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350A - 배관용 툴 - Google Patents

배관용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350A
KR20240030350A KR1020220109269A KR20220109269A KR20240030350A KR 20240030350 A KR20240030350 A KR 20240030350A KR 1020220109269 A KR1020220109269 A KR 1020220109269A KR 20220109269 A KR20220109269 A KR 20220109269A KR 20240030350 A KR20240030350 A KR 20240030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grip
pipe
piping
grip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김종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아툴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아툴스 (주)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9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350A/ko
Publication of KR20240030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25B13/500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 B25B13/5016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 B25B13/5025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using a pipe wrench type tool
    • B25B13/504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using a pipe wrench type tool with movable or adjustabl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28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pivotally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툴은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 그립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립부는 너트가 결합되는 배관의 종류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너트의 종류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그리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용 툴{Tool for pipe}
본 발명은 배관용 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과 배관의 연결을 위해서 너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배관의 연결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너트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너트는 작업자가 배관용 툴을 이용하여 회전시켜 조임 작업 및 풀림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너트가 사용되고 있어 배관용 툴의 종류도 다양하고 협소한 구간에서 작업자가 너트의 조임 작업 및 풀림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배관용 툴의 사용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너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는 배관용 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여러 종류의 배관 연결용 너트의 조임 및 풀림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배관용 툴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툴은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 그립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립부는 너트가 결합되는 배관의 종류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너트의 종류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그리퍼를 포함한다.
여러 종류의 배관 연결용 너트의 조임 및 풀림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배관용 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툴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B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툴의 제1 그립부에 의해 너트에 가해지는 고정력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툴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B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툴(100)은 손잡이부(120), 제1 그립부(140) 및 제2 그립부(16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20)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부분으로서 일예로서 단면이 사각형인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손잡이부(1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손잡이부(12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한편, 손잡이부(120)의 일단부에는 제1 그리부(140)의 설치를 위한 장착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122)에는 일예로서 제1 그립부(140)의 일단부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122a)이 구비될 수 있다. 삽입홈(122a)은 일예로서 손잡이부(120)의 일측면으로부터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장착부(122)에는 제1 그립부(140)의 일단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제1 그립부(140)의 회전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 고정부재(122b)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120)의 상면에는 제2 그립부(160)의 고정 설치를 위한 고정홈(124)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그립부(160)는 후술할 체결구(166)를 통해 손잡이부(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120)의 일단부에는 제1 톱니부(126)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톱니부(126)는 제1 그립부(140)와 함께 배관용 너트(10)를 손잡이부(120)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그립부(1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20)에 구비되는 장착부(122)에 설치된다. 일예로서, 제1 그립부(140)는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그립부(140)의 일단부가 제1 고정부재(122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부재(미도시, 예를 들어 바 형상의 판 스프링)에 의해 일단부가 지지되어 외력이 가하는 경우 회전되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제1 그립부(140)를 배관(20)에 연결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1 그립부(140)를 잡고 회전시켜 배관(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가 변형되면서 제1 그립부(140)를 지지한다. 이후, 배관(20)으로부터 제1 그립부(140)를 분리하는 경우 제1 그립부(140)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제1 그립부(140)는 손잡이부(120)와 다양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손잡이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너트(10)가 설치되는 배관(20)의 종류에 따라 제1 그립부(140)의 위치를 변경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서,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1 그립부(140)는 외측면이 곡면 형상을 가지며, 내측면은 곡면과 복수개의 평면 형상이 이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그립부(140)는 배관(20)에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외측면이라고 하면 너트(10) 및 배관(20)과 접촉하지 않는 제1 그립부(140)의 일측면을 의미하며, 내측면이라고 하면 너트(10)및 배관(20)와 접촉되는 제1 그립부(140)의 타측면을 의미한다. 한편, 제1 그립부(140)의 내측면 중 적어도 2개의 영역에 배관(20)에의 고정을 위한 제2 톱니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톱니부(142)는 제1 그립부(140)의 내측면 중 손잡이부(120)에 보다 가깝게 배치되는 제2-1 톱니부(142a)와, 제2-1 톱니부(142a)와 인접 배치되는 제2-2 톱니부(142b)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그립부(140)의 제2-1 톱니부(142a), 제2-2 톱니부(142b) 및 손잡이부(120)의 제1 톱니부(126)에 의해 배관(2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3개의 지점에서 배관(20)에 고정되므로, 제1 그립부(140)와 배관(2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1 톱니부(142a)와 제2-2 톱니부(142b)가 형성되는 제1 그립부(140)의 두 영역은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배관(20)을 감싸도록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그립부(140)는 배관(20)으로부터의 미끄러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그립부(160)는 손잡이부(12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예로서, 제2 그립부(160)는 손잡이부(120)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디(162)와, 바디(162)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그리퍼(16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퍼(164)는 제2 고정부재(16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부재(미도시, 예를 들어 바 형상의 판 스프링)에 의해 일단부가 지지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회전되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그리퍼(164)를 너트(10)에 연결시키고자 하는 경우 그리퍼(164)를 잡고 회전시켜 너트(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가 변형되면서 그리퍼(164)를 지지한다. 이후, 너트(10)로부터 그리퍼(164)를 분리하는 경우 그리퍼(164)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너트(10)의 종류에 상관없이 너트(10)를 제2 그립부(16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바디(162)의 일단부에는 너트(10)의 고정을 위한 제3 톱니부(162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그리퍼(164)의 내측면 중 적어도 2개의 영역에 제4 톱니부(164a)가 구비될 수 있다. 제4 톱니부(164a)는 바디(162) 측으로 보다 가깝게 배치되는 제4-1 톱니부(164a1)와, 제4-1 톱니부(164a1)에 인접 배치되는 제4-2 톱니부(164a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162)의 제3 톱니부(162a)와, 그리퍼(164)의 제4-1 톱니부(164a1), 제4-2 톱니부(164a2)에 의해 너트(1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3개의 지점에서 너트(10)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너트(1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너트(10)가 미끄러지는 슬립(slip)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제4-1 톱니부(164a1), 제4-2 톱니부(164a2)가 형성되는 그리퍼(164)의 두 영역은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너트(10)를 감싸도록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그립부(160)는 너트(10)의 미끄러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바디(162)의 타단부에는 손잡이부(120)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체결구(166)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 그립부(160)는 너트(10)의 크기, 직경 등을 측정하는 측정기기에 체결구(166)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그립부(140)가 배관(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 그립부(160)를 통해 너트(10)를 회전시킴으로써 너트(10)가 제2 그립부(160)에서 미끄러지는 슬립 현상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배관(20)과 너트(10)의 크기와 종류에 맞도록 제1 그립부(140)와 제2 그립부(160)를 회전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배관(20)과 너트(10)의 종류에 상관없이 너트(10)의 조임 작업과 풀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 너트
100 : 배관용 툴
120 : 손잡이부
140 : 제1 그립부
160 : 제2 그립부

Claims (10)

  1.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 그립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그립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립부는 너트가 결합되는 배관의 종류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너트의 종류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그리퍼를 포함하는 배관용 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에는 상기 배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톱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그립부의 내측면 중 적어도 2개의 영역에 상기 배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톱니부가 구비되는 배관용 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톱니부가 형성된 두 면은 상기 배관을 두 면에서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배관용 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는 상기 배관을 감싸도록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배관용 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는 상기 배관에의 고정을 위해 탄성을 가진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배관용 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는 상기 너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톱니부가 구비되며,
    상기 그리퍼의 내측면 중 적어도 2개의 영역에 상기 너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4 톱니부가 구비되는 배관용 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상기 너트를 감싸도록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배관용 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톱니부가 형성된 두 면은 상기 너트를 두 면에서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배관용 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상기 너트에의 고정을 위해 탄성을 가진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배관용 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관용 툴.
KR1020220109269A 2022-08-30 2022-08-30 배관용 툴 KR20240030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269A KR20240030350A (ko) 2022-08-30 2022-08-30 배관용 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269A KR20240030350A (ko) 2022-08-30 2022-08-30 배관용 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350A true KR20240030350A (ko) 2024-03-07

Family

ID=9027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269A KR20240030350A (ko) 2022-08-30 2022-08-30 배관용 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3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069B1 (ko) 래칫 렌치
US20090311062A1 (en) Chuck for Bit
GB2168917A (en) A device for holding a screw bolt nail or the like
US4811638A (en) Torque tools
JP2019519383A (ja) アンチスリップ・レンチ型工具
TW201410397A (zh) 棘輪扳手工具
US5526723A (en) Striking tool
US6101903A (en) Strap wrench
KR20240030350A (ko) 배관용 툴
TW202031433A (zh) 具有雙板簧的工具
GB2257458A (en) Securing fixing clamp to support
JP2000274412A (ja) 壁面等に器具を取り付けるためのアンカー
KR860000631Y1 (ko) 오일 필터용 렌치
US20240082988A1 (en) Ratchet wrench
JP5139129B2 (ja) ガスメータ取付用工具
KR200476843Y1 (ko) 접이식 라쳇 렌치
JP3883698B2 (ja) 手摺パイプ固着装置
GR20210100772A (el) Συνδεσμος για προεκταση κλειδιων
JP2692570B2 (ja) 管固定具
JP2004050336A (ja) 管継手用レンチ
JP3020517U (ja) 柄棒部材の接続構造
KR20060012132A (ko) 볼트
JPH0418774Y2 (ko)
KR200191344Y1 (ko) 다목적 드라이버와 보조공구
JP2019202362A (ja) 供回り防止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