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956A -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956A
KR20240027956A KR1020220105852A KR20220105852A KR20240027956A KR 20240027956 A KR20240027956 A KR 20240027956A KR 1020220105852 A KR1020220105852 A KR 1020220105852A KR 20220105852 A KR20220105852 A KR 20220105852A KR 20240027956 A KR20240027956 A KR 20240027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er
golf
image
round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대열
Original Assignee
변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대열 filed Critical 변대열
Priority to KR1020220105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7956A/ko
Publication of KR20240027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9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1Maps, e.g. yardage maps or electronic m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2Absolute positions, e.g. by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홀 맵에 골퍼의 복수의 샷 지점을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샷 지점이 표시된 골프홀 맵의 이미지에서 사용자 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촬영된 골퍼의 영상을 GPS 위성을 이용하여 측정되고 촬영된 영상에 매칭되는 위치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ISTORY OF GOLF ROUNDING}
본 발명은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력효율적이며 이용이 편리한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골퍼장에서의 골퍼의 라운딩 히스토리를 촬영된 동영상을 통해 확인 가능한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다수의 홀이 갖춰진 골프장에서 정지된 공을 골프채로 쳐 홀에 넣는 경기로서 홀에 들어가기까지 걸린 타수가 적은 골퍼가 이기는 경기이다. 3인 또는 4인이 1개조로 구성되어 골프 라운드(라운딩)를 진행하고 1개조(또는 모든 조) 내의 구성원들의 총타수의 많고 적음으로 그 승패가 결정된다.
골프는 운동의 목적 외에도 친목을 다지기 위한 목적으로도 활용된다. 4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18홀(또는 9홀 또는 36홀)을 라운딩하는 골퍼는 골프를 플레이하는 동안 조원 간에 각종 유대관계를 가질 수 있다.
골퍼는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동일한 골프장이나 다른 골프장에 방문하여 해당 골프장에서 플레이한다. 골퍼는 골프장에서 총타수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골프 연습을 하고 플레이할 골프장의 지형 등을 또한 숙지한다.
4시간 이상 여러 지인과 동행하며 이루어지는 골프 라운딩은 하나의 추억 거리가 된다. 골퍼는 여러 지인과 어떻게 골프 플레이를 한 지랑 여러 지인과 어떻게 즐거운 시간을 가졌는지를 알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일부 골퍼는 라운딩 시작전이나 종료후 라운딩을 기념하기 위해 기념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찍을 수 있다.
특히, 근래에 이르러, 브이로그를 구성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또는 인스타그램에 업로딩하기 위해 일부 골퍼는 카메라로 골프 플레이 영상을 계속 촬영하나 이로 인해 골프 플레이에 집중하지 못하고 골프 플레이에 방해가 되는 등의 다양한 불편함이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문헌 1을 발명하였다. 특허문헌 1은 IMU 센서를 활용하여 저전력으로 골퍼의 플레이를 트레이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골퍼의 플레이 영상 등을 촬영하지 못하는 점과 항상 휴대해야 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골프장에서 골퍼의 샷과 행적을 추적 가능하면서도 골퍼의 플레이를 영상과 매칭시켜 확인할 수 있는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10-2021-0154345(A), 2021년12월2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골퍼의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를 동영상과 매칭시켜 확인 가능한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퍼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골퍼의 플레이에 매칭시키며 골퍼의 플레이 히스토리에서의 골퍼의 선택에 따라 골퍼를 촬영한 골프 플레이 영상을 확인 가능한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전력으로 동작하고 인공지능 기능을 탑재한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골퍼를 인식하고 추적하며 그에 따라 촬영된 동영상을 골퍼의 골프 플레이에 매칭 가능한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골프홀 맵에 표시되는 골퍼의 복수의 샷 지점을 전송하고, 복수의 샷 지점이 표시된 골프홀 맵의 이미지에서 사용자 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위치의 수신에 따라 촬영된 골퍼의 영상을 GPS 위성을 이용하여 측정되고 촬영된 영상에 매칭되는 위치와 수신 위치를 이용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골프라운딩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한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골퍼의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PTZ 카메라, GPS 위성으로부터의 GPS 신호에 따라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의 위치를 측정하는 GPS 센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PTZ 카메라를 구동하여 PTZ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에서 골퍼를 인식하고 골퍼의 인식에 따라, PTZ 카메라를 이용하여 골퍼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GPS 센서로부터의 위치를 매칭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부는 인식된 골퍼의 이미지가 촬영되는 영상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PTZ 카메라의 팬, 틸트 및 줌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골퍼의 이동을 추적하고, 골퍼가 PTZ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에서 미인식되는 경우 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는 기구물에 자석을 구비하고 기구물에서 PTZ 카메라가 설치되는 일 끝단의 질량이 일 끝단에 대항하는 타 끝단의 질량보다 가볍다.
상기한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골퍼의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 및 골퍼의 위치 및 움직임을 센싱하는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를 더 포함하고, 저장 디바이스는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로부터의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골퍼를 촬영하는 영상을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로부터의 위치 데이터에 매칭하여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은 골프홀 맵에 골퍼의 복수의 샷 지점을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샷 지점이 표시된 골프홀 맵의 이미지에서 사용자 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촬영된 골퍼의 영상을 GPS 위성을 이용하여 측정되고 촬영된 영상에 매칭되는 위치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샷 지점을 표시하는 단계는 골프홀 맵 상에 골프 샷이 이루어진 복수의 샷 지점, 복수의 샷 지점 중 이웃하는 두 샷 지점 사이의 연결라인 및 골퍼의 인식에 따라 촬영된 복수의 영상의 촬영 지점을 표시하고, 선택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는 선택된 영상을 재생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복수의 영상은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에 의해 골퍼의 인식에 따라 촬영되고 GPS 위성을 통해 촬영된 위치에 매칭되는 영상들이다.
상기한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샷 지점을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PTZ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에서 골퍼를 인식하는 단계, 골퍼가 인식되는 경우에, PTZ 카메라를 이용하여 골퍼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촬영된 영상을 GPS 위성을 통해 측정된 위치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에 있어서, 골퍼를 인식하는 단계 이전에, 영상을 촬영하는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가 구비된 움직임 센서를 통해 인식되는 움직임에 따라 PTZ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골퍼가 영상에 포함되도록 골퍼의 이동을 추적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골퍼의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를 동영상과 매칭시켜 확인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골퍼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골퍼의 플레이에 매칭시키며 골퍼의 플레이 히스토리에서의 골퍼의 선택에 따라 골퍼를 촬영한 골프 플레이 영상을 확인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저전력으로 동작하고 인공지능 기능을 탑재한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골퍼를 인식하고 추적하며 그에 따라 촬영된 동영상을 골퍼의 골프 플레이에 매칭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골프라운딩 관리 서버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를 제공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골프장의 특정 골프홀에서의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를 확인하는 일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를 제공하기 위해 구성되는 시스템은 골프라운딩 관리 서버(200)를 포함하고 나아가 하나 이상의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100)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을 더 포함한다.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100), 사용자 단말(300) 및 골프라운딩 관리 서버(200)는 광대역 망을 통해 서로 연결된(될 수 있)다.
도 1을 통해 제공 시스템의 구성 블록을 간단히 살펴보면,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100)(이하 "저장 디바이스"라고도 함)는 골프장에서 특정 골퍼의 라운딩 히스토리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기기이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특정 골퍼에 대해 다운로딩된 과거 골프 (이력) 정보와 다운로딩된 골프장의 골프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골프 플레이 관련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디바이스(100)는 현재의 위치로부터 골프홀 컵까지의 거리에 대한 안내, 특정 골퍼에 대한 골프채 추천 등의 정보를 음성인식과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과거 골프 정보와 골프장 정보는 광대역 망을 통해 골프라운딩 관리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되고 저장 디바이스(10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특정 골퍼의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내부에 PTZ 카메라(101)를 구비하고 PTZ 카메라(101)를 통해 골퍼(사용자)를 인식하고 PTZ 카메라(101)의 제어에 따라 골퍼를 추적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기록되는 영상에 위치를 매칭시켜(맵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형태의 기구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디바이스(100)는 그 외형이 구(sphere)의 형상, 원통형 형상, 원뿔 형상, (다)각뿔 형상, 오뚜기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구물의 측면에 자석을 구비하여 저장 디바이스(100)가 특정 철 소재 물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디바이스(100)는 기구물의 측면에 측면에서 내측으로 파여져 있고 상하 방향으로 긴 홈을 구비하고 홈 표면 또는 내부에 자석을 구비하여 골프 카트의 폴대(골프 카트의 지붕을 지지하기 위한 4개의 철재 폴대 중 하나의 폴대)에 부착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0)의 홈에 의해 편리하게 임의의 철재 소재에 고정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특정 골퍼의 라운딩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데, 저장 디바이스(100)의 일 끝단에는 PTZ 카메라(101)가 설치되어 골퍼의 이동을 추적 및 영상을 촬영한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PTZ 카메라(101)가 설치되는 일 끝단이 상측에 위치하여 팬, 틸트 및 줌 기능에 따라 골퍼를 인식 및 추적한다. PTZ 카메라(101)가 설치되는 일 끝단(상측 끝단)에 대항하는 타 끝단은 하측에 위치하여 지면 또는 설치 위치의 바닥면에 닿도록 구성된다.
PTZ 카메라(101)가 설치되는 일 끝단의 질량(단위 질량) 또는 단위 무게는 타 끝단의 질량 또는 단위 무게보다 가볍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골퍼가 저장 디바이스(100)를 특정 골프홀이나 필드 위에 놓(거나 던지)는 경우 저장 디바이스(100)는 그 형상(구 형상, 오뚜기 형상, 원뿔, 원통형 형상 등)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간편하게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상태(일 끝단이 위(상측)로 가고 타 끝단이 아래(하측)에 위치하는 직립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0)의 하측(타 끝단) 면은 하측으로 돌출하는 곡면 형상(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 디바이스(100)는 상단과 하단의 질량차이와 하단의 곡면 형상에 의해 상단에 PTZ 카메라(101)가 용이하게 또는 자동으로 위치하는 자동 직립 카메라로 동작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골퍼 전용의 기기이거나 여러 골퍼가 활용할 수 있는 공용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디바이스(100)는 골퍼가 구매한 기기이거나 골프장에 구비되어 골프장을 방문한 골퍼에게 대여하거나 제공하는 기기일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0)에 대해서는 도 3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골퍼가 이용하는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300)은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통신 인터페이스, 입출력 인터페이스,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광대역 망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휴대형 단말이거나 거치형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등에 웹 또는 앱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골프라운딩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각종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를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골퍼가 플레이한 골프홀에서의 일련의 샷 지점들을 골프홀 맵에 표시하고 해당 골프홀에서의 촬영된 골퍼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골프라운딩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여 수신되는 정보나 데이터에 따라 샷 지점들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300)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제어 흐름과 그 예는 도 5 및 도 6에서 좀 더 살펴보도록 한다.
골프라운딩 관리 서버(200)(이하 "관리 서버"라고도 함)는 하나 이상의 골퍼의 과거 골프라운딩 히스토리 정보를 관리한다. 관리 서버(200)는 골퍼가 골프플레이를 한 골프장에서의 골프홀 별 샷 이력 정보와 해당 골프홀에서의 영상 정보 등의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300)의 접속과 요청에 따라 히스토리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에 대해서는 도 2와 도 5 및 도 6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광대역 망은 사용자 단말(300), 저장 디바이스(100) 및 관리 서버(200) 사이의 각종 데이터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다. 광대역 망은 인터넷일 수 있다. 광대역 망은 유선망과 무선망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각종 단말, 디바이스 및 서버 사이의 데이터나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골프라운딩 관리 서버(2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통신 유닛(210), 저장 유닛(230), 연결 유닛(250) 및 제어 유닛(270)을 포함한다. 도 2의 블록도는 기능 블록도로서 관리 서버(200)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물리적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다수의 물리적 서버로 분할 구성되거나 클라우드 서버 등으로 구성되거나 할당된 기능에 따라 분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통해 각 기능 블록을 살펴보면, 통신 유닛(210)은 광대역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 유닛(210)은 무선랜, 유선랜, 광랜 등에 연결되기 위한 통신 칩셋을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210)은 저장 디바이스(100)로부터 골프홀에서의 발생한 복수의 샷 정보와 골프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각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210)은 각종 요청에 대한 응답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요청에 대한 응답은 복수의 샷 정보를 포함하거나 특정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유닛(230)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 유닛(230)은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저장 매체를 포함하여 골퍼의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를 알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 유닛(230)은 골프장 DB와 사용자 DB를 포함한다. 골프장 DB는 하나 이상의 골프장 아이템을 포함하고 골프장 아이템은 골프장 식별정보, 골프홀 수, 골프홀별 특성과 맵(지도)을 포함하고 그외 골프장 관련 각종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골프장 식별정보는 골프장 ID, 골프장 주소, 영업시간, 골프장 타입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골프홀별 특성은 해당 골프홀의 거리(티잉그라운드에서 골프컵까지의 거리), 페어웨이 지형의 특성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골프홀 맵은 해당 골프홀의 페어웨이, 티잉그라운드, 홀컵 등의 지형의 형상과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와 이미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골프홀 맵은 해당 골프홀의 이미지와 해당 골프홀 내에서의 각 지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절대적 위치 또는 상대적 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DB는 골퍼(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DB로서 예를 들어, 골퍼가 플레이를 한 특정 골프장에서의 골프홀 별 점수, 샷 지점들 및 영상들과 해당 특정 골프장에서 촬영된 영상들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브이로그 영상 등을 포함하여 골퍼의 과거 골프 플레이를 복기하거나 회상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DB의 골프홀 별 점수, 샷 지점들 및 영상들은 골퍼에게 제공되는 저장 디바이스(100)에 의해 구성되고 저장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DB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아이템을 포함하고 사용자 아이템은 골퍼의 플레이 이력과 골퍼의 각종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아이템은 사용자 정보와 하나 이상의 골프 이력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골퍼)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포함하고 그 외 사용자 관련 각종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골프 이력 정보는 사용자(골퍼)가 한 골프 플레이에 대한 과거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골프 이력 정보는 골프장 ID, 골프 플레이 시간(시각) 및 총 타수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골프홀 플레이 정보를 더 포함한다. 골프홀 플레이 정보는 골프홀 플레이 시간(시각), 골프홀 번호, 하나 이상의 샷 정보와 0개 이상의 영상 정보를 포함한다. 골프 이력 정보는 브이로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샷 정보는 골퍼에 의해 이루어진 샷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샷 시각, 샷 시작 위치, 샷 거리 및 샷 정지 위치와 샷(골프샷)시 이용한 골프채 번호를 포함한다. 각각의 영상 정보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바람직하게는 동영상)과 영상의 시작 시각 및 영상 시간을 포함하고 영상의 녹화가 이루어진 위치를 더 포함한다. 영상에 매칭되어 저장되는 위치는 GPS 위성을 이용하여 측정되고 결정되는 절대 위치 데이터 또는 해당 골프홀에서의 상대 위치 데이터일 수 있다.
골프홀 플레이 정보(적어도 샷 정보와 영상 정보)는 저장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로부터 구성된다. 골프홀 플레이 정보(샷 정보와 영상 정보)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될 수 있고 골프홀 플레이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다.
저장 유닛(230)은 그 외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 유닛(230)은 제어 유닛(270)에서 수행되고 웹이나 앱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서버 프로그램과 골프홀 플레이 정보들로부터 합성된 영상 콘텐츠를 자동으로 제작하는 브이로그 프로그램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연결 유닛(250)은 관리 서버(200)내의 블록 사이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연결 유닛(250)은 병렬 버스, 시리얼 버스, 유선랜, 무선랜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270)은 관리 서버(200)를 제어한다. 제어 유닛(270)은 저장 유닛(230)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 서버(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유닛(270)은 CPU, MPU, 중앙 처리 장치, 마이컴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수행할 수 있다.
웹 서버나 앱 서버로 동작하는 관리 서버(200)의 제어 유닛(270)은 접속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request)에 따라 각종 응답을 통신 유닛(21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유닛(270)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제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에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저장 디바이스(100)는 PTZ 카메라(101), 입력부(102), 움직임 센서(103), GPS 센서(104), 출력부(105), 통신부(106), 저장부(107) 및 제어부(109)를 포함한다. 설계 예에 따라 저장 디바이스(100)는 일부 블록을 생략하여 구성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골퍼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을 통해 저장 디바이스(100)를 살펴보면, 저장 디바이스(100)의 블록들은 구, 원뿔, 다각뿔 또는 오뚜기 형상의 기구물 내 또는 표면에 설치되거나 위치하고 전기, 전자 부품으로(의 연결로) 구현된다.
PTZ 카메라(101)는 저장 디바이스(100) 외부의 영상을 촬영한다. PTZ 카메라(101)는 렌즈, 카메라 센서와 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모터 및 회로와 틸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모터 및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PTZ 카메라(101)는 렌즈와 카메라 센서의 제어를 통해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PTZ 카메라(101)는 제어부(109)로부터 수신되는 PTZ 제어신호에 팬/틸트/줌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촬영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109)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02)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102)는 마이크, 버튼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골퍼)로부터의 음성 입력 신호나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를 제어부(109)로 출력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103)는 저장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센싱한다. 움직임 센서(103)는 진동 센서, 가속도계 센서, 각속도계 센서 및/또는 지자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움직임 센서(103)는 소위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일 수도 있다. 움직임 센서(103)로부터 센싱되는 움직임 신호는 제어부(109)로 출력될 수 있다.
GPS 센서(104)는 저장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측정한다. GPS 센서(104)는 다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센싱되는 GPS 신호에 따라 센싱된 GPS 데이터를 제어부(109)로 출력하거나 GPS 신호로부터 결정되는 위치 데이터(예를 들어, 위도 경도의 위치 데이터)를 제어부(109)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05)는 각종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부(105)는 LED, 마이크를 포함하여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06)는 통신 패킷을 송수신한다. 통신부(106)는 무선랜, 유선랜, 블루투스, USB 및/또는 이동통신망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6)는 적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위한 통신 칩셋(또는 회로)과 나아가 안테나를 포함하여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07)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나아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부(107)는 저장 디바이스(100)를 사용중인 골퍼의 골프채별 대표 거리 정보와 현재 골프 플레이가 이루어지고 있는 골프장에 대한 정보인 골프장 정보, 현재의 골프장에서 진행중인 골프 플레이에 대해 결정되는 샷 정보들과 골프 플레이 중에 PTZ 카메라(101)를 통해 촬영되고 저장되는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07)는 제어부(109)에서 이용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외 PTZ 카메라(101)의 촬영된 영상에서 사람을 인식하는 사람인식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저장 디바이스(100)를 제어한다. 제어부(109)는 저장부(107)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과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수행을 통해 저장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CPU, MPU, 중앙처리장치, GPU, 마이컴, TPU(Tensor Processing Unit)를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영상촬영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PTZ 카메라(101)를 구동하고 PTZ 카메라(101)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영상에서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통해 골퍼를 인식한다. 골퍼를 인식함에 따라,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부(109)는 PTZ 카메라(101)를 이용하여 인식된 골퍼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GPS 센서(104)로부터의 GPS 데이터 또는 위치 데이터로부터 결정되는 위치를 매칭시켜 저장부(107)에 영상 정보로 저장한다. 저장되는 영상 정보는 촬영된 영상과 촬영된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나아가 녹화 영상의 시작 시각과 영상 지속 시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상의 저장 과정에서, 제어부(109)는 인식된 골퍼의 이미지가 촬영되는 영상의 중앙 영역(직사각형의 전체 촬영 영역 내부에 설정되고 전체 촬영 영역보다 크기가 작은 특정 직사각형 영역)에 위치하도록 PTZ 카메라(101)의 PTZ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팬/틸트/줌 기능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9)는 골퍼의 이동을 팬/틸트/줌 기능을 이용하여 추적한다.
제어부(109)는 추적 중 골퍼가 PTZ 카메라(101)로부터의 영상에서 미인식되는 경우에 PTZ 카메라(101)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저장부(107)로의 저장을 중단하고 영상의 시작 시각과 영상 지속 시간을 영상 정보에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09)는 골프 플레이 중에 골퍼를 포함하는 다수의 영상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그 외 샷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하나 이상의 샷 정보와 영상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샷 정보 및 영상 정보의 생성 및 전송에 관련하여 제어부(109)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제어 흐름은 도 5 및 도 6을 통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를 제공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다른 시스템 예에 따르면,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골프라운딩 관리 서버(200)를 포함하고 나아가 하나 이상의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100),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 및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를 더 포함한다.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100), 사용자 단말(300) 및 골프라운딩 관리 서버(200)는 광대역 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미, 도 1 내지 도 3(특히 도 1)을 통해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를 살펴 보았으므로 도 4의 관련 설명에 도 1의 설명을 참조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과 차이나는 내용을 위주로 제공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관리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골퍼의 과거 골프라운딩 히스토리 정보를 관리한다. 관리 서버(200)는 골퍼가 골프플레이를 한 골프장에서의 골프홀 별 샷 이력 정보와 해당 골프홀에서의 영상 정보 등의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의 접속과 요청에 따라 히스토리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골퍼가 이용하는 단말로서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골프라운딩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각종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를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골프장에서 특정 골퍼의 라운딩 히스토리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기기이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특정 골퍼의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내부에 PTZ 카메라(101)를 구비하고 PTZ 카메라(101)를 통해 골퍼(사용자)를 인식하고 PTZ 카메라의 제어에 따라 골퍼를 추적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기록되는 영상에 위치를 매칭시켜(맵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형태의 기구물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 외형이 구(sphere)의 형상, 원통형 형상, 원뿔 형상, (다)각뿔 형상, 오뚜기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는 기굴물의 측면에 자석을 구비하여 특정 철 소재 물체에 고정 가능하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일 끝단의 상측에 PTZ 카메라(101)가 설치되어 골퍼의 이동을 추적 및 영상을 촬영한다. PTZ 카메라(101)가 설치되는 일 끝단(상측 끝단)에 대항하는 타 끝단은 하측에 위치하여 지면 또는 설치 위치의 바닥면에 닿도록 구성되고 PTZ 카메라(101)가 설치되는 일 끝단의 질량(단위 질량) 또는 단위 무게는 타 끝단의 질량 또는 단위 무게보다 가볍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0)의 하측(타 끝단) 면은 하측으로 돌출하는 곡면 형상(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는 사용자(골퍼)의 상태를 센싱하는 기기이다.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는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을 통해 저장 디바이스(10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 위치나 움직임을 센싱하고 센싱된 위치 데이터나 움직임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저장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는 내부에 움직임 센서, GPS 센서, 근거리 무선통신부 및 제어부(예를 들어, 마이컴, CPU 등)를 포함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위치 데이터(또는 GPS 데이터) 및/또는 움직임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저장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의 움직임 센서는 골퍼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로서 예를 들어, 진동 센서, 가속도계 센서, 각속도계 센서 및/또는 지자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움직임 센서는 IMU 센서일 수도 있다. 움직임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움직임 신호는 제어부로 출력되고 제어부가 움직임 신호에 대응하는 움직임 데이터를 구성 가능하다.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의 GPS 센서는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의 위치를 측정한다. GPS 센서는 다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센싱되는 GPS 신호에 따라 센싱된 GPS 데이터 또는 GPS 신호로부터 결정되는 위치 데이터(예를 들어, 위도 경도의 위치 데이터나 GPS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의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와 안테나 등을 포함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각종 통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의 제어부는 움직임 센서의 움직임 데이터 및/또는 GPS 센서로부터의 위치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저장 디바이스(1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는 사용자(골퍼)가 휴대하는 기기로서, 예를 들어, 허리춤 또는 허리띠에 찰 수 있는 기기, 사용자의 포켓에 보관될 수 있는 기기 및/또는 사용자의 모자의 창 등에 끼울 수 있는 기기(예를 들어, 동글 타입의 기기)일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따른 시스템의 저장 디바이스(100)는 도 3과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디바이스(100)는 움직임 센서(103) 및 GPS 센서(104)를 생략하여 구성될 수 있고 통신부(106)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회로나 안테나 등을 포함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로부터 움직임 데이터 및/또는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09))는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촬영 중인 영상을(또는 영상을 촬영시작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로부터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에 매칭시켜 저장부(107)에 영상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디바이스(의 제어부(109))는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로부터의 일련의 움직임 데이터에서 특정 움직임 패턴(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의 정지 패턴)을 인식하거나 (하나 이상의) 움직임 데이터가 내부 설정된 임계치 이하의 신호임을 인식한 경우에, (영상을 촬영 시작하고) 촬영 중인 영상을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로부터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에 매칭시켜 저장한다. 도 4의 저장 디바이스(100)는 촬영 영상의 저장 전에 지속적으로 골퍼를 인식하고 팬/틸트/줌 기능을 이용하여 골퍼를 탐색 또는 추적할 수 있다.
도 5는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제어 흐름은 저장 디바이스(100), 관리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과 나아가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의 기능 수행과 그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라 이루어진다. 도 5의 제어 흐름은 도 1 또는 도 4의 관리 서버(200), 저장 디바이스(100) 및 사용자 단말(300)과 나아가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를 포함하는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고 이루어진다.
먼저, 저장 디바이스(100)는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여 골프 플레이가 이루어질 골프장에 대한 정보와 저장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골퍼의 정보를 다운로드(① 참조)한다. 저장 디바이스(100)는 골프장에서 임대나 대여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거나 골퍼가 구매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09)는 통신부(106)를 통해 관리 서버(200)로 접속하고 사용자 ID와 패스워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사용자(골퍼)의 골프채별 대표거리 정보 또는 사용자의 골프 이력 정보들의 샷 정보들을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골프 이력 정보의 샷 정보들을 이용하여 골프채별 대표 거리(예를 들어, 평균 거리 등) 정보를 구성하거나 제어부(109)가 수신된 샷 정보들을 이용하여 골프채별 대표 거리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입력부(102)를 통한 사용자 입력 등을 통해 현재 골프 플레이가 이루어질 골프장을 특정하고 특정된 골프장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06)를 통해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 골프장 정보는 예를 들어 특정된 골프장에 대응하는 골프장 아이템의 골프장 식별정보, 골프홀 수, 골프홀별 특성과 맵(지도)을 포함할 수 있다.
골프 플레이가 이루어질 골프장에 대한 정보와 골퍼에 대한 정보의 수신 또는 결정 이후에, 저장 디바이스(100)는 샷 정보를 구성 및 저장(② 참조)하고 영상 정보를 구성 및 저장(③ 참조)한다. 여기서, 샷 정보의 구성 및 저장 과정과 영상 정보의 구성 및 저장 과정은 서로 독립적이고 그 선후 관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샷 정보의 구성 및 저장 과정과 영상 정보의 구성 및 저장 과정은 각각의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고 골프홀에서의 플레이에 따라 다수회 수행된다.
먼저, 샷 정보의 구성 및 저장 과정을 살펴보면, 저장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09))는 입력부(102)를 통한 골퍼(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샷 정보를 구성하고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9)는 입력부(102)를 통한 버튼 입력이나 음성 입력에 따라 골프 샷이 이루어진 시각, 샷 시작 위치와 골프채 번호를 결정하고 이를 포함하는 샷 정보를 구성한다. 또한, 제어부(109)는 직전(이전)에 구성된 샷 정보에 샷 거리와 샷 정지 위치를 기록하고 저장부(107)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골프 샷이 이루어지고 GPS 센서(104)를 통해 결정되는 현재 위치와 이전(직전) 골프 샷에서의 위치의 차이로 샷 거리를 산출할 수 있고 이전 골프 샷 정보에 현재 위치를 샷 정지 위치로 기록할 수 있다.
영상 정보의 구성 및 저장 과정을 살펴보면, 도 1의 시스템 상에서 골퍼(사용자)는 저장 디바이스(100)를 샷(골프 샷)이 이루어지는 위치 근처의 그라운드 등의 위에 놓고, 저장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09))는 디폴트로(기본적으로) PTZ 카메라(101)의 구동을 중지한 상태에서 구비된 움직임 센서(103)를 통해 인식되는 움직임에 따라 PTZ 카메라(101)를 자동 구동한다.
제어부(109)는 움직임 센서(103)로부터의 움직임 신호로부터 특정 움직임 패턴(저장 디바이스(100)의 정지 패턴)을 인식하거나 (하나 이상의) 움직임 신호가 내부 설정된 임계치 이하의 신호임을 인식한 경우에, PTZ 카메라(101)로 영상촬영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PTZ 카메라(101)를 구동 시작한다.
PTZ 카메라(101)의 구동에 따라 사람인식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제어부(109)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통해 PTZ 카메라(101)에서 출력되는 영상에서 골퍼를 인식한다. 골퍼가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09)는 PTZ 카메라(101)를 이용하여 인식된 골퍼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GPS 위성을 통해 측정된 위치에 매칭하여 저장부(107)에 저장한다. 움직임 센서(103)를 통한 PTZ 카메라(101)의 구동후 골퍼가 미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09)는 PTZ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팬/틸트/줌 기능을 통해 골퍼를 탐색할 수도 있다.
촬영 과정에서 제어부(109)는 촬영된 영상 프레임(이미지)에서 인식된 골퍼의 위치 영역을 식별하고 인식된 골퍼의 식별 영역이 영상 프레임(이미지)의 특정 영역(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PTZ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PTZ 카메라(101)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09)는 골퍼가 촬영 영상에 포함되도록 골퍼의 이동을 추적하고 골퍼가 촬영 영상에서 인식되지 않는 경우 PTZ 카메라(101)의 촬영을 중단(종료)하고 영상 정보의 구성을 완료한다. 촬영 중단에 따라 PTZ 카메라(101)는 수신되는 영상촬영 제어신호에 따라 오프된다.
제어부(109)는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구성하고 저장한다. 제어부(109)는 촬영 시작시에 영상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영상 정보에 영상 촬영의 시작 시각과 촬영시의 위치를 저장한다. 저장되는 위치는 GPS 위성을 이용하여 GPS 센서(104)를 통해 측정되고 결정되는 위치로서 예를 들어 절대 위치 데이터(예를 들어, 위도와 경도로 표현되는 위치 데이터)이거나 상대 위치 데이터(특정 골프홀 또는 특정 골프장의 기준 위치로부터 상대적인 위치 데이터)일 수 있다.
영상 촬영이 중단됨에 따라, 제어부(109)는 촬영이 이루어진 시작 시각 이후 촬영 중단 사이의 전체 영상과 시작 시각 후 촬영 중단 시각 사이의 영상 시간을 영상 정보에 기록하고(포함하고) 저장부(107)에 저장한다.
제어부(109)는 영상 촬영이 필요한 경우에만 PTZ 카메라(101)의 구동을 시작하고 골퍼가 인식되는 경우에 골퍼 관련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여 저장 디바이스(100)에 더 구비되고 저장 디바이스(100)의 다른 블록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소비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저장 디바이스(100)의 라이프 타임을 늘릴 수 있다.
영상 정보의 구성 및 저장의 다른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도 4의 시스템 상에서, 저장 디바이스의 제어부(109)는 PTZ 카메라(101)로 영상촬영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PTZ 카메라(101)를 구동한다. 제어부(109)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로부터 통신 패킷을 수신하는 있는 경우 또는 카메라 온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통신 패킷에서의 수신에 따라 PTZ 카메라(101)를 구동할 수 있다.
PTZ 카메라(101)의 구동에 따라 사람인식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제어부(109)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통해 PTZ 카메라(101)에서 출력되는 영상에서 골퍼를 인식하고 골퍼가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09)는 PTZ 카메라(101)를 이용하여 인식된 골퍼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측정 위치에 매칭하여 저장부(107)에 이후 저장할 수 있다.
촬영 과정에서 제어부(109)는 촬영된 영상 프레임(이미지)에서 인식된 골퍼의 위치 영역을 식별하고 인식된 골퍼의 식별 영역이 영상 프레임(이미지)의 특정 영역(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PTZ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PTZ 카메라(101)로 출력한다. 제어부(109)는 골퍼가 촬영 영상에 포함되도록 골퍼의 이동을 실시간 추적하고 골퍼가 촬영 영상에서 인식되지 않는 경우 PTZ 카메라(101)의 촬영을 중단(종료)할 수 있다.
골퍼 인식에 따른 골퍼의 촬영 동안에, 제어부(109)는 (주기적으로)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로부터 움직임 데이터 및/또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부(109)는 수신된 일련의 움직임 데이터가 특정 움직임 패턴(예를 들어,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의 정지 패턴)을 나타내거나 움직임 데이터가 내부 설정된 임계치 이하의 신호인 경우에(나아가 골퍼가 인식되고 있는 동안에)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데이터에 매칭시켜 저장부(107)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변형 예로서, 제어부(109)는 PTZ 카메라(101)를 통해 미리 촬영하기 전에 움직임 데이터가 정지 패턴이거나 또는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 PTZ 카메라(101)를 구동을 시작 및 촬영하고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부(107)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09)는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구성하고 저장한다. 제어부(109)는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한 판단 결과에 따라 영상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영상 정보에 영상 촬영의 시작 시각과 촬영시의 위치를 저장한다. 저장되는 위치는 GPS 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400)의 GPS 센서를 통해 측정되고 결정되는 위치로서 예를 들어 절대 위치 데이터(예를 들어, 위도와 경도로 표현되는 위치 데이터)이거나 상대 위치 데이터(특정 골프홀 또는 특정 골프장의 기준 위치로부터 상대적인 위치 데이터)일 수 있다.
골퍼의 미인식, 특정 패턴의 미인식이나 임계치 이상의 신호 인식 등에 따라 영상 촬영(영상 정보의 저장)이 중단됨에 따라, 제어부(109)는 영상 정보의 저장 시작 시각 이후 촬영 중단(영상 정보의 저장 중단) 사이의 전체 영상과 시작 시각 후 촬영 중단(영상 정보의 저장 중단) 시각 사이의 영상 시간을 영상 정보에 기록하고(포함하고) 저장부(107)에 저장한다.
샷 정보의 구성 및 저장(② 참조)과 영상 정보의 구성 및 저장(③ 참조) 과정은 골프장 또는 골프홀 내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9)는 사용자(골퍼)로부터 각종 입력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출력부(10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홀 컵까지의 거리 질의 입력(예를 들어, 음성 입력)의 수신에 따라 제어부(109)는 GPS 센서(104)를 통해 인식되는 현재 위치로부터 골프홀 맵에 따른 골프홀 컵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는(또한) 제어부(109)는 현재 위치에서의 추천 골프채 입력의 수신(예를 들어, 음성 입력)에 따라 골퍼의 골프채별 대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골프채를 결정하고 안내할 수 있다. 골프채별 대표 거리 정보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관리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된 과거 샷 정보들을 이용하여 제어부(109)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특정 골프장에서의 골프 플레이가 완료됨에 따라, 저장 디바이스(100)는 골프홀 별 다수의 샷 정보와 다수의 영상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 상태가 되고 저장 디바이스(100)는 저장부(107)에 저장되어 있는 샷 정보들과 영상 정보들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④ 참조)한다.
예를 들어, 저장 디바이스(100)는 골프장에서 제공되는 기기를 통해서 또는 통신부(106)를 통해 직접 관리 서버(200)에 연결하고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로그인할 수 있다. 로그인에 후속하여 저장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다수의 샷 정보와 다수의 영상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는 저장 디바이스(100)로부터 다수의 샷 정보와 다수의 영상 정보를 광대역 망을 통해 수신하고 신규의 골프 이력 정보로 구성하여 저장(⑤ 참조)한다. 관리 서버(200)의 제어 유닛(270)은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로 식별되는 사용자 아이템에 신규의 골프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골프 이력 정보를 수신되는 샷 정보들과 영상 정보들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제어 유닛(270)은 샷 정보들과 영상 정보들의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골프홀 플레이 정보에 해당 골프홀에서 이루어지고 촬영된 샷 정보들과 대응하는 영상 정보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제어 유닛(270)은 골프홀 별 맵의 위치 영역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샷과 영상을 결정하고 저장할 수 있다.
골프 이력 정보는 반드시 관리 서버(200)에 의해 구성될 필요는 없다. 샷 정보들과 영상 정보들을 포함하는 골프 이력 정보를 저장 디바이스(100)가 구성하고 구성된 골프 이력 정보를 관리 서버(200)가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골프 이력 정보의 골프홀 플레이 정보들의 영상 정보들을 이용하여 브이로그를 구성하고 구성된 브이로그를 골프 이력 정보에 더 저장(⑥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 직립 가능하고 골프 카트(의 지붕 지지폴대) 등에 쉽게 고정 가능한 저장 디바이스(100)는 특정 골프장에서의 이루어진 골프 플레이를 특정가능한 샷 정보와 위치로 태깅되(매칭된)고 저전력으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 서버(200)는 이를 저장한다.
골퍼는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과거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다. 골퍼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300)은 관리 서버(200)에 접속(⑦ 참조)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관리 서버(200)는 로그인된 사용자의 사용자 아이템을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관리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은 골프홀 맵에 골퍼의 복수의 샷 지점을 표시(도 6의 ⓐ, ⓑ, ⓒ, ⓓ, ⓔ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은 골프홀 맵 상에 골프 샷이 이루어진 다수의 샷 지점, 다수의 샷 지점 중에서 이웃하는 두 샷 지점 사이의 연결 라인(도 6에서 점선의 곡선 라인), 골퍼 인식에 따라 촬영된 영상의 촬영 지점(도 6의 A 및 B 참조)을 표시한다. 샷 지점의 표시와 촬영 지점의 표시는 공통될 수 있고 이 경우 하나의 표시(예를 들어, 촬영 지점의 표시)는 생략될 수 있다.
표시되는 지점 등은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다. 관리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300) 사이의 연동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3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로그인한 사용자의 사용자 아이템의 골프 이력 정보들을 요약한 요약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선택 입력으로 특정 골프 이력 정보와 특정 골프 이력 정보 내의 특정 골프홀 플레이 정보를 선택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선택된 골프홀 플레이 정보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관리 서버(200)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골프홀 플레이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⑧ 참조)한다. 전송되는 골프홀 플레이 정보는 골퍼의 골프 플레이를 특정할 수 있는 샷 지점들과 촬영된 영상을 특정하는 영상 지점(위치)들을 포함하고 나아가 골프홀 맵(의 이미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되는 골프홀 플레이 정보는 촬영된 영상의 대표 이미지(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의 첫(또는 중간 또는 마지막) 이미지 프레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응답으로 수신된 골프홀 플레이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⑨ 참조)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골프홀 맵의 이미지에 로그인한 골퍼가 플레이한 샷 지점들을 표시하고 샷 지점들이 표시된 골프홀 맵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샷 지점의 표시(출력)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다수의 샷 지점 외에 이웃하는 두 샷 지점 사이의 연결라인과 골퍼의 인식에 따라 촬영된 영상의 지점(위치)을 골프홀 맵의 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더 표시(도 6 참조)한다. 골프홀 맵의 이미지에 표시되는 지점들에 대응하는 영상들은 저장 디바이스(100)에 의해 골퍼의 인식에 따라 촬영되고 GPS 위성을 통해 인식되는 촬영 위치에 매칭되는 영상들이다.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특정 골프장이나 특정 골프홀에서의 자신의 과거 골프 플레이 히스토리를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특정 골프 플레이 모습을 영상을 통해 더 확인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300)은 입력 인터페이스(도 6의 C 참조)를 통해 특정 영상 지점의 선택 입력(예를 들어, 마우스의 해당 위치로의 이동)을 수신하고 나아가 수신된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대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로 출력(도 6의 D 참조)한다.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영상 재생 입력(예를 들어, 마우스의 버튼 입력이나 키보드 등을 통한 버튼 입력)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은 영상 재생이 요청된 영상을 특정(지정)할 수 있는 영상 선택 요청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⑩ 참조)한다. 영상 선택 요청은 선택된 영상의 지점 또는 위치나 선택된 영상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영상 선택 요청의 수신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골프 이력 정보의 골프홀 플레이 정보의 영상 정보들에서 다수의 샷 지점이 표시된 골프홀 맵의 이미지에서 사용자 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영상 선택 요청의 위치에서 촬영된 골퍼의 영상을 선택(⑪ 참조)한다. 관리 서버(200)는 영상 선택 요청의 선택 위치와 골프홀 플레이 정보의 영상 정보들에 매칭된 촬영 위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골프홀 플레이 정보의 각각의 영상 정보는 촬영된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 GPS 위성을 이용하여 측정되고 영상에 매칭되는 위치나 식별자를 포함하고 관리 서버(200)는 영상 선택 요청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또는 식별자)를 가지는 영상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관리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은 선택된 영상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는 영상 선택 요청의 응답으로 대응하는 위치를 가지는(위치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의 동영상)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⑫ 참조)하고 사용자 단말(300)은 수신된 영상( 정보)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로 출력(⑬ 참조)한다.
관리 서버(200)는 압축된 동영상을 복원하고 복원된 동영상 스트림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300)이 동영상 스트림을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200)는 압축된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복원하고 복원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5의 제어 과정을 통해, 골퍼는 자신의 골프 플레이와 그 영상을 저장 디바이스(100)를 통해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골퍼의 과거 골프 플레이 히스토리와 영상을 위치에 연계하여 매칭시켜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골퍼)는 자신의 골프 플레이와 그 과정을 위치에 매칭되는 영상을 통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저장 디바이스
101 : PTZ 카메라
102 : 입력부
103 : 움직임 센서
104 : GPS 센서
105 : 출력부
106 : 통신부
107 : 저장부
109 : 제어부
200 : 관리 서버
210 : 통신 유닛
230 : 저장 유닛
250 : 연결 유닛
270 : 제어 유닛
300 : 사용자 단말
400 :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

Claims (8)

  1.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골프홀 맵에 표시되는 골퍼의 복수의 샷 지점을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샷 지점이 표시된 상기 골프홀 맵의 이미지에서 사용자 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위치의 수신에 따라 촬영된 골퍼의 영상을 GPS 위성을 이용하여 측정되고 촬영된 영상에 매칭되는 위치와 수신 위치를 이용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골프라운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골퍼의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PTZ 카메라;
    GPS 위성으로부터의 GPS 신호에 따라 상기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의 위치를 측정하는 GPS 센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PTZ 카메라를 구동하여 상기 PTZ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에서 골퍼를 인식하고 골퍼의 인식에 따라, 상기 PTZ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골퍼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상기 GPS 센서로부터의 위치를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식된 상기 골퍼의 이미지가 촬영되는 영상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PTZ 카메라의 팬, 틸트 및 줌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골퍼의 이동을 추적하고, 상기 골퍼가 상기 PTZ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에서 미인식되는 경우 영상 촬영을 중단하고,
    상기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는 기구물에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기구물에서 상기 PTZ 카메라가 설치되는 일 끝단의 질량이 상기 일 끝단에 대항하는 타 끝단의 질량보다 가벼운,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골퍼의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 및
    골퍼의 위치 및 움직임을 센싱하는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로부터의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골퍼를 촬영하는 영상을 상기 사용자 상태센싱 기기로부터의 위치 데이터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시스템.
  5. 골프홀 맵에 골퍼의 복수의 샷 지점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샷 지점이 표시된 상기 골프홀 맵의 이미지에서 사용자 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촬영된 골퍼의 영상을 GPS 위성을 이용하여 측정되고 촬영된 영상에 매칭되는 위치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샷 지점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골프홀 맵 상에 골프 샷이 이루어진 상기 복수의 샷 지점, 상기 복수의 샷 지점 중 이웃하는 두 샷 지점 사이의 연결라인 및 골퍼의 인식에 따라 촬영된 복수의 영상의 촬영 지점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는 선택된 영상을 재생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은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골퍼의 인식에 따라 촬영되고 GPS 위성을 통해 촬영된 위치에 매칭되는 영상들인,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샷 지점을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PTZ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에서 골퍼를 인식하는 단계;
    골퍼가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PTZ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골퍼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촬영된 영상을 GPS 위성을 통해 측정된 위치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골퍼를 인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라운딩정보 저장 디바이스가 구비된 움직임 센서를 통해 인식되는 움직임에 따라 상기 PTZ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골퍼가 상기 영상에 포함되도록 상기 골퍼의 이동을 추적하는,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KR1020220105852A 2022-08-24 2022-08-24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27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852A KR20240027956A (ko) 2022-08-24 2022-08-24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852A KR20240027956A (ko) 2022-08-24 2022-08-24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956A true KR20240027956A (ko) 2024-03-05

Family

ID=9029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852A KR20240027956A (ko) 2022-08-24 2022-08-24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79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345A (ko) 2020-06-12 2021-12-21 (주)포트러시 골프 플레이 트레이싱 방법, 디바이스 및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345A (ko) 2020-06-12 2021-12-21 (주)포트러시 골프 플레이 트레이싱 방법, 디바이스 및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430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116714A1 (en) Digital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Skateboarding and Other Social Sporting Activities
US8944928B2 (en) Virtual reality system for viewing current and previously stored or calculated motion data
US10315085B2 (en) Baseball pitch simulation and swing analysis system
US10225695B2 (en) Smart playable device and charging systems and methods
KR102044874B1 (ko) 당구장 영상 관리 시스템
KR20230130166A (ko) 자율 디지털 미디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21630A1 (en) Smart Playable Flying Disc and Methods
US20210280082A1 (en) Providing Workout Recap
JP2021535806A (ja) 仮想環境の観察方法、デバイス及び記憶媒体
WO2012018914A2 (en) Digital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skateboarding and other social sporting activities
US10237465B2 (en) Camera, method, and system for filming golf game
KR20230026476A (ko) 연결된 요요
KR20240027956A (ko) 골프 라운딩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5243A (ko) 실제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당구장 영상 시스템
KR102548032B1 (ko) Ai 골프 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시스템
KR102369494B1 (ko) 골프 플레이 트레이싱 방법, 디바이스 및 서버
KR102281124B1 (ko) 사용자의 골프 스윙 영상 편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220099919A (ko) 골프장 내 골퍼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70857A (ko) 골프 시뮬레이션 네트워크 시스템
KR102613027B1 (ko) 골프공 위치 추적 시스템
JP2020099592A (ja) 端末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56110B1 (ko) 골프 시뮬레이터와 실제 골프장을 이용한 경기 이력을 스마트 폰를 통해 서비스하는 시스템
KR101515655B1 (ko) 골프 시뮬레이터와 실제 골프장을 이용한 경기 이력을 스마트 폰를 통해 서비스하는 방법
JP201702272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