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416A -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416A
KR20240027416A KR1020220105610A KR20220105610A KR20240027416A KR 20240027416 A KR20240027416 A KR 20240027416A KR 1020220105610 A KR1020220105610 A KR 1020220105610A KR 20220105610 A KR20220105610 A KR 20220105610A KR 20240027416 A KR20240027416 A KR 20240027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roll
roll member
mounting portion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범
Original Assignee
김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범 filed Critical 김성범
Priority to KR1020220105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7416A/ko
Publication of KR20240027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65H19/123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with cantilever suppor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02Preparing the leading end of the replacement web before splicing operation; Adhesive arrangements on leading end of replacement web; Tabs and adhesive tapes for spl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30Arrangements for accumulating surplus web
    • B65H20/32Arrangements for accumulating surplus web by making loops
    • B65H20/34Arrangements for accumulating surplus web by making loops with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8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 B65H75/2484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movable actuator including wedge-like or lobed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1Handling web roll
    • B65H2301/4173Handling web roll by central portion, e.g. gripping central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2Form of splice
    • B65H2301/4621Overlapping article or web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3Splicing splicing means, i.e. means by which a web end is bound to another web end
    • B65H2301/4631Adhesive tape
    • B65H2301/46312Adhesive tape double-si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3Splicing splicing means, i.e. means by which a web end is bound to another web end
    • B65H2301/4634Heat seal splice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롤 부재의 원재료가 상당량 소모되면 새로운 롤 부재로의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원재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을 꾀할 수 있도록, 링 형태인 심지에 원재료가 감긴 복수 개의 롤 부재가 측면이 인접하게끔 일렬로 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최전방에 위치하는 롤 부재를 파지하고 파지한 롤 부재에 감긴 원재료를 풀어 일측편으로 공급하는 원재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연속공급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원재료공급부는, 원재료가 모두 풀리면 심지를 배출하고 거치부에 위치하는 새로운 롤 부재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Continuous supplying apparatus of roll matter}
본 발명은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롤 형태로 감긴 원재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을 꾀할 수 있는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링 형태인 심지에 비닐, 종이, 필름 등과 같은 원재료가 감긴 롤 부재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여러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일 예로, 근래 환경 보호 측면에서 플라스틱 빨대 대용으로 종이 빨대를 사용되고 있으며, 종이 빨대를 생산하는데 종이인 원재료가 감긴 롤 부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롤 부재에는, 원재료가 일정 길이만큼만 감겨있는바, 원재료가 모두 풀려 소모되면 생산 중인 기계라인을 멈추거나 생산라인의 속도를 줄여 새로운 롤 부재로 수동으로 교체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많은 노동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17621호 '자동 교체식 테이프 공급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롤 부재의 원재료가 상당량 소모되면 새로운 롤 부재로의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원재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을 꾀할 수 있는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는, 링 형태인 심지에 원재료가 감긴 복수 개의 롤 부재가 측면이 인접하게끔 일렬로 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최전방에 위치하는 롤 부재를 파지하고 파지한 롤 부재에 감긴 원재료를 풀어 일측편으로 공급하는 원재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연속공급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원재료공급부는, 원재료가 모두 풀리면 심지를 배출하고 거치부에 위치하는 새로운 롤 부재를 파지한다.
또한, 상기 원재료공급부는, 심지의 내측에 끼워지고 내부에 구비된 가압부재가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심지를 향해 벌어져 롤 부재를 파지하며 파지한 롤 부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으로 이동시 심지를 밀어 스핀들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배출부재와, 상기 스핀들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핀들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속공급모듈은, 거치부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롤 부재가 후방으로 이동된 스핀들에 의해 파지되어 전방으로 이동될 시, 거치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롤 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롤부재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복수 개의 롤 부재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구와, 최전방에 위치되는 롤 부재의 전방에 위치되게끔 지지구의 전단에 구비되어 롤 부재가 지지구로부터 벗어나게끔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측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롤 부재가 지지구로부터 벗어나게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제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재료공급부에 의해 파지된 롤 부재의 원재료 끝단을 이동시켜 앞서 공급 중인 원재료와 접착하여 연결하는 롤부재 연결모듈; 상기 롤부재 연결모듈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공급 중인 원재료의 텐션을 조절하는 완충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부재 연결모듈은, 상기 원재료공급부에 의해 파지된 롤 부재의 원재료 끝단과, 앞서 공급 중인 원재료가 겹쳐진 상태에서 열융착하여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재료공급부는 파지된 롤 부재의 원재료가 풀려 상당량 소모되면 심지를 배출하고 거치부에 위치하는 새로운 롤 부재를 파지하여, 롤 부재의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바, 원재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롤부재 연결모듈 및 완충모듈을 통해, 공급 중인 원재료와 새로이 공급하는 원재료가 접착되는 과정에서도 계속적인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인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인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에 적용되는 연속공급모듈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속공급모듈에 적용되는 이동제한부재의 동작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연속공급모듈에 의해 심지가 배출되고 새로운 롤 부재가 파지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연속공급모듈에 적용된 롤부재이동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롤부재 연결모듈에 의해 두 개의 원재료가 양면테이프에 의해 접착연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롤 부재 연결모듈에 적용된 접착수단이 원재료에 양면테이프를 붙이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완충모듈에 동작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롤 부재의 원재료가 상당량 소모되면 새로운 롤 부재로의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원재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을 꾀할 수 있도록, 링 형태인 심지에 원재료가 감긴 복수 개의 롤 부재가 측면이 인접하게끔 일렬로 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최전방에 위치하는 롤 부재를 파지하고 파지한 롤 부재에 감긴 원재료를 풀어 일측편으로 공급하는 원재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연속공급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원재료공급부는, 원재료가 모두 풀리면 심지를 배출하고 거치부에 위치하는 새로운 롤 부재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6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롤 부재(10)가 보관되면서 원재료(12)가 소모된 롤 부재(10)를 새로운 롤 부재(10)로 교체할 수 있는 연속공급모듈(100)을 포함한다. 여기서의 롤 부재(10)는, 링 형태인 심지(11)에 종이, 비닐, 필름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띠 형태로 형성된 원재료(12)가 감긴 것을 의미한다.
연속공급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롤 부재(10)가 거치되는 거치부(110)와, 하나의 롤 부재(10)에 감긴 원재료(12)를 풀어 공급하는 원재료공급부(120)를 포함한다.
거치부(110)는, 복수 개의 롤 부재(10)가 상호 측면이 인접하게끔 일렬로 배치된다. 즉, 복수 개의 롤 부재(10)는 적층된 상태를 이루며 거치부(110)에 거치된다. 본 발명에서 전후방향이란 복수 개의 롤 부재(10)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전방이란 거치부(110)에 대하여 원재료공급부(120)이 위치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전제로 설명한다.
거치부(110)는, 복수 개의 롤 부재(10)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구(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구(111)는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태를 이루면서 롤 부재(10)의 양측 하부에서 전후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롤 부재(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지지구(111)에 의해 세워진 상태를 이루게끔 지지될 수 있다.
지지구(111)에 의해 지지되어 거치된 복수 개의 롤 부재(10)는, 공급 대기 상태를 이루는 것으로, 최전방에 위치되는 롤 부재(10)가 필요시 거치부(110)의 전방에 마련되는 원재료공급부(12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거치부(110)는, 최전방에 위치되는 롤 부재(10)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이동제한부재(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제한부재(1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방에 위치되는 롤 부재(10)의 전방에 위치되게끔 지지구(111)의 전단에 측방향으로 회전되게끔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제한부재(11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장방형인 판 형태를 이루면서 하단이 지지구(111)의 전단에 측방향으로 회전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제한부재(112)는 복수 개의 롤 부재(10) 중 최전방에 위치되는 롤 부재(10)의 앞을 가로막아 롤 부재(10)가 지지구(111)로부터 벗어나게끔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며, 외측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롤 부재(10)가 지지구(111)로부터 벗어나게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동제한부재(112)가 외측으로 회전될 시 롤 부재(10)의 측편에 위치되는 다른 구성(예를 들어, 벽면 등)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롤부재(10)의 외주연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게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제한부재(112)가 롤 부재(10)에 대한 전방 이동을 허용하거나 이를 제한하기 위해 측방향으로 회전함에 있어, 제한부재구동수단(113)이 이용될 수 있다. 제한부재구동수단(113)은,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면서 바닥면에 지지되는 제1 에어실린더와, 제1 에어실린더의 양측편에 각각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이동제한부재(112)의 하단에 결합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연결암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부재구동수단(113)에 의해 작동되는 이동제한부재(112)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실린더가 상승되고 연결암의 길이가 짧아지면 최전방에 위치되는 롤 부재(10)의 앞을 가로막게 되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실린더가 하강되고 연결암의 길이가 길어지면 외측으로 회동되어 롤 부재(10)를 가로막지 않게 된다.
원재료공급부(120)는, 거치부(110)의 전방에 마련되며, 거치부(110)에서 최전방에 위치하는 롤 부재(10)를 파지하고 파지한 롤 부재(10)에 감긴 원재료(12)를 풀어 일측편으로 공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원재료공급부(120)는, 파지한 롤 부재(10)에 감긴 원재료(12)가 모두 풀리면 심지(11)를 배출하고, 거치부(110)에 위치하는 새로운 롤 부재(10)를 파지한다. 여기에서 원재료(12)가 모두 풀린다는 것은, 심지(11)에 감긴 원재료(12)가 상당량 소모된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원재료(12)가 전부 풀리면서 심지(11)로부터 떨어져나간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원재료(12)의 효율적인 사용과, 후술하겠지만 공급 중인 원재료(12)와의 접합 등을 고려하였을 때, 원재료(12)가 전부 풀리되 끝단이 심지(11)와 연결된 상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원재료공급부(120)는,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121), 배출부재(122) 및 스핀들이동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핀들(121)은, 심지(11)의 내측에 끼워져 롤 부재(10)를 파지하고, 파지한 롤 부재(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핀들(121)은, 스핀들본체(121a), 죠(121b) 및 가압부재(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스핀들본체(121a)는, 후단부가 심지(11)의 내측에 끼워질 수 있게끔 형성되고, 중심축이 거치부(110)에 거치된 복수 개의 롤 부재(10)의 중심과 일치하게끔 배치되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스핀들본체(121a)는 중앙부가 후단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게끔 형성되고, 전단부가 중앙부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축 형태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죠(121b)는, 심지(11)의 내측에 끼워지는 스핀들본체(121a)의 후단부에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내측과 외측을 향해 이동되게끔 구비된다. 가압부재(121c)는, 스핀들본체(121a)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며, 후방으로 이동시 죠(121b)를 외측으로 밀어 스핀들본체(121a)의 후단부보다 돌출되도록 한다.
배출부재(122)는, 스핀들(121)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으로 이동시 심지(11)를 밀어 스핀들(121)로부터 벗어나 심지(11)가 배출되도록 하며, 배출가압구(122a) 및 가압구실린더(122b)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가압구(122a)는, 후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이 스핀들본체(121a)의 중앙부 가장자리를 관통할 수 있게끔 구비되며, 스핀들본체(121)의 전단부가 전면(前面)을 관통한다. 이때, 배출가압구(122a)는 직경이 심지(11)의 직경에 대응되게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압구실린더(122b)는 배출가압구(122a)의 후면에 결합되어 배출가압구(122a)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핀들이동부재(123)는, 스핀들(122)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일 예로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나사축과, 나사축을 따라 이동되는 볼 스크류를 포함하면서 스핀들본체(121a)의 전단부와 결합되는 이동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원재료공급부(120)에 의해, 원재료(12)가 모두 풀린 심지(11)를 배출하고, 새로운 롤 부재(10)를 파지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재료(12)가 모두 풀린 심지(11)를 파지하고 있는 스핀들본체(121a)에 결합된 배출가압구(122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심지(11)를 밀어 스핀들(121)과 거치부(110) 사이의 공간으로 심지(11)를 배출한다. 이후, 스핀들본체(121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이동부재(123)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부가 거치부(110)의 최전방에 위치되는 롤 부재(10)의 심지(11) 내측에 끼워진다. 심지(11)의 내측에 스핀들본체(121a)의 후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가압부재(121c)가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죠(121b)가 심지(11)의 내주면을 향해 벌어져 해당 롤 부재(10)를 파지한다. 이후, 스핀들본체(121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이동부재(123)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고 파지한 롤 부재(10)의 원재료(12)가 풀리게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최전방에 위치되는 롤 부재(10)가 거치부(110)로부터 빠져나감에 따라, 거치부(110)에 배치된 롤 부재(10)들을 전방으로 밀어줄 필요가 있는바, 연속공급모듈(100)은, 롤부재이동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부재이동부(130)는, 거치부(110)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롤 부재(10)가 후방으로 이동된 스핀들(121)에 의해 파지되어 전방으로 이동될 시, 거치부(110)에 배치된 복수 개의 롤 부재(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일 예로, 롤부재이동부(130)는,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10)의 일측편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푸쉬바이동가이드(130b)와, 푸쉬바이동가이드(130b)를 따라 이동되면서 최후방에 위치되는 롤 부재(10)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롤부재푸쉬바(130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핀들(121)에 의해 하나의 롤 부재(10)가 거치부(110)로부터 빠져나가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부재푸쉬바(130a)가 푸쉬바이동가이드(130b)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거치부(110)에 거치된 복수 개의 롤 부재(10) 모두를 전방으로 밀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원재료공급부(120)에 의해 롤 부재(10)의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바, 제품을 생산하는데 있어 원재료(12)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을 꾀할 수 있다.
한편, 제품의 지속적인 생산을 위해서는, 연속공급모듈(100)에 의해 교체가 이루어져 공급되는 롤 부재(10)의 원재료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앞서 공급 중인 원재료(12)와 연결될 필요가 있는바,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부재 연결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롤부재 연결모듈(200)은, 원재료공급부(120)에 의해 파지된 롤 부재(10)의 원재료(12) 끝단을 이동시켜 앞서 공급 중인 원재료(12)와 접착하여 연결한다. 이를 위해, 롤부재 연결모듈(200)은,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수단(210), 원재료이동수단(220), 접착수단(230), 받침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재료공급부(120)에 의해 파지된 롤 부재(10)에서 풀린 원재료(12)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공급모듈(100)의 일측편에 마련된 받침대(240)의 상측을 지나게끔 구성될 수 있으며, 원재료공급부(120)에 의해 파지된 롤 부재(10)의 교체가 필요할 시, 원재료(12)의 공급을 잠시 중단하고,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된 롤 부재(10)로부터 풀려 받침대(240) 상에 위치한 원재료(12)를 향해 커팅수단(210)이 이동되어 원재료(12)를 절단하여, 공급 중이었던 원재료(12)와 심지(11)를 분리시킨다.
이후의 제1 실시예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재료공급부(120)에 의해 원재료(12)의 절단이 이루어진 심지(11)가 배출된 다음 새로운 롤 부재(10)가 파지되고, 절단되어 받침대(240) 상에 놓인 원재료(12)에 양면테이프(20)가 붙을 수 있으며, 이때, 양면테이프(20)는 접착수단(230)에 의해 붙여질 수 있다. 그리고 원재료이동수단(220)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이 파지된 롤 부재(10)의 원재료(12) 끝단을 흡착하여 받침대(240) 상에 놓여져 양면테이프(20)가 붙은 원재료(1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서로 다른 롤 부재(10)로부터 풀린 원재료(12) 간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후의 제2 실시예로, 원재료공급부(120)에 의해 원재료(12)의 절단이 이루어진 심지(11)가 배출된 다음 새로운 롤 부재(10)가 파지되고, 원재료이동수단(220)은 새로이 파지된 롤 부재(10)의 원재료(12) 끝단을 흡착하여 받침대(240) 상에 놓여진 원재료(1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수단(230)이 겹쳐진 원재료(12)를 열융착되도록 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를 위한 커팅수단(210) 및 원재료이동수단(220)은, 연속공급모듈(100)로부터 원재료(12)가 공급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이동되면서 받침대(240)의 상측을 지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를 위한 접착수단(230)은, 커팅수단(210) 및 원재료이동수단(220)이 이동되는 방향과 직교하게 이동되면서 받침대(240)의 상측을 지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실시예를 위한 접착수단(230)은, 일 예로 띠 형태를 이루는 이형지의 일면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양면테이프(20)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끔 붙어 롤 형태로 감긴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양면테이프(20)는 그 길이가 원재료(12)의 폭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짧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면테이프(20)가 받침대(240)에 놓인 원재료(12)에 붙는 과정에서 이형지와 분리되고, 분리된 이형지는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양면테이프(20)가 붙은 이형지가 감긴 롤을 제1 롤이라 하며, 양면테이프(20)가 떨어져 이형지만이 감긴 롤을 제2 롤이라 한다.
이러한 제1 실시예를 위한 접착수단(230)은, 제1 롤 및 제2 롤과 받침대(240) 사이에 위치되는 접착본체(231)와, 접착본체(23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접착본체이동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양면테이프(20)가 붙은 이형지는 제1 롤로부터 풀려 접착본체(231)의 후단부를 지나 접착본체(231)의 전단부를 향하게끔 이루어져, 접착본체(231)와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접착본체(231)의 전단부에서 양면테이프(20)가 이형지로부터 떨어지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본체이동부재(232)는, 접착본체(23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접착본체(231)가 위치되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접착본체(231)는, 받침대(240)에서 공급 중이던 원재료(12)의 절단이 이루어질 때까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40)의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이루다가, 공급 중인 원재료(12)의 절단이 이루어지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가 받침대(240)의 인접한 상측에 위치되도록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받침대(240)에 놓인 원재료(12)의 끝단 상측에는, 이형지에 붙은 양면테이프(20)가 위치하게 된다. 이후, 접착본체(231)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낮아져 양면테이프(20)가 원재료(12)의 끝단에 붙도록 한 다음, 높이를 높여 이형지만이 분리되도록 한다. 해당 작업이 끝나면, 원재료이동수단(220)에 의해 받침대(240)에서 원재료(12) 간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접착본체(231)는 다시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롤부재 연결모듈(200)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원재료(12)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제품 생산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끔,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모듈(300)은 일 예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롤러(310) 및 제2 롤러(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재료(12)는 제1 롤러(310)와 제2 롤러(320)를 번갈아 지나면서 공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1 롤러(310) 및 제2 롤러(320)는,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롤러(310) 및 제2 롤러(320) 간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원재료(12) 공급을 통해 제품 생산이 이루어 지다가, 롤부재 연결모듈(200)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원재료(12) 공급이 중단되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롤러(310) 및 제2 롤러(320) 간의 간격을 줄이면서, 완충모듈(200)에 위치된 원재료(12)가 제품 생산에 사용되도록 하여 계속적인 제품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롤부재 연결모듈(200)를 통해, 새로이 교체된 롤 부재(10)의 원재료(12)와 앞서 공급된 원재료(12) 간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완충모듈(300)을 통해 제품 생산이 중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바, 계속적인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10 : 롤 부재 11 : 심지
12 : 원재료
20 : 양면테이프
100 : 연속공급모듈
110 : 거치부
111 : 지지구 112 : 이동제한부재
113 : 제한부재구동수단
120 : 원재료공급부 121 : 스핀들
121a : 스핀들본체 121b : 죠
121c : 가압부재 122 : 배출부재
122a : 배출가압구 122b : 가압구실린더
123 : 스핀들이동부재
130 : 롤부재이동부
130a : 롤부재푸쉬바 130b: 푸쉬바이동가이드
200 : 롤부재 연결모듈 210 : 커팅수단
220 : 원재료이동수단 230 : 접착수단
231 : 접착본체 232 : 접착본체이동부재
240 : 받침대
300 : 완충모듈 310 : 제1 롤러
320 : 제2 롤러

Claims (6)

  1. 링 형태인 심지(11)에 원재료(12)가 감긴 복수 개의 롤 부재(10)가 측면이 인접하게끔 일렬로 배치되는 거치부(110)와,
    상기 거치부(110)의 전방에 마련되어 최전방에 위치하는 롤 부재(10)를 파지하고 파지한 롤 부재(10)에 감긴 원재료(12)를 풀어 일측편으로 공급하는 원재료공급부(120)를 포함하는 연속공급모듈(100);을 포함하되,
    상기 원재료공급부(120)는, 원재료(12)가 모두 풀리면 심지(11)를 배출하고 거치부(110)에 위치하는 새로운 롤 부재(10)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공급부(120)는, 심지(11)의 내측에 끼워지고 내부에 구비된 가압부재(121c)가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심지(11)를 향해 벌어져 롤 부재(10)를 파지하며 파지한 롤 부재(10)를 회전시키는 스핀들(121)과,
    상기 스핀들(121)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으로 이동시 심지(11)를 밀어 스핀들(121)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배출부재(122)와,
    상기 스핀들(121)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핀들이동부재(1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공급모듈(100)은, 거치부(110)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롤 부재(10)가 후방으로 이동된 스핀들(121)에 의해 파지되어 전방으로 이동될 시, 거치부(110)에 배치된 복수 개의 롤 부재(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롤부재이동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10)는, 복수 개의 롤 부재(10)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구(111)와, 최전방에 위치되는 롤 부재(10)의 전방에 위치되게끔 지지구(111)의 전단에 구비되어 롤 부재(10)가 지지구(111)로부터 벗어나게끔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측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롤 부재(10)가 지지구(111)로부터 벗어나게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제한부재(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공급부(120)에 의해 파지된 롤 부재(10)의 원재료(12) 끝단을 이동시켜 앞서 공급 중인 원재료(12)와 접착하여 연결하는 롤부재 연결모듈(200);
    상기 롤부재 연결모듈(200)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공급 중인 원재료(12)의 텐션을 조절하는 완충모듈(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부재 연결모듈(200)은, 상기 원재료공급부(120)에 의해 파지된 롤 부재(10)의 원재료(12) 끝단과, 앞서 공급 중인 원재료(12)가 겹쳐진 상태에서 열융착하여 접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
KR1020220105610A 2022-08-23 2022-08-23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 KR20240027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10A KR20240027416A (ko) 2022-08-23 2022-08-23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10A KR20240027416A (ko) 2022-08-23 2022-08-23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416A true KR20240027416A (ko) 2024-03-04

Family

ID=9029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610A KR20240027416A (ko) 2022-08-23 2022-08-23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74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621A (ko) 2015-08-07 2017-02-15 정명환 자동 교체식 테이프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621A (ko) 2015-08-07 2017-02-15 정명환 자동 교체식 테이프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2714B2 (ja) リールからウエブ状材料を供給するための自動連続巻出装置
GB2131773A (en) A winding machine for winding a web which is slit lengthways
US8376259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an unwinding machine
US4157794A (en) Device and method for rolling up continuous sheets
EP2948298B1 (en) Support for rolls, stock rolls storage rack and method of supporting and supplying rolls
JP4590399B2 (ja) リール交換段階で巻戻された材料のための一時的アキュムレータ部材を有する、ウエブ状の材料リール用巻き出し装置ならびに関連する方法
CN218595641U (zh) 一种收废机构、拾取装置及换卷设备
CN106904484A (zh) 全自动胶带分切机构
CN108516376A (zh) 一种自动添加纸芯的纱布绷带卷带机
JP2006256769A (ja) 板ガラス製品の合紙供給装置
KR20240027416A (ko) 롤 부재 연속 공급 장치
CN113163701A (zh) 一种灯条组装机
CN113963939A (zh) 一种色码电感绕线设备
JP2001009929A (ja) ベルト部材の端尺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WO2017148347A1 (zh) 一种智能自动化锥形网制网机
EP0327048B1 (en) Winding apparatus for sheet-shaped molding material
CN101389557B (zh) 用于网状材料的卷绕卷轴的卷绕杆以及使用该杆的机器
CN213010970U (zh) 一种聚酯基膜生产系统
JP2007230610A (ja) ガラス板のスペーサ用糸の供給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15971559A (zh) 一种管件切割装置
CN211031192U (zh) 自动吸塑机的双工位上料机构
JP4342015B2 (ja) ラベル供給装置
CN107953583B (zh) 胎帘布筒成型机薄胶片上料装置
JPH06610B2 (ja) 巻管をダブル支持ローラ型巻取り機の支持ローラベット内に供給するための装置
CN107265153B (zh) 一种收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