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421A -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421A
KR20240025421A KR1020220113945A KR20220113945A KR20240025421A KR 20240025421 A KR20240025421 A KR 20240025421A KR 1020220113945 A KR1020220113945 A KR 1020220113945A KR 20220113945 A KR20220113945 A KR 20220113945A KR 20240025421 A KR20240025421 A KR 20240025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ro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김윤섭
안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854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39041A1/ko
Publication of KR20240025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평판 형상의 제1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S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며, 일단부(one end portion)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대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일단부의 위치 또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XING MEMBER}
본 개시의 실시예(들)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정보, 또는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하나의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은 통신 기능과 아울러, 음향 재생 기기, 촬상 기기, 또는 전자 수첩과 같은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설치를 통해 더욱 다양한 기능이 스마트 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나 저장된 파일의 실행뿐만 아니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서버 또는 다른 전자 장치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성능이 고도화되고, 전자 장치가 소형화되면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일상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은 전자 장치의 집적도를 높임으로써 전자 장치의 휴대와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자 장치의 내부에서는 각종 부품들의 배치에 있어, 외부적인 원인(예: 온도와 습도의 변화 또는 낙하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내부 부품을 보호함으로써 안정된 작동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정보는 본 개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배경 기술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 중 어느 것도 본 개시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prior art)로서 적용될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어떠한 주장이나 결정이 제기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평판 형상의 제1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S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며, 일단부(one end portion)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대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일단부의 위치 또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평판 형상의 제1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서 제1 위치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서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에 배치된 제2 회로 기판,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S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되며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대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일단부의 위치 또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1 봉, 및 상기 제1 봉보다 상기 제1 회로 기판 또는 상기 제1 지지 부재로부터 먼 위치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가로지르게 배치된 제2 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해 상술한 측면 또는 다른 측면, 구성 및/또는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고정 부재 및/또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고정 부재 및/또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고정 부재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고정 부재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고정 부재 및/또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라인 A-A를 따라 전자 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라인 B-B를 따라 전자 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라인 B-B를 따라 전자 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고정 부재 및/또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가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의 전반에서, 유사한 부품, 구성 및/또는 구조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내부 부품(들)의 제작이나 배치에 있어 공차 관리가 엄격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협소해진 내부 공간에 부품들이 배치되면서, 그 크기나 배치 간격을 설계 범위에 만족하게 함으로써 안정된 작동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공차 관리가 엄격해지는 만큼, 온도 / 습도의 변화 또는 낙하로 인한 충격과 같은 외부 원인으로 인해 내부 부품의 탈락되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나 각종 케이블과 같은 부품은 외력에 의해 쉽게 형상을 변경하거나 이동할 수 있으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나 각종 케이블의 변형이나 이동은 쉽게 예측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변형 또는 이동으로 인해, 접속 / 결속 구조(예: 커넥터(들))가 손상되거나 접속 / 결속 부분이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 및/또는 단점을 적어도 해소하고 후술하는 장점을 적어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형상 변형이 용이한 부품을 정형화하여 배치 또는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과 같은 부품의 접속 또는 결속 부분을 정형화함으로써 안정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적어도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과 같은 부품의 접속 또는 결속 구조의 분리 또는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관한 다음 설명은 청구항 및 이에 상응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 중 하나인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일반 기술자는 본 문서에 기술된 다양한 구현의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공개의 범위와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 설명과 청구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참고 문헌적 의미에 국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명확하고 일관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시의 다양한 구현에 대한 다음의 설명이 권리범위 및 이에 준하는 것으로 규정하는 공시를 제한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문맥이 다르게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a", "an", 그리고 "the"의 단수형식은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구성 요소 표면"이라 함은 구성 요소의 표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면(또는 전면)(110A), 제2 면(또는 후면)(110B), 및 제1 면(110A) 및 제2 면(1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10C)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110)은, 도 1의 제1 면(110A), 도 2의 제2 면(110B) 및 측면(1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1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1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1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1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110C)은, 전면 플레이트(102) 및 후면 플레이트(1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구조(또는 "측면 베젤 구조")(118)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111) 및 측면 구조(1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는,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또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가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또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 쪽으로 휘어져 연장된 영역들 중 하나만을, 제1 면(110A)의 일측 가장자리에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면 플레이트(102) 또는 후면 플레이트(111)는 실질적으로 평판 형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휘어져 연장된 영역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휘어져 연장된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휘어져 연장된 영역이 포함된 부분에서 전자 장치(100)의 두께는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1), 오디오 모듈(103, 107, 114), 센서 모듈(104, 119), 카메라 모듈(105, 112, 113), 키 입력 장치(117), 발광 소자(106), 및 커넥터 홀(108, 1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117), 또는 발광 소자(106))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1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면(110A)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02)를 통하여 또는 측면(110C)의 일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1)의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모서리를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의 인접한 외곽 형상과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면적을 확장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01)의 외곽과 전면 플레이트(102)의 외곽간의 간격이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일부에 리세스 또는 개구부(opening)를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 또는 상기 개구부(opening)와 정렬되는 오디오 모듈(114), 센서 모듈(104), 카메라 모듈(105), 및 발광 소자(1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배면에, 오디오 모듈(114), 센서 모듈(104), 카메라 모듈(105), 지문 센서(미도시), 및 발광 소자(1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104, 119)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11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영역(110D)들, 및/또는 상기 제2 영역(110E)들에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03, 107, 114)은, 마이크 홀(103) 및 스피커 홀(107, 114)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103)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107, 114)은, 외부 스피커 홀(107) 및 통화용 리시버 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107, 114)과 마이크 홀(103)이 하나의 홀로 구현되거나, 스피커 홀(107, 114)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센서 모듈(104, 119)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4, 119)은,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1 면(110A)에 배치된 제1 센서 모듈(104)(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2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 및/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제2 면(110B)에 배치된 제3 센서 모듈(119) 및/또는 제4 센서 모듈(예: 지문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하우징(110)의 제1면(110A)(예: 디스플레이(101))뿐만 아니라 제2면(110B) 또는 측면(110C)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10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5, 112, 113)은, 전자 장치(100)의 제1 면(110A)에 배치된 제1 카메라 장치(105), 및 제2 면(110B)에 배치된 제2 카메라 장치(112), 및/또는 플래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들(105, 112)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11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1개 이상의 렌즈들(적외선 카메라,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1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래시(113)는 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으며, 플래시(113)에 의해 방사되어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은 제3 센서 모듈(119)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또는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제3 센서 모듈(119)에서 적외선이 수신된 시점에 기반하여 피사체의 심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117)는,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117)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117)는 디스플레이(101)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키 입력 장치는 하우징(110)의 제2 면(110B)에 배치된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1 면(110A)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108, 109)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커넥터 홀(108),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커넥터 홀(예를 들어, 이어폰 잭)(10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예: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는, 측면 구조(210), 제1 지지 부재(211)(예: 브라켓), 전면 플레이트(220)(예: 도 1의 전면 플레이트(102)), 디스플레이(230)(예: 도 1의 디스플레이(101)),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 기판(또는 기판 조립체)(240a, 240b), 배터리(250), 제2 지지 부재(260)(예: 리어 케이스), 안테나, 카메라 조립체(207) 및 후면 플레이트(280)(예: 도 2의 후면 플레이트(11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인쇄회로 기판(240a, 240b)을 포함할 때, 전자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을 포함함으로써 서로 다른 인쇄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 기판(240a, 240b)은 배터리(250)보다 상측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240a)과 하측에 배치된 제2 회로 기판(24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이 제1 회로 기판(240a)과 제2 회로 기판(240b)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제1 지지 부재(211), 또는 제2 지지 부재(26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제1 지지 부재(211)는 적어도 일부분이 평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구조(210)와 연결될 수 있거나, 측면 구조(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11)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된 때, 측면 구조(210) 또는 제1 지지 부재(211)의 일부는 안테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11)는, 일면에 디스플레이(230)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회로 기판(240a, 240b)이 결합될 수 있다. 인쇄회로 기판(240a, 240b)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부재(211)와 측면 구조(210)가 조합되어 전면 케이스(front case) 또는 하우징(201)으로 칭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1)은 대체로 인쇄회로 기판(240a, 240b)이나 배터리(250)을 수용, 보호 또는 배치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201)은 전자 장치(200)의 외관에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구조물, 예를 들면, 측면 구조(210), 전면 플레이트(220) 및/또는 후면 플레이트(28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201)의 전면 또는 후면'이라 함은, 도 1의 제1 면(110A) 또는 도 2의 제2 면(110B)을 언급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부재(211)는 전면 플레이트(220)(예: 도 1의 제1 면(110A))와 후면 플레이트(280)(예: 도 2의 제2 면(110B)) 사이에 배치되며, 인쇄회로 기판(240a, 240b) 또는 카메라 조립체(207)와 같은 전기/전자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카메라 모듈은 대체로 도 2의 제2 면(110B)을 통해 입사된 빛을 수신하는 구성이 예시될 수 있지만, 도 1의 카메라 모듈(105) 또한 후술되는 실시예의 구성을 통해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260)는, 예를 들어, 상측 지지 부재(260a)와 하측 지지 부재(26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측 지지 부재(260a)는 제1 지지 부재(211)의 일부와 함께 인쇄회로 기판(240a, 240b)(예: 제1 회로 기판(240a))을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 부재(260) 중 상측 지지 부재(260a)는 제1 회로 기판(240a)을 사이에 두고 제1 지지 부재(21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지지 부재(260) 중 하측 지지 부재(260b)는 제2 회로 기판(240b)을 사이에 두고 제1 지지 부재(21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집적회로 칩 형태로 구현된 회로 장치(예: 프로세서, 통신 모듈 또는 메모리)나 각종 전기/전자 부품이 인쇄회로 기판(240a, 240b)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인쇄회로 기판(240a, 240b)은 제2 지지 부재(260)로부터 전자기 차폐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측 지지 부재(260b)는 스피커 모듈, 인터페이스(예: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와 같은 전기/전자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인쇄회로 기판에 스피커 모듈, 인터페이스(예: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와 같은 전기/전자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측 지지 부재(260b)는 제1 지지 부재(211)의 다른 일부와 함께 추가의 인쇄회로 기판을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인쇄회로 기판 또는 하측 지지 부재(260b)에 배치된 스피커 모듈이나 인터페이스는 도 1의 오디오 모듈(107) 또는 커넥터 홀(108, 109)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50)는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5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회로 기판(240a, 240b)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50)는 전자 장치(2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20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안테나는,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렉트 스트럭처링(laser direct structuring) 공법을 통해 제2 지지 부재(260)의 표면에 구현된 도전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는 박막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인쇄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박막 필름 형태의 안테나는 후면 플레이트(280)와 배터리(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측면 구조(210) 및/또는 상기 제1 지지 부재(211)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다른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조립체(207)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 예를 들어, 도 5의 카메라 모듈(271, 272, 273, 274)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내부에서 카메라 조립체(207)는 광학 홀 또는 카메라 윈도우(212, 213, 219)를 통해 입사된 빛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조립체(207)는 인쇄회로 기판(240a, 240b)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제1 지지 부재(211)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 조립체(207)의 카메라 모듈(들)은 대체로 카메라 윈도우(212, 213, 219)들 중 어느 하나와 정렬될 수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지지 부재(260)(예: 상측 지지 부재(260a))에 감싸질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선행 실시예의 전자 장치(100, 200)가 참조될 수 있으며,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유사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에서, 고정 부재(349) 및/또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에서, 고정 부재(349) 및/또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이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0, 200))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예: 도 3 또는 도 4의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을 배치함에 있어, 제1 회로 기판(340a)(예: 도 3 또는 도 4의 제1 회로 기판(240a))에 인접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부(one end portion)를 지지 또는 고정하는 고정 부재(349)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300)는 제2 회로 기판(340b)(예: 도 3 또는 도 4의 제2 회로 기판(240b))에 인접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타단부(another end portion)를 지지 또는 고정하는 제2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고정 부재가 배치되는 위치를 도 5에서 'F'로 예시하고 있다. 제2 고정 부재는 배치의 위치와 방향에 있어 고정 부재(349)와 차이가 있으며, 실질적으로 고정 부재(349)의 구성과 그 배치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됨에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부재(311)(예: 도 3 또는 도 4의 제1 지지 부재(211))는 측면 구조(310)(예: 도 3 또는 도 4의 측면 구조(210))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부재(311)와 측면 구조(310)는 일체로(integrally)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부재(311)의 타면에서, 배터리(350)(예: 도 3 또는 도 4의 배터리(250))는 제1 회로 기판(340a)과 제2 회로 기판(34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은, 예를 들어, 일단부가 제1 회로 기판(340a)에 접속되고, 배터리(350)가 배치된 영역을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타단부가 제2 회로 기판(340b)에 접속될 수 있다. 예컨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은 제2 회로 기판(340b)을 제1 회로 기판(340a)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의 내부 또는 제1 지지 부재(311)의 타면 상에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은 대체로 평판 형상으로 배치되며, 부분적으로 곡면 형상 또는 굴곡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350)에 상에 배치된 부분에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은 실질적으로 평판 형태로 배치되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양 단부가 곡면 형태 또는 굴곡진 형상을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은, 제1 회로 기판(340a)과 제2 회로 기판(340b) 사이에서 전원, 각종 제어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회로 기판(340a)과 제2 회로 기판(340b)을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을 예시하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들)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추가의 인쇄회로 기판이 제공되거나 카메라 조립체(예: 도 3 또는 도 4의 카메라 조립체(207))와 같은 다른 부품과의 접속을 위해, 전자 장치(300)는 추가의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고정 부재(349)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349)는, 예를 들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형상이나 위치를 정형화된 상태로 지지 또는 유지할 수 있다. "정형화된 상태"라 함은, 예를 들어, 지정된 세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라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적어도 일부분이 조립 형상으로 유지되는 것이라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349)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 340c)의 위치 또는 형상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349)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 340c)이 S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349)는 가이드 부재로 설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349)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 340c)을 지지한다는 것은, 고정 부재(349)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 340c)을 가이드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349)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 340c)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함으로써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 340c)의 위치 또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349)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 340c)을 2회 이상 구부러진 위치 또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예: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349)는 적어도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일단부를 정형화된 상태로 지지 또는 유지함으로써, 제1 회로 기판(340a)에 접속된 상태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을 지지 또는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정된 세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할 때, 고정 부재(349)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부분적인 변형이나 이동을 허용하되, 적어도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일단부(예: 제1 회로 기판(340a) 상에 배치된 부분)는 정형화된 상태로 지지 또는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349)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일부분을 제1 지지 부재(311) 상에 실질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환경(예: 외부 충격 또는 온도 / 습도의 변화)으로 인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에 외력(예: 장력(tension))이 작용할 때,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 자체의 탄성력은 외력에 대한 반발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외력 또는 반발력은 인쇄회로 기판(예: 제1 회로 기판(340a))과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접속 부위(예: 도 11 내지 도 13의 커넥터들(341, 343))에 작용할 때,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이 제1 회로 기판(340a)으로부터 이탈하거나 접속 구조물, 예를 들어, 커넥터(341, 343)(들)가 손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349)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일부분을 지지 또는 유지하면서, 외력이나 반발력이 제1 회로 기판(340a)과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접속 부위에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고정 부재(349)를 이용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지지 구조에 관해서는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다시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한 쌍의 지지 리브(support rib)(313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리브(313a)들은, 예를 들면, 제1 회로 기판(340a)과 배터리(350) 사이의 영역에서 제1 지지 부재(311)의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리브(313a)들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349)가 지지 리브(313a)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로 기판(340a)과 배터리(350) 사이에서, 지지 리브(313a)들은 고정 부재(349)를 배치 또는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300)는 지지 리브(313a)들에 각각 형성된 수용 홈(313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 및/또는 고정 부재(349)는 수용 홈(313b)에 상응하는 지지 돌기(예: 도 7 또는 도 8의 지지 돌기(349f, 349g))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 돌기(349f, 349g)들이 수용 홈(313b)들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 부재(349)가 지지 리브(313a)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리브(313a)들 및/또는 고정 부재(349)는 제1 회로 기판(340a)의 커넥터(341)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은 지지 리브(313a)들 및/또는 고정 부재(349)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1 지지 부재(311) 상에 배치되면서 제1 회로 기판(340a)의 커넥터(341)에 접속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에 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도 13이 더 참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이 제1 지지 부재(311) 상에 배치된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할 때,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은 예를 들면, 일단에 제공된 커넥터(343)(예: 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구간(S1), 제2 구간(S2) 및 제3 구간(S3)으로 구분하여 설명될 수 있다. 제1 구간(S1)은, 예를 들어, 커넥터(343)가 배치된 단부로부터 고정 부재(349)까지의 구간을 언급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구간(S1)은 고정 부재(349)에 의해 정형화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일단부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구간(S2)은 실질적으로 고정 부재(349)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S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력이 작용할 때 제2 구간(S2)의 형상은 도 13에 도시된 형상과 다르게 변형 또는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도 11과 도 12를 통해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구간(S3)은 고정 부재(349)로부터 연장되면서 실질적으로 배터리(350) 상에 배치된 구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구간(S3)은 고정 부재(349)로부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타단부까지를 언급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구간(S2)의 일부분은 제1 구간(S1)과 중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2 구간(S2)의 다른 일부분은 제3 구간(S3)과 중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을 제1 구간(S1), 제2 구간(S2) 및 제3 구간(S3)으로 구분한 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제1 구간(S1), 제2 구간(S2) 및 제3 구간(S3)은, 실시예에 따라, 조립 형상에 따라, 및/또는 외력이나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된 형상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5의 전자 장치(100, 200, 300))에서, 고정 부재(349)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이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에서, 고정 부재(349)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도 8 및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 부재(349)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349b), 슬릿(349b)을 정의하는(defining) 한 쌍의 봉(rod)(349c, 349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봉(349c, 349d)은 일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슬릿(349b)은 한 쌍의 봉(349c, 349d)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은 일부분이 슬릿(349b)을 통해 배치되며, 슬릿(349b) 및/또는 고정 부재(349)에 의해 S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을 이룬 상태로 전자 장치(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봉(349c, 349d)들 중 제1 봉(349c)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일면에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을 가로지르게 배치되며 봉(349c, 349d)들 중 제2 봉(349d)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타면에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을 가로지르게 배치될 수 있다.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서로 인접하는 두 부분이 제1 봉(349c)과 제2 봉(349d)을 부분적으로 감싸게 배치됨으로써, S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 중 제1 봉(349c)을 감싸는 부분이 양(+)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것으로 정의될 때,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 중 제2 봉(349d)을 감싸는 부분은 음(-)의 곡률 반경으로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349)는 헤드(349a), 캡(349e) 및/또는 지지 돌기(349f, 349g)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349a)는, 예를 들면, 제1 봉(349c) 및/또는 제2 봉(349d)의 일단에 제공되며, 제1 봉(349c)과 제2 봉(349d)이 실질적으로 헤드(349a)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캡(349e)은 제1 봉(349c)과 제2 봉(349d)의 타단에 제공되어 제1 봉(349c)과 제2 봉(349d)의 한 단부를 결합 또는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슬릿(349b)은 실질적으로 헤드(349a), 캡(349e), 제1 봉(349c) 및 제2 봉(349d)에 의해 둘러싸이며, 제1 봉(349c)과 제2 봉(349d)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돌기(349f, 349g)들 중 제1 지지 돌기(349f)는 슬릿(349b)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헤드(349a)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349b)의 일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 지지 돌기(349f)는 고정 부재(349)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돌기(349f, 349g)들 중 제2 지지 돌기(349g)는 슬릿(349b)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캡(349e)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349b)의 타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2 지지 돌기(349g)는 고정 부재(349)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캡(349e)이 결합되기 전,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이 슬릿(349b)의 내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봉(349c)과 제2 봉(349d) 사이의 간격 또는 슬릿(349b)의 폭은 실질적으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봉(349c)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일면에 배치되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일단부를 정형화된 상태로 지지 또는 유지할 수 있다. 후술되겠지만, 실시예에 따라, 제1 봉(349c)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일면을 가압함으로써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과 제1 회로 기판(340a)이 접속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봉(349d)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타면에 배치되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에 작용하는 외력에 따라 이동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봉(349d)은 제1 봉(349c)보다 유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봉(349d)은 외력에 반응하여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변형이나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일단부에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 또는 완화할 수 있다. 이로써, 온도 / 습도의 변화나 충격으로 인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과 제1 회로 기판(340a)의 접속 구조가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돌기(349f)는 수용 홈(예: 도 6의 수용 홈(313b))들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되며, 제2 지지 돌기(349g)가 수용 홈(313b)들 중 다른 하나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349)는 지지 돌기(349f, 349g)들이 수용 홈(313b)들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 리브(313a)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되겠지만, 제2 지지 부재(예: 도 3의 상측 지지 부재(260a))가 배치됨으로써, 지지 돌기(349f, 349g)들은 수용 홈(313b)들 중 하나에 수용된 상태로 구속 또는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5의 전자 장치(100, 200, 300))에서, 고정 부재(예: 도 7 또는 도 8의 고정 부재(349)) 및/또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라인 A-A를 따라 전자 장치(300)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지지 부재(360a)가 배치됨으로써, 고정 부재(349)가 실질적으로 제1 지지 부재(31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360a)는 실질적으로 제1 회로 기판(340a)에 상응하는 평판 형상으로서, 일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연장된 지지 편(support piece)(361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편(361a)들이 배치됨으로써, 제2 지지 부재(360a)는 지지 편(361a)들 사이에 형성된 노치 영역(notch region) 또는 수용 영역(accommodating region)(36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40a)을 사이에 두고 제2 지지 부재(360a)가 제1 지지 부재(311)와 마주보게 배치된 때, 지지 편(361a)들은 수용 홈(313b)들 또는 지지 리브(313a)들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편(361a)들은 지지 돌기(349f, 349g)들을 수용 홈(313b)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 또는 구속할 수 있다. 고정 부재(349)는 실질적으로 수용 영역(361b)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봉(349d)이 이동 또는 변형을 허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라인 B-B를 따라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5의 전자 장치(100, 200, 300))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라인 B-B를 따라 전자 장치(300)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고정 부재(349) 및/또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일부가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의 내부에서, 제1 봉(349c)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봉(349d)과 제1 회로 기판(340a) 사이의 공간 또는 제2 봉(349d)과 제1 지지 부재(311)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봉(349c)은 제2 봉(349d)보다 제1 회로 기판(340a) 또는 제1 지지 부재(311)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일단부, 예를 들어, 도 13의 제1 구간(S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봉(349c)과 제1 회로 기판(340a)(또는 제1 봉(349c)과 제1 지지 부재(3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일부로서 S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부분(예: 도 13의 제2 구간(S2))은 제1 구간(S1)으로부터 연장되어 슬릿(349b)을 통과하게 배치되면서 제1 봉(349c) 또는 제2 봉(349d)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제3 구간(S3)은 제2 구간(S2)으로부터 연장되어 실질적으로 배터리(3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구간(S3)은 실질적으로 전자 장치(300)의 후면 플레이트(380)(예: 도 3 또는 도 4의 후면 플레이트(280))와 제1 지지 부재(311)의 사이 또는 후면 플레이트(380)와 배터리(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구간(S3)은, 예를 들면, 배터리(350)가 배치된 영역을 가로지르게 연장 또는 배치되어 제2 회로 기판(예: 도 3 내지 도 5의 제2 회로 기판(240b, 34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봉(349c)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을 지지하며 제2 구간(S2)이 S자 형상으로 배치됨에 따라, 도 11에서 제1 구간(S1)은 제1 봉(349c)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pivoting)하려는 성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349)의 배치에 따른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형상과,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 자체의 탄성력이 조합됨으로써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일단부를 제1 회로 기판(340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과 제1 회로 기판(340a)의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에 외력(EF)이 작용할 때, 제2 봉(349d)은 제1 봉(349c)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 또는 이동함으로써,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예: 제2 구간(S2))의 일부분이 이동하거나 변형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변형"이라 함은 제2 구간(S2)에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곡률 반경이 변화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의 곡률 반경이 변화됨으로써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에 가해지는 외력(EF)이 상쇄 또는 흡수될 수 있다. 이로써,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과 제1 회로 기판(340a)의 접속 부위(예: 커넥터(341, 343)들)에는 실질적으로 외력(EF)이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고정 부재(349)의 배치를 통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0c)과 제1 회로 기판(340a)의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외력(EF)으로 인해 커넥터(341, 343)들이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정 부재(349)는, 전자 장치(100, 200,300)의 내부에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 340c)을 정형화함으로써,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 340c)과 제1 회로 기판(240a, 340a)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 340c)에 가해지는 외력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 340c)의 일단부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 340c)은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제1 회로 기판(240a, 340a)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5의 전자 장치(100, 200, 300))는, 평판 형상의 제1 지지 부재(예: 도 3 내지 도 5의 제1 지지 부재(211, 311)),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예: 도 3 내지 도 5의 제1 회로 기판(240a, 340a)),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예: 도 7의 슬릿(349b))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예: 도 5 내지 도 8 또는 도 11 내지 도 12의 고정 부재(349)), 및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S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며, 일단부(one end portion)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예: 도 3 내지 도 12의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 340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대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일단부의 위치 또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 배치된 제2 회로 기판(예: 도 3 내지 도 5의 제2 회로 기판(240b, 340b)),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배터리(예: 도 3 내지 도 5의 배터리(250, 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배터리가 배치된 영역을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배터리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는, 헤드(head)(예: 도 7 또는 도 8의 헤드(349a)), 상기 헤드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봉(first rod)(예: 도 7 또는 도 8의 제1 봉(349c))과 제2 봉(예: 도 7 또는 도 8의 제2 봉(349d)), 및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의 단부를 결합 또는 연결시키는 캡(예: 도 7 또는 도 8의 캡(349e))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봉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에 가해지는 외력 또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탄성력에 반응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봉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봉은 상기 제2 봉보다 상기 제1 회로 기판 또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1 회로 기판 사이, 또는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1 지지 부재 사이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봉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부를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가까워지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슬릿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로부터 돌출된 제1 지지 돌기(first support protrusion)(예: 도 7 또는 도 8의 제1 지지 돌기(349f)), 상기 슬릿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캡으로부터 돌출된 제2 지지 돌기(예: 도 7 또는 도 8의 제2 지지 돌기(349g)),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리브(support rib)(예: 도 6의 지지 리브(313a))들, 및 상기 지지 리브들 각각에 형성된 수용 홈(accommodating recess)(예: 도 6의 수용 홈(313b))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지지 돌기가 상기 수용 홈들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수용된 상태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지지 리브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마주보게 결합된 제2 지지 부재(예: 도 3 및 도 4의 상측 지지 부재(260a) 또는 도 9 내지 도 12의 제2 지지 부재(36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상기 제1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지지 돌기를 상기 수용 홈들 내에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일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 리브들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게 배치된 지지 편(support piece)(예: 도 9의 지지 편(361a))들, 및 상기 지지 편들 사이의 영역으로서, 상기 고정 부재에 상응하게 배치된 수용 영역(예: 도 9의 수용 영역(36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고정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 마주보게 배치된 후면 플레이트(예: 도 3, 도 4 또는 도 11의 후면 플레이트(280, 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된 일단부로부터,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제1 지지 부재 사이의 공간, 상기 슬릿, 및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후면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연장 또는 배치(도 11 또는 도 12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타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예: 도 1 또는 도 3의 디스플레이(101, 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5의 전자 장치(100, 200, 300))는, 평판 형상의 제1 지지 부재(예: 도 3 내지 도 5의 제1 지지 부재(211, 311)),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서 제1 위치(예: 도 3의 배터리 상측)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예: 도 3 내지 도 5의 제1 회로 기판(240a, 340a)),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서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예: 도 3의 배터리 하측)에 배치된 제2 회로 기판(예: 도 3 내지 도 5의 제2 회로 기판(240b, 340b)),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예: 도 7의 슬릿(349b))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예: 도 5 내지 도 8 또는 도 11 내지 도 12의 고정 부재(349)), 및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S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되며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예: 도 3 내지 도 12의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 340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대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일단부의 위치 또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1 봉(예: 도 7 또는 도 8의 제1 봉(349c)), 및 상기 제1 봉보다 상기 제1 회로 기판 또는 상기 제1 지지 부재로부터 먼 위치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가로지르게 배치된 제2 봉(예: 도 7 또는 도 8의 제2 봉(349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봉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에 가해지는 외력 또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탄성력에 반응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봉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1 회로 기판 사이, 또는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1 지지 부재 사이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는, 헤드(예: 도 7 또는 도 8의 헤드(349a)), 및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의 단부를 결합 또는 연결시키는 캡(예: 도 7 또는 도 8의 캡(349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이 상기 헤드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슬릿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로부터 돌출된 제1 지지 돌기(예: 도 7 또는 도 8의 제1 지지 돌기(349f)), 상기 슬릿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캡으로부터 돌출된 제2 지지 돌기(예: 도 7 또는 도 8의 제2 지지 돌기(349g)),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리브(예: 도 6의 지지 리브(313a))들, 및 상기 지지 리브들 각각에 형성된 수용 홈(예: 도 6의 수용 홈(313b))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지지 돌기가 상기 수용 홈들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수용된 상태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지지 리브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마주보게 결합된 제2 지지 부재(예: 도 3 및 도 4의 상측 지지 부재(260a) 또는 도 9 내지 도 12의 제2 지지 부재(36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상기 제1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지지 돌기를 상기 수용 홈들 내에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회로 기판과 인접하는 위치(예: 도 5의 'F'로 지시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배치되며, 제2 슬릿을 포함하는 제2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다른 단부가 상기 제2 슬릿을 통과하여 S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일 실시예에 관해 예시하여 설명되었지만, 일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를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을 포함하여, 본 개시의 전체 관점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그 형식과 세부적인 구성에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200, 300: 전자 장치 201: 하우징
210, 310: 측면 구조 211, 311: 제1 지지 부재
260a, 360a: 제2 지지 부재(상측 지지 부재)
240c, 340c: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349: 고정 부재
349b: 슬릿

Claims (20)

  1. 전자 장치(100; 200; 300)에 있어서,
    평판 형상의 제1 지지 부재(211; 311);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240a; 340a);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349b)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349); 및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S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며, 일단부(one end portion)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240c; 340c)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대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일단부의 위치 또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 배치된 제2 회로 기판(240b; 340b);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배터리(250; 3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배터리가 배치된 영역을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배터리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전자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헤드(head)(349a);
    상기 헤드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봉(first rod)(349c)과 제2 봉(349d); 및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의 단부를 결합 또는 연결시키는 캡(349e)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 사이에 형성된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봉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에 가해지는 외력 또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탄성력에 반응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봉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6. 제4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은 상기 제2 봉보다 상기 제1 회로 기판 또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가까이 배치된 전자 장치.
  7. 제4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1 회로 기판 사이, 또는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1 지지 부재 사이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분이 배치된 전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단부를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가까워지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9. 제4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로부터 돌출된 제1 지지 돌기(first support protrusion)(349f);
    상기 슬릿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캡으로부터 돌출된 제2 지지 돌기(349g);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리브(support rib)(313a)들; 및
    상기 지지 리브들 각각에 형성된 수용 홈(accommodating recess)(313b)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지지 돌기가 상기 수용 홈들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수용된 상태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지지 리브들 사이에 배치된 전자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마주보게 결합된 제2 지지 부재(260, 260a; 360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상기 제1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지지 돌기를 상기 수용 홈들 내에 구속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1. 제9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일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 리브들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게 배치된 지지 편(support piece)(361a)들; 및
    상기 지지 편들 사이의 영역으로서, 상기 고정 부재에 상응하게 배치된 수용 영역(361b)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고정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 마주보게 배치된 후면 플레이트(280; 3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된 일단부로부터,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제1 지지 부재 사이의 공간, 상기 슬릿, 및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후면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연장 또는 배치된 전자 장치.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타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01; 230)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100; 200; 300)에 있어서,
    평판 형상의 제1 지지 부재(211; 311);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서 제1 위치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240a; 340a);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서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에 배치된 제2 회로 기판(240b; 340b);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349b)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349); 및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S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되며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40c; 340c)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대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일단부의 위치 또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1 봉(349c); 및
    상기 제1 봉보다 상기 제1 회로 기판 또는 상기 제1 지지 부재로부터 먼 위치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가로지르게 배치된 제2 봉(349d)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 사이에 형성된 전자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봉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에 가해지는 외력 또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탄성력에 반응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봉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6. 제14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1 회로 기판 사이, 또는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1 지지 부재 사이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분이 배치된 전자 장치.
  17. 제14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헤드(349a); 및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의 단부를 결합 또는 연결시키는 캡(349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이 상기 헤드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전자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로부터 돌출된 제1 지지 돌기(349f);
    상기 슬릿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캡으로부터 돌출된 제2 지지 돌기(349g);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리브(313a)들; 및
    상기 지지 리브들 각각에 형성된 수용 홈(313b)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지지 돌기가 상기 수용 홈들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수용된 상태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지지 리브들 사이에 배치된 전자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마주보게 결합된 제2 지지 부재(260, 260a; 360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상기 제1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지지 돌기를 상기 수용 홈들 내에 구속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0. 제14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 기판과 인접하는 위치(F)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배치되며, 제2 슬릿을 포함하는 제2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다른 단부가 상기 제2 슬릿을 통과하여 S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접속된 전자 장치.
KR1020220113945A 2022-08-18 2022-09-08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25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8545 WO2024039041A1 (ko) 2022-08-18 2023-06-20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168 2022-08-18
KR20220103168 2022-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421A true KR20240025421A (ko) 2024-02-27

Family

ID=9005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945A KR20240025421A (ko) 2022-08-18 2022-09-08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54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919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of sensor key assembly
KR20200117137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43419A (ko) 슬라이드 아웃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64694B1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01143A (ko)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77102A (ko)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32916B1 (ko) 디스플레이를 통해 배치되는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0041198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structure installable in narrow space
US2022018317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102632789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23799B2 (en)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KR20210100450A (ko)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2037405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inted circuit board
US11863697B2 (en) Electronic device
KR20240025421A (ko)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76512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hield can structure
WO2024039041A1 (ko)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25440A (ko) 그라운드 연결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657027B1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45643A1 (ko) 플레이트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75063A (ko)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87825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19573A (ko) 부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37794A (ko)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33181A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