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073A - Anks1a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이용한 알츠하이머 질병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Anks1a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이용한 알츠하이머 질병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073A
KR20240025073A KR1020220102362A KR20220102362A KR20240025073A KR 20240025073 A KR20240025073 A KR 20240025073A KR 1020220102362 A KR1020220102362 A KR 1020220102362A KR 20220102362 A KR20220102362 A KR 20220102362A KR 20240025073 A KR20240025073 A KR 20240025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s1a
disease
degenerative brain
protein
mu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철
박선아
서진수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02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073A/ko
Priority to PCT/KR2022/019003 priority patent/WO2024038967A1/ko
Publication of KR20240025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07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N33/6896Neurological disorders, e.g. Alzheimer's dise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11Alzheimer's disease; Amyloid plaque core prote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는 알츠하이머 환자에게서 발견되며, 정상적인 ANKS1A 단백질과 달리, LRP1 수용체의 세포막 발현을 유도하지 못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베타 아밀로이드 펩타이드와 같은 독성 단백질을 제거하지 못한다. 따라서,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의 발현수준을 확인하거나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보유여부를 검출하여 알츠하이머 질병 발병에 대한 조기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검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ANKS1A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이용한 알츠하이머 질병 진단 방법{ALZHEHEIMER'S DISEASE DIAGNOSIS METHOD USING ANKS1A PROTEIN VARIANT OR POLYNUCLEOTIDE ENCODING THE SAME}
본 발명은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조성물, 진단 키트 및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퇴행성 뇌 질환은 뇌 신경세포가 구조적, 기능적으로 점진적으로 손실되어 나타나며, 그 발병의 징후가 서서히 나타나고, 노화와 함께 발병되는 경우가 많다. 일단 발병하면 사망 시까지 수년 혹은 수십 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병이 진행되며, 유전적 영향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퇴행성 뇌 질환은 신경계의 특정부위가 손상되어 치매, 소뇌 이상, 감각 장애, 운동 장애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동시에 여러 부위가 손상되어 복합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환자의 임상증상에 따라 진단을 하게 되는데, 증상이 다양하고 서로 다른 질환들이 공통적인 임상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진단이 어렵다.
알츠하이머 질병(Alzheimer's Disease, AD)은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의 하나로 서서히 발병하여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의 악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특징을 가지며, 전체 치매 환자의 약 75%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츠하이머 질병(AD)의 정확한 발명 기전과 원인에 대해서는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알츠하이머 질병 환자의 뇌에서 베타 아밀로이드(Amyloid beta; Aβ)라 불리는 단백질 응집체가 공통적으로 발견되며, 과인산화된 타우 단백질에 의한 신경섬유 덩어리가 함께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베타 아밀로이드는 정상상태에서는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하며 신경세포의 생리적 기능 중 일부를 담당하지만, 노화, 산화적인 스트레스, 또는 가족력에 의한 유전적 원인 등에 의해 항상성에 문제가 생기면 뇌에 축적되는데 보통 서로 응집되어 저분자의 올리고머(Olig-omer)부터 플라크(Plaque)라 불리는 큰 응집체까지 다양한 형태로 축적된다. 이렇게 축적된 베타 아밀로이드는 대뇌 신경계 손상을 유발하고 인지기능을 저하하여, 알츠하이머 치매를 포함한 각종 퇴행성 뇌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뇌 내부의 베타 아밀로이드 제거 기능상의 문제가 퇴행성 뇌 질환, 특히 알츠하이머 치매의 발병의 중요한 원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대뇌 혈관의 배출 시스템 (cerebrovascular clearance system)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면 뇌 건강이 유지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알츠하이머 치매의 발현 요인이나 발명 위험인자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대뇌 혈관의 배출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유전학적 위험요인이나 기전 상의 관여요인이 명확히 밝혀진 바 없다. 뿐만 아니라, 환자의 뇌 조직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환경 및 다양한 병인학적인 요인들에 의한 것이어서 현재까지도 이러한 베타 아밀로이드의 축적에 의해 나타나는 퇴행성 뇌 질환, 대표적으로는 알츠하이머 질병을 조기에 명확히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 ‹š문에, 베타 아밀로이드의 축적을 유발하는 위험인자를 명확히 규정하고, 이로부터 알츠하이머 치매 등의 퇴행성 뇌 질환의 발병 위험성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다.
본 발명의 목적은 퇴행성 뇌 질환,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 질병을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퇴행성 뇌 질환을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진단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퇴행성 뇌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퇴행성 뇌 질환의 진단용 바이오 마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조성물은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ANKS1A-A355D 돌연변이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제제는 상기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제제는 ANKS1A-A355D 돌연변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쌍 또는 ANKS1A-A355D 돌연변이와 혼성화할 수 있는 프로브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프라이머 쌍은 서열번호 3 및 4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퇴행성 뇌 질환은 알츠하이머 질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키트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키트는 qPCR(quantitative PCR) 키트, DNA 칩 키트,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단백질 칩 키트 또는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키트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퇴행성 뇌 질환은 알츠하이머 질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퇴행성 뇌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개체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시료 중의 표적 유전자를 증폭시키는 단계; 및 ANKS1A-A355D 돌연변이의 존재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표적 유전자를 증폭시키는 단계는 ANKS1A-A355D 돌연변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쌍 또는 ANKS1A-A355D 돌연변이와 혼성화할 수 있는 프로브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증폭은 표준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al Time PCR), 디지털 PCR, 등온 PCR(Isothermal PCR), DNA 칩, DNA FISH(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ANKS1A-A355D 돌연변이의 존재를 판별하는 단계는 유전자 증폭 산물의 시퀀싱(sequencing)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전자 변이를 분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퇴행성 뇌 질환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슨 병, 헌팅턴 병,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아밀로이드성 뇌졸증(stroke), 전신성 아밀로이드병, 더취(Dutch) 형 아밀로이드증, 니만-픽병, 노인성 치매, 루이 소체 치매(Lewy Body Dementia), 및 전두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퇴행성 뇌 질환은 알츠하이머 질병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혈액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ANKS1A-A355D 돌연변이는 알츠하이머 질병의 진단용 바이오 마커이다.
본 발명에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는 알츠하이머 질병의 진단용 바이오 마커이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퇴행성 뇌 질환,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 질병 환자의 뇌 혈관에서 ANKS1A 단백질의 변이체 일종인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가 발현되는 경우, 이는 베타 아밀로이드 펩타이드 배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LRP1 수용체의 세포 표면 발현을 유도하지 못해서 뇌 혈관 주변의 독성 펩타이드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뇌 신경계 손상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의 검출여부, 발현 수준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검출여부를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질병과 같은 퇴행성 뇌 질환을 조기에 진단하여, 퇴행성 뇌 질환의 진행을 늦추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ANKS1A 단백질 중 ANKS1A-A355D 단백질 변이가 발견되는 도메인을 간략히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NCBI에 등록된 인간 ANKS1A 단백질 (NP_056060.2)의 아미노산 서열 중 알라닌 A가 아스파틱산 D로 변이된 ANKS1A-A355D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인간 ANKS1A 단백질의 AEEE 서열의 종간 보존성을 나타내기 위한 그림이다.
도 4는 HEK 293 세포주의 정상(WT), ANKS1A 넉아웃 모델(KO-1), 정상 ANKS1A 유전자 벡터 재도입 KO-1 모델, ANKS1A-A355D 유전자 벡터 재도입 KO-1 모델에 대하여 LRP1 수용체의 유사체인 mLRP4-T100의 세포 표면 발현 레벨을 면역염색법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HEK 293 세포주의 정상(WT), ANKS1A 넉아웃 모델(KO-1), 정상 ANKS1A 유전자 벡터 재도입 KO-1 모델, ANKS1A-A355D 유전자 벡터 재도입 KO-1 모델에 대하여 LRP1 수용체의 유사체인 mLRP4-T100의 세포 표면 발현 레벨을 면역염색법으로 확인한 결과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주(iPSC)로부터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뇌혈관 세포 (iEC),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혈관주위세포 (iPC),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별아교세포 (iAS)의 분화를 유도한 프로토콜을 간략히 도시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유도된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뇌혈관 세포 (iEC),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혈관주위세포 (iPC),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별아교세포 (iAS)의 분화특징을 면역염색법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유도된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뇌혈관 세포 (iEC)에 대한 뇌혈관 세포 마커의 발현을 확인한 유전자 분석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유도된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혈관주위세포 (iPC)에 대한 혈관주위 세포 마커의 발현을 확인한 유전자 분석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유도된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별아교세포 (iAS)에 대한 별아교세포 마커의 발현을 확인한 유전자 분석결과이다.
도 11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AAV)의 뇌혈관 세포 특이적 특성을 나타낸 형광현미경 분석 결과이다.
도 12는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주의 ANKS1A 유전자 넉아웃 모델을 CRISPR/CAS9 방법으로 제작한 것이며 sequencing 결과 뉴클레오티드 A가 삽입된 이동돌연변이로 인하여 유전자 넉아웃이 확인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도 13은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주의 정상(WT), ANKS1A 넉아웃 모델(KO-1, KO-2)의 웨스턴 블롯팅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뇌혈관 세포(iEC)의 정상(WT), ANKS1A 넉아웃 모델(KO-1), 정상 ANKS1A 유전자 벡터 재도입 KO-1 모델, ANKS1A-A355D 유전자 벡터 재도입 KO-1 모델에 대하여 면역염색법을 수행하여 뇌 혈관 세포 표면의 LRP1 레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5는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뇌혈관 세포(iEC)의 정상(WT), ANKS1A 넉아웃 모델(KO-1), 정상 ANKS1A 유전자 벡터 재도입 KO-1 모델, ANKS1A-A355D 유전자 벡터 재도입 KO-1 모델에 대하여 면역염색법을 수행하여 뇌 혈관 세포 표면의 LRP1 레벨을 확인한 결과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인간의 ANKS1A 유전자 와일드타입의 엑손 8의 유전자 서열 및 ANKS1A-A355D 돌연변이 위치를 표시한 그림이다. 밑줄 친 부분은 각각 유전체 (genomic) PCR 증폭을 위한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ANKS1A-A355D를 발현하는 돌연변이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추출한 DNA에 대해 PCR 및 Sanger DNA sequencing을 수행한 결과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태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보통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임의의 방법 및 물질이 본 발명의 실행 또는 시험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방법 및 물질이 이제 기재된다.
본 명세서는 2022년 7월 26일에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22-0092509호 명세서의 내용 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퇴행성 뇌 질환, 특히 알츠하이머 질병의 조기 진단을 위하여 위험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알츠하이머 환자의 혈액에서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를 발현하는 유전자가 검출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는 정상 ANKS1A(Ankyrin Repeat And Sterile Alpha Motif Domain Containing 1A) 단백질의 355번째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로서, 정상 ANKS1A 단백질과 달리 뇌혈관 내 LRP1 수용체의 세포막 발현을 유도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밝혀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ANKS1A 유전자의 과오 돌연변이인 ANKS1A-A355D 돌연변이에 의해 정상 ANKS1A 단백질의 Ankyrin 반복 도메인과 첫번째 SAM도메인 사이의 355번째 아미노산 변이가 일어난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가 발현된다. 본 발명자는 구조적 기능적 변형이 일어난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는 정상 ANKS1A 단백질이 수행하는 기능인 LRP1 단백질 수용체의 세포 표면에서의 발현을 유도하지 못하는 기능소실 돌연변이 단백질이며, 이로 인해 뇌에서 베타 아밀로이드 펩타이드 배출이 저하되어 뇌 혈관 주변에 이러한 독성 펩타이드가 축적되게 되어 퇴행성 뇌 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인자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 발현에 의해 누적된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에 의해 혈관이 파열되고 뇌혈관 장벽이 약화되어, 혈액의 누수 위험성이 높아지고 뇌 조직 내의 염증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뇌 신경계 손상이 유발되는데, 즉, 퇴행성 뇌 질환, 특히 알츠하이머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ANKS1A 단백질 변이체가 발현되거나,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보유한 경우, 퇴행성 뇌 질환, 특히, 알츠하이머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바이오 마커의 존재를 검출하여 알츠하이머 질병 같은 퇴행성 뇌 질환의 발병가능성을 확인하고 예방 및 진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ANKS1A-A355D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진단"은 병리 상태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하며, 퇴행성 뇌 질환의 진행 또는 발병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진단은 알츠하이머 질병 발병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퇴행성 뇌 질환"은 신경계의 신경세포에 점진적이고 꾸준한 사멸로 인한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면서 여러 가지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을 포함하며, 특히, 뇌의 베타 아밀로이드 배출 저하 및 축적에 의해 나타나는 각종 질환을 포괄한다.  퇴행성 뇌 질환의 예로 알츠하이머 질병, 파킨슨 병, 헌팅턴 병, 다발성경화증, 경도인지장애,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아밀로이드성 뇌졸증, 전신성 아밀로이드병, 더취(Dutch) 형 아밀로이드증, 니만-픽병, 노인성 치매, 루이 소체 치매, 및 전두측두엽 치매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 질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베타 아밀로이드"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에서 잘려져 나온 단백질 파편으로, 뇌세포 독성을 일으키고 알츠하이머 질병의 발병원인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주로 대뇌 신경세포에서 형성되고 분비된 베타 아밀로이드 펩티드들은 불수용성 플라크 (insoluble plaque)를 형성하기 전에 뇌 혈관 표면에 있는 LRP1 수용체에 결합하고, 트랜스시토시스 과정을 통해 혈관 밖으로 배출되어 간에서 분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또는 베타 아밀로이드는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되며, 베타 아밀로이드 펩티드, 응집체, 플라크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진단용 바이오 마커란 정상 세포에 비하여 LRP1 수용체의 세포막 발현이 저하된 세포에서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이는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예: DNA 등), 지질, 당지질, 당단백 등과 같은 유기 생체 분자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퇴행성 뇌 질환의 진단용 바이오 마커는 정상 뇌혈관 세포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발현을 보이는 ANKS1A 과오 돌연변이 유전자, 바람직하게는 ANKS1A-A355D 돌연변이 또는 이에 의해 발현되는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ANKS1A 단백질 변이체는 ANSKS1A 단백질 돌연변이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 ANKS1A 단백질의 355번째 아미노산이 변이된 것을 의미한다.
ANKS1A 단백질은 안키린 반복 및 SAM 도메인을 포함하는 단백질 1A(Ankyrin repeat and Sterile Alpha Motif domain-containing protein 1A)로서, Ankyrin 반복 도메인, 두 개의 SAM 도메인, 한 개의 PTB 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단백질로 알려져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ANKS1A 단백질은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설치류 등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ANKS1A 단백질이란 인간으로부터 유래된 1,13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것(NCBI accession No. NP056060.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ANKS1A 단백질 변이체는 ANKS1A 단백질의 Ankyrin 반복 도메인과 첫 번째 SAM 도메인 사이에서 변이된 것일 수 있으며, 이 부위는 현재까지 구조와 기능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도 1). 보다 구체적으로 ANKS1A 단백질 변이체는 인간 ANKS1A 단백질의 355번째 아미노산인 알라닌 A가 친수성 아미노산인 아스파틱산 D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ANKS1A 단백질 변이체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 ANKS1A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중 355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A)에서 아스파틱산(D)으로 변이된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가 발현되는 경우, LRP1의 세포막 발현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베타 아밀로이드 배출 저하 및 뇌 신경세포 내 축적을 유도함이 본 발명에 의해 밝혀졌다. 본 발명의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는 아미노산을 전사하는 ANKS1A 유전자의 8번 엑손 중 GCT가 GAT로 가운데 염기가 치환되는 과오 돌연변이에 의해 발현된다. 과오 돌연변이(missense mutation)란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특히, DNA 또는 RNA의 염기 하나가 다른 종류의 염기로 바뀜으로써 그 위치에서 만들어질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바뀌는 유전자 돌연변이로서 단백질의 형질 변화를 일으키는 단일염기다형성 돌연변이(SNP mutation)이다. 정상 ANKS1A 유전자는 ANKS1A 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로 인간에서 6번째 염색체 상에 존재하고,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 (NCBI)에 NM_015245.2로 등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ANKS1A-A355D 돌연변이는 정상 ANKS1A 유전자의 과오 돌연변이의 일종으로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 (NCBI)에 rs6930932 SNP로 등록되어 있으며, GnomAD_exome 데이터베이스에 0.28% 빈도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전에는 알츠하이머 질병과의 연관성이 밝혀진 바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ANKS1A-A3555D 돌연변이 유전자 발현에 의해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가 발현되고, 정상 ANKS1A 단백질의 역할로 보여지는 LRP1 수용체의 세포막 발현 촉진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뇌 조직에서의 베타 아밀로이드 배출이 원활히 일어나지 않아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에 의해 퇴행성 뇌 질환이 야기될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ANKS1A 단백질의 355번째 아미노산 변이체 단백질, 바람직하게는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의 발현 여부 또는 그 존재를 검출하거나, 변이체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존재를 확인하여 퇴행성 뇌 질환의 진행 또는 발병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핵산은 데옥시리보핵산(DNA), 및 적절하다면 리보핵산(RNA)과 같은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나타낸다. 이 용어는 또한, 동등하게, 뉴클레오티드 유사체(예, 펩티드 핵산)로부터 제조된 RNA 또는 DNA 중 어느 하나의 유사체 및 단일(센스 또는 안티센스) 및 이중나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핵산'이라는 용어와 '뉴클레오티드'가 병용하여 쓰이고 있다. 핵산은 예를 들어, 단일-가닥, 이중-가닥, 또는 삼중-가닥일 수 있으나 임의의 특정 길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특정 핵산 서열은 명시되는 임의의 서열 외에도 상보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를 코딩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ANKS1A-A355D 돌연변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상보적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다형성 서열(polymorphic sequence)이다. 이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중에 단일염기다형이 일어나는 다형성 부위(polymorphic site)를 포함하는 서열을 의미하며, 다형성(polymorphism) 이란 하나의 유전자 좌위에 두 가지 이상의 대립유전자(allele)가 존재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다형성 부위 중에서, 사람에 따라 단일 염기만이 다른 것을 단일 염기 다형성이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대립유전자(allele)는 상동염색체의 동일한 유전자좌위에 존재하는 한 유전자의 여러 타입을 말한다. 대립유전자는 다형성을 나타내기도 하며, 예컨대, SNP은 두 종류의 대립인자(biallele)를 갖는다.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상보적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특이적으로 혼성화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대립형질 특이적 (allele-specific)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NKS1A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검출할 수 있는 제제는 알츠하이머 질병 환자의 뇌 혈관세포에서 발현되는 마커인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수준 또는 그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진단용 바이오 마커의 검출에 사용될 수 있는 분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백질 변이체의 검출은 그 발현 여부 또는 그 발현량을 측정하여 퇴행성 뇌 질환을 조기진단하거나 예후를 확인하기 위한 과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물학적 시료에서 ANKS1A 변이체, 바람직하게는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 존재 여부 또는 그 발현량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ANKS1A 돌연변이 유전자의 발현 수준, 바람직하게는 ANSK1A-A355D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확인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단백질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방법으로는 웨스턴블랏팅,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 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오우크털로니(Ouchterlony) 면역 확산법, 로케트(rocket)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FACS, 단백질 칩(protein chip)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항체는 단백질 또는 펩티드 분자의 항원성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성 분자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항체는, 각 유전자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발현벡터에 클로닝하여 상기 마커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을 얻고, 얻어진 단백질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항체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폴리클론 항체, 모노클론 항체 또는 항원 결합성을 갖는 것이면 그것의 일부도 본 발명의 항체에 포함되고 모든 면역 글로불린 항체가 포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화 항체 등의 특수 항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완전한 형태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을 포함한다.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이란 적어도 항원 결합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단편을 의미하며 Fab, F(ab'), F(ab') 2 및 Fv 등이 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항체는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항체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ANKS1A 단백질 변이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항체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ANKS1A 단백질 변이체의 355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특정 길이의 폴리펩티드 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백질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검출은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그 존재를 확인하여 퇴행성 뇌 질환을 조기진단하거나 예후를 확인하기 위한 과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ANKS1A 돌연변이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일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생물학적 시료에서 마커 유전자인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바이오 마커로서, ANKS1A-A355D 돌연변이, 즉, NCBI accession no. rs6930932의 단일염기다형성(SNP) 바이오 마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8번 엑손 중 GCT가 GAT로 가운데 염기가 치환된 rs6930932 단일염기다형성(SNP) 염기가 검출된 경우 퇴행성 뇌 질환 위험이 높은 군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검출하는 제제는 단일염기다형성(SNP) 바이오 마커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쌍 또는 혼상화할 수 있는 프로브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제제는 ANKS1A-A355D 돌연변이에 대해 결합하는 프라이머 쌍 또는 ANKS1A-A355D 돌연변이와 혼성화할 수 있는 프로브일 수 있다. 당업자는 서열을 바탕으로 적절한 프라미어 또는 프로브를 디자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라이머는 짧은 자유 3말단 수산화기 (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염기 서열로 상보적인 템플레이트 (template)와 염기쌍 (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템플레이트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을 하는 짧은 서열을 의미한다. 프라이머의 적절한 길이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프라이머 서열은 주형과 완전하게 상보적일 필요는 없으나, 주형과 혼성화할 정도로 충분히 상보적이어야 한다. 상기 프라이머는 다형성 부위를 포함하는 DNA 서열에 혼성화하여 다형성 부위를 포함하는 DNA 단편을 증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대립형질을 검출하여 퇴행성 뇌 질환을 예측하기 위한 마이크로어레이 등의 키트나 예측 방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ANKS1A 돌연변이 유전자, 바람직하게는 ANKS1A-A355D 돌연변이의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 증폭을 실시하여 DNA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브는 mRNA와 특이적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짧게는 수 염기 내지 길게는 수백 염기에 해당하는 RNA 또는 DNA 등의 핵산 단편을 의미하며, 표지되어 특정 DNA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브는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프로브, 단일가닥 DNA 프로브, 이중가닥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브는 대립형질을 검출하여 퇴행성 뇌 질환 질환을 예측하기 위한 마이크로어레이 등의 키트나 예측 방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포스포르아미다이트 고체 지지체 방법,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핵산 서열은 또한 당해 분야에 공지된 많은 수단을 이용하여 변형시킬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을 이해할 수 있다.본 명세서에서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표준 PCR, qPCR(quantitative PCR), RT-PCR(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경쟁적 RT-PCR(competitive RT-PCR), 실시간 RT-PCR, RNase 보호 분석법(RPA; RNase protection assay), 노던 블랏팅(northern blotting), DNA 칩 등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genomic PCR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퇴행성 뇌 진단용 바이오 마커를 검출할 수 있는 제제가 포함된 키트를 제공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키트는 표준 PCR 키트, qPCR(quantitative PCR) 키트, DNA 칩 키트,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단백질 칩 키트 또는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키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키트는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마커인 ANKS1A-A355D 돌연변이, 예컨대, 단일염기다형성(rs773316453)를 확인함으로써 퇴행성 뇌 질환을 진단 또는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키트에는 ANKS1A-A355D 돌연변이, 예를 들어, 단일염기다형성(rs773316453)를 확인하기 위한 폴리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뿐만 아니라 분석 방법에 적합한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 성분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키트는 PCR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다. PCR 키트는, 본 발명의 단일염기다형성(SNP)에 특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 외에도 테스트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 (pH 및 마그네슘 농도는 다양), 데옥시뉴클레오타이드 (dNTPs), Taq-폴리머라아제 및 역전사효소와 같은 효소, DNase, RNAse 억제제, DEPC-수 (DEPC-water) 및 멸균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트는 퇴행성 뇌 질환 진단에 필요한 시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트는 항체, 항체의 면역학적 검출을 위하여 기질 적합한 완충용액, 발색 효소 또는 형광물질로 표지된 2차 항체, 또는 발색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ANKS1A 변이체, 구체적으로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 또는 ANKS1A-A355D 돌연변이는 퇴행성 뇌 질환, 특히, 알츠하이머 의심 개체에서 검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퇴행성 뇌 질환을 조기진단하기 위한 조성물은 알츠하이머가 의심되는 개체 중에서 특히 얻기 쉬운 생물학적 시료, 예컨대, 혈액 세포, 혈액 또는 뇌 척수액 등의 시료에서의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 또는 ANKS1A-A355D 돌연변이를 검출하거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개체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시료 중의 표적 유전자를 증폭시키는 단계; 및 ANKS1A-A355D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체"는 인간, 소, 개, 기니아 피그, 토끼, 닭, 곤충 등을 포함하여 치료가 요구되는 임의의 단일 개체를 의미한다. 또한, 임의의 질병 임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임상 연구 시험에 참여한 임의의 개체 또는 역학 연구에 참여한 개체 또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개체가 포함된다. 또한, 퇴행성 뇌 질환,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 질병이 의심되는 개체일 수 있고,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물학적 시료"는 생물로부터 얻은 시료를 의미하며, 광범위하게 혈액, 뇌척수액, 혈장, 혈소판, 혈청, 복수액, 골수액, 림프액, 타액, 누액, 점막액, 양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혈액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손쉽게 시료를 얻을 수 있어서 개체의 뇌 조직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복잡하고 윤리적인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어서 선호된다.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개체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시료에 대해 ANKS1A 유전자와 혼성화할 수 있는 프로브의 존재 하에 표적 유전자를 증폭시키는 단계; 및 ANKS1A-A355D 돌연변이의 존재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표적 유전자는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일 수 있다. 유전자의 증폭은, 표준 PCR, qPCR(quantitative PCR), 디지털 PCR, 등온 PCR(Isothermal PCR), DNA 칩, DNA FISH(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qPCR(quantitative PCR)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CR은 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소량의 DNA를 추출하여 genomic PCR을 수행하여 표적 유전자, 바람직하게는 ANKS1A-A355D를 증폭하고, PCR 산물에 대한 DNA sequencing을 수행하여 ANKS1A-A355D 돌연변이를 동정할 수 있다. 또 다른 태양에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RNA 추출, RT-PCR(reverse transcription pcr) 및 DNA sequencing을 수행하여 ANKS1A-A355D 돌연변이를 동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NKS1A-A355D 돌연변이의 존재의 판별을 위하여 PCR 산물의 DNA sequenc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생어 염기서열 분석 (Sangersequncing) 또는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등을 이용하여 ANKS1A-A355D 돌연변이의 존재를 검출 및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퇴행성 뇌 질환 의심 환자에서의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거나, ANKS1A-A355D 돌연변이의 존재를 판별하여 퇴행성 뇌 질환, 특히 알츠하이머 치매의 발병 위험을 판정 또는 발병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명세서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NKS1A 단백질의 AEEE 아미노산 서열의 종간 보존도 확인
인간 ANKS1A 단백질의 355번 아미노산 주변 서열에 대한 종간 보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의 COBALT 단백질 정렬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장류에서는 AEEE 아미노산 서열이 100% 보존되어 있었으며, 마우스에서는 AEEE가 ADEE로 치환된 것을 확인하였다. 글루타민산(E) 및 아스파틱산(D)은 모두 전기적으로 음성으로 하전된 측쇄를 가지고 산성인 아미노산으로 동일한 특성을 가진다. 한편, 조류에 해당하는 닭의 경우, 해당 서열 중 알라닌(A)가 프롤린(P)로 치환되어서 PEEE를 서열을 보였으며, 이로부터 고등생물에서 하등생물로 갈수록 AEEE 아미노산 서열의 보존 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고등생물, 특히 영장류에서 355번 아미노산의 진화적 보존 가치가 특히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뒷받침한다.
<실시예 2>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에 의해 LRP1 수용체의 세포막 수송이 저하됨을 확인함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가 LRP1 수용체의 세포막 수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HEK293 세포(인간 신장 상피세포 세포주)를 세포주로서 준비하였다. ANKS1A 단백질을 내재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것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CRISPR-CAS9 방법으로 ANKS1A 단백질이 발현하지 않도록 제작된 세포주를 ANKS1A 넉아웃 세포주(KO-1 세포주)로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세포주에 mLRP4-T100을 발현하고, 세포막에 있는 mLRP4-T100 단백질의 N-말단 부분에 있는 HA를 인식하는 항체로 면역염색(붉은색)하고, 세포주를 DAPI 형광염색하여 관찰하였다. mLRP4-T100은 인간 LRP1의 유사체로서 와일드 타입 LRP1과 동일하게 소포체에서 생성되고 골지체에서 성숙되어 세포막으로 운반되는 수용체의 특성을 가진다. m은 막(membrane), LRP4는 네 번째 리간드 결합 부분, T100은 막횡단 도메일(transmembrane domain) 이후 100개의 세포질 영역을 의미한다. 성숙한 형태 역시 두 부분으로 잘려 있지만, 항상 서로 결합한 complex 형태로 세포막에 존재한다.
그 결과, 대조군에서는 mLRP4-T100 단백질이 HA 항체로 쉽게 염색되었으며, 이는 mLRP4-T100 단백질이 세포 표면에 많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 1번 패널) 한편, ANKS1A가 넉아웃된 세포주에서는 HA 항체 염색이 잘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ANKS1A가 넉아웃된 경우, mLRP4-T100 단백질이 세포 표면에 많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4, 2번 패널). 이어서, ANKS1A 단백질이 mLRP4-T100의 세포막 수송에 기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시 ANKS1A가 넉아웃된 세포주에 mLRP4-T100과 정상 ANKS1A 발현 벡터를 같이 주입하고 다시 한번 HA 항체 면역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세포 표면에서 검출되지 않던 mLRP4-T100 단백질이 세포 표면에서 HA 항체로 쉽게 염색되어 검출되었다. (도 4, 3번 패널).
이번에는 ANKS1A가 넉아웃된 세포주에 정상 ANKS1A 발현 벡터 대신 ANKS1A-A355D 변이체 발현벡터를 주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mLRP4-T100 단백질이 HA 항체로 염색되지 않아, mLRP4-T100 단백질이 세포 표면에서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4, 4번 패널).
이어서, 대조군, ANKS1A가 넉아웃된 세포주(KO-1 세포주), KO-1 세포주에 정상 ANKS1A 벡터를 재주입한 세포주, KO-1 세포주에 ANKS1A-A355D 돌연변이 벡터를 재주입한 세포주 각각에 대해 칼넥신으로 ER 소포체 염색을 수행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KO-1 세포주와 KO-1 세포주에 ANKS1A-A355D 벡터를 재주입한 세포주에서는 mLRP4-T100 단백질이 세포 표면보다 소포체에 많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 2, 4번 패널).
이러한 결과를 표면 LRP1 레벨 (도 5, a) 및 소포체 응집화정도 (colocalization) (도 5, b)로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인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로부터, ANKS1A-A355D 변이체는 정상 ANKS1A 단백질과 달리 LRP1의 소포체에서 세포막으로의 수송을 유도할 수 없는 기능 소실 돌연변이 (loss-of-function mutant)임을 확인할 수있다.
<실시예 3> 인간에서의 ANKS1A-A355D 변이체의 역할 확인
3-1. 뇌혈관 장벽(Brain Vlood Barrier) 구성세포 및 바이러스 벡터 준비
인간에서의 ANKS1A-A355D 변이체 역할확인을 위하여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를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뇌혈관 장벽(Brain Vlood Barrier) 구성세포를 도 6에 나타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22살 정상 백인여성의 B 림프구 세포로부터 유래된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GM23720 세포주를 미국 Coriell 연구소에서 구매하여 준비하였다. 이어서, 도 6과 같이 확립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GM23720 세포주를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뇌혈관 세포 (iEC),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혈관주위세포 (iPC),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별아교세포 (iAS)로 분화시켰다. 뇌혈관 세포 (brain endothelial cell), 혈관주위세포 (pericyte), 별아교세포 (astrocyte)는 뇌혈관 장벽의 구성세포이다.
이렇게 준비한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세포주들이 각각의 분화특징을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먼저, 분화시킨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뇌혈관 세포 (iECs)를 Glut1 또는 CD144로 염색 (green)하고 혈관 세포 마커인 ZO-1 (red)으로 같이 염색하여 공초첨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iEC 세포들은 뇌혈관 세포들에서 발현할 것으로 기대되는 마커들을 잘 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7). 이어서 RNA sequencing을 수행하여 뇌혈관 세포에서 발현하는 여러 유전자가 발현하고 있으며, 혈관주위세포나 별아교세포에서 발현하는 유전자가 상대적으로 적게 발현하는지 확인하였다 (도 8).
또,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혈관주위세포 (iPCs)를 SMA 항체와 SM22 항체로 같이 염색하여 공초첨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iPC 세포들은 혈관주위 세포들에서 발현할 것으로 기대되는 두 가지 마커를 모두 잘 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7). 이어서, RNA sequencing을 수행하여 혈관주위 세포에서 발현하는 여러 유전자가 발현하고 있으며, 뇌혈관세포나 별아교세포에서 발현하는 유전자가 상대적으로 적게 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9).
마지막으로,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별아교세포 (iASs)를 AQP4 항체와 S100β 항체로 같이 염색하여 공초첨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iAS 세포들은 별아교세포에서 발현할 것으로 기대되는 두 가지 마커를 모두 잘 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7). 이어서, RNA sequencing을 수행하여 별아교 세포에서 발현하는 여러 유전자가 발현하고 있으며, 혈관주위세포나 뇌혈관세포에서 발현하는 유전자가 상대적으로 적게 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0).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세포로부터 인간 뇌혈관 장벽의 구성세포가 적절히 분화되어 준비되었다.
이렇게 준비된 뇌혈관 장벽 구성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세포들을 각각 배양하면서 뇌혈관에 특이적으로 감염하는 AAV2-GFP 바이러스를 넣어주었다. 약 10일 이후 세포들을 고정한 후 형광 현미경으로 GFP 발현을 분석한 결과, 먼저 iAS 세포는 거의 GFP를 발현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으며 (도 11, 세 번째 패널), iPC 세포보다는 iEC 세포에서 두 배 이상 많은 세포가 GFP 발현을 보였다 (도 11, 첫 번째와 두 번째 패널 비교). 이로부터 본 실험에 사용된 AAV2 바이러스가 인간 뇌혈관 세포에 특이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3-2. 인간 뇌혈관 세포에서 ANKS1A-A355D 변이체에 의해 LRP1의 세포막 수송이 저하됨을 확인
정상적인 ANKS1A 유전자를 가지는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이용하여 sgRNA와 CRISPR (clustered, regular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Cas9 시스템을 이용하여 ANKS1A 유전자가 넉아웃된 세포주를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ANKS1A 유전자 내의 엑손 3의 염기서열을 타겟하여 뉴클레오티드 A를 삽입하여 ANKS1A 틀 이동 돌연변이 (frameshift mutation)를 유도하였다 (도 12). 도 12의 서열 중 초록색 글자는 sgRNA 표적서열의 PAM(protospacer adjacent motif) 부위를 나타낸다. 웨스턴 블롯팅을 사용하여 ANKS1A 넉아웃 세포주에서 ANKS1A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13).
준비된 정상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주와 ANKS1A 넉아웃 세포주를 뇌혈관 세포로 각각 분화시킨 후, 세포 표면에 있는 LRP1 수용체 단백질을 인식하는 항체 (붉은색)와 혈관 특이적 항체 ZO-1 (하얀색)으로 같이 염색하였고, 세포핵은 DAPI(4',6-diamidino-2-phenylindole) 염색하였다. 공초점 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정상 세포와 다르게 ANKS1A 넉아웃 세포에서는 뇌 혈관 세포 표면의 LRP1 레벨이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14, 1, 2번 패널 비교). 이어서, 사용된 ANKS1A 넉아웃 세포 두 배지를 준비하고, 하나는 뇌혈관 특이적 바이러스 벡터에 ANKS1A 유전자를 탑재한 재조합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ANKS1A 유전자를 도입하였고, 다른 하나에서는 뇌혈관 특이적 바이러스 벡터에 ANKS1A-A355D 돌연변이를 탑재한 재조합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ANKS1A-A355D 돌연변이를 도입하였다. 세포 표면의 LRP1 레벨을 다시 관찰하였다. 그 결과, ANKS1A 넉아웃 세포에 ANKS1A 유전자를 재도입한 뇌 혈관 세포의 표면 LRP1 레벨은 다시 정상으로 복구되었다 (도 14, 3번 패널). 반면에, ANKS1A 넉아웃 세포에 ANKS1A-A355D 돌연변이를 재도입한 뇌 혈관 세포의 표면 LRP1 레벨은 정상으로 복구되지 않았다 (도 14, 4번 패널).
한편, 정상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주에서 분화된 것, ANKS1A 넉아웃 세포주에서 분화된 것, ANKS1A 넉아웃 세포주에서 분화된 후 ANKS1A 유전자가 재도입된 것, ANKS1A 넉아웃 세포주에서 분화된 후 ANKS1A-A355D 돌연변이가 도입된 것 각각의 뇌혈관 세포에 대해 세포 표면에 있는 LRP1 수용체 단백질을 인식하는 항체인 재조합 Anti-LRP1 항체(EPR3724) (붉은색) (상업적으로 입수) 와 소포체 마커인 칼레귤린(Calregulin) 항체 염색을 하여 공초점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ANKS1A 넉아웃 세포와 ANKS1A-A355D를 감염시킨 ANKS1A 넉아웃 세포에서는 LRP1이 상대적으로 소포체에 많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4, 2, 4번 패널들).
상기 결과를 표면 LRP1 레벨 (도 15, a) 및 소포체 응집화정도 (colocalization) (도 15, b)로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인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로부터, ANKS1A-A355D 변이체는 정상 ANKS1A 단백질과 달리 LRP1의 소포체에서 세포막으로의 수송을 유도할 수 없는 기능 소실 돌연변이 (loss-of-function mutant)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ANKS1A-355D 유전자 동정 전략
4-1. ANKS1A-355D 유전자 돌연변이의 확인
정상 ANKS1A 단백질 대신 ANKS1A-A355D 변이체를 발현하는 돌연변이 세포주를 CRISPR/CAS9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인간의 정상 ANKS1A 유전자의 엑손 8은 (도 16, 붉은색 문자)은 197bp로 구성되어 있으며(서열번호 2), GCT (붉은색 볼드체)가 GAT로 치환되면, ANKS1A 단백질 355번째 아미노산 서열의 알라닌(A)이 아스파틱산(D)으로 바뀌어 발현된다.
ANKS1A-A355D를 발현하는 돌연변이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RNA를 추출하고 RT-PCR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PCR 프라이머를 다음과 같이 디자인하였다. (표 1 및 도 16 밑줄친 부분)
프라이머 name 서열 (5'→3') position
A1F1 (정방향 프라이머) GAGCGCGGGTGACTAAAGA (서열번호 3) Intron 7 말단
A1R1 (역방향 프라이머) TAAGCCCCGGGTCACATAC (서열번호 4) Intron 8 시작부분
이렇게 해서 얻은 315bp PCR 산물에 대하여 직접 Sanger DNA sequencing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17에 나타내었다. 와일드타입 (WT) 세포주에서는 GCT가 잘 나타났고 (도 17, a), 이종 접합체 (heterozygous allele)를 가진 세포주에서는 GCT/GAT가 모두 나타났고 (도 17, b), 동종 접합체 (homozygous allele)을 가진 세포주에서는 GAT만 검출되었다 (도 17, c).
4-2. ANKS1A-355D 유전자 돌연변이의 확인
조기 발병 알츠하이머 환자 39명의 혈액 샘플에 대하여 전장 엑솜 시퀀싱 검사 (whole exome sequencing)를 수행하였다. 조기 발병 알츠하이머병 (EOAD; Early Onset Alzheimer's Disease)은 알츠하이머형 치매 중에서도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65세 이후에 발병하는 경우는 후기 발병 알츠하이머병 (LOAD; Late Onset Alzheimer's Disease)이다. 전장 엑솜 시퀀싱 검사를 통해 환자에게서 ANKS1A-A355D 과오 돌연변이를 발견하였으며, 모두 이형 접합 대립인자 (heterozygous allele)로 발견되었다. 즉, 대립 유전자 중 하나만 A355D 점 돌연변이를 갖고 있고 다른 하나는 정상 대립 유전자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를 통해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는 정상적인 ANKS1A 단백질과 달리 LRP1 수용체의 세포 표면 발현을 유도하지 못하는 기능소실 돌연변이 단백질임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ANKS1A-A355D 발현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뇌 혈관에서 베타 아밀로이드 펩티드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여 혈관 주변에 독성 펩티드가 증가하게 되어 알츠하이머 질병으로 진행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환자의 혈액 샘플에서 ANKS1A-A355D 돌연변이를 동정하여 확인된 경우, 알츠하이머 질병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위험환자를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NKS1A-A355D 돌연변이는 혈액 샘플로부터 DNA 추출 및 DNA sequencing을 수행하여 동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태양 및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상기 실시태영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8)

  1.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ANKS1A-A355D 돌연변이인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상기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인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ANKS1A-A355D 돌연변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쌍 또는 ANKS1A-A355D 돌연변이와 혼성화할 수 있는 프로브인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쌍은 서열번호 3 및 4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인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 질환은 알츠하이머 질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표준 PCR 키트, qPCR(quantitative PCR) 키트, DNA 칩 키트,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단백질 칩 키트 또는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키트에서 선택되는 것인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 질환은 알츠하이머 질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뇌 질환 진단용 키트.
  10. 개체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시료 중의 표적 유전자를 증폭시키는 단계; 및
    ANKS1A-A355D 돌연변이의 존재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유전자를 증폭시키는 단계는 ANKS1A-A355D 돌연변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쌍 또는 ANKS1A-A355D 돌연변이와 혼성화할 수 있는 프로브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퇴행성 뇌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은 표준 PCR, qPCR(quantitative PCR), 디지털 PCR, 등온 PCR(Isothermal PCR), DNA 칩, DNA FISH(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퇴행성 뇌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NKS1A-A355D 돌연변이의 존재를 판별하는 단계는 유전자 증폭 산물의 시퀀싱(sequencing)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전자 변이를 분석하여 이루어지는 퇴행성 뇌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 질환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슨 병, 헌팅턴 병,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아밀로이드성 뇌졸증(stroke), 전신성 아밀로이드병, 더취(Dutch) 형 아밀로이드증, 니만-픽병, 노인성 치매, 루이 소체 치매(Lewy Body Dementia), 및 전두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 질환은 알츠하이머 질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혈액인 퇴행성 뇌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7. 알츠하이머 질병의 진단용 바이오 마커로서,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ANKS1A-A355D 돌연변이.
  18. 알츠하이머 질병의 진단용 바이오 마커로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ANKS1A-A355D 단백질 변이체.
KR1020220102362A 2022-08-17 2022-08-17 Anks1a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이용한 알츠하이머 질병 진단 방법 KR20240025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362A KR20240025073A (ko) 2022-08-17 2022-08-17 Anks1a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이용한 알츠하이머 질병 진단 방법
PCT/KR2022/019003 WO2024038967A1 (ko) 2022-08-17 2022-11-28 Anks1a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이용한 알츠하이머 질병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362A KR20240025073A (ko) 2022-08-17 2022-08-17 Anks1a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이용한 알츠하이머 질병 진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073A true KR20240025073A (ko) 2024-02-27

Family

ID=8994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362A KR20240025073A (ko) 2022-08-17 2022-08-17 Anks1a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이용한 알츠하이머 질병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5073A (ko)
WO (1) WO20240389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3834B2 (en) * 2009-07-29 2016-11-15 Pharnext Method for detecting a panel of biomarkers
KR101592854B1 (ko) * 2014-06-03 2016-02-12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Anks1a 단백질을 포함하는 뇌수종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KR102063610B1 (ko) * 2018-05-23 2020-01-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퇴행성 신경질환 진단용 신규한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8967A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64636A1 (en) Mammalian oocyte development competency granulosa markers and uses thereof
JP2013521829A (ja) 嚢胞性線維症に関連する突然変異
JP4541429B2 (ja) アルツハイマー病の診断スクリーニング
KR20190031072A (ko) 리포칼린-2를 이용한 혈관성 치매의 진단방법
KR101992060B1 (ko) 알츠하이머치매 진단 체액 바이오마커 후보 단백4종
KR20100044793A (ko)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cd44 접목 변이체들
US20130012604A1 (en) Methods of using prdm1 genetic variants to prognose, diagnose and treat inflammatory bowel disease
EP2297325A1 (en) Methods of stratifying, prognosing and diagnosing schizophrenia, mutant nucleic acid molecules and polypeptides
US20120190577A1 (en) Processes and methods for diagnosis of alzheimer&#39;s disease
KR20240025073A (ko) Anks1a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이용한 알츠하이머 질병 진단 방법
EP2521919B1 (en) Method for diagnosing and monitoring schizophrenia and tauopathies
US2022007495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Detect Non-Coeliac Gluten Sensitivity
US11041205B2 (en) Molecular targets for ALS and related disorders
JP2014193155A (ja) アトピー性疾患の発症又は重症化リスクの評価法
TWI449911B (zh) 免疫球蛋白a型腎小球腎炎之分子標記及其應用
US20040241694A1 (en) Diagnostic and therapeutic use of f-box proteins for alzheimer&#39;s disease and relate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JP2007517494A5 (ko)
Bonawitz Gene Expression Analysis in Neurons throughout Late-Onset Alzheimer’s Disease Pathological Progression
US20040157225A1 (en) Diagnostic and therapeutic use of a nuclear restricted protein for alzheimer&#39;s disease and relate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KR20240050158A (ko) 복막 섬유화 제어를 위한 타깃물질 리스트 발굴
CN115058512A (zh) 铁死亡相关基因在鉴定缺血性脑卒中的应用
CN117535393A (zh) 颅内钙化的药物靶标及其应用
US20080318221A1 (en) Method for the diagnosis and/or prognosis of alzheimer&#39;s disease
ITRM20060545A1 (it) Biomarkers per la sclerosi laterale amiotropica sla e loro u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