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419A -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419A
KR20240027419A KR1020220105615A KR20220105615A KR20240027419A KR 20240027419 A KR20240027419 A KR 20240027419A KR 1020220105615 A KR1020220105615 A KR 1020220105615A KR 20220105615 A KR20220105615 A KR 20220105615A KR 20240027419 A KR20240027419 A KR 20240027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
integrated
offline
management system
t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양현
복중효
이철호
이국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나플래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나플래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나플래닛
Priority to KR1020220105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7419A/en
Publication of KR20240027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419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매장을 방문한 대기 고객이나, 매장 방문 전 예약 고객들에게 매장 테이블을 효율적으로 매칭해 줄 수 있어 고객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which can reduce customer waiting time by efficiently matching store tables to waiting customers who visit the store or customers who have made reservations before visiting the store.

Description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다수의 매장들을 통합 관리하는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매장을 방문한 대기 고객이나, 매장 방문 전 예약 고객들에게 매장 테이블을 매칭해주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echnology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stores, and in particular, to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matches store tables to waiting customers who visit the store or customers who make reservations before visiting the store.

식당이나 커피숍 등과 같은 매장에 빈 테이블이 없을 경우 매장을 방문한 고객은 대기 접수하고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매장 방문 전에 이미 예약을 했다 하더라도 매장을 방문했을 때 빈 테이블이 없으면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f there are no empty tables in a store such as a restaurant or coffee shop, customers who visit the store ha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gister and wait. Additionally, even if you have already made a reservation before visiting the store,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wait if there are no empty tables when you visit the store.

한편, 매장에서 식자재가 남을 경우 보존 기간이 짧은 식자재는 폐기해야 하므로, 식자재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고객이 여러 매장에 상품들을 주문했을 때 매장 마다 개별적으로 배송하므로, 배송 시간도 다르고 배송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when food ingredients are left over at a store, food ingredients with a short shelf life must be discarded, resulting in waste of food ingredients. Additionally, when a customer orders products from multiple stores, they are delivered individually to each store, so delivery times vary and delivery costs are high.

따라서, 본 발명자는 매장을 방문한 대기 고객이나, 매장 방문 전 예약 고객들에게 매장 테이블을 효율적으로 매칭해 줄 수 있어 고객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매장들 간의 식자재 물물 교환을 실시간 중개하여 식자재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고객이 여러 매장에 상품을 주문했을 때 통합 배송함으로써 배송 시간 및 배송 비용을 단일화할 수 있는 통합 매장 관리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can efficiently match store tables to waiting customers who have visited the store or customers who have made reservations before visiting the store, thereby reducing the waiting time of customers and reducing food material waste by brokering the exchange of food ingredients between stores in real time. We conducted research o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technology that can prevent and unify delivery time and delivery costs by providing integrated delivery when customers order products from multiple store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90823호 (2022.06.30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90823 (published on June 30, 2022)

본 발명은 매장을 방문한 대기 고객이나, 매장 방문 전 예약 고객들에게 매장 테이블을 효율적으로 매칭해 줄 수 있어 고객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can reduce customer waiting time by efficiently matching store tables to waiting customers who visit the store or customers who have made reservations before visiting the sto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장들 간의 식자재 물물 교환을 실시간 중개하여 식자재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event food material waste by brokering the exchange of food materials between stores in real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객이 여러 매장에 상품들을 주문했을 때 통합 배송함으로써 배송 시간 및 배송 비용을 단일화할 수 있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can unify delivery time and delivery costs by delivering integrated delivery when a customer orders products from multiple stor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이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주문결제용 포스(POS) 단말들과,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주문결제용 키오스크(Kiosk) 단말들과, 다수의 사용자 이동단말들에 의한 대기 주문들을 실시간 통합 관리하는 통합 주문 접수부와; 각 오프라인 매장들의 테이블(Table)들의 입석/공석 현황을 실시간 파악하는 테이블 현황 파악부와; 통합 주문 접수부에 의해 접수되는 대기 주문들을 분류하여, 테이블 현황 파악부에 의해 실시간 파악되는 각 오프라인 매장들의 공석 테이블들에 대기 주문들을 실시간 매칭하는 테이블 매칭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includes POS terminals for order payment in multiple offline stores and Kiosk terminals for order payment in multiple offline stores. And, an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that manages waiting orders in real time by multiple user mobile terminals; A table status detection unit that monitors the presence/vacancy status of tables in each offline store in real time; It includes a table matching unit that classifies the waiting orders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and matches the waiting orders in real time to the vacant tables of each offline store that are identified in real time by the table status detection unit.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테이블 매칭부가 통합 주문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단체 대기 주문을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공석 테이블에 단체 대기 주문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matching unit may be implemented to match the group waiting order for a specific offline store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to the vacant table of the offline store.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테이블 매칭부가 통합 주문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개별 대기 주문들을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공석 테이블에 합석 대기 주문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matching unit may be implemented to match individual waiting orders for a specific offline store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to an empty table in the offline store.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테이블 매칭부가 통합 주문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에 대한 단체 묶음 대기 주문을 해당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의 공석 테이블들에 시계열적으로 단체 묶음 대기 주문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matching unit matches the group bundled waiting orders for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to the vacant tables of the plurality of offline stores in time series. It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테이블 매칭부가 통합 주문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에 대한 개별 묶음 대기 주문들을 해당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의 공석 테이블들에 시계열적으로 합석 묶음 대기 주문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matching unit matches individual bundled waiting orders for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to the vacant tables of the plurality of offline stores in time series. It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테이블 매칭부가 통합 주문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대기 주문을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공석 테이블에 매칭시,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공석 테이블이 특정 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으면 해당 오프라인 매장과 테이블 대여 협약된 이웃 오프라인 매장의 공석 테이블에 대기 주문을 대여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able matching unit matches the waiting order for a specific offline store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to the vacant table in the offline store, if there is no vacant table in the offline store for a specific time, It can be implemented to rent and match waiting orders to vacant tables at neighboring offline stores that have a table rental agreement with the relevant offline store.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이 다수의 사용자 이동단말들에 의한 예약들을 실시간 통합 관리하는 예약 접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reservation reception unit that integrates and manages reservations made by a plurality of user mobile terminals in real time.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테이블 매칭부가 예약 접수부에 의해 접수되는 예약들을 분류하여, 테이블 현황 파악부에 의해 파악되는 각 오프라인 매장들의 테이블들 중 특정 테이블을 선택하여 예약 시간에 각 예약들을 비실시간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matching unit classifies reservations received by the reservation reception unit, selects a specific table among the tables of each offline store identified by the table status determination unit, and compares each reservation at the reservation time. It can be implemented to match in real time.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테이블 매칭부가 예약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단체 예약을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테이블들 중 선택된 특정 테이블에 예약 시간에 단체 예약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matching unit may be implemented to match the group reservation for a specific offline store received by the reservation reception unit to a specific table selected among the tables of the offline store at the reservation time.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테이블 매칭부가 예약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개별 예약들을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테이블들 중 선택된 특정 테이블에 예약 시간에 합석 예약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matching unit may be implemented to match individual reservations for a specific offline store received by the reservation reception unit to a specific table selected among the tables of the offline store at the reservation time.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테이블 매칭부가 예약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에 대한 단체 묶음 예약을 해당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의 테이블들 중 선택된 특정 테이블들에 예약 시간에 시계열적으로 단체 묶음 예약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matching unit makes group reservations for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received by the reservation reception unit in a time-series manner at the reservation time to specific tables selected among the tables of the plurality of offline stores. It can be implemented to match bundled reservations.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테이블 매칭부가 예약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에 대한 개별 묶음 예약들을 해당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의 테이블들 중 선택된 특정 테이블들에 예약 시간에 시계열적으로 합석 묶음 예약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matching unit combines individual bundle reservations for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received by the reservation reception unit in time series at the reservation time to specific tables selected from among the tables of the plurality of offline stores. It can be implemented to match bundled reservations.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이 각 오프라인 매장들 간의 식자재 물물 교환을 실시간 중개하는 식자재 교환 중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food material exchange brokerage unit that brokers real-time food material exchange between each offline store.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이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배달용 포스(POS) 단말들에 의한 상품 주문들과, 다수의 배달원 이동단말들에 의한 상품 배달들을 실시간 관리하되, 동일한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배달용 포스(POS) 단말들로 다수의 상품들이 주문 요청된 경우, 해당 동일한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주문 요청된 상품들을 묶음 배송할 하나의 배달원 이동단말을 선택하여 묶음 배송 요청하는 주문 배달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manages product orders by POS terminals for delivery of multiple offline stores and product deliveries by multiple delivery worker mobile terminals in real time, but is managed by the same user. When multiple products are requested to be ordered from a mobile terminal to the delivery POS terminals of multiple offline stores, a bundled delivery request is made by selecting one delivery person's mobile terminal to deliver the products ordered from the same user's mobile terminal in a bundle. It may further include an order delivery management department.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이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쿠폰을 발행하여 사용자 이동단말들로 제공하는 쿠폰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oupon management unit that issues coupons that can be commonly used in multiple offline stores and provides them to user mobile terminals.

본 발명은 매장을 방문한 대기 고객이나, 매장 방문 전 예약 고객들에게 매장 테이블을 효율적으로 매칭해 줄 수 있어 고객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customer waiting time by efficiently matching store tables to waiting customers who have visited the store or to customers who have made reservations before visiting the store.

또한, 본 발명은 매장들 간의 식자재 물물 교환을 실시간 중개하여 식자재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food material waste by brokering the exchange of food materials between stores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이 여러 매장에 상품들을 주문했을 때 통합 배송함으로써 배송 시간 및 배송 비용을 단일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unifying delivery time and delivery costs by providing integrated delivery when a customer orders products from multiple store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요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1 is a network schematic diagram of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it.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related detailed descriptions are described, they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y particular form.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요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100)은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주문결제용 포스(POS) 단말(200)들과,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주문결제용 키오스크(Kiosk) 단말(300)들과, 다수의 사용자 이동단말(400)들과,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배달용 포스(POS) 단말(500)들과, 다수의 배달원 이동단말(600)들과, 배달 대행사 서버(700) 등과 네트워크 연동된 서버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1 is a network schematic diagram of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OS terminals 200 for order payment in multiple offline stores and kiosks for order payment in multiple offline stores. ) Terminals 300, a plurality of user mobile terminals 400, a plurality of POS terminals 500 for delivery of offline stores, a plurality of delivery worker mobile terminals 600, and a delivery agency server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software running on a server linked to a network such as (700).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100)은 통합 주문 접수부(110)와, 테이블 현황 파악부(120)와, 테이블 매칭부(130)를 포함한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 the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n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110, a table status determination unit 120, and a table matching unit 130.

통합 주문 접수부(110)는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주문결제용 포스(POS) 단말(200)들과,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주문결제용 키오스크(Kiosk) 단말(300)들과, 다수의 사용자 이동단말(400)들에 의한 대기 주문들을 실시간 통합 관리한다.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110 includes POS terminals 200 for order payment at multiple offline stores, kiosk terminals 300 for order payment at multiple offline stores, and multiple user mobile terminals. (400) Real-time integrated management of waiting orders.

오프라인 매장에 고객이 방문했는데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빈 테이블이 없을 경우,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주문결제용 포스(POS) 단말(200) 또는 주문결제용 키오스크(Kiosk) 단말(300) 또는 해당 고객이 소지하는 사용자 이동단말(400)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통합 매장 서비스 앱(App)의 대기 주문 메뉴를 통해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100)으로 대기 주문 요청 정보가 발송된다.If a customer visits an offline store and there are no empty tables in the offline store, the offline store's POS terminal (200) or kiosk terminal (300) for order payment or the customer's Waiting order request information is sent to the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100 through the waiting order menu of the integrated store service app mounted and executed on the user mobile terminal 400.

이 때, 대기 주문 요청 정보에는 고객이 소지하는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대기 주문 요청 정보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100)의 통합 주문 접수부(110)를 통해 접수된다. At this time, the waiting order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user mobile terminal phone number possessed by the customer, and the waiting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 mobile terminal phone number may be sent to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110 of the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100. It is received through

테이블 현황 파악부(120)는 각 오프라인 매장들의 테이블(Table)들의 입석/공석 현황을 실시간 파악한다. 예컨대, 테이블 현황 파악부(120)가 각 매장의 테이블 입석/공석 현황 정보를 저장하고, 각 오프라인 매장의 주문결제용 포스(POS) 단말(200) 또는 주문결제용 키오스크(Kiosk) 단말(300)을 통해 각 매장의 테이블 입석/공석 현황 정보가 실시간 갱신되도록 구현함으로써 테이블 현황 파악부(120)가 각 오프라인 매장들의 테이블(Table)들의 입석/공석 현황을 실시간 파악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table status detection unit 120 determines the standing/vacancy status of tables in each offline store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table status detection unit 120 stores the table presence/vacancy status information of each store, and the POS terminal 200 for order payment or the kiosk terminal 300 for order payment at each offline store. By implementing the table presence/vacancy status information of each store to be updated in real time, the table status detection unit 120 can be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presence/vacancy status of tables in each offline store in real time.

테이블 매칭부(130)는 통합 주문 접수부(110)에 의해 접수되는 대기 주문들을 분류하여, 테이블 현황 파악부(120)에 의해 실시간 파악되는 각 오프라인 매장들의 공석 테이블들에 대기 주문들을 실시간 매칭한다.The table matching unit 130 classifies the waiting orders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iving unit 110 and matches the waiting orders in real time to the vacant tables of each offline store identified in real time by the table status determining unit 120.

예컨대, 테이블 매칭부(130)가 통합 주문 접수부(110)에 의해 접수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단체 대기 주문을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공석 테이블에 단체 대기 주문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able matching unit 130 may be implemented to match group waiting orders for a specific offline store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110 to vacant tables at the corresponding offline store.

여기서, 단체 대기 주문 매칭은 여러 사람들이 각각 대기 주문하지 않고, 한명이 여러 사람을 대표하여 한번에 대기 주문할 경우, 하나의 공석 테이블에 여러 사람들을 매칭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Here, group waiting order matching refers to a form of matching several people to one vacant table when several people do not individually place waiting orders, but one person represents several people and places waiting orders at once.

한편, 테이블 매칭부(130)가 통합 주문 접수부(110)에 의해 접수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개별 대기 주문들을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공석 테이블에 합석 대기 주문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table matching unit 130 may be implemented to match individual waiting orders for a specific offline store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110 to a joint waiting order for an empty table at the corresponding offline store.

여기서, 합석 대기 주문 매칭은 서로 모르는 여러 사람들이 각각 대기 주문했을 때 사람들 각각 마다 테이블을 할당하면 낭비이기 때문에 서로 모르는 여러 사람들이 하나의 공석 테이블에 함께 합석하도록 매칭하는 형태를 의미하며, 혼밥족들에게 유용한 매칭 형태이다.Here, joint waiting order matching refers to a form of matching several people who do not know each other to sit together at one vacant table because it is wasteful to allocate a table to each person when several people who do not know each other each place a waiting order. This is a useful form of matching.

한편, 테이블 매칭부(130)가 통합 주문 접수부(110)에 의해 접수된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에 대한 단체 묶음 대기 주문을 해당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의 공석 테이블들에 시계열적으로 단체 묶음 대기 주문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table matching unit 130 matches the group bundled waiting orders for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110 to the vacant tables of the plurality of offline stores in time series. It can be implemented.

여기서, 단체 묶음 대기 주문 매칭은 여러 사람들이 각각 복수의 매장들에 대기 주문하지 않고, 한명이 여러 사람을 대표하여 한번에 복수의 매장들에 대기 주문할 경우, 복수의 매장들 각각의 공석 테이블에 시간차를 두고 여러 사람들을 매칭하는 형태를 의미한다.Here, group bundled standby order matching refers to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vacancy tables at each of the multiple stores when multiple people do not place standby orders at multiple stores, but when one person represents several people and places a standby order at multiple stores at once. It refers to a form of matching multiple people.

예를 들면, 회사의 팀원들이 식사 후 커피를 마신다고 가정하면, 회사의 팀원들 중 한명이 대표하여 식당과 커피숍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어 대기 주문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ompany's team members drink coffee after meals, one of the company's team members can place a standby order for the restaurant and coffee shop in one package on behalf of the company's team members.

한편, 테이블 매칭부(130)가 통합 주문 접수부(110)에 의해 접수된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에 대한 개별 묶음 대기 주문들을 해당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의 공석 테이블들에 시계열적으로 합석 묶음 대기 주문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table matching unit 130 matches the individual bundled waiting orders for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110 to the vacant tables of the plurality of offline stores in time series. It can be implemented.

여기서, 합석 묶음 대기 주문 매칭은 서로 모르는 여러 사람들이 각각 복수의 매장들에 대기 주문했을 때, 복수의 매장들 각각의 공석 테이블에 시간차를 두고 서로 모르는 여러 사람들이 함께 합석하도록 매칭하는 형태를 의미한다.Here, joint waiting order matching refers to a form of matching when several people who do not know each other place waiting orders at multiple stores, and match multiple people who do not know each other to sit together at an empty table at each of the multiple stores with a time difference. .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매장을 방문한 대기 고객들에게 매장 테이블을 효율적으로 매칭해 줄 수 있으므로, 고객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By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match store tables to waiting customers who visit the store, thereby reducing the waiting time of customers, thereby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above.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테이블 매칭부(130)가 통합 주문 접수부(110)에 의해 접수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대기 주문을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공석 테이블에 매칭시,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공석 테이블이 특정 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으면 해당 오프라인 매장과 테이블 대여 협약된 이웃 오프라인 매장의 공석 테이블에 대기 주문을 대여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able matching unit 130 matches the waiting order for a specific offline store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110 to the vacant table of the offline store, the table matching unit 130 is placed in the offline store. If there is no vacant table for a certain time, it may be implemented to rent and match waiting orders to vacant tables at neighboring offline stores that have a table rental agreement with the relevant offline store.

이 실시예는 서로 이웃하는 매장들 간에 테이블 대여 협약을 맺어 테이블이 꽉찬 매장의 대기 고객을 테이블에 여유가 있는 매장의 공석 테이블과 매칭시켜 매장들 간에 서로 테이블을 빌려주도록 한 실시예이다.This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a table rental agreement is concluded between neighboring stores to match customers waiting at a store with full tables with an empty table at a store with available tables, allowing stores to rent tables to each other.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이웃하는 매장들 간의 테이블 대여를 통해 매장을 방문한 대기 고객들에게 매장 테이블을 효율적으로 매칭해 줄 수 있으므로, 고객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By implementing thi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tch store tables to waiting customers who visit the store through table rental between neighboring stores, thereby reducing customer waiting time.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100)이 예약 접수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약 접수부(140)는 다수의 사용자 이동단말(400)들에 의한 예약들을 실시간 통합 관리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reservation reception unit 140. The reservation reception unit 140 manages reservations made by multiple user mobile terminals 400 in real time.

예컨대, 매장에 방문하지 않은 고객이 매장 방문 전에 해당 고객이 소지하는 사용자 이동단말(400)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통합 매장 서비스 앱(App)의 예약 메뉴를 통해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100)으로 예약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a customer who has not visited the store requests a reservation to the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100 through the reservation menu of the integrated store service app (App) mounted and executed on the user mobile terminal 400 owned by the customer before visiting the store. It may be implemented to transmit information.

예약 요청 정보에는 예약 주문 고객이 소지하는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예약 시간, 매장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이동단말 전화번호와 예약 시간, 매장 정보 등을 포함하는 예약 요청 정보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100)의 예약 접수부(140)를 통해 접수된다.Reservation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user's mobile terminal phone number, reservation time, and store information held by the reservation order customer. Reserv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mobile terminal phone number, reservation time, and store information, is managed by integrated store management. It is received through the reservation reception unit 140 of the system 100.

이 때, 테이블 매칭부(130)가 예약 접수부(140)에 의해 접수되는 예약들을 분류하여, 테이블 현황 파악부(120)에 의해 파악되는 각 오프라인 매장들의 테이블들 중 특정 테이블을 선택하여 예약 시간에 각 예약들을 비실시간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able matching unit 130 classifies the reservations received by the reservation reception unit 140, selects a specific table among the tables at each offline store identified by the table status determination unit 120, and selects a specific table at the reservation time. It can be implemented to match each reservation in non-real time.

예컨대, 테이블 매칭부(130)가 예약 접수부(140)에 의해 접수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단체 예약을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테이블들 중 선택된 특정 테이블에 예약 시간에 단체 예약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able matching unit 130 may be implemented to match a group reservation for a specific offline store received by the reservation reception unit 140 to a specific table selected among tables at the offline store at the reservation time.

여기서, 단체 예약 매칭은 여러 사람들이 각각 예약하지 않고, 한명이 여러 사람을 대표하여 한번에 예약할 경우,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테이블들 중 선택된 특정 테이블에 예약 시간에 여러 사람들을 매칭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Here, group reservation matching refers to a form of matching multiple people at the reservation time to a specific table selected among the tables at the offline store when multiple people do not make separate reservations, but one person represents multiple people and makes a reservation at once.

한편, 테이블 매칭부(130)가 예약 접수부(140)에 의해 접수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개별 예약들을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테이블들 중 선택된 특정 테이블에 예약 시간에 합석 예약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table matching unit 130 may be implemented to match individual reservations for a specific offline store received by the reservation reception unit 140 to a specific table selected among the tables of the offline store at the reservation time.

여기서, 합석 예약 매칭은 서로 모르는 여러 사람들이 각각 예약했을 때 사람들 각각 마다 테이블을 할당하면 낭비이기 때문에 동일 예약 시간대에 동일 매장에 예약한 서로 모르는 여러 사람들이 하나의 공석 테이블에 예약 시간에 함께 합석하도록 매칭하는 형태를 의미하며, 혼밥족들에게 유용한 매칭 형태이다.Here, in joint reservation matching, when several people who do not know each other make reservations, it is wasteful to allocate a table to each person. Therefore, multiple people who do not know each other and make reservations at the same store at the same reservation time are allowed to sit together at one vacant table at the reservation time. It refers to a form of matching, and is a useful form of matching for those who eat alone.

한편, 테이블 매칭부(130)가 예약 접수부(140)에 의해 접수된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에 대한 단체 묶음 예약을 해당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의 테이블들 중 선택된 특정 테이블들에 예약 시간에 시계열적으로 단체 묶음 예약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table matching unit 130 makes group reservations for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received by the reservation reception unit 140 in a time-series manner at the reservation time to specific tables selected among the tables of the plurality of offline stores. It can be implemented to match bundled reservations.

여기서, 단체 묶음 예약 매칭은 여러 사람들이 각각 복수의 매장들에 예약하지 않고, 한명이 여러 사람을 대표하여 한번에 복수의 매장들에 예약할 경우, 예약 시간에 복수의 매장들 각각의 공석 테이블에 시간차를 두고 여러 사람들을 매칭하는 형태를 의미한다.Here, group reservation matching refers to a tim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vacant tables in each of the multiple stores at the reservation time when multiple people do not make reservations at multiple stores, but one person represents multiple people and makes reservations at multiple stores at once. It refers to a form of matching multiple people.

한편, 테이블 매칭부(130)가 예약 접수부(140)에 의해 접수된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에 대한 개별 묶음 예약들을 해당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의 테이블들 중 선택된 특정 테이블들에 예약 시간에 시계열적으로 합석 묶음 예약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table matching unit 130 combines individual bundle reservations for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received by the reservation reception unit 140 in time series at the reservation time at specific tables selected among the tables of the plurality of offline stores. It can be implemented to match bundled reservations.

여기서, 합석 묶음 예약 매칭은 서로 모르는 여러 사람들이 각각 복수의 매장들에 예약했을 때, 동일 예약 시간대에 동일 매장에 예약한 복수의 매장들 각각의 공석 테이블에 시간차를 두고 서로 모르는 여러 사람들이 함께 합석하도록 매칭하는 형태를 의미한다.Here, group reservation matching is when several people who do not know each other make reservations at multiple stores, and multiple people who do not know each other sit together at the vacant tables at each of the multiple stores that made reservations at the same store at the same reservation time. It means a form of matching.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매장 방문 전 예약 고객들에게 매장 테이블을 효율적으로 매칭해 줄 수 있으므로, 고객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By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match store tables to customers who have made reservations before visiting the store, thereby reducing the waiting time of customers and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above.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100)이 식자재 교환 중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자재 교환 중개부(150)는 각 오프라인 매장들 간의 식자재 물물 교환을 실시간 중개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food material exchange broker 150. The food material exchange brokerage unit 150 mediates the real-time exchange of food materials between each offline store.

매일 매장 마다 남는 식자재와 부족한 식자재가 다르며, 매장에서 식자재가 남을 경우 보존 기간이 짧은 식자재는 폐기해야 하므로, 식자재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The surplus and shortage of food ingredients vary from store to store every day, and when food ingredients are left over in a store, food ingredients with a short shelf life must be discarded, resulting in waste of food ingredients.

예컨대, a 식자재는 남고, b 식자재는 부족한 오프라인 매장 A가 해당 매장의 주문결제용 포스(POS) 단말(200) 또는 주문결제용 키오스크(Kiosk) 단말(300)을 통해 식자재 교환 중개부(150)에 남는 a 식자재 정보와, 부족한 b 식자재 정보를 등록하여 물물 교환 요청한다.For example, an offline store A with a surplus of food ingredients and a shortage of food ingredients b uses the food ingredient exchange brokerage unit 150 through the store's POS terminal 200 for order payment or kiosk terminal 300 for order payment. Request a barter by registering the remaining food ingredient information A and the insufficient B food ingredient information.

그러면, a 식자재는 부족하고, b 식자재는 남는 다른 오프라인 매장 B가 식자재 교환 중개부(150)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 A의 물물 교환 요청에 대해 물물 교환 수락을 하고, 서로 남는 식자재를 배송함으로써 식자재 물물 교환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매장들 간의 식자재 물물 교환을 실시간 중개하여 식자재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n, another offline store B, which is short on food ingredients a and has surplus food ingredients B, accepts the barter request from offline store A through the food exchange broker 150, and exchanges food ingredients by delivering the remaining food ingredients to each other. This comes tru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ood material waste by intermediary in real time the exchange of food materials between stores.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100)이 주문 배달 관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문 배달 관리부(160)는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배달용 포스(POS) 단말(500)들에 의한 상품 주문들과, 다수의 배달원 이동단말(600)들에 의한 상품 배달들을 실시간 관리하되, 동일한 사용자 이동단말(400)로부터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배달용 포스(POS) 단말(500)들로 다수의 상품들이 주문 요청된 경우, 해당 동일한 사용자 이동단말(400)로부터 주문 요청된 상품들을 묶음 배송할 하나의 배달원 이동단말(500)을 배달 대행사 서버(700)로부터 선택하여 묶음 배송 요청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n order delivery management unit 160. The order delivery management unit 160 manages product orders by POS terminals 500 for delivery at multiple offline stores and product deliveries by multiple delivery worker mobile terminals 600 in real time, while maintaining the same user movement. When multiple products are requested to be ordered from the terminal 400 to the POS terminals 500 for delivery at multiple offline stores, a delivery person who will collectively deliver the products ordered from the same user mobile terminal 400 The mobile terminal 500 is selected from the delivery agency server 700 and requests bundled delivery.

이 실시예는 고객이 여러 매장에 상품들을 주문했을 때 매장 마다 개별적으로 배송하면 배송 시간도 다르고 배송 비용도 많이 들기 때문에 주문 배달 관리부(160)를 통해 고객이 여러 매장에 상품들을 취합하여 묶음 배송하도록 구현한 실시예이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고객이 여러 매장에 상품들을 주문했을 때 통합 배송함으로써 배송 시간 및 배송 비용을 단일화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a customer orders products from multiple stores, if they are delivered individually to each store, the delivery time is different and the delivery cost is high, so the order delivery management unit 160 allows the customer to collect the products to multiple stores and deliver them in a bundle. This is an implemented example. By implementing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y delivery time and delivery cost by delivering integrated delivery when a customer orders products from multiple stores.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100)이 쿠폰 관리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쿠폰 관리부(170)는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쿠폰을 발행하여 사용자 이동단말(400)들로 제공한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coupon management unit 170. The coupon management unit 170 issues coupons that can be commonly used in multiple offline stores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mobile terminals 400.

이 때, 쿠폰은 무료 쿠폰, 할인 쿠폰, 경품 쿠폰 등일 수 있으며, 쿠폰 관리부(170)가 우선 순위에 따라 쿠폰 사용이 가능한 오프라인 매장들을 순위화하여 사용자 이동단말(400)로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on may be a free coupon, a discount coupon, a prize coupon, etc., and the coupon management unit 170 may be implemented to rank offline stores where coupons can be used according to priority and provide the coupon to the user mobile terminal 400. .

이 실시예는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쿠폰을 발행하여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에게 다양한 보상을 제공하는 동시에 고객 유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이다.This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coupons that can be commonly used in multiple offline stores are issued and provided to customers, thereby providing various rewards to customers and achieving a customer attraction effect at the same time.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100)이 매장 등록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장 등록부(180)는 각 오프라인 매장의 주문결제용 포스(POS) 단말 식별정보, 주문결제용 키오스크(Kiosk) 단말 식별정보, 배달용 포스(POS) 단말 식별정보, 테이블 정보, 상품 메뉴 정보 등을 포함하는 매장 정보를 저장하여 오프라인 매장들을 DB에 등록한다. 매장 등록부(180)에 의해 저장되는 오프라인 매장들의 매장 정보는 매장 식별, 주문 대기, 예약 및 상품 배송시 참조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e register 180. The store register 180 includes PO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order payment, Kiosk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order payment, PO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elivery, table information, product menu information, etc. for each offline store. Stores store information and registers offline stores in the DB. Store information of offline stores stored by the store register 180 can be referenced when identifying a store, waiting for an order, making a reservation, and delivering a produc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장을 방문한 대기 고객이나, 매장 방문 전 예약 고객들에게 매장 테이블을 효율적으로 매칭해 줄 수 있어 고객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match store tables to waiting customers who visit the store or customers who have made reservations before visiting the store, thereby reducing customer waiting time.

또한, 본 발명은 매장들 간의 식자재 물물 교환을 실시간 중개하여 식자재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고객이 여러 매장에 상품들을 주문했을 때 통합 배송함으로써 배송 시간 및 배송 비용을 단일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ood material waste by brokering the real-time exchange of food materials between stores, and can unify delivery time and delivery costs by delivering integrated delivery when a customer orders products from multiple stores.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The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as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본 발명은 통합 매장 관리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dustrially in the field of integrated store management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technology.

100 :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110 : 통합 주문 접수부
120 : 테이블 현황 파악부
130 : 테이블 매칭부
140 : 예약 접수부
150 : 식자재 교환 중개부
160 : 주문 배달 관리부
170 : 쿠폰 관리부
180 : 매장 등록부
200 : 주문결제용 포스 단말
300 : 주문결제용 키오스크 단말
400 : 사용자 이동단말
500 : 배달용 포스 단말
600 : 배달원 이동단말
700 : 배달 대행사 서버
100: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110: Integrated order reception department
120: Table status check unit
130: table matching unit
140: Reservation reception desk
150: Food material exchange brokerage department
160: Order delivery management department
170: Coupon management department
180: Store register
200: POS terminal for order payment
300: Kiosk terminal for order payment
400: User mobile terminal
500: Delivery force terminal
600: Delivery man mobile terminal
700: Delivery agency server

Claims (15)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주문결제용 포스(POS) 단말들과,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주문결제용 키오스크(Kiosk) 단말들과, 다수의 사용자 이동단말들에 의한 대기 주문들을 실시간 통합 관리하는 통합 주문 접수부와;
각 오프라인 매장들의 테이블(Table)들의 입석/공석 현황을 실시간 파악하는 테이블 현황 파악부와;
통합 주문 접수부에 의해 접수되는 대기 주문들을 분류하여, 테이블 현황 파악부에 의해 실시간 파악되는 각 오프라인 매장들의 공석 테이블들에 대기 주문들을 실시간 매칭하는 테이블 매칭부를;
포함하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An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that manages real-time integrated management of waiting orders from POS terminals for order payment at multiple offline stores, Kiosk terminals for order payment at multiple offline stores, and multiple user mobile terminals. and;
A table status detection unit that monitors the presence/vacancy status of tables in each offline store in real time;
A table matching unit that classifies the waiting orders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unit and matches the waiting orders in real time to the vacant tables of each offline store that are identified in real time by the table status detection unit;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블 매칭부가:
통합 주문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단체 대기 주문을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공석 테이블에 단체 대기 주문 매칭하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dd table matching: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matches group waiting orders for a specific offline store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department to vacant tables at the offline store.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블 매칭부가:
통합 주문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개별 대기 주문들을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공석 테이블에 합석 대기 주문 매칭하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dd table matching: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matches individual waiting orders for a specific offline store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department to joint waiting orders for vacant tables in the offline store.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블 매칭부가:
통합 주문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에 대한 단체 묶음 대기 주문을 해당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의 공석 테이블들에 시계열적으로 단체 묶음 대기 주문 매칭하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dd table matching: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matches group group waiting orders for multiple offline stores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department to the vacant tables of the multiple offline stores in time series.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블 매칭부가:
통합 주문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에 대한 개별 묶음 대기 주문들을 해당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의 공석 테이블들에 시계열적으로 합석 묶음 대기 주문 매칭하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dd table matching: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matches individual bundled waiting orders for multiple offline stores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department to the vacant tables of the multiple offline stores in time series.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블 매칭부가:
통합 주문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대기 주문을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공석 테이블에 매칭시,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공석 테이블이 특정 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으면 해당 오프라인 매장과 테이블 대여 협약된 이웃 오프라인 매장의 공석 테이블에 대기 주문을 대여 매칭하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dd table matching:
When matching a waiting order for a specific offline store received by the integrated order reception department with an empty table at the offline store, if there is no empty table at the offline store for a certain time, a neighboring offline store that has a table rental agreement with the offline store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matches waiting orders to vacant tables.
제 1 항에 있어서,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이:
다수의 사용자 이동단말들에 의한 예약들을 실시간 통합 관리하는 예약 접수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a reservation reception unit that manages reservations made by multiple user mobile terminals in real time;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more.
제 7 항에 있어서,
테이블 매칭부가:
예약 접수부에 의해 접수되는 예약들을 분류하여, 테이블 현황 파악부에 의해 파악되는 각 오프라인 매장들의 테이블들 중 특정 테이블을 선택하여 예약 시간에 각 예약들을 비실시간 매칭하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Add table matching: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classifies reservations received by the reservation reception department, selects a specific table among the tables at each offline store identified by the table status information department, and matches each reservation in non-real time at the reservation time.
제 8 항에 있어서,
테이블 매칭부가:
예약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단체 예약을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테이블들 중 선택된 특정 테이블에 예약 시간에 단체 예약 매칭하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Add table matching: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matches group reservations for a specific offline store received by the reservation reception desk to a specific table selected among the tables in the offline store at the reservation time.
제 8 항에 있어서,
테이블 매칭부가:
예약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개별 예약들을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테이블들 중 선택된 특정 테이블에 예약 시간에 합석 예약 매칭하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Add table matching: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matches individual reservations for a specific offline store received by the reservation reception desk to a specific table selected among the tables in the offline store at the reservation time.
제 8 항에 있어서,
테이블 매칭부가:
예약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에 대한 단체 묶음 예약을 해당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의 테이블들 중 선택된 특정 테이블들에 예약 시간에 시계열적으로 단체 묶음 예약 매칭하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Add table matching: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matches group reservations for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received by the reservation reception department to specific tables selected among the tables of the plurality of offline stores in time series at the reservation time.
제 8 항에 있어서,
테이블 매칭부가:
예약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에 대한 개별 묶음 예약들을 해당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의 테이블들 중 선택된 특정 테이블들에 예약 시간에 시계열적으로 합석 묶음 예약 매칭하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Add table matching: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matches individual group reservations for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received by the reservation reception department to specific tables selected among the tables of the plurality of offline stores in time series at the reservation time.
제 1 항에 있어서,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이:
각 오프라인 매장들 간의 식자재 물물 교환을 실시간 중개하는 식자재 교환 중개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A food material exchange brokerage department that brokers real-time food material exchange between offline stores;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more.
제 1 항에 있어서,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이: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배달용 포스(POS) 단말들에 의한 상품 주문들과, 다수의 배달원 이동단말들에 의한 상품 배달들을 실시간 관리하되, 동일한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배달용 포스(POS) 단말들로 다수의 상품들이 주문 요청된 경우, 해당 동일한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주문 요청된 상품들을 묶음 배송할 하나의 배달원 이동단말을 선택하여 묶음 배송 요청하는 주문 배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Real-time management of product orders by delivery POS terminals of multiple offline stores and product deliveries by multiple delivery worker mobile terminals, and delivery POS terminals of multiple offline stores from the same user mobile terminal When a plurality of products are requested to be ordered, an order delivery management unit that selects one delivery person's mobile terminal to deliver the ordered products in a bundle from the same user mobile terminal and requests bundled delivery;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more.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이: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쿠폰을 발행하여 사용자 이동단말들로 제공하는 쿠폰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 매장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A coupon management unit that issues coupons that can be commonly used in multiple offline stores and provides them to user mobile terminals;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more.
KR1020220105615A 2022-08-23 2022-08-23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KR202400274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15A KR20240027419A (en) 2022-08-23 2022-08-23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15A KR20240027419A (en) 2022-08-23 2022-08-23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419A true KR20240027419A (en) 2024-03-04

Family

ID=9029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615A KR20240027419A (en) 2022-08-23 2022-08-23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741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823A (en) 2020-12-23 2022-06-30 그로잉세일즈 주식회사 Menu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store integr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823A (en) 2020-12-23 2022-06-30 그로잉세일즈 주식회사 Menu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store integr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5220B2 (en) On-line selection of service providers in distributed provision of services on demand
US65130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household grocery management
US20070239474A1 (en) Customer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1826307B1 (en) System for providing mediation service between store and delivery agency
KR101696358B1 (en) Abroad purchasing agent system and service method of abroad purchasing agent using the same
KR101982696B1 (en) Barreled liquefied petroleum gas distribution system and barreled liquefied petroleum gas distribution method
TW201712626A (en) Delivery service system, delivery service method, server for delivery service, and deliverer terminal for delivery service
WO20010521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dispatching of delivery service
KR101976456B1 (en) Cleaning service contract management system
CN113592382A (en) Order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processor
KR20170047669A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od ordering and delivery service is based on a virtual restaurant on smartphones
JP2002230340A (en) System and method for dealer management
KR20240027419A (e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system
KR20210003974A (en) System for exchanging customers-owned storage products
KR20130092820A (en) Method of errand agency to use network
JP2013225259A (en) Disaster support system
US20090299847A1 (en) System for Multi-Tiered Allocation of Promotional Incentives
WO2020195764A1 (en) Sales management server, sales management system, sales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175454B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mediating real estate and method of providing mediating real estate service using the same
KR20100066379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bject shared service using selective share of service object
JP2003089425A (en) Physical distribution managing system
KR102543110B1 (en) Franchisee and directly managed store based mediatation platform system for purchasing livestock and method for ordering livestock using the same
JP7218026B1 (en) Sales management device, user device and program
KR100705321B1 (en) Method And System of target marketing using Wire/Wireless Internet
US20220114550A1 (en) Delivery Exchange Service and Infra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