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3158A -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페놀폼 - Google Patents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페놀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3158A
KR20220123158A KR1020210026752A KR20210026752A KR20220123158A KR 20220123158 A KR20220123158 A KR 20220123158A KR 1020210026752 A KR1020210026752 A KR 1020210026752A KR 20210026752 A KR20210026752 A KR 20210026752A KR 20220123158 A KR20220123158 A KR 20220123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olic foam
composition
zeolite
phenolic
based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진원
이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케이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케이켐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케이켐텍
Priority to KR102021002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3158A/ko
Publication of KR20220123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15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19Use of organic additives halogen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33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38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3Hal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J9/144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halogen and hydro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52Closed cells, i.e. more than 50% of the pores are clos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페놀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은 인체 및 환경 유해성이 낮으면서 제조시에 제올라이트의 첨가로 산성 성분을 중화시켜 페놀폼을 중성화시키고, 경화특성이 우수하여 열전도율, 압축강도, 굴곡파괴하중, 밀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며, 온전한 형태의 셀이 형성된 페놀폼을 제조함으로써, 단열성이 우수하면서도 함께 사용되는 금속 성분의 부식을 유발하지 않아 친환경 건축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페놀폼{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OF PHENOLIC FOAM AND PHENOLIC FOAM MANUFACTURED THEREFROM}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페놀폼에 관한 것이다.
건축 내외장용 단열재, 실내 인테리어, 철도차량의 내부 단열, 발전소, 원자력 등 산업분야에서 보온 및 보냉에 사용되고 있는 유기단열재는 난연성이나 내열성이 떨어지고 특히 화재발생 시 유독가스와 매연발생으로 화재진압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무기단열재인 석고보드나 유리섬유 등은 인체에 유해하고 열전도율이 떨어지며 물 흡수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페놀폼을 많이 사용하는데, 페놀폼은 열화학적으로 안정된 성질을 갖는 페놀수지를 경화시킨 열경화성 플라스틱 발포체(foam)로 난연성, 내열성 및 저발연성이 우수하고, 각국의 난연자재에 대한 기준을 만족시켜 각광받고 있다. 또한, 페놀폼은 화재발생시 연기나 유해가스의 발생이 적어 화염에 가장 안전한 유기플라스틱 재료로 알려져있다.
또한, 페놀폼의 원료인 페놀수지는 고온에서 내열성이 뛰어나 장시간 고온에 노출되어도 높은 잔류 탄소화율을 보여 다른 발포 플라스틱에 비해 강도 열화가 적을 뿐만 아니라 금속재와 비교하여도 경량성, 방청성, 내식성 등이 뛰어나다.
이러한 페놀수지를 이용한 페놀폼은 통상적으로 일정비율의 페놀수지에 가소제, 경화제, 난연제, 정포제 등의 성분을 혼합 후, 경화시켜 제조된다. 그러나, 이때 산성 성분의 물질이 많이 사용되어 페놀폼이 금속 부재와 접촉하면 금속 부재의 부식이 유발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1556호는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탄산칼슘 및 탄산마그네슘 등을 포함하는 무기 중성화제가 결합제로 코팅되어, 셀 균열 및 단열 성능저하를 예방하고 금속재료와 접촉시 금속의 부식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페놀폼 단열재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155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페놀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페놀계 수지; 발포제, 가소제, 경화제, 계면활성제, 난연제 및 핵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된 페놀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은 인체 및 환경 유해성이 낮으면서 제조시에 제올라이트의 첨가로 산성 성분을 중화시켜 페놀폼을 중성화시키고, 경화특성이 우수하여 열전도율, 압축강도, 굴곡파괴하중, 밀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며, 온전한 형태의 셀이 형성된 페놀폼을 제조함으로써, 단열성이 우수하면서도 함께 사용되는 금속 성분의 부식을 유발하지 않아 친환경 건축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페놀계 수지; 발포제, 가소제, 경화제, 난연제, 계면활성제 및 핵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제올라이트(zeolite)'는 SiO4 및 AlO4 사면체가 산소원자를 서로 공유하면서 결합되어 삼차원적 그물 구조를 이루고 있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광물로서, 다량의 공간들이 존재하여 이를 물 분자와 이온교환이 가능한 양이온이 점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올라이트 내 존재하는 양이온들은 쉽게 다른 양이온에 의해 교환이 가능하며 교환된 양이온의 크기와 점유한 위치에 따라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천연 제올라이트 및 합성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는 화산암과 화산재 층이 알칼리 지하수와 만나는 곳에형성되거나, 얕은 해양분지의 퇴적층에서 오랜시간에 걸쳐 결정화되며, 광물, 금속, 석영과 혼합된 상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연 제올라이트는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제올라이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광물에서 X-선 회절법에 의해 동정된 제올라이트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는 클리노프틸로라이트(clinoptilolite), 모더나이트(mordenite), 방비석(analcime), 캐버자이트(chabazite), 휼란다이트(heulandite), 나트로나이트(natrolite), 필리프사이트(phillipsi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성 제올라이트는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합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성 제올라이트는 수열 합성법(hydrothermal process)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합성 제올라이트는 제올라이트의 골격 구조를 이루는 원소들인 실리콘(Si) 및 알루미늄(Al)이 여러 다른 원소로 일부 또는 전부 대체된 유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올라이트 유사체는 알포(AlPO4)계 제올라이트 유사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 유사체는 유사체 골격에 추가로 금속 원소를 일부 치환시켜 제조된 제올라이트 유사체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합성 제올라이트는 그 골격 구조에 따라 A형 제올라이트(제올라이트A, LTA), X형 제올라이트, Y형 제올라이트(제올라이트X, Y, FAU) 및 ZSM-5(MFI)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 제올라이트는 그 구조에 따라 층상 구조인 MCM-50, 육각 구조인 MCM-41 및 SBA-15, 입방 구조인 MCM-48 등으로도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제올라이트는 ZSM-5, MCM-41 및 클리노프틸로라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본 발명에 따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에 중화제로서 사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페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1 내지 15 중량부, 1 내지 13 중량부, 1 내지 11 중량부, 3 내지 15 중량부, 3 내지 13 중량부 또는 3 내지 1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화제 조성물이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제조된 페놀폼의 pH가 낮아져서 함께 사용되는 금속 부재의 부식을 유발할 수 있고, 15 중량부 초과로 첨가되면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경화 공정의 제어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은 페놀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어, '페놀계 수지'는 페놀류와 포름알데히드류를 반응시켜 생성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의미한다. 상기 페놀계 수지는 페놀 및 포름알데히드를 적절한 온도 및 시간 동안 부가반응 및 축합반응을 유도시킨 후, 황산, 파라톨루엔술폰 등과 같은 산으로 중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놀계 수지는 폼 제조에 사용되는 페놀계 수지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페놀계 수지는 레졸(resol) 또는 노볼락(novolac) 타입일 수 있다.
상기 레졸 타입 페놀계 수지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에 의해 합성된 것으로서, 암모니아에 의해 합성된 암모니아 레졸 타입 페놀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볼락 타입의 페놀계 수지는 산 촉매에 의해 합성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페놀계 수지는 레졸 또는 노볼락 타입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폐놀계 수지는 3 내지 15%의 수분을 포함할 수 있다. 페놀계 수지에 포함된 수분이 3% 미만이면 수지의 점도가 상승하여 공정의 제어가 어렵고, 15% 초과이면 제조된 페놀폼의 물성이 저하되고, 열전도율이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은 발포제, 가소제, 경화제, 계면활성제, 난연제 및 핵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페놀수지의 발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포제는 통상의 기술분야에 페놀폼의 발포에 사용될 수 있다고 알려진 발포제라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제는 히드로플루오로올레핀(hydrofluoroolefin, HFO)계 화합물, 탄화수소계 화합물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히드로플루오로올레핀계 화합물은 염소화 히드로플루오로올레핀계 화합물, 비염소화 히드로플루오로올레핀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히드로플루오로올레핀계 화합물은 트랜스 1-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trans CF3CH=CClH), 시스 1-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cis CF3CH=CClH), 트랜스 1-클로로-2,3,3-트리플루오로프로펜(trans CHF2CF=CClH), 시스 1-클로로-2,3,3-트리플루오로프로펜(cis CHF2CF=CClH), 트랜스 1-클로로-1,3,3-트리플루오로프로펜(trans CHF2CH-CClF), 시스 1-클로로-1,3,3-트리플루오로프로펜(cis CHF2CH=CClF), 트랜스 2-클로로-1,3,3-트리플루오로프로펜(trans CHF2CCl-CHF), 시스 2-클로로-1,3,3-트리플루오로프로펜(cis CHF2CCl=CHF), 트랜스 2-클로로-1,1,3-트리플루오로프로펜(trans CH2FCCl-CF2), 시스 2-클로로-1,1,3-트리플루오로프로펜(cis CH2FCCl=CF2), 트랜스 3-클로로-1,2,3-트리플루오로프로펜(trans CH2ClCF=CF2), 시스 3-클로로-1,1,2-트리플루오로프로펜(cis CH2ClCF=CF2), 트랜스 3-클로로-2,3,3-트리플루오로프로펜(trans CF2ClCF=CH2), 시스 3-클로로-2,3,3-트리플루오로프로펜(cis CF2ClCF=CH2) 등의 모노클로로트리플루오로프로펜; 2,3,3-트리플루오로프로펜(CHF2CF=CH2), 1,1,2-트리플루오로프로펜(CH3CF=CF2), 1,1,3-트리플루오로프로펜(CH2FCH=CF2), 1,3,3-트리플루오로프로펜(CHF2CF=CH2) 등의 트리플루오로프로펜; 1,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펜, 2,3,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펜, 1,3,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펜, 1,1,2,3-테트라플로오로-1-프로펜, 1,1,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펜, 1,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펜 등의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1,2,3,3,3-펜타플루오로-1-프로펜, 1,1,3,3,3-펜타플루오로-1-프로펜, 1,1,2,3,3-펜타플루오로-1-프로펜 등의 펜타플루오로프로펜; 2,3,3,4,4,4-헥사플루오로-1-부텐, 1,1,1,4,4,4-헥사플루오로-2-부텐, 1,3,3,4,4,4-헥사플루오로-1-부텐, 1,2,3,4,4,4-헥사플루오로-1-부텐, 1,2,3,3,4,4-헥사플루오로-2-부텐, 1,3,3,4,4,4-헥사플루오로-1-부텐, 1,2,3,4,4,4-헥사플루오로-1-부텐, 1,2,3,3,4,4-헥사플루오로-1-부텐, 1,1,2,3,4,4-헥사플루오로-2-부텐, 1,1,1,2,3,4-헥사플루오로-2-부텐, 1,1,1,2,3,3-헥사플루오로-2-부텐, 1,1,1,3,4,4-헥사플루오로-2-부텐, 1,1,2,3,3,4-헥사플루오로-1-부텐 등의 헥사플루오로부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탄소수 1 내지 6개의 탄화수소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n-부탄, 이소부탄, n-펜탄, 이소펜탄, 시클로펜탄, n-헥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탄소수 1 내지 6개 탄화수소의 할로겐 치환 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디클로로에탄, 프로필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클로라이드, 부틸클로라이드, 이소부틸클로라이드, 펜틸클로라이드, 이소펜틸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불화 탄화수소, 할로겐화 탄화수소, 브롬계 탄화수소 및 요오드계 탄화수소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페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2 내지 20 중랑부, 2 내지 15 중랑부, 2 내지 10 중랑부, 4 내지 20 중랑부, 4 내지 15 중랑부 또는 4 내지 10 중랑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포제가 2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열전도율이 상승하고, 20 중량부 초과로 첨가되면 제조된 페놀폼의 밀도가 감소하여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제조된 페놀폼 내 형성된 기포에서 발포가스가 방출되어 공기와 치환되는 것을 막아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종류의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소제는 에스테르, 에스테르 폴리올, 에테르 폴리올, 인계 화합물, 레조르시놀, o,m,p-크레졸, 카테콜, 하이드로퀴논, 살리실 알코올 등의 방향족 다이올 또는 방향족 모노알코올, 에폭시 수지 및 플루오르계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페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2 내지 30 중량부, 2 내지 20 중량부, 2 내지 15 중랑부, 2 내지 10 중량부, 4 내지 30 중량부, 4 내지 20 중량부, 4 내지 15 중랑부 또는 4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가 2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제조된 페놀폼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30 중량부 초과로 첨가되면 제조된 페놀폼의 물성 및 난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페놀폼이 바람직한 발포속도로 경화되는 것을 돕고 제품의 외관을 양호하게 하며 기계적인 강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페놀류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진 경화제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경화제는 페놀술폰산, 톨루엔술폰산, 자일렌술폰산, 에틸벤젠술폰산, 나프탈렌술폰, 아릴술폰산, 파라톨루엔술폰산, 벤젠술폰산, 염산, 황산, 질산 및 인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페놀폼이 바람직한 발포속도로 경화되는 것을 돕고 제품의 외관을 양호하게 하며 기계적인 강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페놀류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진 경화제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경화제는 페놀술폰산, 톨루엔술폰산, 자일렌술폰산, 에틸벤젠술폰산, 나프탈렌술폰, 아릴술폰산, 파라톨루엔술폰산, 벤젠술폰산, 염산, 황산, 질산 및 인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페놀계 수지 100 중랑부에 대해 2 내지 20 중랑부, 2 내지 15 중랑부, 2 내지 10 중랑부, 4 내지 20 중랑부, 4 내지 15 중랑부 또는 4 내지 10 중랑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가 2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경화가 되지 않아 제조된 페놀폼의 물성이 저하되고, 열전도율이 높아지며, 20 중량부 초과로 첨가되면 페놀폼의 pH가 낮아져 함께 사용되는 금속 부재의 부식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페놀폼 내 셀을 균일하게 하고 소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알킬에테르(alkylether)로 이루어지거나 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모두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성분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실록산계 화합물, 피마자유-에틸렌 옥사이드, 에스테르 화합물, 에테르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불소계 화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페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5 중량부, 1 내지 10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2 내지 20 중량부, 2 내지 15 중량부, 2 내지 10 중량부 또는 2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제조된 페놀폼 내 형성된 셀 크기가 불규칙하고 수분 투과도가 증가할 수 있고, 20 중량부 초과로 첨가되면 제조된 페놀폼의 물성이 저하되고, 열전도도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페놀폼의 난연성을 향상시기키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종류의 난연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난연제는 할로겐계, 인계, 할로겐-인계, 붕소계 난연제, 팽창 흑연(Expandable Graphi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난연제는 TCPP(Tris(1-Chloro-2-Propyl)Phosphate), TEP(Triethyl Phosphate), TEPP(Tetraethyl piperazine-1,4-diyldiphosphoramidate), TCP(Tricresyl Phosphate), RDP(Resorcinol bis(diphenyl phosphate)), APP(Ammonium Poly Phosphate), DOPO-HQ(10-(2,5-dihydroxyphenyl)-9,10-dihydro-9-xa-10-phosphaphenanthrene-10-oxide), 포스파젠(phosphazene)계, 붕산(H3BO3), 붕사(Na2B4O7) 및 팽창 흑연(Expandable Graphi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페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5 중량부, 1 내지 10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2 내지 20 중량부, 2 내지 15 중량부, 2 내지 10 중량부 또는 2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페놀폼의 난연 성능이 제대로 구현되기 어려우며, 20 중량부 초과로 첨가되면 제조된 페놀폼의 물성이 저하되고 점도가 상승하여 공정제어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은 계면활성제의 기능 및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핵제는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종류의 핵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란계 화합물, 실록산계 화합물, 퍼플루오르알칸계 화합물, 하이드로플루오로알칸계 화합물,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계 화합물, 염소화 히드로플루오로올레핀계 화합물, 비염소화 히드로플루오로올레핀계 화합물, 하이드로클로로알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핵제는 학사메틸디실라제인, 디메톡시디메틸실란, 헥사디메틸디실록산, 트랜스 1-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 시스 1-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 트랜스 1-클로로-2,3,3-트리플루오로프로펜, 시스 1-클로로-2,3,3-트리플루오로프로펜, 트랜스 1-클로로-1,3,3-트리플루오로프로펜, 시스 1-클로로-1,3,3-트리플루오로프로펜, 트랜스 2-클로로-1,3,3-트리플루오로프로펜, 시스 2-클로로-1,3,3-트리플루오로프로펜, 트랜스 2-클로로-1,1,3-트리플루오로프로펜, 시스 2-클로로-1,1,3-트리플루오로프로펜, 트랜스 3-클로로-1,2,3-트리플루오로프로펜, 시스 3-클로로-1,1,2-트리플루오로프로펜, 트랜스 3-클로로-2,3,3-트리플루오로프로펜, 시스 3-클로로-2,3,3-트리플루오로프로펜 등의 모노클로로트리플루오로프로펜; 2,3,3-트리플루오로프로펜, 1,1,2-트리플루오로프로펜, 1,1,3-트리플루오로프로펜, 1,3,3-트리플루오로프로펜 등의 트리플루오로프로펜; 1,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펜, 2,3,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펜, 1,3,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펜, 1,1,2,3-테트라플로오로-1-프로펜, 1,1,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펜, 1,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펜 등의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1,2,3,3,3-펜타플루오로-1-프로펜, 1,1,3,3,3-펜타플루오로-1-프로펜, 1,1,2,3,3-펜타플루오로-1-프로펜 등의 펜타플루오로프로펜; 2,3,3,4,4,4-헥사플루오로-1-부텐, 1,1,1,4,4,4-헥사플루오로-2-부텐, 1,3,3,4,4,4-헥사플루오로-1-부텐, 1,2,3,4,4,4-헥사플루오로-1-부텐, 1,2,3,3,4,4-헥사플루오로-2-부텐, 1,3,3,4,4,4-헥사플루오로-1-부텐, 1,2,3,4,4,4-헥사플루오로-1-부텐, 1,2,3,3,4,4-헥사플루오로-1-부텐, 1,1,2,3,4,4-헥사플루오로-2-부텐, 1,1,1,2,3,4-헥사플루오로-2-부텐, 1,1,1,2,3,3-헥사플루오로-2-부텐, 1,1,1,3,4,4-헥사플루오로-2-부텐, 1,1,2,3,3,4-헥사플루오로-1-부텐 등의 헥사플루오로부텐; 디플루오로메탄, 플루오로에탄, 디플루오로에탄, 트리플루오로에탄, 테트라플루오로에탄, 펜타플루오로에탄, 펜타플루오로프로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펜타플루오로프로판, 펜타플루오로부탄, 헥사플루오로부탄과 이들의 이성질체, 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 메틸에테르, 페틸퍼플루오로부틸에테르, 디클로로에텐, 디클로로프로펜, 디클로로부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핵제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페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3 중량부, 0.2 내지 10 중량부, 0.2 내지 5 중량부 또는 0.2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핵제가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핵제의 성능이 제대로 구현되기 어려우며, 10 중량부 초과로 첨가되면 제조된 페놀폼의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은 상기 서술한 성분들 이외에 제올라이트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 면제, 유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이들 첨가제의 함량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된 페놀폼을 제공한다.
상기 페놀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을 몰드에 넣고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은 페놀계 수지; 발포제, 가소제, 경화제, 난연제,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조건 및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는 90℃ 이하, 50 내지 90℃, 50 내지 85℃, 50 내지 80℃, 55 내지 90℃, 55 내지 85℃, 55 내지 80℃, 60 내지 90℃, 60 내지 85℃ 또는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은 일정 속도로 교반하여 혼합한 뒤에 몰드 내에서 경화될 수 있다.
상기 몰드는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의 경화반응 중에 발생하는 수분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몰드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몰드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놀폼 제조 방법은 이의 수율, 수분의 배출 등의 효과를 위해 오븐에서 추가 반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반응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온도 및 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놀폼은 빠른 시간 내에 경화되어 경화특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열전도율, 압축강도, 굴곡파괴하중, 밀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경화된 페놀폼 내 온전한 형태의 셀을 형성함으로써, 단열성이 우수하면서도 인체에 안전한 친환경 건축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놀폼은 제올라이트를 첨가함으로써 pH 4 이상, pH 4 내지 9, pH 4 내지 7 또는 pH 4 내지 6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놀폼은 0.010 내지 0.035 W/m·K, 0.010 내지 0.030 W/m·K, 0.010 내지 0.025 W/m·K, 0.015 내지 0.035 W/m·K, 0.015 내지 0.030 W/m·K 또는 0.015 내지 0.025 W/m·K의 열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페놀폼은 KS M ISO 845에 따른 압축강도가 40 내지 250 kpa, 40 내지 200 kpa, 40 내지 150 kpa, 60 내지 250 kpa, 60 내지 200 kpa, 60 내지 150 kpa, 80 내지 250 kpa, 80 내지 200 kpa 또는 80 내지 150 kp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놀폼은 15 내지 60 N, 15 내지 50 N, 15 내지 40 N, 25 내지 60 N, 25 내지 50 N 또는 25 내지 40 N의 굴곡파괴하중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페놀폼은 1.0 내지 10.0%, 1.0 내지 8.0%, 1.0 내지 6.0%, 2.0 내지 10.0%, 2.0 내지 8.0% 또는 2.0 내지 6.0%의 수분 흡수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놀폼은 1.0 내지 20.0 ng/m·s·Pa, 1.0 내지 15.0 ng/m·s·Pa, 1.0 내지 10.0 ng/m·s·Pa, 3.0 내지 20.0 ng/m·s·Pa, 3.0 내지 15.0 ng/m·s·Pa 또는 3.0 내지 10.0 ng/m·s·Pa의 수증기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페놀폼은 20 내지 60 ㎏/㎥, 20 내지 50 ㎏/㎥, 20 내지 40 ㎏/㎥, 30 내지 60 ㎏/㎥, 30 내지 50 ㎏/㎥ 또는 30 내지 40 ㎏/㎥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놀폼은 60 내지 99%, 60 내지 95%, 70 내지 99%, 70 내지 95%, 80 내지 99% 또는 80 내지 95%의 독립 기포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페놀폼은 제올라이트를 페놀폼 100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 또는 0.5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조된 페놀폼이 함께 사용되는 금속 부재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의 점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켜 경화 공정의 제어가 용이하고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페놀폼은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제조됨으로써, 경화특성이나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함께 사용되는 금속 부재의 부식을 유발하지 않는 친환경적 건축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페놀폼의 제조-(1)
제올라이트(zeolite)계 중화제인 ZSM-5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25℃에서 6.3%의 수분 및 49,000 cps의 점도를 갖는 100 중량부의 페놀 수지, 7 중량부의 시클로펜탄(cyclopentane), 7 중량부의 에테르 폴리올(ether polyol), 8 중량부의 자일렌술폰산(xylenesulfonic acid), 3 중량부의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4 중량부의 ZSM-5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혼합물에 1.7 중량부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교반하여 발포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발포 조성물을 400×400×75 ㎜ 규격의 몰드에 넣고, 70℃에서 20분 동안 경화시켰다. 경화된 발포체를 70℃의 오븐에서 15시간 동안 숙성시킴으로써, ZSM-5가 첨가된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페놀폼의 제조-(2)
ZSM-5 대신 MCM-41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중화제로서 MCM-41이 첨가된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페놀폼의 제조-(3)
ZSM-5 대신 클리노프틸로라이트(clinoptilolite)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중화제로서 클리노프틸로라이트가 첨가된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페놀폼의 제조-(4)
ZSM-5를 4 중량부 첨가하는 대신 10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중화제로서 10 중량부의 ZMS-5가 첨가된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페놀폼의 제조-(1)
ZSM-5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중화제 미첨가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페놀폼의 제조-(2)
ZSM-5 대신 탄산칼슘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중화제로서 탄산칼슘이 첨가된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페놀폼의 제조-(3)
ZSM-5 대신 금속 산화물인 산화철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중화제로서 금속 산화물이 첨가된 페놀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페놀폼의 물성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페놀폼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1-1. pH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페놀폼을 250 ㎛(60 mesh)의 크기로 분쇄하였다. 200 ㎖ 부피의 삼각플라스크에 200 ㎖의 증류수를 넣은 뒤, 0.5 g의 분쇄된 페놀폼을 첨가하였다. 이를 밀봉하고 23±2℃에서 12일 동안 교반하면서 1 내지 2일 간격으로 pH를 측정하였다.
1-2. 열전도율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페놀폼을 50 ㎜ 두께가 되도록 300×300 ㎜ 크기로 절단하여 시편을 수득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전처리하였다. 전처리된 시편을 KS L 9016으로 규정된 방법에 따라 20℃의 온도에서 열전도율 기기를 이용하여 열전도율을 측정하였다.
1-3. 압축강도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페놀폼을 50×50×50 ㎜ 크기로 절단하여 시편을 수득하고, KS M ISO 844로 규정된 방법에 따라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편을 만능재료시험기(unicersial testing machine, UTM)의 넓은 판 사이에 두고 5 ㎜/min의 속도로 시험기를 설정하였다. 실험개시 후, 두께가 감소되는 중 나타나는 첫번째 압축 항복점의 강도를 기록하였다.
1-4. 굴곡파괴하중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페놀폼을 250×100×20 ㎜ 크기로 절단하여 시편을 수득하고, KS M ISO 1209-1로 규정된 방법에 따라 굴곡파괴하중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편을 이에 수직으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만능재료시험기(UTM)의 지지봉 위에 대칭으로 두고 가압봉을 내린 뒤, 상기 위치를 무변형점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10±2 ㎜/min의 속도로 가압봉을 이동시키면서 시편에 하중을 가해 휨 변형이 20±0.2 ㎜에 대응하는 하중(N)을 기록하였다. 이때, 휨 변형이 20 ㎜에 달하기 전 시편이 파괴되는 경우에는 파괴하중 및 굴곡을 기록하였다.
1-5. 수분 흡수율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페놀폼을 150×150×75 ㎜ 크기로 절단하여 시편을 수득하고, KS M ISO 2896으로 규정된 방법에 따라 수분 흡수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수득된 시편의 초기 질량을 측정(m1)하고, 상기 시편을 그물망에 조립 및 침적한 뒤 저울에 매달아 질량을 측정(m2)하였다. 이를 96시간 동안 방치한 후, 침적된 그물망의 질량을 측정(m3)하였다. 침적 전후의 시편 치수를 측정하여 부피를 계산하고, 수분 흡수율은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WAv(%): 수분 흡수율(%)
m1: 시편의 초기 질량
m2: 침적된 직후의 시편 질량
m3: 96시간 침적 후 시편 질량
V0: 침적 전 시편 부피
V1: 침적 후 시편 부피
ρ: 물의 밀도(1 g/㎤)
1-6. 수증기 투과도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페놀폼을 150×150×25 ㎜ 크기로 절단하여 시편을 수득하고, KS M ISO 1663으로 규정된 방법에 따라 수증기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조립체 용기 바닥에 20 ㎜ 두께로 건조제를 비치하고, 이와 15 ㎜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득된 시편을 두었다. 23℃의 온도 및 50%의 습도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일정한 간격으로 시편의 질량을 측정하였고, 이는 단위시간당 질량변화가 연속측정된 5개 값의 평균값이 2% 이내일 때까지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2 및 3에 따라 수증기 투과도를 계산하였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Wp(ng/m·s·Pa): 수증기 투과도
G: G12 5개의 평균
A: 습도에 노출된 시험편의 표면적(㎠)
P: 증기압차(㎩)로서, 상기 시험 조건에서는 1,400 ㎩
s: 시편 두께(㎜)
[수학식 3]
Figure pat00003
m2-m1: 2번 연속 측정된 시편의 질량 차이(㎍)
t2-t1: 시편의 질량을 2번 연속 측정한 시간 차이(h)
G12: 시편의 질량을 2번 연속 측정한 단위 시간당 질량 변화량(㎍/h)
1-7. 밀도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페놀폼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시편을 수득하고, 수득된 시편을 70℃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숙성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밀도를 계산하였다.
상기와 같이 측정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페놀폼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페놀폼 pH 열전도율
(W/m·K)
압축강도
(kpa)
굴곡파괴
하중(N)
수분
흡수율(%)
수증기 투과도 (ng/ms·Pa) 밀도
(㎏/㎥)
실시예 1 4.12 0.020 125 31 2.9 7.3 34
실시예 2 4.09 0.019 116 37 3.6 4.8 36
실시예 3 4.16 0.021 102 28 2.5 6.1 37
실시예 4 4.53 0.023 109 32 2.2 5.2 39
비교예 1 3.24 0.020 145 35 6.9 10.4 44
비교예 2 3.59 0.024 85 22 8.5 12.9 41
비교예 3 3.76 0.026 68 17 5.8 9.6 33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화제로서 제올라이트를 첨가하여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4의 페놀폼은 pH 4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으나, 중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페놀폼은 pH 3.2로, 실시예 1 내지 4의 페놀폼이 더 중성에 가까운 pH를 나타내었다. 반면, 탄산칼슘 또는 금속 산화물을 중화제로서 사용한 비교예 2 및 3의 페놀폼은 각각 pH 3.59 및 3.76을 나타내었다.
한편, ZSM-5를 18 중량부로 첨가하여 페놀폼을 제조한 경우에는 수득된 발포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페놀폼이 형성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의 페놀폼은 제올라이트를 첨가하여도 열전도율, 압축강도, 굴곡파괴하중 및 밀도 등이 이를 첨가하지 않은 페놀폼이나, 탄산칼슘 또는 금속 산화물을 중화제로서 첨가하여 제조한 페놀폼보다 우수하거나, 동등하였다. 반면, 실시예 1 내지 4의 페놀폼이 수분 흡수율이나 수증기 투과도의 값이 유의적으로 낮아 더욱 우수한 물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경화특성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페놀폼의 경화특성을, 경화시, 내부 최대 경화온도(Tmax)까지의 도달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실험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Tmax 도달시간이 짧을수록 경화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측정된 내부 최대 경화온도까지의 도달시간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페놀폼 Tmax(s)
실시예 1 331
실시예 2 327
실시예 3 336
실시예 4 368
비교예 1 324
비교예 2 471
비교예 3 40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페놀폼은 중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페놀폼과 비교하여 우수하거나 동등한 수준의 경화속도를 보였다. 한편, 탄산칼슘 또는 금속 산화물을 중화제로 첨가한 비교예 2 및 3의 페놀폼과 비교하여 경화속도가 유의적으로 빨랐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제올라이트를 중화제로 첨가하여도 우수한 경화특성을 나타내는 페놀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페놀폼 내 셀(cell) 형성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페놀폼의 독립 기포율을 확인함으로써, 제조된 페놀폼 내 셀의 형태를 확인하였다. 실험은 페놀폼을 25×25×25 ㎜ 크기로 절단하여 시편을 수득하고, KS M ISO 4590으로 규정된 방법에 따라 독립 기포율 측정기기(pycnometer)를 이용하여 독립 기포율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페놀폼 독립 기포율(%)
실시예 1 94
실시예 2 96
실시예 3 93
실시예 4 94
비교예 1 91
비교예 2 89
비교예 3 86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올라이트를 첨가하여 제조된 페놀폼의 기포 형성율이 높았다. 한편, 중화제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비교예 1의 페놀폼은 91%의 독립 기포율을 나타낸 반면, 중화제로서 탄산칼슘 또는 금속 산화물을 첨가한 비교예 2 및 3은 독립 기포율이 90% 미만으로 낮았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중화제로서 제올라이트를 첨가하여 제조된 페놀폼은 페놀폼 내 셀 형태가 온전히 형성되어 우수한 단열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페놀폼 내 제올라이트의 함량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페놀폼에 포함된 제올라이트의 함량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페놀폼 제올라이트 종류 제올라이트 함량(wt%)
실시예 1 ZSM-5 2.7
실시예 2 MCM-41 2.6
실시예 3 클리노프틸로라이트 2.8
실시예 4 ZSM-5 6.7
비교예 1 - -
비교예 2 - -
비교예 3 - -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페놀폼은 제올라이트가 본 발명이 목적하는 수준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3의 페놀폼은 제올라이트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페놀폼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Claims (15)

  1. 페놀계 수지;
    발포제, 가소제, 경화제, 계면활성제, 난연제 및 핵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는 천연 제올라이트 및 합성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는 클리노프틸로라이트(clinoptilolite), 모더나이트(mordenite), 방비석(analcime), 캐버자이트(chabazite), 휼란다이트(heulandite), 나트로나이트(natrolite) 및 필리프사이트(phillipsit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제올라이트는 A형 제올라이트, X형 제올라이트, Y형 제올라이트, ZSM-5, MCM-50, MCM-41, SBA-15 및 MCM-48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는 페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히드로플루오로올레핀(hydrofluoroolefin, HFO)계 화합물, 탄화수소계 화합물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에스테르, 에스테르 폴리올, 에테르 폴리올, 인계 화합물, 레조르시놀, o,m,p-크레졸, 카테콜, 하이드로퀴논 및 살리실 알코올 등의 방향족 다이올 또는 방향족 모노알코올, 에폭시 수지 및 플루오르계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페놀술폰산, 톨루엔술폰산, 자일렌술폰산, 에틸벤젠술폰산, 나프탈렌술폰, 아릴술폰산, 파라톨루엔술폰산, 벤젠술폰산, 염산, 황산, 질산 및 인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TCPP(Tris(1-Chloro-2-Propyl)Phosphate), TEP(Triethyl Phosphate), TEPP(Tetraethyl piperazine-1,4-diyldiphosphoramidate), TCP(Tricresyl Phosphate), RDP(Resorcinol bis(diphenyl phosphate)), APP(Ammonium Poly Phosphate), DOPO-HQ(10-(2,5-dihydroxyphenyl)-9,10-dihydro-9-xa-10-phosphaphenanthrene-10-oxide), 포스파젠(phosphazene)계, 붕산(H3BO3), 붕사(Na2B4O7) 및 팽창 흑연(Expandable Graphit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실록산계 화합물, 피마자유-에틸렌옥사이드, 에스테르 화합물, 에테르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및 불소계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제는 실란계 화합물, 실록산계 화합물, 퍼플루오르알칸계 화합물, 하이드로플루오로알칸계 화합물,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계 화합물, 염소화 히드로플루오로올레핀계 화합물, 비염소화 히드로플루오로올레핀계 화합물 및 하이드로클로로알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페놀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폼은, 제올라이트를 포함;
    1.0 내지 10.0%의 수분 흡수율, 3.0 내지 20.0 ng/m·s·Pa의 수증기 투과도, 20 내지 60 ㎏/㎥의 밀도, 및 60 내지 90%의 독립기포율을 갖는, 페놀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폼은 0.010 내지 0.035 W/m·K의 열전도율, 40 내지 250 ㎪의 압축강도, 및 15 내지 60 N의 굴곡파괴하중을 갖는, 페놀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폼은 페놀폼 100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페놀폼.
KR1020210026752A 2021-02-26 2021-02-26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페놀폼 KR20220123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752A KR20220123158A (ko) 2021-02-26 2021-02-26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페놀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752A KR20220123158A (ko) 2021-02-26 2021-02-26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페놀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158A true KR20220123158A (ko) 2022-09-06

Family

ID=8328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752A KR20220123158A (ko) 2021-02-26 2021-02-26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페놀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31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0444A (zh) * 2021-01-26 2021-06-11 杭州威晓科技有限公司 节能环保型建筑幕墙及其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556B1 (ko) 2019-11-20 2020-09-03 (주)하이코리아 페놀폼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556B1 (ko) 2019-11-20 2020-09-03 (주)하이코리아 페놀폼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0444A (zh) * 2021-01-26 2021-06-11 杭州威晓科技有限公司 节能环保型建筑幕墙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5494B2 (ja) 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及び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6505644B2 (ja) 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ES2954105T3 (es) Composición de resina de uretano ignífuga
JP6626242B2 (ja) 難燃断熱材組成物
TW201641582A (zh) 酚樹脂發泡體及其製造方法
KR20160124738A (ko) 배관 또는 장치용 내화성 단열 피복재
JP6791643B2 (ja) 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
JP2014520920A (ja) 発泡系遮断材における吸音の改善
WO2020080148A1 (ja) 準不燃性フェノール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得られた準不燃材料
KR20180063111A (ko) 난연성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KR20220123158A (ko)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페놀폼
KR102404686B1 (ko) 준불연 우레탄 복합소재용 2액형 경질 폴리우레탄 조성물, 이를 이용한 준불연 우레탄 복합소재
JP6600231B2 (ja) 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805345B1 (ja) 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
KR100613887B1 (ko) 페놀수지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2618891B1 (ko) 페놀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페놀폼
KR20200070131A (ko) 페놀 수지 발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JP6166829B2 (ja) フェノール樹脂発泡板
JP6422780B2 (ja) 分散された無孔シリカ粒子を含有する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
KR20220018991A (ko) 페놀 발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KR101977818B1 (ko) 압출 폴리스티렌 발포체용 난연 마스터 배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출 폴리스티렌 발포체
JP2018095826A (ja) 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49171A (ko) 페놀 폼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친환경 페놀 폼
JP2018090721A (ja) 難燃性ウレタン樹脂組成物
JP6302536B1 (ja) フェノール樹脂発泡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