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458A -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458A
KR20240032458A KR1020220111456A KR20220111456A KR20240032458A KR 20240032458 A KR20240032458 A KR 20240032458A KR 1020220111456 A KR1020220111456 A KR 1020220111456A KR 20220111456 A KR20220111456 A KR 20220111456A KR 20240032458 A KR20240032458 A KR 20240032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 member
corner
auxiliary
cor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용
박용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엠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엠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엠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22011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2458A/ko
Publication of KR20240032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part of which remains vi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hooking protrusions on the connecting piece in openings of the frame member, e.g. by snap-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정형적인 각도를 갖는 다각형의 창호를 형성하며,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결속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증대되도록;
단부가 서로 연결되면서 결합되며 중공되는 프레임구조체로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부재; 및 제2프레임부재와; 상기 제1프레임부재의 단부에 끼움결속되는 제1코너체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의 단부에 끼움결속되며 선단이 상기 제1코너체의 선단과 결속되어 상기 제1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를 연결조립하도록 되는 제2코너체가 구비된 코너피스부재;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코너피스부재에서, 상기 제1코너체의 선단에는 '구(救;ball)'형상의 제1관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코너체의 선단에는 상기 제1관절부가 회전운동가능하게 억지끼움되면서 결합되는 '요홈' 형상의 제2관절부가 구비되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창호 시스템{A window system}
본 발명은,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창호(예를 들면, 삼각, 오각, 육각 및 사다리꼴 형상 등)의 경우와 같이, 비정형적인 각도를 갖는 창호를 형성하는 것에 적합하게 적용되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주택이나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사무실 등에는 그 실내 간의 통로 및 환기 및 채광을 목적으로 하는 창호가 다수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는, 실내의 베란다와 주방 및 다용도실 등을 구분 사용하기 위한 유리문 등이 설치된다.
상기에서 창문이나 유리문은, 벽체에 일정높이로 된 설치공간을 형성하여 그 설치공간의 내벽에 레일을 갖는 창틀을 시공하고, 창틀의 내측에는 그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복수개의 창문프레임이 유리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구조이다.
상기에서 창문프레임은, 주로 '알루미늄재'로 압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압출된 알루미늄 형재를 절단하고,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으로 가공하여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의 각 코너를 조립하여 사각틀 형상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코너결합방식은 용접방식과 코너피스를 이용하여 끼워주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는 바, 상기 용접방식은 이중창호를 구성하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선단을 45° 각도로 절단하고 절단된 부위를 90°각도를 이루게 맞댄 후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수지용접 하는 것이다. 그러나 용접방식은 작업공정이 많고 용접 후 용접면을 다시 연마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코너피스를 서로 연결되는 프레임에 끼워주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에 코너피스를 삽입 후, 코너피스가 일체가 되도록 결속하여 조립하게 된다.
한편,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창호(예를 들면, 삼각, 오각, 육각 및 사다리꼴 형상 등)의 경우와 같이, 상기 비정형적인 각도를 갖는 창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코너피스를 제작하여 이를 각각의 프레임들에 결합하여 조립하게 된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20-0100994호(명칭: 모서리 조립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2020.08.1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 및 상기 창틀의 모서리의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프레임 각각을 서로 연결시키며, 두 개의 바, 및 상기 두 개의 바 사이에서 상기 두 개의 바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구조체를 포함하는 모서리 조립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구조체는, 복수의 판상부, 및 상기 복수의 판상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상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연결부를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복수의 판상부 중 인접한 두 개의 판상부 사이의 각도가 변경 가능하며, 상기 연결 구조체의 길이 및 상기 연결 구조체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바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 가능한, 모서리 조립구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80595호(명칭: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2014.10.23.)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창짝을 구성하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코너 조립을 돕는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에 있어서,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프레임에 억지끼워져서 위치 고정되도록 가로걸림턱이 형성되는 가로바와, 가로바의 단부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세로프레임에 억지끼워져서 위치 고정되도록 세로걸림턱이 형성되는 세로바를 포함하는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101786호(명칭: 운반과 설치가 용이한 창호용 프로파일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2016.08.1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폭 단면을 가지며, 미리 정한 각도로 모따기한 두 개의 제1 및 제2 프로파일을 연결하는 프로파일 고정구에서, 상기 제1 프로파일에 형성한 공간에 끼워지는 제1삽입 부분 및 상기 공간보다 가늘게 제1삽입 부분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성형한 제1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제1 부재; 상기 공간과 마주하는 제2 프로파일의 공간에 끼워지는 제2삽입 부분 및 이 제2삽입 부분의 끝에서 제1프로파일이 연결하는 각도만큼 꺾인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공간에 끼워져서 제1결합 부분을 감싸주는 제2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이 제2 부재가 끼워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각도(θ)로 체결하여 제1결합 부분을 눌러서 제1 부재가 제2 부재 쪽을 향하도록 고정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고정구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24475호(명칭: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2018.02.2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틀 프레임 제작시 각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고자 직교되는 부분의 각 단부 또는 그 직교되는 부분의 각 단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진 절단면에 삽입되는 한글 자음의 기억("ㄱ") 자 형태의 각 삽입부가 형성되는 모서리 연결구로서, 상기 모서리 연결구의 각 삽입부에 프레임의 내측면으로 삽입시 수축되고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삽입부의 표면 또는 이면 보다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고정편;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상기 탄성 고정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탄성 고정편이 걸려져 고정되는 각각의 걸림 고정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고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20-0100994호(2020.08.1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80595호(2014.10.2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101786호(2016.08.10.)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24475호(2018.02.28.)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코너피스가 적용된 창호 시스템들은,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결속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창호(예를 들면, 삼각, 오각, 육각 및 사다리꼴 형상 등)의 경우와 같이, 비정형적인 각도를 갖는 창호를 형성하도록 된 것으로, 특히,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결속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증대되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창호 시스템은, 단부가 서로 연결되면서 결합되며 중공되는 프레임구조체로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부재; 및 제2프레임부재와; 상기 제1프레임부재의 단부에 끼움결속되는 제1코너체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의 단부에 끼움결속되며 선단이 상기 제1코너체의 선단과 결속되어 상기 제1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를 연결조립하도록 되는 제2코너체가 구비된 코너피스부재;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코너피스부재에서, 상기 제1코너체의 선단에는 '구(救;ball)'형상의 제1관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코너체의 선단에는 상기 제1관절부가 회전운동가능하게 억지끼움되면서 결합되는 '요홈' 형상의 제2관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 시스템은, 제1프레임부재와 제2프레임부재의 경사각도에 맞춤되게 '고관절구조'로 결속되는 제1코너체와 제2코너체의 회전운동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서 코너피스부재를 형성하여 조립하도록 됨에 따라,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창호(예를 들면, 삼각, 오각, 육각 및 사다리꼴 형상 등)의 경우와 같이 비정형적인 각도를 갖는 창호를 형성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결속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창호 시스템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창호 시스템을 구성하는 코너피스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창호 시스템에 따른 비정형적인 각도를 갖는 창호틀의 예시들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창호 시스템을 구성하는 보조프레임부재와 보조고정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창호 시스템을 구성하는 보조프레임부재가 다양한 경사각도를 가지도록 조립된 예시들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창호 시스템을 구성하는 보조고정부재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창호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창호 시스템(1)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창호 시스템(1)은, 단부가 서로 연결되면서 결합되며 중공되는 프레임구조체로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부재(21); 및 제2프레임부재(22)와; 상기 제1프레임부재(21)의 단부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22)의 단부에 끼움결속되어 상기 제1프레임부재(21)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22)를 연결조립하도록 된 코너피스부재(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프레임부재(21)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22)가 연결되는 각각의 단부에 상기 코너피스부재(3)가 배치되면서 상기 제1프레임부재(21)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22)를 결합하여 창호틀(100)을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창호틀(100)의 내측에 유리창(200)을 끼움하여 결속시켜 창호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1프레임부재(21)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22)의 내측면에는, 상기 유리창(200)이 끼움고정되는 고정홈(23)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유리창(200)의 테두리부가 상기 고정홈(23)에 끼움고정되면서 결합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제1프레임부재(21)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22)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창호 시스템(1)에서, 상기 코너피스부재(3)는, 상기 제1프레임부재(21)의 단부에 끼움결속되는 제1코너체(31)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22)의 단부에 끼움결속되며 선단이 상기 제1코너체(31)의 선단과 결속되어 상기 제1프레임부재(21)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22)를 연결조립하도록 되는 제2코너체(3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프레임부재(21)에 상기 제1코너체(31)가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부재(22)에 상기 제2코너체(32)가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제1코너체(31)와 상기 제2코너체(32)의 선단들이 서로 결속조립되어 창호틀(10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부재(21)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22)에 대한 상기 제1코너체(31)와 상기 제2코너체(32)의 조립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제1코너체(31)와 상기 제2코너체(32)의 결속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상기 코너피스부재(3)가 상기 제1코너체(31)와 상기 제2코너체(32)들로 구성됨에 따라, 제조가 간편한 성형공정을 통해 구현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됨에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창호 시스템(1)에서, 상기 제1코너체(31)의 선단에는 '구(救;ball)'형상의 제1관절부(31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코너체(31)의 선단에는 상기 제1관절부(311)가 회전운동가능하게 억지끼움되면서 결합되는 '요홈' 형상의 제2관절부(321)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관절부(311)와 상기 제2관절부(321)가 '고관절구조'를 형성하면서 결속조립되면서 상기 코너피스부재(3)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프레임부재(21)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22)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코너체(31)와 상기 제2코너체(32)의 회전운동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서 상기 제1프레임부재(21)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22)가 연결되는 경사각도에 맞춤되게 조립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창호(예를 들면, 삼각, 오각, 육각 및 사다리꼴 형상 등)의 경우와 같이 비정형적인 각도를 갖는 창호들을 형성할 때,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창호 시스템(1)은, 상기 제1프레임부재(21)들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22)들의 내측면에 양단부가 각각 결속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유리창(200)들의 각각의 단부가 끼움되는 보조프레임부재(41)와; 상기 보조프레임부재(41)의 각각의 양단부를 상기 제1프레임부재(21)들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22)들의 내측면에 각각 결속고정하도록 된 보조고정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창호틀(100)의 내측에서 양단부가 각각의 상기 제1프레임부재(21)들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22)들의 내측면에 상기 보조고정부재(42)를 통해 상기 보조프레임부재(41)의 양단부가 각각 결속고정되면서 상기 창호틀(100)의 내부를 다수 개로 분할시키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로 분할된 분할공간에 대하여 다수의 유리창(200)을 각각 끼움하여 고정하면, 다수의 유리창(200)들이 분할된 상태로 단일의 창호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창호를 구현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조프레임부재(41)는,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구조체'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으로 상기 유리창(200)이 끼움고정되는 보조고정홈(411)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창호 시스템(1)에서, 상기 보조고정부재(42)는, 상기 제1프레임부재(21)들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22)들의 내측면에 별도의 고정요소(나사 등)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2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21)의 양측단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보조프레임부재(41)의 단부에 수용되면서 끼움결속되는 결속편(4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플레이트(421)가 상기 제1프레임부재(21)들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22)들의 내측면에 상기 고정요소를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프레임부재(41)의 단부가 상기 결속편(422)에 끼움되면서 결속되어 상기 창호틀(100)의 내측부에 상기 보조프레임부재(41)가 고정조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창호 시스템(1)에서, 상기 결속편(422)의 외주면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보조프레임부재(41)의 단부가 상기 결속편(422)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부재(21)들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22)들의 내측에서 상기 보조프레임부재(41)가 경사각도(예를 들면, 15°, 30°, 45°, 60°)를 형성하면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창호를 구현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조고정부재(42)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21)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421)의 양측부에 한 쌍의 상기 결속편(422)들이 일체로 각각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창호 시스템(1)에서, 상기 보조고정부재(42)는, 상기 제1프레임부재(21)들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22)들의 내측면에 별도의 고정요소(나사 등)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보조프레임부재(41)의 단부에 수용되고 선단에 '원호' 형상의 요홈이 구비된 제1보조관절부(4231)가 형성된 제1보조고정체(423)와; 상기 보조프레임부재(41)의 단부에 끼움결속되며 선단에 상기 제1보조관절부(4231)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억지끼움되면서 결합되는 '원호' 형상의 돌부가 구비된 제2보조관절부(4241)가 구비된 제2보조고정체(4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보조고정체(423)가 상기 제1프레임부재(21)들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22)들의 내측면에 상기 고정요소를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프레임부재(41)의 단부에 구비된 상기 제2보조고정체(424)가 상기 제1보조고정체(423)와 '관절구조'를 형성하면서 결속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보조고정체(423)와 상기 제2보조고정체(424)의 회전운동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서 선택된 경사각도를 형성하면서 상기 보조프레임부재(41)를 조립하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창호 시스템
100 : 창호틀 200 : 유리창
21 : 제1프레임부재 22 : 제2프레임부재
23 : 고정홈 3 : 코너피스부재
31 : 제1코너체 311 : 제1관절부
32 : 제2코너체 321 : 제2관절부
41 : 보조프레임부재 411 : 보조고정홈
42 : 보조고정부재 421 : 고정플레이트
422 : 결속편 423 : 제1보조고정체
4231 : 제1보조관절부 424 : 제2보조고정체
4241 : 제2보조관절부

Claims (2)

  1. 단부가 서로 연결되면서 결합되며 중공되는 프레임구조체로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부재; 및 제2프레임부재와; 상기 제1프레임부재의 단부에 끼움결속되는 제1코너체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의 단부에 끼움결속되며 선단이 상기 제1코너체의 선단과 결속되어 상기 제1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를 연결조립하도록 되는 제2코너체가 구비된 코너피스부재;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코너피스부재에서,
    상기 제1코너체의 선단에는 '구(救;ball)'형상의 제1관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코너체의 선단에는 상기 제1관절부가 회전운동가능하게 억지끼움되면서 결합되는 '요홈' 형상의 제2관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부재들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들의 내측면에 양단부가 각각 결속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유리창들의 각각의 단부가 끼움되는 보조프레임부재와;
    상기 보조프레임부재의 각각의 양단부를 상기 제1프레임부재들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들의 내측면에 각각 결속고정하도록 된 보조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KR1020220111456A 2022-09-02 2022-09-02 창호 시스템 KR20240032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456A KR20240032458A (ko) 2022-09-02 2022-09-02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456A KR20240032458A (ko) 2022-09-02 2022-09-02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458A true KR20240032458A (ko) 2024-03-12

Family

ID=9029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456A KR20240032458A (ko) 2022-09-02 2022-09-02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245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786A (ko) 2015-02-17 2016-08-2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am19a5 단백질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만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KR20180024475A (ko) 2016-08-30 2018-03-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유턴 시 회전반경 축소장치 및 그 방법
KR20200100994A (ko) 2019-02-19 2020-08-27 한국기계연구원 모바일 로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786A (ko) 2015-02-17 2016-08-2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am19a5 단백질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만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KR20180024475A (ko) 2016-08-30 2018-03-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유턴 시 회전반경 축소장치 및 그 방법
KR20200100994A (ko) 2019-02-19 2020-08-27 한국기계연구원 모바일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8509B1 (en) Frame connection
KR101698593B1 (ko) 알루미늄-스틸 복합 커튼월 구조
KR102330353B1 (ko) 창호 프레임체 코너연결구
KR20070093242A (ko) 창짝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KR20240032458A (ko) 창호 시스템
KR102161499B1 (ko) 단열 창짝
US20190085619A1 (en) Adjustable Assembly Double Stabilized Screen Door
KR101365063B1 (ko) 방화문 프레임
JPS6328297Y2 (ko)
KR101331142B1 (ko) 창호 프레임
KR200417249Y1 (ko) 창짝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KR101331143B1 (ko)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2018426B1 (ko) 재단 및 조립이 용이한 입면 분할 창호
KR102547113B1 (ko) 절곡 조립식 창호 조립 구조체
KR102533170B1 (ko) 단열 커튼월
KR100518048B1 (ko) 가구의 포스트 및 그 연결구조
JP2009002096A (ja) サッシ連結構造
JP3573511B2 (ja) ドア
KR102078731B1 (ko) 스텐레스 절곡바를 이용한 원터치 조립형 창호용 단열프레임
JP7014539B2 (ja) パネル体
KR200397161Y1 (ko) 섀시 프레임의 모서리 고정구
KR20120107604A (ko) 목재창호틀
JP3658532B2 (ja) 出窓
KR200434719Y1 (ko) 복합창호
JPS5919112Y2 (ja) 合成樹脂製サツシ用部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