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542A -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 - Google Patents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542A
KR20240030542A KR1020220109722A KR20220109722A KR20240030542A KR 20240030542 A KR20240030542 A KR 20240030542A KR 1020220109722 A KR1020220109722 A KR 1020220109722A KR 20220109722 A KR20220109722 A KR 20220109722A KR 20240030542 A KR20240030542 A KR 20240030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g
pressure
air
transf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현배
Original Assignee
신한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산업 (주) filed Critical 신한산업 (주)
Priority to KR1020220109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542A/ko
Publication of KR2024003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B65G49/0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 B65G49/0409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bubbles in a liquid pool
    • G01M3/1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bubbles in a liquid pool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 G01M3/327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for verifying the internal pressure of 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에 따라 케그(KEG)에 설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이를 수조에 담가 기포 생성 여부 또는 압력 변화를 통해 케그(KEG)의 견고성과 기밀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송 및 시험장치와, 제어장치와, 지지장치를 포함한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KEG pressure and tightness test system}
본 발명은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에 따라 케그(KEG)에 설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이를 수조에 담가 기포 생성 여부 또는 압력 변화를 통해 케그(KEG)의 견고성과 기밀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나 생맥주등을 배달, 운반 및 보관시에는 케그(KEG)라는 용기에 수납하여 신선감과 청량감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생맥주의 경우는 냉장 시설이 되어 있지 않은 곳에서는 쉽게 변질이 되기 때문에 야외나 일반 가정에서는 신선한 생맥주를 마시기가 쉽지 않고 별도의 전문 생맥주집에서만 맛볼 수가 있는데 이와 같은 신선한 생맥주를 운반 및 보관시 사용되는 용기인 케그(KEG)는 진공상태(일정압력 상태)로 유지함으로서 생맥주 내에 용해된 탄산 가스에 의해 생맥주의 청량감을 높여 주고 생맥주의 맛을 고조시키는 거품 발생 기능을 하는데 상기와 같은 케그가 아닌 일반용기에 생맥주를 보관 및 운반하면 생맥주내에 용해된 탄산 가스가 방출되어 생맥주의 맛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생산하거나 유통되는 케그(KEG)는 반드시 견고성과 기밀성을 검사하기 위한 내압 및 기밀시험을 통과해야만 한다. 이러한 시험은 반드시 필요하며 생산과정 상 용접이 잘못되어 누수가 생긴다면 어느 부위인지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맥주를 설정의 압력으로 주입하고 탄산 가스를 포함해 주입하기 때문에 설정의 압력에서도 견딜 수 있는가에 대한 시험을 필수적이라 하겠다.
종래에는 이러한 내압 및 기밀시험을 위해 사람이 직접 케그(KEG)를 잡고 설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충진하고, 손으로 케그를 잡고 수조에 눌러 담가봄으로써 내압 및 기밀성을 테스트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람이 직접 시험하는 과정은, 시험 중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시험속도가 달라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정확도 또한 일정하지 않아 시험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케그의 내압 및 기밀시험을 손쉽게 수행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내압 및 기밀성을 테스트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54685호 (2016. 08. 31. 등록)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55499호 (2010. 04. 22.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제어에 따라 케그에 설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이를 수조에 담가 기포 생성 여부 또는 압력 변화를 통해 케그의 견고성과 기밀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은, 이송 및 시험장치와, 제어장치와, 지지장치를 포함한다.
이송 및 시험장치는, 제어에 따라 설정의 시험 위치에 놓인 케그(KEG)를 공압 클램프로 잡아 들어올려 이동하면서 설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물이 담긴 수조 측으로 이동하고, 제어에 따라 상기 케그를 설정의 시간 동안 수조에 담가 기포 생성 또는 압력 변화(감압 센서)를 통해 케그의 내압 및 기밀성을 시험하며, 시험이 끝난 케그를 수조에서 들어올려 설정의 배출 위치로 이송한 후 공기를 제거한다.
제어장치는, 이송 및 시험장치의 공기 주입 및 동작을 제어한다.
지지장치는, 이송 및 시험장치가 수조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도록 지지하되, 이송 및 시험장치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레일부를 구비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이송 및 시험장치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지지몸체부와; 상기 지지몸체부에 지지되면서 승하강하는 승하강레일부와; 상기 승하강레일부의 하부에 지지되되 케그(KEG)의 내부로 이미 설정한 압력값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제거하는 공기주입부와; 상기 승하강레일부의 하부에 지지되되, 제어에 따라 집게를 이용해 케그(KEG)를 잡아 고정하는 클램퍼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케그(KEG)의 설정 시험 위치를 지정하는 시험스탠드부와, 케그(KEG)의 설정 배출 위치를 지정하는 완료스탠드부를 포함하는 스탠드 장치를 더 포함하되; 스탠드 장치에 놓이는 케그(KEG)는 설정의 간격과 시간을 가지며 자동 공급 또는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은, 제어에 따라 케그에 설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이를 수조에 담가 기포 생성 여부 또는 압력 변화를 통해 케그의 견고성과 기밀성을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자동 기계장치를 이용함으로 케그의 견고성과 기밀성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판단해 생산 또는 검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한 이송 및 시험장치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에 따른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을 이용한 케그 시험공정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 또는 상방은 시스템이 설치된 바닥면에서 높이를 가지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하부 또는 하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1)은, 제어에 따라 케그(KEG, 3)에 설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이를 수조(2)속 물(W)에 담가 기포 생성 여부 또는 압력 변화를 통해 케그(KEG, 3)의 견고성과 기밀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크게 이송 및 시험장치(100)와, 제어장치(200) 및 지지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케그(3)의 배치 및 운송을 위한 스탠드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송 및 시험장치(100)는, 실질적으로 케그(3)의 내압 및 기밀성을 실험하는 장치로, 후술의 제어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의 시험 위치에 놓인 케그(KEG, 3)를 잡아 고정시킨 후, 설정한 압력으로 공기(air)를 주입하고 들어올려 물(W)이 담긴 수조(2) 측으로 이동하고, 제어에 따라 케그(3)를 설정의 시간 동안 수조(2)에 담가 기포 생성 또는 압력 변화를 통해 케그(3)의 내압 및 기밀성을 시험하며, 시험이 끝난 케그(3)를 수조(2)에서 들어올려 설정의 배출 위치로 이송한 후 공기(air)를 제거한다.
다시 말해, 이송 및 시험장치(100)는, 제어에 따라 케그(3)를 잡아 고정하고 내압 및 기밀시험 공정을 수행한 후, 설정의 위치에 케그(3)를 놓아 배출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송 및 시험장치(100)의 케그(3)를 잡고 공기를 주입하며 시험을 위해 위치를 이동하는 일련의 과정은 제어장치(200)를 통해 선택적 제어된다.
제어장치(200)는 케그(3)에 공기를 주입하는 시간, 측정시간, 이동동작 등을 이미 설정하여 입력해놓고 자동 조작을 통해 이송 및 시험장치(100)가 정확하게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후술의 지지장치(300) 일측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시험 관측을 위한 공간에 설치되어 조작 판넬 등을 통해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어장치(200)와 이송 및 시험장치(100)의 전기적 제어는 통상의 공지적 기술인 바,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지지장치(300)는 상술의 이송 및 시험장치(100)가 정확한 시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로,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프레임 결합으로 만들어지며, 원활한 공정 수행을 위해 이송 및 시험장치(100)가 수조(2)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이송 및 시험장치(100)가 고정시킨 케그(3)를 수조(2)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로를 제공하는 레일부(310)를 상부 프레임에 일체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이송 및 시험장치(100)는 제어장치(200)가 보내온 신호에 따라 이동되어 케그(3)를 잡고 공기를 주입시킨 후, 들어올려 수조(2) 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어지는 제어신호에 따라 케그(3)를 수조(2)에 담가 기포가 생성되는 여부 및 압력변화를 통해 케그(3)의 이상상태 유무를 판단한다.
케그(3)의 이상상태라 함은 케그(3)의 일측에 누수가 생겼거나 주어진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케그(3)의 이상상태 유무를 시스템을 통해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재차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1)에 적용한 이송 및 시험장치(100)는, 크게 지지몸체부(110)와, 승하강레일부(120), 공기주입부(130) 및 클램퍼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지지몸체부(110)는 승하강레일부(120)와 공기주입부(130) 및 클램퍼부(14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후술의 지지장치(300) 레일부(310)를 타고 이동할 수 있는 판 또는 블럭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승하강레일부(120)는 지지몸체부(110)에 지지되면서 공기중입부(130)와 클램퍼부(14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별도의 액츄에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 형상을 가진다.
한편, 공기주입부(130)는 승하강레일부(120)의 하부에 지지되되 케그(3)의 내부로 이미 설정한 압력값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제거한다.
이를 위해, 공기주입부(130)는 승하강레일부(12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바디(131)와, 바디(131)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 공기유입장치와 연결된 유입관(132) 및 유입관(132)의 상부에 형성되어 직접 케그(3)의 주입구(3a)에 삽입 연통되는 주입부(1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유입관(132)의 일측에는 압력을 체크할 수 있는 압력센서(134)와 솔레노이드밸브(135)를 포함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압력센서(134)는 케그(3)에 주입되는 압력을 체크하고, 시험 공정 중 이상상태의 케그(3)가 수조(2) 속에서 공기가 빠져나가 압력변화가 생기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압력센서(134)를 통해 체크된 수치는 제어장치(200)로 전송되고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클램퍼부(140)는, 승하강레일부(120)의 하부에 지지되되, 제어에 따라 하부 집게(143)를 통해 케그(3)를 잡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클램퍼부(140)는 설정 길이를 갖는 암(142)과, 상술의 암(142)의 동작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141)와, 암(142)의 하단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힌지(142a)에 의해 동작되어 제어에 따라 직접 케그(3)를 양측 또는 사방에서 잡아 조임으로 고정하는 집게(143)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1)은, 케그(3)가 시험을 위한 정확한 위치에 놓여있어야 하고, 시험이 끝난 케그(3)는 배출을 위한 정확한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이를 위해, 케그(3)의 용이한 작업 위치 배치를 위해 스탠드장치(40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스탠드장치(400)는 시험을 위해 케그(3)를 설정의 시험 위치에 지정하는 시험스탠드부(410)와, 케그(3)의 설정 배출 위치를 지정하는 완료스탠드부(420)를 포함한 구조를 가지며, 이때, 스탠드 장치(400)에 놓이는 케그(3)는 제어를 통해 설정의 간격과 시간차를 가지며 놓이도록 자동 공급 또는 배출된다.
이를 위해 스탠드 장치(400)는 자동 컨베이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스탠드 장치(400) 내 케그(3)의 위치를 감지 또는 인식하고 이를 제어장치(200)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할 수 있다.
후술에서는 도 3(a) 내지 도 3(g)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1)의 시험 공정 작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a)와 같이, 내압 및 기밀시험 공정을 수행할 케그(3)가 스탠드 장치(400)의 시험스탠드부(410)의 정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제어장치(200)는 케그(3)의 정위치를 감지 또는 인식하고, 이송 및 시험장치(100)를 시험을 위한 케그(3) 쪽으로 이동시킨 후, 케그(3)를 잡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이송 및 시험장치(100)를 구성하는 공기주입부(130) 및 클램퍼부(140)는 승하강레일부(120)를 따라 하강한다.
그리고, 클램퍼부(140)의 집게(143)는, 도 3의 (b)와 같이, 케그(3)의 주입구(3a)를 잡아 움직이지 못하게 완전히 잡아 고정시킨다. 그리고, 공기주입부(130)는 설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의 압력으로 공기(air)를 케그(3)의 주입구(3a)를 통해 주입시킨다. 이때, 공기주입부(130)의 압력센서(134)는 주입되는 공기량과 압력을 체크한다.
한편, 공기 주입이 완료된 케그(3)는 재차 승하강레일부(120)를 통해 클램퍼부(140)에 고정된 채로 들어올려지고(도 3의 (c) 참조), 이송 및 시험장치(100)는 케그(3)와 함께 지지장치(300)의 레일부(310)를 타고 수조(2) 측으로 이동한다(도 3의 (d) 참조).
그리고, 이송 및 시험장치(100)의 승하강레일부(120)는 케그(3)를 하강시켜 공기주입부(130)와 함께 케그(3)를 수조(2)의 물(W)에 완전히 잠기도록 담근다.
이때, 케그(3)의 이상상태 유무가 확인된다. 즉, 누수가 있다면 기포의 발생유무와 위치를 통해 용접이 잘못되거가 누수가 발생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압력센서를 통한 압력변화를 감지해 케그(3)의 내압 및 기밀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설정의 시험 시간이 끝난 후, 시험 공정 판단이 완료되면, 이송 및 시험장치(100)는 케그(3)를 수조(2)에서 들어올린다(도 3의 (f)참조). 그리고, 이송 및 시험장치(100)는 시험이 완료된 케그(3)의 배출을 위해 케그(3)를 완료스탠드부(420) 상부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이송 및 시험장치(100)의 공기주입부(130)는 케그(3) 내 공기를 제거한다(도 3의 (g) 참조).
그리고, 모든 내압 및 기밀시험이 완료된 케그(3)는 완료스탠드부(420)를 통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외부 배출된다.
이어서, 스탠드 장치(400)의 시험스탠드부(410)로 새로운 시험을 위한 케그(3)가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제어장치(200)는 이를 인식하고 도3(a) 내지 도3(g)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재수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1)은, 케그(KEG, 3)에 설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이를 수조(2)에 담가 기포 생성 여부 또는 압력 변화를 통해 케그(3)의 견고성과 기밀성을 손쉽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시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케그(3)의 견고성과 기밀성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판단해 생산 또는 검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
100 : 이송 및 시험장치
110 : 지지몸체부
120 : 승하강레일부
130 : 공기주입부
132 : 유입관
134 : 압력센서
140 : 클램퍼부
142 : 암
143 : 집게
200 : 제어장치
300 : 지지장치
310 : 레일부
400 : 스탠드장치
410 : 실험스탠드
420 : 완료스탠드

Claims (3)

  1. 제어에 따라 설정의 시험 위치에 놓인 케그(KEG)를 잡아 설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들어올려 물이 담긴 수조 측으로 이동하고, 제어에 따라 상기 케그를 설정의 시간 동안 수조에 담가 기포 생성 또는 압력 변화를 통해 케그의 내압 및 기밀성을 시험하며, 시험이 끝난 케그를 수조에서 들어올려 설정의 배출 위치로 이송한 후 공기를 제거하는 이송 및 시험장치와;
    상기 이송 및 시험장치의 공기 주입 및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이송 및 시험장치가 수조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도록 지지하되, 상기 이송 및 시험장치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레일부를 구비한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및 시험장치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지지몸체부와,
    상기 지지몸체부에 지지되면서 승하강하는 승하강레일부와,
    상기 승하강레일부의 하부에 지지되되 케그(KEG)의 내부로 이미 설정한 압력값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제거하는 공기주입부와,
    상기 승하강레일부의 하부에 지지되되, 제어에 따라 집게를 이용해 케그(KEG)를 잡아 고정하는 클램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그(KEG)의 설정 시험 위치를 지정하는 시험스탠드부와, 케그(KEG)의 설정 배출 위치를 지정하는 완료스탠드부를 포함하는 스탠드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탠드 장치에 놓이는 케그(KEG)는 설정의 간격과 시간을 가지며 자동 공급 또는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
KR1020220109722A 2022-08-31 2022-08-31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 KR20240030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722A KR20240030542A (ko) 2022-08-31 2022-08-31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722A KR20240030542A (ko) 2022-08-31 2022-08-31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542A true KR20240030542A (ko) 2024-03-07

Family

ID=9027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722A KR20240030542A (ko) 2022-08-31 2022-08-31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54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499B1 (ko) 2009-05-15 2010-05-03 주식회사 세진하이텍 맥주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맥주통
KR101654685B1 (ko) 2015-10-15 2016-09-22 신한산업 (주) 케그 주입구 변형여부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499B1 (ko) 2009-05-15 2010-05-03 주식회사 세진하이텍 맥주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맥주통
KR101654685B1 (ko) 2015-10-15 2016-09-22 신한산업 (주) 케그 주입구 변형여부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79975A (ja) 漏れ検査装置及び漏れ検査方法
US6289722B1 (en) Helium leak tester for vehicle fuel tanks
CN105973542A (zh) 一种热水器内胆试水检测设备
CN106052978A (zh) 一种压力容器气密性检测装置及方法
CN106323562A (zh) 一种自动定位式热水器内胆测漏检测方法
WO2018059001A1 (zh) 一种浸渍检测系统及方法
CN102519680B (zh) 船用钢板对接焊缝的质量检测方法
KR101453479B1 (ko) 수몰식 리크 테스트 장치
KR20240030542A (ko) 케그 내압 및 기밀시험 시스템
CN219104289U (zh) 一种用于检测塑料容器密封性的测试装置
CN205826233U (zh) 一种热水器内胆试水检测设备
CN112595465A (zh) 水箱检测装置、水箱检测方法及加湿器
KR100886175B1 (ko) 압력용기 충수 및 잔류가스 회수장치
CN213301585U (zh) 一种气密封检测设备
JP3447720B2 (ja) 気密検査装置
GB2107685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ultrasonic article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45417A (ko)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
JPH07113717A (ja) 気密検査装置
CN213874840U (zh) 水箱检测装置及加湿器
JP4259243B2 (ja) 充填装置
KR20090009405A (ko) 쇽업소버의 용접 리크 검사 장치
CN111220329A (zh) 一种能够实现自动化对接的发动机缸体气密性检测机
US6367312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container for leakage of liquid
JP2596007Y2 (ja) 移動式構造物レベル計測器
JP3778469B2 (ja) 圧縮空気供給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