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682A -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682A
KR20220091682A KR1020200182345A KR20200182345A KR20220091682A KR 20220091682 A KR20220091682 A KR 20220091682A KR 1020200182345 A KR1020200182345 A KR 1020200182345A KR 20200182345 A KR20200182345 A KR 20200182345A KR 20220091682 A KR20220091682 A KR 20220091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battery
vehicl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2788B1 (ko
Inventor
김명준
Original Assignee
(주)엠텍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텍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엠텍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200182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788B1/ko
Publication of KR2022009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전력이 충전되되,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배터리셀이 마련된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의 전력을 전기차에 적합한 설정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력변환유닛과, 상기 전력변환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전력변환유닛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차의 차량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전기차에 접속하는 연결용 플러그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은 분리가 용이한 배터리셀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전기시설이 요구되지 않아 설치가 편리하고, 교환이나 고장 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Mobil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셀의 교환이 용이한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HEV, plug-in-hybrid electric vehicle)와 같은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는 낮은 에너지 소비 및 낮은 공기 오염 등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 이슈가 되어왔다. 전기 자동차는 특히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의 파라다임(paradigm)에서 환경 오염과 에너지 절약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기 자동차의 특성 때문에, 전기 자동차 소유자는 택시 승차장, 주차장, 공중전화 부스(booth), 차도, 또는 집의 차고에서 자신의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소유자는 주유소와 같은 공중 충전소에서도 자신의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이 전기 자동차의 충전기는 전력공급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하므로 별도의 전기시설이 요구되며, 교환이나 고장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00081호 (2019.01.02)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13338호 (2018.10.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분리가 용이한 배터리셀이 마련된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은 이동유닛에 설치되어 해당 이동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전력이 충전되되,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배터리셀이 마련된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의 전력을 전기차에 적합한 설정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력변환유닛과, 상기 전력변환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전력변환유닛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차의 차량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전기차에 접속하는 연결용 플러그를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팩은 상기 배터리셀을 나란하도록 상호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배터리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유닛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기판과, 상기 배터리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유닛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기판과, 상호 인접하는 상기 배터리셀들의 전극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극연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배터리셀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구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들을 이격되게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들 중 최상측에 위치한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상단보다 상측에 상기 상부기판이 위치하도록 해당 상부기판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들 중 최하측에 위치한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하단보하 하측에 상기 하부기판이 위치하도록 해당 하부기판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상기 상부기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들 중 최상측에 위치한 지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1체결홀이 형성된 제1이격로드와, 상기 상부기판에 관통되어 상기 제1체결홀에 나사결합되는 제1결합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게 상기 하부기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들 중 최하측에 위치한 지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2체결홀이 형성된 제2이격로드와, 상기 하부기판에 관통되어 상기 제2체결홀에 나사결합되는 제2결합볼트를 구비한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재는 상면에, 상기 제1이격로드의 제1결합부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홀이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제2이격로드의 제2결합부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2결합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로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은 분리가 용이한 배터리셀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전기시설이 요구되지 않아 설치가 편리하고, 교환이나 고장 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식 충전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는 도 1의 이동식 충전 시스템의 배터리팩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이동식 충전 시스템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전력변환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대하여,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100)은 이동유닛(20)에 설치되어 해당 이동유닛(20)에 의해 이동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에 설치되며, 전력이 충전되되,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배터리셀(310)이 마련된 다수의 배터리팩(300)과, 상기 배터리팩(300)의 전력을 전기차에 적합한 설정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력변환유닛(400)과, 상기 전력변환유닛(400)에 연결되며, 상기 전력변환유닛(400)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차의 차량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전기차에 접속하는 연결용 플러그(5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유닛(20)는 하우징(200)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이 마련된 차량이 적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하우징(200)을 운반할 수 있는 운반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상기 하우징(200)은 외부 프레임(210), 개폐도어(220)를 구비한다.
상기 외부 프레임(210)은 상기 이동유닛(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각 구조물 형태이고, 내부에 내부공간을 갖고 있으며,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프레임(210)은 후면에, 내부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방열구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도어(220)는 상기 외부 프레임(2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프레임(2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도어(220)의 전면에는 상기 연결용 플러그(500)를 수납할 수 있는 플러그 수납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팩(300)은 다수의 배터리셀(310)과, 상기 배터리셀(310)을 나란하도록 상호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320)과, 상기 배터리셀(3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유닛(3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기판(330)과, 상기 배터리셀(3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유닛(3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기판(340)과, 상호 인접하는 상기 배터리셀(310)들의 전극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기판(330) 및 하부기판(340)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극연결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셀(310)은 음극시트와 양극시트로 구성되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셀(310)에는 상하단에 각각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마련된다. 여기서, 배터리셀(310)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셀(310)은 다른 종류의 배터리셀(310)과 비교시 크기에 비해 대용량 전압의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후 전원공급이 장시간 동안 지속가능하며, 하나의 배터리로 구성되어 관리가 용이한 리튬이온 배터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320)은 상기 배터리셀(310)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구(361)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플레이트(36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60)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360)들을 이격되게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재(37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60)들 중 최상측에 위치한 지지플레이트(360)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셀(310)의 상단보다 상측에 상기 상부기판(330)이 위치하도록 해당 상부기판(330)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재(38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60)들 중 최하측에 위치한 지지플레이트(360)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셀(310)의 하단보하 하측에 상기 하부기판(340)이 위치하도록 해당 하부기판(340)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재(390)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6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삽입구(3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361)는 지지플레이트(36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배터리셀(31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플레이트(360)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제1관통구(3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60)는 복수개가 플레이트 지지부재(370) 의해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지지된다.
플레이트 지지부재(370)는 상하단이 각각 지지플레이트(360)들에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로드(371)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로드(371)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360)들에 의해 상하단부가 간섭되도록 제1관통구(362)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로드(371)는 상면에, 후술되는 상부 지지부재(380)의 제1결합부(383)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홀(37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홀(372)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로드(371)의 하면에, 후술되는 하부 지지부재(390)의 제2결합부(393)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2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결합홀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지지부재(38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60)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상기 상부기판(3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1이격로드(381)와, 상기 상부기판(330)에 관통되어 제1이격로드(381)에 나사결합되는 다수의 제1결합볼트(382)를 구비한다.
상기 제1이격로드(381)는 하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60)의 상면에 간섭될 수 있도록 제1관통구(362)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이격로드(381)의 하단부는 지지플레이트(360)들 중 최상측에 위치한 지지플레이트(360)를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재(370)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38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부(383)는 제1관통구(362)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이격로드(381)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지지로드(371)의 제1결합홀(372)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이격로드(381)는 상면에, 제1결합볼트(382)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제1체결홀(38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체결홀(384)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결합볼트(382)는 후술되는 상부기판(330)의 제2관통구(331)를 통해 관통되어 상기 제1이격로드(381)의 제1체결홀(384)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1결합볼트(38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기판(330)에 간섭될 수 있도록 제2관통구(331)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는 제1헤드부분이 마련되어 있다.
하부 지지부재(39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60)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게 하부기판(3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2이격로드(391)와, 상기 하부기판(340)에 관통되어 제2이격로드(391)에 나사결합되는 다수의 제2결합볼트(392)를 구비한다.
상기 제2이격로드(391)는 상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60)의 하면에 간섭될 수 있도록 제1관통구(362)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이격로드(391)의 상단부는 지지플레이트(360)들 중 최하측에 위치한 지지플레이트(360)를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재(370)의 지지로드(371)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39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결합부(393)는 제1관통구(362)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이격로드(391)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지지로드(371)의 제2결합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이격로드(391)는 하면에, 제2결합볼트(392)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제2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체결홀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합볼트(392)는 후술되는 하부기판(340)의 제3관통구(341)를 통해 관통되어 상기 제2이격로드(391)의 제2체결홀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2결합볼트(39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기판(340)에 간섭될 수 있도록 제3관통구(341)부다 더 큰 단면적을 갖는 제2헤드부분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기판(33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지지플레이트(3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기판(330)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결합볼트(382)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2관통구(331)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기판(330)은 상부에, 배터리 관리모듈(333)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단자(332)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연결단자(33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극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모듈(333)은 상기 연결단자(332)를 통해 상부기판(330)에 연결되어 배터리셀(310)의 작동상태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 관리모듈(333)은 배터리의 작동을 관리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리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기판(34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지지플레이트(3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기판(340)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결합볼트(392)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3관통구(341)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전극연결부재는 상호 인접된 배터리셀(3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호 인접된 배터리셀(310)들의 상단부에 대향되는 상부기판(330)의 하면 및 상호 인접된 배터리셀(310)들의 하단부에 대향되는 하부기판(340)의 상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전극연결부재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구설될 수 있다. 한편, 전극연결부재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배터리셀(310)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상기 배터리팩(300)은 배터리셀(310)을 교환시 상부기판(330) 또는 하부기판(340) 중 어느 하나를 지지유닛(320)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배터리셀(310)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배터리셀(310) 교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력변환유닛(400)은 다수의 배터리팩(300)에 연결되어 배터리팩(300)의 전력을 전기차의 설정 전압으로 변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변압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력변화유닛은 연결용 플러그(500)에 연결되어 변압된 배터리팩(300)의 전력을 상기 연결용 플러그(500)에 제공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100)은 분리가 용이한 배터리셀(31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전기시설이 요구되지 않아 설치가 편리하고, 교환이나 고장 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200: 하우징
210: 외부 프레임 300: 배터리팩
310: 배터리셀 320: 지지유닛
360: 지지플레이트 370: 플레이트 지지부재
371: 지지로드 380: 상부 지지부재
381: 제1이격로드 382: 제1결합볼트
390: 하부 지지부재 391: 제2이격로드
392: 제2결합볼트 330: 상부기판
331: 제2관통구 340: 하부기판
400: 전력변환유닛 500: 연결용 플러그

Claims (5)

  1. 이동유닛에 설치되어 해당 이동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전력이 충전되되,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배터리셀이 마련된 배터리팩;
    상기 배터리팩의 전력을 전기차에 적합한 설정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력변환유닛;
    상기 전력변환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전력변환유닛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차의 차량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전기차에 접속하는 연결용 플러그;를 구비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은
    상기 배터리셀을 나란하도록 상호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
    상기 배터리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유닛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기판;
    상기 배터리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유닛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기판;
    상호 인접하는 상기 배터리셀들의 전극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극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배터리셀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구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들을 이격되게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재;
    상기 지지플레이트들 중 최상측에 위치한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상단보다 상측에 상기 상부기판이 위치하도록 해당 상부기판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재;
    상기 지지플레이트들 중 최하측에 위치한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하단보하 하측에 상기 하부기판이 위치하도록 해당 하부기판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상기 상부기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들 중 최상측에 위치한 지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1체결홀이 형성된 제1이격로드;
    상기 상부기판에 관통되어 상기 제1체결홀에 나사결합되는 제1결합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게 상기 하부기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들 중 최하측에 위치한 지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2체결홀이 형성된 제2이격로드;
    상기 하부기판에 관통되어 상기 제2체결홀에 나사결합되는 제2결합볼트;를 구비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재는 상면에, 상기 제1이격로드의 제1결합부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홀이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제2이격로드의 제2결합부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2결합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로드를 구비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KR1020200182345A 2020-12-23 2020-12-23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KR102532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345A KR102532788B1 (ko) 2020-12-23 2020-12-23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345A KR102532788B1 (ko) 2020-12-23 2020-12-23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682A true KR20220091682A (ko) 2022-07-01
KR102532788B1 KR102532788B1 (ko) 2023-05-17

Family

ID=8239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345A KR102532788B1 (ko) 2020-12-23 2020-12-23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78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3497A (ko) 2022-07-22 2024-01-30 주식회사 이이에스티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240024519A (ko) 2022-08-17 2024-02-26 (주)레드이엔지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
KR20240024517A (ko) 2022-08-17 2024-02-26 (주)레드이엔지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KR20240024518A (ko) 2022-08-17 2024-02-26 (주)레드이엔지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
KR20240024516A (ko) 2022-08-17 2024-02-26 (주)레드이엔지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프레임용 완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KR20240054605A (ko) 2022-10-19 2024-04-26 김정민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675A (ko) * 2012-12-05 2014-06-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충전 시스템
KR20180113338A (ko) 2017-04-06 2018-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급속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00081A (ko) 2017-06-22 2019-01-02 (주)한국전기차서비스 전기자동차의 충전기
JP2019533279A (ja) * 2016-09-12 2019-11-14 ハイパードライブ イノベ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パック・エンクロージャ
KR20200084400A (ko) * 2018-12-20 2020-07-13 (주)엠텍정보기술 이-모빌리티 서비스와 연계된 이동형 긴급 충전기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675A (ko) * 2012-12-05 2014-06-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충전 시스템
JP2019533279A (ja) * 2016-09-12 2019-11-14 ハイパードライブ イノベ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パック・エンクロージャ
KR20180113338A (ko) 2017-04-06 2018-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급속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00081A (ko) 2017-06-22 2019-01-02 (주)한국전기차서비스 전기자동차의 충전기
KR20200084400A (ko) * 2018-12-20 2020-07-13 (주)엠텍정보기술 이-모빌리티 서비스와 연계된 이동형 긴급 충전기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3497A (ko) 2022-07-22 2024-01-30 주식회사 이이에스티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240024519A (ko) 2022-08-17 2024-02-26 (주)레드이엔지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
KR20240024517A (ko) 2022-08-17 2024-02-26 (주)레드이엔지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용 커넥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KR20240024518A (ko) 2022-08-17 2024-02-26 (주)레드이엔지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유닛
KR20240024516A (ko) 2022-08-17 2024-02-26 (주)레드이엔지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프레임용 완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KR20240054605A (ko) 2022-10-19 2024-04-26 김정민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788B1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2788B1 (ko)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US7740981B2 (en) Assembled battery including insulating support plate connected to a terminal surface
KR102224592B1 (ko) 매트릭스 구조의 배터리 팩을 갖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장치
WO2020147271A1 (zh) 模块化电池
KR20150084661A (ko) 단위모듈들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CN203995871U (zh) 具有散热结构的移动充电车装置
CN105842629A (zh) 动力电池梯级利用检测评估方法
CN215342767U (zh) 一种高倍率电池系统液冷装置
CN108539069A (zh) 一种汽车电池包及可更换电池系统
KR20200132711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CN110474130A (zh) 一种上面级用锂离子电池组
KR20150115251A (ko) 중앙 프레임 타입의 2 셀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어레이
KR102532787B1 (ko) 고정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210077549A (ko)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전력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1344B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N101834311A (zh) 锂二次电池组
CN201804941U (zh) 一种可反复对锂电池充放电的部件
CN205303200U (zh) 锂离子电容器模组
EP4131567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vehicle and electrical storage device each equipped with same
CN211844309U (zh) 一种集成化动力电池总成及汽车
CN114498889A (zh) 一种便携式光储充电电源箱
CN210092194U (zh) 一种物流车电池系统
CN209045699U (zh) 均衡外充电式电动汽车锂离子动力电池模组
KR20210077548A (ko) 고정식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전력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
CN202474116U (zh) 一种电动自行车备用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