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122A - 필터 내장 조인트 - Google Patents

필터 내장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122A
KR20240027122A KR1020247003912A KR20247003912A KR20240027122A KR 20240027122 A KR20240027122 A KR 20240027122A KR 1020247003912 A KR1020247003912 A KR 1020247003912A KR 20247003912 A KR20247003912 A KR 20247003912A KR 20240027122 A KR20240027122 A KR 20240027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joint
opening
communication spac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마사 야나기다
고지 히라마츠
도모히로 모우리
다다유키 야쿠시진
구니히코 다이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ublication of KR20240027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41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배관으로부터 조인트를 떼어내지 않아도 필터의 교환이 가능하여, 필터의 교환이 용이해지는 필터 내장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1 및 제2 유출입구부(21, 22)와, 제1 및 제2 유출입구부와 연통(連通)되도록 형성된 연통 공간(24)과, 비보수 시에는 기밀하게 밀봉되는 보수용 개구부(23)를 구비하고 있다. 필터 엘리먼트(50)는, 통형의 필터 본체(51)와, 필터 본체의 일단의 개구부에 기밀하게 부착되고, 외주면과 연통 공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된 시일 링(55)을 구비하는 기단부(52)와, 필터 본체의 타단의 개구부를 기밀하게 봉쇄하도록 배치된 선단부(56)를 갖고 있다. 보수용 개구부는, 미리 정해진 개구의 크기를 갖고, 또한, 조인트 본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선단부의 보수용 개구부측의 면에는, 필터 엘리먼트를 출납하기 위한 걸림 수단(57)이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필터 내장 조인트
본 발명은 수소 등의 고압 유체가 흐르는 유로 내에 배치되어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를 내장하는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고압 수소 가스는, 연료 전지차 등 용으로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예컨대, 수소 스테이션 등에서 연료 전지용의 고압 수소 가스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가스 중에 불순물이 혼입되어 있으면 연료 전지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수소 가스 내의 불순물은 제거되지 않으면 안 된다. 수소 가스 배관 유로에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장치의 설치가 필요해진다.
수소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장치로서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배관 도중에 필터를 내장하는 조인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조인트를 도 6에 도시한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조인트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6의 조인트에서는, 보디(110)는 배관과 접속하는 관 접속부(120)를 갖고, 캡(111)은, 배관과 접속하는 관 접속부(130)를 갖는, 배관 도중에 배치되는 조인트로 되어 있다. 보디(110)의 내부에는, 원통 공간부(122)가 형성되고, 원통 공간부(122)의 내부에 유저부(有底部; 140)를 구비하는 필터 엘리먼트(113)가 배치되며, 필터 엘리먼트(113)는, 시일 기구(115)를 통해 홀더(143)와 접속되고, 홀더(143)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관 접속부(120)와 연통(連通)되어 있다. 캡(111)에는, 배관과 연통되는 유로(128)가 형성되고, 캡(111)과 보디(110)는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캡(111)을 비틀어 넣어 가면, 캡(111)의 우측에 구비된 스프링(114)을 압축하고, 그 압축력에 의해 필터 엘리먼트(113)가 우측 방향으로 압박되어, 홀더(143)와 보디(110) 사이의 O링이 압축되어 밀봉되도록 되어 있다.
도 7의 조인트에 있어서, 필터 내장 조인트(210)의 조인트 본체(220)는, 제1 유출입구부(221), 제2 유출입구부(222)를 구비하고, 이들 유출입구부는, 배관과 접속된다. 조인트 본체(220)의 내부에는, 연통 공간(224)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공간(224)의 내부에 필터 엘리먼트(240)가 배치되어 있고, 필터 본체(241)와, 필터 본체(241)의 개구부와 제2 유출입구부(222)와 연통되는 기단부 관통 구멍(242b)이 형성되며, 필터 본체(241)의 개구부에 일단이 기밀적으로 고정되고, 조인트 본체(220)의 내주에 형성된 필터 엘리먼트 설치용 암나사(225)에 타단이 나사 결합되어 기밀적으로 접합되는 통형의 기단부(242)가 구비되어 있다. 기단부(242)에는, 필터 본체(241)의 외형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2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242a)에 공구 결합부(243)가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 본체(220)에는, 또한, 보수용 개구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보수 시에는, 보수용 개구부(223)로부터 공구를 삽입하여, 공구 선단을 공구 결합부(243)에 걸리게 하고, 공구를 회전시켜 필터 엘리먼트(240)의 부착 분리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5506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21-089004호 공보
도 6에 도시된 필터 내장 조인트에서는, 필터 엘리먼트(113)의 메인터넌스 시에 유체가 흐르는 관 접속부(130)를 분리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문제와, 관 접속부(120)측의 유체 압력이 높아진 경우에, 필터 엘리먼트(113)가 스프링(11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좌측으로 이동을 하여, 보디(110)와 홀더(143) 사이의 시일(O링)이 느슨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도 7에 도시된 필터 내장 조인트(210)에서는, 필터 엘리먼트(240)는, 조인트 본체(220)에 나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유출입구부측의 유체 압력이 높아져도 필터 엘리먼트(240)가 이동을 하는 일은 없어지지만, 연통 공간(224) 안쪽에 있는 공구 결합부(243)에 공구를 결합시켜 나사 결합을 해제시키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필터 엘리먼트(240)의 부착·분리에 약간 수고가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으로부터 조인트를 떼어내지 않아도 필터의 교환이 가능하여, 필터의 교환이 용이해지는 필터 내장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1)은, 유체가 흐르는 배관과 연결되는 제1 유출입구부 및 제2 유출입구부와, 상기 제1 유출입구부 및 제2 유출입구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연통 공간과, 상기 연통 공간과 연통되며, 비보수 시에는 기밀하게 밀봉되는 보수용 개구부를 구비하는 조인트 본체와,
통형의 필터 본체와, 상기 필터 본체의 일단의 개구부에 기밀하게 상기 제1 유출입구부 또는 제2 유출입구부에 연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기단부와, 상기 필터 본체의 타단의 개구부를 기밀하게 봉쇄하도록 배치된 선단부를 구비하는 상기 연통 공간에 배치된 필터 엘리먼트를 갖는 필터 내장 조인트로서,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상기 연통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미끄럼 접촉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통 공간의 내주면과의 간극을 기밀하게 밀봉하는 시일 링을 구비하도록 한 필터 내장 조인트이다.
본 발명 (1)의 필터 내장 조인트에서는, 필터 엘리먼트가 연통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미끄럼 접촉 상태로 배치되고,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통 공간의 내주면과의 간극을 기밀하게 밀봉하는 시일 링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유체 유로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서 유체 압력이 변동하여 필터 엘리먼트가 움직여도 조인트 본체와 필터 엘리먼트 사이의 기밀성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본 발명 (2)는, 상기 보수용 개구부가, 보수 시에 상기 필터 엘리먼트를 출납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개구의 크기를 갖고, 또한, 상기 조인트 본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부의 상기 보수용 개구부측의 면에는, 상기 필터 엘리먼트를, 공구를 이용하여 출납하기 위한 걸림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본 발명 (1)의 필터 내장 조인트이다.
본 발명 (2)의 필터 내장 조인트에서는, 또한, 필터 엘리먼트를 출납할 때에, 필터 엘리먼트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 수단이 보수용 개구부에 가깝기 때문에, 필터 엘리먼트를 출납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필터 엘리먼트와 조인트 본체가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나사 결합을 해제하는 필터 엘리먼트의 회전 동작이 필요하지 않고, 필터 엘리먼트를 직선적으로 출납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본 발명 (3)은, 상기 걸림 수단이, 나사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 (1) 또는 (2)의 필터 내장 조인트이다.
본 발명 (3)에서는, 걸림 수단이 나사 구멍이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해져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공구도 선단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면 되기 때문에 간편한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4)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과 연결되는 제1 유출입구부 및 제2 유출입구부와, 상기 제1 유출입구부 및 제2 유출입구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연통 공간과, 상기 연통 공간과 연통되며, 비보수 시에는 기밀하게 밀봉되는 보수용 개구부를 구비하는 조인트 본체와,
통형의 필터 본체와, 상기 필터 본체의 일단의 개구부에 기밀하게 상기 제1 유출입구부 또는 제2 유출입구부에 연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기단부와, 상기 필터 본체의 타단의 개구부를 기밀하게 봉쇄하도록 배치된 선단부를 구비하는 상기 연통 공간에 배치된 필터 엘리먼트를 갖는 필터 내장 조인트로서,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상기 연통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미끄럼 접촉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통 공간의 내주면과의 간극을 기밀하게 밀봉하는 시일 링을 구비하며,
상기 보수용 개구부는, 보수 시에 상기 필터 엘리먼트를 출납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개구의 크기를 갖고, 또한, 상기 조인트 본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보수용 개구부에는, 상기 연통 공간에 관입(貫入)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밀봉 캡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선단부의 상기 보수용 개구부측의 면과, 상기 돌출부의 상기 선단부측의 면 사이에, 상기 선단부와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필터 내장 조인트이다.
본 발명 (4)에서는, 보수용 개구부에 삽입된 밀봉 캡의 선단의 돌출부가 연통 공간에 관입되어 있고, 이 돌출부와 필터 엘리먼트의 선단부가 연결 기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 엘리먼트의 출납을 행하기 위한 공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밀봉 캡과 필터 엘리먼트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 캡을 이용하여 필터 엘리먼트의 출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 (5)는, 상기 연결 기구가, 상기 선단부와 상기 돌출부가 일체가 되는 일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 (4)의 필터 내장 조인트이다.
본 발명 (5)는, 선단부와 돌출부가 일체가 되는 일체 구조이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줄이고, 선단부와 돌출부를 연결시키는 수고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 (6)은, 상기 연결 기구가, 상기 선단부와 상기 돌출부 중 어느 한쪽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다른쪽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 및 상기 암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 (4)의 필터 내장 조인트이다.
본 발명 (6)에서는, 상기 선단부와 돌출부 중 어느 한쪽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다른쪽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연결 기구가, 수나사 및 암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하기 때문에, 간편하고 또한 용이하게 필터 엘리먼트의 출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 (7)은,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선단부와 상기 돌출부 중 어느 한쪽에 T형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쪽에, 상기 T형 돌기와 끼워 맞춰지는 T형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T형 돌기 및 상기 T형 오목부의 연결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 (4)의 필터 내장 조인트이다.
본 발명 (7)에서는, 상기 선단부와 상기 돌출부 중 어느 한쪽에 T형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쪽에, 상기 T형 돌기와 끼워 맞춰지는 T형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T형 돌기 및 상기 T형 오목부의 연결에 의하기 때문에, 간편하고 또한 용이하게 필터 엘리먼트의 출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필터 내장 조인트에 의하면, 배관으로부터 조인트를 떼어내지 않아도 필터의 교환이 가능하여, 필터의 교환이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 내장 조인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 내장 조인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 내장 조인트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 내장 조인트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 내장 조인트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전의 필터 내장 조인트를 도시한다.
도 7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종전의 필터 내장 조인트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좌우는, 도면의 상하좌우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 「상하좌우」는 편의적인 것이며, 설치 시에는, 상하나 좌우가 반대로 되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 내장 조인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필터 내장 조인트(10)의 조인트 본체(20)는, 제1 유출입구부(21), 제2 유출입구부(22)를 구비하고, 이들 유출입구부는, 배관과 접속된다. 배관과의 접속에, 제1 유출입구부 암나사(21a)와 제2 유출입구부 암나사(22a)가 이용된다. 조인트 본체(20)의 내부에는, 연통 공간(24)이 형성되고, 연통 공간(24)과 제1 유출입구부(21) 및 제2 유출입구부(22)는, 각각, 제1 연통로(21b) 및 제2 연통로(22b)로 연통되어 있다.
연통 공간(24)의 내부에 필터 엘리먼트(50)가 배치되어 있다. 필터 엘리먼트(50)는, 필터재로 만들어진 필터 본체(51)와, 필터 본체(51)의 개구부와 제2 유출입구부(22)와 연통되는 기단부 관통 구멍(53)이 형성되고, 필터 본체(51)의 개구부에 일단이 기밀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기단부(52)가 배치되어 있다.
기단부(52)의 외주면에는 기단부 실링 홈(54)이 형성되고, 이 기단부 실링 홈(54)에는 기단부 시일 링(55)이 끼워 맞춰지며, 이 기단부 시일 링(55)이 연통 공간(24)의 내주벽과 밀접하고 있다.
필터 본체(51)의 다른 개구부에는, 선단부(56)가 기밀하게 배치되어 있고, 선단부(56)의 좌측의 면에 걸림 수단(57)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에서는, 걸림 수단(57)은, 나사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 걸림 수단(57)에 공구가 걸려, 필터 엘리먼트는 출납된다.
조인트 본체(20)의 좌측의 면에는, 보수용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수용 개구부(32)는, 필터 엘리먼트(50)의 출납을 위한 개구로 되어 있다. 필터 엘리먼트(50)의 출납을 위해서, 보수용 개구부(23)는, 적절한 개구의 크기를 갖고,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수용 개구부(23)에는, 밀봉 캡(30)이 들어가 있다. 밀봉 캡(30)은, 천공 볼트(31)와 캡(36)을 구비하고 있다. 천공 볼트(31)에는, 내부에 소직경 구멍(33), 테이퍼 구멍부(34), 대직경 구멍(35)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밀봉 캡 수나사(32)가 형성되며, 조인트 본체(20)에 형성된 보수용 개구부 암나사(23a)와 나사 결합된다.
천공 볼트(31) 안에, 캡(36)이 삽입되어 있고, 캡(36)은, 소직경부(37), 테이퍼부(38), 대직경부(39) 및 돌출부(40)를 갖고 있으며, 돌출부(40)는, 연통 공간(24)에 관입되어 있다. 돌출부(40)의 외주면에는, 시일 링 홈(41)이 형성되고, 이 홈에 시일 링(42)이 배치되어 있다. 시일 링(42)은, 연통 공간(24)의 내주면과도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연통로(21b)와 제2 연통로(22b)를 통과하는 유체는, 이들 연통로 이외의 연통 공간(24)으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밀봉 캡(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볼트(31)와 캡(36)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천공 볼트(31)를 돌려도 캡(36)이 함께 돌기 어렵게 되어 있다.
돌출부(40)의 우단면의 돌출부 단부면(40a)은, 선단부(56)의 좌단면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연통로측의 유체의 압력이 높아져, 필터 엘리먼트(50)가 좌측으로 이동되어도 이 돌출부 단부면(40a)이 벽이 되어 필터 엘리먼트(50)는 그 이상 좌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연통 공간(24)의 미리 정해진 유통로 이외로부터,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일이 없다.
도 1의 실시예 1의 필터 내장 조인트(10)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50)를 연통 공간(24)으로부터 취출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배관에 부착된 유체 개폐 밸브를 폐쇄로 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다음으로 밀봉 캡(30)을 돌려 분리한다. 다음으로, 캡(36)의 소직경부(31)를 잡아 꺼낸다. 이 단계에서 보수용 개구부(23)로부터 필터 엘리먼트(50)의 선단부(56)의 좌단면에 형성된 걸림 수단(나사 구멍)(57)이 보이기 때문에, 선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공구의 수나사를 나사 구멍(57)에 나사 결합시켜 꺼내면, 필터 엘리먼트(50)를 외부로 취출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50)를 연통 공간(24)에 배치할 때에는, 취출하는 순서의 반대를 행하면 간단히 배치할 수 있다.
도 2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도 1과 상이한 점은, 시일 링 홈(41')이 선단부(56)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시일 링(42')이 이 시일 링 홈(41')에 끼워져 있는 점뿐이다. 이러한 구조로 해도, 필터 엘리먼트(50)가 좌측으로 이동되어도 이 돌출부 단부면(40a)이 벽이 되어 필터 엘리먼트(50)는 그 이상 좌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연통 공간(24)의 미리 정해진 유통로 이외로부터,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일이 없다. 필터 엘리먼트(50)의 출납 방법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3은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도 1과 상이한 점은, 선단부(56)와 돌출부(40)가 일체화되어 있는 점이다. 이 일체화로 인해, 도 1의 걸림 수단(57)이 불필요해져, 없어지고 있다. 이 일체화에 의해, 제2 연통로(22b)측의 유체 압력이 높아져도 필터 엘리먼트(50)는 옆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전용 공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필터 엘리먼트(50)를 출납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 3의 필터 내장 조인트(10)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50)를 연통 공간(24)으로부터 취출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배관에 부착된 유체 개폐 밸브를 폐쇄로 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다음으로 밀봉 캡(30)을 돌려 분리한다. 다음으로, 캡(36)의 소직경부(37)를 잡아 꺼낸다. 캡(36)과 필터 엘리먼트(50)는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 엘리먼트(50)를 취출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50)를 연통 공간(24)에 배치할 때에는, 취출하는 순서의 반대를 행하면 간단히 배치할 수 있다.
도 4는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도 3의 제3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돌출부(40)와 선단부(56)가 일체가 아니라 분리되어 있고, 돌출부(40)와 선단부(56)는, 걸림 수단(수나사)(57a)과 걸림 수단(암나사)(57b)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 연결에 의해, 제2 연통로(22b)측의 유체 압력이 높아져도 필터 엘리먼트(50)는 옆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전용 공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필터 엘리먼트(50)를 출납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 4의 필터 내장 조인트(10)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50)를 연통 공간(24)으로부터 취출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배관에 부착된 유체 개폐 밸브를 폐쇄로 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다음으로 밀봉 캡(30)을 돌려 분리한다. 다음으로, 캡(36)의 소직경부(37)를 잡아 꺼낸다. 캡(36)과 필터 엘리먼트(50)는, 걸림 수단(수나사)(57a)과 걸림 수단(암나사)(57b)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이기 때문에, 필터 엘리먼트(50)를 손으로 돌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50)를 연통 공간(24)에 배치할 때에는, 취출하는 순서의 반대를 행하면 간단히 배치할 수 있다.
도 5는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도 4의 제4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걸림 수단(수나사)(57a)이 걸림 수단(T형 돌기)(57c)으로 되어 있는 것과, 걸림 수단(암나사)(57b)이 걸림 수단(T형 오목부)(57d)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걸림 수단(T형 오목부)(57d)은, 돌출부 단부면(40a)에 형성된 홈이며, 걸림 수단(T형 오목부)(57d)을 돌출부(40)의 측면에 개구된 개소로부터 걸림 수단(T형 돌기)(57c)을 끼워 맞춰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 5에서는 걸림 수단은 T형이지만, 그 외의 형상으로 걸 수 있으면 T형에 한할 필요는 없고, 도브테일 홈 형상, 우호(優弧) 형상 등이어도 좋다.
도 5의 실시예 5의 필터 내장 조인트(10)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50)를 연통 공간(24)으로부터 취출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배관에 부착된 유체 개폐 밸브를 폐쇄로 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다음으로 밀봉 캡(30)을 돌려 분리한다. 다음으로, 캡(36)의 소직경부(37)를 잡아 꺼낸다. 캡(36)과 필터 엘리먼트(50)는, 걸림 수단(T형 돌기)(57c)과 걸림 수단(T형 오목부)(57d)이 조합되어 연결되어 있을 뿐이기 때문에, 필터 엘리먼트(50)를 가로 방향으로 움직이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50)를 연통 공간(24)에 배치할 때에는, 취출하는 순서의 반대를 행하면 간단히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 내장 조인트를 이용하면, 배관과 이 조인트를 분리하지 않아도, 필터의 부착 분리를 행할 수 있어 수고가 들지 않게 된다.
10: 필터 내장 조인트 20: 조인트 본체
21: 제1 유출입구부 21a: 제1 유출입구부 암나사
21b: 제1 연통로 22: 제2 유출입구부
22a: 제2 유출입구부 암나사 22b: 제2 연통로
23: 보수용 개구부 23a: 보수용 개구부 암나사
24: 연통 공간 30: 밀봉 캡
31: 천공 볼트 32: 밀봉 캡 수나사
33: 소직경 구멍 34: 테이퍼 구멍부
35: 대직경 구멍 36: 캡
37: 소직경부 38: 테이퍼부
39: 대직경부 40: 돌출부
40a: 돌출부 단부면 41, 41': 시일 링 홈
42, 42': 시일 링 50: 필터 엘리먼트
51: 필터 본체 52: 기단부
53: 기단부 관통 구멍 54: 기단부 실링 홈
55: 기단부 시일 링 56: 선단부
57: 걸림 수단 57a: 걸림 수단(수나사)
57b: 걸림 수단(암나사) 57c: 걸림 수단(T형 돌기)
57d: 걸림 수단(T형 오목부)

Claims (7)

  1. 유체가 흐르는 배관과 연결되는 제1 유출입구부 및 제2 유출입구부와, 상기 제1 유출입구부 및 제2 유출입구부와 연통(連通)되도록 형성된 연통 공간과, 상기 연통 공간과 연통되며, 비보수 시에는 기밀하게 밀봉되는 보수용 개구부를 구비하는 조인트 본체와,
    통형의 필터 본체와, 상기 필터 본체의 일단의 개구부에 기밀하게 상기 제1 유출입구부 또는 제2 유출입구부에 연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기단부와, 상기 필터 본체의 타단의 개구부를 기밀하게 봉쇄하도록 배치된 선단부를 구비하는, 상기 연통 공간에 배치된 필터 엘리먼트
    를 갖는 필터 내장 조인트로서,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상기 연통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미끄럼 접촉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통 공간의 내주면과의 간극을 기밀하게 밀봉하는 시일 링을 구비하도록 한 필터 내장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용 개구부는, 보수 시에 상기 필터 엘리먼트를 출납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개구의 크기를 갖고, 또한, 상기 조인트 본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부의 상기 보수용 개구부측의 면에는, 상기 필터 엘리먼트를, 공구를 이용하여 출납하기 위한 걸림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필터 내장 조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수단은 나사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내장 조인트.
  4. 유체가 흐르는 배관과 연결되는 제1 유출입구부 및 제2 유출입구부와, 상기 제1 유출입구부 및 제2 유출입구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연통 공간과, 상기 연통 공간과 연통되며, 비보수 시에는 기밀하게 밀봉되는 보수용 개구부를 구비하는 조인트 본체와,
    통형의 필터 본체와, 상기 필터 본체의 일단의 개구부에 기밀하게 상기 제1 유출입구부 또는 제2 유출입구부에 연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기단부와, 상기 필터 본체의 타단의 개구부를 기밀하게 봉쇄하도록 배치된 선단부를 구비하는, 상기 연통 공간에 배치된 필터 엘리먼트
    를 갖는 필터 내장 조인트로서,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상기 연통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미끄럼 접촉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통 공간의 내주면과의 간극을 기밀하게 밀봉하는 시일 링을 구비하며,
    상기 보수용 개구부는, 보수 시에 상기 필터 엘리먼트를 출납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개구의 크기를 갖고, 또한, 상기 조인트 본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보수용 개구부에는, 상기 연통 공간에 관입(貫入)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밀봉 캡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선단부의 상기 보수용 개구부측의 면과, 상기 돌출부의 상기 선단부측의 면 사이에, 상기 선단부와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필터 내장 조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선단부와 상기 돌출부가 일체가 되는 일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내장 조인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선단부와 상기 돌출부 중 어느 한쪽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다른쪽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 및 상기 암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내장 조인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선단부와 상기 돌출부 중 어느 한쪽에 T형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쪽에, 상기 T형 돌기와 끼워 맞춰지는 T형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T형 돌기 및 상기 T형 오목부의 연결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내장 조인트.
KR1020247003912A 2021-09-07 2022-06-30 필터 내장 조인트 KR202400271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45648 2021-09-07
JPJP-P-2021-145648 2021-09-07
PCT/JP2022/026215 WO2023037730A1 (ja) 2021-09-07 2022-06-30 フィルタ内蔵継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122A true KR20240027122A (ko) 2024-02-29

Family

ID=85506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912A KR20240027122A (ko) 2021-09-07 2022-06-30 필터 내장 조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WO2023037730A1 (ko)
KR (1) KR20240027122A (ko)
WO (1) WO202303773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5061A (ja) 2015-02-24 2016-09-01 株式会社キッツエスシーティー 高圧用フィルタ装置とこれを用いた水素ステーション
JP2021089004A (ja) 2019-12-03 2021-06-10 株式会社フジキン フィルタ内蔵継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8166A (en) * 1985-04-01 1986-08-26 Filtertek, Inc. Press fit filter
JP2668416B2 (ja) * 1988-10-14 1997-10-27 日本パイオニクス株式会社 フィルター
JP3561066B2 (ja) * 1996-02-05 2004-09-02 株式会社コガネイ フィルタエレメン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5061A (ja) 2015-02-24 2016-09-01 株式会社キッツエスシーティー 高圧用フィルタ装置とこれを用いた水素ステーション
JP2021089004A (ja) 2019-12-03 2021-06-10 株式会社フジキン フィルタ内蔵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3037730A1 (ko) 2023-03-16
WO2023037730A1 (ja)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283B1 (ko) 스로틀 밸브
KR101836988B1 (ko) 파일럿식 압력 레귤레이터
US9404622B2 (en) Filling port structure for pressure fluid
JP6650427B2 (ja) インタンクレギュレーターの圧力測定システム
JP2007046697A (ja) 継手付き流体制御器
PT2394080E (pt) Dispositivo de obturação selectiva de uma passagem de fluido
US4204559A (en) Line tap valve
KR20240027122A (ko) 필터 내장 조인트
US6062540A (en) Double seal drain cock
JP7357352B2 (ja) フィルタ内蔵継手
JP2017064699A (ja) 高圧用フィルタとこれを用いた水素ステーション
CN211901626U (zh) 一种波纹管密封截止阀
JP3186697U (ja) カプラ
CN213132678U (zh) 一种8寸高压膜壳用承压头
GB2448418A (en) A filter unit
CN104776235B (zh) 截止阀及具有其的空调器
JP3673309B2 (ja) 高圧配管の接続装置
KR102391620B1 (ko) 엘피지 용기밸브
CN217462106U (zh) 一种井口控制系统换向阀
CN215334695U (zh) 防结霜的低温增压阀
KR102652145B1 (ko) 밸브
US20070075287A1 (en) Regulator union swivel connection
JP4545301B2 (ja) 急速継手
US20210285577A1 (en) Detachable valve
JPH0618143Y2 (ja) 高圧流体充填用バルブ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