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517A -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 Google Patents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4517A
KR20240024517A KR1020220102600A KR20220102600A KR20240024517A KR 20240024517 A KR20240024517 A KR 20240024517A KR 1020220102600 A KR1020220102600 A KR 1020220102600A KR 20220102600 A KR20220102600 A KR 20220102600A KR 20240024517 A KR20240024517 A KR 20240024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unit
frame
protrusion
cush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철
이원일
정요석
Original Assignee
(주)레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드이엔지 filed Critical (주)레드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10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4517A/ko
Publication of KR20240024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은, 충전용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시스템의 구성 부품을 지지하기 위해 이동유닛에 설치되는 지지유닛에 구비되어 고정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으로서, 상기 지지유닛의 단위프레임 내측에 상기 단위프레임의 외면에서 개방되도록 상기 단위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커넥터 홀을 갖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홀에 대응하는 쿠션부재 홀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단위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CONNECTOR UNIT FOR SUPPORT UNIT OF MOBIL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ND SUPPORT UNI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용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시스템의 구성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에 구비되어 부품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전기차의 보급이 급증하면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의 보급도 확대되고 있다. 전기차용 충전기로는 교류 완속 충전기와, 직류 급속 충전기가 있다.
교류 완속 충전기는 전기차를 충전하는데 수 시간이 소요되므로 주로 가정에서 개인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반해, 직류 급속 충전기는 전기차를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 충전소나 공공장소에서 주로 사용된다.
최근 전기차용 충전 인프라 구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주유소나 차량용 가스 충전소에 비해 충전 설비의 수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 그리고 직류 급속 충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더라도 충전 시간에 수십분이 소요되므로, 전기차의 운전자는 장거리 운전 중에 충전소의 위치를 미리 확인하여 운행 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다. 특히, 전기차의 운행 중 냉난방장치 등 전력을 소모하는 장치의 사용량에 따라 전기차의 전력 소모량은 예측이 불가능하므로, 전기차의 운전자는 전기차의 운행 중에 충전소의 위치를 감안하여 전기차의 충전 시점을 결정해야 한다.
한편, 전기차가 방전으로 인해 운행이 불가능한 경우, 방전된 전기차를 견인하여 충전소로 이동시켜서 전기차를 충전한 후 운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일반 가솔린이나 디젤 차량의 경우 연료가 떨어져 운행이 불가능하면, 비상 서비스차량이 차량 운행에 필요한 일정량의 연료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지만 전기차는 그러한 서비스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식으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이동식 충전장치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동식 충전장치는 차량에 배터리팩과 전력변환기를 설치한 것으로, 전기차의 충전이 필요한 다양한 장소로 이동하여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용성있는 이동식 충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배터리팩이나 전력변환기 등의 구성 부품을 차량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술, 이동 중 구성 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기술, 배터리팩이나 전력변환기 등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하는 기술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2022-0091682호 (2022. 07. 0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충전용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시스템의 구성 부품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유닛에 고정부재와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고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은, 충전용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시스템의 구성 부품을 지지하기 위해 이동유닛에 설치되는 지지유닛에 구비되어 고정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으로서, 상기 지지유닛의 단위프레임 내측에 상기 단위프레임의 외면에서 개방되도록 상기 단위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커넥터 홀을 갖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홀에 대응하는 쿠션부재 홀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단위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와 상기 쿠션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와 상기 쿠션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 홀과 상기 쿠션부재 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홀을 구비하며, 상기 쿠션부재보다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바디; 및 상기 커넥터 바디의 중앙 부분에서 돌출되는 커넥터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쿠션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바디; 및 상기 커넥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돌출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재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 바디 및 상기 연결부재 돌출부가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단위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 돌출부 전체와 상기 연결부재 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프레임홈 속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은, 상기 커넥터와 상기 쿠션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 홀과 상기 쿠션부재 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홀을 구비하며, 상기 쿠션부재보다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바디; 및 상기 커넥터 바디의 중앙 부분에서 돌출되는 커넥터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단위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쿠션부재 바디; 및 상기 연결부재 홀 속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 돌출부의 외면과 상기 연결부재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쿠션부재 바디의 중앙 부분에서 돌출되는 쿠션부재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돌출부와, 상기 쿠션부재 돌출부는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쿠션부재 돌출부는 상기 커넥터 돌출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쿠션부재 돌출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형 링 형상의 연결부재 바디; 및 상기 커넥터 돌출부의 외면 및 상기 쿠션부재 돌출부의 끝단과 접하도록 상기 연결부재 바디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쿠션부재 돌출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내부 림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 바디는 상기 쿠션부재 돌출부를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프레임홈 속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는, 상기 커넥터 돌출부와 동심원을 이루는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외곽 부분이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단위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단위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부에 접하여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커넥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바디는 그 폭이 상기 프레임홈의 최소 폭보다 작고 그 길이가 상기 프레임홈의 최소 폭보다 크되, 상기 프레임홈 속에서 상기 단위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넥터 바디의 길이 방향 끝단에 상기 레일부에 접하는 슬라이딩 접촉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은, 상기 커넥터와 상기 쿠션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 홀과 상기 쿠션부재 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홀을 구비하며, 상기 쿠션부재보다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중앙 부분에서 돌출되는 커넥터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쿠션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바디; 및 상기 커넥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돌출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재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 바디 및 상기 연결부재 돌출부가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단위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 돌출부 전체와 상기 연결부재 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프레임홈 속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바디와 상기 연결부재 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프레임홈 속에서 회전이 구속되도록 비원형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은, 충전용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시스템의 구성 부품을 지지하기 위해 이동유닛에 설치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으로서,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유닛 바디에 대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프레임; 및 고정부재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단위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넥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유닛은,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단위프레임의 외면에서 개방되도록 상기 단위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커넥터 홀을 갖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홀에 대응하는 쿠션부재 홀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단위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은 충전시스템의 구성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에 구비되어 부품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와 안정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와 함께 다른 부품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은 지지유닛을 구성하는 단위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는 쿠션부재가 단위프레임에 고정되는 부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에 대한 고정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충격 발생시 쿠션부재가 충격을 완충하여 부품이 받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은 쉽게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로 단위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와 더욱 안정적으로 맞물릴 수 있고, 부품 고정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충전시스템이 지지유닛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단위프레임에 커넥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단위프레임에 커넥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커넥터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유닛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커넥터유닛이 단위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유닛이 단위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커넥터유닛이 단위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유닛이 단위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커넥터유닛을 단위프레임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커넥터유닛을 단위프레임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을 구성하는 고정프레임이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을 구성하는 고정프레임이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고정프레임을 지지프레임에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7은 고정프레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고정프레임의 기둥프레임과 고정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9는 충전시스템의 배터리팩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프레임이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을 구성하는 완충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1은 완충유닛이 지지프레임의 단위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2는 완충유닛이 지지프레임의 단위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충전시스템이 지지유닛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100)는 이동유닛(200)과, 충전용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이동유닛(200)에 설치되는 충전시스템(300)과, 충전시스템(300)을 이동유닛(200)에 결합하기 위한 지지유닛(400)과, 충전시스템(30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 공급관(750)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100)는 다양한 장소 또는 위치로 이동하여 전기차에 충전용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동유닛(200)은 이동유닛 바디(210)와, 이동유닛 바디(210)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22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이동유닛(200)이 승용차나 승합차, 트럭 등 엔진이나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차량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동유닛(200)은 엔진이나 구동모터를 구비하지 않고 다른 차량에 연결되어 견인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유닛 바디(210)에는 이동유닛 바디(210)의 실내 공간을 냉방하기 위한 냉방유닛(230)이 설치된다. 냉방유닛(230)에는 냉방유닛(230)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이동유닛 바디(210)의 실내 공간 등으로 공급하기 위한 냉방배관(240)이 연결된다. 냉방배관(240)에는 냉기가 통과할 수 있는 냉기 공급관(750)이 연결되고, 냉기 공급관(750)이 냉방배관(240)을 통과하는 냉기를 충전시스템(300)의 구성 부품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충전시스템(300)의 구성 부품으로는 배터리팩(310)과, 전력변환기(320)와, 충전유닛(330)이 있다. 배터리팩(310)은 복수 개가 지지유닛(400)에 장착될 수 있다. 전력변환기(320)는 복수의 배터리팩(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력변환기(320)는 배터리팩(310)과 충전유닛(330) 사이에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전력변환기(320)는 배터리팩(3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차 충전에 적합한 전력으로 변환하여 충전유닛(33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력변환기(320)는 가정 등에서 공급받는 전력을 배터리팩(310)을 충전하기에 적합한 전력을 변환하여 배터리팩(310)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팩(310)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유닛(330)에는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 포트(331)가 구비된다. 이들 충전시스템(300)의 구성 부품은 냉기 공급관(750)을 통해 냉방유닛(230)의 냉기를 공급받아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충전시스템(300)의 구성 부품은 지지유닛(400)에 지지된다.
지지유닛(400)은 이동유닛 바디(210)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410)(415)과, 충전유닛(330)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프레임(410)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450)과, 배터리팩(310)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프레임(410)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480)과, 지지프레임(410)(415)과 고정프레임(450)(480)에 결합되는 복수의 커넥터유닛(490)과, 지지프레임(410)(415)과 이동유닛 바디(210)를 연결하는 복수의 완충유닛(6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하나의 지지프레임(410)은 충전유닛(330)과 배터리팩(3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의 지지프레임(415)은 전력변환기(3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프레임(410)(415)은 복수의 단위프레임(420)이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다. 복수의 단위프레임(420)은 이동유닛 바디(210)의 바닥면(211)에 대해 세워지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대(441)와, 세로대(44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세로대(441)를 연결하는 복수의 가로대(443)(444)로 구분될 수 있다. 세로대(441)와 가로대(443)(444)는 배치 방향만 차이가 있을 뿐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세로대(441)와 가로대(443)(444)는 고정부재(71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가로대(443)(444) 중 이동유닛 바디(210)의 바닥면(211)에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것을 베이스 가로대(443)라 명하고, 베이스 가로대(443)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서브 가로대(444)라 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 가로대(443)는 완충유닛(600)과 결합되어 이동유닛 바디(210)의 바닥면(21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도면에는 세로대(441)가 이동유닛 바디(210)의 바닥면(211)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되고, 가로대(443)(444)가 이동유닛 바디(210)의 바닥면(211)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세로대(441)와 가로대(443)(444)의 배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위프레임(420)은 이웃하는 것끼리 수직을 이루는 네 개의 외면(421)을 갖는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단위프레임(420)의 중심부에는 센터 홀(423)이 형성된 센터부(422)가 구비된다. 센터 홀(423)은 단위프레임(4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단위프레임(420)의 양쪽 단부로 개방된다. 센터부(422)의 주위에는 네 개의 프레임홈(424)이 형성된다. 프레임홈(424)은 센터 홀(423)과 평행하게, 즉 단위프레임(4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프레임홈(424)은 외면(421)에서 개방되도록 외면(421)으로부터 센터부(422) 쪽으로 일정 깊이로 파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프레임홈(424)은 센터 홀(423)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여 외면(421)에서 개방되는 외부홈(425)과, 센터 홀(423)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내부홈(426)과, 외부홈(425)와 내부홈(426)을 연결하는 연결홈(427)를 포함한다. 내부홈(426)은 커넥터유닛(490)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외면(421)과 센터부(422) 사이에는 한 쌍의 내부 돌기(431)가 상호 마주하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내부 돌기(431)는 연결홈(427)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내부 돌기(431)는 단위프레임(42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커넥터유닛(49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커넥터유닛(490)은 일부분이 단위프레임(420)의 내면에 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단위프레임(420)의 내면 중에서 커넥터유닛(490)이 접하는 내면은 외면(421)과 내부 돌기(431)를 연결하도록 외면(421)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내측 수직면(429)과, 내측 수직면(429)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내부 돌기(431)의 제 1 내부 돌기 표면(432)과, 제 1 내부 돌기 표면(432)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내부 돌기(431)의 제 2 내부 돌기 표면(433)과, 제 2 내부 돌기 표면(433)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내부 돌기(431)의 제 3 내부 돌기 표면(434)이다.
단위프레임(42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단위프레임(420)은 도시된 구성 이외에, 커넥터유닛(490)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프레임홈(424)이 형성된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커넥터유닛(490)은 단위프레임(420)의 프레임홈(42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커넥터(491)와, 적어도 일부분이 단위프레임(420)의 외면(42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커넥터(491)와 결합되는 쿠션부재(495)를 포함한다.
커넥터(491)의 중간 부분에는 고정부재(710)가 삽입될 수 있는 커넥터 홀(492)이 커넥터(49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커넥터 홀(492)은 부품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7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710)가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커넥터 홀(492)은 고정부재(710)가 맞물릴 수 있는 나사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터(491)는 커넥터 바디(493)와, 쿠션부재(495)와 결합되도록 커넥터 바디(493)의 중간 부분에서 돌출되는 커넥터 돌출부(494)를 포함한다.
쿠션부재(495)는 고무 등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쿠션부재(495)는 고정부재(7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커넥터 홀(492)에 대응하는 쿠션부재 홀(496)을 갖는다. 쿠션부재(495)는 단위프레임(420)의 외면(421)으로부터 돌출되는 쿠션부재 바디(497)와, 커넥터 돌출부(494)와 결합되도록 쿠션부재 바디(497)로부터 돌출되는 쿠션부재 돌출부(498)를 포함한다. 쿠션부재 돌출부(498)에는 커넥터 돌출부(494)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499)이 형성된다. 쿠션부재(495)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커넥터(491)와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유닛(490)은 지지프레임(410)(415)을 구성하는 단위프레임(420), 또는 고정프레임(480)을 구성하는 단위프레임(451)에 결합되어 고정부재(710)와 맞물림으로써 지지유닛(400)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 또는 지지유닛(400)에 결합되는 다양한 부품을 고정부재(710)와 함께 고정할 수 있다.
부품이 고정부재(710)와 커넥터유닛(490)에 의해 단위프레임(420)에 고정될 때 쿠션부재(495)가 부품에 밀착되어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부품이 더욱 안정적으로 단위프레임(4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100)가 이동 중에 충격을 받는 경우, 쿠션부재(495)가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부품이 받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커넥터유닛(490)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커넥터유닛(510)은 복수의 레그(511)를 더 포함한다. 레그(511)는 단위프레임(420)의 센터부(422)에 접할 수 있도록 커넥터 바디(493)에 결합된다. 레그(511)는 아치형으로 굽은 판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유닛(510)은 단위프레임(420)의 프레임홈(424)에 삽입된 상태에서 복수의 레그(511)가 센터부(422)에 접함으로써 쉽게 움직이거나 기울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유닛(510)은 커넥터 홀(492)이 단위프레임(420)의 외면(421)과 수직을 이루는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유닛(510)은 커넥터 홀(492)이 단위프레임(420)의 외면(421)과 수직을 이루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단위프레임(42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커넥터유닛(520)은 커넥터(491)와, 쿠션부재(521)와, 연결부재(524)를 포함한다. 연결부재(524)는 커넥터(491)와 쿠션부재(521) 사이에 배치되어 커넥터(491)와 쿠션부재(521)를 연결한다. 연결부재(524)는 플라스틱 등 쿠션부재(521)보다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524)에는 고정부재(7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커넥터(491)의 커넥터 홀(492)과 쿠션부재(521)의 쿠션부재 홀(52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홀(525)이 형성된다. 연결부재(524)는 쿠션부재(521)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바디(526)와, 연결부재 바디(526)의 중간 부분에서 돌출되는 연결부재 돌출부(527)를 포함한다. 연결부재 돌출부(527)에는 커넥터(491)의 커넥터 돌출부(494)가 삽입되는 삽입홈(528)이 형성된다. 연결부재 돌출부(527)는 커넥터 돌출부(494)의 표면을 덮으면서 단위프레임(420)의 내부 돌기(431)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524)는 단위프레임(420)의 내면에 접하여 단위프레임(42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재(524)는 단위프레임(420)의 내측 수직면(429)과 내부 돌기(431)의 제 1 내부 돌기 표면(432) 및 제 2 내부 돌기 표면(433)에 접함으로써 쿠션부재(521)가 단위프레임(420)에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결부재(524)는 쿠션부재(521)가 단위프레임(420)에 접하는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쿠션부재(521)를 커넥턱(491)에 결합할 수 있다.
연결부재(524)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쿠션부재(521)와 결합될 수 있고,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법이나 억지 끼워맞춤 등 다양한 방법으로 커넥터(491)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유닛(520)은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높은 쿠션부재(521)가 단위프레임(420)에 접하는 면적이 최소화되고,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낮은 연결부재(524)가 단위프레임(420)에 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단위프레임(420)에서 더욱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커넥터유닛(530)은 내측에 레일부(551)가 형성된 단위프레임(550)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단위프레임(550)의 레일부(551)는 단위프레임(550)의 내부홈(42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이 내부홈(426) 속에 홈 형태로 배치된다. 커넥터유닛(530)은 커넥터(531)와, 쿠션부재(536)와, 커넥터(531)와 쿠션부재(536)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42)를 포함한다.
커넥터(531)에는 고정부재(710)가 삽입될 수 있는 커넥터 홀(532)이 형성된다. 커넥터(531)는 커넥터 바디(533)와, 쿠션부재(536)와 결합되도록 커넥터 바디(533)로부터 돌출되는 커넥터 돌출부(534)를 포함한다. 커넥터 바디(533)와 커넥터 돌출부(534)는 모두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커넥터 돌출부(534)는 커넥터 바디(533)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커넥터 바디(533)의 중심부에서 돌출된다.
쿠션부재(536)는 커넥터 홀(532)에 대응하는 쿠션부재 홀(537)을 갖는다. 쿠션부재(536)는 쿠션부재 바디(538)와, 커넥터 돌출부(534)와 결합되도록 쿠션부재 바디(538)로부터 돌출되는 쿠션부재 돌출부(539)를 포함한다. 쿠션부재 돌출부(539)에는 커넥터 돌출부(534)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540)이 형성된다.
연결부재(542)는 커넥터(531)와 쿠션부재(536)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부재(542)는 플라스틱 등 쿠션부재(536)보다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542)에는 커넥터(531)의 커넥터 홀(532)과 쿠션부재(536)의 쿠션부재 홀(537)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홀(543)이 형성된다. 연결부재(542)는 쿠션부재 돌출부(539)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형 링 형상의 연결부재 바디(544)와, 연결부재 바디(544)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결부재 바디(544)의 한쪽 끝단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내부 림(545)을 포함한다. 내부 림(545)은 쿠션부재 돌출부(539)의 내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542)는 커넥터 돌출부(534)가 삽입된 쿠션부재 돌출부(539)의 외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커넥터(531)와 쿠션부재(536)를 결합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부재(542)가 커넥터(531)와 쿠션부재(536)를 결합할 때 내부 림(545)은 커넥터 돌출부(534)의 외면 및 쿠션부재 돌출부(539)의 끝단과 접할 수 있다. 연결부재(542)는 단위프레임(550)의 내면에 접하도록 단위프레임(550)의 프레임홈(424) 속에 배치되어 단위프레임(55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재(542)는 쿠션부재 돌출부(539)의 외면을 감싸면서 단위프레임(550)의 내측 수직면(429)과 내부 돌기(431)의 제 1 내부 돌기 표면(432)에 접함으로써 쿠션부재 돌출부(539)를 단위프레임(55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유닛(530)은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높은 쿠션부재(536)가 단위프레임(550)에 접하는 면적이 최소화되고,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낮은 연결부재(542)가 단위프레임(550)에 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단위프레임(550)에서 더욱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유닛(530)은 쿠션부재 돌출부(539)가 커넥터 돌출부(534)의 외면을 감싸고 연결부재(542)가 쿠션부재 돌출부(539)의 외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연결부재(542)가 커넥터(531)와 쿠션부재(536)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나 다른 고정수단의 사용없이 커넥터(531)와 쿠션부재(536)의 결합이 가능하며,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유닛(530)은 원형 프로파일을 갖는 커넥터(531)가 단위프레임(550)의 레일부(551)에 맞물리도록 단위프레임(550)에 결합됨으로써, 단위프레임(5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움직이거나 기울어지지 않는다. 즉 커넥터유닛(530)은 커넥터 홀(492)이 단위프레임(550)의 외면(421)과 수직을 이루는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단위프레임(55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는 레일부(551)가 홈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레일부(551)는 커넥터(531)를 단위프레임(55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부(551)의 형태에 따라 커넥터(531)는 레일부(551)와 맞물릴 수 있는 다른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커넥터유닛(560)은 내측에 레일부(581)가 형성된 단위프레임(580)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단위프레임(580)의 레일부(581)는 단위프레임(580)의 내부홈(42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이 단위프레임(580)의 내측에 돌기 형태로 배치된다. 단위프레임(580)의 프레임홈(424) 속에는 커넥터유닛(56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지돌기(582)가 배치된다. 지지지돌기(582)는 단위프레임(58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나의 프레임홈(424) 속에는 하나의 커넥터유닛(560)을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지지지돌기(582)가 이격 배치된다. 이들 한 쌍의 지지지돌기(582)는 커넥터유닛(560)의 커넥터 홀(562) 폭보다 크고, 커넥터(561)의 폭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좋다. 커넥터유닛(560)은 커넥터(561)와, 쿠션부재(568)와, 커넥터(561)와 쿠션부재(568)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71)를 포함한다.
커넥터(561)에는 고정부재(710)가 삽입될 수 있는 커넥터 홀(562)이 형성된다. 커넥터(561)는 커넥터 바디(563)와, 커넥터 바디(563)로부터 돌출되는 커넥터 돌출부(566)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커넥터 돌출부(566)가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커넥터 돌출부(566)는 연결부재(571)와 맞물릴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커넥터 바디(563)는 폭(W)보다 길이(L)가 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커넥터 바디(563)의 길이 방향 양쪽 끝단에는 레일부(581)와 맞물리는 홈 형태의 맞물림부(564)가 형성되고, 맞물림부(564) 속에는 레일부(581)에 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접촉부(565)가 구비된다. 맞물림부(564)와 슬라이딩 접촉부(565)는 원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커넥터 바디(563)의 폭(W)은 단위프레임(580)의 프레임홈(424)의 최소 폭(Wm)보다 작고, 커넥터 바디(563)의 길이(L)는 프레임홈(424)의 최소 폭(Wm)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홈(424)의 최소 폭(Wm)은 프레임홈(424) 속에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내부 돌기(431) 사이의 거리와 같다. 또한 커넥터 바디(563)의 길이(L)는 커넥터 바디(563)가 프레임홈(424) 속에서 단위프레임(58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가상의 축(S)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크기이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커넥터(561)는 단위프레임(580)의 외면(421)으로부터 프레임홈(424) 속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도 12의 (a) 및 도 13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커넥터(561)는 그 길이 방향이 프레임홈(424)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프레임홈(424)과 나란하게 놓인 상태에서 단위프레임(580)의 외면(421)으로부터 프레임홈(424) 속으로 진입할 수 있다. 커넥터(561)가 프레임홈(424) 속에 삽입될 때 단위프레임(580)의 지지돌기(582)가 커넥터(561)에 접하여 커넥터(561)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561)는 프레임홈(424) 속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2의 (b) 및 도 13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프레임홈(424) 속에 삽입된 커넥터(561)는 단위프레임(58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가상의 축(S)을 중심으로 대략 90도 회전됨으로써 레일부(581)와 맞물릴 수 있다. 즉 커넥터(561)는 맞물림부(564)에 레일부(581)가 삽입되고 슬라이딩 접촉부(565)가 레일부(581)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레일부(581)와 맞물릴 수 있다. 맞물림부(564)와 슬라이딩 접촉부(565)가 원호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커넥터(56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접촉부(565)는 레일부(581)와 큰 마찰없이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쿠션부재(568)는 커넥터 홀(562)에 대응하는 쿠션부재 홀(569)을 갖는다. 쿠션부재(568)는 단위프레임(580)의 외면(42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571)는 커넥터(561)와 쿠션부재(568)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부재(571)는 플라스틱 등 쿠션부재(568)보다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571)에는 커넥터(561)의 커넥터 홀(562)과 쿠션부재(568)의 쿠션부재 홀(569)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홀(572)이 형성된다. 연결부재(571)는 연결부재 바디(573)와, 연결부재 바디(573)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재 돌출부(574)를 포함한다. 연결부재 돌출부(574)의 내측에는 커넥터 돌출부(566)가 삽입되는 삽입홈(575)이 형성된다. 연결부재 바디(573)와 연결부재 돌출부(574)는 프레임홈(424) 속에서 회전이 구속되도록 비원형의 프로파일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 바디(573)는 사각 프로파일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져 프레임홈(424)의 외부홈(425)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위프레임(58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가상의 축(S)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다. 즉 연결부재 바디(573)는 그 외면이 단위프레임(580)의 내측 수직면(429)과 간섭됨으로써 프레임홈(424) 속에서 회전할 수 없다. 또한 연결부재 돌출부(574)는 사각 프로파일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져 프레임홈(424)의 연결홈(427)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위프레임(58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가상의 축(S)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다. 즉 연결부재 돌출부(574)는 그 외면이 단위프레임(580)의 내부 돌기(431)와 간섭됨으로써 프레임홈(424) 속에서 회전할 수 없다.
연결부재(571)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쿠션부재(568)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571)는 커넥터(561)가 단위프레임(580)에 결합된 후 커넥터(561)와 결합되어 커넥터(56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커넥터(561)가 레일부(581)와 맞물리도록 프레임홈(424) 속에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부재(571)가 커넥터(561)에 결합됨으로써 커넥터(561)가 레일부(581)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유닛(560)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커넥터 홀(562)이 단위프레임(580)의 외면(421)과 수직을 이루는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단위프레임(58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면에는 연결부재(571)의 연결부재 바디(573)와 연결부재 돌출부(574)가 모두 비원형의 프로파일을 갖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연결부재 바디(573)와 연결부재 돌출부(574) 중 어느 하나만 비원형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레일부(581)가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레일부(581)는 커넥터(561)를 단위프레임(58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부(581)의 형태에 따라 커넥터(561)의 맞물림부(564)는 레일부(581)와 맞물릴 수 있는 다른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도 1, 도 2,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고정프레임(450)은 지지프레임(410)에 결합되어 충전유닛(330)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450)은 한 쌍의 단위프레임(451)과, 한 쌍의 단위프레임(451)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68)와, 단위프레임(451) 속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475)을 포함한다. 고정프레임(450)의 단위프레임(451)은 지지프레임(410)(415)의 단위프레임(420)과 유사하나 구체적인 구성은 차이가 있다.
고정프레임(450)의 단위프레임(451)은 이웃하는 것끼리 수직을 이루는 네 개의 외면(452)을 갖는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단위프레임(451)의 중심부에는 센터 홀(455)이 형성된 센터부(454)가 구비된다. 센터 홀(455)은 단위프레임(45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단위프레임(451)의 양쪽 단부로 개방된다. 센터부(454)의 주위에는 네 개의 프레임홈(453)이 형성된다. 프레임홈(453)은 센터 홀(455)과 평행하게, 즉 단위프레임(45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프레임홈(453)은 외면(452)에서 개방되도록 외면(452)으로부터 센터부(454) 쪽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외면(452)과 센터부(454) 사이에는 한 쌍의 내부 돌기(456)가 상호 마주하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내부 돌기(456)는 단위프레임(45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프레임홈(453)에 삽입되는 커넥터유닛(49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홈(453) 속에는 복수의 스프링 지지부(457)가 단위프레임(45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지지프레임(410)(415)의 단위프레임(420)과 구분하기 위해 고정프레임(450)의 단위프레임(451)을 기둥프레임(451)이라 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기둥프레임(451)에 구비되는 외면(452)과, 프레임홈(453)과, 센터부(454)와, 센터 홀(455)과, 내부 돌기(456)를 각각 기둥프레임 외면(452), 기둥프레임홈(453), 기둥프레임 센터부(454), 기둥프레임 센터 홀(455), 기둥프레임 내부 돌기(456)라 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둥프레임(451)에는 복수의 연결 브라켓(459)이 결합된다. 기둥프레임(451)은 연결 브라켓(459)을 통해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지지프레임(410)의 두 서브 가로대(444)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459)은 기둥프레임(451)의 양쪽 외면(421)에 한 쌍씩 기둥프레임(451)의 상단부 및 하단부 쪽으로 각각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 브라켓(459)은 기둥프레임(451)의 기둥프레임 외면(452)과 접하는 제 1 연결부(460)와, 제 1 연결부(460)와 대략 수직으로 연결되어 서브 가로대(444)의 외면(421)에 접할 수 있는 제 2 연결부(463)와, 제 1 연결부(460)와 제 2 연결부(463)를 연결하는 한 쌍의 보강 리브(466)를 포함한다. 제 1 연결부(460)에는 고정부재(710)가 삽입되는 제 1 브라켓 홀(461)이 형성되고, 제 2 연결부(463)에는 고정부재(710)가 삽입되는 제 2 브라켓 홀(464)이 형성된다. 연결 브라켓(459)은 고정부재(710)가 제 1 브라켓 홀(461)에 삽입되어 기둥프레임(451)에 결합되는 커넥터유닛(490)과 맞물리는 방식으로 기둥프레임(45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브라켓(459)은 고정부재(710)가 제 2 브라켓 홀(464)에 삽입되어 서브 가로대(444)에 결합되는 커넥터유닛(490)과 맞물리는 방식으로 서브 가로대(444)에 고정됨으로써 기둥프레임(451)을 지지프레임(410)에 결합할 수 있다.
기둥프레임(451)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기둥프레임(451)은 도시된 구성 이외에, 지지프레임(410)에 결합되어 고정플레이트(468)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브라켓(459)은 도시된 구성 이외에, 기둥프레임(451)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410)에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정플레이트(468)는 한 쌍의 기둥프레임(451)에 결합되어 충전유닛(330)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468)는 고정부재(710)에 의해 기둥프레임(451)에 고정되는 플라이트 바디(469)와, 플라이트 바디(469)의 하단부에 플라이트 바디(469)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는 하부 고정부(471)와, 플라이트 바디(469)의 상단부에 플라이트 바디(469)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는 상부 고정부(472)와, 플라이트 바디(469)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돌기(473)를 포함한다. 플라이트 바디(469)에는 고정부재(710)가 삽입되는 플레이트 홀(470)이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468)는 고정부재(710)가 플레이트 홀(470)에 삽입되어 기둥프레임(451)에 결합된 커넥터유닛(490)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기둥프레임(45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레이트 돌기(473)는 기둥프레임홈(453) 속에 삽입된다. 플레이트 돌기(473)는 기둥프레임(451)의 끝단을 통해 기둥프레임홈(453) 속에 삽입될 수 있으며, 기둥프레임(451)의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기둥프레임홈(453)에서 벗어날 수 없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플레이트 돌기(473)는 기둥프레임(451)과 고정플레이트(468) 간의 결합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468)에 장착되는 충전유닛(330)은 하부 고정부(471)와 상부 고정부(472)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부재(720)를 통해 고정플레이트(468)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468)는 도시된 구성 이외에, 기둥프레임(451)에 결합되어 충전유닛(330)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스프링(475)은 기둥프레임(451)의 기둥프레임홈(453) 속에 배치되어 고정플레이트(468)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스프링(475)은 압축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기둥프레임(451)의 스프링 지지부(457)에 지지되어 기둥프레임(451)의 길이 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 스프링(475)은 그 일단부가 스프링 지지부(457)에 접하고 타단부가 고정플레이트(468)의 플레이트 돌기(473)에 접하도록 기둥프레임홈(453) 속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475)은 플레이트 돌기(473)에 접함으로써 고정플레이트(468)에 대해 고정플레이트(468)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기둥프레임(451)과 고정플레이트(468) 간의 결합력이 약해져 고정플레이트(468)가 기둥프레임(451)에서 미끄러지는 상황이나, 이동유닛(200)의 이동 중에 지지프레임(410)을 통해 고정프레임(450)에 충격이 전달되는 상황, 또는 고정플레이트(468)가 충전유닛(330)의 하중에 의해 추락하는 상황 등 충전유닛(330)이 충격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서 스프링(475)이 충전유닛(3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스프링(475)은 압축 스프링 형태 이외에 고정플레이트(468)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475)의 설치 위치나, 스프링(475)과 고정플레이트(468) 간의 연결 방식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450)은 도시된 구성 이외에, 지지프레임(410)에 결합되어 충전유닛(330)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고정플레이트(468)와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프레임(451)이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서브 가로대(444)에 고정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기둥프레임(451)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기둥 프레임(451)은 베이스 가로대(443)와 서브 가로대(44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정프레임(480)은 지지프레임(410)의 세로대(441)에 고정되어 배터리팩(310)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480)은 내측에 배터리팩(31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실(482)이 형성된 트레이(481)를 포함한다. 트레이(481)에는 고정부재(710)가 삽입될 수 있는 트레이 홀(483)이 형성된다. 트레이(481)는 고정부재(710)가 트레이 홀(483)에 삽입되어 세로대(441)에 결합되는 커넥터유닛(490)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지지프레임(41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480)은 도시된 구성 이외에, 지지프레임(410)에 결합되어 배터리팩(310)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완충유닛(600)은 이동유닛 바디(210)에 고정되어 이동유닛 바디(210)와 지지프레임(410)(415)을 연결한다. 완충유닛(600)은 지지프레임(410)(415)을 이동유닛 바디(210)의 바닥면(211)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완충유닛(600)은 이동유닛 바디(210)에 고정되는 베이스블록(610)과, 지지프레임(410)(415)의 베이스 가로대(443)와 결합되는 커플러블록(613)과, 베이스블록(610)과 커플러블록(613)을 연결하는 와이어로프(623)를 포함한다.
베이스블록(610)은 고정부재(730)가 삽입될 수 있는 베이스블록 홀(611)을 갖는다. 베이스블록(610)은 베이스블록 홀(611)에 삽입되어 이동유닛 바디(2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730)에 의해 이동유닛 바디(210)에 고정될 수 있다.
커플러블록(613)은 와이어로프(623)에 의해 베이스블록(610)과 이격되도록 지지된다. 커플러블록(613)은 와이어로프(623)가 결합되는 블록 바디(614)와, 베이스 가로대(443)와 결합될 수 있도록 블록 바디(614)에 고정되는 커플러(615)를 포함한다. 커플러(615)는 블록 바디(614)와 연결되는 바닥부(617)와, 바닥부(617)의 양측 단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벽부(618) 및 제 2 벽부(619)를 포함한다. 바닥부(617)와 제 1 벽부(618) 및 제 2 벽부(619)는 베이스 가로대(443)가 삽입될 수 있는 커플러홈(616)을 구획 형성한다. 커플러(615)는 바닥부(617)가 베이스 가로대(443) 하측의 외면(421)과 접하고 제 1 벽부(618) 및 제 2 벽부(619)가 베이스 가로대(443) 양쪽 측부의 외면(421)에 각각 접하도록 베이스 가로대(443)와 결합된다. 제 1 벽부(618)와 제 2 벽부(619) 각각의 내면에는 베이스 가로대(443)의 프레임홈(424)에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돌기(621)가 돌출 구비된다. 커플러(615)는 가이드돌기(621)가 프레임홈(424)에 삽입된 상태로 베이스 가로대(443)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623)는 베이스블록(610)과 커플러블록(613)을 상호 이격되도록 연결하는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다. 와이어로프(623)는 일부분이 베이스블록(610)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베이스블록(610)과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이 블록 바디(614)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커플러블록(613)과 결합된다. 와이어로프(623)는 베이스블록(610)과 커플러블록(613)을 상호 접근시키도록 작용하는 힘에 의해 탄성 변형됨으로써 베이스블록(610)과 커플러블록(613) 사이에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완충유닛(600)은 가이드돌기(621)가 베이스 가로대(443)의 프레임홈(424)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베이스 가로대(443)에 가결합되어 베이스 가로대(443)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베이스 가로대(443) 상에서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410)(415)을 이동유닛 바디(21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베이스 가로대(443) 상에서 완충유닛(600)을 움직여 완충유닛(600)을 베이스 가로대(443) 상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하고 고정부재(730)를 이용하여 완충유닛(600)을 이동유닛 바디(210)에 고정할 수 있다. 완충유닛(600)은 커플러 홀(62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710)가 베이스 가로대(443)에 결합된 커넥터유닛(490)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베이스 가로대(443)에 고정될 수 있다.
완충유닛(600)은 충격을 받을 때 와이어로프(623)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따라서 완충유닛(600)은 이동유닛(200)의 이동 중이나 이동유닛 바디(210)에 충격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지지프레임(410)(415)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완충유닛(600)을 구성하는 베이스블록(610)과, 커플러블록(613)과, 와이어로프(623)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이들 부품 간의 연결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지지유닛(400)에 지지되는 충전시스템(300)의 배터리팩(310)과, 전력변환기(320) 및 충전유닛(330)은 냉기 공급관(750)을 통해 냉방유닛(230)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공급받아 냉각될 수 있다. 냉기 공급관(750)은 냉방유닛(230)에 연결되는 냉방배관(240)에 연결되어 냉방배관(240)을 통과하는 냉기를 충전시스템(300)의 구성 부품 쪽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냉기 공급관(750)에는 냉기를 분사하기 위해 분사구(761)를 갖는 복수의 분사관(760)이 연결된다. 복수의 분사관(7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사관(760)은 냉기를 전력변환기(320) 주위로 분사하도록 배치되고, 또 다른 하나 이상의 분사관(760)은 냉기를 배터리팩(310)과 충전유닛(330) 주위로 분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냉기 공급관(750)이나 분사관(760)은 상대적으로 열이 많이 발생하는 구성 부품 쪽에 더 많은 냉기를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변환기(320)가 다른 구성 부품에 비해 발열량이 많은 경우 냉기 공급관(750)과 분사관(760)은 전력변환기(320)에 더 많은 냉기를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100)는 이동유닛(200)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유닛(230)의 냉기를 충전시스템(300)의 구성 부품 쪽으로 가이드함으로써 별도의 냉기 공급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충전시스템(300)의 구성 부품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냉방유닛(230)의 냉기를 충전시스템(300)의 구성 부품에 공급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충전시스템(300)의 배터리팩(310) 및 충전유닛(3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410)과, 전력변환기(3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415)이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충전시스템(300)의 구성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지지유닛(400)이 충전시스템(300)의 배터리팩(310)과, 전력변환기(320)와, 충전유닛(330)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지지유닛(400)은 이들 구성 부품 이외에 충전시스템(300)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 200: 이동유닛
210 : 이동유닛 바디 230 : 냉방유닛
240 : 냉방배관 300 : 충전시스템
310 : 배터리팩 320 : 전력변환기
330 : 충전유닛 400 : 지지유닛
410, 415 : 지지프레임 420, 550, 580 : 단위프레임
422 : 센터부 423 : 센터 홀
424 : 프레임홈 431 : 내부 돌기
441 : 세로대 443 : 베이스 가로대
444 : 서브 가로대 450, 480 : 고정프레임
451 : 기둥프레임 453 : 기둥프레임홈
454 : 기둥프레임 센터부 455 : 기둥프레임 센터 홀
456 : 기둥프레임 내부 돌기 457 : 스프링 지지부
459 : 연결 브라켓 460 : 제 1 연결부
463 : 제 2 연결부 468 : 고정플레이트
469 : 플라이트 바디 471 : 하부 고정부
472 : 상부 고정부 473 : 플레이트 돌기
475 : 스프링 481 : 트레이
490, 510, 520, 530, 560 : 커넥터유닛
491, 531, 561 : 커넥터 493, 533, 563 : 커넥터 바디
494, 534, 566 : 커넥터 돌출부 495, 521, 536, 568 : 쿠션부재
497, 538 : 쿠션부재 바디 498, 539 : 쿠션부재 돌출부
511 : 레그 524, 542, 571 : 연결부재
526, 544, 573 : 연결부재 바디 527, 574 : 연결부재 돌출부
545 : 내부 림 551, 581 : 레일부
564 : 맞물림부 565 : 슬라이딩 접촉부
582 : 지지돌기 600 : 완충유닛
610 : 베이스블록 613 : 커플러블록
614 : 블록 바디 615 : 커플러
618 : 제 1 벽부 619 : 제 2 벽부
621 : 가이드돌기 623 : 와이어로프
710, 720, 730 : 고정부재 750 : 냉기 공급관
760 : 분사관

Claims (9)

  1. 충전용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시스템의 구성 부품을 지지하기 위해 이동유닛에 설치되는 지지유닛에 구비되어 고정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으로서,
    상기 지지유닛의 단위프레임 내측에 상기 단위프레임의 외면에서 개방되도록 상기 단위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커넥터 홀을 갖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홀에 대응하는 쿠션부재 홀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단위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쿠션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와 상기 쿠션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 홀과 상기 쿠션부재 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홀을 구비하며, 상기 쿠션부재보다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바디; 및
    상기 커넥터 바디의 중앙 부분에서 돌출되는 커넥터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쿠션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바디; 및
    상기 커넥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돌출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재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 바디 및 상기 연결부재 돌출부가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단위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 돌출부 전체와 상기 연결부재 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프레임홈 속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쿠션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 홀과 상기 쿠션부재 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홀을 구비하며, 상기 쿠션부재보다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바디; 및
    상기 커넥터 바디의 중앙 부분에서 돌출되는 커넥터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단위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쿠션부재 바디; 및
    상기 연결부재 홀 속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 돌출부의 외면과 상기 연결부재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쿠션부재 바디의 중앙 부분에서 돌출되는 쿠션부재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돌출부와, 상기 쿠션부재 돌출부는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쿠션부재 돌출부는 상기 커넥터 돌출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쿠션부재 돌출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형 링 형상의 연결부재 바디; 및
    상기 커넥터 돌출부의 외면 및 상기 쿠션부재 돌출부의 끝단과 접하도록 상기 연결부재 바디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쿠션부재 돌출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내부 림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 바디는 상기 쿠션부재 돌출부를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프레임홈 속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상기 커넥터 돌출부와 동심원을 이루는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외곽 부분이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단위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단위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부에 접하여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커넥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바디는 그 폭이 상기 프레임홈의 최소 폭보다 작고 그 길이가 상기 프레임홈의 최소 폭보다 크되, 상기 프레임홈 속에서 상기 단위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넥터 바디의 길이 방향 끝단에 상기 레일부에 접하는 슬라이딩 접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쿠션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 홀과 상기 쿠션부재 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홀을 구비하며, 상기 쿠션부재보다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중앙 부분에서 돌출되는 커넥터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쿠션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바디; 및
    상기 커넥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돌출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재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 바디 및 상기 연결부재 돌출부가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단위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 돌출부 전체와 상기 연결부재 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프레임홈 속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바디와 상기 연결부재 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프레임홈 속에서 회전이 구속되도록 비원형의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9. 충전용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시스템의 구성 부품을 지지하기 위해 이동유닛에 설치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으로서,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유닛 바디에 대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프레임; 및
    고정부재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단위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넥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유닛은,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단위프레임의 외면에서 개방되도록 상기 단위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커넥터 홀을 갖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홀에 대응하는 쿠션부재 홀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단위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
KR1020220102600A 2022-08-17 2022-08-17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KR20240024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600A KR20240024517A (ko) 2022-08-17 2022-08-17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600A KR20240024517A (ko) 2022-08-17 2022-08-17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517A true KR20240024517A (ko) 2024-02-26

Family

ID=9005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600A KR20240024517A (ko) 2022-08-17 2022-08-17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45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682A (ko) 2020-12-23 2022-07-01 (주)엠텍정보기술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682A (ko) 2020-12-23 2022-07-01 (주)엠텍정보기술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3870B1 (ko) 배터리 홀더, 배터리 교체 장치, 전기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설치 방법
US8551632B2 (en) Battery cooling system
KR101647825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
US20100320012A1 (en) Motor vehicle with electric drive
US20230339339A1 (en) Charging apparatus for personal mobility means
WO2016050125A1 (en) Bus
KR20240024517A (ko)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CN114204181A (zh) 用于将电池包水平安装至电池包安装部的电池包安装方法
KR20240024516A (ko)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프레임용 완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KR20240024518A (ko)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
KR20240024519A (ko)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
KR101447653B1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접속장치
KR102145305B1 (ko) 기계식 주차설비의 전기충전 시스템
CN111257009B (zh) 纯机械式汽车托底试验装置
CN109228931B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
CN215496916U (zh) 一种具有防撞装置的蓄电池组
CN216886297U (zh) 地面电能发射平台和汽车无线充电系统
CN220147124U (zh) 一种快换支架及电动车辆
CN220615457U (zh) 一种电池包锁止机构及电动车辆
CN218316229U (zh) 一种游览车用减震蓄电池底座
CN110379969A (zh) 一种新能源电动汽车电池的组装外壳
CN215204453U (zh) 地面电能发射平台和汽车无线充电系统
CN211308221U (zh) 一种三合一电池固定支架总成
CN213167787U (zh) 一种充电桩
CN211391246U (zh) 一种汽车储气筒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