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414A -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414A
KR20240030414A KR1020220109425A KR20220109425A KR20240030414A KR 20240030414 A KR20240030414 A KR 20240030414A KR 1020220109425 A KR1020220109425 A KR 1020220109425A KR 20220109425 A KR20220109425 A KR 20220109425A KR 20240030414 A KR20240030414 A KR 20240030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ody
hot water
tank base
water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민
Original Assignee
최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민 filed Critical 최진민
Priority to KR1020220109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414A/ko
Publication of KR2024003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24D3/082Hot water storage tank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탱크 베이스 몸체;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커버에 제1 보강부재가 권취되면서 형성되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 상기 커버 및 상기 제1 레이어를 감싸도록 제2 보강부재가 권취되면서 형성되는 제2 레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조립체{Hot water tank and hot water tank assembly}
본 발명은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기에 사용되는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혹은 사무실에서는 샤워 및 세면을 위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온수기를 사용한다. 온수기는 저장탱크에 항상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가스 혹은 전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저장식 온수기와, 별도의 저장탱크 없이 물을 순간적으로 가열하는 순간식 온수기로 분류된다.
저장식 온수기는 급탕을 위해 저장탱크 내에 일정량의 물을 항상 저장해야 하고 저장된 물을 설정한 온도만큼 계속 가열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전기 및 가스 등의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소비된다. 순간식 온수기는 샤워시설같이 상대적으로 온수가 많이 요구되는 곳이나 샤워시설을 제외한 대용량의 온수가 필요한 곳에서는 필요 온수에 비례하여 가스 또는 전기와 같은 에너지가 순간적으로 소비된다.
기존의 온수기에서 사용되는 온수 탱크는 금속으로 제작되었다. 금속으로 제작된 온수 탱크는 무게가 무거워 이동이 불편하였다. 또한, 온수 탱크의 설치 시 인적, 물적으로 많은 비용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수지 온수 탱크가 개발되고 있다.
수지로 제작되는 온수 탱크는, 온수 탱크의 원형을 수지로 제작한 후 강도 보강을 위해 유리 섬유로 온 탱크 원형을 와인딩한다. 그런데 유리 섬유는 고가이기 때문에 온수 탱크를 충분한 강도로 보강할 만큼 와인딩하려면 많은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5550호
본 발명은 수지로 제작되는 온수 탱크를 보강하기 위해 금속 섬유를 효율적이면서 균일하게 권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탱크 베이스 몸체;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커버에 제1 보강부재가 권취되면서 형성되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 상기 커버 및 상기 제1 레이어를 감싸도록 제2 보강부재가 권취되면서 형성되는 제2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는, 상기 제1 보강부재가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속 형성되는 볼록부; 및 이웃하는 상기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보강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위치하며, 상기 볼록부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보강부재가 걸림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1 고정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와 접하는 일측에 상기 커버를 향하는 상기 제1 보강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돌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보강부재는 금속섬유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보강부재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온수 탱크는, 히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일부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일부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히터 결합부재; 및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와 상기 히터 결합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히터 결합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의 외부에 구비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차폐하는 케이스 커버;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온수 탱크; 및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온수 탱크 외면 사이에 채워지는 보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온수 탱크는, 탱크 베이스 몸체;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커버에 제1 보강부재가 권취되면서 형성되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 상기 커버 및 상기 제1 레이어를 감싸도록 제2 보강부재가 권취되면서 형성되는 제2 레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는, 상기 제1 보강부재가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탱크 베이스 몸체에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진 지지부를 형성하고, 제1 보강부재(금속섬유)를 지지부에 구비함으로써 제1 보강부재의 위치를 고정시켜 제1 보강부재가 탱크 베이스 몸체에 균일하게 권취될 수 있다.
둘째, 탱크 베이스 몸체 및 커버가 제1 보강부재(금속섬유) 및 제2 보강부재(유리섬유)로 보강됨으로써 제2 보강부재(유리섬유)만으로 보강할 때 보다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온수 탱크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탱크의 단면이 도시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온수 탱크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온수 탱크의 평면이 도시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탱크 조립체의 단면이 도시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조립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탱크가 도시되어 있다. 온수 탱크(100)는 탱크 베이스 몸체(110), 커버(120, 130), 제1 레이어(140) 및 제2 레이어(150)를 포함한다.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는 수지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는 폴리부텐(Polybutene)이다.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는 수지를 이용하여 블로우 성형으로 제작한다.
한편, 상기 온수 탱크(100)는 히터 결합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히터 결합부재(160)는 히터(10)가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에 연결될 수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히터 결합부재(160)는 일부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를 제작할 때에는 상기 히터 결합부재(160)를 구비한 상태로 수지를 인서트 사출 성형한 후 블로우 성형하여 제작한다. 즉, 상기 히터 결합부재(160)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를 먼저 제작하고 상기 히터 결합부재(160)를 결합시키는 것이 아닌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히터 결합부재(16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 결합부재(160)에 의해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는 지지부(111)를 포함한다. 후술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는 제1 보강부재(141)가 권취된다.
상기 지지부(111)는 상기 제1 보강부재(141)가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111)는 볼록부(111a) 및 오목부(111b)를 포함한다.
상기 볼록부(111a)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속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111b)는 이웃하는 상기 볼록부(111a)와 상기 볼록부(111a) 사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111a)가 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볼록부(111a)는 뿔 형상과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11)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를 제작한 후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를 블로우 성형할 때 동시에 형성된다. 즉,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가 형성되면서 상기 볼록부(111a) 및 상기 오목부(111b)도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커버(120, 130)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므로 일측과 타측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 커버(120, 130)는 제1 커버(120) 및 제2 커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버(120)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일측(상측)을 차폐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커버(130)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타측(하측)을 차폐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커버(120, 130)도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와 마찬가지로 수지로 형성되며, 블로우 성형으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0, 130)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커버(120, 13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반구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커버(120, 130)는 제1 고정돌기(121, 131) 및 제2 고정돌기(122, 1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돌기(121, 131)는 상기 커버(120, 130)의 외측면 중 중앙에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반구 형상인 상기 커버(120, 130)의 중심축과 동축 상의 위치에 상기 제1 고정돌기(121, 131)가 형성된다.
후술되는 상기 제1 보강부재(141)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에 권취된 후 상기 커버(120, 130)에도 권취된다. 이때, 상기 제1 보강부재(141)가 상기 제1 고정돌기(121, 131)에 걸림되면서 상기 커버(120, 1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가 고정된다. 도 3에는 상기 제1 보강부재(141)가 상기 제1 고정돌기(121, 131)에 걸림되면서 상기 커버(120, 130)를 감싸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고정돌기(122, 132)는 상기 커버(120, 130)에서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와 접하는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 고정돌기(122, 132)는 상기 커버(120, 130)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고정돌기(122, 132)는 상기 커버(120, 1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커버(120, 130)가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일측을 차폐하며 결합될 때 상기 제2 고정돌기(122, 132)와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외측면 사이는 이격된다.
상기 제1 보강부재(141)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에 권취되어 상기 커버(120, 130)로 이어질 때 상기 제2 고정돌기(122, 132)와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외측면 사이 이격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고정돌기(122, 13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제1 레이어(140)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 및 상기 커버(120, 13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 및 상기 커버(120, 130)를 감싸며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레이어(140)는 상기 제1 보강부재(141)가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 및 상기 커버(120, 130)에 권취되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 및 상기 커버(120, 130)는 수지로 형성되므로 종래의 금속으로 제작되는 온수 탱크에 비해 강도가 약하다. 따라서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 및 상기 커버(120, 130)를 보강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보강부재(141)는 금속섬유로 이루어진다. 금속섬유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 보강부재(141)가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와 상기 커버(120, 130)의 전체 영역을 감싸게 되면 상기 온수 탱크(100)의 중량이 증가하여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 및 상기 커버(120, 130)를 수지로 제작하는 의미가 퇴색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보강부재(141)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에 권취될 때 상기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만큼 이격되면서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를 감싸도록 권취된다.
이때, 상기 제1 보강부재(141)는 상기 온수 탱크(100)의 외측 표면 면적 대비 5 내지 10%를 차지하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1 보강부재(141)의 비율이 5% 이하이면 상기 제1 보강부재(141)로 충분한 강도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0%를 초과하면 상기 온수 탱크(100)의 중량이 무거워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보강부재(141)가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에 권취될 때 상기 오목부(111b)에 위치한다. 상기 오목부(111b)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보강부재(141)는 상기 볼록부(111a)에 의해 상기 오목부(111b)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제2 레이어(150)는 상기 제1 레이어(140)가 형성된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 및 상기 커버(120, 13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제1 레이어(140)와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 상기 커버(120, 130)를 감싸며 형성된다.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 및 상기 커버(120, 130)는 제1 보강부재(141)에 의해 상기 제1 레이어(140)가 형성되어 강도가 보강되지만 상기 제1 레이어(140)만으로는 충분한 강도 보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 보강부재(151)로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 상기 커버(120, 130) 및 상기 제1 레이어(140)를 모두 감싸며 상기 제2 레이어(150)를 형성한다.
상기 제2 보강부재(151)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2 레이어(150)는 유리섬유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레이어(150)가 설정 두께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보강부재(151)는 다수 회 권취된다.
한편, 상기 온수 탱크(100)는 보강 플레이트(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170)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와 상기 히터 결합부재(16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170)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외부에 구비되되,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하는 상기 히터 결합부재(160)를 둘러싸며 구비된다.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외부에 상기 보강 플레이트(170)가 구비되면, 상기 보강 플레이트(170),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 및 상기 히터 결합부재(160)는 볼트(B)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 및 상기 커버(120, 130)는 블로우 성형하면서 개방 영역이 형성된다. 개방 영역은 상기 제2 레이어(150)를 형성하는 상기 제2 보강부재(151)에 의해 막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100)는 상기 제2 레이어(150)의 형성까지 완료되면, 상기 제2 보강부재(151)에 의해 개방 영역의 막혀있던 부분을 가공하여 다시 개방되도록 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탱크 조립체(10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온수 탱크 조립체(1000)는 케이스(210), 케이스 커버(220, 230), 온수 탱크(100) 및 보온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10)는 ABS 압출시트를 원통 형태로 롤링 후 융착함으로써 제작된다.
상기 케이스 커버(220, 230)는 상기 케이스(210)의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210)의 일측 및 타측을 차폐한다. 상기 케이스 커버(220, 230)도 상기 케이스(210)와 마찬가지로 ABS 압출시트로 제작된다. 다만, 상기 케이스 커버(220, 230)는 ABS 압출시트를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된다.
상기 케이스(210)는 내부에 상기 온수 탱크(100)가 구비되면, 상기 케이스(210)의 내면과 상기 온수 탱크(100) 외면 사이에 이격 공간(미표기)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 공간(미표기)에는 상기 보온부재(240)가 채워진다.
상기 온수 탱크(100)는 온수를 저장하기 때문에 상기 온수 탱크(100)에 저장된 온수가 쉽게 식으면 안 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100)가 쉽게 식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210)와 상기 온수 탱크(100) 사이를 상기 보온부재(240)로 채우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온부재(240)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만 상기 보온부재(240)가 폴리우레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온수 탱크(100)는 전술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온수 탱크(100) 하측의 상기 커버(130)와 상기 케이스(210)를 연결하는 배수 파이프(2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130)에는 상기 제1 고정돌기(131)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 파이프(20)가 상기 제1 고정돌기(131)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130)의 내부와 상기 배수 파이프(20)가 연통된다.
반대로 상기 온수 탱크(100)의 상측의 상기 커버(120)와 상기 케이스 커버(220)를 연결하는 입수 파이프(1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120)의 상기 제1 고정돌기(121)도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입수 파이프(10)가 상기 제1 고정돌기(121)에 연결되어 상기 입수 파이프(10)와 상기 커버(120)의 내부가 연통된다.
상기 온수 탱크(100)에 저장되는 물(온수)은 상기 입수 파이프(10)를 통해 상기 온수 탱크(100)로 공급되고, 상기 배수 파이프(20)를 통해 상기 케이스(2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케이스(210)의 외측에는 히터(30)가 구비되며, 상기 히터(30)는 상기 히터 결합부재(160)에 의해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히터(30)가 상기 온수 탱크(100)에 저장되는 물(온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히터(30)는 온도조절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히터(30)를 통해 측정된 물의 온도를 확인하고, 상기 온도조절기를 통해 물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조립체는 수지로 제작되는 탱크 베이스 몸체와 커버를 보강하기 위해 제2 보강부재(유리섬유)를 권취하기 전 제1 보강부재(금속섬유)를 권취하여 유리섬유로 인한 비용을 절감하면서 강도를 충분히 보강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베이스 몸체에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 보강부재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권취될 때 제1 보강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어 온수 탱크의 내구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온수 탱크
110: 탱크 베이스 몸체
120, 130: 커버
140: 제1 레이어
141: 제1 보강부재
150: 제2 레이어
151: 제2 보강부재
160: 히터 결합부재
170: 보강 플레이트
210: 케이스
220, 230: 케이스 커버
240: 보온부재
1000: 온수 탱크 조립체
10: 입수 파이프
20: 배수 파이프
30: 히터

Claims (10)

  1. 탱크 베이스 몸체;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커버에 제1 보강부재가 권취되면서 형성되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 상기 커버 및 상기 제1 레이어를 감싸도록 제2 보강부재가 권취되면서 형성되는 제2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는,
    상기 제1 보강부재가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부를 포함하는 온수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속 형성되는 볼록부; 및
    이웃하는 상기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온수 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위치하며, 상기 볼록부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온수 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보강부재가 걸림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1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온수 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와 접하는 일측에 상기 커버를 향하는 상기 제1 보강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온수 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재는 금속섬유로 이루어지는 온수 탱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재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온수 탱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는,
    히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일부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일부는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히터 결합부재; 및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와 상기 히터 결합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히터 결합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의 외부에 구비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온수 탱크.
  9.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차폐하는 케이스 커버;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온수 탱크; 및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온수 탱크 외면 사이에 채워지는 보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온수 탱크는,
    탱크 베이스 몸체;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커버에 제1 보강부재가 권취되면서 형성되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 상기 커버 및 상기 제1 레이어를 감싸도록 제2 보강부재가 권취되면서 형성되는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온수 탱크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는,
    상기 제1 보강부재가 상기 탱크 베이스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부를 포함하는 온수 탱크 조립체.




KR1020220109425A 2022-08-30 2022-08-30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조립체 KR20240030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425A KR20240030414A (ko) 2022-08-30 2022-08-30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425A KR20240030414A (ko) 2022-08-30 2022-08-30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414A true KR20240030414A (ko) 2024-03-07

Family

ID=9027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425A KR20240030414A (ko) 2022-08-30 2022-08-30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41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550B1 (ko) 2013-03-14 2015-02-25 윤상기 순간 온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550B1 (ko) 2013-03-14 2015-02-25 윤상기 순간 온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6063A (en)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solar energy to a liquid medium
US7431030B2 (en) Solar panel for water-heater
CN106091385B (zh) 储水罐和燃气热水器
KR20240030414A (ko)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조립체
WO2009077966A2 (en) Heater tank
US4397305A (en) Solar heating panel
JP6206265B2 (ja) 貯湯式給湯機
ITMO970240A1 (it) Scaldaacqua di materiale plastico resistente a pressione
JP7094136B2 (ja) 貯湯タンク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004238A (zh) 设备和管道的金属保温层
JP5255376B2 (ja) 断熱材及び断熱管
CN101852486A (zh) 贮水式电热水器
CN213762094U (zh) 水泥磨筒体及水泥磨
KR101217088B1 (ko) 히트패널
US20020011245A1 (en) Radiation heat collector
EP0565782A1 (en) Elliptical shaped tank for hot water in domestic plants
KR20120016682A (ko)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온수 장치
CN214404974U (zh) 一种玻璃钢保温管
WO1986003280A1 (en) Solar water heater
IT202100010325A1 (it) Pannello coibentante
CN205579017U (zh) 一种用于SiCl4蒸汽输送的管道结构
CN103162444B (zh) 热水器储水箱
WO2022230076A1 (ja) 貯湯タンク
CN219846128U (zh) 饮水机的热罐以及饮水机
KR20100105173A (ko) 단열 온수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