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417A -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417A
KR20220045417A KR1020200128124A KR20200128124A KR20220045417A KR 20220045417 A KR20220045417 A KR 20220045417A KR 1020200128124 A KR1020200128124 A KR 1020200128124A KR 20200128124 A KR20200128124 A KR 20200128124A KR 20220045417 A KR20220045417 A KR 20220045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inspection
leak test
lea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1460B1 (ko
Inventor
유완기
Original Assignee
유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완기 filed Critical 유완기
Priority to KR1020200128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4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7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2Indicating measured values giving both analog and numerical ind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에는 소비자의 주문에 맞취 대량으로 생산되는 밸브의 경우 각각의 밸브의 단가가 크지 않고 빠른 시간 내에 대량으로 출하가 이루어져야 하는 특징으로 인해, 밸브의 불량생산을 판단하기 위한 누설검사시 개별적으로 밸브의 누설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대량의 생산 밸브 중 무작위로 샘플을 특정지어 누설검사장치에 넣고 체크를 하는 방식으로 누설검사가 진행되어, 모든 밸브를 검사할 수 없어 판매 후 밸브의 불량이 발생시 교체해주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밸브의 누설로 인한 피해가 소비자에게 전가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따라 소비자의 불만이 발생하고, 개별적으로 불량여부를 체크한 밸브를 재발송하여 불필요한 비용이 재차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100), 스마트 제어부(200)로 구성되어, 대량생산된 밸브를 신속하게 검사하여 샘플검사가 아닌 생산된 모든 밸브의 전량 누설검사를 실시하여 누설이 발생되는 밸브를 출하 이전에 판별하여 불량밸브가 출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생산되는 체크밸브, 볼밸브를 혼용하여 누설검사를 진행할 수 있고, 밸브의 사이즈에 따라 호환하여 누설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정밀하고 간편하게 누설 압력 검사를 수행하며 밸브의 결함 여부를 정확히 검사할 수 있는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MULTI-PURPOSE LEAK TEST DEVICE FOR EASY MASS INSPECTION}
본 발명에서는 대량으로 생산되는 체크밸브 및 볼밸브의 자동으로 전수검사하여 밸브불량 검사의 체크시간을 대폭으로 감축하여 양질의 밸브를 출하하고,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소비자의 주문에 맞취 대량으로 생산되는 밸브의 경우 각각의 밸브의 단가가 크지 않고 빠른 시간 내에 대량으로 출하가 이루어져야 하는 특징으로 인해, 밸브의 불량생산을 판단하기 위한 누설검사시 개별적으로 밸브의 누설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대량의 생산 밸브 중 무작위로 샘플을 특정지어 누설검사장치에 넣고 체크를 하는 방식으로 누설검사가 진행되었다.
이로 인해, 모든 밸브를 검사할 수 없어 판매 후 밸브의 불량이 발생시 교체해주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밸브의 누설로 인한 피해가 소비자에게 전가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따라 소비자의 불만이 발생하고, 개별적으로 불량여부를 체크한 밸브를 재발송하여 불필요한 비용이 재차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험성이 있는 가스용이나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밸브의 경우 각각 개별적으로 누설 여부를 체크해야 하는데, 개별적으로 밸브 누설검사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밸브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0884호(2014.04.24.)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대량생산된 밸브를 신속하게 검사하여 샘플검사가 아닌 생산된 모든 밸브의 전량 누설검사를 실시하여 누설이 발생되는 밸브를 출하 이전에 판별하여 불량밸브가 출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생산되는 체크밸브, 볼밸브를 혼용하여 누설검사를 진행할 수 있고, 밸브의 사이즈에 따라 호환하여 누설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정밀하고 간편하게 누설 압력 검사를 수행하며 밸브의 결함 여부를 정확히 검사할 수 있는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는
격자 형상의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검사용 밸브의 상단과 하단을 밀착하고, 검사용 밸브에 공압을 공급하여 일괄적으로 다량의 검사용 밸브 누설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와,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의 검사시 검사용 밸브의 누설 불량여부를 검출하고, 누설검사가 진행되는 정보를 저장 및 보관하고, 검출된 불량 밸브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하여 표시하는 스마트 제어부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대량생산된 밸브를 신속하게 검사하여 샘플검사가 아닌 생산된 모든 밸브의 전량 누설검사를 실시하여 누설이 발생되는 밸브를 출하 이전에 판별하여 불량밸브가 출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생산되는 체크밸브, 볼밸브를 혼용하여 누설검사를 진행할 수 있고, 밸브의 사이즈에 따라 호환하여 누설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밸브 생산시 밸브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밀하고 간편하게 누설 압력 검사를 수행하며 밸브의 결함 여부를 정확히 검사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의 상단에 검사용 밸브가 올려진 형상을 도시한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의 상단 수직방향으로 제1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이 선택적으로 결합된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가 위치되도록 전·후 왕복이동되는 형상을 도시하고, 제1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의 일측을 투영하여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의 상단 수직방향으로 제2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이 선택적으로 결합된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가 위치되도록 전·후 왕복이동되는 형상을 도시하고, 제2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의 일측을 투영하여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의 상단에 검사용 밸브가 올려지고,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가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형상을 도시하고, 일부분을 정면방향에서 단면도 형태로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의 상단 수직방향으로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가 위치되도록 전·후 왕복이동되는 형상을 도시한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가 하강하며 밸브개폐 핀이 체크밸브 내부의 디스크를 밀어내어 개방시킨 후 공압이 공급되어 체크밸브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형상의 일부분을 정면방향에서 단면도 형태로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 공급부가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가 수직방향으로 위치한 형상을 정면방향에서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상·하단 최외각에 위치한 탄성밀폐링에 직경 사이즈가 큰 검사용 체크 밸브가 맞물려 고정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상·하단 최외각에 위치한 탄성밀폐링에 직경 사이즈가 큰 검사용 체크 밸브가 맞물려 고정되고,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가 하강하여 밸브개폐 핀이 체크 밸브 내부의 디스크를 밀어내어 개방시킨 후 공압이 공급되어 체크밸브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형상의 일부분을 정면방향에서 단면도 형태로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상·하단 최내각에 위치한 탄성밀폐링에 직경 사이즈가 작은 검사용 볼 밸브가 맞물려 고정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제어부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1)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100), 스마트 제어부(2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100)는 격자 형상의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검사용 밸브의 상단과 하단을 밀착하고, 검사용 밸브에 공압을 공급하여 일괄적으로 다량의 검사용 밸브 누설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공압 공급부(110),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120),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1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공압 공급부(110)는 공압 공급장치 형상으로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의 정면 일측과 공압 공급밸브로 결합되고, 스마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에 공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압 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검사용 밸브에 사용되는 유체와 동일 또는 상대적으로 더 작은 분자크기를 사용하고, 사용되는 유체의 액체 또는 기체 여부에 따라 동일한 분자형태를 선정하여 이루어지고, 사용유체가 가연성 또는 폭발성이 있을 경우 동일한 유체가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가스, 고압가스, 헬륨가스, 수소가스, 질소가스, 공기압 등 다양한 종류의 유체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120)는 고정식 직사각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정면 일측에 공압 공급홀이 형성되어 공압 공급부의 공압 공급밸브와 밀폐결합되고, 상단면에 가로·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띄며 이격된 격자 배열의 하단 밸브 지지홀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단에 올려지는 검사용 밸브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120)는 정면 중앙에 공압 공급부와 밀폐 연결되는 공압 공급홀(121)이 형성되고, 내측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된 유로관이 형성되고, 유로관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되는 위치에 각각 수직 상단방향으로 복수개로 격자 배열의 하단 밸브 지지홀(122)이 형성되고, 공압 공급홀(121)을 따라 공급된 공압이 복수개의 하단 밸브 지지홀(122)에 일정한 압력세기로 배출된다.
이는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에 위치한 복수개의 하단 밸브 지지홀(122)과,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에 위치한 복수개의 상단 밸브 지지홀(133a-1)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검사용 밸브의 누설검사시 동일한 압력세기의 공압이 공급되도록 하여 누설체크 오차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다량의 정확한 누설검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누설검사되는 밸브는 동일한 형상의 볼 밸브 또는 체크 밸브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밸브 종류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120)는 직사각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격자형태로 배열된 하단 밸브 지지홀(122)의 중앙에 원형 홀이 수직 상단방향으로 형성되고, 각 하단 밸브 지지홀의 상단 끝단에 외측 둘레를 따라 원형 단턱이 순차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각 원형 단턱의 상단 둘레면에 탄성밀폐링(122a)이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원형 단턱의 상단 둘레면에 형성된 탄성밀폐링(122a)은 하단 밸브 지지홀(122)의 상단에 올려지는 검사용 밸브(2)의 규격에 따라 하단면 직경 크기에 대응하여 검사용 밸브의 하단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탄성 구조로 완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규격으로 생산되는 볼 밸브 및 체크 밸브의 누설검사시 하단 직경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단면 외측 둘레를 따라 탄성밀폐링(122a)이 밀착되어 고정된 밸브가 측방향으로 위치가 틀어지거나, 측방향으로 공압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다양한 크기의 밸브를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130)는 전·후방향 이동식 직사각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하단면에 가로·세로방향으로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의 하단 밸브 지지홀과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는 격자 배열의 상단 밸브 지지홀이 형성되어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에 올려지는 검사용 밸브의 상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상부프레임 이송 제어부(131), 상부프레임 승하강 제어부(132),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133)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프레임 이송 제어부(131)는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의 하단 좌·우 내측에 수평방향 대칭으로 이루어지고,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형봉 레일 형상으로, 상단에 결합된 상부프레임 승하강 제어부를 원형봉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에 검사용 밸브(2)가 올려질 때에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에 검사용 밸브가 올려져 누설 검사준비를 마치면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의 수직 상단에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를 통해 상부프레임 승하강 제어부를 통해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이 하강시 검사용 밸브(2)의 상단면 중앙이 핀삽입 상단 밸브 지지홀(133a-1) 또는 압력감지 상단 밸브 지지홀(133b-1)의 중앙과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프레임 승하강 제어부(132)는 상부프레임 이송 제어부의 상단 좌측과 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수평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며 상부에 결합된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을 수직방향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검사용 밸브(2)의 검사를 위해 하강시 검사용 밸브의 상단에 하단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눌러주어, 하단면은 하단 밸브 지지홀에 위치한 탄성밀폐링(122a)에 밀폐고정되고, 상단면은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에 위치한 탄성밀폐링(133a-2, 133b-3)에 밀폐고정되어 상·하단 둘레가 맞물리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의 하단 밸브 지지홀에 공압을 공급하여 검사용 밸브의 검사시 상단면 또는 하단면 측방향으로 공압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밸브의 누설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133)은 상부프레임 승하강 제어부의 좌·우측 상단에 고정된 직사각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하단면 가로·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띄며 이격된 격자 배열의 상단 밸브 지지홀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133)은 제1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133a), 제2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133b)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133a)은 직사각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격자형태로 배열된 핀삽입 상단 밸브 지지홀(133a-1) 다수개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고, 각 핀삽입 상단 밸브 지지홀의 하단 외측 둘레에 원형 단이 순차적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각 원형 단의 상단 둘레면에 탄성밀폐링(133a-2)이 형성된다.
이는 검사용 밸브(2)의 구조가 체크 밸브(2a)의 형태를 띌 때 상부프레임 승하강 제어부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133a)이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검사용 밸브의 누설검사를 마치면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140)가 동작되어 밸브개폐 핀(143a)을 통해 체크 밸브(2a) 내부의 디스크를 개방하고 공압이 분사되도록 하여 체크 밸브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제2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133b)은 직사각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하단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격자형태로 배열된 압력감지 상단 밸브 지지홀(133b-1) 다수개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 압력감지 상단 밸브 지지홀의 상단 일측에 압력센서(133b-2)가 형성되고, 각 상단 밸브 지지홀의 하단 외측 둘레에 원형 단이 순차적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각 원형 단의 상단 둘레면에 탄성밀폐링(133b-2)이 형성된다.
이는 검사용 밸브(2)의 구조가 볼 밸브(2b)의 형태를 띌 때 상부프레임 승하강 제어부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이때, 공압 공급부에서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에 공압을 공급하면 하단 밸브 지지홀(122)을 통해 상·하단 둘레면이 완전 밀폐된 검사용 밸브에 공압이 공급되어, 정상적인 밸브의 경우 공압이 상단방향으로 새어나가지 않고, 누설불량인 밸브의 경우 공압이 상단방향으로 새어나감을 압력센서를 통해 감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133b)이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검사용 밸브의 누설검사를 마치더라도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140)가 동작하지 않는다.
이는 볼 밸브(2b)의 누설검사시 불필요한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의 이동을 방지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압력감지 상단 밸브 지지홀(133b-1)의 상단에 위치한 압력센서(133b-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100)는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140)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140)는 밸브개폐 프레임 이송 제어부(141), 밸브개폐 승하강 제어부(142), 밸브개폐 핀 프레임(143)으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개폐 프레임 이송 제어부(141)는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의 하단 좌·우 외측에 수평방향 대칭으로 이루어지고,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형봉 레일 형상으로, 상단에 결합된 밸브개폐 승하강 제어부를 원형봉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의 왕복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와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 사이에 검사용 체크 밸브(2a)가 맞물려 누설검사가 이루어질 때에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누설검사를 마치면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의 수직 상단에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를 통해 밸브개폐 승하강 제어부에 결합된 밸브개폐 핀 프레임(143)이 하강시 검사용 체크 밸브(2)의 상단면 중앙이 밸브개폐 핀(143a)의 중앙과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한다.
상기 밸브개폐 승하강 제어부(142)는 밸브개폐 프레임 이송 제어부의 상단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수평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며 상부에 결합된 밸브개폐 지지 프레임을 수직방향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밸브개폐 핀 프레임(143)은 좌·우측 하단면이 밸브개폐 승하강 제어부와 결합된 직사각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하단면 가로·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띄며 이격된 격자 배열의 밸브개폐 핀(143a)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개폐 핀 프레임(143)은 검사를 마친 체크 밸브(2a)의 디스크를 하단방향으로 눌러주어 체크 밸브(2a)가 개방되도록 하고 공압을 공급하여 체크 밸브에 액체형태의 유체를 주입시켜 검사시 남은 잔여유체 또는 체크 밸브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를 통해, 체크 밸브의 내부를 고압의 공압으로 세척하여 양질의 체크 밸브를 납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 제어부(200)는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의 검사시 검사용 밸브의 누설 불량여부를 검출하고, 누설검사가 진행되는 정보를 저장 및 보관하고, 검출된 불량 밸브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밸브 설정 제어부(210), 누설여부 감지 제어부(220), 검사정보 저장부(2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밸브 설정 제어부(210)는 누설검사를 실시하는 검사용 밸브의 종류에 따라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의 셋팅 설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검사용 밸브의 체크 밸브(2a), 볼 밸브(2b)의 여부를 설정하여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140)의 동작여부를 결정하고, 설정된 검사용 밸브에 맞는 검사정보를 검사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누설여부 감지 제어부(220)는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에 상·하단이 고정된 다량의 검사용 밸브의 상단 일측에 위치한 센서를 통해 공압 공급시 누설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불량 밸브를 감지하고, 감지된 누설불량 밸브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다량의 검사용 밸브 검사시 각각의 검사용 밸브 위치의 유체의 누설여부를 감지하여 감지된 불량밸브와 동일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불량여부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가 육안으로 간편하게 누설불량 밸브를 식별하여 불량밸브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검사정보 저장부(230)는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에서 감지한 검사용 밸브의 다량의 검사용 밸브의 검사정보를 밸브의 종류에 따라 기간별, 날짜별 전체밸브 검사갯수 및 누설불량 밸브 검사갯수 정보를 저장 및 보관하고,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기존에 검사가 이루어진 검사용 밸브의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여 관리자가 누설불량밸브가 발생한 정보를 간편하게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 제어부의 밸브 설정 제어부를 통해 검사용 밸브의 종류를 셋팅 설정한다.
다음으로,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의 하단 밸브 지지홀에 각각 검사용 밸브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검사용 밸브의 수직 상단방향으로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를 위치시킨 후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을 하강시켜 검사용 밸브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탄성밀폐링에 각각 맞닿으며 밀착시켜 완전 밀폐시킨다.
다음으로, 공압 공급부에서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에 공압을 공급하여 하단 밸브 지지홀, 상단 밸브 지지홀에 밀폐 고정된 검사용 밸브의 누설불량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다량의 검사용 밸브 중 공압이 누설되면 압력센서를 통해 감지되어 누설여부 감지 제어부에 누설된 불량밸브 신호가 전달되어 관리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불량밸브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검사용 밸브가 체크밸브인 경우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의 수직 상단방향으로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를 위치시킨 후 밸브개폐 핀 프레임을 하강시켜 검사용 밸브의 디스크를 개방하여 밸브 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에서 검사가 이루어진 검사용 밸브의 종류에 따라 기간별, 날짜별 전체밸브 검사갯수 및 누설불량 밸브 갯수 정보를 저장 및 보관하고,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리자가 밸브의 검사정보를 검색하고 관리한다.
100 :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 110 : 공압 공급부
120 :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 121 : 공압 공급홀
122 : 하단 밸브 지지홀 130 :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
131 : 상부프레임 이송 제어부 132 : 상부프레임 승하강 제어부
133 :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 140 :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
141 : 밸브개폐 이송 제어부 142 : 밸브개폐 승하강 제어부
143 : 밸브개폐 핀 프레임 200 : 스마트 제에부
210 : 밸브 설정 제어부 220 : 누설여부 감지 제어부
230 : 검사정보 저장부

Claims (7)

  1. 격자 형상의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검사용 밸브의 상단과 하단을 밀착하고, 검사용 밸브에 공압을 공급하여 일괄적으로 다량의 검사용 밸브 누설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100)와,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의 검사시 검사용 밸브의 누설 불량여부를 검출하고, 누설검사가 진행되는 정보를 저장 및 보관하고, 검출된 불량 밸브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하여 표시하는 스마트 제어부(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100)는
    공압 공급장치 형상으로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의 정면 일측과 공압 공급밸브로 결합되고, 스마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에 공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압 공급부(110)와,
    고정식 직사각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정면 일측에 공압 공급홀이 형성되어 공압 공급부의 공압 공급밸브와 밀폐결합되고, 상단면에 가로·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띄며 이격된 격자 배열의 하단 밸브 지지홀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단에 올려지는 검사용 밸브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120)와,
    전·후방향 이동식 직사각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하단면에 가로·세로방향으로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의 하단 밸브 지지홀과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는 격자 배열의 상단 밸브 지지홀이 형성되어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에 올려지는 검사용 밸브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 누설 검사 프레임부(13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하부 누설검사 프레임부(120)는
    정면 중앙에 공압 공급부와 밀폐 연결되는 공압 공급홀(121)이 형성되고, 내측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된 유로관이 형성되고, 유로관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되는 위치에 각각 수직 상단방향으로 복수개로 격자 배열의 하단 밸브 지지홀(122)이 형성되고, 공압 공급홀(121)을 따라 공급된 공압이 복수개의 하단 밸브 지지홀(122)에 일정한 압력세기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부(130)는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의 하단 좌·우 내측에 수평방향 대칭으로 이루어지고,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형봉 레일 형상으로, 상단에 결합된 상부프레임 승하강 제어부를 원형봉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상부프레임 이송 제어부(131)와,
    상부프레임 이송 제어부의 상단 좌측과 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수평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며 상부에 결합된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을 수직방향 이동시키는 상부프레임 승하강 제어부(132)와,
    상부프레임 승하강 제어부의 좌·우측 상단에 고정된 직사각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하단면 가로·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띄며 이격된 격자 배열의 상단 밸브 지지홀이 다수개 형성되는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133)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133)은
    직사각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격자형태로 배열된 핀삽입 상단 밸브 지지홀(133a-1) 다수개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고, 각 핀삽입 상단 밸브 지지홀의 하단 외측 둘레에 원형 단이 순차적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각 원형 단의 상단 둘레면에 탄성밀폐링(133a-2)이 형성되는 제1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133a)과,
    직사각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하단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격자형태로 배열된 압력감지 상단 밸브 지지홀(133b-1) 다수개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 압력감지 상단 밸브 지지홀의 상단 일측에 압력센서(133b-2)가 형성되고, 각 상단 밸브 지지홀의 하단 외측 둘레에 원형 단이 순차적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각 원형 단의 상단 둘레면에 탄성밀폐링(133b-2)이 형성되는 제2 상부 누설검사 프레임(133b)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100)는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의 하단 좌·우 외측에 수평방향 대칭으로 이루어지고,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형봉 레일 형상으로, 상단에 결합된 밸브개폐 승하강 제어부를 원형봉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의 왕복 이동시키는 밸브개폐 프레임 이송 제어부(141)와,
    밸브개폐 프레임 이송 제어부의 상단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수평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며 상부에 결합된 밸브개폐 지지 프레임을 수직방향 이동시키는 밸브개폐 승하강 제어부(142)와,
    좌·우측 하단면이 밸브개폐 승하강 제어부와 결합된 직사각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하단면 가로·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띄며 이격된 격자 배열의 밸브개폐 핀(143a)이 다수개 형성되는 밸브개폐 핀 프레임(143)으로 구성되는 체크밸브용 밸브개폐 프레임부(1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 제어부(200)는
    누설검사를 실시하는 검사용 밸브의 종류에 따라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의 셋팅 설정을 제어하는 밸브 설정 제어부(210)와,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에 상·하단이 고정된 다량의 검사용 밸브의 상단 일측에 위치한 센서를 통해 공압 공급시 누설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불량 밸브를 감지하고, 감지된 누설불량 밸브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표시하는 누설여부 감지 제어부(220)와,
    밸브 누설검사 장치부에서 감지한 검사용 밸브의 다량의 검사용 밸브의 검사정보를 밸브의 종류에 따라 기간별, 날짜별 전체밸브 검사갯수 및 누설불량 밸브 검사갯수 정보를 저장 및 보관하고,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검사정보 저장부(23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
KR1020200128124A 2020-10-05 2020-10-05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 KR102571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124A KR102571460B1 (ko) 2020-10-05 2020-10-05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124A KR102571460B1 (ko) 2020-10-05 2020-10-05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417A true KR20220045417A (ko) 2022-04-12
KR102571460B1 KR102571460B1 (ko) 2023-08-25

Family

ID=81187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124A KR102571460B1 (ko) 2020-10-05 2020-10-05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4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0557A (zh) * 2022-07-04 2022-09-23 宁波友谊铜业有限公司 一种管接件全自动气密性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884B1 (ko) 2013-04-10 2014-05-0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체크밸브 역류시험장치 및 방법
KR200475568Y1 (ko) * 2013-10-31 2014-12-10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공기압축기용 밸브의 리크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884B1 (ko) 2013-04-10 2014-05-0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체크밸브 역류시험장치 및 방법
KR200475568Y1 (ko) * 2013-10-31 2014-12-10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공기압축기용 밸브의 리크 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0557A (zh) * 2022-07-04 2022-09-23 宁波友谊铜业有限公司 一种管接件全自动气密性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5090557B (zh) * 2022-07-04 2023-10-31 宁波友谊铜业有限公司 一种管接件全自动气密性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460B1 (ko)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3268A (en) Leakage detection apparatus for drum wheels and method therefore
US11162914B2 (en) Pressure-resistance inspection apparatus for valves and its inspection method, and hydrogen gas detection unit
US8261593B1 (en) Leak detector for heat exchanger
KR101718631B1 (ko) 초저온용 밸브 누설시험방법
CN109540408A (zh) 气密性检测方法及装置
KR100824213B1 (ko) 안전밸브 테스트장치
US20080307858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Leak-Testing and Qualification of Fluid Dispensing Vessels
US8678643B2 (en) Method for non-destructive testing of at least partially open hollow components or system components for tightness in series production
US20080184779A1 (en) Seal for tube
KR20220045417A (ko) 대량 검사가 용이한 다목적 누설검사 장치
KR20120122817A (ko) 정수기필터용 리크 검사방법 및 장치
KR200463311Y1 (ko) 버터플라이 밸브의 누수검사, 토크측정 및 신뢰성테스트 장치
US688638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locating leaks in internal pressure vessels
KR100832345B1 (ko) 진공용 공압 앵글밸브의 테스트 장치
JP6608418B2 (ja) バルブなどの圧力機器の耐圧検査方法
RU2368881C1 (ru) Стенд для испытания на герметичность сварных изделий
JP2006298382A (ja) 充填用バルブユニットの不良部位検出用器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充填用バルブユニットの不良部位検出方法
CN113280984A (zh) 铜管检漏系统
KR100758629B1 (ko) 액화가스 기화기용 플로트밸브의 검사장비
WO2020022963A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ed tightness testing and inertisation of containers or similar receptacles having a cover and/or valve
JPS6218851B2 (ko)
CN116625596A (zh) 一种继电器密封性检测装置
JPH11237299A (ja) 圧力降下法によるドラム缶漏洩検査装置
KR20230149307A (ko) 기밀 시험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기밀 시험 장치
JPH02205739A (ja) 鋳造物品の流体漏洩検出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