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516A - 의복에 적합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용 디보싱 및 주름 마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의복에 적합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용 디보싱 및 주름 마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516A
KR20240026516A KR1020247003441A KR20247003441A KR20240026516A KR 20240026516 A KR20240026516 A KR 20240026516A KR 1020247003441 A KR1020247003441 A KR 1020247003441A KR 20247003441 A KR20247003441 A KR 20247003441A KR 20240026516 A KR20240026516 A KR 20240026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ile
entangled
fibrous web
synthetic nonwove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카스 하트만
바딤 쿨리코비치
댈러스 룬드
니나 응구옌
안드레아 제이 스타우브
시아오준 주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40026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5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41D31/185Elastic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63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material that can be recycl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6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6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 B32B5/267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non-woven fabric layer that is a spunbond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6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 B32B5/26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non-woven fabric layer that is a melt-blow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71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characterised by separate non-woven fabric layers that comprise chemically different strands or fibr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32B7/09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by stitching, needling or sew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30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07Elastomeric fibres
    • B32B2262/0215Thermoplastic elastomer fi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원 양태들은 적어도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관한 것이다.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하나 이상의 디보싱 부분 및 하나 이상의 주름형 구조부를 포함한 상이한 특징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복에 적합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용 디보싱 및 주름 마감 및 그 제조 방법
본원 양태들은 의복 및 기타 물품에 적합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위한 디보싱 및 주름 마감(debossed and plated finish)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직 텍스타일들은 의복 물품들에서 사용하기에 일반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뿐만 아니라, 청소 산업 및 개인위생 산업에서의 최종 용도로 인해, 종래의 부직 텍스타일들은, 보통 니트 및/또는 직물 텍스타일(woven textile)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마감 공정 및 기술과 호환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 부직 텍스타일은, 전형적으로 의복 물품들에서 바람직한 미적 만족, 그리고/또는 기능적인 특징들이 부족하다.
본원 양태들의 예시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예시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예시의 생활주기(lifecycl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1의 예시의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서 사용을 위한 제1 섬유 웨브(web of fibers)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1의 예시의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서 사용을 위한 인쇄층(printed layer)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1의 예시의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서 사용을 위한 제2 섬유 웨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1의 예시의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서 사용을 위한 선택적인 제3 섬유 웨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1의 예시의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서 사용을 위한 탄성중합층(elastomeric layer)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1의 예시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하는 데 사용하고, 도 1의 예시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이용하여 의복 물품을 제조하는 데 추가로 사용하기 위한 예시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7의 제조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인쇄 구성요소(printed component) 및 내부 섬유 웨브를 포함하는 예시의 인쇄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8의 절단선 9-9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8의 예시의 인쇄층을 위한 대안의 인쇄 구성요소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7의 제조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도 8의 인쇄층을 포함하는 예시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11의 절단선 12-12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12의 구역 13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12의 구역 14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7의 제조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인쇄 구성요소 및 스펀레이스 층(spunlace layer)을 포함하는 예시의 인쇄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15의 절단선 16-16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15의 예시의 인쇄층을 위한 대안의 인쇄 구성요소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7의 제조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도 15의 인쇄층을 포함하는 예시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18의 절단선 19-19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0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19의 구역 20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1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19의 구역 21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2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예시의 상체 의복 물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예시의 하체 의복 물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22의 절단선 24-24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5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23의 절단선 25-25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6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마감 공정 및 기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의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7a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디보싱 부분을 포함한 예시의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outer facing side)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b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27a의 예시의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2 바깥쪽 대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27a의 예시의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9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27a의 예시의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디보싱 부분을 형성하는 데 사용하고, 도 27a의 예시의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이용하여 의복 물품을 제조하는 데 추가로 사용하기 위한 예시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a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예시의 상체 의복 물품의 바깥쪽 대향 표면(outer-facing surface)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b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30a의 예시의 상체 의복 물품의 안쪽 대향 표면(inner-facing surface)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a는 본원 의복 품목(apparel item)의 양태들에 따르는 예시의 하체 의복 물품의 바깥쪽 대향 표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b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31a의 예시의 하체 의복 물품의 안쪽 대향 표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a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예시의 주름형 구조부(pleated construction)의 제1 바깥쪽 대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b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32a의 예시의 주름형 구조부의 제2 바깥쪽 대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32a의 예시의 주름형 구조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4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32a의 주름형 구조부를 형성하는 데 사용하고, 도 32a의 주름형 구조를 이용하여 의복 품목을 제조하는 데 추가로 사용하기 위한 예시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예시의 상체 의복 물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예시의 하체 의복 물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본원 양태들에 따르는 도 35의 예시의 상체 의복 물품을 도시한 횡단면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법에 명시된 요건들을 충족하기 위해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설명 자체는 본원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원 발명자들은, 청구되거나 개시되는 주제가, 다른 현재 또는 향후 기술들과 함께, 본원 문헌에서 설명되는 것들과 유사한 상이한 단계들 또는 단계들의 조합들을 포함하기 위해, 다른 방식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또한, 비록 "단계" 및/또는 "블록"이란 용어들이 채용된 방법들의 상이한 요소들을 함축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용어들은, 개별 단계들의 순서가 분명하게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그리고 언급된 때를 제외하고, 본원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단계들 중 또는 그 단계들 간에 임의의 특정한 순서를 암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종래 부직 텍스타일들은 일반적으로 의복 물품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특징들은 부족한 신장 및 회복 특성, 무거운 중량, 부족한 드레이프성(drapability), 거친 질감, 대칭 면 또는 표면, 그리고 증가된 단열이 의도되는 일부 사례에서는 부족한 단열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청소 산업 및 개인위생 산업에서의 최종 용도로 인해, 종래 부직 텍스타일들은 인쇄하기가 어려울 수 있고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특성들을 포함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부직 텍스타일이 인쇄되는 사례들에서, 인쇄된 미적 특질(aesthetic)은 최바깥쪽 표면에 적용되고 품질이 좋지 않으며, 그리고 예컨대 마모로 인해 시간이 지나면서 약화된다. 상기 인쇄된 미적 특질은 의복 물품들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합한 부직 텍스타일들을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원 양태들은 의복 및 기타 물품에서의 사용을 위해 적합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높은 수준으로, 본원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하나 이상의 얽힘형 섬유 웨브(entangled web of fibers)와 인쇄층(예: 인쇄 구성요소를 포함한 내부 층)을 포함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본원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및 내부 층을 포함한다. 제1 얽힘형 섬유 웨브는 제1 면(face)과 맞은편의 제2 면을 포함한다.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의 제1 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대향면을 형성한다. 내부 층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의 제2 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면을 포함한다. 내부 층의 제1 면은, 인쇄 구성요소의 제2 부분보다,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안쪽에 더 많이 내포되는 제1 부분을 구비한 인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본원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서로 적층되어 있고, 그리고/또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및/또는 내부 층과 얽혀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 층(예: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제3 얽힘형 섬유 웨브 및/또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서, 본원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를 포함하고, 이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는 제1 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2 대향면을 형성하는 맞은편의 제2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내부 층은, 내부 층의 제1 면이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의 제2 면에 인접하고 내부 층의 제2 면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제1 면에 인접하도록,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된다.
그에 추가로, 그리고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제1 및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특징들뿐만 아니라, 내부 층 및/또는 임의의 추가 층들의 특징들 때문에, 본원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비대칭으로 대향(facing)될 수 있다(예: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 추가 예시의 양태들에서, 상기 특징들은, 본원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이 의복 물품을 위해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이 의복 물품 안쪽에 내포된다면, 제1 대향면은 의복 물품의 바깥쪽 대향 표면(outer-facing surface)을 형성하고, 제2 대향면은 물품의 안쪽 대향 표면(inner-facing surface)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제1 얽힘형 웨브는,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이 의복 물품 안쪽에 내포될 때, 제1 얽힘형 섬유 웨브가 외부 환경에 대한 노출을 위해 적합하게 하는 특징들을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얽힘형 웨브를 형성하는 섬유들은, 제1 얽힘형 웨브가 섬유들의 파손 없이 마모력에 보다 더 저항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인쇄 구성요소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2 얽힘형 웨브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섬유들의 데니어(denier)보다 약 2배 더 큰 데니어를 보유할 수 있다.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특징들은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이 의복 물품 안쪽에 형성될 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가 피부 대향 표면을 형성하기에 적합하게 한다. 예를 들면, 제2 얽힘형 웨브를 형성하는 섬유들은, 제2 대향면이 마모력에 보다 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얽힘형 웨브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섬유들의 데니어의 약 절반인 데니어를 보유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더 작은 데니어는 피부 또는 가까운 피부 접촉을 위해 편안하게 하는 부드러운 질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얽힘형 웨브는, 부드러운 질감을 부여하고 텍스타일의 드레이프성을 개선시키는(즉, 텍스타일을 보다 덜 뻣뻣하게 하는) 실리콘 코팅 섬유들(silicone-coated fibers)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려되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다른 비대칭 특징들은 제1 대향면 및 제2 대향면과 관련된 인쇄 구성요소 및/또는 상이한 색상 특성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인쇄 구성요소는 제2 대향면에서보다 제1 대향면 상에서 보다 더 잘 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인쇄 구성요소는 제1 대향면 상에서 보일 수 있지만, 그러나 제2 대향면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양태들은, 색상 특성이 제2 대향면에 비해 제1 대향면 상에서 보다 더 눈에 잘 띄는 헤더 효과(heather effect)의 형태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 인쇄 구성요소 및 상이한 색상 특성들은 부직 텍스타일로 형성된 의복 품목에 바람직한 미적 특질을 부여할 수 있으면서도, 의복 품목의 바깥쪽 대향면 및 그 안쪽 대향면과 관련하여 착용자에게 시각적 마커(visual marker)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색상 특성들은 의복 품목이 리버서블 웨어(reversible wear)(즉, 의복 품목의 "뒤집어" 입는 착용)를 위해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상이한 색상 특성들은, 예를 들면, 텍스타일의 상이한 층들을 형성하는 섬유들을 위해 특정한 색상들을 선택함으로써, 그리고 착색 섬유들(colored fibers)이 제2 면에 비해 제1 면으로 보다 더 많이 선택적으로 이동되거나 그와 반대로 이동되도록 얽힘 매개변수들(entanglement parameters)을 선택함으로써 측면들에 부여될 수 있다.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하나 이상의 추가 층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중합층은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신장 및 회복 특성들을 부여하며, 그에 따라 이 텍스타일이 상체 의복 및 하체 의복과 같은 의복 물품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한다. 탄성중합층은 그 자체로 보통의 마손(wear and tear)에 저항하기에 충분한 인장 강도가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중합층은, 결속 구조(cohesive structure)를 생성하기 위해 얽힘 공정(entanglement process)을 사용하여 탄성중합층을 통해 상이한 웨브들로부터 섬유들을 연장시킴으로써,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 내에 통합된다.
일부 예시의 양태에서, 본원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하나 이상의 추가 층은, 탄성중합층과 함께 적층되는 추가 얽힘형 웨브들(예: 제3 얽힘형 섬유 웨브)을 포함한다. 사전 얽힘형 섬유 웨브들(pre-entangled webs of fibers)의 무게는 얽힘 이후 최소 두께를 보유하는 경량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얽힘형 웨브들의 개수, 섬유 데니어, 섬유 유형, 섬유 길이 등의 선택은 그 결과에 따라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섬유들 사이에서 공기 포집(trapping of air)을 통해 향상된 단열을 제공하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한다. 그에 추가로, 본원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이한 웨브들의 특성들 및/또는 웨브들의 개수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측면들 각각을 위해 의도되는 상이한 최종 특성들(end properties)을 포함하여, 인쇄된 부직 텍스타일을 위한 의도되는 상이한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신장 및 회복, 우수한 드레이프성, 흥미로운 시각적 미적 특질, 마모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 및 부드러운 질감을 보유하는 경량의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이 제조되며, 이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이 운동복을 위해 적합한 의복 물품들을 형성하기에 이상적이게 한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다양한 방식으로 마감(finishing)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타일은 선택된 인쇄 기술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패턴, 그래픽, 로고 등으로 인쇄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인쇄는, 인쇄 구성요소가 얽힘 공정 동안 부직 텍스타일 내에 통합되도록, 얽힘 공정 이전에 하나 이상의 섬유 웨브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부직 텍스타일이 의복 물품 내에 형성될 때, 상이한 기술들이 텍스타일 가장자리들을 봉합(seaming)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텍스타일 가장자리들은 중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얽힘 공정은 텍스타일 가장자리들에서 비롯되는 섬유들을 서로 얽히게 하고 그에 따라 솔기(seam)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 양태들은, 본원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이 재활용될 수 있고 일부 양태에서는 텍스타일이 완전하게 재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 따라서, 양태들에서, 얽힘형 웨브들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섬유들은, 보통 폴리에스테르 섬유로서 공지되어 있는 재활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를 포함한 재활용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탄성중합층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재료들은 완전하게 재활용될 수 있다. 재활용되는 섬유들 및 재료들의 사용은 본원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을 감소시킨다.
본원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합성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섬유 웨브와 하나 이상의 추가 층 사이에 인쇄층(예컨대 인쇄 구성요소를 포함한 내부 층)을 위치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합성 구조를 형성하기 전에, 인쇄층은, 내부 층 상에 인쇄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인쇄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웨브들의 개수, 섬유 데니어, 개별 웨브들의 무게, 섬유 길이, 섬유 색상 및 섬유 코팅과 같은, 제1 섬유 웨브, 내부 층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층에 대한 특성들의 선택은 본원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의도되는 최종 특성들을 기반으로 한다. 인쇄층을 형성하고 그 다음 합성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섬유 웨브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층과 상기 인쇄층을 결합한 이후, 기계적 얽힘 공정이 수행된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기계적 얽힘 공정은 니들 펀칭(needle punching)이다. 바늘 선택, 스티치 밀도, 침투 깊이, 침투 방향, 바늘통과 횟수 등과 같은, 니들 펀칭 공정과 관련된 상이한 매개변수들은 비대칭 대향형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의도되는 최종 특성들을 기반으로 선택된다. 예를 들면, 매개변수들은, 의도되는 두께, 의도되는 신장 및 회복도, 의도되는 무게, 의도되는 드레이프성 또는 강성 등을 보유하는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본원의 추가 양태들은,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들에 관한 것이며, 그리고 일반적으로 상기 제조 방법들은, 인쇄층 형성; 합성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섬유 웨브 및/또는 하나의 추가 층과 인쇄층의 결합; 및 합성 구조의 얽힘 공정 처리;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합성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섬유 웨브의 제2 면에 인접하게 인쇄층의 제1 면을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positioning step)를 포함한다. 인쇄층은, 사전에 내부 층에 적용되었던 착색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인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조 방법은, 후속하여 인쇄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섬유 웨브 내에 내포되는 것인 바늘 얽힘 공정(needle entanglement process)으로 합성 구조를 처리하는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예시의 양태에서,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인쇄층을 형성하도록 내부 층 상에 인쇄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인쇄 기술을 활용하는 활용 단계; 및 후속하여 합성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섬유 웨브의 제2 면에 인접하게 인쇄층의 제1 면을 위치시키는 후속 포지셔닝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가변 얽힘 공정으로 합성 구조를 처리하는 또 다른 처리 단계를 포함하되, 그에 후속하여 인쇄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1 섬유 웨브의 제1 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대향면을 형성한다.
추가 예시의 양태들에서, 인쇄 기술[예컨대 디지털 인쇄를 통한 착색제의 도포, 승화 인쇄(sublimation printing)를 통한 승화 염료의 도포]은 내부 층 상에 인쇄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양태들은, 인쇄 구성요소가 내부 층 사전 얽힘부(interior layer pre-entanglement)(즉,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얽힘형 섬유 웨브의 섬유들을 얽히게 하기 전의 부분) 상에 형성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이러한 양태들은, 내부 층이 섬유 웨브(예컨대 사전 얽혀진 섬유 웨브)를 포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며, 그리고 추가로 내부 층이 스펀레이스 층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스펀레이스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의복 물품(article of apparel)"이란 용어는 착용자가 착용하는 물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의복 물품은 상체 의복들[예: 탑스(tops), 티셔츠, 풀오버, 후드 티, 재킷, 코트 등] 및 하체 의복들(예: 팬티, 반바지, 팬티스타킹, 카프리 바지, 유니타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복 물품들은 모자, 장갑, 소매(팔 소매, 종아리 슬리브), 신발용 갑피와 같은 신발류의 물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쪽 대향 표면(inner-facing surface)이란 용어는, 의복 물품을 가리킬 때, 착용자의 신체 표면을 향해 있도록 구성되는 표면을 의미하고, "바깥쪽 대향 표면(outer-facing surface)"이란 용어는, 착용자의 신체 표면으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그리고 외부 환경으로 향해 있도록 구성되는 표면을 의미한다. "최안쪽 대향 표면(innermost-facing surface)"이란 용어는 의복 물품의 다른 층들에 대하여 착용자의 신체 표면에 가장 가깝게 있는 표면을 의미하며, 그리고 "최바깥쪽 대향 표면(outermost-facing surface)"이란 용어는 의복 물품의 다른 층들에 대하여 착용자의 신체 표면으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가장 멀리 위치되는 표면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부직 텍스타일(nonwoven textile)"이란 용어는 편성(knit), 직조(woven), 편조(braided) 구성 또는 다른 구조화된 구성의 형태인 것을 제외한 기계적 및/또는 화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서로 파지되는 섬유들을 나타낸다. 특정한 양태에서, 부직 텍스타일은 매트(mat)형 재료를 형성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조작된 섬유들의 집합체(collection)를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부직 텍스타일은 섬유들로 직접적으로 제작된다. 부직 텍스타일은 결속 구조 내에 형성되는 상이한 섬유 웨브들을 포함할 수 있되, 상이한 섬유 웨브들은 섬유들의 상이하거나 유사한 조성물 및/또는 상이한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 웨브(web of fibers)"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섬유 웨브와의 기계적 얽힘 공정을 수행하기 이전의 섬유 웨브를 나타낸다. 섬유 웨브는, 일반적으로 x, y 평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공통 방향으로 섬유들을 정렬시키고 의도되는 평량(basis weight)을 달성하는 소면 및 래핑 공정(carding and lapping process)으로 처리된 섬유들을 포함한다. 또한, 섬유 웨브들은, 섬유 웨브가 조작(manipulation)될 수 있는(예컨대 롤러 상에 감기거나, 롤러에서 풀리거나, 적층되는 등) 결속 구조를 형성하는 정도로 웨브의 섬유들을 얽히게 하는 라이트 재봉 공정(light needling process) 또는 기계적 얽힘 공정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섬유 웨브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섬유 웨브들과 얽히기 전에 인쇄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 처리 단계로 처리될 수도 있다. "얽힘형 섬유 웨브"란 용어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과 관련될 때, 하나 이상의 다른 섬유 웨브와의 기계적 얽힘 공정으로 처리된 이후의 섬유 웨브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얽힘형 섬유 웨브는, 층을 형성하는 섬유 웨브 내에 원래 존재하는 섬유들뿐만 아니라, 얽힘 공정을 통해 얽힘형 섬유 웨브 안쪽으로 이동된 다른 섬유 웨브들 내에 존재하는 섬유들 역시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내부 층(interior layer)"이란 용어는, 부직 텍스타일의 적어도 2개의 다른 층 사이에 위치되는 부직 텍스타일의 층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인쇄층(printed layer)"이란 용어는, 인쇄 구성요소(printed component)를 포함하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층을 나타낸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인쇄층은, 최바깥쪽 섬유 웨브(예컨대 제1 섬유 웨브)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 내의 층이다. 상기 양태들은, 인쇄층 및 결과적으로 인쇄 구성요소는 외부 환경에 덜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는 점을 고려한다. 결과적으로, 인쇄층 및 인쇄 구성요소는 마손 및 마모에 덜 민감하다. 추가 예시의 양태들에서, 또한, 내부 층에서 인쇄층의 배치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 내의 제자리에 인쇄층을 고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인쇄층의 특징들의 결과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다른 섬유 웨브들 및/또는 층들보다 얽힘이 더 적을 수 있다. 예들 들면,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내부 층이 되도록 2개의 섬유 웨브 및/또는 층 사이에 인쇄층을 위치시킴으로써,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외부 층 또는 최바깥쪽 층으로서 위치된 경우보다 인쇄층에 대해 더 많은 얽힘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고려되는 기계적 얽힘 공정은 가시 바늘(barbed needle) 또는 구조화된 바늘[예: 포크형 바늘(forked needle)]을 사용한 (보통 니들 펀칭으로서 알려진) 니들 얽힘 공정, 또는 유체 얽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려되는 양태들에서, 니들 펀칭은 사용되는 섬유들의 작은 데니어, 및 니들 펀칭 공정과 관련된 상이한 매개변수들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능력으로 인해 사용될 수 있다. 니들 펀칭은 일반적으로 수평인 배향(x, y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배향)에서 일반적으로 수직인 배향(z-방향 배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시 바늘 또는 스파이크 바늘(spiked needle)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니들 펀칭 공정과 관련하여, 소면형(carded), 래핑형(lapped) 및 사전 재봉형(pre-needled) 웨브들이 다른 소면형, 래핑형 및 사전 재봉형 웨브들과 함께 적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적층된 웨브 구조의 맞은편 측면들 상에 위치되는 베드 플레이트(bed plate)와 스트리퍼 플레이트(stripper plate) 사이로 통과될 수 있다. 니들 보드(needle board)에 고정되는 가시 바늘들은 적층된 웨브 구조를 안쪽 및 바깥쪽으로 통과하며, 그리고 스트리퍼 플레이트는, 바늘들이 적층된 웨브 구조의 안쪽 및 바깥쪽으로 이동한 후에, 바늘들에서 섬유들을 분리한다. 스트리퍼 플레이트와 베드 플레이트 간의 간격은 재봉(needling) 동안 웨브 압축(web compression)을 제어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니들 보드는, 적층된 웨브 구조의 길이가 재봉되도록, 적층된 웨브 구조가 이송 시스템을 따라서 기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적층된 웨브 구조와 반복해서 맞물리거나 그로부터 맞물림 해제된다. 본원 양태들은 이송 시스템을 따르는 상이한 지점들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다수의 니들 보드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되, 상이한 니들 보드들은, 적층된 웨브 구조가 기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적층된 웨브 구조의 상이한 면들(예컨대 상부 면 및 하부 면)에서부터 적층된 웨브 구조와 맞물릴 수 있다. 적층된 웨브 구조와 니들 보드의 각각의 맞물림은 본원에서는 "패스(pass)"로서 이해된다. 특정한 니들 보드들과 관련된 매개변수들은 결과에 따른 재봉된 부직 텍스타일의 의도되는 특성들(예: 평량, 두께 등)을 달성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상이한 매개변수들은 얽힘 패스(entanglement pass) 동안 사용되는 cm2당 바늘의 개수(n/cm2)인 스티치 밀도(SD); 및 바늘이 적층된 웨브 구조로부터 당겨지기 전에 적층된 웨브 구조를 얼마나 멀리 통과하는지 나타내는 침투 깊이(P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니들 펀칭 공정과 관련된 매개변수들은 일반적으로 베드 플레이트와 스트리퍼 플레이트 간의 간격 및 적층된 웨브 구조의 이송 속도처럼 조정될 수 있다.
본원 양태들은, 비록 다른 바늘 유형들이 여기서 고려되기도 하지만, 가시 바늘(바늘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가시들을 포함한 바늘)을 사용하는 점을 고려한다. 바늘 상의 가시들은, 가시가 적층된 웨브 구조의 제1 면에서부터 맞은편의 제2 면으로 이동할 때, 섬유들을 "포착"한다. 적층된 웨브 구조를 통과하는 바늘의 이동은 제1 대향면에 가까운 위치 또는 그곳에서부터 제2 대향면에 가까운 위치 또는 그곳으로 가시들에 의해 포착된 섬유들을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거나 밀며, 그리고 추가로 다른 섬유들과의 물리적 상호작용을 야기하여 예컨대 마찰을 통해 이동되는 섬유들을 제자리에 "잠금 고정"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여기서는, 바늘들이 제2 대향면에서부터 제1 대향면을 향해 적층된 웨브 구조를 통과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과 상호작용하는 바늘 상의 가시들의 개수는 바늘의 침투 깊이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가시는, 침투 깊이가 제1 양(amount)일 때 섬유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침투 깊이가 감소함에 따라 모든 가시보다 더 적은 수의 가시가 섬유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추가 예시의 양태들에서, 가시의 크기는 웨브(들)에서 사용되는 섬유들의 데니어를 기반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시 크기는, 작은 데니어 섬유들의 선택적인 이동을 야기하지만, 그러나 큰 데니어 섬유들의 선택적인 이동은 야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작은 데니어(예컨대 미세한) 섬유들과 맞물리지만, 그러나 큰 데니어 섬유들과는 맞물리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가시 크기는, 웨브들을 통해 작은 데니어 섬유 및 큰 데니어 섬유 모두의 이동을 야기하도록 하기 위해 두 섬유 모두와 맞물리도록 선택될 수 있다.
얽힘 공정 이후, 부직 텍스타일은 제1 대향면 및 맞은편의 제2 대향면을 포함할 수 있되, 이들 두 면은 부직 텍스타일의 내부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향해 있으면서 부직 텍스타일의 최바깥쪽 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부직 텍스타일을 볼 때, 제1 대향면 및 제2 대향면이 각각 완전하게 보일 수 있다. 제1 대향면과 제2 대향면은 모두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상호 간에 오프셋되어 있는 x 및 y 평면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탄성중합층"이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배향축(orientational axis)에서 신장 및 회복 특성을 보유하는[즉, 탄성 복원력이 있는(elastically resilient)] 층을 나타내되, 이러한 층은 단일의 배향축에서 신장성 및 회복성을 갖는 층과 다수의 배향축에서 신장성 및 회복성을 갖는 층 모두를 포함한다. 배향축의 예시들은 길이 방향, 폭 방향, x 방향, y 방향, 그리고 이런 길이 방향, 폭 방향, x 방향 및 y 방향으로부터 각이 지게 오프셋된 임의의 방향을 포함한다. 탄성중합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열가소성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탄성중합체(TPEE), TPU와 TPEE의 조합물 등과 같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들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중합층은 스펀본드 층(spunbond layer), 필름, 웨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탄성중합층은 스펀본드 TPEE 또는 멜트블로운(meltblown) TPU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펀본드 TPEE 또는 멜트블로운 TPU와 같은 부직 탄성중합체 재료들은 탄성중합체 필름보다 더 낮은 평량을 허용한다. 또한, 상기 재료들은 일반적으로 필름과 대조적으로 웨브의 섬유 본성(fibrous nature)으로 인해 통기성 및 투기성(permeability)이 보다 더 높으며, 그리고 일반적으로 필름보다 더 유연하다(즉, 덜 뻣뻣하다). 이러한 인자들(낮은 평량, 통기성 및 투기성, 유연성)은 상기 재료들이 특히 의복 문맥에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예시의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서 사용을 위해 이상적이게 하되, 상기 인자들은 바람직한 특징들이다.
섬유와 관련할 때, 데니어 또는 섬유당 데니어란 용어는 섬유의 선형 질량 밀도에 대한 측정 단위이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섬유의 9000미터당 그램 단위의 질량이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섬유의 데니어는 ASTM D1577-07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섬유의 지름은 섬유의 데니어 및 섬유의 밀도를 기반으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고려되는 섬유들은, 보통 폴리에스테르로서 공지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여, 다수의 상이한 재료(예: 면섬유, 나일론 등)로 형성될 수 있다. PET 섬유들은 버진 PET 섬유들(재활용되지 않은 섬유들) 및 재활용된 PET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재활용된 PET 섬유들은 파쇄된 물품들에서 파생되는 파쇄된 PET 섬유들과 재압출된 PET 섬유들(재활용된 PET 칩들을 사용하여 재압출된 섬유들)을 포함한다. 추가 양태들에서, 여기서 고려되는 섬유들은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소수성 특성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실리콘 코팅 섬유(silicone-coated fiber)"란 용어는, 실리콘 코팅이 섬유 길이를 따라서 섬유를 완전하게 덮도록 연속 실리콘 코팅을 포함하는 섬유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에서, 섬유는 코어(core)를 형성할 수 있고, 실리콘은 코어를 에워싸는 외피(sheath)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실리콘 코팅 섬유"란 용어는 섬유의 길이를 따라서 적어도 일부 구역에 간헐적인 실리콘 코팅을 포함하는 섬유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섬유는 실리콘 코팅으로 분무될 수 있다. 본 양태에서, 특정한 섬유 웨브가 100중량 퍼센트의 실리콘 코팅 섬유를 포함한다면, 여기서는 웨브를 형성하는 섬유들이 실리콘 코팅을 포함하지 않은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여기서는, 실리콘 코팅 섬유들이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섬유 웨브 안쪽에 내포되는 점이 고려된다. 달리 말하면, 섬유 상의 실리콘 코팅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이, 예컨대 실리콘 분무 마감을 사용하여 형성된 이후에는 섬유들에 도포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색상(color)" 또는 "색상 특성(color property)"이란 용어는, 부직 텍스타일과 관련될 때, 일반적으로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섬유들의 식별 가능한 색상을 나타낸다. 상기 양태들은, 색상이 당업계에서 공지된 염료, 안료, 및/또는 착색제를 사용하여 섬유에 제공될 수 있는 임의의 색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섬유들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흰색, 검은색 및 이들의 암청색(shade)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색상을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색상은, 섬유가 형성될 때 섬유에 부여될 수 있다[보통 원액착색(dope dyeing)으로서 공지됨]. 원액착색에서, 색상은, 이 색상이 섬유에 통합되도록, 섬유가 압출될 때 섬유에 부가되지만, 사후 형성(post-formation) 단계에서는 [예컨대, 후염(piece dyeing) 단계를 통해] 섬유에 부가되지 않는다.
색상과 관련된 양태들은 일측 색상이 타측 색상과 다른지를 결정하고 일측 색상이 타측 색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인지도 결정하는 점을 더 고려한다. 이러한 양태들에서, 색상은, 색상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표준화하고, 그리고/또는 정량화함으로써, 객체의 색상의 색상값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그리고/또는 계산하는 계기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는 수치 색상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기들은 색채계, 분광복사기, 분광광도계 등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 양태들은, 섬유들에 의해 제공되는 부직 텍스타일의 "색상"이, 색채계, 분광복사기 및/또는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되고, 그리고/또는 계산되는 수치 색상값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또한, 수치 색상값들은, 수치 색상값의 색상 표현(color representation)을 제공하는 색상들의 특정한 편성(organization)인 색공간 또는 색 모델과 관련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각각의 수치 색상값은 색공간 또는 색 모델에서 표현되는 단일의 색상에 상응한다.
상기 결정은, 예를 들면, 색채계, 분광복사기 또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제1 색상을 갖는 제1 텍스타일의 수치 색상값을 측정하고, 그리고/또는 계산하고; 동일한 계기를 이용하여 제2 색상을 갖는 제2 텍스타일의 수치 색상값을 측정하고, 그리고/또는 계산하며(즉, 분광광도계가 제1 색상의 수치 색상값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면, 분광광도계는 제2 색상의 수치 색상값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함); 그리고 제2 색상의 수치 색상값과 제1 색상의 수치 색상값을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상기 결정은, 색채계, 분광복사기 또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텍스타일의 제1 구역의 수치 색상값을 측정하고, 그리고/또는 계산하고; 동일한 계기를 이용하여 제2 색상을 갖는 텍스타일의 제2 구역의 수치 색상값을 측정하고, 그리고/또는 계산하며; 그리고 제2 색상의 수치 색상값과 제1 색상의 수치 색상값을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수치 색상값들이 동일하지 않으면, 제1 색상 또는 제1 색상 특성은 제2 색상 또는 제2 색상 특성과 다르며,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도 다르다.
또한, 2개의 색상 간의 시각적 변별성(visual distinction)은 제1 색상 및 제2 색상의 수치 색상값들 간의 백분율 차이와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시각적 변별성은 색상값 증가치들 간의 백분율 차이처럼 더 커지게 될 것이다. 또한, 시각적 변별성은 색공간 또는 색 모델에서 색상값들의 색상 표현들 간의 비교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색상이 검은색 또는 네이비색인 표현된 색상에 상응하는 수치 색상값을 갖고 제2 색상은 빨간색 또는 노란색인 표현된 색상에 상응하는 수치 색상값을 갖는다면, 제1 색상과 제2 색상 간의 시각적 변별성은 빨간색인 표현된 색상을 갖는 제1 색상과 노란색인 표현된 색상을 갖는 제2 색상 간의 시각적 변별성보다 더 크다.
"반투명도(translucency)"란 용어는 빛의 투과율에 관한 것이며, 그리고 "반투명성(translucent)"은, 빛이 객체의 표면에 부딪칠 때 빛의 일부가 객체를 통과되거나 투과되고 빛의 일부는 확산되고, 반사되고, 그리고/또는 흡수되는 것인 객체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섬유 웨브 및/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층을 설명할 때 "반투명성"이란 용어는 빛이 부분적으로 통과하는 섬유 웨브 또는 층을 의미한다. 또한, 섬유 웨브 또는 층이 본원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성으로서 지칭될 때,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가, 섬유 웨브 또는 층이 반투명성이고 그 투과도와 관련되지 않는 곳인 섬유 웨브 또는 층의 부분, 구역, 영역 또는 위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성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섬유 웨브 또는 층은, 층의 일부 부분, 구역, 영역 또는 위치에서 빛이 부분적으로 통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예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성인 섬유 웨브 또는 층은, 섬유 웨브 또는 층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빛이 부분적으로 통과하고 섬유 웨브 또는 층의 다른 상이한 부분들에서는 빛이 부분적으로 통과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인쇄 기술(printing technique)"이란 용어는 기판(substrate)(예: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내부 층)에 착색 물질(colored substance)을 도포하는 공정을 나타내며, 그리고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인쇄 공정, 기술 또는 방법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착색 물질은 착색제, 승화 염료, 또는 이 두 물질 모두일 수 있으며, 그리고 착색제와 승화 염료는,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흰색, 검은색 및 이들의 암청색을 가지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시의 양태들에서, 여기서 고려되는 인쇄 기술들은, 하나 이상의 착색제가 기판에 전사되는 것인 직접 인쇄 기술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직접 인쇄 기술들의 예시들은 스크린 인쇄, 윤전 인쇄(rotary printing), 디지털 인쇄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착색제(colorant)"란 용어는 잉크, 안료, 염료 또는 기타 무언가를 염색하는 물질을 나타내며, 그리고 본원에서 논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접 인쇄 기술과 호환될 수 있는 광범위한 잉크들, 안료들 또는 염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착색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잉크들, 또는 디지털 인쇄 기술들과 함께 사용할 등록 상표가 있는 잉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들은 수성 또는 유성일 수 있으며, 그리고 크래킹 잉크, 방전 잉크, 글리터 또는 쉬머 잉크, 광택 잉크, 금속 잉크, 거울상 은 잉크, 플라스티졸 잉크, 폴리염화비닐 잉크(PVC 잉크), 비-PVC 잉크, 프탈레이트 잉크, 비-프탈레이트 잉크, 아크릴 잉크, 스웨이드 잉크, 유성 아크릴 잉크, 폴리우레탄 잉크, 고밀도 잉크, 용매 잉크, 자외선 잉크 및 이들의 조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잉크가 전형적으로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잉크들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특성을 보유할 수 있는 특수 잉크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상기 특성들은, 특수 잉크에 금속성, 진주 광택, 색변이 또는 반사성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각적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들 중 임의의 잉크는 잉크의 특정한 특성들 또는 구성성분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거나, 또는 잉크에 추가 특성들 또는 구성성분들을 부여할 수 있는 첨가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첨가제는 잉크로 하여금 특정한 잉크들 및 재료들과 보다 더 호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첨가제는 부직 텍스타일의 층의 면과 잉크 간의 호환성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여기서 고려되는 인쇄 기술은 승화 인쇄 기술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승화 인쇄 공정(sublimation printing process)"이란 용어는 기판에 염료를 도포하기 위해 열과 압력을 활용하는 인쇄 기술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승화 인쇄 공정은 기판(예: 부직 텍스타일의 내부 층)에 대한 친화성(affinity)을 보유할 수 있으면서 승화 인쇄를 통해 상기 기판에 도포되는 하나 이상의 승화 염료를 도포할 수 있다. 승화 염료들은, 미세하게 연마되고 분산제와 함께 포함될 수 있는 식물 또는 합성원료(synthetic source)로부터 파생되는 착색제들(coloring agents)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리고 승화 염료는 분자 레벨로 기판 내로 주입될 수 있으면서 재료 내로 색상을 스며들게 할 수 있다.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승화 인쇄는, 열이 고체에 인가되어, 액체상을 통과하지 않으면서 흡열 반응을 통해 고체를 기체로 변하게 하는 것인, 승화의 과학을 활용한다.
승화 인쇄는 고체의 열감응성 염료를 포함할 수 있되, 이런 염료는 액체에서 용해되고, 열과 압력 조건에서는 기체로 변하여 호환 가능한 기판과 결합되고 그런 다음 다시 고체로 변한다. 결과적으로, 승화 염료들은 분자 레벨로 기판 내로 주입된다. 또한, 여기서 고려되는 승화 인쇄 공정은, 승화 염료를 기판(예: 부직 텍스타일의 내부 층)에 승화 염료를 도포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및 기술들을 활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이한 승화 인쇄 공정들은 유사하고, 그리고/또는 상이한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측 공정은 승화 염료를 기판에 직접 도포할 수 있는 반면, 타측 공정은 전사 시트(transfer sheet)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승화 인쇄 기술은 승화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기판에서 승화 염료의 흡수를 야기하기 위해 열 또는 에너지도 사용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하나 이상의 승화 염료는, 내부층과 이 층에 도포된 하나 이상의 승화 염료가 1초 동안 약 195℃의 온도로 처리되도록 하기 위한 열 프레스(heat press)를 사용하여 내부 층에 전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 이상의 승화 염료는 내부 층에 전사되고 내부 층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흡수된다. 다른 양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승화 염료는, 내부 층 및 이 내부 층에 도포되는 하나 이상의 승화 염료가 약 30초, 약 25초, 약 20초, 약 15초, 약 10초, 약 5초의 시간 동안 약 225℃에서부터 약 165℃까지, 약 220℃에서부터 약 170℃, 약 215℃에서부터 175℃까지, 약 210℃에서부터 약 180℃까지, 약 205℃에서부터 약 185℃까지, 약 200℃에서부터 약 190℃까지, 또는 약 195℃의 온도가 되도록 하기 위한 열 프레스를 사용하여 내부 층에 전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약"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지시된 값의 ±10% 이내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인쇄 구성요소(printed component)"란 용어는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인쇄 기술을 통해 층에 도포된 하나 이상의 착색제 또는 승화 염료에 의해 층 상에 형성되는 이미지, 그래픽, 디자인 또는 시각적 표시를 의미한다. 또한, 인쇄 구성요소는 로고, 이미지 등과 같은 브랜드화와 관련된 형상들, 기하학적 형상들, 유기 형상들, 패턴들, 문자들, 번호들 등을 포함한 형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쇄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 또는 승화 염료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되, 상기 색상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이들의 암청색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색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의 추가 양태들은 의복 및 기타 물품에 적합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위한 디보싱 및 주름 마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높은 수준으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하는 제1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디보싱 부분 및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를 포함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되, 디보싱 부분은 탄성중합층 안쪽에 통합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계속하여 높은 수준으로, 주름형 구조부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름형 구조부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최바깥쪽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elastically resilient structured textile)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합성 부직 텍스타일 및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로 형성된 복수의 주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전 얽혀진 웨브들 및 결과에 따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하여 다양한 측정치들이 제공된다. 결과에 따른 합성 부직포의 두께는 정밀 두께 게이지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예를 들면, 텍스타일은 플랫 앤빌(flat anvil)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압력 푸트(pressure foot)는 표준 고정 하중 아래쪽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텍스타일 상에 압착된다. 정밀 두께 게이지 상의 다이얼 인디케이터는 mm 단위의 두께 표시를 제공한다. 평량은 ISO3801 시험 표준을 사용하여 측정되고 제곱미터당 그램(gsm) 단위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드레이프(drape)에 상응하는 텍스타일 강성은 ASTMD4032(2008) 시험 표준을 사용하여 측정되고 킬로그램 힘(Kgf) 단위를 갖는다. 직물 성장률(growth) 및 회복률(recovery)은 ASTM2594 시험 표준을 사용하여 측정되고 백분율로서 표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신장성(stretch)"이란 용어는 규정된 장력 조건에서 명시된 거리의 증가로서 측정되는 텍스타일 특성을 의미하며, 그리고 일반적으로 원래의 벤치마크 거리[즉, 휴지 길이(resting length) 또는 폭]의 백분율로서 표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성장률(growth)"이란 용어는 시간 간격 동안 규정된 장력으로 연장하고 이어서 장력을 해제한 후 명시된 벤치마크의 거리(즉, 휴지 길이 또는 폭)의 증가를 의미하며, 그리고 보통 원래의 벤치마크 거리의 백분율로서 표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회복률(recovery)"은 텍스타일의 원래의 벤치마크 거리(즉, 그의 휴지 길이 또는 폭)로 복귀하는 텍스타일의 능력을 의미하며, 그리고 원래의 벤치마크 거리의 백분율로서 표현된다. 일반적으로 단열 특징(insulation feature)에 상응하는 열 저항성은 ISO11092 시험 표준을 사용하여 측정되고 RCT의 단위(M2*K/W)를 갖는다.
달리 언급이 없으면, 본원에서 제공되는 모든 측정치는 표준 주변 온도 및 압력(25 섭씨도 또는 298.15K 및 1bar)에서 휴지(비신장) 상태의 부직 텍스타일로 측정된다.
도 1은 본원에서 고려되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예시의 생활주기의 개략도이다. 도면부호 100은, 제1 섬유 웨브(110), 인쇄 구성요소(130)(예: 인쇄층)를 포함한 내부 층(120) 및 얽힘 이전의 하나 이상의 추가 층(140)(예: 제2 섬유 웨브, 제3 섬유 웨브 및/또는 탄성중합층)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일부 예시의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 층(140) 중 임의의 층이 선택사항일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섬유 웨브(110), 내부 층(120)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층(14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섬유들은 재활용된 섬유들 및 특히 재활용된 PET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하나 이상의 추가 층(140)이 탄성중합층을 포함할 때, 본원에서의 예시의 양태들은, 탄성중합층이 재활용 가능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화살표 102는, 섬유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층 안쪽으로 연장되어 결속 구조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을 형성하도록, 제1 섬유 웨브(110), 내부 층(120) 및/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층(140)이 서로 얽혀지는 것인, 얽힘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화살표 104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이 인쇄 구성요소(130)를 포함한 의복 물품(160) 내에 형성되는 것인 처리 단계(processing step)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비록 의복 물품(160)이 상체 의복으로서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여기서는 의복 물품(160)이 하체 의복, 신발의 갑피, 모자, 장갑, 소매 등과 같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의복 물품(160)의 수명의 종료 시, 착용자는 의복 물품(160)을 예컨대 제조업체/소매상인에게 반납할 수 있되, 의복 물품(160)은 화살표 106으로 표시된 것처럼 완전하게 재활용되어, 제1 섬유 웨브(110), 내부 층(120) 및/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층(140)과 같은 섬유 웨브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쇄된 섬유들 및/또는 재압출된 섬유들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자가 유지 루프(self-sustaining loop)를 창출하는 점이 고려된다. 이러한 자가 유지 루프는, 전형적으로, 의복의 편성, 직조 및 부직 물품들을 포함한 의복의 인쇄된 물품의 창출과 관련된 탄소 충격(carbon impact)을 감소시킨다.
도 2에는, 다른 웨브들과 얽히고, 그리고/또는 다른 층들과 적층되기 이전의 제1 섬유 웨브(110)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섬유 웨브(110)와 관련된 특성들은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을 위해 의도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에서 논의한 것처럼, 다른 웨브와 얽혀지고, 그리고/또는 다른 층들과 적층될 때, 여기서는 제1 섬유 웨브(110)가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제1 대향면을 형성하는 점이 고려된다.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이 의복 물품 안쪽에 형성될 때, 제1 대향면은 의복 물품의 바깥쪽 대향 표면을 형성하고, 일부 양태에서는 의복 물품의 최바깥쪽 대향 표면을 형성하는 점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제1 섬유 웨브(110)와 관련하여 의도되는 특성들은 예컨대 내구성, 마모 저항성, 및 단정성(modesty)에 대한 커버리지를 포함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섬유 웨브(110)는 제곱미터당 약 20그램(gsm)에서부터 약 150gsm까지, 약 35gsm에서부터 약 65gsm까지, 약 40gsm에서부터 약 60gsm까지, 약 45gsm에서부터 약 55gsm까지, 또는 약 50gsm의 평량을 보유한다. 제1 섬유 웨브(110)에 대해 상기 범위의 평량을 목표로 함으로써, 제1 섬유 웨브(110)가 다른 웨브들 및/또는 층들과 결합된 이후 의도되는 범위의 평량을 보유하는 생성된 부직 텍스타일이 제공된다.
제1 섬유 웨브(110)는, 소면 및 크로스 래핑 공정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공통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섬유들(210)과 같은 섬유들로 형성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210)은, 비록 다른 버진 및 재활용된 섬유 유형들(예: 폴리아미드, 면섬유 등)이 여기서 고려된다고 하더라도, (재활용된 또는 버진) PET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섬유들(210)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PET 섬유들과 같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210)은 100중량 퍼센트의 버진 섬유들, 또는 의도한 바대로 버진 및 재활용된 섬유들의 다른 조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들(210)의 스테이플 길이(staple length)의 범위는 약 40mm에서부터 약 60mm까지, 약 45mm에서부터 약 55mm까지, 또는 약 51mm일 수 있다. 이러한 섬유 길이의 사용은 최적의 얽힘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길이가 40mm 미만일 때, 섬유들은, 얽혀지기에 충분한 길이를 보유하지 않을 수 있고, 길이가 60mm를 초과할 때에는, 바늘이 얽힘 공정 동안 부직 텍스타일로부터 인출될 때 섬유들은 실제로 얽혀지지 않을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210)은, 이 섬유들이 버진 압출 PET 또는 재압출된 PET로 형성되어 정의된 길이로 재단될 때처럼, 균일한 길이를 보유할 수 있다.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210)은, 이 섬유들(210)이 파쇄된 섬유 공급원으로부터 파생될 때처럼, 스테이플 길이의 변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양태들 및 모든 양태에서,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양태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섬유들(210)은 약 1.2D보다 크거나 같은 데니어, 또는 약 1.2D에서부터 약 3.5D까지, 약 1.2D에서부터 약 1.7D까지, 약 1.3D에서부터 약 1.6D까지, 또는 약 1.5D의 데니어를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활용하면, 섬유들(210)이 파손에 대해 보다 덜 민감하게 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제1 대향면의 내구성 및 마모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여전히 제1 섬유 웨브(110)의 평량을 달성하면서, 상기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선택하면, 제1 대향면의 우수하고 균일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며, 이는 제1 대향면의 내구성 특징들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면, 3.5D보다 더 큰 데니어를 선택하면, 여전히 제1 섬유 웨브(110)에 대한 평량을 유지하면서, 제1 대향면에 대해 보다 더 적은 커버리지가 제공될 수 있고, 이는 일부 사례에서 노출되는 것,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할 때 인쇄 구성요소처럼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섬유 웨브(11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섬유들(210)은 제1 색상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색상 특성은, 예컨대 섬유들(210)이 원액 착색되도록 섬유들(210)이 형성되고 있을 때 압출 공정 동안 섬유들(210)에 부여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색상 특성은, 비록 다른 색상들도 본원에서 고려되기는 하지만, 흰색일 수 있다. 원액 착색된 섬유들을 사용하여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을 형성하면, 사후 형성 염색 단계들은 생략되며, 이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탄소 발자국을 감소시키는 데 추가로 도움을 준다. 또 다른 예시의 양태에서, 섬유들(210)은, 제1 섬유 웨브(11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성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섬유 웨브(110), 사전 얽힘 또는 사후 얽힘은,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내부 층(120)의 인쇄 구성요소(130)가 제1 섬유 웨브(110)를 통해 제1 대향면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이도록 형성된다.
도 3에는, 다른 웨브들 및/또는 층들과 얽히고, 그리고/또는 적층되기 이전의 인쇄 구성요소(130)를 포함하는 내부 층(120)이 도시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내부 층(120)과 관련된 특성들은 인쇄 구성요소(130) 및/또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의도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부 층(120)은, 본원에서 고려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기술과 호환될 수 있으면서 바람직한 미적 특성을 갖는 인쇄 구성요소(130)를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에서, 내부 층(120)은 흰색인 제1 색상 특성을 보유하며, 그리고 집합적으로 인쇄 구성요소(130)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착색 물질을 수용하기 위해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면을 포함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내부 층(120)은 본원에서 고려되는 섬유들과 관련한 특징들 중 임의로 선택된 특징을 보유하는 섬유들로 형성되는 섬유 웨브일 수 있다.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내부 층(120)은, 인쇄 구성요소(130)에 의도되는 미적 특성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특징들을 보유하는 스펀레이스 층이다. 내부 층(120)과 관련된 추가 양태들은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논의된다.
도 4~6에는, 각각,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하나 이상의 추가 층(140)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예시의 섬유 웨브 또는 예시의 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다른 웨브들과 얽히고, 그리고/또는 다른 층들과 적층되기 이전의 제2 섬유 웨브(112)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섬유 웨브(112)와 관련된 특성들은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을 위해 의도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에서 논의한 것처럼, 다른 웨브와 얽혀질 때, 여기서는 제2 섬유 웨브(112)가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맞은편의 제2 대향면을 형성하는 점이 고려된다.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이 의복 물품 안쪽에 형성될 때, 여기서는 제2 대향면이 의복 물품의 안쪽 대향 표면을 형성하고, 일부 양태에서는 의복 물품의 최안쪽 대향 표면을 형성하는 점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제2 섬유 웨브(112)와 관련된 특성들은 예컨대 부드러운 질감 또는 느낌을 포함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섬유 웨브(112)는 제곱미터당 약 20그램(gsm)에서부터 약 150gsm까지, 제곱미터당 약 35그램(gsm)에서부터 약 65gsm까지, 약 40gsm에서부터 약 60gsm까지, 약 45gsm에서부터 약 55gsm까지, 또는 약 50gsm의 평량을 보유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섬유 웨브(112)는 일반적으로 제1 섬유 웨브(110)와 동일한 평량을 갖는다. 제2 섬유 웨브(112)에 대해 상기 범위의 평량을 목표로 함으로써, 제2 섬유 웨브(112)가 다른 웨브들과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다른 층들과 적층된 이후 의도되는 범위의 평량을 보유하는 결과에 따른 부직 텍스타일이 제공된다.
제2 섬유 웨브(112)는, 소면 및 크로스 래핑 공정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공통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섬유들(310) 및 (개략적으로 도시된) 섬유들(312)과 같은 2가지 유형의 섬유들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310)은, 비록 다른 버진 및 재활용된 섬유 유형들(예: 폴리아미드, 면섬유 등)이 여기서 고려된다고 하더라도, (재활용된 또는 버진) PET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섬유들(310)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PET 섬유들과 같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310)은 100중량 퍼센트의 버진 섬유들, 또는 의도한 바대로 버진 및 재활용된 섬유들의 다른 조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들(312)은, 섬유들(310)과 다른 특징들을 보유한다는 점을 지시하기 위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섬유들(312)은 실리콘 코팅 섬유들을 포함한다. 섬유들(312)은, 제2 섬유 웨브(112) 안쪽에 섬유들(312)을 내포시키기 이전에 실리콘으로 코팅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섬유 웨브(312)는 약 10 내지 약 10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2); 약 4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0)과 약 6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2); 약 45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0)과 약 55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2); 약 5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0)과 약 5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2); 약 55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0)과 약 45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2); 또는 약 6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0)과 약 4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섬유 웨브(112)가 약 10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2)을 포함할 수 있다고 할 때, 여기서는 섬유들(312)이 그들 길이에 따라 실리콘으로 간헐적으로 코팅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상기한 범위들의 섬유들(310) 및 섬유들(312)을 활용하면, 제2 섬유 웨브(11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면에 우수한 촉감이 제공된다. 또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에 우수한 드레이프성도 제공된다. 달리 말하면, 결과에 따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은 청소 공간 및 개인위생 공간에서 사용되는 종래 부직포만큼 뻣뻣하지 않다. 또한, 상기한 범위들의 섬유들(310) 및 섬유들(312)을 활용하면, 실리콘 코팅 섬유들이 얽힘 공정 동안 보다 더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본원에서 설명되는 섬유 웨브를 얽히게 하기 위해 필요한 바늘 힘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들 미만의 실리콘 코팅 섬유들을 내포할 때, 제2 대향면은 착용 동안 건조하고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그와 정반대로,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들을 초과하는 실리콘 코팅 섬유들을 내포할 때에는, 제2 대향면은 매끄럽게 느껴질 수 있고, 이는 또한 착용자를 불쾌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들을 초과하는 실리콘 코팅 섬유들을 사용하면, 소면 공정을 어렵게 만들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카드 와이어들(card wires)이 균일한 소면 웨브(carded web)를 달성하기 위해 섬유들과 마찰 방식으로 맞물릴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들을 초과하는 실리콘 코팅 섬유들을 사용하면, 섬유들 간의 적절한 얽힘을 생성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마찰력이 실리콘으로 인해 감소되고 그에 따라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구조적인 무결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실리콘 코팅 섬유들(312)을 활용하면, 사후 처리 단계에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에 실리콘 마감을 부가할 필요성이 생략된다. 텍스타일 공간에서 공지된 것처럼, 사후 처리 단계에서 편성되거나 직조된 제품들에 실리콘 연화제 마감재를 부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이다. 이러한 단계를 삭제함으로써,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탄소 발자국은 추가로 감소된다.
섬유들(310 및 312) 각각의 스테이플 길이의 범위는 약 40mm에서부터 약 60mm까지, 약 45mm에서부터 약 55mm까지, 또는 약 51mm일 수 있다. 섬유들(210)과 유사하게, 상기 길이는 최적의 얽힘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310 및/또는 312)은, 이 섬유들이 버진 압출 PET 또는 재압출된 PET로 형성되어 정의된 길이로 재단될 때처럼, 균일한 길이를 보유할 수 있다.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310 및/또는 312)은, 이 섬유들(310 및/또는 312)이 파쇄된 섬유 공급원으로부터 파생될 때처럼, 스테이플 길이의 변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양태들 및 모든 양태에서,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양태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섬유들(310 및 312) 각각은 약 1D보다 작거나 같은 데니어를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니어는 약 0.1D, 약 0.2D, 약 0.3D, 약 0.4D, 약 0.5D, 약 0.6D, 약 0.7D, 약 0.8D 또는 약 0.9D일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310 및 312)의 데니어는 약 0.6D에서부터 약 1D까지, 약 0.7D에서부터 약 0.9D까지, 또는 약 0.8D일 수 있다. 상기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활용하면, 제2 섬유 웨브(112)로 형성되는 제2 대향면에 부드러운 느낌 또는 질감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여전히 제2 섬유 웨브(112)의 평량을 달성하면서, 상기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선택하면, 제2 대향면의 우수한 커버리지가 제공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섬유 웨브(11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섬유들(310 및 312) 각각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색상 특성을 보유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310 및 312) 모두는 섬유들(210)의 제1 색상 특성을 보유한다. 섬유들(210)과 유사하게, 섬유들(310 및 312) 각각은 원액 착색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에 따른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위한 사후 처리 염색 단계들을 위한 필요성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도 5에는, 다른 웨브들과 얽히고, 그리고/또는 다른 층들과 적층되기 이전의 선택적인 제3 섬유 웨브(114)가 도시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층(140)의 부분으로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 내에 내포될 때, 여기서는 제3 섬유 웨브(114)가 제1 섬유 웨브(110)와 제2 섬유 웨브(112) 사이에 위치되는 점이 고려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3 섬유 웨브(114)와 관련된 특성들은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을 위해 의도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3 섬유 웨브(114)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을 위해 의도되는 평량을 달성하기 위해,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을 위해 의도되는 두께를 달성하기 위해,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을 위해 의도되는 단열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을 위해 의도되는 파일(pile)을 달성하기 위해, 그리고 그 외 목적을 위해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 안쪽에 내포될 수 있다. 하기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것처럼,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에 시각적인 미적 특질을 부여하기 위해, 제3 섬유 웨브(114)를 형성하는 섬유들은 제1 섬유 웨브(110) 및 제2 섬유 웨브(11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섬유들과 다른 색상 특성을 보유할 수 있다. 제1 섬유 웨브(110) 및 제2 섬유 웨브(112)와 유사하게, 제3 섬유 웨브(114)는 약 20gsm에서부터 약 150gsm까지, 제곱미터당 약 35그램(gsm)에서부터 약 65gsm까지, 약 40gsm에서부터 약 60gsm까지, 약 45gsm에서부터 약 55gsm까지, 또는 약 50gsm의 평량을 보유한다. 제3 섬유 웨브(110)에 대해 상기 범위의 평량을 목표로 함으로써, 제3 섬유 웨브(114)가 다른 웨브들 및/또는 층들과 결합된 이후 의도되는 범위의 평량을 보유하는 생성된 부직 텍스타일이 제공된다.
제3 섬유 웨브(114)는, 소면 및 크로스 래핑 공정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공통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섬유들(410)과 같은 섬유들로 형성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410)은, 비록 다른 버진 및 재활용된 섬유 유형들(예: 폴리아미드, 면섬유 등)이 본원에서 고려된다고 하더라도, (재활용된 또는 버진) PET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섬유들(410)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PET 섬유들과 같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410)은 100중량 퍼센트의 버진 섬유들, 또는 의도한 바대로 버진 및 재활용된 섬유들의 다른 조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들(210, 310 및 312)과 유사하게, 섬유들(410)의 스테이플 길이의 범위는 약 40mm에서부터 약 60mm까지, 약 45mm에서부터 약 55mm까지일 수 있거나, 또는 약 51mm일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410)은, 이 섬유들이 버진 압출 PET 또는 재압출된 PET로 형성되어 정의된 길이로 재단될 때처럼, 균일한 길이를 보유할 수 있다.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410)은, 이 섬유들(410)이 파쇄된 섬유 공급원으로부터 파생될 때처럼, 스테이플 길이의 변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양태들 및 모든 양태에서,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양태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섬유들(410)은 약 1.2보다 크거나 같은 데니어, 또는 약 1.2D에서부터 약 3.5D까지, 약 1.3D에서부터 약 1.6D까지, 또는 약 1.5D의 데니어를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활용하면, 섬유들(410)이 파손에 대해 보다 덜 민감하게 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내구성 및 마모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제3 섬유 웨브(114)는 사용될 때 제1 섬유 웨브(110)와 제2 섬유 웨브(112)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부드러운 질감을 보유하는 점은 예컨대 제2 섬유 웨브(112)만큼 중요하지 않다. 여전히 제3 섬유 웨브(114)의 평량을 달성하면서 상기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선택함으로써,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전체 커버리지 및/또는 불투명성은 향상되게 된다.
일부 양태에서, 제3 섬유 웨브(114)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섬유들(410)은 제1 색상 특성과 다른 제2 색상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대각선 음영선들의 사용을 통해 도 4에 묘사되어 있다. 여기서는, 섬유들(410)이 원액 착색되어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탄소 발자국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처럼, 제1, 제2 및 제3 섬유 웨브(110, 112 및 114)의 얽힘 동안, 섬유들(410)은, 제2 색상 특성이 타측 대향면에 비해 일측 대향면 상에서 보다 더 큰 정도로 시각적으로 분간될 수 있거나 구별될 수 있도록, 타측 대향면보다 일측 대향면을 향해 더욱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섬유 웨브(110)의 섬유들(210), 제2 섬유 웨브(112)의 섬유들(310) 및 제3 섬유 웨브(114)의 섬유들(410)은 실리콘으로 코팅되지 않는 점이 고려된다.
도 6에는, 하나 이상의 추가 층(140)의 부분으로서 포함될 수 있는 탄성중합층(116)이 도시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탄성중합층(116)은 약 20gsm에서부터 약 150gsm까지, 약 50gsm에서부터 약 70gsm까지, 약 55gsm에서부터 약 65gsm까지, 또는 약 60gsm의 평량을 보유할 수 있다. 탄성중합층(116)의 평량은, 결과에 따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해 의도되는 평량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원 양태들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열가소성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탄성중합체(TPEE), TPU와 TPEE의 조합물 등과 같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들로 탄성중합층(116)을 형성하는 점을 고려한다. 탄성중합층은 스펀본드 층(spunbond layer), 필름, 웨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예시의 양태에서, 탄성중합층(116)은 TPEE 스펀본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의 양태에서, 스펀본드 층은 예컨대 필름에 비해 신장 및 회복 특성을 유지하면서 재봉 공정(needling process)을 보다 더 잘 견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탄성중합층(116)은, 전반적으로 얽힘 공정 동안 구조적인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에 바람직한 신장 및 회복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여기서는, 탄성중합층(116)이 색상 특성을 보유하는 점이 고려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색상 특성은, 비록 다른 색상 특성들이 본원에서 고려되기도 하지만, 섬유들(210, 310 및 312)과 관련한 제1 색상 특성일 수 있다.
도 7에는, 예시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고 의복 물품(160) 내에 상기 텍스타일을 내포시키기 위한, 전반적으로 도면부호 700으로 표시된 예시의 제조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 제조 구성요소들의 묘사는 예시일 뿐이며, 그리고 제조 공정(700)의 개별 단계들의 일반적인 특징들을 전달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에 추가로, 단계들이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본원 양태들은, 제조 공정(700)이, 그중 임의의 단계들이 반복될 수 있거나 도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인 하나 이상의 단계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높은 수준으로, 도 7에는, 인쇄층(170)을 형성하도록 내부 층(120) 상에 인쇄 구성요소(130)를 형성하기 위해 인쇄 기술을 활용하는 활용 단계; 합성 구조(180)를 형성하도록 제1 섬유 웨브(110)의 제2 면에 인접되게 인쇄층(170)의 제1 면을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을 형성하도록 얽힘 공정으로 합성 구조(180)를 처리하는 처리 단계; 및 의복 물품(160) 안쪽에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을 내포시키는 내포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공정(700)의 여러 개별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 702로 시작하여, 내부 층(120)이 수득되고, 그리고/또는 제공된다. 단계 704에서, 인쇄 기술은 인쇄 구성요소(130)를 형성하기 위해 활용되되, 상기 인쇄 구성요소는 포괄적으로 내부 층(130)의 제1 면에 도포되는 착색 물질(132)로서 도시되어 있다. 단계 706에는, 활용되는 인쇄 기술과 관련된 선택적인, 그리고/또는 추가적인 단계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본 예시에서 단계 706에는, 도포된 착색 물질(132) 및 내부 층(120)이 열원(707)에 의해 생성된 열로 처리되는 것인 양생 공정(curing process)이 포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계 708에서, 인쇄층(170)의 제1 면은 제1 섬유 웨브(110)의 제2 면에 인접되게 위치되며, 그리고 선택적인 하위 단계에서는 인쇄층(170)의 맞은편의 제2 면이 하나 이상의 추가 층(140)의 제1 면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제1 섬유 웨브(110)와 인쇄층(170)은 합성 구조(180)를 형성하되, 이 합성 구조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추가 층(140)을 포함한다. 단계 710에는, 제1 조건(711) 및 제2 조건(712)을 포함하는 얽힘 공정으로 합성 구조(180)를 처리하는 처리 단계가 포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에서, 제1 조건(711)은 매개변수들의 제1 집합과 관련된 니들 펀칭의 제1 패스(pass)이며, 그리고 제2 조건(712)은 매개변수들의 제2 집합과 관련된 니들 펀칭의 제2 패스이다. 조건들(711 및 712)은 예시일 뿐이며, 여기서는 다소의 바늘 패스가 의도되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단계 714에서 도시된 것처럼, 얽힘 공정의 완료 시, 합성 구조(180)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 안쪽에 형성된다. 단계 716에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은 그 다음 의복 물품(160) 안쪽에 내포된다. 제조 공정(700)의 단계들과 관련된 추가 양태들은 하기에서 인쇄층(170) 및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예시의 구성들과 관련되어 보다 더 상세하게 논의된다.
도 8에는, 제1 섬유 웨브(110) 및/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층(140)과 결합되기 이전의 예시의 인쇄층(87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인쇄층(870)은 제1 면(871)을 구비하고 내부 섬유 웨브(820) 및 인쇄 구성요소(130)를 포함한다. 양태들에서, 내부 섬유 웨브(820)는 제3 섬유 웨브(114)와 유사한 하나 이상의 특징을 보유하며, 그에 따라서 내부 섬유 웨브(820)를 형성하는 섬유들(412)은 또한 섬유들(410)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특징을 보유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예시에서, 섬유들(412)은 섬유들(410)과 다른 색상 특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섬유들(412)의 색상 특성은 인쇄 구성요소(130)가 내부 섬유 웨브(820)와 시각적으로 분간될 수 있거나 구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섬유들(412)의 색상 특성은 흰색일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색상 특성은 회색, 또는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남색 또는 보라색의 보다 더 밝은 암청색일 수 있다. 섬유들(412)은 원액 착색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섬유 웨브들과 얽힘 동안, 섬유들(412)은, 색상 특성이 타측 대향면보다 일측 대향면 상에 보다 더 큰 정도로 시각적으로 분간될 수 있거나 구별될 수 있도록, 타측 면보다 일측 면을 향해 더욱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섬유들(412)이 실리콘으로 코팅되지 않은 점이 고려된다.
다른 예시의 양태들은, 제3 섬유 웨브(114)처럼, 내부 섬유 웨브(820)와 관련된 특성들이,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을 위해 의도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내부 섬유 웨브(820)는, 의도되는 평량, 의도되는 두께, 의도되는 단열 특성, 의도되는 파일(pile) 등을 달성하기 위해,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 안쪽에 내포될 수 있다. 제3 섬유 웨브(114)와 유사하게, 내부 섬유 웨브(820)는 약 20gsm에서부터 약 150gsm까지, 제곱미터당 약 35그램(gsm)에서부터 약 65gsm까지, 약 40gsm에서부터 약 60gsm까지, 약 45gsm에서부터 약 55gsm까지, 또는 약 50gsm의 평량을 보유한다. 내부 섬유 웨브(820)에 대해 상기 범위의 평량을 목표로 함으로써, 내부 섬유 웨브(820)가 다른 웨브들 및/또는 층들과 결합된 이후 의도되는 범위의 평량을 보유하는 결과에 따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이 제공된다.
언급한 것처럼, 내부 섬유 웨브(820)는, 소면 및 크로스 래핑 공정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공통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섬유들(412)과 같은 섬유들로 형성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412)은, 비록 다른 버진 및 재활용된 섬유 유형들(예: 폴리아미드, 면섬유 등)이 여기서 고려된다고 하더라도, (재활용된 또는 버진) PET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섬유들(412)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PET 섬유들과 같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412)은 100중량 퍼센트의 버진 섬유들, 또는 의도한 바대로 버진 및 재활용된 섬유들의 다른 조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들(410)과 유사하게, 섬유들(412)의 스테이플 길이의 범위는 약 40mm에서부터 약 60mm까지, 약 45mm에서부터 약 55mm까지, 또는 약 51mm일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412)은, 이 섬유들이 버진 압출 PET 또는 재압출된 PET로 형성되어 정의된 길이로 재단될 때처럼, 균일한 길이를 보유할 수 있다.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412)은, 이 섬유들(412)이 파쇄된 섬유 원료로부터 파생될 때처럼, 스테이플 길이의 변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양태들 및 모든 양태에서,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양태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섬유들(412)은 약 1.2D보다 크거나 같은 데니어, 또는 약 1.2D에서부터 약 3.5D까지, 약 1.3D에서부터 약 1.6D까지, 또는 약 1.5D의 데니어를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활용하면, 섬유들(412)이 파손에 대해 보다 덜 민감하게 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내구성 및 마모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내부 섬유 웨브(820)는 사용될 때 제1 섬유 웨브(110)와 제2 섬유 웨브(112)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부드러운 질감을 보유하는 점은 예컨대 제2 섬유 웨브(112)만큼 중요하지 않다. 여전히 내부 섬유 웨브(820)의 평량을 달성하면서 상기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선택함으로써,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전체 커버리지 및/또는 불투명성은 향상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인쇄 구성 요소(130)는, 디지털 인쇄 공정을 통해 제1 면(871)에 도포되는 착색제(134)로 형성된다. 논의되는 것처럼, 착색제(134)는 인쇄 구성요소(130)에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및/또는 이들의 암청색과 같은 하나 이상의 색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쇄 구성요소(130)는 내부 섬유 웨브(412)의 하나 이상의 영역(식별되지 않음)에 위치되며, 그리고 비록 인쇄 구성요소(130)가 직사각형으로서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원의 예시의 양태들은, 인쇄 구성요소(130)가 이미지, 그래픽, 디자인, 시각적 표시, 로고와 같은 브랜드화와 관련된 형상들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형상들, 기하학적 형상들, 유기 형상들, 패턴들, 문자들, 번호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도 9에는, 도 8의 인쇄층(870)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인쇄 구성요소(130)를 형성하는 착색제(134)는 인쇄층(870)의 제1 면(871) 상에 위치되고 부분적으로는 내부 섬유 웨브(814)를 통과하여 인쇄층(870)의 맞은편의 제2 면(872)을 향해 연장된다. 착색제(134)가 제1 면(871) 및 내부 섬유 웨브(814) 상에 명확하게 묘사되어 있는 것과 같지만, 이러한 착색제(134)의 묘사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원 양태들은, 착색제(134)가, 보다 덜 묘사되고, 그리고/또는 불규칙한 방식으로, 인쇄층(870)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또한, 착색제(134)는 내부 섬유 웨브(814)의 섬유들(412)에 부착되고, 그리고/또는 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되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섬유들(412)에 부착되지 않은 다른 부분들 역시도 포함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도 10에는, 인쇄 구성요소가 착색제 대신 승화 염료(136)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인쇄층(870)의 대안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승화 염료(136)는 승화 인쇄 공정을 통해 제1 면(871)에 도포될 수 있다. 승화 인쇄 공정과 디지털 인쇄 공정 간의 차이뿐만 아니라, 승화 염료(136)와 착색제(134) 간의 차이로 인해, 승화 염료(136)는 착색제(134)와 다른 방식으로 인쇄층(870) 내에 포함된다. 도시된 것처럼, 승화 염료(136)는 인쇄층(870) 안쪽으로 보다 더 많이 흡수된다. 다시 말해, 승화 염료(136)는 제1 면(871) 위쪽으로 연장되지 않고 부분적으로는 착색제(134)보다 더 큰 정도로 내부 섬유 웨브(820)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다시금, 도 9처럼, 제1 면(871) 상에, 그리고 내부 섬유 웨브(820)를 통과하여 분명하게 묘사된 것처럼 승화 염료(136)의 도면은 예시이며, 그리고 본원 양태들은, 승화 염료(136)가, 보다 덜 묘사되고, 그리고/또는 불규칙한 방식으로, 인쇄층(870)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또한, 승화 염료(136)는, 내부 섬유 웨브(820)의 섬유들(412)과 결합되고 그에 부착되고, 그리고/또는 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되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섬유들(412)에 부착되지 않고, 그리고/또는 그와 분리된 다른 부분들 역시도 포함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도 11~14에는, 제1 섬유 웨브(110), 인쇄층(870)[예컨대 인쇄 구성요소(130)를 포함한 내부 섬유 웨브(820)], 제2 섬유 웨브(112) 및 탄성중합층(116) 상에서의 얽힘 공정을 수행한 다음에 형성된 예시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850)의 양태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810)에 의해 형성되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850)의 제1 대향면(851)이 도시되어 있다.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850)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도 12에 가장 충분하게 도시된 것처럼, 제1 얽힘형 섬유 웨브(810)는 제1 섬유 웨브(110)에서 나오는 섬유들(210), 제2 섬유 웨브(122)에서 나오는 섬유들(310 및 312), 및 내부 섬유 웨브(820)에서 나오는 섬유들(412)을 포함한다. 또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850)의 제2 대향면(85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로 섬유들(310 및 312)을 포함하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812)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주로 섬유들(412)을 포함하는 내부 얽힘형 섬유 웨브(814)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810)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812)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내부 얽힘형 섬유 웨브(814)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810)의 제2 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면 상에 인쇄 구성요소(130)를 포함한다. 또한, 탄성중합층(116)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810)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812) 사이에 위치되고 내부 얽힘형 섬유 웨브(814)에 인접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얽힘 매개변수들, 섬유들(110 및 412)의 특징들, 및/또는 착색제(134)의 특징들로 인해, 인쇄 구성요소(130)는, 인쇄 구성요소(130)가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850)의 제1 대향면(851) 상에서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810)를 통해 보인다. 그에 추가로, 동일한 이유에서, 내부 얽힘형 섬유 웨브(814)의 상이한 영역들과 인쇄 구성요소(130)의 상이한 부분들은 상이한 방식으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810) 안쪽에 내포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8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할 수 있다.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얽힘 공정의 매개변수들은, 착색제 및/또는 승화 염료의 이산 입자들뿐만 아니라, 인쇄 구성요소(130)를 형성하는 착색제 및/또는 승화 염료를 함유하는 섬유들도 제1 얽힘형 섬유 웨브(810) 및/또는 제1 대향면(151)으로 이동된다.
도 13에는, 도 12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횡단면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내부 얽힘형 섬유 웨브(814)의 제1 영역(821)이 예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섬유들(210, 310, 312, 412) 및 인쇄 구성요소(130)의 예시의 구성도 도시되어 있다. 제1 영역(821)은 인쇄 구성요소(130)의 제1 부분(831)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1 영역(821)에서는 착색제(134)의 적어도 일부가 섬유들(412)에 부착되어 섬유들(414)을 형성한다. 또한, 섬유들(412 및 414)뿐만 아니라 섬유들(310 및 312)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810) 안쪽에 내포된다. 섬유들(414)은, 섬유들(414) 중 적어도 하나가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850)의 제1 대향면(851)으로 연장되도록 내포된다. 또한, 인쇄 구성요소(130)의 제1 부분(831)은 섬유들(412)에 부착되지 않는 착색제(134)의 적어도 일부의 이산 입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영역(821)에서, 제1 대향면(851)은, 인쇄 구성요소(130) 및 섬유들(414)의 제1 부분에서 착색제(13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도 14에는, 도 12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횡단면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는, 내부 얽힘형 섬유 웨브(814)의 제2 영역(822)이 예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섬유들(210, 310, 312, 412) 및 인쇄 구성요소(130)의 예시의 구성도 도시되어 있다. 제2 영역(822)은 인쇄 구성요소(130)의 제2 부분(832)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1 영역(821)과 유사하게, 제2 영역(822)에서 착색제(134)는 섬유들(412)에 부착되어 섬유들(414)을 형성하고, 또한 섬유들(412)에 부착되지 않는 이산 입자들(134)로서도 포함된다. 그러나, 제1 영역(821)과 달리, 섬유들(412 및 414)은 제2 영역(822)에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810)로부터 제외된다. 섬유들(210, 310 및 312)은 제1 및 제2 영역(821, 822) 모두에서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섬유들(21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얽힘형 섬유 웨브(814) 안쪽으로 연장되는 반면, 다른 부분들은 추가로 내부 얽힘형 섬유 웨브(814) 및 탄성중합층(116)을 통과하여 제2 얽힘형 섬유 웨브(812) 안쪽으로 연장된다. 또한, 섬유들(310 및 312)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중합층(116) 및 내부 얽힘형 섬유 웨브(814)를 통과하여 제1 얽힘형 섬유 웨브(810) 안쪽으로 연장된다.
도 15에는, 제1 섬유 웨브(110) 및/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층(140)과 결합되기 이전의 예시의 인쇄층(97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인쇄층(970)은 제1 면(971)을 구비하고 스펀레이스 층(920) 및 인쇄 구성요소(130)를 포함한다. 양태들에서, 스펀레이스 층(920)은 인쇄 구성요소(130)에 의도되는 미적 특질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따라 스펀레이스 층(920)은, 이 층이 인쇄 구성요소(130)를 인쇄하고 유지하기 위해 적합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스펀레이스 층(920)은, 인쇄 구성요소(130)가 스펀레이스 층(920)으로부터 시각적으로 분간될 수 있거나 구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스펀레이스 층(920)의 색상 특성은 흰색일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색상 특성은 회색, 또는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남색 또는 보라색의 보다 더 밝은 암청색일 수 있다.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스펀레이스 층(920)은 웨브의 형태일 수 있는 스펀레이스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의 양태에서, 스펀레이스 층(920)은 약 20gsm에서부터 약 150gsm까지, 약 30gsm에서부터 약 50gsm까지, 약 35gsm에서부터 약 45gsm까지, 또는 약 40gsm의 평량을 보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의 양태들에서, 스펀레이스 층(920)이 PET로 형성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또한, 상기 양태들은, 스펀레이스 층(920)이, 비록 다른 버진 및 재활용된 섬유 유형들(예: 폴리아미드, 면섬유 등)이 여기서 고려된다고 하더라도, (재활용된 또는 버진) PET 섬유들을 포함하는 점을 고려한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스펀레이스 층(920)의 섬유들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PET 섬유들과 같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양태들에서, 스펀레이스 층(920)의 섬유들은 100중량 퍼센트의 버진 섬유들, 또는 의도한 바대로 버진 및 재활용된 섬유들의 다른 조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양태들에서, 스펀레이스 층(920)의 섬유들의 스테이플 길이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950)의 다른 섬유 웨브들 내에 포함된 섬유들의 스테이플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스펀레이스 층(920)의 섬유들은 스테이플 길이의 변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는 스펀레이스 층(920)의 섬유들은 연속해서 스펀레이스 층(920)을 통과할 수 있다. 추가 양태들은, 스펀레이스 층(920)의 섬유들이 인쇄 구성요소(130)에 의도되는 미적 특질을 제공하는 스펀레이스 층(920) 특성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데니어를 보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의 양태에서, 스펀레이스 층(920)의 섬유들은 스펀레이스 층(920)에, 그리고 결과적으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950)에 소수성 특성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양태들 및 모든 양태에서,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양태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도 15의 예시를 다시 참조하면, 인쇄 구성요소(130)는 승화 인쇄 공정을 통해 제1 면(971)에 도포되는 승화 염료(136)로 형성된다. 논의되는 것처럼, 승화 염료(136)는 인쇄 구성요소(130)에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및/또는 이들의 암청색과 같은 하나 이상의 색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쇄 구성요소(130)는 스펀레이스 층(920)의 하나 이상의 영역(식별되지 않음)에 위치되며, 그리고 비록 인쇄 구성요소(130)가 직사각형으로서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원의 예시의 양태들은, 인쇄 구성요소(130)가 이미지, 그래픽, 디자인, 시각적 표시, 로고와 같은 브랜드화와 관련된 형상들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형상들, 기하학적 형상들, 유기 형상들, 패턴들, 문자들, 번호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도 16에는, 도 8의 인쇄층(970)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승화 염료(136)는 제1 면(971)에 도포되어, 인쇄층(970)의 맞은편의 제2 면(972)으로 향해 스펀레이스 층(92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된다. 승화 염료(136)가 제1 면(971)과 평평하고 인쇄층(970)에 걸쳐 있는 것처럼 명확하게 묘사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승화 염료(136)의 묘사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원 양태들은, 승화 염료(136)가, 보다 덜 묘사되고, 그리고/또는 불규칙한 방식으로, 인쇄층(970)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또한, 승화 염료(136)는 스펀레이스 층(920) 및 그의 섬유들과 결합되고 그들에 부착되고, 그리고/또는 그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되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스펀레이스 층(920) 및 그의 섬유들에 부착되지 않고, 그리고/또는 그들과 분리된 다른 부분들 역시도 포함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도 17에는, 인쇄 구성요소(130)가 승화 염료(136) 대신 착색제(134)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인쇄층(970)의 대안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착색제(134)는 디지털 인쇄 공정을 통해 제1 면(971)에 도포될 수 있다. 디지털 인쇄 공정과 승화 인쇄 공정 간의 차이뿐만 아니라, 착색제(134)와 승화 염료(136) 간의 차이로 인해, 착색제(134)는 승화 염료(136)와 다른 방식으로 인쇄층(970) 내에 포함된다. 도시된 것처럼, 착색제(134)는 인쇄층(970)의 제1 면(971) 위쪽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스펀레이스 층(920)을 통과하여 인쇄층(970)의 맞은편의 제2 면(972)을 향해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착색제(134)가 제1 면(971) 및 스펀레이스 층(920) 상에 명확하게 묘사되어 있는 것처럼 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착색제(134)의 묘사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원 양태들은, 착색제(134)가, 보다 덜 묘사되고, 그리고/또는 불규칙한 방식으로, 인쇄층(970)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또한, 착색제(134)는 스펀레이스 층(920) 및 그의 섬유들에 부착되고, 그리고/또는 그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되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스펀레이스 층(920) 및 그의 섬유들에 부착되지 않는 다른 부분들 역시도 포함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도 18~21에는, 제1 섬유 웨브(110), 인쇄층(970)[예컨대 인쇄 구성요소(130)를 포함한 스펀레이스 층(920)], 제2 섬유 웨브(112), 제3 섬유 웨브(114) 및 탄성중합층(116) 상에서의 얽힘 공정을 수행한 다음에 형성된 예시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950)의 양태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910)에 의해 형성되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950)의 제1 대향면(951)이 도시되어 있다.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890)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도 19에 가장 충분하게 도시된 것처럼, 제1 얽힘형 섬유 웨브(910)는 제1 섬유 웨브(110)에서 나오는 섬유들(210), 제2 섬유 웨브(122)에서 나오는 섬유들(310 및 312), 및 제3 섬유 웨브(114)에서 나오는 섬유들(410)을 포함한다. 또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850)의 제2 대향면(95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로 섬유들(310 및 312)을 포함하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912)에 의해 형성된다. 주로 섬유들(410)을 포함하는 제3 얽힘형 섬유 웨브(914)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910)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912) 사이에 위치된다. 스펀레이스 층(920)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910)와 제3 얽힘형 섬유 웨브(914) 사이에 위치되며, 그리고 제1 얽힘형 섬유 웨브(910)의 제2 면에 인접되게 위치되는 제1 면 상에 인쇄 구성요소(130)도 포함한다. 또한, 탄성중합층(116)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912)와 제3 얽힘형 섬유 웨브(914) 사이에 위치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얽힘 매개변수들, 섬유들(110) 및 스펀레이스 층(920)의 특징들, 및/또는 착색제(134)의 특징들로 인해, 인쇄 구성요소(130)는, 인쇄 구성요소(130)가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950)의 제1 대향면(951) 상에서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910)를 통해 보인다. 그에 추가로, 동일한 이유로 인해, 스펀레이스 층(920)의 상이한 영역들과 인쇄 구성요소(130)의 상이한 부분들은 상이한 방식으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910) 안쪽에 내포된다.
도 20에는, 도 19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950)의 횡단면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는, 스펀레이스 층(920)의 제1 영역(921)이 예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섬유들(210, 310, 312, 410), 스펀레이스 층(920)의 섬유들(416), 및 인쇄 구성요소(130)의 예시의 구성도 도시되어 있다. 제1 영역(921)은 인쇄 구성요소(130)의 제1 부분(931)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1 영역(921)에서는 승화 염료(136)의 적어도 일부가 섬유들(416)에 부착되어 섬유들(418)을 형성한다. 또한, 섬유들(416 및 418)뿐만 아니라 섬유들(310, 312, 410)도 제1 얽힘형 섬유 웨브(910) 안쪽에 내포된다. 섬유들(418)은, 섬유들(418) 중 적어도 하나가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950)의 제1 대향면(951)으로 연장되도록 내포된다. 또한, 인쇄 구성요소(130)의 제1 부분(931)은 섬유들(416)에 부착되지 않는 승화 염료(136)의 적어도 일부의 이산 입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영역(921)에서, 제1 대향면(951)은, 섬유들(418) 및 인쇄 구성요소(130)의 제1 부분(931)에서 승화 염료(13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도 21에는, 도 19의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0)의 횡단면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에는, 스펀레이스 층(920)의 제2 영역(922)이 예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섬유들(210, 310, 312, 410, 416, 418) 및 인쇄 구성요소(130)의 예시의 구성도 도시되어 있다. 제2 영역(922)은 인쇄 구성요소(130)의 제2 부분(932)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1 영역(921)과 유사하게, 제2 영역(922)에서 승화 염료(136)는 섬유들(416)에 부착되고, 그리고/또는 결합되어 섬유들(418)을 형성하고, 또한 섬유들(416)에 부착되지 않는 이산 입자들(136)로서도 포함된다. 그러나, 제1 영역(921)과 달리, 섬유들(416 및 418)은 제2 영역(922)에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910)로부터 제외된다. 섬유들(210, 310, 312 410)은 제1 및 제2 영역(921, 922) 모두에서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섬유들(210)의 적어도 일부는 스펀레이스 층(920)을 통과하여 제3 얽힘형 섬유 웨브(914) 안쪽으로 연장되는 반면, 다른 부분들은 추가로 탄성중합층(116)을 통과하여 제2 얽힘형 섬유 웨브(912) 안쪽으로 연장된다. 또한, 섬유들(310 및 312)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중합층(116), 제3 얽힘형 섬유 웨브(914) 및 스펀레이스 층(920)을 통과하여 제1 얽힘형 섬유 웨브(910) 안쪽으로 연장된다. 또한, 섬유들(410)의 적어도 일부는 스펀레이스 층(920)을 통과하여 제1 얽힘형 섬유 웨브(910) 안쪽으로 연장되는 반면, 다른 부분은 탄성중합층(116)을 통과하여 제2 얽힘형 섬유 웨브(912) 안쪽으로 연장된다.
도 22에는, 비록 재킷, 후드 티, 긴팔 셔츠, 민소매 셔츠, 속옷 등처럼 다른 구성들도 본원에서 고려되기는 하지만, 짧은 소매를 포함한 상체 의복의 형태인 예시의 상체 의복 물품(100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상체 의복 물품(1000)은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1010)과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020)로 형성된다. 본원의 양태들은, 제1 및/또는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010, 1020)이,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들(150, 850, 950) 중 임의의 텍스타일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들을 보유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묘사되어 있지 않기는 하지만, 본원의 양태들은, 제1 및/또는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010, 1020)이 인쇄층들(170, 870, 970) 중 임의의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결과적으로 본원의 양태들은 또한 상체 의복 물품(1000)이 인쇄 구성요소(130)를 포함할 수 있는 점도 고려한다.
상체 의복 물품(1000)은, 제1 및/또는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010, 1020)이 서로 이어져 있거나, 또는 상체 의복 물품(1000)의 다른 부분들(예컨대 소매 부분, 칼라 부분 등)과 이어져 있는 곳인 여러 솔기 위치를 포함한다. 제1 솔기 위치(1002)는 상체 의복 물품(1000)의 옆면 부분(예컨대, 옆면 솔기) 근처에 위치되며, 그리고 제2 솔기 위치(1004)는 상체 의복 물품(1000)의 상부 부분(예컨대 칼라 부분과 소매 사이에서 연장되는 솔기) 근처에 위치된다. 또한, 제3 솔기 위치(1006)는 상체 의복 물품(1000)의 칼라 부분 근처에 위치되고, 제4 솔기 위치(1008)는 상체 의복 물품(1000)의 소매 부분 근처에 위치된다.
도 23에는, 하체 의복의 형태인 예시의 하체 의복 물품(1100)이 도시되어 있다. 비록 바지로서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여기서는, 의복 물품(1100)이 짧은 바지, 카프리 바지, 타이트한 바지 등의 형태일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도시된 것처럼, 하체 의복 물품(1100)은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1110)과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120)로 형성된다. 본원의 양태들은, 제1 및/또는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110, 1120)이,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들(150, 850, 950) 중 임의의 텍스타일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들을 보유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묘사되어 있지 않기는 하지만, 본원의 양태들은, 제1 및/또는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110, 1120)이 인쇄층들(170, 870, 970) 중 임의의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결과적으로 본원의 양태들은 또한 하체 의복 물품(1100)이 인쇄 구성요소(130)를 포함할 수 있는 점도 고려한다.
하체 의복 물품(1100)은, 제1 및/또는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110, 1120)이 서로 이어져 있거나, 또는 상체 의복 물품(1100)의 다른 부분들(예컨대 허리 부분, 주머니 부분 등)과 이어져 있는 곳인 여러 솔기 위치를 포함한다. 제1 솔기 위치(1102)는 하체 의복 물품(1100)의 바깥쪽 옆면 부분(예컨대, 옆면 솔기) 근처에 위치되며, 그리고 제2 솔기 위치(1104)는 하체 의복 물품(1100)의 안쪽 옆면 부분(예컨대, 가랑이쪽 솔기) 근처에 위치된다. 또한, 제3 솔기 위치(1106)는 하체 의복 물품(1100)의 허리 부분(예: 허리 밴드) 근처에 위치되며, 그리고 제4 솔기 위치(1108)는 하체 의복 물품(1100)의 호주머니 근처에 위치된다.
도 24에는, 도 22의 상체 의복 물품(1000)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예시의 제1 솔기(1001)도 묘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솔기(1001)는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020)의 섬유들(1040)과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1010)의 섬유들(1030)의 얽힘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10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1010)의 제1 대향면(1011)을 형성하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031);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1010)의 맞은편의 제2 대향면(1012)을 형성하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032);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031)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032) 사이에 위치되는 제3 얽힘형 섬유 웨브(1033);를 포함한다. 그와 유사하게,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02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020)의 제1 대향면(1021)을 형성하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041);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020)의 맞은편의 제2 대향면(1022)을 형성하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042); 및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041)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042) 사이에 위치되는 제3 얽힘형 섬유 웨브(1043);를 포함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솔기(1001)의 형성은,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1010)의 제1 대향면(1111)이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020)의 제1 대향면(1021)에 인접하거나 그와 접촉하도록,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020)의 제2 에지(1024)에 인접하게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1010)의 제1 에지(1014)를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다음, 이런 위치에서 제1 및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010, 1020)을 파지하는 동안, 제1, 제2 또는 제3 얽힘형 섬유 웨브(1031, 1032, 1033) 중 임의의 섬유 웨브에서 기인할 수 있는 섬유들(1030)이, 제1, 제2 또는 제3 얽힘형 섬유 웨브(1041, 1042, 1043) 중 임의의 섬유 웨브에서 기인할 수 있는 섬유들(1040)과 얽혀지도록, 제1 및 제2 에지(1014, 1024)를 얽힘 공정으로 처리하는 처리 단계가 수행된다.
도 25에는, 도 23의 하체 의복 물품(1100)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예시의 제2 솔기(1101)도 묘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2 솔기(1101)는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120)의 섬유들(1140)과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1110)의 섬유들(1130)의 얽힘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11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1110)의 제1 대향면(1111)을 형성하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131);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1110)의 맞은편의 제2 대향면(1112)을 형성하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132);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131)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132) 사이에 위치되는 제3 얽힘형 섬유 웨브(1133);를 포함한다. 그와 유사하게,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120)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120)의 제1 대향면(1121)을 형성하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141);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120)의 맞은편의 제2 대향면(1122)을 형성하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142); 및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141)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142) 사이에 위치되는 제3 얽힘형 섬유 웨브(1143);를 포함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솔기(1101)의 형성은,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1110)의 제2 대향면(1112)이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120)의 제1 대향면(1121)에 인접하거나 그와 접촉하도록,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120)의 제2 에지(1124)에 인접하게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1110)의 제1 에지(1114)를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이런 위치에서 제1 및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110, 1120)을 파지하는 동안, 제1, 제2 또는 제3 얽힘형 섬유 웨브(1131, 1132, 1133) 중 임의의 섬유 웨브에서 기인할 수 있는 섬유들(1130)이, 제1, 제2 또는 제3 얽힘형 섬유 웨브(1141, 1142, 1143) 중 임의의 섬유 웨브에서 기인할 수 있는 섬유들(1140)과 얽혀지도록, 제1 및 제2 에지(1114, 1124)를 얽힘 공정으로 처리하는 처리 단계가 수행된다.
도 26에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에 미적 및/또는 기능적 특성들을 제공하는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의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되, 상기 특성들은 결과적으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을 내포하는 의복 물품에 제공된다. 본원 양태들에 따라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은 제1 섬유 웨브(110), 제2 섬유 웨브(112) 및 탄성중합층(116) 상에서 얽힘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6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은 얽힘 공정을 수행한 이후, 그리고 디보싱 부분 또는 주름형 구조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 공정을 수행하기 이전의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1216)을 포함한다.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는, 제1 섬유 웨브(110)에서 나오는 섬유들(210)을 포함하며,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제1 바깥쪽 대향면(1251)을 형성한다. 그와 유사하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는 제2 섬유 웨브(112)에서 나오는 섬유들(310, 312)을 포함하며,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1252)을 형성한다(도 26에는 미도시). 탄성중합층(1216)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열가소성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탄성중합체(TPEE), TPU와 TPEE의 조합물 등과 같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형성된다. 특정한 예시의 양태에서, 탄성중합층(1216)은 TPU 멜트블로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 양태들은, 섬유들(210, 310, 312)이 본원에서 논의되는 자체 각각의 특성들 중 임의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섬유들(210, 310, 312)의 상기 특성들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에 대해 원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원에서 유사한 양태들은, 탄성중합층(1216)이 본원에서 논의되는 자체 특성들 중 임의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또한, 탄성중합층(1216)의 상기 특성들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에 대해 원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임의의 양태들 및 모든 양태에서,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양태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원 양태들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이, 본원에서 논의되는 얽힘형 섬유 웨브들 및/또는 층들 중 임의의 섬유 웨브 및/또는 층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 얽힘형 섬유 웨브 및/또는 층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보다 더 구체적인 양태들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하나 이상의 추가 얽힘형 섬유 웨브 및/또는 층 중 임의의 섬유 웨브 및/또는 층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들(810, 910, 12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812, 912, 1212), 내부 얽힘형 섬유 웨브(814), 제3 얽힘형 섬유 웨브(914), 탄성중합층들(116, 1216), 내부층(120), 인쇄층들(170, 870, 970) 또는 스펀레이스 층(920)일 수 있다. 추가 양태들은, 하나 이상의 추가 얽힘형 섬유 웨브 및/또는 층의 특성들이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에 대해 원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추가 양태들은, 하나 이상의 추가 얽힘형 섬유 웨브 및/또는 층,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 및 탄성중합층(1216)의 배치가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에 대해 원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구성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본원 양태들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이 디보싱 부분(debossed portion)이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 상에 형성되는 제조 공정들에 적합하도록,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 및/또는 탄성중합층(1216)의 하나 이상의 특성이 구성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 및/또는 탄성중합층(1216)의 특성들의 예시들은 용융 온도, 두께, 색상, 평량, 재료 조성, 소수성, 친수성, 섬유 조성, 섬유 스테이플 길이, 섬유 데니어 등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한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 및 탄성중합층(1216) 각각은 각각의 용융 온도를 갖는 재료를 포함한다. 비록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26의 예시에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는 제1 용융 온도를 갖는 제1 재료를 포함하고,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는 제2 용융 온도를 갖는 제2 재료를 포함하며, 그리고 탄성중합층(1216)은 제1 재료의 제1 용융 온도보다 더 낮은 약 40℃인 제3 용융 온도를 갖는 제3 재료를 포함한다. 본원의 추가 양태들은, 제1 재료의 제1 용융 온도가 약 210℃ 내지 약 190℃, 약 205℃ 내지 약 195℃이거나 약 200℃일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며, 그리고 추가로 제2 재료의 제2 용융 온도는 약 210℃ 내지 약 190℃, 약 205℃ 내지 약 195℃이거나 약 200℃일 수 있는 점도 고려한다. 또한, 이러한 양태들은, 제3 재료의 제3 용융 온도가 약 170℃ 내지 약 150℃, 약 165℃ 내지 약 155℃이거나 약 160℃일 수 있는 점도 고려한다. 구체적인 예시의 일 양태에서, 제1 재료의 제1 용융 온도는 약 200℃이고, 제2 재료의 제2 용융 온도는 약 200℃이며, 그리고 제3 재료의 제3 용융 온도는 약 160℃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약"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지시된 값의 ±10% 이내를 의미한다. 본원 양태들은 추가로 자체 각각의 용융 온도를 갖는 상기에서 설명되는 제1, 제2 및 제3 재료가 상기에서 설명되는 것과 상이한 재료 층들과 관련될 수 있는 점도 고려한다. 예를 들면,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는 제2 재료 또는 제3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는 제1 재료 또는 제3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탄성중합층(1216)은 제3 재료 또는 제2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추가 양태들은, 제3 재료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 및 탄성중합층(1216) 중 어느 것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지 그 여부와 무관하게, 각각의 더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제3 재료로 형성되는 재료 층은 제1 재료 및 제2 재료로 형성되는 각각의 다른 층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또한, 본원 양태들은, 더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제3 재료로 형성되는 층이 (본원에서 "제3 색상"으로서 알려진) 색상을 포함하고, 이런 색상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층을 형성하는 섬유들의 압출 동안, 또는 후-압출 동안 예컨대 인쇄에 의해 부여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도 27a~28에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제1 바깥쪽 대향면(1251) 상에 디보싱 부분(1230)을 형성하는 제조 공정을 수행한 후의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양태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27a 및 27b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 및 탄성중합층(1216)의 색 특성들을 나타내도록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7a에서, 대각선들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의 제1 색상(1241)을 나타내고 점들은 탄성중합층(1216)의 제3 색상(1243)을 나타낸다. 도 27b에서, 수평선들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의 제2 색상(1242)을 나타낸다.
도 27a에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제1 바깥쪽 대향면(1251)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디보싱 부분(1230)은 제1 바깥쪽 대향면(1251) 상에서 보인다.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은, 제1 바깥쪽 대향면(1251) 상에서도 보이는 제1 영역(1221) 및 제2 영역(1222)을 포함한다. 제1 영역(1221)에서, 제1 바깥쪽 대향면(125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로부터 형성되며, 그리고 그 결과,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의 제1 색상(1241)은 제1 영역(1221)에서 제1 바깥쪽 대향면(1251) 상에서 보인다. 제2 영역(1222)에서는, 제1 바깥쪽 대향면(125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보싱 부분(1230)으로부터 형성된다. 예를 들면, 디보싱 부분(1230)은 제2 영역(1222)에서 제1 바깥쪽 대향면(1251) 상에서 보인다. 그에 추가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의 섬유들(210) 중 적어도 일부가 제2 영역(1222)에서 디보싱 부분(1230) 안쪽에 통합되기 때문에, 탄성중합층(1216)의 제3 색상(1243)은 제2 영역(1222)에서 제1 바깥쪽 대향면(1251) 상에서 보인다. 제3 색상(1243)은, 탄성중합층(1016)을 형성할 수 있는 섬유들의 압출 동안 지속 가능한 무잉크 공정(예컨대 달리 원액 착색으로서 알려짐)에 의해 첨가될 수 있거나, 또는 제3 색상(143)은, 탄성중합층(1016)을 형성할 수 있는 섬유들의 압출 후에, 예컨대 본원에서 고려되는 인쇄 공정에 의해 첨가될 수 있다.
도 27b에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1252)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디보싱 부분(1230)은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1252) 상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제1 바깥쪽 대향면(1251)과 달리,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1252)은 제1 영역(1221) 및 제2 영역(1222)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로부터 형성된다. 그에 따라서,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의 제2 색상(1242)은 제1 영역(1221) 및 제2 영역(1222)에서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1252) 상에서 보인다.
본원 양태는, 제1 색상(1241)이 제3 색상(1243)과 다르고, 그리고/또는 제1 색상(1241)이 제2 색상(1242) 및 제3 색상(1243)과 다른 점을 고려한다. 또 다른 예시의 양태에서, 제2 색상(1242)은 제3 색상(1243)과 다르다.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색상(1241)은 제2 색상(124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1 색상(1241)은 제3 색상(124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색상은 본원에서 논의되는 양태들에 따라서 또 다른 색상과 다르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색상은, 한 색상의 수치 색상값과 어느 하나의 수치 색상값의 백분율에 상대적인 수치 색상값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또 다른 색상과 "유사하도록"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제1 색상의 수치 색상값과 제2 색상의 수치 색상값 간의 차이 백분율이 5%와 같거나 그 미만이라면, 제1 색상은 제2 색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도 28에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2 영역(1222)은 제1 영역(1221)에 상대적으로 디보싱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영역(1221)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두께는 제2 영역(1222)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두께보다 더 크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디보싱 부분(1230)의 두께(1262)는 제1 영역(1221)에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 및 탄성중합층(1216)의 두께(1261)보다 약 50% 더 작다. 그에 추가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 내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의 두께(1263)는 제1 영역(1221) 및 제2 영역(1222)에서 각각 다른 부분의 약 95% 이내이다. 달리 말하면, 제1 영역(1221)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 내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의 두께는 제2 영역(1222)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 내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의 두께의 약 95% 이내이다.
양태들에서, 디보싱 부분(1230)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를 포함하는 제2 영역(1222)의 부분을 나타낼 수 있지만, 그러나 탄성중합층(1216)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를 포함하지 않는다. 추가 양태들은, 디보싱 부분(1230)에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와 탄성중합층(1216)의 관계 및/또는 구성이 다른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디보싱 부분(1230)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212)를 캡슐화(encapsulation)하는 필름 형태로 탄성중합층(12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디보싱 부분에서 섬유들의 구성을 설명할 때, "캡슐화한다"는 용어는, 섬유의 표면적의 적어도 절반이 탄성중합층의 필름 형태에 의해 에워싸이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예시의 양태에서, 디보싱 부분(1230)은 복수의 섬유(212) 및 필름으로 형성되는 매트릭스 구조를 보유한다.
비록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 및 탄성중합층(1216)이 도 26a~28에 뚜렷한 층들로서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여기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가 상호 간에 얽히고 탄성중합층(1216)을 통과하여 연장되어 결속 구조(cohesive structure)를 형성하는 점이 고려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 및 탄성중합층(1216) 각각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제1 영역(1221)에서 뚜렷한 층의 특징들을 유지한다. 그에 반해,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제2 영역(1222)에서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만이 뚜렷한 층의 특징들을 유지하는데, 그 이유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의 섬유들이 디보싱 부분(1230)에서 탄성중합층(1216) 안쪽에 통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29에는, 전반적으로 도면부호 1300으로 표시되고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디보싱 부분(1230)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고 의복 물품(1320) 내에 상기 디보싱 부분을 통합하기 위한 예시의 제조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9 내 제조 구성요소들의 임의의 묘사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그리고 제조 공정(1300)의 개별 단계들의 일반적인 특징들을 전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에 추가로, 제조 공정(1300)의 단계들이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본원 양태들은, 제조 공정(1300)이, 그중 임의의 단계들이 반복될 수 있거나 도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인 하나 이상의 단계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높은 수준으로, 도 29에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제1 바깥쪽 대향면(1251)의 제2 영역(1222)에 그래픽(1270)에 부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상기 제2 영역에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을 인가하는 인가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공정(1300)의 개별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 1302로 시작하여,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이 수득되고, 그리고/또는 제공된다.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은, 제1 색상(1241)을 갖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 제2 색상(1242)(보이지 않음)을 갖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 및 제3 색상(1243)을 가지면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1216)을 포함한다. 제1 색상(1241)과 제3 색상(1243)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 27a 및 27b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현된다.
단계 1304에서, 화살표로 예시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1314)은, 탄성중합층(1216)이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캡슐화하는 필름을 형성하도록,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제1 바깥쪽 대향면(1251) 상의 제2 영역(1222)에 인가된다. 도 29의 예시에서, 디보싱 공구(1310)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제2 영역(1222)에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1314)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보싱 공구(1310)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그리고 예컨대 레이저, 초음파 용접기 등을 포함하여 다른 공구들/방법들도 본원에서 고려된다. 디보싱 공구(1310)는 툴링 구성요소(tooling component)(1312)를 포함하며, 그리고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1314)의 인가 동안 툴링 구성요소(1312) 및/또는 이 툴링 구성요소(1312)의 표면(보이지 않음)과 접촉하거나 거의 접촉하는 제1 바깥쪽 대향면(1251)의 부분들에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툴링 구성요소(1312)가 원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묘사되어 있더라도, 본원 양태들은, 툴링 구성요소(1312) 및/또는 그 표면이, 로고, 기하학적 형상, 유기 형상, 패턴, 문자, 번호 등처럼 상업 제품들의 브랜드화와 관련된 디자인, 시각적 표시, 하나 이상의 형상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선형 또는 곡선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1314)의 인가를 개시하기 위해, 디보싱 공구(1310)는, 툴링 구성요소(1312) 및/또는 그 표면이 제2 영역(1222)에서 제1 바깥쪽 대향면(1251)과 접촉하거나 거의 접촉하도록 위치된다. 그런 다음 디보싱 공구(1310)는,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1314)이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제1 바깥쪽 대향면(1251) 상의 제2 영역(1222)에 인가되는 동안, 제 위치에 파지된다.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1314)의 인가를 종료하기 위해, 디보싱 공구(1310)는, 툴링 구성요소(1312) 및 그 표면이 제2 영역(1222)에서 제1 바깥쪽 대향면(125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다른 위치로 옮겨진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디보싱 공구(1310)는, 탄성중합층(1216)이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캡슐화하는 필름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온도 및 기간 조건에서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1314)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디보싱 공구(1310)는, 약 80초 내지 약 20초, 약 75초 내지 약 25초, 약 70초 내지 약 30초, 약 65초 내지 약 35초, 약 60초 내지 약 40초, 약 55초 내지 약 45초의 기간 동안, 또는 약 50초 동안, 약 210℃ 내지 약 160℃, 약 205℃ 내지 약 165℃, 약 200℃ 내지 약 170℃, 약 195℃ 내지 약 175℃, 약 190℃ 내지 약 180℃, 약 200℃ 내지 약 190℃의 온도, 또는 약 195℃의 온도에서 제1 바깥쪽 대향면(1251)의 제2 영역(1222)에 열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특정한 예시의 일 양태에서, 디보싱 공구(1310)는 약 32초 내지 약 28초의 기간 동안 약 190℃ 내지 약 170℃의 온도에서 제1 바깥쪽 대향면(1251)의 제2 영역(1222)에 열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특정한 예시의 양태에서, 디보싱 공구(1310)는 약 30초의 기간 동안 약 180℃의 온도에서 제1 바깥쪽 대향면(1251)의 제2 영역(1222)에 열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약"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지시된 값의 ±10% 이내를 의미한다. 여전히 또 다른 특정한 예시의 양태에서,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1314)은 동시에 인가된다.
또한, 단계 1304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1252)이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1314)의 인가 동안 변형 가능한 표면(1318)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변형 가능한 표면(1318) 상에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을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를 포함한다. 변형 가능한 표면(1318)은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1314)의 인가 동안 임의의 잔여 열이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1252)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잔여 열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변형 가능한 표면(1318)은 절연 특성을 보유하며, 그리고 고-절연성 재료[예: 고무로 처리된 폼(rubberized foam)]으로 형성된다. 또한, 변형 가능한 표면(1318)은,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1314)의 인가 동안, 툴링 구성요소(1312) 및/또는 그 표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단계 1306에서,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1314)의 인가는 중단되며, 그리고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제2 영역(1222)에서, 탄성중합층(1216)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캡슐화하는 필름(1330)을 형성하였다. 예를 들면, 제2 영역(1222)에서 제1 바깥쪽 대향면(1251)의 색상은 제3 색상(1243)이며, 그리고 제1 영역(1221)에서 제1 바깥쪽 대향면(1251)의 색상은 제1 색상(1241)이다. 또한, 제2 영역(1222)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제1 바깥쪽 대향면(1251) 상에 그래픽(1270)을 형성하였다. 그래픽(1270)은 툴링 구성요소(1312) 및/또는 그 표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비록 도 29의 예시에서 그래픽(1270)이 원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본원 양태들은, 그래픽(1270)이 로고, 기하학적 형상, 유기 형상, 패턴, 문자, 번호 등과 같은 상업 제품의 브랜드화와 관련된 디자인, 시각적 표시, 하나 이상의 형상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선형 또는 곡선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이러한 양태들은, 그래픽(1270)과 다른 형상을 갖는 그래픽들이 툴링 구성요소(1312)와 다른 형상을 갖는 툴링 구성요소를 포함한 디보싱 공구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 점도 더 고려한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제2 영역(1222)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두께는 제1 영역(1221)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두께보다 약 50% 더 작다.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영역(1222)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두께는, 제1 영역(1221)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의 두께보다 약 70% 내지 약 30%, 약 65% 내지 약 35%, 약 60% 내지 약 40%, 또는 약 55% 내지 약 45% 더 작다. 추가 예시의 양태들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 내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의 두께는 제1 영역(1221) 및 제2 영역(1222)에서 각각 다른 부분의 약 95% 내지 약 85% 이내, 약 90% 이내, 또는 약 95% 이내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약"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지시된 값의 ±10% 이내를 의미한다.
단계 1308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은 의복 물품(1320) 안쪽에 내포된다.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은 의복 물품(1320)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예시의 일 양태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이 의복 물품(1320)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다른 텍스타일(예: 합성 부직 텍스타일, 직물 텍스타일 및/또는 편물 텍스타일)과 결합되는 의복 물품(1320)의 패널인 점을 고려한다.
도 30a 및 30b에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450)을 내포하는 예시의 상체 의복 물품(1400)이 도시되어 있다. 상체 의복 물품(1400)은, 이 상체 의복 물품(1400)이 재킷, 후드 티, 짧은 소매 셔츠 등의 형태일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도 30a에 긴 소매를 포함하여 도시된 상체 의복의 형태이다. 상체 의복 물품(1400)은, 이 상체 의복 물품(1400)이 민소매 셔츠, 조끼 등의 형태일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도 30b에 소매 없이 도시되어 있다. 상체 의복 물품(1400)은 바깥쪽 대향 표면(1401) 및 안쪽 대향 표면(1402)을 포함한다. 도시된 것처럼, 바깥쪽 대향 표면(1401)은 상체 의복 물품(1400)의 최바깥쪽 대향 표면이며, 그리고 이와 유사하게 안쪽 대향 표면(1402)은 상체 의복 물품(1400)의 최안쪽 대향 표면이다. 또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1450)의 제1 바깥쪽 대향면(145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체 의복 물품(1400)의 바깥쪽 대향 표면(1401)을 형성하며, 그리고 합성 부직 텍스타일(1450)의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145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체 의복 물품(1400)의 안쪽 대향 표면(1402)을 형성한다.
합성 부직 텍스타일(1450)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과 동일한 특징들을 보유하지만, 그러나 추가 디보싱 부분을 구비한 추가 영역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합성 부직 텍스타일(1450)은 제1 영역(1421), 제2 영역(1422) 및 제3 영역(1423)을 포함한다. 제1 영역(1421)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한다. 제2 영역(1422)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450)은 제1 디보싱 부분(1431) 및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를 포함하고, 제3 영역(1423)은 제2 디보싱 부분(1432)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를 포함한다.
제1 디보싱 부분(1431)은 디보싱 부분(1230)과 동일한 특징들을 보유하며, 그에 따라 제1 디보싱 부분(1431)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450)의 제1 바깥쪽 대향면(1451)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탄성중합층 안쪽에 통합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디보싱 부분(1431)은 제1 그래픽(1471)을 형성하며, 그리고 도 30a 및 30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디보싱 부분(1431)은 상체 의복 물품(1400)의 바깥쪽 대향 표면(1401) 상에서 보이고, 상체 의복 물품(1400)의 안쪽 대향 표면(1402) 상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제2 디보싱 부분(1432)은 디보싱 부분(1230)과 유사한 특징들을 보유하지만, 그러나 합성 부직 텍스타일(1450)의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1452) 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디보싱 부분(1230)과 달리, 제2 디보싱 부분(1432)은 탄성중합층 안쪽에 통합되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제2 디보싱 부분(1432)은 제2 그래픽(1472)을 형성하며, 그리고 예시의 일 양태에서, 제2 그래픽(1472)은 제1 그래픽(1471)과 다른 외관을 보유한다. 또 다른 예시의 양태에서, 제2 그래픽(1472)은 제1 그래픽(147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관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도 30a 및 30b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디보싱 부분(1432)은 상체 의복 물품(1400)의 안쪽 대향 표면(1402) 상에서 보이고, 상체 의복 물품(1400)의 바깥쪽 대향 표면(1401) 상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디보싱 부분(1432)은 디보싱 부분(1230)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러나 디보싱 공구(1310)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210) 대신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탄성중합층(1216)은, 제2 디보싱 부분(1432)의 색상이 제1 디보싱 부분(1431)과 유사한 제3 색상(1243)이 되도록,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212)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캡슐화하는 필름을 형성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디보싱 부분(1432)은, 예를 들어 재봉 또는 관리 라벨(care label) 부착과 관련된 추가 제조 단계들을 피하고 또한 의복 물품(1400)의 보다 더 용이한 재활용을 수월하게 할 수도 있는, 의복 물품(1400)에 대한 관리 지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1a 및 31b에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550)을 내포하는 예시의 하체 의복 물품(1500)이 도시되어 있다. 하체 의복 물품(1500)은 하체 의복의 형태이며, 그리고 비록 하체 의복 물품(1500)이 반바지, 카프리 바지, 타이트한 바지 등의 형태일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고 하더라도, 바지로서 도시되어 있다. 하체 의복 물품(1500)은 바깥쪽 대향 표면(1501) 및 안쪽 대향 표면(1502)을 포함한다. 도시된 것처럼, 바깥쪽 대향 표면(1501)은 하체 의복 물품(1500)의 최바깥쪽 대향 표면이며, 그리고 이와 유사하게 안쪽 대향 표면(1502)은 하체 의복 물품(1500)의 최안쪽 대향 표면이다. 또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50)의 제1 바깥쪽 대향면(155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 대향 표면(1501)을 형성하며, 그리고 합성 부직 텍스타일(1550)의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155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쪽 대향 표면(1502)을 형성한다.
합성 부직 텍스타일(1550)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250)과 동일한 특징들을 보유하지만, 그러나 추가 디보싱 부분들을 구비한 추가 영역들도 포함한다. 따라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550)은 제1 영역(1521), 제2 영역(1522), 제3 영역(1523), 제4 영역(1524) 및 제5 영역(1525)을 포함한다. 제1 영역(1521)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한다. 제2 및 제3 영역(1522, 1523) 모두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를 포함하며, 그리고 그 각각은 제1 디보싱 부분(1531) 및 제2 디보싱 부분(1532)을 포함한다. 제4 및 제5 영역(1524, 1525) 모두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를 포함하며, 그리고 그 각각은 제3 디보싱 부분(1533) 및 제4 디보싱 부분(153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디보싱 부분(1531, 1532)은 디보싱 부분(1230)과 동일한 특징들을 보유하며, 그에 따라 제1 및 제2 디보싱 부분(1531, 1532)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550)의 제1 바깥쪽 대향면(1551)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탄성중합층 안쪽에 통합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디보싱 부분(1531)은 제1 그래픽(1571)을 형성하며, 그리고 제2 디보싱 부분(1532)은 제2 그래픽(1572)을 형성한다. 도 31a 및 31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 디보싱 부분(1531, 1532)은 하체 의복 물품(1500)의 바깥쪽 대향 표면(1501) 상에서 보이고, 하체 의복 물품(1500)의 안쪽 대향 표면(1502) 상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제3 및 제4 디보싱 부분(1533, 1534)은 디보싱 부분(1230)과 유사한 특징들을 보유하지만, 그러나 합성 부직 텍스타일(1550)의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1552) 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디보싱 부분(1230)과 달리, 제3 및 제4 디보싱 부분(1533, 1534)은 탄성중합층 안쪽에 통합되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제3 디보싱 부분(1533)은 제3 그래픽(1573)을 형성하며, 그리고 제4 디보싱 부분(1534)은 제4 그래픽(1574)을 형성한다. 여기서는, 제1, 제2, 제3 및 제4 그래픽(1571, 1572, 1573 및 1574) 중 임의의 그래픽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외관을 가질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또한, 도 31a 및 31b에 도시된 것처럼, 제3 및 제4 디보싱 부분(1533, 1534)은 하체 의복 물품(1500)의 안쪽 대향 표면(1502) 상에서 보이고, 하체 의복 물품(1500)의 바깥쪽 대향 표면(1501) 상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도 32a~33에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 및 복수의 주름부(1630)를 포함하는 예시의 주름형 구조부(1600)가 도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구조화 텍스타일"이란 용어는, 편물 및 직물 구조 중 하나를 포함한 텍스타일을 의미하며, 그리고 "탄성 복원력이 있는(elastically resilient)"이란 용어는, 텍스타일이 인장력을 받은 후에 실질적으로 그 원래 길이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도 32a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로 형성된 주름형 구조부(1600)의 제1 면(side)(1601)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 32b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로 형성되는 주름형 구조부(1600)의 제2 면(1602)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에서 논의되는 것처럼, 주름형 구조부(1600)는, 복수의 주름부(1630)의 정점부들(peaks)이 제1 면(1601)에서 형성되고 복수의 주름부(1630)의 골부들(valleys)은 제2 면(1602)에서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주름형 구조부(160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는 도 33에 도시된 것처럼,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8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812),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810)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812)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1816)을 포함한다.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은 제1 섬유 웨브(110), 제2 섬유 웨브(112) 및 탄성중합층(116) 상에서 얽힘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810)는, 제1 섬유 웨브(110)에서 나오는 섬유들(210)(식별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의 제1 바깥쪽 대향면(1851)을 형성한다(도 32a에 도시됨). 마찬가지로,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812)는 제2 섬유 웨브(112)에서 나오는 섬유들(310, 312)(식별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의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1852)을 형성한다. 탄성중합층(1816)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열가소성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탄성중합체(TPEE), TPU와 TPEE의 조합물 등과 같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들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812)의 최바깥쪽 표면(1881)에 인접되게 위치되며, 그리고 접착층(1610)을 통해 그곳에 부착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접착층(1610)은,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이 최바깥쪽 표면(1881)의 간헐 구역들(intermittent areas)에서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812)에 부착되도록, 주름형 구조부(1600) 내에 포함된다. 도 33의 예시에서, 접착층(1610)은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에서 최바깥쪽 표면(1881) 상에 포함되고, 하나 이상의 제2 구역(1642)에서 최바깥쪽 표면(1881) 상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접착층(1610)의 구성의 결과로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은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에서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812)에 부착되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2 구역(1642)에서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812)로부터 분리된다.
본원 양태들은,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에서 길이가 폭보다 더 큰, 길이 및 폭을 보유하는 점을 고려한다. 이러한 예시의 양태들을 계속하여 설명하면, 하나 이상의 제2 구역(1642)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제2 구역에서 길이가 폭보다 더 큰, 길이 및 폭을 보유한다. 다른 양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은 하나 이상의 제2 구역(1642)에 의해 상호 간에 이격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접착층(1610)은, 특정 온도로 가열될 때 용융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열 활성화 접착제일 수 있다. 이러한 일 양태에서, 접착층(1610)의 열 활성화 온도는 약 125℃ 내지 약 135℃이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접착층(1610)의 열 활성화 온도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8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812) 및 탄성중합층(1816) 각각을 형성하는 재료들의 용융 온도보다 더 낮다(용융 온도는 상기에 언급되어 있다). 다른 양태들은, 접착층(1610)이 추가로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과 화학적으로 결합하도록, 그리고/또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과 기계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추가 양태들은, 접착층(1610)이 열가소성 필름일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며, 그리고 예시의 일 양태에서 접착층(1610)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접착층(1610)은 Bemis(베미스)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의 양태들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은 신장 및 회복 특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장력을 인가하면,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은 인장 상태로 전이(transition)되며, 그리고 장력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은 인장 상태에서부터 다시 그 휴지 상태(resting state)로 전이된다. 본원의 다른 양태들은,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이 날실 또는 씨실 편물 메시 구조를 보유하고, 신장 및 회복 특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한다. 일 예시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은 탄성 얀(elastic yarn)을 함유한 제1 재료 및/또는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한 제2 재료를 포함한다.
본원의 추가 양태들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이, 본원에서 논의되는 얽힘형 섬유 웨브들 및/또는 층들 중 임의의 섬유 웨브 및/또는 층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 얽힘형 섬유 웨브 및/또는 층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보다 더 구체적인 양태들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의 하나 이상의 추가 얽힘형 섬유 웨브 및/또는 층 중 임의의 섬유 웨브 및/또는 층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들(810, 910, 1210, 18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812, 912, 1212, 1812), 내부 얽힘형 섬유 웨브(814), 제3 얽힘형 섬유 웨브(914), 탄성중합층들(116, 1216, 1816), 내부층(120), 인쇄층들(170, 870, 970) 또는 스펀레이스 층(920)일 수 있다. 추가 양태들은, 하나 이상의 추가 얽힘형 섬유 웨브 및/또는 층의 특성들이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에 대해 원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추가 양태들은, 하나 이상의 추가 얽힘형 섬유 웨브 및/또는 층,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8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812) 및 탄성중합층(1816)의 배치가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에 대해 원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구성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8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812) 및 탄성중합층(1816) 각각은, 주름형 구조부(1600)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텍스타일 강성, 신축성 및/또는 회복성을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은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의 회복 특성에 저항하기에 불충분한 텍스타일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8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812) 및 탄성중합층(1816) 각각은 접착층(1610)의 활성 온도보다 더 높은 용융 온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의 추가 양태들은, 섬유들(210, 310, 312) 및 탄성중합층(1816)의 특성들이,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에 대해 원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임의의 양태들 및 모든 양태에서, 이들의 임의의 변형태는 본원 양태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도 34에는, 주름형 구조부(1600)를 형성하는데 사용하고 의복 물품(1720) 내에 상기 주름형 구조부를 내포시키기 위한, 전반적으로 도면부호 1700으로 표시된 예시의 제조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4 내 제조 구성요소들의 임의의 묘사들은 예시일 뿐이며, 그리고 제조 공정(1700)의 개별 단계들의 일반적인 특징들을 전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에 추가로, 제조 공정(1700)의 단계들이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본원 양태들은, 제조 공정(1700)이, 그중 임의의 단계들이 반복될 수 있거나 도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인 하나 이상의 단계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높은 수준으로, 도 34에는, 일반적으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을 인장시키는 인장 단계; 인장 상태에 있는 동안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의 표면 상에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을 위치하는 포지셔닝 단계;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에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을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선택적 부착 단계; 및 복수의 주름부(1630)를 형성하기 위해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에 인가된 장력을 해제하는 장력 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공정(1700)의 개별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 1702로 시작하여,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이 수득되고, 그리고/또는 제공된다.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810)(보이지 않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812),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810)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812)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1816)(보이지 않음)을 포함한다.
단계 1704에서, 접착층(1610)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812)의 최바깥쪽 표면(1881)에 도포된다. 접착층(1610)은 하나 이상의 구역(1641)과 나란히 정렬되는 방식으로 도포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에서 길이가 폭보다 더 큰, 길이 및 폭을 보유한다. 이러한 예시의 양태들을 계속하여 설명하면, 하나 이상의 제2 구역(1642)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제2 구역(1642)에서 길이가 폭보다 더 큰, 길이 및 폭을 보유한다. 다른 양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은 하나 이상의 제2 구역(1642)에 의해 상호 간에 이격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의 종축은 하나 이상의 제2 구역(1642)의 종축과 평행하게 정렬된다.
단계 1706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은 인장된다. 양태들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은, 그 날실 또는 웨일(wale) 방향으로, 또는 화살표들로 표시된 기계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을 신장시킴으로써 인장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에 인가된 장력은 약 55%만큼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을 신장시키기에 충분하다. 추가 양태들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에 인가된 장력은 약 75% 내지 약 25%, 약 70% 내지 약 30%, 약 65% 내지 약 35%, 약 60% 내지 약 40% 또는 약 55% 내지 약 45%의 백분율만큼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을 신장시킨다. 단계 1708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의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812)의 최바깥쪽 표면(1881) 상에 위치된다. 또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은 인장 상태에 있는 동안 위치된다.
단계 1710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은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에 선택적으로 부착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과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은 접착층(1610)을 활성화하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열을 인가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34의 예시에서는, 가열 요소(1716)가 열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일 양태에서 가열 요소(1716)는 열 프레스(heat press)이다. 추가 예시의 양태들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과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은 약 10초의 기간 동안 약 15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제1 주기의 열을 인가하고, 그런 다음 약 10초의 기간 동안 약 15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제2 주기의 열을 인가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양태들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 및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을 부착하는 동안 압력 역시도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본원 양태들은, 열의 인가가 중단된 후에,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이 약 20초 동안 인장 상태로 유지되는 점을 고려한다.
단계 1712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에 인가된 장력이 해제되고, 그에 따라 복수의 주름부(1630)를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주름형 구조부(1600)[예컨대 복수의 주름부(1630)를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을 형성한다. 해제될 때,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은 주름형 구조부(1600)의 제2 면(1602)에서 복수의 주름부(1630)의 골부들을 형성하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2 구역(1642)은 주름형 구조부(1600)의 제1 면(1601)에서 복수의 주름부(1630)의 정점부들을 형성한다. 본원 양태들은,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은,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함침시키고 이러한 구역들에서 편물 또는 직물 구조를 "고정(locking-in)"시키는 접착층(1610)으로 인해 인장 상태로 유지된다.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정점부(1630)의 종축은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2 구역(1642)의 종축과 평행하게 정렬된다.
단계 1714에서, 주름형 구조부(1600)는 의복 물품(1720) 안쪽에 내포된다. 주름형 구조부(1600)는 의복 물품(1720)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예시의 일 양태는, 주름형 구조부(1600)가 의복 물품(1720)의 커프(cuff)를 형성하되, 커프는, 예를 들면 소매의 말단부(distal end), 허리 개구부, 칼라, 허리 밴드, 말단 다리 커프(distal leg cuff) 등에 위치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도 35에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분을 구비한 상체 의복 물품(2000)이 도시되어 있되, 의복 물품(2000)은 이 의복 물품(2000) 상에서 하나 이상의 위치에 주름형 구조부(1600)를 포함한다. 그와 유사하게, 도 36에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분을 구비한 하체 의복 물품(2100)이 도시되어 있되, 의복 물품(2100)은 이 의복 물품(2100) 상에서 하나 이상의 위치에 주름형 구조부(1600)를 포함한다. 바깥쪽 대향 표면(2001)은 의복 물품(2000) 및 의복 물품(2100) 모두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의복 물품(2000)과 관련하여, 주름형 구조부(1600)는 소매 끝부분에 위치된 커프를 형성하며, 그리고 의복 물품(2100)과 관련하여서는 주름형 구조부(1600)는 의복 물품(2100)의 다리 개구부에 위치된 커프를 형성한다. 또한, 주름형 구조부(1600)는, 의복 물품(2000)에 대해 도시된 것과 같은 허리 개구부 및 의복 물품(2100)을 위한 허리 밴드를 형성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커프들 각각은, 도 34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 및 접착층(161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복수의 주름부(16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커프들은,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의 표면들이 상호 간에 인접하게 위치되고(즉, 표면들이 면을 공유하는 관계에 있고)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은 커프들의 바깥쪽 대향 표면 및 커프들의 안쪽 대향 표면 모두를 형성하도록, 주름형 구조부(1600)를 절첩(folding)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37에는, 상체 의복 물품(2000)의 커프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또한 횡단면도의 일부분의 확대도도 묘사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주름형 구조부(1600)는, 주름형 구조부(1600)의 바깥쪽 대향 표면이었던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1620)의 표면이 상호 간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2개의 표면을 형성하도록(즉, 표면들이 면을 공유하는 관계에 있도록) 절첩되거나 재구성된다.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은 커프들의 바깥쪽 대향 표면 및 커프들의 안쪽 대향 표면 모두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제1 복수의 주름부(1631)는 상체 의복 물품(2000)의 최바깥쪽 대향 표면(2001) 상에 위치되며, 그리고 제2 복수의 주름부(1632)는 상체 의복 물품(2000)의 최안쪽 대향 표면(2002) 상에 위치된다.
제1 복수의 주름부(1631)는 주름형 구조부(1600)의 제1 부분에 포함되며, 그리고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2050)[즉, 커프들의 바깥쪽 대향 표면을 형성하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의 부분],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1 구조화 텍스타일(1621) 및 제1 접착층(1611)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복수의 주름부(1632)는 주름형 구조부(1600)의 제2 부분에 포함되며, 그리고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950)[즉, 커프들의 안쪽 대향 표면을 형성하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의 부분],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2 구조화 텍스타일(1622) 및 제2 접착층(161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2050)과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950)은 각각 합성 부직 텍스타일(1850)의 부분들이며, 그에 따라 동일한 특징들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2050)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20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2012),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2010)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2012)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2016)을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1950)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910),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912),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1910)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1912)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1916)을 포함한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제1 및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2050 및 1950)은 상이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로부터 공급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이한 특징을 보유할 수 있다.
도 37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얽힘형 섬유 웨브(2012)는,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1 구조화 텍스타일(1621)의 제3 표면(1625)에 부착되는 제1 최바깥쪽 표면(2081)을 가지며, 그리고 제4 얽힘형 섬유 웨브(1912)는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2 구조화 텍스타일(1622)의 제4 표면(1626)에 부착되는 제2 최바깥쪽 표면(1981)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제2 구역(1642)에서, 제1 및 제2 최바깥쪽 표면(2081, 1981)은 각각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1 및 제2 구조화 텍스타일(1621, 1622)로부터 분리되며,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및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2050, 1950) 내에서 정점부들 및 골부들의 형성에 기여한다. 또한,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1 구조화 텍스타일(1621)과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2 구조화 텍스타일(1622)은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에서 인장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즉, 접착층(1610)에 의해 인장 상태로 유지되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2 구역(1642)에서는 인장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제1 및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2050, 1950) 내에 정점부들 및 골부들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커프들 전체에 걸쳐,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1 및 제2 구조화 텍스타일(1621, 1622)은 인접한 위치를 유지하지만, 그러나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37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1 구조화 텍스타일(1621)의 제1 표면(1623)은 하나 이상의 제2 구역(1642)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2 구조화 텍스타일(1622)의 제2 표면(162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에서는 제1 표면(1623)과 제2 표면(1624)이 서로 접촉해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표면(1623)과 제2 표면(1624)은 커프들 전체에 걸쳐 면을 공유하는 관계에 있다.
도 37의 묘사들은 예시이며, 그리고 본원 양태들은 주름형 구조부(1600)가 커프들 전체에 걸쳐 하나 이상의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 예시에서, 제1 및 제2 표면(1623, 1624)은 하나 이상의 제1 구역(1641)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제1 복수의 주름부(1631)는 제2 복수의 주름부(1632)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하기 항목들은 본원에서 고려되는 개념들의 예시의 양태들을 나타낸다. 하기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항목에 종속되도록 다중 종속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종속 항목들(분명하게 이전 항목에 종속되는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은 본원에서 고려되는 양태들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 항목들은 예시이고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항목 1.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합성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섬유 웨브의 제2 면에 인접하게 인쇄층의 제1 면을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이되, 인쇄층은 인쇄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포지셔닝 단계; 및 합성 구조를 바늘 얽힘 공정으로 처리하는 처리 단계이되, 얽힘 공정에 후속하여 인쇄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섬유 웨브 안쪽에 내포되는 것인,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인쇄층은 인쇄 구성요소의 제1 부분을 구비한 제1 영역과 인쇄 구성요소의 제2 부분을 구비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내부 섬유 웨브인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3. 항목 2에 있어서, 내부 섬유 웨브의 제1 영역은, 내부 섬유 웨브의 제2 영역보다 제1 섬유 웨브와 더 많이 기계적으로 얽혀지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4. 항목 2 또는 3에 있어서, 합성 구조를 바늘 얽힘 공정으로 처리하는 처리 단계에 후속하여, 내부 섬유 웨브의 제1 영역 내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섬유 웨브와 기계적으로 얽혀지고, 내부 섬유 웨브의 제2 영역 내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섬유 웨브와 기계적으로 독립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5. 항목 4에 있어서, 인쇄 구성요소는 착색제 및 승화 염료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6. 항목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인쇄층은 스펀레이스 층인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7. 항목 6에 있어서, 합성 구조를 바늘 얽힘 공정으로 처리하는 처리 단계에 후속하여, 제1 섬유 웨브의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가 스펀레이스 층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인쇄 구성요소의 제1 부분은 제1 섬유 웨브 안쪽에 내포되며, 인쇄 구성요소의 제2 부분은 스펀레이스 층 안쪽에 내포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8. 항목 7에 있어서, 인쇄 구성요소의 제2 부분은 제1 섬유 웨브 안쪽에 내포되는 것에서 제외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9. 항목 7 또는 8에 있어서, 인쇄 구성요소는 착색제 및 승화 염료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0. 항목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인쇄층은 스펀레이스 섬유들로 구성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1. 항목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인쇄층은 섬유 웨브로 구성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2. 항목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합성 구조는 내부 층의 제2 면에 인접하는 제2 섬유 웨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3. 항목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인쇄 구성요소는 인쇄층의 제1 면 상에 존재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4. 항목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합성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섬유 웨브의 제2 면에 인접하게 인쇄층의 제1 면을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 이전에, 인쇄층을 형성하기 위해 내부 층 상에 인쇄 구성요소를 인쇄하는 인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5. 항목 14에 있어서, 인쇄 구성요소의 인쇄 단계는 승화 인쇄 공정인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6. 항목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합성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섬유 웨브의 제2 면에 인접하게 인쇄층의 제1 면을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 이전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7. 항목 16에 있어서, 인쇄층의 형성 단계는 내부 층에 승화 염료를 도포하는 도포 단계; 및 약 0.5초 내지 약 1.5초까지의 시간 주기 동안 약 185℃ 내지 약 205℃의 온도로 도포된 승화 염료 및 내부 층을 처리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8. 항목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바늘 얽힘 공정은 제1 조건을 갖는 제1 바늘 얽힘 공정; 및 제1 조건과 다른 제2 조건을 갖는 제2 바늘 얽힘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9. 항목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섬유 웨브 안쪽에 내포되는 인쇄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인쇄층의 하나 이상의 섬유를 포함하되, 인쇄층의 하나 이상의 섬유는 제1 섬유 웨브 안쪽으로 연장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20. 항목 1 내지 1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섬유 웨브 안쪽에 내포되는 인쇄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섬유 웨브의 제1 면 쪽으로 연장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21.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하도록 내부 층 상에 인쇄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인쇄 기술을 활용하는 활용 단계; 인쇄 기술의 활용 단계에 후속하여, 합성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섬유 웨브의 제2 면에 인접하게 인쇄층의 제1 면을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 및 가변적인 얽힘 공정으로 합성 구조를 처리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가변적인 얽힘 공정에 후속하여, 인쇄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1 섬유 웨브의 제1 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대향면을 형성하는 것인,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22. 항목 21에 있어서, 인쇄 기술은 내부 층의 제1 면 상에 착색제를 도포하는 도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23. 항목 22의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인쇄하는 인쇄 방법에 있어서, 합성 구조를 얽힘 공정으로 처리하는 처리 단계에 후속하여, 인쇄 구성요소의 제1 부분은 제1 섬유 웨브 안쪽에 내포되고, 인쇄 구성요소의 제2 부분은 내부 층 안쪽에 내포되는 것에서 제외되는 것인,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인쇄 방법.
항목 24. 항목 23에 있어서, 내부 층은 섬유 웨브인 것인,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인쇄 방법.
항목 25. 항목 23에 있어서, 내부 층은 스펀레이스 층인 것인,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인쇄 방법.
항목 26. 항목 22에 있어서, 인쇄 기술은 내부 층의 제1 면 상에 승화 염료를 승화 인쇄하는 승화 인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인쇄 방법.
항목 27. 항목 26에 있어서, 합성 구조를 얽힘 공정으로 처리하는 처리 단계에 후속하여, 승화 염색된 내부 층의 제1 부분은, 승화 염색된 상기 내부 층의 제2 부분보다 더 많이 제1 섬유 웨브 안쪽에 내포되는 것인,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인쇄 방법.
항목 28. 항목 27에 있어서, 내부 층은 섬유 웨브인 것인,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인쇄 방법.
항목 29. 항목 27에 있어서, 내부 층은 스펀레이스 층인 것인,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인쇄 방법.
항목 30. 제1 대향면을 포함하는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로서, 제1 면과 맞은편의 제2 면을 구비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이되, 제1 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대향면을 형성하는 것인,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의 제2 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면을 구비한 내부 층이되, 내부 층의 제1 면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구비한 인쇄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내부 층;을 포함하는 상기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있어서, 인쇄 구성요소의 제2 부분이 제1 섬유 웨브 안쪽에 내포되어 있는 경우보다, 인쇄 구성요소의 제1 부분이 제1 섬유 웨브 안쪽에 더욱 많이 내포되어 있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31. 항목 30에 있어서, 내부 층은 얽힘형 섬유들의 웨브인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32. 항목 30에 있어서, 내부 층은 스펀레이스 층인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33. 항목 30 내지 3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인쇄 구성요소는 승화 염료 또는 착색제로 구성되는 것인,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34. 제1 대향면을 포함하는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로서, 제1 면과 맞은편의 제2 면을 구비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이되, 제1 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대향면을 형성하는 것인,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의 제2 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면을 구비한 내부 층이되, 내부 층의 제1 면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구비한 인쇄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내부 층;을 포함하는 상기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있어서, 인쇄 구성요소의 제1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대향면을 형성하고, 인쇄 구성요소의 제2 부분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로부터 제외되는 것인,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35. 항목 34에 있어서, 내부 층은 내부 얽힘형 섬유 웨브를 포함하는 것인,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36. 항목 34에 있어서, 내부 층은 스펀레이스 섬유들의 내부 웨브를 포함하는 것인,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37. 항목 34 내지 3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인쇄 구성요소는 승화 염료 또는 착색제로 구성되는 것인,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38. 항목 34 내지 3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39. 항목 38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40. 항목 39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은 제3 얽힘형 섬유 웨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인쇄된 비대칭 대향형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41. 상체 의복 물품으로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를 구비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이되, 제1 에지를 포함하는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를 구비한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이되, 제2 에지를 포함하는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 및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2 에지에 인접하는,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에지의 일부분을 따라서 형성되는 제1 솔기;를 포함하는 상기 상체 의복 물품에 있어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의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와 얽혀져 제1 솔기를 형성하되, 제1 솔기는 상체 의복 물품의 제1 솔기 위치에 형성되는 것인, 상체 의복 물품.
항목 42. 항목 41에 있어서, 제1 솔기 위치는 상체 의복 물품의 옆면 부분 근처인 것인, 상체 의복 물품.
항목 43. 항목 41에 있어서, 제1 솔기 위치는 상체 의복 물품의 칼라 부분 근처인 것인, 상체 의복 물품.
항목 44. 항목 41에 있어서, 제1 솔기 위치는 상체 의복 물품의 소매 근처인 것인, 상체 의복 물품.
항목 45. 항목 41 내지 4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1 에지를 따라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상체 의복 물품.
항목 46. 항목 41 내지 4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3 에지를 포함하고,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3 에지에 인접하는 제4 에지를 포함하는 것인, 상체 의복 물품.
항목 47. 항목 46에 있어서, 상기 상체 의복 물품은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4 에지에 인접하는,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3 에지의 일부분을 따라서 형성되는 제2 솔기를 더 포함하고,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의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와 얽혀져 제2 솔기를 형성하되, 제2 솔기는 상체 의복 물품의 제2 솔기 위치에 형성되는 것인, 상체 의복 물품.
항목 48. 항목 47에 있어서, 제1 솔기 위치는 상체 의복 물품의 옆면 부분 근처이고, 제2 솔기 위치는 상체 의복 물품의 칼라 부분 근처인 것인, 상체 의복 물품.
항목 49. 항목 47에 있어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3 에지를 따라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상체 의복 물품.
항목 50. 하체 의복 물품으로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를 구비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이되, 제1 에지를 포함하는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를 구비한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이되, 제2 에지를 포함하는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 및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2 에지에 인접하는,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에지의 일부분을 따라서 형성되는 제1 솔기;를 포함하는 상기 하체 의복 물품에 있어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의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와 얽혀져 제1 솔기를 형성하되, 제1 솔기는 하체 의복 물품의 제1 솔기 위치에 형성되는 것인, 하체 의복 물품.
항목 51. 항목 50에 있어서, 제1 솔기 위치는 하체 의복 물품의 바깥쪽 옆면 부분 근처인 것인, 하체 의복 물품.
항목 52. 항목 50에 있어서, 제1 솔기 위치는 하체 의복 물품의 안쪽 옆면 부분 근처인 것인, 하체 의복 물품.
항목 53. 항목 50에 있어서, 제1 솔기 위치는 하체 의복 물품의 허리 부분 근처인 것인, 하체 의복 물품.
항목 54. 항목 50 내지 5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1 에지를 따라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하체 의복 물품.
항목 55. 항목 50 내지 5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3 에지를 포함하고,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3 에지에 인접하는 제4 에지를 포함하는 것인, 하체 의복 물품.
항목 56. 항목 55에 있어서, 상기 상체 의복 물품은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4 에지에 인접하는,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3 에지의 일부분을 따라서 형성되는 제2 솔기를 더 포함하고,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의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와 얽혀져 제2 솔기를 형성하되, 제2 솔기는 하체 의복 물품의 제2 솔기 위치에 형성되는 것인, 하체 의복 물품.
항목 57. 항목 56에 있어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3 에지를 따라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하체 의복 물품.
항목 58.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 및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의복 물품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제2 섬유 웨브 위쪽에 제1 섬유 웨브를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 제1 섬유 웨브가 제1 얽힘형 웨브가 되고 제2 섬유 웨브는 제2 얽힘형 웨브가 되도록 제1 웨브의 섬유들과 제2 섬유 웨브의 섬유들을 기계적으로 얽히게 하는 기계적 얽힘 단계이되, 제1 얽힘형 웨브와 제2 얽힘형 웨브가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것인, 기계적 얽힘 단계; 제4 섬유 웨브 위쪽에 제3 섬유 웨브를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 제3 섬유 웨브가 제3 얽힘형 웨브가 되고 제4 섬유 웨브는 제4 얽힘형 웨브가 되도록 제3 섬유 웨브의 섬유들과 제4 섬유 웨브의 섬유들을 서로 기계적으로 얽히게 하는 기계적 얽힘 단계이되, 제3 얽힘형 웨브와 제4 얽힘형 웨브는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것인, 기계적 얽힘 단계;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에지가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2 에지에 인접하도록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 및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 및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에지가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2 에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곳에 제1 솔기가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 얽힘형 웨브의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와 제3 및 제4 얽힘형 웨브의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서로 기계적으로 얽히게 하는 기계적 얽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의 제조 방법.
항목 59. 항목 58에 있어서, 의복 물품은 상체 의복 물품인 것인, 의복 물품의 제조 방법.
항목 60. 항목 58에 있어서, 의복 물품은 하체 의복 물품인 것인, 의복 물품의 제조 방법.
항목 61. 합성 부직 텍스타일로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구비한 제1 영역; 및 디보싱 부분과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를 구비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있어서, 디보싱 부분은 탄성중합층 안쪽에 통합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62. 항목 61에 있어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탄성중합층은 집합적으로 제1 영역에서 제1 두께를 보유하고, 디보싱 부분은 제1 두께와 다른 제2 두께를 보유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63. 항목 62에 있어서, 제2 두께는 제1 두께보다 약 50% 더 작은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64. 항목 61 내지 6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는 제1 색상을 보유하고 탄성중합층은 제1 색상과 다른 제3 색상을 보유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65. 항목 64에 있어서, 제1 영역에서 제1 색상은 보이고, 제3 색상은 시야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려지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66. 항목 64 또는 65에 있어서, 제2 영역에서 제3 색상이 보이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67. 항목 61 내지 6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영역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로 형성되며, 그리고 제2 영역에서는 제1 바깥쪽 대향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보싱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68. 항목 61 내지 6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은 제1 영역에서, 그리고 제2 영역에서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로 형성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69. 제1 색상을 갖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색상을 갖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3 색상을 가지면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하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그래픽을 부여하는 그래픽 부여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탄성중합층이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캡슐화하는 필름을 형성하도록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의 제2 영역에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을 인가하는 인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그래픽 부여 방법에 있어서,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의 인가 단계에 후속하여, 제2 영역에서 제1 바깥쪽 대향면의 색상은 제3 색상이며, 제1 영역에서 제1 바깥쪽 대향면의 색상은 제1 색상이며, 제2 영역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 상에 그래픽을 형성하는 것인, 그래픽 부여 방법.
항목 70. 항목 69에 있어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색상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제2 색상인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항목 71. 항목 69 또는 70에 있어서, 열과 압력은 동시에 인가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항목 72. 항목 69 내지 7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표면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의 제2 영역에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의 인가 동안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항목 73. 항목 69 내지 7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디보싱 공구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2 영역에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을 인가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항목 74. 항목 73에 있어서, 디보싱 공구는 약 28초 내지 약 32초의 기간 동안 섭씨 약 170도 내지 섭씨 약 190도의 온도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의 제2 영역에 열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항목 75. 항목 73 또는 74에 있어서, 디보싱 공구는 약 30초의 기간 동안 섭씨 약 180도의 온도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의 제2 영역에 열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항목 76. 항목 69 내지 7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영역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두께는 제1 영역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두께보다 약 50% 더 작은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항목 77. 항목 69 내지 7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 내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두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서로 약 95% 이내인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항목 78. 항목 69 또는 7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적어도 제1 색상은 제3 색상과 다른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항목 79. 디보싱 부분을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 상에 디보싱 공구를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이되,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하는 것인, 포지셔닝 단계; 및 디보싱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에 디보싱 공구를 적용하는 적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디보싱 부분을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80. 항목 79에 있어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디보싱 부분을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81. 항목 79 또는 80에 있어서, 디보싱 부분은 탄성중합층 안쪽에 통합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디보싱 부분을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82. 항목 79 내지 8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디보싱 부분을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83. 항목 79 내지 8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은 제1 색상을 보유하고 디보싱 부분은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보유하는 것인, 디보싱 부분을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84. 항목 79 내지 8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디보싱 공구는 약 28초 내지 약 32초의 기간 동안 섭씨 약 170도 내지 섭씨 약 190도의 온도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에 열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디보싱 부분을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85. 항목 79 내지 8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디보싱 공구는 약 30초의 기간 동안 섭씨 약 180도의 온도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에 열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디보싱 부분을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86. 항목 79 내지 8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디보싱 부분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두께는 디보싱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두께의 반보다 더 작은 것인, 디보싱 부분을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87. 항목 79 내지 8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 내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두께는 디보싱 부분에서, 그리고 디보싱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유사한 것인, 디보싱 부분을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88. 의복 품목으로서, 의복 품목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상기 의복 품목에 있어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하고, 제2 영역은 제1 디보싱 부분과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를 포함하며, 제1 디보싱 부분은 탄성중합층 안쪽에 통합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품목.
항목 89. 항목 88에 있어서, 제1 디보싱 부분은 제1 그래픽을 형성하는 것인, 의복 품목.
항목 90. 항목 88 또는 89에 있어서, 제1 디보싱 부분은 의복 품목의 바깥쪽 대향 표면 상에서 보이는 것인, 의복 품목.
항목 91. 항목 88 내지 9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디보싱 부분은 의복 품목의 안쪽 대향 표면 상에서 보이지 않는 것인, 의복 품목.
항목 92. 항목 88 내지 9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의복 품목은 탄성중합층 안쪽에 통합된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구비한 제2 디보싱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의복 품목.
항목 93. 항목 92에 있어서, 제2 디보싱 부분은 제1 그래픽과 다른 외관을 보유한 제2 그래픽을 형성하는 것인, 의복 품목.
항목 94. 항목 92 또는 93에 있어서, 제2 디보싱 부분은 의복 품목의 안쪽 대향 표면 상에서 보이는 것인, 의복 품목.
항목 95. 항목 92 내지 9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디보싱 부분은 의복 품목의 바깥쪽 대향 표면 상에서 보이지 않는 것인, 의복 품목.
항목 96. 항목 88 내지 9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의복 품목은 상체 의복 물품인 것인, 의복 품목.
항목 97. 항목 88 내지 9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의복 품목은 하체 의복 물품인 것인, 의복 품목.
항목 98. 항목 88 내지 9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탄성중합층은 제1 영역에서 제1 두께를 보유하고, 제1 디보싱 부분은 제2 영역에서 제1 두께보다 약 50% 더 작은 제2 두께를 보유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99. 합성 부직 텍스타일로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탄성중합층;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중합층을 구비한 제1 영역; 및 제1 영역에 상대적으로 디보싱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있어서, 제2 영역에서, 탄성중합층은 디보싱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캡슐화하는 필름 형태이며, 그리고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는 디보싱 부분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100. 항목 99에 있어서, 디보싱 부분은 복수의 섬유 및 필름으로 형성되는 매트릭스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101. 항목 99 또는 100에 있어서, 디보싱 부분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 상의 제1 영역과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102. 항목 99 내지 10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 내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두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서로 약 95% 이내인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103. 합성 부직 텍스타일로서, 제1 바깥쪽 대향면 및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을 구비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로서, 제1 색상을 갖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색상을 갖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적어도 제1 색상과 다른 제3 색상을 갖는 탄성중합층;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중합층을 구비한 제1 영역; 및 제1 영역에 상대적으로 디보싱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있어서, 제1 바깥쪽 대향면으로부터, 제1 영역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색상은 제1 색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2 영역에서는 제3 색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104. 항목 103에 있어서, 제2 바깥쪽 대향면으로부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색상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의 제2 색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105. 항목 103 또는 104에 있어서, 제2 영역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두께는 제1 영역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두께보다 약 50% 더 작은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106. 합성 부직 텍스타일로서, 제1 용융 온도를 갖는 제1 재료를 구비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용융 온도를 갖는 제2 재료를 구비한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3 용융 온도를 갖는 제3 재료를 구비한 탄성중합층;을 포함하는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있어서, 제3 용융 온도는 제1 용융 온도보다 섭씨 약 40도 더 낮고,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탄성중합층이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배치되는 곳인 제1 영역과, 제1 영역에 상대적으로 디보싱된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제2 영역에서 탄성중합층은 디보싱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캡슐화하는 필름 형태이며, 그리고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는 디보싱 부분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107. 항목 106에 있어서, 디보싱 부분은 복수의 섬유 및 필름으로 형성되는 매트릭스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108. 항목 106 또는 107에 있어서, 디보싱 부분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 상의 제1 영역과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109. 항목 106 또는 10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디보싱 부분의 두께는 제1 영역에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및 탄성중합층의 두께보다 약 50% 더 작은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110. 합성 부직 텍스타일로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적어도 제1 얽힘형 섬유 웨브를 형성하는 섬유들의 용융 온도보다 더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탄성중합체 섬유들로 형성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하는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있어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탄성중합층이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배치되는 곳인 제1 영역과 제1 영역에 상대적으로 디보싱된 제2 영역을 포함하되, 제2 영역에서 탄성중합층은 디보싱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캡슐화하는 필름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는 디보싱 부분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111. 항목 110에 있어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각각은 탄성중합층을 형성하는 탄성중합체 섬유들의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는 스테이플 섬유들(staple fibers)을 포함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112. 항목 110 또는 111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섬유들은 멜트블로운 섬유들 또는 스펀본드 섬유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113. 항목 108 내지 11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디보싱 부분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 상의 제1 영역과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항목 114. 주름형 구조부로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구비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최바깥쪽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 및 합성 부직 텍스타일 및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로 형성되는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주름형 구조부.
항목 115. 항목 114에 있어서, 주름형 구조부는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에서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에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을 부착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항목 116. 항목 115에 있어서, 접착층은 열가소성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항목 117. 항목 115 또는 116에 있어서, 접착층은 약 2mm의 두께를 갖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항목 118. 항목 114 내지 1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은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에서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에 부착되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2 구역에서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항목 119. 항목 118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 구역 각각은 길이 및 폭을 보유하되,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에서 길이는 폭보다 더 크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2 구역 각각도 길이 및 폭을 보유하되, 하나 이상의 제2 구역에서 길이는 폭보다 더 큰 것인, 주름형 구조부.
항목 120. 항목 118 또는 119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은 하나 이상의 제2 구역에 의해 상호 간에 이격되어 있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항목 121. 항목 118 내지 12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 구역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제2 구역의 종축과 평행하게 정렬되는 종축을 갖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항목 122. 항목 118 내지 12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 구역 각각은 복수의 주름부 중 하나 이상의 주름부의 종축과 평행하게 정렬되는 종축을 갖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항목 123.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인장 상태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을 인장시키기 위해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을 인장시키는 인장 단계; 인장 상태에 있는 동안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표면 상에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을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에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에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선택적 부착 단계; 및 복수의 주름부를 형성하기 위해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에 인가된 장력을 해제하는 장력 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124. 항목 123에 있어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은 자체 휴지 길이의 약 50% 내지 약 60% 사이로 인장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125. 항목 123 또는 124에 있어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은 자체 휴지 길이의 약 55%로 인장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126. 항목 123 내지 12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은 복수의 코스(course) 및 복수의 웨일(wale)을 구비한 편물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127. 항목 126에 있어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은 웨일 방향으로 인장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128. 항목 126 또는 127에 있어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은 기계 방향으로 인장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129. 항목 123 내지 12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130. 항목 129에 있어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최바깥쪽 표면에 부착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131. 항목 129 또는 130에 있어서,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은 하나 이상의 제2 구역에서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132. 항목 13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 구역 각각은 길이 및 폭을 보유하되,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에서 길이는 폭보다 더 크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2 구역 각각도 길이 및 폭을 보유하되, 하나 이상의 제2 구역에서 길이는 폭보다 더 큰 것인, 제조 방법.
항목 133. 항목 131 또는 132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은 하나 이상의 제2 구역에 의해 상호 간에 이격되어 있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134. 항목 123 내지 13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장력의 해제 단계에 후속하여,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은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에서 인장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135. 적어도 의복 품목의 제1 부분에서의 주름형 구조부에 있어서, 상기 주름형 구조부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구비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최바깥쪽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1 구조화 텍스타일; 및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 및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1 구조화 텍스타일로 형성되는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항목 136. 항목 135에 있어서, 의복 품목은 상체 의복 물품인 것인, 주름형 구조부.
항목 137. 항목 135에 있어서, 의복 품목은 하체 의복 물품인 것인, 주름형 구조부.
항목 138. 항목 135 내지 13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주름형 구조부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4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3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4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제2 탄성중합층을 구비한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2 최바깥쪽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2 구조화 텍스타일; 및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 및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2 구조화 텍스타일로 형성되는 제2 복수의 주름부;를 더 포함하되,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2 구조화 텍스타일은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1 구조화 텍스타일과 면을 공유하는 관계에 있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항목 139. 항목 135 내지 13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복수의 주름부는 의복 품목의 최바깥쪽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되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항목 140. 항목 138 또는 139에 있어서, 제2 복수의 주름부는 의복 품목의 최안쪽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되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Claims (64)

  1. 합성 부직 텍스타일로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디보싱 부분 및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를 포함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디보싱 부분은 탄성중합층 안쪽에 통합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상기 탄성중합층은 집합적으로 제1 영역에서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디보싱 부분은 제1 두께와 다른 제2 두께를 갖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3. 제2항에 있어서, 제2 두께는 제1 두께보다 약 50% 더 작은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얽힘형 섬유 웨브는 제1 색상을 가지고 상기 탄성중합층은 제1 색상과 다른 제3 색상을 갖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서, 제1 색상은 보이고, 제3 색상은 시야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려지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서 제3 색상은 보이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얽힘형 섬유 웨브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에서는 상기 제1 바깥쪽 대향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디보싱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은 상기 제1 영역에서,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로 형성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9. 제1 색상을 갖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색상을 갖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3 색상을 가지면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하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그래픽을 부여하는 그래픽 부여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탄성중합층이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캡슐화하는 필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의 제2 영역에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을 인가하는 인가 단계를 포함하며,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의 인가 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바깥쪽 대향면의 색상은 제3 색상이며,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바깥쪽 대향면의 색상은 제1 색상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 상에 그래픽을 형성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열과 압력은 동시에 인가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표면은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의 제2 영역에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의 인가 동안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에서,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색상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제2 색상인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보싱 공구는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2 영역에 열과 압력 중 하나 이상을 인가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보싱 공구는 약 28초 내지 약 32초의 기간 동안 섭씨 약 170도 내지 섭씨 약 190도의 온도에서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의 제2 영역에 열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보싱 공구는 약 30초의 기간 동안 섭씨 약 180도의 온도에서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의 제2 영역에 열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두께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두께보다 약 50% 더 작은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 내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두께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서로 약 95% 이내인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18. 제9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색상은 제3 색상과 다른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그래픽 부여 방법.
  19. 의복 품목으로서,
    의복 품목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며,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은 제1 디보싱 부분과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디보싱 부분은 상기 탄성중합층 안쪽에 통합된 상기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품목.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보싱 부분은 제1 그래픽을 형성하는 것인, 의복 품목.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보싱 부분은 상기 의복 품목의 바깥쪽 대향 표면 상에서 보이는 것인, 의복 품목.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보싱 부분은 상기 의복 품목의 안쪽 대향 표면 상에서 보이지 않는 것인, 의복 품목.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품목은 상기 탄성중합층 안쪽에 통합된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구비한 제2 디보싱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의복 품목.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보싱 부분은 제1 그래픽과 다른 외관을 가지는 제2 그래픽을 형성하는 것인, 의복 품목.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보싱 부분은 상기 의복 품목의 안쪽 대향 표면 상에서 보이는 것인, 의복 품목.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보싱 부분은 상기 의복 품목의 바깥쪽 대향 표면 상에서 보이지 않는 것인, 의복 품목.
  27. 제19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품목은 상체 의복 물품인 것인, 의복 품목.
  28. 제19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품목은 하체 의복 물품인 것인, 의복 품목.
  29. 제19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상기 탄성중합층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1 디보싱 부분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제1 두께보다 약 50% 더 작은 제2 두께를 가지는 것인, 의복 품목.
  30. 합성 부직 텍스타일로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탄성중합층;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중합층을 구비한 제1 영역; 및
    제1 영역에 상대적으로 디보싱된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탄성중합층은 디보싱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캡슐화하는 필름 형태이며, 그리고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는 상기 디보싱 부분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디보싱 부분은 복수의 섬유 및 필름으로 형성되는 매트릭스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디보싱 부분은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 상의 제1 영역과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33.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 내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두께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서로 약 95% 이내인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34. 제1 바깥쪽 대향면 및 맞은편의 제2 바깥쪽 대향면을 구비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로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1 색상을 갖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색상을 갖는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적어도 제1 색상과 다른 제3 색상을 갖는 탄성중합층;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중합층을 구비한 제1 영역; 및
    제1 영역에 상대적으로 디보싱된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깥쪽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색상은 상기 제1 색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는 제3 색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깥쪽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색상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제2 색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두께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두께보다 약 50% 더 작은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37. 합성 부직 텍스타일로서,
    제1 용융 온도를 갖는 제1 재료를 포함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용융 온도를 갖는 제2 재료를 포함한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3 용융 온도를 갖는 제3 재료를 포함한 탄성중합층;을 포함하며,
    제3 용융 온도는 제1 용융 온도보다 섭씨 약 40도 더 낮고,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상기 탄성중합층이 상기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배치되는 곳인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상대적인 디보싱된 제2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탄성중합층은 디보싱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캡슐화하는 필름 형태이며, 그리고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는 상기 디보싱 부분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디보싱 부분은 복수의 섬유 및 필름으로 형성되는 매트릭스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디보싱 부분은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 상의 제1 영역과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보싱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상기 탄성중합층의 두께보다 약 50% 더 작은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41. 합성 부직 텍스타일로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적어도 제1 얽힘형 섬유 웨브를 형성하는 섬유들의 용융 온도보다 더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탄성중합체 섬유들로 형성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하며,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상기 탄성중합층이 상기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배치되는 곳인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상대적으로 디보싱된 제2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탄성중합층은 디보싱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에서 나오는 복수의 섬유를 캡슐화하는 필름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는 상기 디보싱 부분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각각은 상기 탄성중합층을 형성하는 탄성중합체 섬유들의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는 스테이플 섬유들을 포함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섬유들은 멜트블로운 섬유들 또는 스펀본드 섬유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44. 제4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보싱 부분은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바깥쪽 대향면 상의 제1 영역과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인, 합성 부직 텍스타일.
  45. 주름형 구조부로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최바깥쪽 표면에 인접하게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 및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 및 상기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로 형성되는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주름형 구조부.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형 구조부는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에 상기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을 부착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은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에 부착되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2 구역에서는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구역 각각은 길이 및 폭을 가지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에서 길이는 폭보다 더 크며,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구역 각각도 길이 및 폭을 가지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구역에서 길이는 폭보다 더 큰 것인, 주름형 구조부.
  49.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구역에 의해 상호 간에 이격되어 있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50. 제47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구역 각각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구역의 종축과 평행하게 정렬되는 종축을 갖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51. 제47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구역 각각은 상기 복수의 주름부 중 하나 이상의 주름부의 종축과 평행하게 정렬되는 종축을 갖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52.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을 인장 상태로 전이시키기 위해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을 인장시키는 인장 단계;
    인장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표면 상에 상기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을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에서 상기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에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선택적 부착 단계; 및
    복수의 주름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에 인가된 장력을 해제하는 장력 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부직 텍스타일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상기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층을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은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의 최바깥쪽 표면에 부착되는 것인, 제조 방법.
  55. 제53항 또는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은 하나 이상의 제2 구역에서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제조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구역 각각은 길이 및 폭을 가지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에서 길이는 폭보다 더 크며,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구역 각각도 길이 및 폭을 가지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구역에서 길이는 폭보다 더 큰 것인, 제조 방법.
  57.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구역에 의해 상호 간에 이격되어 있는 것인, 제조 방법.
  58. 제52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력의 해제 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구역에서 인장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인, 제조 방법.
  59. 의복 품목의 적어도 제1 부분에서의 주름형 구조부로서, 상기 주름형 구조부는
    제1 얽힘형 섬유 웨브,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상기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상기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제1 탄성중합층을 포함한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
    상기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1 최바깥쪽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 및
    상기 제1 합성 부직 텍스타일 및 상기 제1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로 형성되는 제1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품목은 상체 의복 물품인 것인, 주름형 구조부.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품목은 하체 의복 물품인 것인, 주름형 구조부.
  62. 제59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형 구조부는
    제3 얽힘형 섬유 웨브, 제4 얽힘형 섬유 웨브, 및 상기 제3 얽힘형 섬유 웨브와 상기 제4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제2 탄성중합층을 포함한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
    상기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제2 최바깥쪽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2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 및
    상기 제2 합성 부직 텍스타일과 상기 제2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로 형성된 제2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은 상기 제1 탄성 복원력이 있는 구조화 텍스타일과 면을 공유하는 관계가 있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63. 제59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주름부는 의복 품목의 최바깥쪽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되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64. 제62항 또는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의 주름부는 의복 품목의 최안쪽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되는 것인, 주름형 구조부.
KR1020247003441A 2021-08-26 2021-08-26 의복에 적합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용 디보싱 및 주름 마감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265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14780 WO2023024022A1 (en) 2021-08-26 2021-08-26 Debossed and pleated finishes for composite nonwoven textiles suitable for apparel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516A true KR20240026516A (ko) 2024-02-28

Family

ID=7782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441A KR20240026516A (ko) 2021-08-26 2021-08-26 의복에 적합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용 디보싱 및 주름 마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26516A (ko)
CN (5) CN117480049A (ko)
WO (1) WO202302402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6029A1 (en) * 2004-08-24 2006-03-02 Yupoong, Inc. Embossed ornamental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491666B2 (en) * 2005-04-29 2009-02-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tent elastic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20110034100A1 (en) * 2009-07-13 2011-02-10 Vasanthakumar Narayanan Launderable and durable mechanically bonded nonwoven fabric
CN202608163U (zh) * 2012-05-29 2012-12-19 温州大洲无纺布有限公司 一种透气无纺布
CN109222294A (zh) * 2012-12-28 2019-01-18 英威达技术有限公司 包含弹性复合织物的服装
KR102523950B1 (ko) * 2015-03-31 2023-04-2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수력매립된 필름-기반 복합체
US20170000660A1 (en) * 2015-06-30 2017-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 LAMINATE WITH INCREMENTALLY STRETCHED OR SELFed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INCLUDING THE SAME
US10098488B2 (en) * 2015-09-28 2018-10-16 Natalie Jean Boyatt Carry tray
MX2020005617A (es) * 2017-12-07 2020-09-24 Toray Opelontex Co Ltd Cuerpo laminado compuesto y pañal desechable.
US20190366675A1 (en) * 2018-05-31 2019-12-05 Nike, Inc. Multilayer textile having printed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26099A (zh) 2023-03-03
TW202310765A (zh) 2023-03-16
TW202325173A (zh) 2023-07-01
CN115726100A (zh) 2023-03-03
WO2023024022A1 (en) 2023-03-02
CN218812488U (zh) 2023-04-07
CN218812489U (zh) 2023-04-07
CN117480049A (zh)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34703A1 (en) Printed composite nonwoven textile suitable for apparel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CN114606644B (zh) 通过使用化学粘合剂提高抗起球性的复合非织造织物
KR20240026516A (ko) 의복에 적합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용 디보싱 및 주름 마감 및 그 제조 방법
TWI836574B (zh) 複合非織造織物、服裝物品、適用於服裝的複合非織造織物的壓凹和打褶整理劑及其生產方法
TWI837792B (zh) 打褶構造、包括打褶構造的服裝製品及製造具有多個褶的複合非織造織物的方法
WO2022093594A2 (en) Asymmetric faced composite nonwoven texti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40065346A1 (en) Garment with composite nonwoven textile
TWI839655B (zh) 服裝製品及製造服裝製品的方法
CN117087295A (zh) 非对称饰面的复合非织造织物及其制造方法
WO2024049958A1 (en) Garment with composite nonwoven text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