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868A - D형휠 분기장치 - Google Patents

D형휠 분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868A
KR20240022868A KR1020220101475A KR20220101475A KR20240022868A KR 20240022868 A KR20240022868 A KR 20240022868A KR 1020220101475 A KR1020220101475 A KR 1020220101475A KR 20220101475 A KR20220101475 A KR 20220101475A KR 20240022868 A KR20240022868 A KR 20240022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type wheel
roller
mot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호
Original Assignee
고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성호 filed Critical 고성호
Priority to KR1020220101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2868A/ko
Publication of KR20240022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8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5Postal items, e.g. letters, parc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D형휠 분기장치는 전달부(T)로 부터 이송유닛(2)을 통하여 진입된 분기,이송 대상물(P)을 D형휠 분기장치(1) 상에서, 분기 시키거나 다음 분기장치로 이송 시키는 장치다.
즉, D형휠 분기장치(1)의 분기동작 시에는,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평면(40e)이 위로 향한 정지 상태에서 롤러(20,21,22)가 롤러(20)의 롤러축(20a)에 축결된 롤러모터(80)로 회전을 시작하여 분기 대상물(P)을 분기위치(90) 까지 이송시키면, 분기위치에서 분기위치센서(90)의 분기신호로 우선 롤러(20,21,22)를 정지시키고, 이어서 D형휠A(40,50,42,52)가 구동축(70,72)에 연결된 휠모터A(81)로 회전을 먼저 시작하고, 또 이어서 D형휠B(41,51,43,53)가 휠모터A(81)의 회전각도센서A(81a)가 검출한 회전각도 신호로 D형휠A(40,50,42,52) 보다 반회전 늦게 구동축(71,73)에 연결된 휠모터B(82)로 회전을 시작하여 작동하는,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순차 회전 운동으로 분기 대상물(P)을 분기시키는 D형휠 순차회전 분기수단(100)의 제공과,
그리고, 이송동작 시에는, 상기 분기동작(100)으로 분기 대상물(P)의 분기가 완료되면 D형휠A(40,50,42,52)가 먼저 휠모터A(81)의 회전각도센서A(81a)가 검출한 회전각도 신호로 D형휠A(40,50,42,52)의 평면(40e)이 위로 향한 위치에 정지를 하고, 이어서 D형휠B(41,51,43,53)도 휠모터B(82)의 회전각도센서B(82a)가 검출한 회전각도 신호로 D형휠B(41,51,43,53)의 평면(40 e)이 위로 향한 위치에 정지를 시키는,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D형휠 순차정지 이송수단(110)과 상기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정지와 동시에 상기 정지되어 있던, 롤러(20,21,22)가 롤러(20)의 롤러축(20a)에 축결된 롤러모터(80)로 회전을 시작하여 이송 대상물(P)을 이송시키는 롤러 이송수단(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형휠 분기장치다.

Description

D형휠 분기장치{D type Wheel Branching device}
본 발명은 우체국이나 택배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자동 구분장치 일명 소터 (sorter)에 관련된 것으로, 롤러형 물품 분기장치의 고속분기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롤러의 회전원동에 의하여 물품 등을 이송하는 원통형 롤러의 이송수단을 배경 기술로 한다.
KR 10-2409519 B1
원통형 롤러를 활용한 물품 분기기술에 있어서, 분기작동 시작 부터 물품이 분기되는 동작 까지의 분기수단 개발을 해결과제로 하며, 궁극적으로는 분기장치의 단위 시간당 처리능력을 높여 효율성과 실용적인 분기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장치본체(10); 장치본체(10)에 이송 및 분기기능을 제공하는 롤러(20,21,22) 및 D형휠(40,41,42,43)로 구성된 D형휠트랙(60)과 D형휠(50,51,52,53)로 구성된 D형휠트랙(61)으로 구성된 D형휠 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치본체(10)는 밑판(11), 모터고정판(11a,11b), 지지봉(11c), 지지판(12,13), 축받이(14a)가 있는 측판(14), 축받이(15a)와 모터고정대(15b)가 부가된 측판(15)으로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롤러(20,21,22)는 롤러축(20a), 롤러원통(20b)으로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된 롤러(20,21,22)는 장치본체(10)의 측판(14)의 축받이(14a)와 측판(15)의 축받이(15a)의 일측 부터 롤러(20)를 설치하고 다음에 롤러(21)를 그 다음에 롤러(22)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할 수있다.
상기 배치된 롤러(20)의 롤러축(20a)에 롤러풀리(20c) 결합, 결합된 롤러풀리(20c)에 롤러풀리벨트(23) 연결과 모터고정대(15b)에 설치된 롤러모터(80)와 축결하고,
그리고, 또 롤러(21)의 롤러축(21a)에 롤러풀리(21c) 결합, 결합된 롤러풀리(21c)에 롤러풀리벨트(23)를 연결하고,
그리고, 또 롤러(22)의 롤러축(22a)에 롤러풀리(22c) 결합, 결합된 롤러풀리(21c)에 롤러풀리벨트(23)를 연결하여, 롤러(20,21,22)의 롤러 이송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형휠 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D형휠(40)은 휠축(40a), 휠축받이(40b), 휠풀리(40c), 평면(40e)과 벨런싱홀(40f)이 있는 D형휠판(40d)으로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된 D형휠A(40)를 휠트랙측판(30,31)의 일측 축구멍(30a,31a)에 휠벨트(76)를 걸어서 먼저 결합하고, 다음에 D형휠B(41), 그 다음에 D형휠A(42), 그 다음에 D형휠B(43)를 결합하여 D형휠트랙(60)을 구성할 수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된 D형휠A(50)를 휠트랙측판(30,31)의 일측 축구멍(30a,31a)에 휠벨트(76)를 걸어서 먼저 결합하고, 다음에 D형휠B(51), 그 다음에 D형휠A(52), 그 다음에 D형휠B(53)를 결합하여 D형휠트랙(61)을 구성할 수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된 D형휠트랙(60)을 롤러(20)와 롤러(21) 사이에 D형휠B(43)가 측판(15) 쪽으로 향하게 하고, 그리고, D형휠A(40,42)와 D형휠B(41,43)의 평면(40e)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롤러(20,21)의 위쪽 롤러 원주면(f) 보다 낮게, 그리고, D형휠A(40,42)와 D형휠B(41,43)의 D형휠 원주면(f1)이 롤러(20,21)의 위쪽 롤러 원주면(f) 보다 높게 측판(14)과 측판(15)에 설치될 수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된 D형휠트랙(61)을 롤러(21)와 롤러(22) 사이에 D형휠B(53)가 측판(15) 쪽으로 향하게 하고, 그리고, D형휠A(50,52)와 D형휠B(51,53)의 평면(40e)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롤러(21,22)의 위쪽 롤러 원주면(f) 보다 낮게, 그리고, D형휠A(50,52)와 D형휠B(51,53)의 D형휠 원주면(f1)이 롤러(21,22)의 위쪽 롤러 원주면(f) 보다 높게 측판(14)과 측판(15)에 설치될 수있다.
그리고, 구동축A(70)는 축블럭(70a,70b), 구동풀리(70c), 휠구동풀리(70d,70e)로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구동축B(71)는 축블럭(71a,71b), 구동풀리(71c), 휠구동풀리(71d,71e)로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구동축A(72)는 축블럭(72a,72b), 구동풀리(72c), 휠구동풀리(72d,72e)로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구동축B(73)는 축블럭(73a,73b), 구동풀리(73c), 휠구동풀리(73d,73e)로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된 구동축A(70)를 측판(14) 쪽 부터 모터벨트(74), 구동벨트(75), 휠벨트(76)를 걸어서 지지판(12)에 축블럭(70a)을, 그리고, 지지판(13)에 축블럭(70b)을 먼저 설치한다.
그리고, 다음에 구동축B(71)에 모터벨트(74), 구동벨트(75), 휠벨트(76)를 걸어서 지지판(12)에 축블럭(71a)을, 그리고, 지지판(13)에 축블럭(71b)을 설치한다.
그리고, 그 다음에 구동축A(72)에 모터벨트(74), 구동벨트(75), 휠벨트(76)를 걸어서 지지판(12)에 축블럭(72a)을, 그리고, 지지판(13)에 축블럭(72b)을 설치한다.
그리고, 그 다음에 구동축B(73)에 모터벨트(74), 구동벨트(75), 휠벨트(76)를 걸어서 지지판(12)에 축블럭(73a)을, 그리고, 지지판(13)에 축블럭(73b)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된 구동축A(70)의 구동풀리(70c)와 모터고정판(11a)에 설치된 휠모터A(81)의 모터풀리(81b)를 모터벨트(74)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풀리(70c)와 구동축A(72)의 구동풀리(72c)를 구동벨트(75)로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설치된 구동축B(73)의 구동풀리(73c)와 모터고정판(11b)에 설치된 휠모터B(82)의 모터풀리(82b)를 모터벨트(74)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풀리(73c)와 구동축B(71)의 구동풀리(71c)를 구동벨트(75)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축A(70)의 휠구동풀리(70d,70e)와 D형휠A(40,50)의 휠풀리(40c,50c)를 휠벨트(76)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축B(71)의 휠구동풀리(71d,71e)와 D형휠B(41,51)의 휠풀리(41c,51c)를 휠벨트(76)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축A(72)의 휠구동풀리(72d,72e)와 D형휠A(42,52)의 휠풀리(42c,52c)를 휠벨트(76)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축B(73)의 휠구동풀리(73d,73e)와 D형휠B(43,53)의 휠풀리(43c,53c)를 휠벨트(76)로 연결하여,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D형휠 순차회전 분기수단(100)과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D형휠 순차정지 이송수단(1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형휠 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D형휠 분기장치의 분기동작 시에는,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평면(40e)이 위로 향한 정지 상태에서 롤러(20,21,22)가 롤러(20)의 롤러축(20a)에 축결된 롤러모터(80)로 회전을 시작하여 분기 대상물(P)을 분기위치(90) 까지 이송시키면, 분기위치에서 분기위치센서(90)의 분기신호로 우선 롤러(20,21,22)를 정지시키고, 이어서 D형휠A(40,50,42,52)가 구동축(70,72)에 연결된 휠모터A(81)로 회전을 먼저 시작하고, 또 이어서 D형휠B(41,51,43,53)가 휠모터A(81)의 회전각도센서A(81a)가 검출한 회전각도 신호로 D형휠A(40,50,42,52) 보다 반회전 늦게 구동축(71,73)에 연결된 휠모터B(82)로 회전을 시작하여 작동하는,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순차 회전 운동으로 분기 대상물(P)을 분기시키는 D형휠 순차회전 분기수단(100) 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D형휠 분기장치의 이송동작 시에는, 상기 분기동작(100)으로 분기 대상물(P)의 분기가 완료되면 D형휠A(40,50,42,52)가 먼저 휠모터A(81)의 회전각도센서A(81a)가 검출한 회전각도 신호로 D형휠A(40,50,42,52)의 평면(40e)이 위로 향한 위치에서 정지를 하고, 이어서 D형휠B(41,51,43,53)도 휠모터B(82)의 회전각도센서B(82a)가 검출한 회전각도 신호로 D형휠B(41,51,43,53)의 평면(40 e)이 위로 향한 위치에서 정지를 시키는,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D형휠 순차정지 이송수단(110)과 상기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정지와 동시에 상기 정지되어 있던, 롤러(20,21,22)가 롤러(20)의 롤러축(20a)에 축결된 롤러모터(80)로 회전을 시작하여 이송 대상물(P)을 이송시키는 롤러 이송수단(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형휠 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D형휠 분기장치는 D형휠의 순차회전으로 분기 대상물을 고속분기 하므로써 단위 시간당 처리 능력을 높여 효율성과 실용적 기술수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 구조가 간단하고, 저 전력 친환경적으로 설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달부(T), 이송유닛(2), D형휠 분기장치(1) 등을도시한 구성도
도 2는 D형휠 분기장치(1)의 측면도
도 3은 D형휠 분기장치(1)의 위면 및 부분 분해도
도 4는 순차회전 분기수단(100), 순차정지 이송수단(110), 롤러 이송수단(120)을 각 도시한 형태도
도 5는 D형휠 분기장치(1)의 정면 및 부분 분해도
도 6은 D형휠 설치 레벨 및 D형휠 A와B의 각도별 회전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D형휠 분기장치를 각각 구성도, 측면도, 윗면 부분 분해도, 분기이송 형태도, 정면 부분 분해도 그리고 D형휠 설치 레벨 및 D형휠 A와B의 각도별 회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장치로 분기 및 이송되는 대상물은 도 1과 같이 분기,이송대상물(P)로 설명한다.
이와 같은, 분기,이송 대상물(P)이 전달부(T)로 부터 이송유닛(2)을 통하여 본 장치에 진입되면 예컨대,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D형휠 분기장치(1)에서 분기 되거나 다음 분기장치로 이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송유닛(2)에서 진입된 분기,이송 대상물(P)이 D형휠 분기장치(1) 상에서 D형휠의 순차회전 분기수단(100)에 의하여 소정의 분기위치(90)에서 분기되거나 다음 분기장치로 이송된다.
여기서, D형휠 분기장치는 장치본체(10); 장치본체(10)는 밑판(11), 모터고정판(11a,11b), 지지봉(11c), 지지판(12,13), 축받이(14a)가 있는 측판(14), 축받이(15a)와 모터고정대(15b)가 부가된 측판(15)으로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롤러(20,21,22)는 롤러축(20a), 롤러원통(20b)으로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된 롤러(20,21,22)는 장치본체(10)의 측판(14)의 축받이(14a)와 측판(15)의 축받이(15a)의 일측 부터 롤러(20)를 설치하고 다음에 롤러(21)를 그 다음에 롤러(22)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할 수있다.
상기 배치된 롤러(20)의 롤러축(20a)에 롤러풀리(20c) 결합, 결합된 롤러풀리(20c)에 롤러풀리벨트(23) 연결과 모터고정대(15b)에 설치된 롤러모터(80)와 축결하고,
그리고, 또 롤러(21)의 롤러축(21a)에 롤러풀리(21c) 결합, 결합된 롤러풀리(21c)에 롤러풀리벨트(23)를 연결하고,
그리고, 또 롤러(22)의 롤러축(22a)에 롤러풀리(22c) 결합, 결합된 롤러풀리(21c)에 롤러풀리벨트(23)를 연결하여, 롤러(20,21,22)의 롤러 이송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형휠 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D형휠(40)은 휠축(40a), 휠축받이(40b), 휠풀리(40c), 평면(40e)과 벨런싱홀(40f)이 있는 D형휠판(40d)으로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된 D형휠A(40)를 휠트랙측판(30,31)의 일측 축구멍(30a,31a)에 휠벨트(76)를 걸어서 먼저 결합하고, 다음에 D형휠B(41), 그 다음에 D형휠A(42), 그 다음에 D형휠B(43)를 결합하여 D형휠트랙(60)을 구성할 수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된 D형휠A(50)를 휠트랙측판(30,31)의 일측 축구멍(30a,31a)에 휠벨트(76)를 걸어서 먼저 결합하고, 다음에 D형휠B(51), 그 다음에 D형휠A(52), 그 다음에 D형휠B(53)를 결합하여 D형휠트랙(61)을 구성할 수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된 D형휠트랙(60)을 롤러(20)와 롤러(21) 사이에 D형휠B(43)가 측판(15) 쪽으로 향하게 하고, 그리고, D형휠A(40,42)와 D형휠B(41,43)의 평면(40e)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롤러(20,21)의 위쪽 롤러 원주면(f) 보다 낮게, 그리고, D형휠A(40,42)와 D형휠B(41,43)의 D형휠 원주면(f1)이 롤러(20,21)의 위쪽 롤러 원주면(f) 보다 높게 측판(14)과 측판(15)에 설치될 수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된 D형휠트랙(61)을 롤러(21)와 롤러(22) 사이에 D형휠B(53)가 측판(15) 쪽으로 향하게 하고, 그리고, D형휠A(50,52)와 D형휠B(51,53)의 평면(40e)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롤러(21,22)의 위쪽 롤러 원주면(f) 보다 낮게, 그리고, D형휠A(50,52)와 D형휠B(51,53)의 D형휠 원주면(f1)이 롤러(21,22)의 위쪽 롤러 원주면(f) 보다 높게 측판(14)과 측판(15)에 설치될 수있다.
그리고, 구동축A(70)는 축블럭(70a,70b), 구동풀리(70c), 휠구동풀리(70d,70e)로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구동축B(71)는 축블럭(71a,71b), 구동풀리(71c), 휠구동풀리(71d,71e)로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구동축A(72)는 축블럭(72a,72b), 구동풀리(72c), 휠구동풀리(72d,72e)로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구동축B(73)는 축블럭(73a,73b), 구동풀리(73c), 휠구동풀리(73d,73e)로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된 구동축A(70)를 측판(14) 쪽 부터 모터벨트(74), 구동벨트(75), 휠벨트(76)를 걸어서 지지판(12)에 축블럭(70a)을, 그리고, 지지판(13)에 축블럭(70b)을 먼저 설치한다.
그리고, 다음에 구동축B(71)에 모터벨트(74), 구동벨트(75), 휠벨트(76)를 걸어서 지지판(12)에 축블럭(71a)을, 그리고, 지지판(13)에 축블럭(71b)을 설치한다.
그리고, 그 다음에 구동축A(72)에 모터벨트(74), 구동벨트(75), 휠벨트(76)를 걸어서 지지판(12)에 축블럭(72a)을, 그리고, 지지판(13)에 축블럭(72b)을 설치한다.
그리고, 그 다음에 구동축B(73)에 모터벨트(74), 구동벨트(75), 휠벨트(76)를 걸어서 지지판(12)에 축블럭(73a)을, 그리고, 지지판(13)에 축블럭(73b)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된 구동축A(70)의 구동풀리(70c)와 모터고정판(11a)에 설치된 휠모터A(81)의 모터풀리(81b)를 모터벨트(74)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풀리(70c)와 구동축A(72)의 구동풀리(72c)를 구동벨트(75)로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설치된 구동축B(73)의 구동풀리(73c)와 모터고정판(11b)에 설치된 휠모터B(82)의 모터풀리(82b)를 모터벨트(74)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풀리(73c)와 구동축B(71)의 구동풀리(71c)를 구동벨트(75)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축A(70)의 휠구동풀리(70d,70e)와 D형휠A(40,50)의 휠풀리(40c,50c)를 휠벨트(76)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축B(71)의 휠구동풀리(71d,71e)와 D형휠B(41,51)의 휠풀리(41c,51c)를 휠벨트(76)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축A(72)의 휠구동풀리(72d,72e)와 D형휠A(42,52)의 휠풀리(42c,52c)를 휠벨트(76)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축B(73)의 휠구동풀리(73d,73e)와 D형휠B(43,53)의 휠풀리(43c,53c)를 휠벨트(76)로 연결하여,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D형휠 순차회전 분기수단(100)과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D형휠 순차정지 이송수단(1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형휠 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D형휠 분기장치(1)의 분기수단은 분기 시, 전달부(T)로 부터 이송유닛(2)을 통하여 D형휠 분기장치(1)에 진입된 분기 대상물(P)을 분기하기 위한 동작으로,
즉, D형휠 분기장치의 분기동작 시에는,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평면(40e)이 위로 향한 정지 상태에서 롤러(20,21,22)가 롤러(20)의 롤러축(20a)에 축결된 롤러모터(80)로 회전을 시작하여 분기 대상물(P)을 분기위치(90) 까지 이송시키면, 분기위치에서 분기위치센서(90)의 분기신호로 우선 롤러(20,21,22)를 정지시키고, 이어서 D형휠A(40,50,42,52)가 구동축(70,72)에 연결된 휠모터A(81)로 회전을 먼저 시작하고, 또 이어서 D형휠B(41,51,43,53)가 휠모터A(81)의 회전각도센서A(81a)가 검출한 회전각도 신호로 D형휠A(40,50,42,52) 보다 반회전 늦게 구동축(71,73)에 연결된 휠모터B(82)로 회전을 시작하여 작동하는,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순차 회전 운동으로 분기 대상물(P)을 분기시키는 D형휠 순차회전 분기수단(100) 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D형휠 분기장치(1)의 이송수단은 이송 시, 상기 진입 이송 중인 이송 대상물(P)을 이송하기 위한 기능으로,
즉, D형휠 분기장치의 이송동작 시에는, 상기 분기동작(100)으로 분기 대상물(P)의 분기가 완료되면 D형휠A(40,50,42,52)가 먼저 휠모터A(81)의 회전각도센서A(81a)가 검출한 회전각도 신호로 D형휠A(40,50,42,52)의 평면(40e)이 위로 향한 위치에서 정지를 하고, 이어서 D형휠B(41,51,43,53)도 휠모터B(82)의 회전각도센서B(82a)가 검출한 회전각도 신호로 D형휠B(41,51,43,53)의 평면(40 e)이 위로 향한 위치에 정지를 시키는,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D형휠 순차정지 이송수단(110)과 상기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정지와 동시에 상기 정지되어 있던, 롤러(20,21,22)가 롤러(20)의 롤러축(20a)에 축결된 롤러모터(80)로 회전을 시작하여 이송 대상물(P)을 이송시키는 롤러 이송수단(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형휠 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D형휠 분기장치 2.........이송유닛
10.......장치본체 11........밑판
11a, 11b...모터고정판 11c......지지봉
12,13........지지판 14,15.....측판
14a,15a....축받이 15b......모터고정대
20,21,22.....롤러 20a......롤러축
20b......롤러원통 20c,21c,22c....롤러풀리
23........롤러풀리벨트 30,31........휠트랙측판
30a,31a....축구멍 40........D형휠
40a......휠축 40b......휠축받이
40c......휠풀리 40d......D형휠판
40e......평면 40f......벨런싱홀
40,42.....D형휠A 41,43.....D형휠B
50,52.....D형휠A 51,53.....D형휠B
60,61.....D형휠트랙 70,72.....구동축A
71,73.....구동축B 70a,70b,....축블럭
71a,71b....축블럭 72a,72b.....축블럭
73a,73b....축블럭 70c,71c.....구동풀리
72c,73c....구동풀리 70d,70e.....휠구동풀리
71d,71e....휠구동풀리 72d,72e.....휠구동풀리
73d,73e....휠구동풀리 74............모터벨트
75......구동벨트 76............휠벨트
80......롤러모터 81............휠모터A
81a.....회전각도센서A 82............휠모터B
82a....회전각도센서B 81a,82b.....모터풀리
90......분기위치센서 100.....D형휠 순차회전 분기수단
110.....D형휠 순차정지 이송수단 120.....롤러 이송수단
f......롤러 원주면 f1.....D형휠 원주면
L......D형휠 설치 레벨 T......전달부
P......분기,이송 대상물 E......엔코더
C......주제어부

Claims (3)

  1. D형휠 순차회전 분기수단(100);
    상기 D형휠 순차회전 분기수단(100)은, 장치본체(10); 장치본체(10)는 밑판(11), 모터고정판(11a,11b), 지지봉(11c), 지지판(12,13), 축받이(14a)가 있는 측판(14), 축받이(15a)와 모터고정대(15b)가 부가된 측판(15)으로 구성하고,
    그리고, 롤러(20,21,22)는 롤러축(20a), 롤러원통(20b)으로 구성하고,
    그리고, 상기 구성된 롤러(20,21,22)는 장치본체(10)의 측판(14)의 축받이(14a)와 측판(15)의 축받이(15a)의 일측 부터 롤러(20)를 설치하고 다음에 롤러(21)를 그 다음에 롤러(22)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배치된 롤러(20)의 롤러축(20a)에 롤러풀리(20c) 결합, 결합된 롤러풀리(20c)에 롤러풀리벨트(23) 연결과 모터고정대(15b)에 설치된 롤러모터(80)와 축결하고,
    그리고, 또 롤러(21)의 롤러축(21a)에 롤러풀리(21c) 결합, 결합된 롤러풀리(21c)에 롤러풀리벨트(23)를 연결하고,
    그리고, 또 롤러(22)의 롤러축(22a)에 롤러풀리(22c) 결합, 결합된 롤러풀리(21c)에 롤러풀리벨트(23)를 연결한 구조를 형성하고,
    그리고, D형휠(40)은 휠축(40a), 휠축받이(40b), 휠풀리(40c), 평면(40e)과 벨런싱홀(40f)이 있는 D형휠판(40d)으로 구성하고,
    그리고, 상기 구성된 D형휠A(40)를 휠트랙측판(30,31)의 일측 축구멍(30a,31a)에 휠벨트(76)를 걸어서 먼저 결합하고, 다음에 D형휠B(41), 그 다음에 D형휠A(42), 그 다음에 D형휠B(43)를 결합하여 D형휠트랙(60)을 구성하고,
    그리고, 상기 구성된 D형휠A(50)를 휠트랙측판(30,31)의 일측 축구멍(30a,31a)에 휠벨트(76)를 걸어서 먼저 결합하고, 다음에 D형휠B(51), 그 다음에 D형휠A(52), 그 다음에 D형휠B(53)를 결합하여 D형휠트랙(61)을 구성하고,
    그리고, 상기 구성된 D형휠트랙(60)을 롤러(20)와 롤러(21) 사이에 D형휠B(43)가 측판(15) 쪽으로 향하게 하고, 그리고, D형휠A(40,42)와 D형휠B(41,43)의 평면(40e)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롤러(20,21)의 위쪽 롤러 원주면(f) 보다 낮게, 그리고, D형휠A(40,42)와 D형휠B(41,43)의 D형휠 원주면(f1)이 롤러(20,21)의 위쪽 롤러 원주면(f) 보다 높게 측판(14)과 측판(15)에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구성된 D형휠트랙(61)을 롤러(21)와 롤러(22) 사이에 D형휠B(53)가 측판(15) 쪽으로 향하게 하고, 그리고, D형휠A(50,52)와 D형휠B(51,53)의 평면(40e)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롤러(21,22)의 위쪽 롤러 원주면(f) 보다 낮게, 그리고, D형휠A(50,52)와 D형휠B(51,53)의 D형휠 원주면(f1)이 롤러(21,22)의 위쪽 롤러 원주면(f) 보다 높게 측판(14)과 측판(15)에 설치하고,
    그리고, 구동축A(70)는 축블럭(70a,70b), 구동풀리(70c), 휠구동풀리(70d,70e)로 구성하고,
    그리고, 구동축B(71)는 축블럭(71a,71b), 구동풀리(71c), 휠구동풀리(71d,71e)로 구성하고,
    그리고, 구동축A(72)는 축블럭(72a,72b), 구동풀리(72c), 휠구동풀리(72d,72e)로 구성하고,
    그리고, 구동축B(73)는 축블럭(73a,73b), 구동풀리(73c), 휠구동풀리(73d,73e)로 구성하고,
    그리고, 상기 구성된 구동축A(70)를 측판(14) 쪽 부터 모터벨트(74), 구동벨트(75), 휠벨트(76)를 걸어서 지지판(12)에 축블럭(70a)을, 그리고, 지지판(13)에 축블럭(70b)을 먼저 설치하고,
    그리고, 다음에 구동축B(71)에 모터벨트(74), 구동벨트(75), 휠벨트(76)를 걸어서 지지판(12)에 축블럭(71a)을, 그리고, 지지판(13)에 축블럭(71b)을 설치하고,
    그리고, 그 다음에 구동축A(72)에 모터벨트(74), 구동벨트(75), 휠벨트(76)를 걸어서 지지판(12)에 축블럭(72a)을, 그리고, 지지판(13)에 축블럭(72b)을 설치하고,
    그리고, 그 다음에 구동축B(73)에 모터벨트(74), 구동벨트(75), 휠벨트(76)를 걸어서 지지판(12)에 축블럭(73a)을, 그리고, 지지판(13)에 축블럭(73b)을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설치된 구동축A(70)의 구동풀리(70c)와 모터고정판(11a)에 설치된 휠모터A(81)의 모터풀리(81b)를 모터벨트(74)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풀리(70c)와 구동축A(72)의 구동풀리(72c)를 구동벨트(75)로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설치된 구동축B(73)의 구동풀리(73c)와 모터고정판(11b)에 설치된 휠모터B(82)의 모터풀리(82b)를 모터벨트(74)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풀리(73c)와 구동축B(71)의 구동풀리(71c)를 구동벨트(75)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축A(70)의 휠구동풀리(70d,70e)와 D형휠A(40,50)의 휠풀리(40c,50c)를 휠벨트(76)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축B(71)의 휠구동풀리(71d,71e)와 D형휠B(41,51)의 휠풀리(41c,51c)를 휠벨트(76)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축A(72)의 휠구동풀리(72d,72e)와 D형휠A(42,52)의 휠풀리(42c,52c)를 휠벨트(76)로 연결하고,
    그리고, 구동축B(73)의 휠구동풀리(73d,73e)와 D형휠B(43,53)의 휠풀리(43c,53c)를 휠벨트(76)로 연결한 구조를 형성하여,
    분기동작 시에는,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평면(40e)이 위로 향한 정지 상태에서 롤러(20,21,22)가 롤러(20)의 롤러축(20a)에 축결된 롤러모터(80)로 회전을 시작하여 분기 대상물(P)을 분기위치(90) 까지 이송시키면, 분기위치에서 분기위치센서(90)의 분기신호로 우선 롤러(20,21,22)를 정지시키고, 이어서 D형휠A(40,50,42,52)가 구동축(70,72)에 연결된 휠모터A(81)로 회전을 먼저 시작하고, 또 이어서 D형휠B(41,51,43,53)가 휠모터A(81)의 회전각도센서A(81a)가 검출한 회전각도 신호로 D형휠A(40,50,42,52) 보다 반회전 늦게 구동축(71,73)에 연결된 휠모터B(82)로 회전을 시작하여 작동하는,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순차 회전 운동으로 분기 대상물(P)을 분기시키는 D형휠 순차회전 분기수단(100) 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형휠 분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D형휠 순차정지 이송수단(110)은, 상기 분기동작(100)으로 분기 대상물(P)의 분기가 완료되면 D형휠A(40,50,42,52)가 먼저 휠모터A(81)의 회전각도센서A(81a)가 검출한 회전각도 신호로 D형휠A(40,50,42,52)의 평면(40e)이 위로 향한 위치에서 정지를 하고, 이어서 D형휠B(41,51,43,53)도 휠모터B(82)의 회전각도센서B(82a)가 검출한 회전각도 신호로 D형휠B(41,51,43,53)의 평면(40 e)이 위로 향한 위치에서 정지를 시키는,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D형휠 순차정지 이송수단(110)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형휠 분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롤러 이송수단(120)은, 상기 D형휠A(40,50,42,52)와 D형휠B(41,51,43,53)의 정지와 동시에 상기 정지되어 있던, 롤러(20,21,22)가 롤러(20)의 롤러축(20a)에 축결된 롤러모터(80)로 회전을 시작하여 이송 대상물(P)을 이송시키는 롤러 이송수단(120)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형휠 분기장치.
KR1020220101475A 2022-08-12 2022-08-12 D형휠 분기장치 KR20240022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475A KR20240022868A (ko) 2022-08-12 2022-08-12 D형휠 분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475A KR20240022868A (ko) 2022-08-12 2022-08-12 D형휠 분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868A true KR20240022868A (ko) 2024-02-20

Family

ID=9005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475A KR20240022868A (ko) 2022-08-12 2022-08-12 D형휠 분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286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519B1 (ko) 2020-07-29 2022-06-15 고성호 D형롤러 분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519B1 (ko) 2020-07-29 2022-06-15 고성호 D형롤러 분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06699B2 (en) Method and conveyor device for returning empties, in particular bottles and cans
FR2592016A3 (fr) Ensemble de transport et de dechargement pour trier des articles
KR20220014480A (ko) D형롤러 분기장치
US7407056B2 (en) Automatic container recycling apparatus
US4813528A (en) Conveyor loading system
US20050022903A1 (en) 360 Degree rotatable lifter arm for log singulator
KR20240022868A (ko) D형휠 분기장치
US5056438A (en) Detection system for conveyer system which utilizes conveyor drive to rotate identifying code wheel
NL1010937C2 (nl) Inrichting voor het roteren van ten minste een vlak voorwerp.
KR920701017A (ko) 적치용 콘베이어(An Accumulation Conveyor)
NL8101004A (nl) Inrichting voor het stapsgewijze in meerdere kleuren bedrukken van voorwerpen met een omwentelingsoppervlak.
JPH0453775B2 (ko)
JPH05213434A (ja) タイルの反転装置
FR2909365A1 (fr) Dispositif de transport d'objets a courroies superposees, installation et procede de transport correspondant
KR910005184B1 (ko) 금형교환장치의 로울러 구동장치
CN111318459A (zh) 一种模组化的凸轮分拣装置及分拣方法
CN202845341U (zh) 一种物流自动分拣设备用带式输送机构
KR20240000123U (ko) D형롤러
CN217577011U (zh) 一种环形输送线
CN217437030U (zh) 一种钢管自动输送设备
JP5084927B2 (ja) 計量搬送装置
NL1009962C2 (nl) Inrichting voor het over een zekere hoogte verplaatsen van in een rij aangevoerde voorwerpen.
CN220641601U (zh) 一种食用油输送装置
JP2798155B2 (ja) 円形偏平物品の側面検査装置
JPH01275313A (ja) ローラコンベヤー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