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539A -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539A
KR20240032539A KR1020220111655A KR20220111655A KR20240032539A KR 20240032539 A KR20240032539 A KR 20240032539A KR 1020220111655 A KR1020220111655 A KR 1020220111655A KR 20220111655 A KR20220111655 A KR 20220111655A KR 20240032539 A KR20240032539 A KR 20240032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nishing material
support
exterior wall
type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디이
Priority to KR1020220111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2539A/ko
Publication of KR20240032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53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1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81Workpiece suppor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형 외벽 마감재에 타공을 형성할 시 타공 펀칭에 의해 홀 주변이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록형 외벽 마감재를 이송하는 마감재 이송부; 상기 마감재 이송부에 의해 상기 블록형 외벽 마감재가 전달되면 상승되어 상기 블록형 외벽 마감재를 지지하는 마감재 지지부; 및 상기 마감재 지지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마감재 지지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타공 펀칭하여 상기 마감재 지지부에 의해 지지 중인 상기 블록형 외벽 마감재에 펀칭홀을 형성하는 타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및 방법{Block type exterior wall finish perfor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에 타공을 형성할 시 타공 펀칭에 의해 홀 주변이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감재는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 부착시공되어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였고, 동시에 비바람 등의 자연환경으로부터 건축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였으며, 단열 및 방수 효과를 증대시켜 왔었다.
그리고, 마감재는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 간편한게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시공되도록 제작되어 왔었다.
특히, 블록형 외벽 마감재의 경우, 마감재의 비절곡 일단을 이어 붙이기 위해 타단에 절곡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구조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됨. 이는 마감재를 이어 붙이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형 외벽 마감재는, 건물의 외벽을 덮고 설치되어 내부 공간이 밀폐되어 건물로 빛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함은 물론 간접 조명 설치를 위한 슬롯의 구비가 힘들고, 내부 공간의 환기가 어려워 부식의 발생, 습도 제어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마감재를 따라 타공을 형성하여 사용되고 있다.
다만, 마감재에 타공을 수행하는 경우 마감재의 펀칭홀 주변을 따라 변형이 발생되거나 훼손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633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펀칭 타공 공정 시 블록형 외벽 마감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 함은 물론 타공 부위를 따라 지지하여 타공 공정에 의해 블록형 외벽 마감재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은, 블록형 외벽 마감재를 이송하는 마감재 이송부; 상기 마감재 이송부에 의해 상기 블록형 외벽 마감재가 전달되면 상승되어 상기 블록형 외벽 마감재를 지지하는 마감재 지지부; 및 상기 마감재 지지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마감재 지지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타공 펀칭하여 상기 마감재 지지부에 의해 지지 중인 상기 블록형 외벽 마감재에 펀칭홀을 형성하는 타공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형 외벽 마감재는,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블록;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블록의 일측에 일체로서 형성되는 제2 블록; 및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 블록의 일측에 일체로서 형성되는 제3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감재 지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어 상기 제1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 유닛;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 유닛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어 상기 제2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 유닛; 및 ")" 형태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함에 따라 상단이 상기 제3 블록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상승한 뒤 상기 제3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감재 지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어 상기 제1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 유닛;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 유닛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어 상기 제2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 유닛; 및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2 지지 유닛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어 상기 제3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은,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어 상기 제1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승강 지지대; 상기 제1 승강 지지대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제1 승강 지지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1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제1 승강 지지대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타공부에 의해 타공 펀칭되는 상기 제1 블록으로부터 분리되는 절단물을 전달받아 저장해 두는 제1 모음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승강 지지대는, 상기 제1 블록의 전후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직립 배치되며, 상기 제1 승강 실린더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지지대 바디; 상기 제1 블록을 타공 펀칭한 뒤 하강하는 상기 타공부의 펀치가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블록의 타공 펀칭 과정에서 분리되는 절단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대 바디의 상부를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펀치 안착홈; 상기 제1 펀치 안착홈으로 낙하되는 절단물이 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펀치 안착홈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대 바디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하강 유도 통로; 및 상기 제1 하강 유도 통로를 따라 하강된 절단물이 상기 제1 모음통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대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절단물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승강 지지대는, 상기 제1 지지대 바디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승강 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대 바디가 상승 이동되어 상기 제1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면 상기 제1 지지대 바디의 타측으로부터 노출되면서 상기 제1 블록의 타측 수직면을 타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1 측면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지지 유닛은,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어 상기 제3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3 승강 지지대; 상기 제3 승강 지지대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제3 승강 지지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3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제3 승강 지지대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타공부에 의해 타공 펀칭되는 상기 제3 블록으로부터 분리되는 절단물을 전달받아 저장해 두는 제3 모음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승강 지지대는, 상기 제3 블록의 전후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직립 배치되며, 상기 제3 승강 실린더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지지대 바디; 상기 제3 블록을 타공 펀칭한 뒤 하강하는 상기 타공부의 펀치가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제3 블록의 타공 펀칭 과정에서 분리되는 절단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대 바디의 상부를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펀치 안착홈; 상기 제3 펀치 안착홈으로 낙하되는 절단물이 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펀치 안착홈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3 지지대 바디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하강 유도 통로; 및 상기 제3 하강 유도 통로를 따라 하강된 절단물이 상기 제3 모음통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대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3 절단물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승강 지지대는, 상기 제3 지지대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3 승강 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3 지지대 바디가 상승 이동되어 상기 제3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면 상기 제3 지지대 바디의 일측으로부터 노출되면서 상기 제3 블록의 일측 수직면을 일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3 측면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공부는, 한 번의 타공 펀칭 공정을 통해 상기 제1 블록, 상기 제2 블록과 상기 제3 블록의 각 상단 수평면을 따라 펀칭홀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공부는, 다수 번의 타공 펀칭 공정을 통해 상기 제1 블록, 상기 제2 블록과 상기 제3 블록의 각 상단 수평면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순차적으로 펀칭홀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방법은, 마감재 이송부에서 블록형 외벽 마감재를 이송하는 이송 단계; 마감재 지지부에서 상기 마감재 이송부에 의해 전달된 상기 블록형 외벽 마감재를 전달받아 지지하는 마감재 지지 단계; 및 상기 마감재 지지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마감재 지지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설치되는 타공부에서 상기 마감재 지지부에 의해 지지 중인 상기 블록형 외벽 마감재에 타공 펀칭하여 펀칭홀을 형성하는 타공 펀칭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펀칭 타공 공정 시 블록형 외벽 마감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 함은 물론 타공 부위를 따라 지지하여 타공 공정에 의해 블록형 외벽 마감재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성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성형 시스템에 의한 가공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원재료 공급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타공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마감재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마감재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지지부에 의한 블록형 외벽 마감재 지지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제1 승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제3 승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도 6의 마감재 지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성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성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성형 시스템(1)은, 원재료 공급 장치(10), 포밍 장치(20) 및 타공 장치(30)를 포함한다.
원재료 공급 장치(10)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의 원재료인 판재(P)가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R)이 설치되며, 권취롤(R)을 회전시켜 판재(P)를 포밍 장치(20)로 공급한다.
포밍 장치(20)는, 원재료 공급 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판재(P)를 절곡 성형하여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를 제조한 뒤 타공 장치(30)로 전달한다.
타공 장치(30)는, 포밍 장치(20)로부터 전달되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에 펀칭 타공을 수행하여 펀칭홀(H)을 형성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성형 시스템(1)은,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의 제조 공정인 절단, 포밍 및 타공의 3 가지 공정을 하나의 성형 라인으로 통합 구축함으로써,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의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공정 설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는, 제1 블록(410), 제2 블록(420) 및 제3 블록(430)을 포함한다.
제1 블록(410)은,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2 블록(420)은,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1 블록(410)의 일측에 일체로서 형성된다.
제3 블록(430)은,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2 블록(420)의 일측에 일체로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블록(430)은, 다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의 제1 블록(410)의 하단 타측 수평면이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블록(410) 또는 제2 블록(420)에는 형성되지 아니하는 슬롯 절곡부(431)에 의한 슬롯홈(4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는, 제1 블록(410), 제2 블록(420) 및 제3 블록(430)의 각 상단 수평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의 펀칭홀(H-1 내지 N-N)이 형성되어 건물의 외벽을 덮고 설치됨으로써, 건물로 빛이 투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간접 조명 설치를 위한 슬롯을 구비하며, 내부 공간의 환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부식의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습도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원재료 공급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원재료 공급 장치(10)는, 권출부(11) 및 절취선 성형부(12)를 포함한다.
권출부(11)는, 권취롤(R)이 설치되며, 권취롤(R)을 회전시켜 판재(P)를 포밍 장치(20)로 공급한다.
절취선 성형부(12)는, 권출부(11)과 포밍 장치(20) 사이에 설치되며, 권출부(11)로부터 공급되는 판재(P)에 좌우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취선(L)(도 2 참조)을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의 전후 길이에 대응하여 반복적으로 성형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절취선(L)는, 후술하는 절단부(32)에 의한 절단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단을 위한 예비 단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 형태로 반복 타공을 통해 형성하거나, 기 설정된 깊이(예를 들어, 1mm 내지 10mm 등) 만큼 절단선을 형성하는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타공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타공 장치(30)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31) 및 절단부(32)를 포함한다.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31)은, 포밍 장치(20)로부터 전달되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에 펀칭 타공을 수행하여 펀칭홀(H)을 형성시켜 준다.
절단부(32)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31)과 일체로서 설치되거나 별도로 설치되며,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31)에 의한 펀칭홀 형성이 완료되면 절취선 성형부(12)에 의해 형성되는 절취선(L)을 따라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를 절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절단부(32)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31)에 의한 펀칭홀 성형이 다수 번의 타공 펀칭 공정의 순차적 수행에 의할 경우 마지막 타공 공정과 함께 절취선(L)을 따라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를 절단하고,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31)에 의한 펀칭홀 성형이 한 번의 타공 펀칭 공정에 의할 경우 타공 공정과 함께 절취선(L)을 따라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를 절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절단부(32)는, 회전하는 컷팅날(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절취선(L)을 따라 절단을 수행하거나, 또는 초음파 미세 진동을 이용하여 절취선(L)의 절단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절단부(32)에 의한 절단 공정은, 비전 검사 등의 절취선(L)의 검출을 통한 절단 부위 판독 또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의 이동 속도와 시간 제어를 통한 판독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타공 장치(30)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의 펀칭홀 형성 및 절단이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됨으로써,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의 제조 공정의 단축을 통한 제작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31)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성형 시스템(1)의 타공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하위 시스템으로서, 마감재 이송부(100), 마감재 지지부(200) 및 타공부(300)를 포함한다.
마감재 이송부(100)는, 컨베이어 시스템 등과 같이 연속적인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의 이송이 가능하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타공부(300)에 의한 펀칭 공정에 대응하여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를 마감재 지지부(200)로 연속적으로 이송한다.
마감재 지지부(200)는, 타공부(300)와 대향하면서 타공부(30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마감재 이송부(100)에 의해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가 전달되면 상승되어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를 지지하여 타공부(300)에 의한 펀칭 공정 시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의 움직임을 방지함은 물론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타공부(300)는, 마감재 지지부(200)와 대향하면서 마감재 지지부(20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타공 펀칭하여 마감재 지지부(200)에 의해 지지 중인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에 펀칭홀(H-1 내지 N-N)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타공부(300)는, 한 번의 타공 펀칭 공정을 통해 제1 블록(410), 제2 블록(420)과 제3 블록(430)의 각 상단 수평면을 따라 펀칭홀(H-1 내지 N-N)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타공부(300)는, 다수 번의 타공 펀칭 공정을 통해 제1 블록(410), 제2 블록(420)과 제3 블록(430)의 각 상단 수평면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제1 펀칭홀(H-1)로부터 제N 펀칭홀(H-N)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31)은, 펀칭 타공 공정 시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 함은 물론 타공 부위를 따라 지지하여 타공 공정에 의해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마감재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지지부(200)는, 제1 지지 유닛(210), 제2 지지 유닛(220) 및 제3 지지 유닛(23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유닛(210)은,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어 제1 블록(410)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한다.
제2 지지 유닛(220)은,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제1 지지 유닛(210)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어 제2 블록(420)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한다.
제3 지지 유닛(230)은, ")" 형태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1 지지 유닛(210)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함에 따라 상단이 제3 블록(430)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상승한 뒤 제3 블록(430)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지지 유닛(230)은,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가이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함으로써, 제3 블록(430)의 하측 개구부에 형성되는 슬롯 절곡부(431)을 피해서 제3 블록(43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지지부(200)는, 펀칭 타공 공정 시 일정하지 아니한 절곡 구조를 형성하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 함은 물론 타공 부위를 따라 지지하여 타공 공정에 의해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마감재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지지부(200a)는, 제1 지지 유닛(240), 제2 지지 유닛(250) 및 제3 지지 유닛(26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유닛(24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B)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어 제1 블록(410)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유닛(240)은, 제1 승강 지지대(241), 제1 승강 실린더(242) 및 제1 모음통(2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승강 지지대(241)는, 제1 승강 실린더(242)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어 제1 블록(410)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며, 일측 하단에 제1 모음통(243)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승강 지지대(241)는, 제1 지지대 바디(2411), 제1 펀치 안착홈(2412), 제1 하강 유도 통로(2413) 및 제1 절단물 배출구(24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대 바디(2411)는, 제1 블록(410)의 전후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직립 배치되며, 제1 승강 실린더(24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펀치 안착홈(2412), 제1 하강 유도 통로(2413) 및 제1 절단물 배출구(2414)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1 펀치 안착홈(2412)은, 제1 블록(410)을 타공 펀칭한 뒤 하강하는 타공부(300)의 펀치(301)가 안착되는 동시에 제1 블록(410)의 타공 펀칭 과정에서 분리되는 절단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제1 지지대 바디(2411)의 상부를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하강 유도 통로(2413)는, 제1 펀치 안착홈(2412)으로 낙하되는 절단물이 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펀치 안착홈(2412)의 하단으로부터 제1 절단물 배출구(2414)까지 제1 지지대 바디(2411)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강 유도 통로(2413)는, 절단물의 하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줄어드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 절단물 배출구(2414)는, 제1 하강 유도 통로(2413)를 따라 하강된 절단물이 제1 모음통(243)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 하강 유도 통로(2413)의 하단과 대향하는 제1 지지대 바디(2411)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승강 지지대(241)는, 제1 측면 밀착부(2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 밀착부(2415)는, 제1 지지대 바디(2411)의 타측에 설치되며, 제1 승강 실린더(242)에 의해 제1 지지대 바디(2411)가 상승 이동되어 제1 블록(410)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면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 바디(2411)의 타측으로부터 노출되면서 제1 블록(410)의 타측 수직면을 타측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때, 제1 측면 밀착부(2415)는, 후술하는 제3 측면 밀착부(2615)와 동시에 구동되는 동시에 항상 일정한 길이 만큼 신장됨으로써,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타공부(300)에 의한 정밀한 타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타공부(300)에 의한 타공 공정 시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1 승강 실린더(242)는, 제1 승강 지지대(241)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제1 승강 지지대(24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제1 모음통(243)은, 제1 승강 지지대(241)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며, 타공부(300)에 의해 타공 펀칭되는 제1 블록(410)으로부터 분리되는 절단물을 제1 절단물 배출구(2414)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해 둔다.
제2 지지 유닛(25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B)의 상단 중앙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제1 지지 유닛(240)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어 제2 블록(420)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한다.
여기서, 제2 지지 유닛(250)은, 상술한 제2 블록(420)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2 블록(420)의 제1 승강 지지대(241), 제1 승강 실린더(242) 및 제1 모음통(243), 특히 제1 승강 지지대(241)의 제1 지지대 바디(2411), 제1 펀치 안착홈(2412), 제1 하강 유도 통로(2413) 및 제1 절단물 배출구(2414)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지지 유닛(26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B)의 상단 타측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제2 지지 유닛(250)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어 제3 블록(430)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지지 유닛(260)은, 제3 승강 지지대(261), 제3 승강 실린더(262) 및 제3 모음통(2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승강 지지대(261)는, 제3 승강 실린더(262)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어 제3 블록(430)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승강 지지대(261)는, 제3 지지대 바디(2611), 제3 펀치 안착홈(2612), 제3 하강 유도 통로(2613) 및 제3 절단물 배출구(26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대 바디(2611)는, 제3 블록(430)의 전후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직립 배치되며, 제3 승강 실린더(26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3 펀치 안착홈(2612), 제3 하강 유도 통로(2613) 및 제3 절단물 배출구(2614)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3 펀치 안착홈(2612)은, 제3 블록(430)을 타공 펀칭한 뒤 하강하는 타공부(300)의 펀치(301)가 안착되는 동시에 제3 블록(430)의 타공 펀칭 과정에서 분리되는 절단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제3 지지대 바디(2611)의 상부를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3 하강 유도 통로(2613)는, 제3 펀치 안착홈(2612)으로 낙하되는 절단물이 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제3 펀치 안착홈(2612)의 하단으로부터 제3 지지대 바디(2611)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하강 유도 통로(2613)는, 절단물의 하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줄어드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3 절단물 배출구(2614)는, 제3 하강 유도 통로(2613)를 따라 하강된 절단물이 제3 모음통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 하강 유도 통로(2413)의 하단과 대향하는 제3 지지대 바디(2611)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3 승강 지지대(261)는, 제3 측면 밀착부(26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면 밀착부(2615)는, 제3 지지대 바디(2611)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3 승강 실린더(262)에 의해 제3 지지대 바디(2611)가 상승 이동되어 제3 블록(430)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면 제3 지지대 바디(2611)의 일측으로부터 노출되면서 제3 블록(430)의 일측 수직면을 일측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때, 제3 측면 밀착부(2615)는, 상술한 제1 측면 밀착부(2415)와 동시에 구동되는 동시에 항상 일정한 길이 만큼 신장됨으로써,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타공부(300)에 의한 정밀한 타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타공부(300)에 의한 타공 공정 시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3 승강 실린더(262)는, 제3 승강 지지대(261)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제3 승강 지지대(26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제3 모음통(263)은, 제3 승강 지지대(261)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며, 타공부(300)에 의해 타공 펀칭되는 제3 블록(430)으로부터 분리되는 절단물을 제3 절단물 배출구(2614)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해 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지지부(200a)는, 펀칭 타공 공정 시 일정하지 아니한 절곡 구조를 형성하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 함은 물론 타공 부위를 따라 지지하여 타공 공정에 의해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2 도 6의 마감재 지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지지부(200b)는, 제1 지지 유닛(240), 제2 지지 유닛(250), 제3 지지 유닛(260) 및 절단날 지지대(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지지 유닛(240), 제2 지지 유닛(250) 및 제3 지지 유닛(260)은, 도 8의 구성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절단날 지지대(270)는, 타공부(300)의 후단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날(302)과 대향하면서 제1 지지 유닛(240), 제2 지지 유닛(250)과 제3 지지 유닛(260)의 각 후단을 따라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 지지 유닛(240), 제2 지지 유닛(250)과 제3 지지 유닛(260)과 함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후단을 따라 절취선(L)이 안착되며, 타공부(300)가 하강함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날(302)과 맞물림에 따라 절취선(L)을 따라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지지부(200b)는, 절단부(32)의 구성이 부재하거나 절단부(32)의 고장 등에 의해 절단 공정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를 위해 대비한 것으로서,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의 타공 성형과 절단 공정이 하나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성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성형 방법은,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의 원재료인 판재(P)가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R)이 설치되는 원재료 공급 장치(10)에서 권취롤(R)을 회전시켜 판재(P)를 공급한다(210).
포밍 장치(20)에서 원재료 공급 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판재(P)를 절곡 성형하여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를 제조한다(220).
타공 장치(30)에서 포밍 장치(20)로부터 전달되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에 펀칭 타공을 수행하여 펀칭홀을 형성시켜 준다(230).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방법은, 도 13의 펀칭 단계(S230)를 구체화시킨 것으로, 상술한 포밍 단계(S220)에 의해 제조된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를 포밍 장치(20)로부터 전달받아 마감재 이송부(100)를 이용하여 마감재 지지부(200)로 이송한다(S110).
마감재 지지부(200)에서 마감재 이송부(100)에 의해 전달된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를 전달받아 지지한다(S120).
마감재 지지부(200)와 대향하면서 마감재 지지부(20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설치되는 타공부(300)에서 마감재 지지부(200)에 의해 지지 중인 블록형 외벽 마감재(400)에 타공 펀칭하여 펀칭홀(H-1 내지 N-N)을 형성한다(S130).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블록형 외벽 마감재 성형 시스템
10 : 원재료 공급 장치
11: 권출부
12: 절취선 성형부
20: 포밍 장치
30: 타공 장치
31: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32: 절단부
100: 마감재 이송부
200: 마감재 지지부
300: 타공부
400: 블록형 외벽 마감재

Claims (5)

  1. 블록형 외벽 마감재를 이송하는 마감재 이송부; 및
    상기 마감재 이송부에 의해 상기 블록형 외벽 마감재가 전달되면 상승되어 상기 블록형 외벽 마감재를 지지하는 마감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지지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마감재 지지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타공 펀칭하여 상기 마감재 지지부에 의해 지지 중인 상기 블록형 외벽 마감재에 펀칭홀을 형성하는 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형 외벽 마감재는,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블록;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블록의 일측에 일체로서 형성되는 제2 블록; 및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 블록의 일측에 일체로서 형성되는 제3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지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어 상기 제1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 유닛;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 유닛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어 상기 제2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 유닛; 및
    ")" 형태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함에 따라 상단이 상기 제3 블록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상승한 뒤 상기 제3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지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어 상기 제1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 유닛;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 유닛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어 상기 제2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 유닛; 및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2 지지 유닛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어 상기 제3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은,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어 상기 제1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승강 지지대;
    상기 제1 승강 지지대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제1 승강 지지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1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제1 승강 지지대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타공부에 의해 타공 펀칭되는 상기 제1 블록으로부터 분리되는 절단물을 전달받아 저장해 두는 제1 모음통;을 포함하하고,
    상기 제1 승강 지지대는,
    상기 제1 블록의 전후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직립 배치되며, 상기 제1 승강 실린더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지지대 바디;
    상기 제1 블록을 타공 펀칭한 뒤 하강하는 상기 타공부의 펀치가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블록의 타공 펀칭 과정에서 분리되는 절단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대 바디의 상부를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펀치 안착홈;
    상기 제1 펀치 안착홈으로 낙하되는 절단물이 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펀치 안착홈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대 바디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하강 유도 통로; 및
    상기 제1 하강 유도 통로를 따라 하강된 절단물이 상기 제1 모음통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대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절단물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승강 지지대는,
    상기 제1 지지대 바디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승강 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대 바디가 상승 이동되어 상기 제1 블록의 상단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면 상기 제1 지지대 바디의 타측으로부터 노출되면서 상기 제1 블록의 타측 수직면을 타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1 측면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KR1020220111655A 2022-09-02 2022-09-02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32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655A KR20240032539A (ko) 2022-09-02 2022-09-02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655A KR20240032539A (ko) 2022-09-02 2022-09-02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539A true KR20240032539A (ko) 2024-03-12

Family

ID=90300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655A KR20240032539A (ko) 2022-09-02 2022-09-02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25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332Y1 (ko) 2004-01-03 2004-03-30 이판재 콘크리트구조의 블록형 마감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332Y1 (ko) 2004-01-03 2004-03-30 이판재 콘크리트구조의 블록형 마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0913A (en) Expanded mesh bird feeder
CN103706728B (zh) 用于扁平管翅片的堆叠装置和制造装置
US9120191B2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flattened tube fins
KR20240032539A (ko) 블록형 외벽 마감재 타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624779B (zh) 一种管材冲孔机
KR102521206B1 (ko) 블록형 외벽 마감재 성형 시스템 및 방법
CN107225617B (zh) 装饰罩穿孔装置和方法
CN213560019U (zh) 一种具有自动上料功能的液压打孔装置
KR102405056B1 (ko) Pvc 바닥타일 커팅장치
JP2006240845A (ja) 容器の段ばらし装置
US451912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unting plate fins of hairpin pipes
CN209958812U (zh) 一种建筑施工用拉墙筋植入点辅助工具
CN106141465A (zh) 切割设备及其下料平台
CN216067817U (zh) 一种纸管打孔机
CN206895700U (zh) 一种面片生产装置及泡芙生产设备
KR20100131043A (ko) 스피커 그릴 제조용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
CN211889106U (zh) 一种用于管材的自动打孔装置
CN103921342B (zh) 冲拉制孔、切割成槽制备加气混凝土砌块的装置和方法
KR101596452B1 (ko) 건축용 단열재의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공 가공장치
EP0722655A1 (en)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and for the placing into trays of culture plugs
CN214296794U (zh) 一种导向型破砂装置
CN209655920U (zh) 一种单排式烟花纸巴巴分步压入装置
US88589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rawing sheets of glass.
CN210023443U (zh) 一种自动天花板生产线
KR101071679B1 (ko) 스피커 그릴 제조용 펀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