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286A - Eco friendly coffee cascara drink undiluted solu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co friendly coffee cascara drink undiluted solu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286A
KR20240030286A KR1020220109096A KR20220109096A KR20240030286A KR 20240030286 A KR20240030286 A KR 20240030286A KR 1020220109096 A KR1020220109096 A KR 1020220109096A KR 20220109096 A KR20220109096 A KR 20220109096A KR 20240030286 A KR20240030286 A KR 20240030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ascara
mixture
additiv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0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제영
Original Assignee
(주)만월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만월회 filed Critical (주)만월회
Priority to KR102022010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286A/en
Publication of KR20240030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2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5/14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using additives, e.g. milk, sugar; Coating, e.g. for preserv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43Liquid, semi-liquid or non-dried semi-soli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Coffee gels; Liquid coffee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6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Abstract

본 명세서는 커피 카스카라 원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제조방법은 건조된 커피 카스카라를 정제수 및 당류를 포함하는 제1 용액에 침지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제1 첨가물을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제2 혼합물을 식히고 발효시킨 후 여과 및 농축하여 커피 카스카라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offee cascara concentrate, which includes preparing a first mixture by immersing dried coffee cascara in a first solution containing purified water and sugars, and adding a first mixture to the first mixture. It includes adding additives to produce a second mixture, cooling and fermenting the second mixture, and then filtering and concentrating to prepare a coffee cascara stock solution.

Description

친환경 커피 카스카라 원액 및 이의 제조방법{ECO FRIENDLY COFFEE CASCARA DRINK UNDILUTED SOLU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Eco-friendly coffee cascara concentr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CO FRIENDLY COFFEE CASCARA DRINK UNDILUTED SOLU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실시예들은 커피 카스카라 원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 버려지고 있는 커피 카스카라를 이용하여 건강 음료를 제조함으로써 커피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양을 감소시키고 카페인 함량이 낮은 건강 음료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Examples relate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coffee cascara concentrate, and more specifically, to reduce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in the coffee industry by manufacturing a healthy drink using currently discarded coffee cascara and to produce a healthy drink with low caffeine content. It is related to how it is provided.

커피 열매의 과육껍질부분을 칭하는 커피 카스카라는 거대한 세계 커피시장에서 사용되지 않고 대부분 폐기되고 있다. 폐기된 커피 카스카라는 폐기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 및 환경오염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Coffee cascara, which refers to the fleshy skin of the coffee fruit, is not used in the huge global coffee market and is mostly discarded. Discarded coffee cascara can cause problems such as disposal time, manpower, and environmental pollution.

일부에서는 커피 카스카라를 이용하여 차를 만들어 음용하기도 하나 매우 소수이며 그 맛이 좋지 않아 대중화되어 있지 않다.Some people use coffee cascara to make tea and drink it, but there are very few and it is not popular because it does not taste good.

따라서 커피 열매에서 취득되는 커피 카스카라를 이용하여 음용하기 편하고 맛이 좋은 음료를 제조하는 것은 환경오염을 막고 값싼 재료를 이용해 고 부가가치의 상품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Therefore, manufacturing an easy-to-drink and good-tasting beverage using coffee cascara obtained from coffee fruits may have the advantage of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providing high value-added products using inexpensive ingredients.

한국등록특허 제101671574호Korean Patent No. 101671574

본 명세서는 커피 원두를 감싸고 있는 과육부분(카스카라)을 폐기하지 않고 음료의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커피 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is specification is to reduce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in the coffee industry by using the pulp portion (cascara) surrounding coffee beans as an ingredient in beverages rather than discarding it.

또한 본 명세서는 매우 저렴한 커피 과육 부분을 이용하여 고 부가가치의 커피음료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purpose of this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high value-added coffee beverage using very inexpensive coffee pulp.

또한 본 명세서는 커피 과육부분을 이용하여 풍부한 향과 맛을 가지는 음료 원액을 제조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purpose of this specification is to produce a beverage solution with a rich aroma and taste using coffee pulp.

또한 본 명세서는 커피 과육부분의 향에 어울리는 다른 첨가물을 첨가함으로써 맛과 향을 모두 충족시키는 음료 원액을 제조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pecification is to produce a beverage solution that satisfies both taste and aroma by adding other additives that match the aroma of the coffee pulp.

본 명세서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사항들로 확장될 수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can be expanded to various matters that can be deri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카스카라 원액 제조방법은 건조된 커피 카스카라를 정제수 및 당류를 포함하는 제1 용액에 침지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제1 첨가물을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발효시킨 후 여과 및 농축하여 커피 카스카라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ducing a coffee cascara stock 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preparing a first mixture by immersing dried coffee cascara in a first solution containing purified water and sugars, adding a first additive to the first mixture. It includes the step of producing a second mixture by adding the second mixture, fermenting the second mixture, then filtering and concentrating the coffee cascara stock solu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당류는 액상과당 또는 말토올리고당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된 커피 카스카라는 5~30 중량%, 제1 용액은 70~95중량%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accharide includes high fructose corn syrup or maltooligosaccharide, the dried coffee cascara may be 5 to 30 wt%, and the first solution may be 70 to 95 wt%.

일 실시예에서,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건조된 커피 카스카라를 설탕과 함께 밀폐된 용기에 넣고 24시간 내지 60시간 발효시키는 단계 및 발효된 커피 카스카라를 상기 제1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preparing the first mixture includes placing dried coffee cascara in a closed container with sugar and fermenting for 24 to 60 hours, and immersing the fermented coffee cascara in the first solution. May include steps.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조된 커피 카스카라는 오일을 이용하여 또는 오일을 이용하지 않고 볶은 후 발효되거나 제1 용액에 침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ied coffee cascara may be roasted with or without oil and then fermented or immersed in a first solu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첨가물은, 매실원액, 오미자원액, 홍차원액, 및 자몽원액 중 둘 이상을 포함하며, 제1혼합물은 85~95 중량% 이고 제1첨가물은 5~15중량%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dditive includes two or more of plum juice, Schisandra chinensis juice, red herb juice, and grapefruit juice, the first mixture is 85 to 95% by weight, and the first additive is 5 to 15% by weight. You ca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첨가물은, 로스팅된 커피원두이며, 제1혼합물은 80~90 중량% 이고 제1첨가물은 10~20중량%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dditive is roasted coffee beans, the first mixture may be 80 to 90% by weight, and the first additive may be 10 to 20% by weigh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카스카라 원액은 상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The coffee cascara concen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prepa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에 따르면 커피 원두를 감싸고 있는 과육부분(카스카라)을 폐기하지 않고 음료의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커피 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in the coffee industry can be reduced by using the pulp portion (cascara) surrounding coffee beans as an ingredient in a beverage rather than discarding it.

본 명세서는 매우 저렴한 커피 과육 부분을 이용하여 고 부가가치의 커피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can provide a high value-added coffee beverage using very inexpensive coffee pulp parts.

본 명세서는 커피 과육부분을 이용하여 풍부한 향과 맛을 가지는 음료 원액을 제조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beverage solution with a rich aroma and taste can be manufactured using coffee pulp.

본 명세서는 커피 과육부분의 향에 어울리는 다른 첨가물을 첨가함으로써 맛과 향을 모두 충족시키는 음료 원액을 제조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beverage solution that satisfies both taste and aroma can be prepared by adding other additives that match the aroma of the coffee pulp.

본 명세서의 효과는 위 기재된 사항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아래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내용들로 확장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above, and can be expanded to various content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카스카라를 설명하기 위한 커피 열매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커피 카스카라 원액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Figure 1 shows coffee fruits to explain coffee cascar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shows a method for producing an eco-friendly coffee cascara concen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is refers not only to a 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but also to an indirect relationship where another component exists in between. Connection relationships may also be included.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or "have" another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 but may further include another compon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s of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mentioned. No. Therefore, with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component in an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in th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also be called.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istinct components are intended to clearly explain each feature, and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components are separated. That is,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to form one hardware or software unit, or one component may be distributed to form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units. Therefore, even if not specifically mentioned, such integrated or distributed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Component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do not necessarily mean essential components, and some may be optional components. Accordingly, embodiments consisting of a subset of the elem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tion, embodiments that includ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exam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명세서는 커피 카스카라 원액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 커피 카스카라는 커피나무 열매의 과육껍질 부분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커피나무의 열매는 체리열매(외과피), 과육(중과피) 및 파치먼트(내과피)로 구분되는데, 본 명세서에서 카스카라는 외과피 또는 외과피와 중과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커피 카스카라는 커피 열매를 펄프드 과정에서 커피콩과 분리된 부분의 껍질들을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coffee cascara concentrate and its preparation method. In this specification, coffee cascara refers to the fleshy skin portion of the coffee tree fruit. Referring to Figure 1, the fruit of a coffee tree is divided into cherry fruit (exocarp), pulp (mesocarp), and parchment (endocarp). In this specification, cascara may include the exocarp or the exocarp and the mesocarp. In other words, coffee cascara can refer to the skin of the part separated from the coffee beans during the pulping process of the coffee fruit.

일반적으로 커피 음료는 커피 열매의 내과피 즉 커피콩 부분을 로스팅하여 제조되며 중과피 또는 외과피 부분은 폐기되거나 퇴비로 사용된다.Generally, coffee drinks are manufactured by roasting the endocarp, or coffee bean, part of the coffee fruit, and the mesocarp or exocarp part is discarded or used as compost.

커피 카스카라는 음식물 쓰레기로서 미생물에 의한 분해과정을 거쳐 폐기시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재배와 가공과정에서 사용된 농약과 약품이 자연에 악영향을 미칠수도 있어 적절한 처리 방안이 필요하다.Coffee cascara is a food waste that undergoes a decomposition process by microorganisms and can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when disposed of. Additionally, pesticides and chemicals used during cultivation and processing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nature, so appropriate treatment measures are needed.

일부에서는 커피 카스카라를 말려 뜨거운 또는 차가운 물에 우려 티로서 음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커피 카스카라 만을 우려먹게되면 카페인 함량이 낮은 이점은 있으나 맛이 덜해 수요자들에게 널리 판매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Some people dry coffee cascara and drink it as tea by steeping it in hot or cold water. However, if you brew only this type of coffee cascara, it has the advantage of low caffeine content, but it is not widely sold to consumers because it is less tasty.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커피 카스카라를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되 그 향과 맛이 커피원두를 이용한 커피음료에 버금가거나 다른 매력의 맛을 가진 음료를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다.Considering this, it is necessary to manufacture a beverage using coffee cascara, but the aroma and taste are comparable to those of coffee drinks using coffee beans or have a different attractive taste.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카스카라 원액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커피 카스카라 원액 제조방법은 건조된 또는 건조되지 않은 커피 카스카라를 정제수 및 당류를 포함하는 제1 용액에 침지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00), 제1 혼합물에 제1 첨가물을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S200) 및 제2 혼합물을 식히고 발효시킨 후 여과 및 농축하여 커피 카스카라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Figure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ducing a coffee cascara concen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ing to Figure 2,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ffee cascara stock solution includes the step of preparing a first mixture by immersing dried or non-dried coffee cascara in a first solution containing purified water and sugars (S100), adding the first mixture to the first mixture. 1. It includes adding an additive to create a second mixture (S200) and cooling and fermenting the second mixture, followed by filtering and concentrating to prepare a coffee cascara stock solution (S300).

커피 카스카라는 저가의 식품이기 때문에 항공을 이용한 수입보다는 해상을 이용한 수입의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커피 카스카라의 상태를 보존하면서 수입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 커피 카스카라는 건조된 상태이거나 설탕에 절인 상태로 수입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Since coffee cascara is a low-cost food, there is a greater possibility of importing it by sea rather than by ai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mport coffee cascara while preserving its condition. To achieve this, it may be necessary to import coffee cascara in a dried or candied state.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건조된 상태의 카스카라 또는 설탕에 절인 카스카라를 제1용액에 침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 of immersing dried cascara or candied cascara in a first solution.

위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00에 있어서, 건조된 커피 카스카라는 설탕과 함께 밀폐된 용기에 넣고 24시간 내지 60시간 발효될 수 있다. 이러한 발효과정을 통해서 향을 유지되면서 맛이 진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후 발효된 커피 카스카라를 제1 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제1 혼합물이 생성될 수 있다. 침지 시간은 1시간 내지 24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침지 온도는 0도에서 5도의 저온이거나, 20도 이상의 상온일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step S100 of preparing the first mixture, dried coffee cascara may be placed in a sealed container with sugar and fermented for 24 to 60 hours. Through this fermentation process, the flavor can be deepened while maintaining the aroma. The first mixture can then be created by immersing the fermented coffee cascara in the first solution. The immersion time may be 1 hour to 24 hou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mmersion temperature may be a low temperature of 0 to 5 degrees or a room temperature of 20 degrees or mo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건조된 커피 카스카라는 오일을 이용하여 볶은 후 이용될 수도 있고, 또는 오일을 이용하지 않은채로 볶은 후 이용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first mixtu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ied coffee cascara may be used after roasting with oil, or may be used after roasting without using oil.

또한 건조된 커피 카스카라는 옥수수 또는 옥수수수염을 우려낸 물을 이용해 쪄낸 후 이용될 수 도 있다. 이렇게 볶거나 쪄낸 커피 카스카라는 제1 용액에 그대로 침지되거나, 발효시킨 후 침지될 수도 있다.Dried coffee cascara can also be used after steaming it using water steeped in corn or corn silk. Coffee cascara roasted or steamed in this way may be immersed in the first solution as is, or may be immersed after fermenta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용액에 포함되는 상기 당류는 액상과당 또는 말토올리고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건조된 커피 카스카라는 5~30 중량%, 제1 용액은 70~95중량%일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ccharide included in the first solu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high-fructose corn syrup or maltooligosaccharide. At this time, the dried coffee cascara may be 5 to 30% by weight, and the first solution may be 70 to 95% by weigh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혼합물에 제1 첨가물을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S200)는 제2 혼합물을 생성 후 끓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혼합물을 장시간 끓여 수분을 제거하고 고농도의 원액을 추출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adding the first additive to the first mixture to generate the second mixture (S200) may include generating the second mixture and then boiling it. The second mixture can be boiled for a long time to remove moisture and extract a highly concentrated solution.

또한 여기서 제1 혼합물에 제1첨가물을 첨가 시, 제1 혼합물은 10~20도의 온도이고, 제1 첨가물은 90도 이상의 고온 상태일 수 있다. 제1 혼합물에 비해 고온의 상태로 제1 첨가물이 첨가됨으로써 제1 첨가물의 맛이 더욱 강하게 생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lso, here, when adding the first additive to the first mixture, the first mixture may have a temperature of 10 to 20 degrees, and the first additive may have a high temperature of 90 degrees or m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aste of the first additive can be created more strongly by adding the first additive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first mixtur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첨가물은, 매실원액, 오미자원액, 홍차원액, 및 자몽원액 중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매실원액과 오미자 원액이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거나, 매실원액과 홍차원액이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거나, 오미자원액과 자몽원액이 하나의 세트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다른 원액이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첨가물의 예시로 든 사항들은 단맛이 강한 재료들로서 커피 카스카라에 부족한 맛 부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맛을 줄이기 위해서 제1 첨가물로서 단호박 우린물 또는 옥수수 잎파리 우린물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혼합물은 85~95 중량% 이고 제1첨가물은 5~15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dditive may include two or more of plum extract, Schisandra extract, Hongchae extract, and grapefruit concentrate. For example, plum extract and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may form one set, plum extract and red herb extract may form one set, Schisandra extract and grapefruit concentrate may form one set, or other concentrates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 The items listed as examples of the first additive are ingredients with a strong sweet taste and have the advantage of enhancing the taste that is lacking in coffee cascara. Additionally, to reduce sweetness, sweet pumpkin boiled water or corn leaf fly boiled water may be used as the first additive. In this case, the first mixture may be 85 to 95% by weight and the first additive may be 5 to 15% by weigh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1 첨가물로서, 매실원액, 오미자원액, 홍차원액, 및 자몽원액 중 둘 이상이 첨가되고, 이어서 제2 첨가물로서 단호박 우린물, 또는 옥수수 잎파리 우린물 또는 옥수수 수염 우린물 중 하나 이상이 첨가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 first additive, two or more of plum extract, Schisandra extract, red herb juice, and grapefruit juice are added, and then as a second additive, one or more of sweet pumpkin extract, corn leaf fly extract, or corn silk extract may be added. It may be possibl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첨가물은, 로스팅된 커피원두이며, 제1혼합물은 80~90 중량% 이고 제1첨가물은 10~20중량%일 수 있다. 여기서 로스팅된 커피원두는 제1 혼합물을 생성시 사용된 커피 카스카라와 동일한 지역에서 재배된 것이거나, 동일한 년도에 수확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ditive is roasted coffee beans, the first mixture may be 80 to 90% by weight, and the first additive may be 10 to 20% by weight. Here, the roasted coffee beans may be grown in the same area as the coffee cascara used to create the first mixture, or may be harvested in the same yea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카스카라 원액 제조방법은 상술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The coffee cascara concentrat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production method.

이상에서 살펴본 본 명세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포함하도록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However,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is specifica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determined to includ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those equivalent to the claim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7)

건조된 커피 카스카라를 정제수 및 당류를 포함하는 제1 용액에 침지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제1 첨가물을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제2 혼합물을 식히고 발효시킨 후 여과 및 농축하여 커피 카스카라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카스카라 원액 제조방법.
Preparing a first mixture by immersing dried coffee cascara in a first solution containing purified water and sugars;
adding a first additive to the first mixture to produce a second mixture;
A method for producing a coffee cascara juice, comprising the step of cooling and fermenting the second mixture, then filtering and concentrating the coffee cascara ju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는 액상과당 또는 말토올리고당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된 커피 카스카라는 5~30 중량%, 제1 용액은 70~9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카스카라 원액 제조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gars include high-fructose corn syrup or maltooligosaccharide,
A method for producing a coffee cascara stock solu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ed coffee cascara is 5 to 30% by weight, and the first solution is 70 to 95% by weigh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건조된 커피 카스카라를 설탕과 함께 밀폐된 용기에 넣고 24시간 내지 60시간 발효시키는 단계; 및
발효된 커피 카스카라를 상기 제1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카스카라 원액 제조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tep of preparing the first mixture is,
Putting dried coffee cascara in a sealed container with sugar and fermenting for 24 to 60 hours; and
A method for producing coffee cascara stock solution, comprising the step of immersing fermented coffee cascara in the first solu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커피 카스카라는 오일을 이용하여 또는 오일을 이용하지 않고 볶은 후 발효되거나 제1 용액에 침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카스카라 원액 제조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A method for producing a coffee cascara concentr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ed coffee cascara is roasted with or without oil and then fermented or immersed in a first solu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첨가물은,
매실원액, 오미자원액, 홍차원액, 및 자몽원액 중 둘 이상을 포함하며,
제1혼합물은 85~95 중량% 이고 제1첨가물은 5~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카스카라 원액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4,
The first additive is,
Contains two or more of plum extract, Schisandra extract, red herb juice, and grapefruit concentrate,
A method for producing a coffee cascara concentr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ixture is 85 to 95% by weight and the first additive is 5 to 15% by weigh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첨가물은,
로스팅된 커피원두이며,
제1혼합물은 80~90 중량% 이고 제1첨가물은 10~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카스카라 원액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4,
The first additive is,
These are roasted coffee beans,
A method for producing a coffee cascara concentr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ixture is 80 to 90% by weight and the first additive is 10 to 20% by weight.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커피 카스카라 원액.Coffee cascara concentrate prepar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KR1020220109096A 2022-08-30 2022-08-30 Eco friendly coffee cascara drink undiluted solu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400302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096A KR20240030286A (en) 2022-08-30 2022-08-30 Eco friendly coffee cascara drink undiluted solu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096A KR20240030286A (en) 2022-08-30 2022-08-30 Eco friendly coffee cascara drink undiluted solu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286A true KR20240030286A (en) 2024-03-07

Family

ID=9027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096A KR20240030286A (en) 2022-08-30 2022-08-30 Eco friendly coffee cascara drink undiluted solu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28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574B1 (en) 2014-07-10 2016-11-01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ffe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574B1 (en) 2014-07-10 2016-11-01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ffe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254B1 (en) Sweet drink made from fermented rice comprising sap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ingh et al. Processed products of tamarind
KR20210001099A (en) Method for producing an extract of herbal materials from which the taste and smell are removed
CN103190495B (en) Miracle fruit health tea for reducing blood sugar
CN104073402A (en) White gourd fat-burning rice wine
KR10074821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mushroom
CN102250711B (en) Manufacture process of fortified grape wine
KR20140024944A (en) Natural products of high quality by using sikhye manufacturing method
JP2001299323A (en) Liquor containing vegetable component
KR20240030286A (en) Eco friendly coffee cascara drink undiluted solu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9098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grain syrup using bamboo shoot
KR102380679B1 (en) Bar rice cake using scorched r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0941667B1 (en) Mixtured Tea of Gombo-Baechu Leaf Tea and Guava Leaf Tea
KR101875768B1 (en) Preparation of soybean sprouts by adding persimmon powder for storage stability
Viswanath et al. Processing for value addition of minor fruits
KR10181204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radish juice meju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ermented sauce using the same
CN104059825A (en) Apple vinegar rice wine
CN103932245A (en) Stomach-strengthening digestion-helping drunken hairy crab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704326B2 (en) How to make wild grass
KR10221872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white Kimchi using cockscomb
KR102537246B1 (en) Butia syru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46247B1 (en) Grapefruitcheo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3788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Wagashi using Blueberry
Maurya et al. Assessment of consumption practices of jackfruit (Artocarpus heterophyllus Lam) in the villages of Jalalpur block, district Ambedkar Nagar (Uttar Pradesh) India
KR102325222B1 (en) Production Method Of Mixed Tea Using Oyster Mush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