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861A - 에어로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861A
KR20240030861A KR1020220120966A KR20220120966A KR20240030861A KR 20240030861 A KR20240030861 A KR 20240030861A KR 1020220120966 A KR1020220120966 A KR 1020220120966A KR 20220120966 A KR20220120966 A KR 20220120966A KR 20240030861 A KR20240030861 A KR 20240030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artridges
suction
ports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길
정시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ublication of KR20240030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Abstract

실시예는 간단한 유로 구조를 가지더라도 강하고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가 흡입되는 복수의 흡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하나의 토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흡입구들 내측에 장착되는 흡입 밸브; 상기 토출구 내측에 장착되는 토출 밸브; 상기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고, 에어로졸 발생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제1,2카트리지; 상기 제1,2카트리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제1,2카트리지와 배터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장치 {AEROSOL GENERATOR}
실시예는 간단한 유로 구조를 가지더라도 강하고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궐련 담배의 흡연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에어로졸 발생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장치들은 담뱃잎을 압축하여 커버와 함께 종이에 감싼 지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타입과, 액상형 카트리지 내에 충진된 액상을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액상 타입으로 크게 구분된다.
지권련을 사용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니코틴이 주는 타격감과 연초 고유의 맛이 좋은 반면, 유해물질 방출량이 늘어나고 무화가 충분하지 않다.
액상형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무화가 풍부한 반면, 액상 공급을 위한 유로 및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유로 구조가 복잡하고, 국가에 따라 니코틴 함유량이 1% 이하로 규제되어 니코틴이 주는 타격감이 약하며 연초 고유의 맛이 없을 뿐 아니라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유로 구조를 가지더라도 강하고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가 흡입되는 복수의 흡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하나의 토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흡입구들 내측에 장착되는 흡입 밸브; 상기 토출구 내측에 장착되는 토출 밸브; 상기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고, 에어로졸 발생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제1,2카트리지; 상기 제1,2카트리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제1,2카트리지와 배터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2카트리지가 내장되고 상하면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구들이 구비되는 하부 커버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토출구가 구비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흡입 밸브는, 상기 하부 커버 내측에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흡입 슬라이드와, 상기 흡입 슬라이드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 슬라이드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흡입구들을 개폐시키는 복수의 흡입 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부 커버는, 일측에 양측 방향으로 긴 슬릿홀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 밸브는, 상기 하부 커버의 슬릿홀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흡입 슬라이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흡입 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흡입 연통홀들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들의 개수 보다 많이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토출 밸브는, 상기 상부 커버 내측에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토출 슬라이드와, 상기 토출 슬라이드에 구비되고 상기 토출 슬라이드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1,2카트리지의 토출구들을 개폐시키는 복수의 토출 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부 커버는, 일측에 양측 방향으로 긴 슬릿홀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 밸브는, 상기 상부 커버의 슬릿홀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토출 슬라이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토출 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토출 연통홀들은, 적어도 일부가 다른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1,2카트리지의 토출구들의 개수 보다 많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 보드는, 상기 흡입구들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들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2카트리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 보드와 배터리와 케이스 및 제1,2카트리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압력 센서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1,2카트리지의 흡입구들로 안내하는 에어 패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카트리지가 케이스 내부에서 별도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고, 흡입 밸브가 카트리지 별로 공기의 흡입 유량을 제어하는 동시에 토출 밸브가 카트리지 별로 토출 유량을 제어함으로서, 간단한 유로 구조를 가지더라도 강하고 다양한 맛의 에어로졸을 강하게 또는 약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다양한 흡입 취향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외관 케이스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내부 구성 부품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가 도시된 측단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실시예에 적용된 흡입 밸브의 작동 일예를 하측과 상측과 일측면에서 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실시예에 적용된 토출 밸브의 작동 일예를 하측과 상측과 일측면에서 본 도면.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외관 케이스 및 내부 구성 부품이 각각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가 도시된 측단면 사시도이다.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 밸브(120)와, 케이스(110)에서 외부로 공기와 함께 에어로졸을 토출시키는 토출 밸브(130)와, 케이스(110) 내부에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제1,2카트리지(140,150)와, 제1,2카트리지(140,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0)와, 제1,2카트리지(140,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 구성 부품을 수용하며, 외부와 연통되는 흡입구들(113a,113b)과 토출구(115h)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상하측이 개방되고 수용 공간이 내부에 구비된 본체(111)와, 본체(111)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 커버(113)와, 본체(111)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 커버(115)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체(111)는 하측과 상측에 하부 커버(113)와 상부 커버(115)가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 설명될 하부 커버의 슬릿홀(113s)과 상부 커버의 슬릿홀(115s)과 대응되는 본체(111)의 하단과 상단 부분에 각각 슬릿홈들(111s)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커버(113)는 본체(111)의 하측을 막아주도록 조립될 수 있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1,2흡입구(113a,113b)가 양측에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커버(113)는 흡입 밸브(12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하부 커버(113)의 일측에는 양측 방향으로 긴 슬릿홀(113s)이 구비되고, 하기에서 설명될 흡입 밸브의 흡입 노브(123)가 하부 커버의 슬릿홀(113s)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부 커버(115)는 본체(111)의 상측을 막아주도록 조립될 수 있고, 공기와 함께 에어로졸이 토출되는 토출구(115h)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커버(115)는 사용자의 입에 물기 쉽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토출구(115h)가 상부 커버(115)의 상측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커버(115)는 토출 밸브(13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상부 커버(115)의 일측에는 양측 방향으로 긴 슬릿홀(115s)이 구비되고, 하기에서 설명될 토출 밸브의 토출 노브(133)가 상부 커버의 슬릿홀(115s)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흡입 밸브(120)는 하부 커버(113)에 수용되고, 하부 커버의 제1,2흡입구(113a,113b)를 개폐하여 외부 공기의 흡입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흡입 밸브(120)는 하부 커버(113)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평판 형상의 흡입 슬라이드(121)와, 흡입 슬라이드(121)의 둘레에 상향 돌출되어 상측에 위치한 제어 보드(17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복수의 흡입 가이드(121g)와, 흡입 슬라이드(1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흡입 연통홀(120a~120d)과, 흡입 슬라이드(121)의 일측에 돌출되어 하부 커버의 슬릿홀(113s)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흡입 노브(123)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한정되지 아니한다.
흡입 노브(123)를 잡고 하부 커버의 슬릿홀(113s)을 따라 이동시키면, 흡입 밸브(120)를 하부 커버(113) 내에서 양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흡입 밸브(120)는 하부 커버의 제1,2흡입구(113a,113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제1,2,3,4흡입 연통홀(120a~120d)은 흡입 슬라이드(121)의 양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고, 하부 커버의 제1,2흡입구(113a,113b) 보다 작지만 모두 같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흡입 슬라이드(121)가 정위치에 있으면, 제1,4흡입 연통홀(120a,120d)은 하부 커버의 제1,2흡입구(113a,113b)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흡입 슬라이드(121)가 정위치에서 일측으로 이동되면, 제2흡입 연통홀(120b)이 하부 커버의 제1흡입구(113a)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흡입 슬라이드(121)가 정위치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면, 제3흡입 연통홀(120c)이 하부 커버의 제2흡입구(113b)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토출 밸브(130)는 상부 커버(115)에 수용되고, 제1,2카트리지의 토출구(141,151)를 개폐하여 공기와 함께 에어로졸의 토출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토출 밸브(130)는 상부 커버(115)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평판 형상의 토출 슬라이드(131)와, 토출 슬라이드(131)에 구비된 복수의 토출 연통홀(130a~130f)과, 토출 슬라이드(131)의 일측에 돌출되어 상부 커버의 슬릿홀(115s)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토출 노브(133)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한정되지 아니한다.
토출 노브(133)를 잡고 상부 커버의 슬릿홀(115s)을 따라 이동시키면, 토출 밸브(130)를 상부 커버(115) 내에서 양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1,2카트리지의 토출구(141,15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제1,2,3,4,5,6토출 연통홀(130a~130f)은 토출 슬라이드(131)의 양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고, 제1,6토출 연통홀(130a,130f)은 제1,2카트리지의 토출구(141,151) 보다 작은 크기 즉, 50%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지만, 제2,3,4,5토출 연통홀(130b~130e)은 제1,2카트리지의 토출구(141,151)와 같은 크기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토출 슬라이드(131)가 정위치에 있으면, 제2,5토출 연통홀(130b,130e)은 제1,2카트리지의 토출구(141,151)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토출 슬라이드(131)가 정위치에서 일측으로 이동되면, 제3,6토출 연통홀(130c,130f)이 제1,2카트리지의 토출구(141,151)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토출 슬라이드(131)가 정위치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면, 제1,4토출 연통홀(130a,130d)이 제1,2카트리지의 토출구(141,151)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1,2카트리지(140,150)는 본체(111) 내부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서로 같은 맛의 에어로졸 발생기재를 수용하거나, 서로 다른 맛의 에어로졸 발생기재를 수용할 수 있다. 제1,2카트리지(140,150)는 에어로졸 발생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내장될 수 있고, 배터리(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1,2카트리지(140,150)의 하측에 각각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미도시)가 구비되는데, 흡입 밸브(120)에 의해 하부 커버의 제1,2흡입구(113a,113b)를 개폐시킴으로서, 외부 공기의 흡입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흡입 밸브(120)를 통과한 외부 공기를 제1,2카트리지(140,150)의 흡입구로 안내하기 위한 에어 패스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2카트리지(140,150)의 상측에 각각 공기와 함께 에어로졸이 토출되는 토출구(141,151)가 구비되는데, 토출 밸브(130)에 의해 제1,2카트리지의 토출구(141,151)를 개폐시킴으로서, 공기와 에어로졸의 토출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160)는 제1,2카트리지(140,150)의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 보드(170)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보드(170)는 공기의 흡입 압력을 측정하여 제1,2카트리지(140,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일종의 PBA(Printed Boaed Assembly)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보드(170)는 상측에 구비된 제1,2압력 센서(171,173)와 하측에 구비된 충전 포트(175)를 포함할 수 있으나,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1,2압력 센서(171,173)는 하부 커버의 제1,2흡입구(113a,113b)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데, 제1,2압력 센서(171,173)는 그 중심을 관통하는 홀(171h,173h)이 각각 구비되고, 제1,2압력 센서의 홀들(171h,173h)이 하부 커버의 제1,2흡입구(113a,113b)와 연통될 수 있다. 물론, 흡입 밸브(120)가 제1,2압력 센서의 홀들(171h,173h)과 하부 커버의 제1,2흡입구(113a,113b) 사이를 개폐시킬 수 있다.
충전 포트(175)는 외부 전원을 입력 받아 배터리(160)를 충전하는 일종의 커넥터로서, 하부 커버(113)에 구비된 홀(113h)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에어 패스를 구성하기 위하여, 제어 보드(170)는 흡입 밸브(120)의 상측에 결합되고, 배터리(160)는 제어 보드(170)의 상측과 제1,2카트리지(140,150)의 하측 및 본체(111)의 내측에 대해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에어 패스는 제어 보드(170)와 배터리(160) 사이의 수평 경로와, 배터리(160)와 본체(111) 사이의 수직 경로와, 배터리(160)와 제1,2카트리지(140,150) 사이의 수평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밸브(120)를 통과한 외부 공기는 간단하게 구성 부품들 사이에 형성된 에어 패스를 통하여 제1,2카트리지(140,150)의 흡입구로 안내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실시예에 적용된 흡입 밸브의 작동 일예를 하측과 상측과 일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흡입 밸브(120)를 조절함으로서, 외부 공기를 제1,2카트리지(140,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흡입시킬 수 있으며, 제1,2카트리지(140,150)에서 각각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브(123)가 정위치에 있으면, 흡입 밸브(120)는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1,4흡입 연통홀(120a,120d)은 하부 커버의 제1,2흡입구(113a,113b)와 연통되는 반면, 제2,3흡입 연통홀(120b,120c)은 막히게 된다. 따라서, 외부 공기는 하부 커버의 제1,2흡입구(113a,113b)를 통하여 비슷의 유량으로 흡입될 수 있다.
제1,2압력 센서(171,173)가 하부 커버의 제1,2흡입구(113a,113b)로 공기 유입을 감지하면, 제어 보드(170)는 제1,2카트리지(140,150)를 모두 작동시킬 수 있다. 제1,2카트리지(140,150)가 서로 다른 맛의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거나, 한 가지 맛의 에어로졸을 더욱 타격감 있게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브(123)가 정위치에서 일측으로 이동되면, 흡입 밸브(120)는 일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2흡입 연통홀(120b)은 하부 커버의 제1흡입구(113a)와 연통되는 반면, 제1,3,4흡입 연통홀(120a,120c,120d)은 막히게 된다. 따라서, 외부 공기는 하부 커버의 제1흡입구(113a)를 통하여서만 흡입될 수 있다.
제1압력 센서(173)가 하부 커버의 제1흡입구(113a)로 공기 유입을 감지하면, 제어 보드(170)는 제1카트리지(140)만 작동시킴으로서, 제1카트리지(140)가 한 가지 맛의 에어로졸을 가볍게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브(123)가 정위치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면, 흡입 밸브(120)는 타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3흡입 연통홀(120c)은 하부 커버의 제2흡입구(113b)와 연통되는 반면, 제1,2,4흡입 연통홀(120a,120b,120d)은 막히게 된다. 따라서, 외부 공기는 하부 커버의 제2흡입구(113b)를 통하여서만 흡입될 수 있다.
제2압력 센서(173)가 하부 커버의 제2흡입구(113b)로 공기 유입을 감지하면, 제어 보드(170)는 제2카트리지(150)만 작동시킴으로서, 제2카트리지(150)가 한 가지의 맛의 에어로졸을 가볍게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흡입 밸브(120)의 구성 및 동작에 따라 카트리지들(140,150) 별로 흡입 유량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흡입 유량에 따라 카트리지들(140,15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작동시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실시예에 적용된 토출 밸브의 작동 일예를 하측과 상측과 일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노브(133)가 정위치에 있으면, 토출 슬라이드(131)는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2,5토출 연통홀(130b,130e)은 제1,2카트리지의 토출구(141,151)와 연통되는 반면, 제1,3,4,6토출 연통홀(130a,130c,130d,130f)은 막히게 된다. 따라서, 제1카트리지의 토출구(141)에서 배출되는 에어로졸과 제2카트리지의 토출구(151)에서 배출되는 에어로졸을 50:50 비율로 최대 100% 유량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1,2카트리지(140,150)에서 서로 다른 맛의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경우, 서로 다른 맛을 균일한 비율로 맛볼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노브(133)가 정위치에서 일측으로 이동되면, 토출 슬라이드(131)는 일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3,6토출 연통홀(130c,130f)은 제1,2카트리지의 토출구(141,151)와 연통되는 반면, 제1,2,4,5토출 연통홀(130a,130b,130d,130e)은 막히게 된다. 따라서, 제1카트리지의 토출구(141)에서 배출되는 에어로졸과 제2카트리지의 토출구(151)에서 배출되는 에어로졸을 75:25 비율로 최대 75% 유량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1,2카트리지(140,150)에서 서로 다른 맛의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경우, 제1카트리지(140)에서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맛을 제2카트리지(150)에서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맛 보다 강하게 맛볼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노브(133)가 정위치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면, 토출 슬라이드(131)는 타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1,4토출 연통홀(130a,130d)은 제1,2카트리지의 토출구(141,151)와 연통되는 반면, 제2,3,5,6토출 연통홀(130b,130c,130e,130f)은 막히게 된다. 따라서, 제1카트리지의 토출구(141)에서 배출되는 에어로졸과 제2카트리지의 토출구(151)에서 배출되는 에어로졸을 25:75 비율로 최대 75% 유량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1,2카트리지(140,150)에서 서로 다른 맛의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경우, 제2카트리지(150)에서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맛을 제1카트리지(140)에서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맛 보다 강하게 맛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토출 밸브(130)의 구성 및 동작에 따라 카트리지들 별로 토출 유량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다양한 맛의 에어로졸을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맛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케이스 111 : 본체
113 : 하부 커버 115 : 상부 커버
120 : 흡입 밸브 130 : 토출 밸브
140 : 제1카트리지 150 : 제2카트리지
160 : 배터리 170 : 제어 보드

Claims (10)

  1. 공기가 흡입되는 복수의 흡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하나의 토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흡입구들 내측에 장착되는 흡입 밸브;
    상기 토출구 내측에 장착되는 토출 밸브;
    상기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고, 에어로졸 발생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제1,2카트리지;
    상기 제1,2카트리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제1,2카트리지와 배터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2카트리지가 내장되고 상하면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구들이 구비되는 하부 커버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토출구가 구비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밸브는,
    상기 하부 커버 내측에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흡입 슬라이드와,
    상기 흡입 슬라이드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 슬라이드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흡입구들을 개폐시키는 복수의 흡입 연통홀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일측에 양측 방향으로 긴 슬릿홀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 밸브는,
    상기 하부 커버의 슬릿홀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흡입 슬라이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흡입 노브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연통홀들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들의 개수 보다 많이 구비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는,
    상기 상부 커버 내측에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토출 슬라이드와,
    상기 토출 슬라이드에 구비되고 상기 토출 슬라이드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1,2카트리지의 토출구들을 개폐시키는 복수의 토출 연통홀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일측에 양측 방향으로 긴 슬릿홀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 밸브는,
    상기 상부 커버의 슬릿홀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토출 슬라이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토출 노브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연통홀들은,
    적어도 일부가 다른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1,2카트리지의 토출구들의 개수 보다 많이 구비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보드는,
    상기 흡입구들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들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2카트리지의 작동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보드와 배터리와 케이스 및 제1,2카트리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압력 센서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1,2카트리지의 흡입구들로 안내하는 에어 패스;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0220120966A 2022-08-30 2022-09-23 에어로졸 발생장치 KR202400308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539 2022-08-30
KR20220109539 2022-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861A true KR20240030861A (ko) 2024-03-07

Family

ID=90271898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966A KR20240030861A (ko) 2022-08-30 2022-09-23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0220120861A KR20240030860A (ko) 2022-08-30 2022-09-23 슬라이드 커버 구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0220123323A KR20240030867A (ko) 2022-08-30 2022-09-28 액상별 선택적 작동이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0220123175A KR20240030866A (ko) 2022-08-30 2022-09-28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0220123174A KR20240030865A (ko) 2022-08-30 2022-09-28 카트리지별 선택적 작동이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0220124439A KR20240030871A (ko) 2022-08-30 2022-09-29 교체형 데코 커버 구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0220131971A KR20240030894A (ko) 2022-08-30 2022-10-14 밀폐형 외기 유입로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861A KR20240030860A (ko) 2022-08-30 2022-09-23 슬라이드 커버 구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0220123323A KR20240030867A (ko) 2022-08-30 2022-09-28 액상별 선택적 작동이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0220123175A KR20240030866A (ko) 2022-08-30 2022-09-28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0220123174A KR20240030865A (ko) 2022-08-30 2022-09-28 카트리지별 선택적 작동이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0220124439A KR20240030871A (ko) 2022-08-30 2022-09-29 교체형 데코 커버 구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0220131971A KR20240030894A (ko) 2022-08-30 2022-10-14 밀폐형 외기 유입로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20240030861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61023T3 (es) 2011-12-08 2018-03-27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 con flujo de aire ajustable
US10058129B2 (en) 2013-12-23 2018-08-28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KR102542999B1 (ko) 2020-07-28 2023-06-14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슬라이드 커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860A (ko) 2024-03-07
KR20240030871A (ko) 2024-03-07
KR20240030867A (ko) 2024-03-07
KR20240030894A (ko) 2024-03-07
KR20240030865A (ko) 2024-03-07
KR20240030866A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502B1 (ko) 증기 제공 장치
EP3432959B1 (en) Vapour provision device
WO2017210969A1 (zh) 一种电子烟
RU2646581C2 (ru) Управляемый дыханием ингалятор с ударяющими в шлейф композиции струями воздуха
RU2617984C2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гарет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нной сигареты
KR20190107013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MX2015002478A (es) Un inhalador.
KR20240030861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
GB2576711A (en) A Vaporiser
CN210841578U (zh) 电子烟及其雾化器
WO2021001904A1 (ja) 香味吸引器
KR20230076057A (ko) 세라믹 무화기 일체형 액상 카트리지
CN112931984A (zh) 一种可更换的双向通气电子烟雾化芯及电子烟
CN218737200U (zh)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KR10265958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1001902A1 (ja) 香味吸引器
CN219270149U (zh) 可切换口味的电子雾化装置
WO2021047493A1 (zh) 一种电子烟雾化器及电子烟
CN218457306U (zh) 防漏液的电子雾化装置
CN220274954U (zh) 电子烟
CN210809276U (zh) 一种电子烟雾化装置
KR20240053144A (ko) 전자 담배
CN218921652U (zh) 一种充电式可调气电子雾化器
CN218921620U (zh) 防冷凝液溢出的电子雾化装置
CN219741873U (zh) 一种进气通道结构和气溶胶发生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