(S8)를 더 포함하고, 마감도포단계(S9)와, 마감건조단계(S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핵산필름(10)에 코팅층(15)을 적층하고, 여기에 마감층(100)을 적층하여 핵산필름(10)과 마감층(100) 사이에 코팅층(15)이 내장되도록 한다.
일예로, 최종 완성되는 핵산필름(10)의 일측면에는 마이크로바늘(11) 또는 약물전달부(1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경사증착단계(S8)는 마이크로바늘(11) 또는 약물전달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구되도록 핵산필름(10)의 타측면에 코팅층(15)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마감도포단계(S9)를 통해 코팅층(15)이 형성된 핵산필름(10)의 타측면에 마감액을 도포하고, 마감건조단계(S10)를 통해 핵산필름(10)에 도포된 마감액이 마감층(100)으로 바뀌도록 마감액을 건조시킬 수 있다. 그러면, 필름획득단계(S7)에서는 코팅층(15)과 마감층(100)이 일체로 형성된 핵산필름(10)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경사증착단계(S8)에 앞서, 혼합액도포단계(S3)와 건조단계(S4)를 거침에 따라 핵산필름(10)의 일측에는 인체의 피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마이크로바늘(11)이 포함되고, 핵산필름(10)의 타측에는 마이크로바늘(11)에 대응하여 버퍼홈(12)이 함몰 형성되도록 한다.
첫째, 버퍼홈(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몰드(5) 중 제2몰드(302)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둘째, 버퍼홈(12)은 도 9의 최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액도포단계(S3)를 거친 다음 또는 건조단계(S4) 과정에서 바늘홈(311) 또는 버퍼형성홈(312) 또는 전달홈(313)에 홈형성부재(10a)를 삽입하였다가, 건조단계(S4)를 거친 다음, 홈형성부재(10a)를 핵산필름(10)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홈형성부재(10a)의 사용 상태에 따라 핵산필름(10)에는 버퍼홈(12)과 마이크로바늘(11)이 형성되기도 하며, 약물주입홀(14)이 형성된 약물전달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경사증착단계(S8)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단계(S4)를 거친 다음, 버퍼홈(12)의 끝단부를 제외하고 적어도 버퍼홈(12)의 입구부에 코팅층(15)을 형성한다.
여기서, 버퍼홈(12)의 끝단부를 제외한다는 것은 버퍼홈(12)의 끝단부가 개구되도록 하는 것으로, 핵산필름(10)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코팅층(15)이 형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코팅층(15)은 버퍼홈(12)의 입구부에만 형성되기도 하고, 버퍼홈(12)의 입구부 및 이를 포함하는 핵산필름(10)의 타측면 일부에 형성되기도 하며, 버퍼홈(12)의 입구부 및 이를 포함하는 핵산필름(10)의 타측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버퍼홈(12)의 끝단부를 제외한다는 것은 약물주입홀(14)의 개구 상태를 유지하도록 적어도 약물주입홀(14)의 내벽에 코팅층(15)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경사증착단계(S8)에는 별도의 증착보조부재(미도시)로 버퍼홈(12)의 끝단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코팅층(15)이 버퍼홈(12)의 입구에 형성되도록 한 다음, 별도의 증착보조부재(미도시)를 분리할 수 있다.
경사증착단계(S8)는 경사증착, 부분도금, 부분코팅, 스퍼터링 등 다양한 형태를 통해 버퍼홈(12)의 끝단부를 제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경사증착을 통해 코팅층(15)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증착단계(S8)에는 코팅층(15)을 경화시키는 공정이 포함된다.
여기에 더하여 상기 마감도포단계(S9)는 경사증착단계(S8)를 거친 다음, 핵산필름(10)에 버퍼홈(12)을 충진함은 물론 코팅층(15)을 감싸도록 마감액을 도포한다. 여기서, 마감액은 마감층(100)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핵산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상술한 혼합액을 포함하거나, 수용성 기능성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비타민 콜라켄 등이 함유된 혼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건조단계(S10)는 성형몰드(5)에 도포된 마감액이 마감층(100)으로 변화되도록 핵산필름(10)에 도포된 마감액을 건조시킨다. 이에 따라 마감층(100)은 상술한 핵산필름으로 형성되기도 하고, 별도의 수용성 기능성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필름획득단계(S7)를 거침에 따라 최종 완성된 핵산필름(10)에는 코팅층(15)과 마감층(100)이 일체화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마감층(100)과 핵산필름(10) 사이에 코팅층(15)이 내장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같이 핵산필름(10)에 버퍼홈(12)을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한다면, 마감층(100)에도 버퍼홈(12) 또는 약물주입홀(14)이 형성된 약물전달부(13)를 구현할 수 있다.
일예로, 마감층(100)의 버퍼홈(12) 또는 약물주입홀(14)은 마감도포단계(S9)를 거친 다음 또는 마감건조단계(S10) 과정에서 마감층(100)에 다른 크기의 홈형성부재(10a)를 삽입하였다가, 마감건조단계(S10)를 거친 다음, 홈형성부재를 마감층(100)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는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핵산필름(10)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는 핵산필름(10)과, 마감필름(30)과, 약물(40)을 포함한다.
*상기 핵산필름(10)은 상술한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인체의 피부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핵산필름(10)에는 성형몰드(5)에 형성되는 바늘홈(311)에 의해 마이크로바늘(1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바늘(11)은 인체의 피부를 향하도록 핵산필름(10)의 표면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바늘(11)은 핵산필름(10)의 표면으로부터 단면적이 점차로 작아지도록 하여 상광하협의 콘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마이크로바늘(11)에서 핵산필름(10)의 표면 측의 최대 직경(마이크로바늘(11)의 단면적이 내접하는 가상의 원에 대한 직경)은 200 마이크로미터 내지 400 마이크로미터를 나타내고,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 직경은 20 마이크로미터 내지 30 마이크로미터를 나타내며, 마이크로바늘(11)의 돌출 길이는 200마이크로미터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를 나타낼 수 있다. 마이크로바늘(11)의 한정 수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마이크로바늘(11)의 형상이 무너지거나 핵산필름(10)에서 구부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마이크로바늘(11)의 크기를 수치 한정함으로써, 핵산필름(10)에서 돌출 형상을 안정화시키고, 약물(40)의 피부 침투를 편리하게 하며, 마이크로바늘(11)이 구부러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성형몰드(5)에서 핵산필름(10)을 분리할 때, 마이크로바늘(11)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핵산필름(10)에는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코팅층(15)이 형성된다. 여기서, 핵산필름(10)에 형성되는 코팅층(15)은 상술한 핵산필름의 제조방법 상에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핵산필름(11)에는 코팅층(15)과 더불어 마감층(10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핵산필름(10)에 형성되는 코팅층(15)과 마감층(100)은 상술한 핵산필름의 제조방법 상에서 구현할 수 있다.
코팅층(15)이 형성됨에 따라 마이크로바늘(11)의 강도를 보강하고, 마이크로바늘(11)이 구부러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감필름(30)은 핵산필름(10)에 적층 지지된다. 여기서, 마감필름(30)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통해 상기 약물(40)이 변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약물(40)은 핵산필름(10)과 마감필름(30) 사이에 충진된다. 약물(40)은 핵산필름(10)을 분해하지 않는다. 약물(40)은 호르몬조절, 마취, 피부노화방지, 주름제거, 문신제거, 문신형성, 피부흡착 등을 포함한 치료용 또는 건강보조용 약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약물(40)은 피부노화방지 또는 주름제거를 위한 히알루론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핵산필름(10)을 인체의 피부에 부착하면, 핵산필름(10)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 또는 인체의 피부에 잔류하는 수분 또는 핵산필름(10)과 인체의 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도포되는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에 의해 핵산필름(10)이 분해되면서 약물(40)이 인체의 피부에 침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는 경계필름(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필름(20)은 핵산필름(10)과 마감필름(30) 사이에 적층 지지된다. 그러면, 핵산필름(10)과 경계필름(20) 사이에는 상기 약물(40)이 충진된다. 또한, 경계필름(20)과 상기 마감필름(30) 사이에는 분해액(50)이 충진된다. 분해액(50)은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마감필름(30)에는 경계필름(20)을 천공하는 천공바늘(31)이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핵산필름(10)에 별도의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를 도포하지 않고서도, 약물주입장치를 인체의 피부에 부착하여 가압하면, 천공바늘(31)이 경계필름(20)을 천공함에 따라 분해액(50)이 약물(40) 쪽으로 이동되고, 분해액(50)에 의해 핵산필름(10)이 분해되면서 약물(40)이 인체의 피부에 침투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는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핵산필름(10)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는 핵산필름(10)과, 경계필름(20)과, 마감필름(30)과, 약물(40)과, 분해액(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핵산필름(10)은 상술한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인체의 피부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핵산필름(10)에는 성형몰드(5)에 형성되는 버퍼형성홈(312)에 의해 버퍼홈(1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버퍼홈(12)은 약물(40)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바늘홈(311)에 의해 버퍼홈(12)에는 마이크로바늘(1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버퍼홈(12)은 인체의 피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고, 마이크로바늘(11)은 인체의 피부를 향하도록 버퍼홈(12)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계필름(20)은 핵산필름(10)에 적층 지지된다. 여기서, 경계필름(20)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통해 약물(40)과 분해액(50)을 분리시키고, 마감필름(30)에 돌출 형성되는 천공바늘(31)에 의해 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핵산필름(10)에는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코팅층(15)이 형성된다. 여기서, 핵산필름(10)에 형성되는 코팅층(15)은 상술한 핵산필름의 제조방법 상에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핵산필름(11)에는 코팅층(15)과 더불어 마감층(10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핵산필름(10)에 형성되는 코팅층(15)과 마감층(100)은 상술한 핵산필름의 제조방법 상에서 구현할 수 있다.
코팅층(15)이 형성됨에 따라 마이크로바늘(11)의 강도를 보강하고, 마이크로바늘(11)이 구부러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감필름(30)은 경계필름(20)에 적층 지지된다. 여기서, 마감필름(30)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통해 약물(40)이 변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마감필름(30)에는 경계필름(20)을 천공하는 천공바늘(31)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약물(40)은 핵산필름(10)과 경계필름(20) 사이에 충진된다. 약물(40)은 상기 핵산필름(10)을 분해하지 않는다. 약물(40)은 호르몬조절, 마취, 피부노화방지, 주름제거, 문신제거, 문신형성, 피부흡착 등을 포함한 치료용 또는 건강보조용 약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약물(40)은 피부노화방지 또는 주름제거를 위한 히알루론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해액(50)은 경계필름(20)과 마감필름(30) 사이에 충진된다. 분해액(50)은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핵산필름(10)에 별도의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를 도포하지 않고서도, 약물주입장치를 인체의 피부에 부착하여 가압하면, 천공바늘(31)이 경계필름(20)을 천공함에 따라 분해액(50)이 약물(40) 쪽으로 이동되고, 분해액(50)에 의해 핵산필름(10)이 분해되면서 약물(40)이 인체의 피부에 침투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 및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는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핵산필름(10)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는 핵산필름(10)과, 경계필름(20)과, 마감필름(30)과, 약물(40)과, 분해액(50)을 포함한다.
상기 핵산필름(10)은 상술한 핵산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인체의 피부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핵산필름(10)에는 성형몰드(5)에 형성되는 전달홈(313)에 의해 약물전달부(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입돌기(314)에 의해 약물전달부(13)에는 약물주입홀(1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약물전달부(13)는 인체의 피부를 향해 핵산필름(10)에서 연장 형성되고, 약물주입홀(14)은 약물(40)의 표면장력에 의해 약물(40)이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핵산필름(10)에는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코팅층(15)이 형성된다. 여기서, 핵산필름(10)에 형성되는 코팅층(15)은 상술한 핵산필름의 제조방법 상에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핵산필름(11)에는 코팅층(15)과 더불어 마감층(10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핵산필름(10)에 형성되는 코팅층(15)과 마감층(100)은 상술한 핵산필름의 제조방법 상에서 구현할 수 있다.
코팅층(15)이 형성됨에 따라 마이크로바늘(11)의 강도를 보강하고, 마이크로바늘(11)이 구부러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경계필름(20)은 핵산필름(10)에 적층 지지된다. 여기서, 경계필름(20)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통해 약물(40)과 분해액(50)을 분리시키고, 마감필름(30)에 돌출 형성되는 천공바늘(31)에 의해 천공될 수 있다.
상기 마감필름(30)은 경계필름(20)에 적층 지지된다. 여기서, 마감필름(30)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통해 약물(40)이 변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마감필름(30)에는 경계필름(20)을 천공하는 천공바늘(31)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약물(40)은 핵산필름(10)과 경계필름(20) 사이에 충진된다. 약물(40)은 핵산필름(10)을 분해하지 않는다. 약물(40)은 호르몬조절, 마취, 피부노화방지, 주름제거, 문신제거, 문신형성, 피부흡착 등을 포함한 치료용 또는 건강보조용 약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약물(40)은 피부노화방지 또는 주름제거를 위한 히알루론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해액(50)은 경계필름(20)과 마감필름(30) 사이에 충진된다. 분해액(50)은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핵산필름(10)에 별도의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를 도포하지 않고서도 약물주입장치를 인체의 피부에 부착하여 가압하면, 천공바늘(31)이 경계필름(20)을 천공함에 따라 분해액(50)이 약물(40) 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분해액(50)에 의해 핵산필름(10)이 분해되면서 약물(40)이 인체의 피부에 침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는 보호필름(60)을 더 포함하며, 분리층(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60)은 약물주입홀(14)이 개폐되도록 핵산필름(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분리층(70)은 핵산필름(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보호필름(60)에 고정된다. 분리층(70)은 약물(40)과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면, 보호필름(60) 또는 분리층(70)은 약물주입장치의 운반 또는 보관 상에서 약물주입홀(14)로 약물(40)이 누설되는 것을 추가로 차단하고, 약물주입홀(14)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는 상술한 제조방법 중 수용액(1b)에 핵산(1b)과 상기 약물(40)을 모두 혼합하여 제조된 핵산필름(10)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는 핵산필름(10)으로 이루어진다. 핵산필름(10)은 상술한 제조방법 중 수용액(1b)에 핵산(1b)과 약물(40)을 모두 혼합하여 제조된 핵산필름(10)으로 이루어진다. 핵산필름(10)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바늘(1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핵산필름(10)에는 마이크로바늘(11)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코팅층(15)이 형성된다. 여기서, 핵산필름(10)에 형성되는 코팅층(15)은 상술한 핵산필름의 제조방법 상에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핵산필름(11)에는 코팅층(15)과 더불어 마감층(10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핵산필름(10)에 형성되는 코팅층(15)과 마감층(100)은 상술한 핵산필름의 제조방법 상에서 구현할 수 있다.
코팅층(15)이 형성됨에 따라 마이크로바늘(11)의 강도를 보강하고, 마이크로바늘(11)이 구부러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는 경계필름(20)과, 마감필름(30)과, 분해액(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경계필름(20)과, 마감필름(30)과, 분해액(50)은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약물주입장치의 그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에 따르면, 인체의 피부를 가로질러 약물의 확산에 의존하는 경피 전달 기술에서 핵산필름(10)을 적용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약물(40)의 피부 침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핵산필름(10)에서 마이크로바늘(11), 버퍼홈(12), 약물주입홀(14)이 관통 형성된 약물전달부(13)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고, 핵산필름(10)의 두께를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핵산필름(10)에 이물질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핵산필름(10)의 분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핵산필름(10)에 분해액(50)을 안정되게 공급하고, 약물(40)의 공급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약물(40)의 투입 형태에 따른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패턴에 따라 약물(40)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약물주입홀(14)에서 약물(40)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약물(40)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핵산필름(10)을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S1: 혼합단계 S2: 교반단계 S3: 혼합액도포단계
S4: 건조단계 S5: 표면처리단계 S6: 몰드준비단계
S7: 필름획득단계 S8: 경사증착단계 S9: 마감도포단계
S10: 마감건조단계
1: 혼합용기 1a: 수용액 1b: 핵산
2: 교반유닛 3: 마그네틱 4: 봉인재
5: 성형몰드 301: 제1몰드 302: 제2몰드
303: 제3몰드 311: 바늘홈 312: 버퍼형성홈
313: 전달홈 314: 주입돌기 6: 표면처리유닛
7: 건조유닛 8: 피펫팅유닛 10: 핵산필름
100: 마감층 10a: 홈형성부재 11: 마이크로바늘
12: 버퍼홈 13: 약물전달부 14: 약물주입홀
15: 코팅층 15a: 제1증착보조부재 20: 경계필름
30: 마감필름 31: 천공바늘 40: 약물
50: 분해액 60: 보호필름 70: 분리층

Claims (1)

100 중량부의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에 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핵산을 파우더 형태로 투입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를 거친 혼합액을 교반하는 교반단계;
완성되는 핵산필름의 형태에 대응하는 성형몰드에 상기 혼합액을 도포하는 혼합액도포단계; 및
상기 성형몰드에 도포된 상기 혼합액이 상기 핵산필름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성형몰드에 도포된 상기 혼합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상기 핵산필름에는, 인체의 피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마이크로바늘 또는 약물전달부;가 포함되고,
상기 마이크로바늘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상기 마이크로바늘을 감싸거나, 상기 약물전달부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상기 약물전달부를 감싸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사증착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름 획득 단계에서의 상기 핵산 필름은 핵산으로만 구성되며,
상기 성형몰드에는 아래 3가지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함몰 형성되며,
1) 두께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바늘홈,
2) 약물이 수용되도록 하는 버퍼형성홈과, 상기 버퍼형성홈에서 상기 마이크로바늘에 대응하여 두께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바늘홈,
3) 두께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전달홈(여기서, 상기 전달홈의 중심에는 주입돌기가 돌출 형성됨)
상기 핵산필름에 형성된 상기 마이크로바늘은 상기 바늘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또는, 상기 핵산필름에 형성된 상기 약물전달부는 상기 전달홈 및 상기 주입돌기에 대응하여 약물주입홀이 중심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로바늘 또는 상기 약물전달부는 상기 핵산필름의 표면으로부터 단면적이 점차로 작아지도록 하여 상광하협의 콘 형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필름의 제조방법.
KR1020240027396A 2016-09-12 2024-02-26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 KR20240032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7396A KR20240032771A (ko) 2016-09-12 2024-02-26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332A KR20180030294A (ko) 2016-09-12 2016-09-12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
KR1020240027396A KR20240032771A (ko) 2016-09-12 2024-02-26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332A Division KR20180030294A (ko) 2016-04-15 2016-09-12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771A true KR20240032771A (ko) 2024-03-12

Family

ID=619012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332A KR20180030294A (ko) 2016-04-15 2016-09-12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
KR1020240027396A KR20240032771A (ko) 2016-09-12 2024-02-26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332A KR20180030294A (ko) 2016-04-15 2016-09-12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03029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580A (ko) 2005-09-06 2008-06-09 테라젝트, 인코포레이티드 약물 입자 및/또는 약물 흡착된 입자를 함유하는 고용체퍼포레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580A (ko) 2005-09-06 2008-06-09 테라젝트, 인코포레이티드 약물 입자 및/또는 약물 흡착된 입자를 함유하는 고용체퍼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294A (ko)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66277A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microprojection arrays
ES2273639T3 (es) Aparato para la administracion por via transdermica de una sustancia.
CA2499838C (en) Gas pressure actuated microneedle arrays, and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6611707B1 (en) Microneedle drug delivery device
US8062573B2 (en) Solid micro-perforators and methods of use
CN101829396B (zh) 微针阵列芯片及利用其的经皮给药贴剂及其制备方法
BG63142B1 (bg) Транскорнеална система за освобождаване на лекарствено средство
JP2005021677A (ja) 経皮投薬用パッドベース、及び注射針
KR20050019789A (ko) 약물 송달 및 다른 용도를 위한 신속 용해형마이크로-퍼포레이터
CN101553275A (zh) 用于活性物质透皮递送和取样的高纵横比微器件和方法
KR20240032771A (ko) 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
KR101713119B1 (ko) 연어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연어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
JP7191346B2 (ja) 核酸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核酸フィルムを用いた薬物注入装置
US201403788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solution into the pores of recipient human skin
US20130090633A1 (en) Osmotic patch pump
KR102372815B1 (ko)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AU7681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omogenous cavitation to enhance transdermal transport
CN105031810A (zh) 一种匀压微针结构
CN215084195U (zh) 经皮输送装置
Petchsangsai et al. Application of Hollow Microneedle for Transdermal Delivery of Bovine Serum Albumin-Fluorescein Isothiocyanate Conjugate
KR20230014325A (ko)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CN113827545A (zh) 辅助冷冻溶脂的防冻液注射制剂、导液器、试剂盒及冷冻溶脂系统
KR20010110543A (ko) 음압에 의한 약물 전달 장치
Roy Use and Improvement of Microneedles in Diabetes Treatment
JPWO2017158791A1 (ja) 人工臓器用のセルチャン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