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294A -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준불연 페놀폼 - Google Patents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준불연 페놀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294A
KR20240023294A KR1020220100907A KR20220100907A KR20240023294A KR 20240023294 A KR20240023294 A KR 20240023294A KR 1020220100907 A KR1020220100907 A KR 1020220100907A KR 20220100907 A KR20220100907 A KR 20220100907A KR 20240023294 A KR20240023294 A KR 20240023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emi
flame retardant
combustibl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민
곽진원
이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케이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케이켐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케이켐텍
Priority to KR1020220100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3294A/ko
Publication of KR20240023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29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9Use of pretreated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95Mixtures of at least two compounding ingredients belonging to different one-dot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1Urea; Derivatives thereof, e.g. biure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4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21Phosphates
    • C08K2003/327Aluminium phosp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준불연 페놀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높은 수준의 난연 내지 준불연 성능을 구현하고 높은 기계적 물성, 단열성 등을 유지하는 단열재용 페놀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페놀폼에 부합하는 난연제 배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페놀폼 제조 공정에서 분진 발생을 억제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난연제 배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준불연 페놀폼{Method of Manufacturing Semi-non-combustible Phenolic Foam and Semi-non-combustible Phenolic Foam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준불연 페놀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잇따른 대형 화재 사건으로 인하여 건축 자재, 특히 건축 단열재에 대한 안전 규제를 강화하는 움직임이 있다. 건축 단열재 중 페놀 수지 발포체 기반 페놀폼은 준불연성, 단열성 등이 뛰어나 최근 주목받고 있으며, 관련 시장 규모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페놀폼 제조 시 준불연성 향상을 위해 한 가지 성분 이상의 난연제를 사용한다. 페놀폼에 적용되는 난연제는 대부분 분말 또는 Bulk 상태 고체로 난연제 혼합 시 분진 발생으로 인한 작업 환경 악화가 발생하여, 개선이 시급하다. 또한 페놀폼에 적용되는 난연제는 대부분 Bulk 상태 고체로 발포 혼합물 제조 시 분산성 저하가 발생하여, 페놀 폼의 준불연 성능 및 단열성, 기계적 물성 저하 등의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페놀폼 준불연 성능 및 물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페놀폼 제조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페놀폼 제조공정이 필요하다.
KR 2020-0070134 A1
본 발명은 페놀폼 제조 시 분진 발생을 억제하고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난연제 페이스트의 배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페놀폼 제조 시 분산성을 향상시켜 준불연 성능 및 단열성, 그리고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난연제 페이스트의 배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합 방법으로 제조된 난연제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발포성 페놀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포성 페놀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페놀폼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준불연성과 KS 물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페놀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탄소분말, 인산 알루미늄, 잔류 포름알데히드 포획제, 실리카 겔, 팽창 흑연,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난연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난연제 페이스트, 페놀계 수지, 발포제, 가소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여 발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발포 조성물을 발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잔류 포름알데히드 함량이 100mg/kg 미만이고, 한계산소지수(LOI)가 50% 이상이고, 콘칼로리미터 시험 결과 10분 동안 총방출열량이 8MJ/㎡ 이하이고, 콘칼로리미터 시험 결과 시험체 천공이 발생하지 않고, 열전도율이 0.015W/m·K ~ 0.022W/m·K이고, 압축 강도가 40 ~ 250kpa이고, 굴곡 파괴 하중이 15 ~ 40N이고, 수분 흡수율이 1.0 ~ 10.0%이고, 수증기 투과도가 3.0 ~ 20.0ng/m·s·Pa이고, 70℃에서 10 ~ 20시간 숙성 후 밀도가 30kg/㎥ ~ 60kg/㎥이고, 독립 기포율이 60 ~ 99%인 준불연 페놀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높은 수준의 난연 내지 준불연 성능을 구현하고 높은 기계적 물성, 단열성 등을 유지하는 단열재용 페놀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페놀폼에 부합하는 난연제 배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페놀폼 제조 공정에서 분진 발생을 억제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난연제 배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탄소분말, 인산 알루미늄, 잔류 포름알데히드 포획제, 실리카 겔, 팽창 흑연,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난연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난연제 페이스트, 페놀계 수지, 발포제, 가소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여 발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발포 조성물을 발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탄소분말, 인산 알루미늄, 잔류 포름알데히드 포획제, 실리카 겔, 팽창 흑연, APP(Ammonium Poly Phosphate),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난연제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상기 난연제 페이스트는 탄소 분말 8 ~ 25중량%, 인산 알루미늄 4 ~ 15중량%, 잔류 포름알데히드 포획제 10 ~ 20중량%, 실리카 겔 2 ~ 5중량%, 팽창 흑연 12 ~ 30중량%, APP(Ammonium Poly Phosphate) 4 ~ 15중량%, 계면활성제 3 ~ 10중량% 및 물 3 ~ 8중량%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 페이스트의 각 성분 조성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페놀폼 물성 또는 단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점도 증가로 인한 페이스트 제조 곤란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공정에 상술한 난연제 페이스트를 도입함으로써, 종래 페놀폼 제조 공정 상의 문제점인 분진 발생을 억제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난연제 페이스트는 페놀 발포체 내 잔류 포름알데히드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잔류 포름알데히드 포획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류 포름알데히드 포획제는 Urea 또는 그 유도체로 환형 구조를 포함하는 Imidazolidinone계 화학 물질일 수 있다.
일례로, 잔류 포름알데히드 포획제로 Urea 또는 Methylene, Ethylene, Propylene 등의 구조를 지닌 환형 치환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 사용된 Imidazolidinone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잔류 포름알데히드 포획제는 10 ~ 20중량%의 함량으로 난연제 페이스트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10중량% 미만인 경우 잔류 포름알데히드 제거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페놀폼 난연성 및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잔류 포름알데히드 포획제는 종래 페놀폼의 제조공정과 같이 페놀폼 조성물에 별도의 구성 성분으로 사용되는 것보다는 난연제 페이스트에 포함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놀폼 조성물의 별도 성분으로 사용될 경우 포획제의 분산성 저하로 페놀폼 내 잔류 포름알데히드 저감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 페이스트는 난연제로서, 할로겐계, 인계, 할로겐-인계, 붕소계 난연제, 금속 수산화물, 적린, 물유리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난연제는 TCPP(Tris(1-Chloro-2-Propyl)Phosphate), TEP(Triethyl Phosphate), TEPP(Tetraethyl piperazine-1,4-diyldiphosphoramidate), 할로겐 치환 방향족 폴리올, TCP(Tricresyl Phosphate), RDP(Resorcinol bis(diphenyl phosphate)), DOPO-HQ(10-(2,5-dihydroxyphenyl)-9,10-dihydro-9-xa-10-phosphaphenanthrene-10-oxide), 포스파젠(phosphazene)계, 적린, 붕산(H3BO3) 및 붕사(Na2B4O7), 수산화알루미늄, 물유리 및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 페이스트는 셀을 균일하게 하고 소수성을 증가시키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실록산계 화합물, 피마자유-에틸렌 옥사이드, 에스테르 화합물, 에테르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불소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3 ~ 10 중량%의 함량으로 난연제 페이스트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3중량% 미만인 경우 셀 크기가 불규칙하고 수분 투과도 상승이 나타날 수 있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물성 저하 및 열전도도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난연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공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통상의 방법 중 선택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난연제 페이스트는 Ball Mill 활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 Ball Mill에 상기 난연제 혼합물과 점도 저하제를 혼합 내지 투입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조된 난연제 페이스트, 페놀계 수지, 발포제, 가소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여 발포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발포 조성물은 페놀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난연제 페이스트 1 ~ 25 중량부, 발포제 2 내지 20 중량부, 가소제 2 내지 30 중량부 및 경화제 2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 페이스트는 페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25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페놀폼의 난연 성능이 제대로 구현되기 어려우며, 25 중량부 초과로 첨가되면 제조된 페놀폼의 물성이 저하되고 점도가 상승하여 공정제어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수지는 수분함량이 3 ~ 15 중량%이며, 25℃에서의 점도가 25,000cps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수지의 수분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점도 상승으로 공정 운전이 어려울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높으면 물성 저하 및 열전도율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탄화수소계 화합물, 할로겐계 탄화수소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시클로펜탄, 이소펜탄, n-펜탄, n-헥산 등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할로겐계 탄화수소 화합물은 이소프로필클로라이드, 디클로로에탄, 펜틸클로라이드 등의 염화탄화수소 및 염소화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계, 비염소화하이드로프루오로올레핀 등의 불화탄화수소, 브롬계탄화수소, 요오드계탄화수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발포제는 페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 2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2중량부 미만인 경우 열전도율이 상승할 수 있고,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페놀폼 밀도 감소에 따른 물성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에스테르, 에스테르 폴리올, 에테르 폴리올, 인계 화합물, 에폭시 수지, 플루오르계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가소제는 페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 3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2중량부 미만인 경우 페놀폼 유연성 저하가 나타날 수 있고,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물성 및 난연성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페놀 술폰산, 톨루엔 술폰산, 자일렌 술폰산, 에틸벤젠 술폰산, 나프탈렌 술폰산 등의 술폰산 계열 및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무기산, 그리고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경화제는 페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 2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2중량부 미만인 경우 경화가 진행되지 않아 페놀폼 물성 저하 및 열전도율 상승이 나타날 수 있고,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pH 저하(산성 강화)로 인한 부식성 강화가 나타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조된 발포 조성물을 발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준불연 페놀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발포 공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통상의 방법 중 선택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준불연 페놀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페놀폼은 잔류 포름알데히드 함량이 100mg/kg 미만이고, 한계산소지수(LOI)가 50% 이상이고, 콘칼로리미터 시험 결과 10분 동안 총방출열량이 8MJ/㎡ 이하이고, 콘칼로리미터 시험 결과 시험체 천공이 발생하지 않고, 열전도율이 0.015W/m·K ~ 0.022W/m·K이고, 압축 강도가 40 ~ 250kpa이고, 굴곡 파괴 하중이 15 ~ 40N이고, 수분 흡수율이 1.0 ~ 10.0%이고, 수증기 투과도가 3.0 ~ 20.0ng/m·s·Pa이고, 70℃에서 10 ~ 20시간 숙성 후 밀도가 30kg/㎥ ~ 60kg/㎥이고, 독립 기포율이 60 ~ 99%일 수 있다.
상기 페놀폼은 높은 수준의 난연 내지 준불연 성능을 구현하고 높은 기계적 물성, 단열성 등을 유지하는 단열재용 페놀폼일 수 있다.
상기 페놀폼 제조 시 면재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면재로 알루미늄, 유리섬유, 천, 유리 종이, 직물 또는 혼합 면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페놀폼 제조 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첨가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난연제 페이스트의 제조
탄소 분말 16중량%, 인산 알루미늄 12중량%, 실리카 겔 5중량%, 팽창흑연 25중량%, APP 12중량%, 잔류 포름알데히드 포획제로 2-Imidazolidone 15중량%를 준비한 후, 3본 Roll Mill에 상기 물질과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9중량%, 증류수 6중량%를 각각 투입하고 혼합 교반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페놀 폼의 제조
25℃에서 수분 7.9%, 점도가 24,600cps인 페놀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발포제로 시클로펜탄 9중량부, 가소제로 에테르폴리올 7중량부, 경화제로 자일렌술폰산 : 에틸렌글리콜 = 9 : 1(중량) 혼합액 15중량부, 난연제 페이스트 22중량부를 주입한 후 교반하여 발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400mm X 400mm X 75mm 몰드에 넣고 70℃에서 20분 동안 발포를 진행한 후 탈형하고 탈형한 페놀폼을 70℃ 오븐에서 15시간 숙성시켰다.
[실시예 2]
난연제 페이스트 제조 시 탄소 분말 20중량%, 인산 알루미늄 12중량%, 실리카 겔 5중량%, 팽창흑연 20중량%, APP 13중량%, 2-Imidazolidone 15중량%,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6중량%, 증류수 9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난연제 페이스트를 제조하지 않고, 발포 혼합물 제조 시 페놀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탄소 분말 3중량부, 인산 알루미늄 1.5중량부, 실리카 겔 0.5중량부, 팽창흑연 5중량부, APP 3중량부, 2-Imidazolidone 4중량부, 계면활성제 2중량부, 증류수 3중량부를 직접 투입하여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난연제 페이스트 제조 시 탄소 분말 15중량%, 인산 알루미늄 7중량%, 실리카 겔 3중량%, 팽창흑연 26중량%, APP 7중량%, 2-Imidazolidone 15중량%,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15중량%, 증류수 12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난연제 페이스트 제조 시 탄소 분말 6중량%, 인산 알루미늄 3중량%, 실리카 겔 1중량%, 팽창흑연 35중량%, APP 25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난연제 페이스트 제조 시 탄소 분말 25중량%, 인산 알루미늄 13중량%, 실리카 겔 5중량%, 팽창흑연 30중량%, APP 10중량%, 2-Imidazolidone 15중량%,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1중량%, 증류수 1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난연제 페이스트 0.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난연제 페이스트 3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난연제 페이스트 제조 시 탄소 분말 20중량%, 인산 알루미늄 15중량%, 실리카 겔 5중량%, 팽창흑연 30중량%, APP 15중량%를 준비한 후, 3본 Roll Mill에 상기 물질과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9중량%, 증류수 6중량%를 각각 투입하고 혼합 교반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25℃에서 수분 7.9%, 점도가 24,600cps인 페놀 수지 100 중량부에 발포제로 시클로펜탄 9중량부, 가소제로 에테르폴리올 7중량부, 경화제로 자일렌술폰산 : 에틸렌글리콜 = 9 : 1(중량) 혼합액 15중량부, 잔류 포름알데히드 포획제로서 2-Imidazolidinone 4중량부 , 난연제 페이스트 18중량부를 주입한 후 교반하여 발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난연제 페이스트 제조 시 탄소 분말 17중량%, 인산 알루미늄 17중량%, 실리카 겔 7중량%, 팽창흑연 27중량%, APP 14중량%, 2-Imidazolidone 3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난연제 페이스트 제조 시 탄소 분말 14중량%, 인산 알루미늄 10중량%, 실리카 겔 4중량%, 팽창흑연 22중량%, APP 10중량%, 2-Imidazolidone 25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총방출열량 측정(MJ/㎡)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및 5 내지 9에서 제조된 시료를 100mm X 100mm X 50mm로 절단한 후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KS F ISO 5660-1 방법으로 총방출열량을 측정하였다. 50kW/㎡ 복사열을 맞추고 Blower 속도 24L:/min, 산소 농도 20.950%에서 10분 동안 복사열을 적용하여 총방출열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시험체 천공 여부 확인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및 5 내지 9에서 제조된 시료를 100mm X 100mm X 50mm로 절단한 후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KS F ISO 5660-1 방법으로 50kW/㎡ 복사열을 맞추고 Blower 속도 24L:/min, 산소 농도 20.950%에서 10분 동안 복사열을 적용한 후 시험체 천공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한계산소지수(LOI) 측정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및 5 내지 9에서 제조된 시료에 대하여 KS M ISO 4589-2에서 규정된 시험 조건 하에서 시편을 연소시키는 데 필요한 산소의 최소 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결과값은 산소 및 질소 혼합물에서 산소 부피 %로 측정되었다.
[실험예 4] 잔류 포름알데히드 함량 측정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및 5 내지 9에서 제조된 시료에 대하여 KS K ISO 14184-1(증류수추출법)에 따라 잔류 포름알데히드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편 1g을 10mg 정확도로 칭량 후 마개 달린 250ml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100ml 첨가 후 40℃ 항온 수조에서 1시간 동안 5분 간격으로 흔들면서 추출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였다. 여과 추출액 5ml를 시험관에 넣고, 표준 포름알데히드 용액 5ml를 다른 시험관, 증류수 5ml를 또 다른 시험관에 넣은 후 세 시험관에 아세틸아세톤 5ml를 가하여 교반하였다. 세 시험관을 40℃ 항온 수조에서 30분 동안 유지 후 30분 동안 실온 방치 후 세 시험관의 흡광도 측정, 검량하여 시료 추출액 포름알데히드 농도(㎎/L)를 산출하였다.
잔류 포름알데히드(FFA)는 다음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
FFA = C(시료 추출액 포름알데히드 농도, ㎎/L) x 100 / W(시편 질량, g)
[실험예 5] 열전도율 측정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및 5 내지 9에서 제조된 페놀폼을 50mm 두께 및 300mm X 300mm 크기로 절단 후 전처리하였다. 상기 시편을 KS L 9016 방법에 따라 20℃ 온도에서 열전도율 기기를 이용하여 열전도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6] 압축 강도 측정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및 5 내지 9에서 제조된 페놀폼을 50mm X 50mm X 50mm 크기로 절단 후 상기 시편을 KS M ISO 844 방법으로 압축 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만능재료시험기(UTM) 넓은 판 사이에 두고 UTM 기기에서 시편 두께 5mm/min 속도로 설정하고, 압축강도 실험 개시 두께가 감소되는 중 나타나는 첫번째 압축 항복점 강도를 기록하였다.
[실험예 7] 굴곡 파괴 하중 측정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및 5 내지 9에서 제조된 페놀폼을 250mm X 100mm X 20mm로 절단 후 상기 시편을 KS M ISO 1209-1 방법으로 굴곡 파괴 하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만능재료시험기(UTM) 이용 시편을 시편에 수직으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지지봉 위에 대칭으로 두고 가압봉을 내린 후 이 위치를 무변형점으로 설정하였다. 그 후 10±2mm/분의 속도로 가압봉을 이동시키면서 시편에 하중을 가해 시편 휨 변형이 20±0.2mm에 대응하는 하중(N)을 기록하였다. 휨 변형이 20mm 달하기 전 시편이 파괴되는 경우 파괴 하중과 굴곡을 기록하였다.
[실험예 8] 수분 흡수율 측정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및 5 내지 9에서 제조된 페놀폼을 150mm X 150mm X 75mm로 절단, 상기 시편을 KS M ISO 2896 방법으로 수분 흡수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초기 시편 질량(m1) 측정 후 시편을 그물망에 조립/침적하고 저울에 매달아 질량을 측정하였다(m2). 96시간 경과 후 물 속 그물망 질량 측정(m3) 후 침하 전/후 시편 치수 측정하여 부피를 계산하였다. 수분 흡수율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WAv(%) =
[실험예 9] 수증기 투과도 측정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및 5 내지 9에서 제조된 페놀폼을 150mm X 150mm X 25mm로 절단하여, KS M ISO 1663 방법으로 수증기 투과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23℃, 습도 50% 조건에서 조립체 용기 바닥에 20mm 두께로 건조제 비치 후 건조제와 시편 거리를 15mm 이격시켰다. 24시간 동안 규칙적인 간격으로 질량을 측정하고, 단위 시간당 질량 변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되 5개 평균값이 2% 이내일 때까지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수증기 투과도는 다음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WP(ng/m·s·Pa) = ,
G= G12 5개의 평균
G12 =
[실험예 10] 밀도 측정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및 5 내지 9에서 제조된 페놀폼을 25mm X 25mm X 25mm로 절단 후 70℃에서 10 ~ 20시간 숙성 후 밀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1] 독립 기포율 측정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및 5 내지 9에서 제조된 페놀폼을 25mm X 25mm X 25mm로 절단 후 KS M ISO 4590 측정법으로 독립기포율 측정기기(Pycnometer)를 이용하여 독립 기포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페놀폼 LOI
(%)
총방출열량(MJ/㎡) 시험체 천공 여부 열전도율
(W/m·K)
압축강도
(kpa)
굴곡파괴
하중(N)
수분 흡수율(%)
실시예 1 52.1 4.3 X 0.020 125 31 2.9
실시예 2 51.3 4.1 X 0.021 131 33 3.1
비교예 1 40.1 7.9 X 0.024 84 18 3.9
비교예 2 37.8 10.6 O 0.027 57 14 4.3
비교예 3 50.8 3.3 X 0.038 99 25 3.8
비교예 5 50.7 4.5 X 0.028 71 34 3.9
비교예 6 31.5 9.3 O 0.021 146 35 3.1
비교예 7 51.8 4.6 X 0.021 118 32 3.0
비교예 8 50.5 3.6 X 0.022 135 38 2.6
비교예 9 36.5 8.5 O 0.021 68 17 4.1
KS 규격 - - - < 0.022 > 60 > 15 < 4.0
준불연 규격 - < 8.0 X - - - -
- LOI는 높을수록 난연 성능이 우수한 경향이 있음
페놀폼 수증기 투과도 (ng/ms·Pa) 밀도
(㎏/㎥)
독립 기포율(%) 잔류포름알데히드
(mg/Kg)
실시예 1 7.3 34 94 63
실시예 2 6.9 36 95 91
비교예 1 11.3 38 85 128
비교예 2 12.6 33 81 94
비교예 3 11.7 36 87 99
비교예 5 12.5 37 86 120
비교예 6 8.1 34 91 81
비교예 7 7.9 36 95 101
비교예 8 6.8 35 92 109
비교예 9 10.7 36 89 42
KS 규격 1.5 ~ 12.0 30 ~ 40 - -
※ 독립 기포율의 경우 정해진 규격은 없지만 높을수록 단열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음(열전도율 KS 규격 만족)
※ 시판 중인 제품의 잔류포름알데히드 수치 분석 결과 90(mg/Kg) 측정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 제품)
비교예 1의 경우 페놀폼 제조 시 분진이 다량 발생하였다. 비교예 4의 경우 페이스트 및 전체 발포 혼합물 점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발포가 불가하였다(성형이 안되었다).
상기 표 1 및 표 2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의 페놀폼은 난연제 페이스트를 포함함으로 인하여 열방출량 및 산소지수 등의 난연성이 우수하면서 열전도도는 동등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바 페놀폼에서 상충관계에 있는 단열성과 난연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3, 5 내지 6 및 8의 페놀폼은 열방출량 및 산소지수 등의 난연성이 우수하지만 열전도도는 동등 수준으로 유지하지 못했다.
비교예 7과 8의 경우 KS 물성 및 난연성은 실시예 1과 유사하거나 우수한 수준이지만 잔류 포름알데히드 수치가 다소 높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의 페놀폼은 압축강도 및 굴곡파괴 하중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반면, 비교예 1 내지 3. 5 및 9의 페놀폼은 압축강도 및 굴곡파괴 하중 등의 기계적 물성이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Claims (7)

  1. 탄소분말, 인산 알루미늄, 잔류 포름알데히드 포획제, 실리카 겔, 팽창 흑연, APP(Ammonium Poly Phosphate),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난연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난연제 페이스트, 페놀계 수지, 발포제, 가소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여 발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발포 조성물을 발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 페이스트는 탄소 분말 8 ~ 25중량%, 인산 알루미늄 4 ~ 15중량%, 잔류 포름알데히드 포획제 10 ~ 20중량%, 실리카 겔 2 ~ 5중량%, 팽창 흑연 12 ~ 30중량%, APP(Ammonium Poly Phosphate) 4 ~ 15중량%, 계면활성제 3 ~ 10중량% 및 물 3 ~ 8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포름알데히드 포획제는 Urea 또는 그 유도체로 환형 구조를 포함하는 Imidazolidinone계 화학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조성물은
    페놀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난연제 페이스트 1 ~ 25 중량부, 발포제 2 내지 20 중량부, 가소제 2 내지 30 중량부 및 경화제 2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 수지는 수분함량이 3 ~ 15 중량%이며, 25℃에서의 점도가 25,000cp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준불연 페놀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준불연 페놀폼은 잔류 포름알데히드 함량이 100mg/kg 미만이고, 한계산소지수(LOI)가 50% 이상이고, 콘칼로리미터 시험 결과 10분 동안 총방출열량이 8MJ/㎡ 이하이고, 콘칼로리미터 시험 결과 시험체 천공이 발생하지 않고, 열전도율이 0.015W/m·K ~ 0.022W/m·K이고, 압축 강도가 40 ~ 250kpa이고, 굴곡 파괴 하중이 15 ~ 40N이고, 수분 흡수율이 1.0 ~ 10.0%이고, 수증기 투과도가 3.0 ~ 20.0ng/m·s·Pa이고, 70℃에서 10 ~ 20시간 숙성 후 밀도가 30kg/㎥ ~ 60kg/㎥이고, 독립 기포율이 60 ~ 99%인 준불연 페놀폼.
KR1020220100907A 2022-08-11 2022-08-11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준불연 페놀폼 KR20240023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907A KR20240023294A (ko) 2022-08-11 2022-08-11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준불연 페놀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907A KR20240023294A (ko) 2022-08-11 2022-08-11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준불연 페놀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294A true KR20240023294A (ko) 2024-02-21

Family

ID=9005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907A KR20240023294A (ko) 2022-08-11 2022-08-11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준불연 페놀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329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134A (ko) 2018-12-07 2020-06-17 (주)엘지하우시스 페놀 발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134A (ko) 2018-12-07 2020-06-17 (주)엘지하우시스 페놀 발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rpluks et al. Rigid polyurethane foam thermal insulation protected with mineral intumescent mat
JP6505644B2 (ja) 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911334A (zh) B1级高阻燃低发烟硬质聚氨酯泡沫
CN102875770B (zh) 一种耐高温的改性聚异氰脲酸酯泡沫塑料的制备方法
CN103756292A (zh) 一种线性酚醛树脂改性的聚氨酯复合阻燃泡沫及其制备方法
Liao et al. A flame‐retardant composite foam: foaming polyurethane in melamine formaldehyde foam skeleton
KR102404686B1 (ko) 준불연 우레탄 복합소재용 2액형 경질 폴리우레탄 조성물, 이를 이용한 준불연 우레탄 복합소재
CN110790884A (zh) 块泡用组合聚醚、聚氨酯原料组合物、聚氨酯块泡及其制备方法
JP6657062B2 (ja) 成形体、成形体形成用組成物および成形体形成用キット
KR102567888B1 (ko) 페놀 수지 발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Zhang et al. A facile technique to investigate the char strength and fire retardant performance towards intumescent epoxy nanocomposites containing different synergists
WO2015119949A1 (en) Thermally stable rigid foam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2422819B1 (ko) 페놀 발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KR20240023294A (ko) 준불연 페놀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준불연 페놀폼
KR102335439B1 (ko) 페놀 발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KR20220123158A (ko)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페놀폼
KR20230049171A (ko) 페놀 폼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친환경 페놀 폼
KR20210102115A (ko) 열경화성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880251B (zh) 一种环氧酚醛基聚氨酯泡沫的制备方法
Feng et al. Rigid polyisocyanurate–waterglass foam composite: Preparation, mechanism, and thermal and flame‐retardant properties
KR20240070057A (ko) 발포성 페놀계 수지 조성물, 페놀폼 및 페놀폼 제조방법
KR102618891B1 (ko)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페놀폼
KR102534859B1 (ko) 준불연 페놀 발포폼
CN116515070A (zh) 硬质阻燃聚氨酯泡沫及其制备方法
KR20200070133A (ko) 페놀 발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