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5063A -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5063A
KR20230175063A KR1020220083609A KR20220083609A KR20230175063A KR 20230175063 A KR20230175063 A KR 20230175063A KR 1020220083609 A KR1020220083609 A KR 1020220083609A KR 20220083609 A KR20220083609 A KR 20220083609A KR 20230175063 A KR20230175063 A KR 20230175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transmission line
plate
circuit board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호
유동현
주완재
한규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175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49193A1/ko
Priority to EP23157220.7A priority patent/EP4297184A1/en
Publication of KR20230175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5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8Radiating ends of two-conductor microwave transmission lines, e.g. of coaxial lines, of microstrip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회로 기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회로 기판에 마주보게 배치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이하, '제1 면')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송 선로(transmission line),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면 중 다른 한 면(이하, '제2 면')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그라운드 도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송 선로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방사 도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을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일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ICROSTRIP TRANSMISSION LINE}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전송 선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장치, 데스크톱/랩톱 컴퓨터 또는 차량용 내비게이션과 같이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저장된 정보를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초고속, 또는 대용량 무선통신이 보편화되면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하나의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또는 모바일 뱅킹 등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및/또는 일정 관리나 전자 지갑의 기능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집약되고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휴대성이 더욱 개선되어 손목시계형 또는 안경형 전자 장치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상용화되기에 이르렀으며, 전자 장치의 휴대와 사용이 더욱 편리해질 수 있다.
상술한 정보는 본 개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배경 기술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 중 어느 것도 본 개시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prior art)로서 적용될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어떠한 주장이나 결정이 제기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회로 기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회로 기판에 마주보게 배치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이하, '제1 면')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송 선로(transmission line),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면 중 다른 한 면(이하, '제2 면')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그라운드 도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송 선로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방사 도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을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회로 기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회로 기판에 마주보게 배치되며 유전체 물질(dielectric material)을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면 중 제1 면에 배치되어 지정된 궤적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송 선로로서, 제1 선폭을 가지는 상기 전송 선로,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면 중 제2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송 선로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그라운드 도체로서, 상기 제1 선폭보다 더 큰 제2 선폭을 가진 상기 그라운드 도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송 선로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방사 도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을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전송 선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은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해 상술한 측면 또는 다른 측면, 구성 및/또는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 2의 라인 A-A'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플레이트의 제1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플레이트의 제2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플레이트의 제1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플레이트를, 도 8의 라인 C-C'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 2의 라인 B'B'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플레이트의 제1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플레이트의 제2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플레이트의 제1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플레이트의 제2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플레이트의 제1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플레이트의 제2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 2의 라인 A-A'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의 전반에서, 유사한 부품, 구성 및/또는 구조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나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전자 장치의 소형화나 경량화를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이 협소해지면서 각종 전기 / 전자 부품의 배치나 안테나 구조(예: 방사 도체, 및/또는 방사 도체와 통신 회로 사이의 전송 선로)의 구현에 있어 설계 자유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이용함으로써 안테나 구조의 배치에 있어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협소한 내부 공간에 배치가 용이하면서 안정된 작동 환경이 제공된 전송 선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플레이트에 마이크로스트립을 이용한 전송 선로 및/또는 방사 도체 패턴을 배치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안테나 구조의 구현이나 배치가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쇄, 도금, 증착 또는 레이저 다이렉트 구조(LDS; laser direct structuring) 공정을 통해 플레이트 상에서 전송 선로(또는 방사 도체 패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송 선로(또는 방사 도체 패턴)의 형상 또는 위치에 있어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에는 전송 선로에 상응하는 그라운드 도체가 배치됨으로써, 급전 신호의 안정된 전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관한 다음 설명은 청구항 및 이에 상응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세부사항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 중 하나인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일반 기술자는 본 문서에 기술된 다양한 구현의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공개의 범위와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자명하다. 또한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 설명과 청구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참고 문헌적 의미에 국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명확하고 일관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시의 다양한 구현에 대한 다음의 설명이 권리범위 및 이에 준하는 것으로 규정하는 공시를 제한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문맥이 다르게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a", "an", 그리고 "the"의 단수형식은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구성 요소 표면"이라 함은 구성 요소의 표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전자 장치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또는 두께 방향이 언급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은 'Y축 방향'으로, 폭 방향은 'X축 방향'으로, 및/또는 두께 방향은 'Z축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성요소가 지향하는 방향에 관해서는 도면에 예시된 직교 좌표계와 아울러, '음/양(-/+)'이 함께 언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또는 하우징의 전면은 '+Z 방향을 향하는 면'으로, 후면은 '-Z 방향을 향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 또는 하우징 측면은, +X 방향을 향하는 영역, +Y 방향을 향하는 영역, -X 방향을 향하는 영역 및/또는 -Y 방향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X축 방향'은 '-X 방향'과 '+X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이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면에 기재된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이러한 방향이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컨대, 전자 장치가 평면에 놓여진 상태, 또는 전자 장치가 복수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경우 하우징들의 상대적인 정렬 상태에 따라 앞서 언급한 전면이나 후면이 향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파지 습관에 따라 앞서 언급한 방향이 다르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면(또는 전면)(110A), 제2 면(또는 후면)(110B), 및 제1 면(110A) 및 제2 면(1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10C)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110)은, 도 1의 제1 면(110A), 도 2의 제2 면(110B) 및 측면(1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1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1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1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1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110C)은, 전면 플레이트(102) 및 후면 플레이트(1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구조(또는 "측면 구조")(118)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111) 및 측면 구조(1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는,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또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가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또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 쪽으로 휘어져 연장된 영역들 중 하나만을, 제1 면(110A)의 일측 가장자리에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면 플레이트(102) 또는 후면 플레이트(111)는 실질적으로 평판 형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휘어져 연장된 영역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휘어져 연장된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휘어져 연장된 영역이 포함된 부분에서 전자 장치(100)의 두께는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1), 오디오 모듈(103, 107, 114), 센서 모듈(104, 119), 카메라 모듈(105, 112, 113), 키 입력 장치(117), 발광 소자(106), 및 커넥터 홀(108, 1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117), 또는 발광 소자(106))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1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면(110A)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02)를 통하여 또는 측면(110C)의 일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모서리를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의 인접한 외곽 형상과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가 노출되는 면적을 확장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01)의 외곽과 전면 플레이트(102)의 외곽간의 간격이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일부에 리세스 또는 개구부(opening)을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 또는 상기 개구부(opening)와 정렬되는 오디오 모듈(114), 센서 모듈(104), 카메라 모듈(105), 및 발광 소자(1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배면에, 오디오 모듈(114), 센서 모듈(104), 카메라 모듈(105), 지문 센서(미도시), 및 발광 소자(1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104, 119)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11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영역(110D)들, 및/또는 상기 제2 영역(110E)들에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03, 107, 114)은, 마이크 홀(103) 및 스피커 홀(107, 114)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103)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107, 114)은, 외부 스피커 홀(107) 및 통화용 리시버 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107, 114)과 마이크 홀(103)이 하나의 홀로 구현 되거나, 스피커 홀(107, 114)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센서 모듈(104, 119)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4, 119)은,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1 면(110A)에 배치된 제1 센서 모듈(104)(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2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 및/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제2 면(110B)에 배치된 제3 센서 모듈(119) 및/또는 제4 센서 모듈(예: 지문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하우징(110)의 제1면(110A)(예: 디스플레이(101))뿐만 아니라 제2면(110B) 또는 측면(110C)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10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5, 112, 113)은, 전자 장치(100)의 제1 면(110A)에 배치된 제1 카메라 장치(105), 및 제2 면(110B)에 배치된 제2 카메라 장치(112), 및/또는 플래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들(105, 112)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11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1개 이상의 렌즈들(적외선 카메라,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1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래시(113)는 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으며, 플래시(113)에 의해 방사되어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은 제3 센서 모듈(119)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또는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제3 센서 모듈(119)에서 적외선이 수신된 시점에 기반하여 피사체의 심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117)는,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117)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117)는 디스플레이(101)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키 입력 장치는 하우징(110)의 제2면(110B)에 배치된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1 면(110A)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108, 109)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커넥터 홀(108),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커넥터 홀(예를 들어, 이어폰 잭)(10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예: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는, 측면 구조(210), 제1 지지 부재(211)(예: 브라켓), 전면 플레이트(220)(예: 도 1의 전면 플레이트(102)), 디스플레이(230)(예: 도 1의 디스플레이(101)), 인쇄 회로 기판(또는 기판 조립체)(240), 배터리(250), 제2 지지 부재(260)(예: 리어 케이스), 안테나, 카메라 조립체(207) 및 후면 플레이트(280)(예: 도 2의 후면 플레이트(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제1 지지 부재(211), 또는 제2 지지 부재(26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제1 지지 부재(211)는, 전자 장치(200)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구조(210)와 연결될 수 있거나, 측면 구조(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11)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된 때, 측면 구조(210) 또는 제1 지지 부재(211)의 일부는 안테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11)는, 일면에 디스플레이(230)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2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24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부재(211)와 측면 구조(210)가 조합되어 전면 케이스(front case) 또는 하우징(201)으로 칭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1)은 대체로 인쇄 회로 기판(240)이나 배터리(250)를 수용, 보호 또는 배치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201)은 전자 장치(200)의 외관에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구조물, 예를 들면, 측면 구조(210), 전면 플레이트(220) 및/또는 후면 플레이트(28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201)의 전면 또는 후면'이라 함은, 도 1의 제1 면(110A) 또는 도 2의 제2 면(110B)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부재(211)는 전면 플레이트(220)(예: 도 1의 제1 면(110A))와 후면 플레이트(280)(예: 도 2의 제2 면(110B)) 사이에 배치되며, 인쇄 회로 기판(240) 또는 카메라 조립체(207)와 같은 전기/전자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260)는, 예를 들어, 상측 지지 부재(260a)와 하측 지지 부재(26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측 지지 부재(260a)는 제1 지지 부재(211)의 일부와 함께 인쇄 회로 기판(240)을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집적 회로 칩 형태로 구현된 회로 장치(예: 프로세서, 통신 모듈 또는 메모리)나 각종 전기/전자 부품이 인쇄 회로 기판(24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240)은 상측 지지 부재(260a)로부터 전자기 차폐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측 지지 부재(260b)는 스피커 모듈, 인터페이스(예: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와 같은 전기/전자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인쇄 회로 기판(예: 도 5의 회로 기판(340))에 스피커 모듈, 인터페이스(예: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와 같은 전기/전자 부품이 배치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측 지지 부재(260b)는 제1 지지 부재(211)의 다른 일부와 함께 추가의 인쇄 회로 기판을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인쇄 회로 기판 또는 하측 지지 부재(260b)에 배치된 스피커 모듈이나 인터페이스는 도 1의 오디오 모듈(207) 또는 커넥터 홀(108, 109)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50)는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5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24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50)는 전자 장치(2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20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안테나(예: 후술되는 도 5와 도 6의 방사 도체 패턴(353))는, 예를 들면, 인쇄, 증착, 도금, 및/또는 레이저 다이렉트 구조(laser direct structuring) 공법을 통해 제2 지지 부재(260)의 표면에 구현된 도전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는 박막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인쇄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박막 필름 형태의 안테나는 후면 플레이트(280)와 배터리(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측면 구조(210) 및/또는 상기 제1 지지 부재(211)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다른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조립체(207)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내부에서 카메라 조립체(207)는 광학 홀 또는 카메라 윈도우(212, 213, 219)를 통해 입사된 빛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조립체(207)는 인쇄 회로 기판(240)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제1 지지 부재(211)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 조립체(207)의 카메라 모듈(들)은 대체로 카메라 윈도우(212, 213, 219)들 중 어느 하나와 정렬될 수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지지 부재(260)(예: 상측 지지 부재(260a))에 감싸질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선행 실시예의 전자 장치(100, 200)가 참조될 수 있으며,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0, 200))를, 도 2의 라인 A-A'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0, 200))는, 하우징(301)(예: 도 3 또는 도 4의 하우징(201)), 회로 기판(340)(예: 도 3 또는 도 4의 인쇄 회로 기판(240)), 제1 플레이트(360b)(예: 도 3 또는 도 4의 제2 지지 부재(260) 중 어느 하나), 전송 선로(transmission line)(351), 및/또는 그라운드 도체(35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전송 선로(351) 및/또는 그라운드 도체(355)는 제1 플레이트(360b)의 양면(예: 제1 면(F1)과 제2 면(F2)) 중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360b)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 전송 선로(35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라운드 도체(355)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01)은, 프레임 형상의 측면 구조(310)(예: 도 3 또는 도 4의 측면 구조(210))와 제2 플레이트(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11)는 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4의 제1 지지 부재(211)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으며, 측면 구조(310)로부터 연장된 평판 형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플레이트(311)는 회로 기판(340)을 사이에 두고 제1 플레이트(360b)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측면 구조(310) 및/또는 제2 플레이트(31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301)은 전자 장치(300)의 내부 공간에서 전기 / 전자 부품들의 전자기적 간섭을 억제할 수 있으며, 회로 기판(340)(또는 도 4의 인쇄 회로 기판(240))의 그라운드 평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기준 전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340)은 하우징(30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나 통신 모듈과 같은 회로가 탑재된 집적 회로 칩(341, 34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3 또는 도 4의 인쇄 회로 기판(240)과는 별도로 회로 기판(340)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실제 제작될 전자 장치의 내부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또는 도 4의 인쇄 회로 기판(240)이 주 회로 기판으로서 제공될 수 있고, 회로 기판(340)은 보조 회로 기판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도 3 또는 도 4의 인쇄 회로 기판(240)이 보조 회로 기판으로서 제공되고, 회로 기판(340)이 주 회로 기판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360b)는 도 3 또는 도 4의 제2 지지 부재(26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살펴보겠지만, 제1 플레이트(360b)는 도 4의 상측 지지 부재(260a) 또는 하측 지지 부재(260b)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360b)는 실질적으로 제2 플레이트(311)(예: 도 3 또는 도 4의 제1 지지 부재(211))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360b)는 유전체 물질을 포함하며 지정된 두께(h)(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360b)의 유전율이나 두께(h)에 따라 전송 선로(351)의 선폭(line width)(예: 도 8의 제1 선폭(W1))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선로(351)는 제1 플레이트(360b)의 일면(예: XY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면서 -Z 방향을 향하는 제1 면(F1))에 배치되며, 지정된 선폭(예: 도 8의 제1 선폭(W1))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microstrip lin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선로(351)는 인쇄, 도금, 증착, 및/또는 레이저 다이렉트 구조 공법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 선로(351)는 지정된 궤적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전송 선로(351)의 궤적은 실제 제작될 전자 장치(300)의 사양이나 내부 구조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 선로(351)는 후술되는 방사 도체 패턴(353)을 통해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측면 구조(310)의 적어도 일부가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안테나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송 선로(351)는 측면 구조(310)를 통해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도체(355)는 전송 선로(351)와는 다른 면(예: XY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면서 +Z 방향을 향하는 제2 면(F2))에서 제1 플레이트(360b)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그라운드 도체(355)는 전송 선로(351)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른 선폭(예: 도 8의 제2 선폭(W2))을 가진 도전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 도체(355)는 인쇄, 도금, 증착, 및/또는 레이저 다이렉트 구조 공법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선로(351) 및/또는 그라운드 도체(355)는 레이저 다이렉트 구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도체(35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송 선로(351)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 선로(351)와 그라운드 도체(355)는 제1 플레이트(360b)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면서, 제1 플레이트(360b)의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예를 들어, 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제1 플레이트(360b)의 적어도 어느 한 면(예: +Z 방향을 향하는 제2 면(F2) 및/또는 -Z 방향을 향하는 제1 면(F1))에 배치된 방사 도체 패턴(3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사 도체 패턴(353)은, 예를 들어, 인쇄, 도금, 증착, 및/또는 레이저 다이렉트 구조 공법을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서, 안테나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선로(351)는 회로 기판(340)과 방사 도체 패턴(353) 사이에서 방사 도체 패턴(353)을 통해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도전체 패턴(예: 레이저 다이렉트 구조 패턴) 중 일부가 전송 선로(351)로서 제공되며 다른 일부는 방사 도체 패턴(353)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360b)의 일면에 위치된 하나의 도전체 패턴 중 그라운드 도체(355)와 중첩하게 배치된 부분은 전송 선로(351)로서 기능하고, 하나의 도전체 패턴 중 그라운드 도체(355)와 중첩하지 않게 배치된 부분은 방사 도체 패턴(353)(예: 안테나)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라운드 도체(355)와의 중첩 여부와 관계없이, 전송 선로(351)와 방사 도체 패턴(353)은 하나의 도전체 패턴이면서 서로 다른 폭을 가짐으로써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선로(351)를 통해 무선 통신 신호가 전송될 때, 그라운드 도체(355)는 전송 선로(351)에 대한 기준 전위를 제공하거나 전자기 차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선로(351)는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전자기적인 간섭이 억제된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7를 참조하여 살펴보겠지만, Z축 방향에서 전송 선로(351)가 회로 기판(340)과 중첩하게 배치된 때, 그라운드 도체(35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송 선로(351)와 회로 기판(34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전송 선로(351) 및/또는 회로 기판(340) 사이에서 전자기 차폐 구조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이러한 배치 관계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송 선로(351),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회로 기판(340)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선로(351),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방사 도체 패턴(353)은 전자 장치(300)의 내부 구조물의 표면(예: 제1 플레이트(360b)의 일면 또는 타면)에서, 인쇄, 증착, 도금, 및/또는 레이저 다이렉트 구조 공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301)의 내부에 스피커(371), 커넥터(예: 도 10의 커넥터(491)), 카메라(예: 도 4의 카메라 조립체(207)) 및/또는 전자기 차폐 부재(예: 도 10의 쉴드 캔(shield can)으로 예시된 전자기 차폐 부재(493))와 같은 전기 부품이 회로 기판(340)과 방사 도체 패턴(353)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더라도, 전송 선로(351)나 그라운드 도체(355)는 회로 기판(340)으로부터 방사 도체 패턴(353)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전기 부품이 회로 기판(340)과 방사 도체 패턴(353)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구조에서, 전송 선로(351)나 그라운드 도체(35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Z축 방향에서 전기 부품(들)과 중첩하게 배치되면서, 전기 부품(들)을 우회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0)의 내부 구조나 형상에서 실질적인 변경없이, 안테나(예: 방사 도체 패턴(353)), 또는 안테나로 기능하는 측면 구조(310)(예: 도 3 또는 도 4의 측면 구조(210))에 이르는 전송 선로(353)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의 설계나 배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전송 선로(351),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방사 도체 패턴(353)은 전자 장치(300)의 내부 구조물의 표면(예: 제1 플레이트(360b)의 일면 또는 타면)에 배치됨"을 언급하고 있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들)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전송 선로(351),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방사 도체 패턴(353)이 배치된 후, 제1 플레이트(360b)의 표면에 추가의 사출물, 합성 수지 시트(sheet), 필름(film) 또는 코팅층이 배치되어 전송 선로(351),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방사 도체 패턴(353)을 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가의 층(layer)에 의해 덮여진 상태라 하더라도, 전송 선로(351),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방사 도체 패턴(353) 중 적어도 방사 도체 패턴(353)은 제1 플레이트(360b) 및/또는 전자 장치(300)의 외부 공간으로 무선 신호를 방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 및/또는 제1 플레이트(360b)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단자(예: 신호 단자(S))와,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 단자(예: 제1 그라운드 단자(G1)와 제2 그라운드 단자(G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단자(S) 및/또는 그라운드 단자(G1, G2)(들)는 제1 플레이트(360b)의 양면 중에서 회로 기판(340)과 마주보는 면(예: 제2 면(F2))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신호 단자(S)는 전송 선로(3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씨 클립(C clip)과 같은 접촉 부재(345)를 통해 회로 기판(3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그라운드 단자(G1)는 그라운드 도체(3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접촉 부재(345)를 통해 회로 기판(3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접촉 부재(345)가 회로 기판(340)에 배치될 수 있으며, 회로 기판(340)과 제1 플레이트(360b)가 하우징(201)에 수용된 때 신호 단자(S)와 제1 그라운드 단자(G1)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 선로(351) 및/또는 신호 단자(S)는 접촉 부재(345)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회로 기판(340)(예: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제1 그라운드 단자(G1)는 접촉 부재(345)들 중 다른 하나를 통해 회로 기판(340)(예: 그라운드 평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그라운드 단자(G2)는 그라운드 도체(3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라운드 도체(355)를 하우징(201) 내부의 다른 구조물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311) 또는 도 4의 제1 지지 부재(211)가 전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때, 그라운드 도체(355)가 제2 플레이트(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스피커(371)와 같은 전기 부품의 외부 표면이 전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때, 추가의 제2 그라운드 단자(G2)가 제공되어 그라운드 도체(355)를 전기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2 그라운드 단자(G2)를 제2 플레이트(311)나 전기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전자 장치(300)는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접촉 부재(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5의 전자 장치(100, 200, 300))의 제1 플레이트(360b)(예: 도 4의 제2 지지 부재(260) 또는 도 5의 제1 플레이트(360b))의 제1 면(F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제1 플레이트(360b)의 제2 면(F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제1 플레이트(360b)의 제1 면(F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제1 플레이트(360b)를, 도 8의 라인 C-C'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360b)의 양면 중 -Z 방향을 향하는 제1 면(F1)을 예시하며, 도 7은 제1 플레이트(360b)의 양면 중 +Z 방향을 향하는 제2 면(F2)을 예시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송 선로(351)와 그라운드 도체(355)는 제1 플레이트(360b)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고, 전송 선로(351)와 방사 도체 패턴(355)은 제1 플레이트(360b)의 동일 면(예: 제1 면(F1))에 배치된 구성이 예시되고 있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들)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 선로(351)는 제1 플레이트(360b)의 양면 중 +Z 방향을 향하는 제2 면(F2)에 배치되고 그라운드 도체(355)가 제1 플레이트(360b)의 양면 중 -Z 방향을 향하는 제1 면(F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사 도체 패턴(353)은 그라운드 도체(355)와 동일 면에 배치되면서 전송 선로(351)와는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전송 선로(351),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방사 도체 패턴(353)의 배치는, 실제 제작될 전자 장치(300)의 사양이나 안테나 방사 성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방사 도체 패턴(353)의 형상과 배치에 따라 신호 단자(S)나 그라운드 단자(G1, G2)(들)의 배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 도체(355)에 대한 회로 기판(340)의 상대적인 위치, 제2 플레이트(311)나 다른 전기 부품과 그라운드 도체(355)의 형상을 고려하여 그라운드 단자(G1, G2)(들)의 위치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더 참조하면, 방사 도체 패턴(353)은, 전자 장치(300)의 내부 구조나 방사 성능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서 적절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방사 도체 패턴(353)이 신호 단자(S)로부터, 예를 들어, 회로 기판(340)이 배치된 위치로부터 지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때, 전송 선로(351)는 신호 단자(S)로부터 방사 도체 패턴(353)에 이르는 궤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라운드 도체(355)는 전송 선로(351)와는 다른 면에서 제1 플레이트(360b)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송 선로(351)와 중첩하면서 전송 선로(35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그라운드 단자(G1)는 예를 들어, 전송 선로(351)의 일단(예: 신호 단자(S))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그라운드 단자(G1)가 신호 단자(S)에 인접한다"라 함은 제1 그라운드 단자(G1)와 신호 단자(S) 사이의 거리(또는 간격)는 제1 그라운드 단자(G1)와 방사 도체 패턴(353)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그라운드 단자(G2)가 배치된 때, 제2 그라운드 단자(G2)는 전송 선로(351)의 타단 또는 방사 도체 패턴(35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그라운드 단자(G2)가 방사 도체 패턴(353)에 인접한다"라 함은 제2 그라운드 단자(G2)와 방사 도체 패턴(353) 사이의 거리는 제2 그라운드 단자(G2)와 신호 단자(S)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도체(355) 상에서 제1 그라운드 단자(G1)와 제2 그라운드 단자(G2) 사이의 간격이 클수록 기준 전위 또는 전자기 차폐 구조가 안정화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그라운드 단자(G2)는 생략되거나 도시된 위치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 선로(351) 또는 그라운드 도체(355)가 Z축 방향에서 스피커(371)나 커넥터(예: 도 10의 커넥터(491))와 같은 전기 부품과 중첩할 때, 추가의 제2 그라운드 단자(G2)가 제공되어 전기 부품과 그라운드 도체(35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 및/또는 제1 플레이트(360b)는, 제1 플레이트(360b)의 양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배선 홈(wiring recess)(361a, 361b)(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선 홈(361a, 361b)은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360b)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영역 또는 공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360b)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에 배선 홈(361a, 361b)이 형성될 때, 전송 선로(351),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방사 도체 패턴(353) 중 어느 하나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선 홈(361a, 361b)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송 선로(351),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방사 도체 패턴(353)을 이루는 도전체 패턴(들)의 적어도 일부가 배선 홈(361a, 361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360b)의 양면 중 제1 면(F1)에 제1 배선 홈(361a)이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360b)의 양면 중 제2 면(F2)에 제2 배선 홈(361b)이 형성된 때, 전송 선로(351)(및/또는 방사 도체 패턴(353))와 그라운드 도체(355)는 제1 배선 홈(361a)과 제2 배선 홈(361b)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배선 홈(361a, 361b)들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수용됨으로써, 전송 선로(351),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방사 도체 패턴(353)은 제1 플레이트(360b)의 표면에서 실질적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선로(351),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방사 도체 패턴(353)은 제1 플레이트(360b) 외부의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선로(351)는 일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도전성 패턴으로서, 제1 선폭(W1)을 가질 수 있다. 그라운드 도체(355)는 실질적으로 전송 선로(351)와 나란하게 연장된 다른 도전성 패턴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선폭(W1)과는 다른 제2 선폭(W2)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라운드 도체(355)는 실질적으로 제1 선폭(W1)보다 큰 제2 선폭(W2)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 선로(351)의 선폭(예: 제1 선폭(W1))은 제1 플레이트(360b)의 두께(h)나 유전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략 3 내지 대략 5 정도의 유전율을 가진 제1 플레이트(360b)의 두께(h)가 대략 0.5mm일 때, 전송 선로(351)의 제1 선폭(W1)은 대략 0.86mm 내지 1.24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략 3 내지 대략 5 정도의 유전율을 가진 제1 플레이트(360b)의 두께(h)가 대략 0.8mm일 때, 전송 선로(351)의 제1 선폭(W1)은 대략 1.34mm 내지 2.0mm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60b)의 재질(예: 유전율)과 두께(h), 및/또는 전송 선로(351)의 제1 선폭(W1)에 관해서는, 실제 제작될 전자 장치(300)의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방사 도체 패턴(3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사 도체 패턴(353)은 전송 선로(351)를 통해 회로 기판(340)으로 수신된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하거나, 전송 선로(351)를 통해 송신될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방사 도체 패턴(353)은,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360b) 상에서 전송 선로(351)와 동일 면에 배치되거나 전송 선로(351)와는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급전 신호를 제공받아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사 도체 패턴(353)은 제1 플레이트(360b)에 배치된 구성이 예시되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들)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하우징(201)의 일부분(예: 측면 구조(210)) 또는 도 5의 하우징(301) 일부분이 방사 도체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플레이트(360b) 상에서 방사 도체 패턴(353)은 생략되고 하우징(201, 301)의 일부분은 전송 선로(351)를 통해 회로 기판(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1, 301)의 일부분이 방사 도체로 구현됨과 무관하게, 제1 플레이트(360b)에 방사 도체 패턴(353)이 제공되어 하우징(201, 301)의 일부분과는 별도의 안테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 도체 패턴(353)은 지정된 궤적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360b) 상에 형성될 때 실질적으로 전송 선로(351)로부터 연장된 도전성 패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360b) 상에서 동일 면에 형성될 때, 전송 선로(351)와 방사 도체 패턴(353)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도전성 패턴이면서 서로 다른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 선로(351)와 방사 도체 패턴(353)이 하나의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된 구조에서, 제1 플레이트(360b)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 전송 선로(351)는 그라운드 도체(355)와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방사 도체 패턴(353)은 그라운드 도체(355)와 중첩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그라운드 도체(355)와 중첩하는 부분의 도전성 패턴은 전송 선로(351)로서 기능하고, 그라운드 도체(355)와 중첩하지 않는 부분의 도전성 패턴은 방사 도체 패턴(353)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선로(351)와 방사 도체 패턴(353)은 서로 다른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방사 도체 패턴(353)은 제1 선폭(W1)과는 다른 제3 선폭(A1)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선폭(W1)과 제3 선폭(A1)이 서로 다를 때, 또는 전송 선로(351)와 방사 도체 패턴(353)의 상대적인 정렬 상태에 따라, 전자 장치(300)는 전송 선로(351)와 방사 도체 패턴(353) 사이에 배치된 정합 선로(matching line)(3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합 선로(359)는, 예를 들어, 전송 선로(351)와 연결된 지점에서 제1 선폭(W1)을 가질 수 있으며, 전송 선로(35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증가하거나 점차 감소는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합 선로(359)는 전송 선로(351)와 방사 도체 패턴(353)의 연결 지점에서 접속 손실이나 반사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전송 선로(351)와 방사 도체 패턴(353)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정렬된 구조에서, 정합 선로(359)는 전송 선로(351)의 한 단(one end)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선폭이 점차 증가할 수 있으며, 방사 도체 패턴(355)에 접하는 지점에서의 선폭은 전송 선로(351)에 접하는 지점에서의 선폭보다 클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예: 도 1 내지 도 5의 전자 장치(100, 200, 300))를, 도 2의 라인 B'B'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서, 신호 단자(S)와 그라운드 단자(G1, G2)(들)가 X축 방향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된 구성으로 예시되지만, 신호 단자(S)와 그라운드 단자(G1, G2)(들)의 위치와 형상에 있어 본 개시의 실시예(들)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실제 제작된 전자 장치(400)의 신호 단자(S)와 그라운드 단자(G1, G2)(들)는 도 10에 예시된 단면에서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 또는 도 10에 예시된 것과는 다른 위치에서 전자 장치(400)를 절개한 때, 신호 단자(S)와 그라운드 단자(G1, G2)(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단면도에서는 보이지 않거나, 도 10에서는 예시되지 않은 다른 단자가 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서 생략되었지만, 실제 전자 장치(400)의 단면을 볼 때, 회로 기판(340)과 제1 플레이트(360b) 사이의 간격을 통해 내부의 다른 구성요소(예: 도 4의 카메라 조립체(207) 또는 배터리(250))가 보일 수 있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는, 하우징(301)(예: 도 3 또는 도 4의 하우징(201))의 내부에 수용된 전기 부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360b)(예: 도 4의 상측 지지 부재(260a) 또는 하측 지지 부재(260b))는 회로 기판(340)의 적어도 일부를 사이에 두고 제2 플레이트(311)(예: 도 3 또는 도 4의 제1 지지 부재(21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전기 부품은, 예를 들면, 회로 기판(340) 상에 배치된 커넥터(491) 및/또는 전자기 차폐 부재(493)와, 회로 기판(340)과는 별도로 배치된 스피커(371) 및/또는 카메라(예: 도 4의 카메라 조립체(207))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491)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34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노치(notch) 또는 개구(opening)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고, 전자기 차폐 부재(493)는 다른 전기 / 전자 부품(예: 도 5의 집적 회로 칩(341, 343))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상태로 회로 기판(34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 차폐 부재(493)는 회로 기판(340)의 그라운드 평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 / 전자 부품에 전자기 차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371) 및/또는 카메라와 같은 전기 부품은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에서 회로 기판(340)과는 이격될 수 있고, 하우징(301)의 내부(예: Z축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로 기판(340)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도체(예: 도 5 내지 도 9의 그라운드 도체(355))는 제1 플레이트(360b)(예: 도 3 또는 도 4의 제2 지지 부재(260))의 한 면(예: +Z 방향을 향하는 내측면 또는 도 5의 제2 면(F2))에서 회로 기판(340) 또는 제2 플레이트(311)(예: 도 4의 제1 지지 부재(211))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1 그라운드 단자(G1)와 제2 그라운드 단자(G2)는 그라운드 도체(355)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회로 기판(340)(예: 회로 기판(340)의 그라운드 평면), 또는 제2 플레이트(311)와 같이 그라운드로 동작하는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그라운드 도체(355)는 전기 부품(예: 스피커(371), 커넥터(491) 및/또는 전자기 차폐 부재(493))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제1 플레이트(360b)의 한 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제2 그라운드 단자(예: 도 17의 제2 그라운드 단자(G2))가 배치될 수 있다. 추가의 제2 그라운드 단자(들)는, 예를 들어, 스피커(371), 커넥터(491) 및/또는 전자기 차폐 부재(493)를 그라운드 도체(355)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선로(예: 도 5 내지 도 9의 전송 선로(351))는 제1 플레이트(360b)(예: 도 3 또는 도 4의 하측 지지 부재(260b))의 다른 한 면(예: -Z 방향을 향하는 외측면 또는 도 5의 제1 면(F1))에 배치될 수 있으며, Z축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라운드 도체(355)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선로(351)는 신호 단자(S)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제1 플레이트(360b)의 외측면(예: -Z 방향을 향하는 면)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그라운드 단자(G1)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그라운드 도체(355)와 실질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전송 선로(351)는 신호 단자(S)를 통해 회로 기판(340)(예: 통신 회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플레이트(360b)의 양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배치된 방사 도체 패턴(353) 및/또는 하우징(301)의 일부분(예: 측면 구조(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라운드 도체(355)의 적어도 일부는 회로 기판(340)과 전송 선로(3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송 선로(351)를 통해 무선 통신 신호가 제공될 때 전송 선로(351)와 회로 기판(340) 사이에서 전자기 차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5 또는 도 10의 전자 장치(100, 200, 300, 400))의 제1 플레이트(예: 도 4의 하측 지지 부재(260b) 또는 도 5의 제1 플레이트(360b))의 제1 면(F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제1 플레이트(360b)의 제2 면(F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는, 도 4의 제2 지지 부재(260) 중 하측 지지 부재(260b)가 제1 플레이트(360b)로서 제공되며, 전송 선로(351)가 제1 플레이트(360b)의 외측면(예: 도 5의 제1 면(F1))에 제공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360b)의 외측면에서 하나의 도전성 패턴이 전송 선로(351)와 방사 도체 패턴(353)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Z축 방향에서 그라운드 도체(355)와의 중첩 여부와 무관하게, 방사 도체 패턴(353)은 전송 선로(351)보다 더 큰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360b)의 내측면(예: 도 5의 제2 면(F2))에는 전송 선로(351)와 상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그라운드 도체(355), 전송 선로(3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 단자(S) 및/또는 그라운드 도체(35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그라운드 단자(G1, G2)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60b)의 내측면'이라 함은, 예를 들어, 제2 면(F2)으로 언급될 수 있으며, 하우징(예: 도 4 또는 도 10의 하우징(201, 301))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로 기판(예: 도 10의 회로 기판(340) 또는 제2 플레이트(311)(예: 도 10의 제1 지지 부재(211))과 마주보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호 단자(S)는 전송 선로(351)의 일단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60b)의 외측면에서 방사 도체 패턴(353)은 전송 선로(35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그라운드 단자(G1, G2)들 중 제1 그라운드 단자(G1)는 신호 단자(S)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그라운드 도체(355) 상에 배치되며, 제2 그라운드 단자(G2)는 방사 도체 패턴(353)과 인접하는 위치에서 그라운드 도체(35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5 또는 도 10의 전자 장치(100, 200, 300, 400))의 제1 플레이트(예: 도 4의 하측 지지 부재(260b) 또는 도 5의 제1 플레이트(360b))의 제1 면(F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제1 플레이트(360b)의 제2 면(F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과 도 14는, 도 4의 제2 지지 부재(260) 중 하측 지지 부재(260b)가 제1 플레이트(360b)로서 제공되며, 전송 선로(351)가 제1 플레이트(360b)의 내측면에 제공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360b)의 외측면(예: 도 5의 제1 면(F1))에서 방사 도체 패턴(353)과 그라운드 도체(355)는 서로에 대하여 독립된 영역에 배치된 도전체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선로(351)는 제1 플레이트(360b)의 내측면(예: 도 5의 제2 면(F2))에 배치되며, Z축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라운드 도체(355)와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0) 및/또는 제1 플레이트(360b)는, 제1 플레이트(360b)의 내측면에서, 그라운드 도체(355)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응하게 배치된 그라운드 단자(G1, G2)들과, 전송 선로(351)의 일단에 배치된 신호 단자(S)를 포함할 수 있다.
직접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전송 선로(351)와 방사 도체 패턴(353)이 제1 플레이트(360b)의 내측면(예: 제2 면(F2))에 배치되고, 그라운드 도체(355)는 제1 플레이트(360b)의 외측면(예: 제1 면(F1))에 배치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실시예(들)는 제1 플레이트(360b)의 서로 다른 면에 전송 선로(351)와 그라운드 도체(355)가 배치된 구조를 포함하며, 전송 선로(351),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방사 도체 패턴(353)이 배치되는 면은 앞서 언급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5 또는 도 10의 전자 장치(100, 200, 300, 400))의 제1 플레이트(예: 도 4의 상측 지지 부재(260a) 또는 도 5의 제1 플레이트(360b))의 제1 면(F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제1 플레이트(360a)의 제2 면(F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와 도 16은, 도 4의 제2 지지 부재(260) 중 상측 지지 부재(260a)가 제1 플레이트(360a)로서 제공되며, 전송 선로(351)가 제1 플레이트(360a)의 외측면(예: 도 5의 제1 면(F1))에 제공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360a)의 외측면에서 하나의 도전성 패턴이 전송 선로(351)와 방사 도체 패턴(353)을 형성할 수 있다. Z축 방향에서 그라운드 도체(355)와의 중첩 여부와 무관하게, 방사 도체 패턴(353)은 전송 선로(351)와는 다른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60a)로서 상측 지지 부재(260a)가 활용된 구성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도 15와 도 16의 실시예는 도 11과 도 12의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0)(예: 도 1 내지 도 5 또는 도 10의 전자 장치(100, 200, 300, 400))를, 도 2의 라인 A-A'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전송 선로(351)는 Z축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회로 기판(340)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의 내부에서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전송 선로(351)가 전기 부품(예: 스피커(371) 및/또는 전자기 차폐 부재(493))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그라운드 도체(355)가 전기 부품에 가까이 배치된 구조에서, 전자 장치(500)는 제2 그라운드 단자(G2) 또는 추가의 제3 그라운드 단자를 이용하여 그라운드 도체(355)를 전기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 차폐 부재(493)와 같은 전기 부품은 제2 그라운드 단자(G2) 또는 추가의 제3 그라운드 단자를 통해 그라운드 도체(3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준 전위를 제공하는 그라운드 평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라운드 도체(355) 및/또는 전송 선로(351)가 Z축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회로 기판(340)과 중첩하도록 배치된 때, 그라운드 도체(35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송 선로(351)와 회로 기판(3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5, 도 10 및/또는 도 17의 전자 장치(100, 200, 300,400, 500))는, 하우징(예: 도 1 내지 도 5, 도 10 및/또는 도 17의 하우징(201, 301)),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회로 기판(예: 도 3 내지 도 5, 도 10 및/또는 도 17의 회로 기판(240, 34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회로 기판에 마주보게 배치된 제1 플레이트(예: 도 4의 제2 지지 부재(260) 또는 도 5 내지 도 17의 제1 플레이트(360a, 360b)),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면 중 제1 면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송 선로(transmission line)(예: 도 5 내지 도 9 및/또는 도 17의 전송 선로(351)),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면 중 제2 면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그라운드 도체(예: 도 5 내지 도 9 및/또는 도 17의 그라운드 도체(355)), 및 상기 제1 면(예: 도 5의 제1 면(F1))과 상기 제2 면(예: 도 5의 제2 면(F2)) 중 어느 한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송 선로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방사 도체 패턴(예: 도 5 내지 도 9 및/또는 도 17의 방사 도체 패턴(35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을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은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상기 회로 기판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송 선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 단자(예: 도 5 또는 도 17의 신호 단자(S)),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상기 회로 기판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그라운드 단자(예: 도 5 또는 도 17의 제1 그라운드 단자(G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단자와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신호 단자 또는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contact member)(예: 도 5 또는 도 17의 접촉 부재(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2 플레이트(예: 도 3 내지 도 5, 도 10 및/또는 도 17의 제1 지지 부재(211) 또는 제2 플레이트(311)),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그라운드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단자(예: 도 5의 제2 그라운드 단자(G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를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된 전자기 차폐 부재(예: 도 10 또는 도 17의 전자기 차폐 부재(493)),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 배치되며 상기 그라운드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단자(예: 도 17의 제2 그라운드 단자(G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를 상기 전자기 차폐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는 지정된 궤적을 따라 연장되며 제1 선폭(first line width)(예: 도 8의 제1 선폭(W1))을 가지는 도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송 선로와 나란하게 연장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선폭보다 더 큰 제2 선폭(예: 도 8의 제2 선폭(W2))을 가지는 도전성 패턴을 포함할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전송 선로와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정합 선로(matching line)(예: 도 6의 정합 선로(3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상기 전송 선로와 동일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합 선로는 상기 전송 선로에 연결된 지점에서 상기 제1 선폭을 가지며, 상기 전송 선로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증가하거나 점차 감소하는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상기 회로 기판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송 선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 단자,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상기 회로 기판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그라운드 단자, 상기 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그라운드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를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전송 선로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전송 선로의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신호 단자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방사 도체 패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배선 홈(wiring recess)(예: 도 9의 배선 홈(361a, 361b)(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선로, 상기 방사 도체 패턴 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배선 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제1 배선 홈, 및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제2 배선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선로, 상기 방사 도체 패턴 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상기 제1 배선 홈과 상기 제2 배선 홈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회로 기판의 일측에 배치된 전기 부품(예: 도 4의 카메라 조립체, 도 5 또는 도 10의 스피커(371) 및/또는 도 10의 커넥터(491)와 전자기 차폐 부재(49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전송 선로 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기 부품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부품은 전자기 차폐 부재, 스피커 또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 상기 방사 도체 패턴 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레이저 다이렉트 구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5, 도 10 및/또는 도 17의 전자 장치(100, 200, 300,400, 500))는, 하우징(예: 도 1 내지 도 5, 도 10 및/또는 도 17의 하우징(201, 301)),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회로 기판(예: 도 3 내지 도 5, 도 10 및/또는 도 17의 회로 기판(240, 34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회로 기판에 마주보게 배치되며 유전체 물질(dielectric material)을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예: 도 4의 제2 지지 부재(260) 또는 도 5 내지 도 17의 제1 플레이트(360a, 360b)),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면 중 제1 면에 배치되어 지정된 궤적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송 선로(예: 도 5 내지 도 9 및/또는 도 17의 전송 선로(351))로서, 제1 선폭(예: 도 8의 제1 선폭(W1))을 가지는 상기 전송 선로,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면 중 제2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송 선로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그라운드 도체(예: 도 5 내지 도 9 및/또는 도 17의 그라운드 도체(355))로서, 상기 제1 선폭보다 더 큰 제2 선폭(예: 도 8의 제2 선폭(W2))을 가진 상기 그라운드 도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송 선로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방사 도체 패턴(예: 도 5 내지 도 9 및/또는 도 17의 방사 도체 패턴(35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을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전송 선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은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상기 회로 기판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송 선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 단자(예: 도 5 또는 도 17의 신호 단자(S)),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상기 회로 기판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그라운드 단자(예: 도 5 또는 도 17의 제1 그라운드 단자(G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단자와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2 플레이트(예: 도 3 내지 도 5, 도 10 및/또는 도 17의 제1 지지 부재(211) 또는 제2 플레이트(311))로서, 전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그라운드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단자(예: 도 5의 제2 그라운드 단자(G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를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신호 단자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방사 도체 패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회로 기판의 일측에 배치된 전기 부품(예: 도 4의 카메라 조립체, 도 5 또는 도 10의 스피커(371) 및/또는 도 10의 커넥터(491)와 전자기 차폐 부재(49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전송 선로 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기 부품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일 실시예에 관해 예시하여 설명되었지만, 일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를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을 포함하여, 본 개시의 전체 관점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그 형식과 세부적인 구성에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측 지지 부재(260a)나 제2 플레이트(360a)의 구성에서, 도 1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방사 도체 패턴이 그라운드 도체와 동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 지지 부재(260a)나 나 제2 플레이트(360a)의 내측면에 전송 선로와 방사 도체 패턴이 배치되고, 상측 지지 부재(260a)나 나 제2 플레이트(360a)의 외측면에 그라운드 도체가 배치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단자와 전송 선로는 제1 플레이트 상에서 동일 면에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라운드 단자(들)와 그라운드 도체의 배치가 이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들)는 제1 플레이트 상에서 회로 기판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송 선로와 그라운드 도체가 배치되는 면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전자 장치
201, 301: 하우징 210, 310: 측면 구조
211: 제1 지지 부재 311: 제2 플레이트
260: 제2 지지 부재 260a: 상측 지지 부재
260b: 하측 지지 부재 340: 회로 기판
351: 전송 선로 353: 방사 도체 패턴
355: 그라운드 도체 360a, 360b: 제1 플레이트
S: 신호 단자 G1, G2: 그라운드 단자(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회로 기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회로 기판에 마주보게 배치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이하, '제1 면')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송 선로(transmission line);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면 중 다른 한 면(이하, '제2 면')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그라운드 도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송 선로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방사 도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을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은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된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상기 회로 기판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송 선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 단자;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상기 회로 기판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그라운드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단자와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자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단자 또는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contact member)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그라운드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를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된 전자기 차폐 부재;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 배치되며 상기 그라운드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를 상기 전자기 차폐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는 지정된 궤적을 따라 연장되며 제1 선폭(first line width)을 가지는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송 선로와 나란하게 연장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선폭보다 더 큰 제2 선폭을 가지는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와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정합 선로(matching line)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상기 전송 선로와 동일한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정합 선로는 상기 전송 선로에 연결된 지점에서 상기 제1 선폭을 가지며, 상기 전송 선로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증가하거나 점차 감소하는 선폭을 가지는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상기 회로 기판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송 선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 단자;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상기 회로 기판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그라운드 단자;
    상기 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그라운드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를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자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전송 선로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전송 선로의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전자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신호 단자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방사 도체 패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전자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배선 홈(wiring recess)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선로, 상기 방사 도체 패턴 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배선 홈 내에 배치된 전자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제1 배선 홈; 및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제2 배선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선로, 상기 방사 도체 패턴 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상기 제1 배선 홈과 상기 제2 배선 홈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배치된 전자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회로 기판의 일측에 배치된 전기 부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전송 선로 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기 부품과 중첩하도록 배치된 전자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 상기 방사 도체 패턴 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레이저 다이렉트 구조 패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회로 기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회로 기판에 마주보게 배치되며, 유전체 물질(dielectric material)을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이하, '제1 면')에 배치되어 지정된 궤적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송 선로로서, 제1 선폭을 가지는 상기 전송 선로;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면 중 다른 한 면(이하, '제2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송 선로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그라운드 도체로서, 상기 제1 선폭보다 더 큰 제2 선폭을 가진 상기 그라운드 도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송 선로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방사 도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을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전송 선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방사 도체 패턴은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된 전자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상기 회로 기판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송 선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 단자;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상기 회로 기판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그라운드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그라운드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단자와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자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2 플레이트로서, 전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그라운드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를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자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신호 단자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방사 도체 패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전자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회로 기판의 일측에 배치된 전기 부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전송 선로 또는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기 부품과 중첩하도록 배치된 전자 장치.
KR1020220083609A 2022-06-22 2022-07-07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75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1750 WO2023249193A1 (ko) 2022-06-22 2023-02-07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23157220.7A EP4297184A1 (en) 2022-06-22 2023-02-17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icrostrip transmission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76242 2022-06-22
KR1020220076242 2022-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5063A true KR20230175063A (ko) 2023-12-29

Family

ID=8933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609A KR20230175063A (ko) 2022-06-22 2022-07-07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50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0209B1 (ko)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된 회로 소자를 둘러싸는 인터포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04352B1 (ko) 전자 부품 배치 구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59482B1 (ko) 인터포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51418B1 (ko) 차폐 시트 및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13216B1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32150A (ko) 폴더블 전자 장치
US1131751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terposer
KR102463499B1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2316A (ko) 광학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14150A (ko) 연장된 fpcb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0391A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인쇄 회로 기판과 제2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커넥터
KR20210027975A (ko)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7549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26622A (ko)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안테나 방사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59093B1 (ko) 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구조물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1626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tructure for eliminating parasitic emission
US10923799B2 (en)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KR20210098696A (ko) 음향 도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02894A (ko) 글래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0450A (ko)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75063A (ko)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22374B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74774B1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29718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icrostrip transmission line
US11252851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