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799A -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ffc 커넥터 - Google Patents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ffc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31799A KR20240031799A KR1020220111026A KR20220111026A KR20240031799A KR 20240031799 A KR20240031799 A KR 20240031799A KR 1020220111026 A KR1020220111026 A KR 1020220111026A KR 20220111026 A KR20220111026 A KR 20220111026A KR 20240031799 A KR20240031799 A KR 202400317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fc
- ffc connector
- retainer
- film
- elastic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는 FFC 필름, 상기 FFC 필름이 삽입되는 FFC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FFC 필름을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FFC 커넥터에서, 상기 FFC 필름의 상기 제1면에 보강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외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FFC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원발명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FFC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FFC 커넥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분에 의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FFC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장부품들이나 기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버스바, 케이블, 와이어 하네스 등 다양한 연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 FFC(Flat Flexible Cable)는 두께가 얇고 형태 변형이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단위 부피당 용량을 늘이기 위해서 전지팩의 내부 부품들 간의 연결 또는 전지팩과 외부 부품의 연결을 위하여 두께가 얇은 FFC가 많이 활용된다.
전지팩을 포함하는 전장부품들의 조립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해서, 상기 전장부품들의 상면에 장착부 입구를 마련하고 여기에 필름 형태의 FFC를 삽입한다. FFC가 수직인 형태로 상기 전장부품들의 상면 장착부로 삽입되는바, 물 특히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의 응결수가 상기 장착부 내부로 유입되기 쉽다. 미세한 틈의 경우 오히려 모세관 현상으로 장착부 내부까지 깊숙하게 물이 침투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즉 FFC 커넥터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전기적 단락을 유발한다. 나아가, 유발된 단락에 의해 스파크나 화염이 발생하여 열폭주가 시작되면 화재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는바, 제품 생산의 자동화 공정을 위해서는 수분의 유입을 반드시 차단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은 평판형 케이블, 상기 평판형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평판형 케이블과 상기 삽입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평판형 케이블을 상기 삽입부에 대해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평판형 케이블이 커넥터의 삽입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커넥터에 대한 평판형 케이블의 지지를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1은 평판형 케이블에 형성된 관통구에 홀더가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평판형 케이블의 위치가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나, 커넥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평평한 배선면의 외측 둘레를 덮고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 내벽에 압접되는 실링 부재, 상기 배선면과 폭이 동일한 평판형의 보강판 2개, 상기 배선면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보강판을 완전히 덮고 상기 관통 구멍에는 상기 실링 부재가 충전된 플렉시블 배선체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2의 플렉시블 배선체는 배선면과 보강판을 감싸는 실링 부재가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 내벽에 압접되면서 실링되고, 배선면에 있는 관통 구멍에 실링 부재가 충진되어 실링 부재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FFC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는 FFC를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가 결합되는 FFC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리테이너 및 FFC에 부착되는 보강부재 사이에 생기는 틈을 제거하여 FFC 커넥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FFC, 보강부재 및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FFC 커넥터에서,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FFC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은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는 FFC 필름, 상기 FFC 필름이 삽입되는 FFC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FFC 필름을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FFC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FFC 필름의 상기 제1면에 보강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외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FFC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FFC 필름의 상기 제2면에 부착되는 커버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두께는 1.0㎜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이하이다. 또한 실링 및 리테이너의 장착을 위해서 실리콘 테이프의 외면은 매끄러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강부재의 외면 중 상기 리테이너와 밀착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리테이너에 의해서 압착되는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 중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되는 부분에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는, 쐐기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보강부재가 부착된 FFC 필름을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하는 쐐기형 리테이너, 또는 폴딩 및 언폴딩되는 영역에 의해서 상기 탄성부재와 보강부재가 부착된 FFC 필름을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하는 폴딩형 리테이너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에 구비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있다.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탄성부재, 보강부재, FFC 필름, 및 커버레이의 두께의 합은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의 장착부의 폭에서 상기 리테이너의 두께를 뺀 것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FFC 필름은 상기 보강부재가 부착된 제1면이 외면이 되고 상기 제1면의 반대측인 제2면이 내면이 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상기 FFC 커넥터가 장착된 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은 상면에 상기 FFC 커넥터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FFC 커넥터 결합부에 대한 상기 FFC 커넥터의 삽입 방향은 상기 전지모듈의 상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상기 FFC 커넥터에서 상기 FFC 필름은 상기 보강부재가 부착된 제1면이 상면이 되고 상기 제1면의 반대측인 제2면이 하면이 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FFC 커넥터의 제2면에 부착되는 커버레이와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면이 접하는 접촉면은 절곡된 FFC 커넥터에 의해 가리워져서 외부 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원발명에서 FFC는 그 형태가 필름과 같이 얇은 형태이므로 FFC 또는 FFC 필름으로 혼용되어 언급된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을 다양하게 조합한 형태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FFC 커넥터는 리테이너가 삽입될 때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리테이너와 접촉되는 부분에 탄성부재를 포함하기 때문에 수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공간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또한, 탄성부재가 부가된 FFC 필름 등을 FFC 커넥터 하우징의 장착부에 먼저 삽입한 후, 리테이너를 결합함으로써 FFC 필름 등을 장착부에 삽입할 때 상기 탄성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FFC 커넥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므로, 단락 등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FFC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FFC 커넥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FFC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FFC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FFC 커넥터가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FFC 커넥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FFC 커넥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FFC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FFC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FFC 커넥터가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FFC 커넥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를 한정하거나 부가하여 구체화하는 설명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모든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단수로 표시된 것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또는"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A 또는 B를 포함하는"은 A를 포함하거나, B를 포함하거나, A 및 B를 포함하는 상기 3가지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본원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FFC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FFC 커넥터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FFC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FFC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에 따른 FFC 커넥터는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는 FFC 필름(100), FFC 필름(100)이 삽입되는 FFC 커넥터 하우징(600) 및 FFC 커넥터 하우징(600)에 삽입된 FFC 필름(100)을 고정하는 리테이너(400)를 포함한다.
FFC(Flexible Flat Cable) 필름은 형태 변형이 자유롭게 유연한 성질을 갖는 얇고 납작한 평면 형태의 케이블을 의미하며, 전장부품들이나 기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FFC 필름은 절연성의 베이스층의 적어도 일면에 복수의 도체 회로선들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체 회로선들을 커버레이와 같은 절연층이 덮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도체 회로선들을 절연 물질이 감싸서 봉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FFC 필름은 상기 두 가지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FFC 필름 자체를 전기적 연결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FFC 필름의 도체 회로선과 연결되는 단자핀을 내장하고 형태가 특정되어 있는 FFC 커넥터 하우징(600)에 FFC 필름(100)을 장착하고, FFC 커넥터 하우징(600)을 전장부품 또는 기판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얇고 납작한 평면 형태의 FFC 필름(100)은 제1면과 제2면으로 구성되는 2개의 외면을 포함하는 바, FFC 필름(100)의 일측면인 제1면에 보강부재(200)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보강부재(200)의 외면에 탄성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FFC 필름(100)을 구성하는 도체 회로선이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FFC 필름(100)에서 보강부재(200)가 부착되지 않는 반대쪽인 제2면에는 커버레이(300)가 부착될 수 있다. 커버레이(300)는 제2면의 전체에 부착되지 않는다. FFC 필름(100)의 가장 말단은 전기적 접촉을 위해서 커버레이(300)가 부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FFC 필름의 제1면에 보강부재 및 탄성부재가 부착되고 FFC 필름의 제2면에 커버레이가 부착된 구성을 이하에서는 강성부(700)라고 지칭한다.
강성부(700)를 FFC 커넥터 하우징(600)에 고정하기 위하여 FFC 커넥터 하우징(600)에 강성부(700)를 삽입한 후, 보강부재(200)와 FFC 커넥터 하우징(600)의 장착부(610)의 내측면 사이에 리테이너(400)를 삽입할 수 있다.
조립 과정을 자동화 과정으로 구성하면, FFC 커넥터를 전장부품의 측면에 결합할 뿐만 아니라, 전장부품의 상면에 결합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즉, 조립 로봇이 전장부품들의 상면을 향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FFC 커넥터를 조립하는 과정도 자동화 과정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FFC 커넥터가 전장부품에 결합되는 경우로서, FFC 커넥터 하우징에 강성부와 리테이너가 장착되었을 때, 약간이라도 수분 침투가 가능한 틈이 있다면, FFC 커넥터로 낙하하는 응측수는 상기 틈을 통해 FFC 커넥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본원발명에 따른 FFC 커넥터는 FFC 필름(100)의 제1면에 부착된 보강부재(200) 외면에 탄성부재(500)를 구비하고, FFC 커넥터 하우징(600)에 리테이너(400)가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부재(500)를 압착한다. 탄성부재(500)가 부가됨으로써 FFC 커넥터 하우징(600)의 장착부(610)와 탄성부재(500) 사이에서 수분 유입이 가능한 틈을 제거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도 4를 참조하면, 리테이너(400)가 FFC 커넥터 하우징(600)에 결합되기 이전에, 탄성부재(500), 보강부재(200), FFC 필름(100), 및 커버레이(300)가 적층된 강성부(700)의 두께의 합(D1)은 FFC 커넥터 하우징(600)의 장착부(610)의 폭(D2)에서 리테이너(400)의 두께를 뺀 것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보강부재(200)와 탄성부재(500)가 순차적으로 FFC 필름(100)의 제1면 상에 부착되고, FFC 필름(100)의 제2면에는 커버레이(300)가 부착된 상태로 FFC 커넥터 하우징(600)에 삽입되고, 리테이너(400)는 탄성부재(500)와 대면한 상태로 FFC 커넥터 하우징(600)의 장착부(610)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리테이너(400)는 탄성부재(500)를 압축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리테이너(400)와 탄성부재(500)는 완전히 밀착되기 때문에 이들의 접착면을 통한 수분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보강부재(200)의 외면 전체에 부가될 수 있으나, 수분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범위에서 탄성부재(500)의 부가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500)는 보강부재(200)의 외면 중 리테이너(400)와 밀착되는 부분에만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일정 정도 이상의 힘이 인가되면 두께가 얇아지도록 변형 가능한 소재라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어, 탄성부재(500)는 고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및 실리콘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접착층을 부가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탄성부재는 실리콘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두께는 1.0㎜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이하이다. 1.0㎜를 초과할 경우, 리테이너(400)를 결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탄성부재의 두께는 사용하는 재질의 강도 및 리테너이(400)와 보강부재(200)의 이격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얇으면서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테이너(400)가 FFC 커넥터 하우징(600)의 장착부(6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매끄럽게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실리콘 테이프를 포함하는 탄성부재는 표면이 매끄러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FFC 필름은 절곡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FFC 커넥터가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FFC 필름(100)은 보강부재(200)가 부착된 제1면(110)이 외면이 되고 제1면의 반대측인 제2면(120)이 내면이 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즉, FFC 필름(100)의 제2면(120)은 절곡된 내측을 구성하게 되는 바, 절곡된 부분이 가림막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FFC 필름(100)이 FFC 커넥터 하우징(600)에 삽입된 상태에서 FFC 필름의 제2면(120)에 부착된 커버레이(300)와 장착부(610) 내측면이 대면하는 부분에 탄성부재가 부가되지 않더라도 커버레이(300)와 장착부(610) 내측면 사이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충분히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서는 FFC 필름(100)의 1면 측은 탄성부재(500)가 부가되고 리테이너(400)가 탄성부재(500)를 가압하며 장착되기 때문에 FFC 커넥터 하우징(60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FFC 필름(100)의 제2면 측에는 탄성부재(500)의 부가 없이 FFC 필름(100)의 절곡된 부분이 가림막 기능을 함으로써 FFC 커넥터 하우징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있어서, 리테이너(400)는, 쐐기 형태로 구성되어 강성부(700)를 FFC 커넥터 하우징(600)에 고정하는 쐐기형 리테이너, 또는 폴딩 및 언폴딩되는 영역에 의해서 강성부(700)를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하는 폴딩형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리테이너를 상기 쐐기형 리테이너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FFC 커넥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리테이너(400)가 폴딩형 리테이너인 점, 및 탄성부(430)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FFC 커넥터에 대한 설명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폴딩형 리테이너(400)는 장착부(610) 내부로 깊게 삽입되는 고정부(410), 및 고정부(410) 보다 외측에 위치하면서 고정부(410)를 기준으로 폴딩 및 언폴딩 되는 폴딩부(420)를 포함한다.
폴딩형 리테이너(400)를 장착부(610)에 삽입하기 전 단계에서, 폴딩부(420)는 고정부(41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폴딩된 상태이고, 폴딩부(420)가 장착부(610)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폴딩부(420)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점점 언폴딩 상태로 변형된다. 따라서, 폴딩형 리테이너가 장착부(61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고정부(410)와 폴딩부(420)는 탄성부재(500)에 대해 평행한 평면이 된다. 이러한 형태를 제1폴딩형 리테이너라 할 수 있다.
또는 폴딩형 리테이너(400)를 장착부(610)에 완전히 삽입 또는 고정 후 폴딩부(420)는 고정부(41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폴딩된 상태를 유지한다. 강성부(700)가 장착부(610)에 완전히 삽입된 후 폴딩부(42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언폴딩 상태로 바꿀 수 있다. 이러한 형태를 제2폴딩형 리테이너라 할 수 있다. 시중에는 제2폴딩형 리테이너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리테이너(400)가 장착부(6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리테이너(400)가 탄성부재(500)와 접촉되는 부분에 탄성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리테이너(400)에 구비된 탄성부(430)는 탄성부재(500)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는 바, 탄성부(430)와 탄성부재(500)가 더욱 밀착되어 수분 유입 방지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탄성부(430)가 구비되는 경우 쐐기형 리테이너처럼 슬라이딩 이동하여 장착부에 삽입된다면, 탄성부(430)와 탄성부재(500)의 마찰력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이 쉽게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를 구비하는 리테이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폴딩형 리테이너 형태를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FFC 커넥터가 장착된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바, 상기 전지모듈은 상면에 상기 FFC 커넥터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FFC 커넥터 결합부에 대한 상기 FFC 커넥터의 삽입 방향은 상기 전지모듈의 상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FFC 커넥터 결합부의 위치를 설계하는 경우에는, 전지모듈 상면에 해당하는 2차원 평면에서 FFC 커넥터 결합부의 좌표가 확정되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FFC 커넥터를 결합할 수 있는 바,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과정에서도 쉽게 FFC 커넥터의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FFC 커넥터에서 상기 FFC 필름은 절곡될 수 있는 바, 상기 보강부재가 부착된 제1면이 상면이 되고 상기 제1면의 반대측인 제2면이 하면이 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FFC 커넥터의 제2면에 부착되는 커버레이와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면이 접하는 접촉면은 절곡된 FFC 커넥터에 의해 가리워질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원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종래에 사용하던 FFC 커넥터로서, FFC 필름의 외면 중 제1면에 보강부재만 부가되고 FFC 필름의 제1면의 반대측인 제2면에 커버레이가 결합된 상태인 강성부를 FFC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하고 리테이너로 강성부를 고정하였다.
상기 리테이너와 보강부재 사이로 물을 떨어뜨리고, 10초 경과 후 FFC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핀에 흡습지를 접촉하여, FFC 커넥터 하우징 내부로 수분 유입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원발명에 따른 FFC 커넥터로서, FFC 필름의 외면 중 제1면에 보강부재 및 실리콘 테이프를 부착하고, FFC 필름의 제1면의 반대측인 제2면에 커버레이가 결합된 상태인 강성부를 FFC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하고 리테이너로 강성부를 고정하였다.
상기 실리콘 테이프와 리테이너 사이로 물을 떨어뜨리고 10초 경과 후 FFC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핀에 흡습지를 접촉하여, FFC 커넥터 하우징 내부로 수분 유입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리콘 테이프는 두께가 0.15 ㎜인 것을 적용하였다.
도 7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 기재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면 부호가 동일하면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7의 테스트 결과를 참조하면, 실리콘 테이프가 적용되지 않은 비교예에서는 흡습지가 젖은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실리콘 테이프가 적용된 실시예에서는 흡습지가 젖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과 같이 실리콘 테이프를 부가한 FFC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FFC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원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FFC 필름
110: 제1면
120: 제2면
200: 보강부재
300: 커버레이
400: 리테이너
410: 고정부
420: 폴딩부
430: 탄성부
500: 탄성부재
600: FFC 커넥터 하우징
610: 장착부
700: 강성부
110: 제1면
120: 제2면
200: 보강부재
300: 커버레이
400: 리테이너
410: 고정부
420: 폴딩부
430: 탄성부
500: 탄성부재
600: FFC 커넥터 하우징
610: 장착부
700: 강성부
Claims (13)
-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는 FFC 필름;
상기 FFC 필름이 삽입되는 FFC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FFC 필름을 고정하는 리테이너;
를 포함하는 FFC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FFC 필름의 상기 제1면에 보강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외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FFC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FC 필름의 상기 제2면에 부착되는 커버레이를 포함하는 FFC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 테이프인 FFC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강부재의 외면 중 상기 리테이너와 밀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FFC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리테이너에 의해서 압착되는 면에 부착되는 FFC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중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되는 부분에 탄성부를 구비하는 FFC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쐐기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보강부재가 부착된 FFC 필름을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하는 쐐기형 리테이너, 또는
폴딩 및 언폴딩되는 영역에 의해서 상기 탄성부재와 보강부재가 부착된 FFC 필름을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하는 폴딩형 리테이너 중 하나인 FFC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에 구비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는 FFC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착된 상태인 FFC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탄성부재, 보강부재, FFC 필름, 및 커버레이의 두께의 합은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의 장착부의 폭에서 상기 리테이너의 두께를 뺀 것 보다 큰 FFC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FC 필름은 상기 보강부재가 부착된 제1면이 외면이 되고 상기 제1면의 반대측인 제2면이 내면이 되도록 절곡되는 FFC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FFC 커넥터가 장착된 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은 상면에 상기 FFC 커넥터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FFC 커넥터 결합부에 대한 상기 FFC 커넥터의 삽입 방향은 상기 전지모듈의 상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인 전지모듈.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FFC 커넥터에서 상기 FFC 필름은 상기 보강부재가 부착된 제1면이 상면이 되고 상기 제1면의 반대측인 제2면이 하면이 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FFC 커넥터의 제2면에 부착되는 커버레이와 상기 FFC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면이 접하는 접촉면은 절곡된 FFC 커넥터에 의해 가리워져서 외부 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는 전지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1026A KR20240031799A (ko) | 2022-09-01 | 2022-09-01 |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ffc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1026A KR20240031799A (ko) | 2022-09-01 | 2022-09-01 |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ffc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1799A true KR20240031799A (ko) | 2024-03-08 |
Family
ID=9023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1026A KR20240031799A (ko) | 2022-09-01 | 2022-09-01 |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ffc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31799A (ko) |
-
2022
- 2022-09-01 KR KR1020220111026A patent/KR20240031799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96187B2 (ja) | フレキシブル基板用防水コネクタ | |
KR101575940B1 (ko) | 배선체 및 밀봉 구조 | |
US7369415B2 (en) | Multilayer electronic circuit device | |
US7575487B2 (en) | Electric connector | |
CN108604746B (zh) | 基板连接器 | |
US6227872B1 (en) | Moisture 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for a cellular telephone | |
US9331415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103858286A (zh) | 能够外部连接的电子电路单元 | |
CN210379556U (zh) | 保护构件、带保护构件的连接器以及保护构件的安装构造 | |
JP5564844B2 (ja) | 電子装置 | |
JP2007335298A (ja) | 防水コネクタ用シール部材 | |
JP4236940B2 (ja) | 電子制御機器のケース及びこのケースを使用する電子制御機器 | |
CN101394046B (zh) | 面板安装连接器 | |
KR20240031799A (ko) |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ffc 커넥터 | |
CN113096990A (zh) | 移动终端侧键结构和终端 | |
CA1300701C (en) | Connector assembly | |
CN211146827U (zh) | 一种线控器及电器 | |
KR19990044258A (ko) | 특성상 스냅을 갖는 접점 블록 | |
JP2010092740A (ja) | 基板用電線接続構造体 | |
GB2237152A (en) | Pivoting component for flexible circuit | |
CN218446549U (zh) | 保护装置以及加固服务器 | |
JP4218852B2 (ja) | 回路ユニット | |
EP1746618A1 (en) | Elastomeric connectors and retention members for holding the same | |
CN211629407U (zh) | 插座连接器 | |
JP3124751B2 (ja) | Icカード用コネク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