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943A -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943A
KR20240020943A KR1020220099300A KR20220099300A KR20240020943A KR 20240020943 A KR20240020943 A KR 20240020943A KR 1020220099300 A KR1020220099300 A KR 1020220099300A KR 20220099300 A KR20220099300 A KR 20220099300A KR 20240020943 A KR20240020943 A KR 20240020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ocking
vehicle
sheet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득우
Original Assignee
(주)티에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프에스 filed Critical (주)티에프에스
Priority to KR1020220099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943A/ko
Publication of KR20240020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94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중심부 하단과 차체 바닥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축회전을 통해 상기 시트를 회전시켜 방향을 조절하는 시트 회전부, 상기 시트 회전부와 일체로 조립 구성되어 하나의 어셈블리로 형성되며 상기 차체 바닥 프레임에 설치되어 레일 이송을 통해 상기 시트를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는 시트 이동부, 및 상기 시트의 양측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 바닥 프레임에 설치되는 후크부에 록킹 및 록킹 해제를 통해 상기 차체 바닥 프레임에 상기 시트를 탈착시키는 시트 록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VEHICLE SEAT MOVEMEN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공간 내 상황에 맞춰 시트를 다각도로 회전시켜 시트 위치가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송 또는 운반수단으로 사용된다. 차량은 탑승자 또는 승객을 운송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공간 내에 착좌공간을 제공하는 시트가 탑재된다.
차량의 시트는 등받이 각도, 시트 높이와 시트 앞뒤 거리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시트 조절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지 않아도 되는 자율주행 차량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실정이고 각국의 정부 차원에서도 자율주행 차량의 상용화를 목표로 자율주행 차량 전용 도로 인프라 구축 계획도 세우고 있다. 이와 같은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 차량의 실내공간이 운전하는 공간에서 휴식, 다자 간의 회의 및 대화, 외부 경관 관람, 침취 등의 공간으로 변화될 수 있다. 차량의 실내공간의 기능 변화에 따라 시트를 원하는 방향 및 위치로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시트조절 메커니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6378(2015.12.03)호는 차량용 시트레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1작동부재, 단부에 워크인작동레버가 연결되며 상기 워크인작동레버의 작동 조작시 이동레일에 마련된 작동경로를 따라 이동방향이 변경되면서 이동되고 이동방향이 변경 및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작동부재와 결합되는 상태와 분리되는 상태로 전환되어 제1작동부재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작동부재, 및 상기 제1작동부재가 이동되는 직선 이동변위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워크인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레일 이송장치가 소개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47758(2022.01.03)호는 자율주행차량의 회전형 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율주행차량의 시트가 승객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절된 상태에서 선회 주행 시 승객의 체압 비율에 따라 시트의 포지션 및 볼스터 볼륨을 조절함으로써, 원심력 및 관성에 따른 신체 쏠림을 지지하여 승객에게 항상 안정적인 시트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자율주행차량의 회전형 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6378(2015.12.03)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47758(2022.01.03)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실내공간 내 상황에 맞춰 시트를 다각도로 회전시켜 시트 위치가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시트를 직선 또는 곡선 구간에 대해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시트 후진 이동시 뒷바퀴 휀다 간섭 구간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체 바닥의 이동 구간의 양끝단 또는 중간 지점에 후크를 설치하여 시트 이송 중 후크 설치 지점에서 시트를 아래로 누르면 시트가 자동 록킹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는 시트의 중심부 하단과 차체 바닥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축회전을 통해 상기 시트를 회전시켜 방향을 조절하는 시트 회전부, 상기 시트 회전부와 일체로 조립 구성되어 하나의 어셈블리로 형성되며 상기 차체 바닥 프레임에 설치되어 레일 이송을 통해 상기 시트를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는 시트 이동부, 및 상기 시트의 양측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 바닥 프레임에 설치되는 후크부에 록킹 및 록킹 해제를 통해 상기 차체 바닥 프레임에 상기 시트를 탈착시키는 시트 록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 회전부는 상기 시트의 중심에 축결합되어 연장 형성되는 상부축과 하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축이 상기 하부축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되는 축부재, 및 중심에 상기 축부재이 관통 결합되어 상기 축부재의 회전 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키는 볼베어링으로 구성되는 베어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회전부는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의 높이 조절 또는 시트를 상기 차체 바닥 프레임에 록킹시에 탄성 지지하고 상기 시트를 상기 차체 바닥 프레임으로부터 록킹 해제시 상기 시트가 자동 리프트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이동부는 상기 차체 바닥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의 전방 또는 후방에 대해 이송을 위한 직선 또는 곡선 구간을 제공하는 레일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를 중심으로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재 내에서 상기 직선 또는 곡선 구간을 따라 상기 시트를 이동시키는 롤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재는 상부와 하부 각각에 복수개의 상부 롤러들과 하부 롤러들이 서로 어긋나게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레일부재 내에서 상단과 하단에 접촉하여 복수개의 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롤러들은 볼프란자(ball plunge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 록킹부는 상기 시트의 측면에 고정되며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말단에 내측 방향으로 절개된 록킹홈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가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시트를 하향 가압하면 상기 록킹홈을 통해 상기 후크부의 삽입이 유도되어 상기 록킹홈에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어 록킹 상태가 되는 록킹 레버, 및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케이블을 통해 사용자 조작 레버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록킹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조작 레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록킹 레버를 상기 후크부로부터 록킹 해제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는 차량의 실내공간 내 상황에 맞춰 시트를 다각도로 회전시켜 시트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는 차량 시트를 직선 또는 곡선 구간에 대해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시트 후진 이동시 뒷바퀴 휀다 간섭 구간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는 차체 바닥의 이동 구간의 양끝단 또는 중간 지점에 후크를 설치하여 시트 이송 중 후크 설치 지점에서 시트를 아래로 누르면 시트가 자동 록킹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트 회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시트 이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시트 이동레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시트 록킹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의 시트 움직임 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c의 시트 록킹부의 시트 록킹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차량(vehicle)", "차량의(vehicular)" 또는 다른 유사한 용어는 자동차들, 일반적으로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들(SUV)을 포함하는 자가용들(passenger automobiles), 버스들, 트럭들, 다양한 상업 차량들, 다양한 보트들 및 배들을 포함하는 선박, 비행기 등을 포함하고, 그리고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수소 동력 차량들과 다른 대체 연료(예를 들어, 석유가 아닌 자원들로부터 유도된 연료들) 차량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EV)는 자신의 이동 능력들(locomotion capabilities)의 부분으로서, 충전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재충전 가능한 전기 화학적 셀 또는 다른 유형의 배터리)로부터 얻어지는 전기 동력을 포함하는 차량이다. EV는 자동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모터 사이클들, 카트들, 스쿠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두 개 이상의 전력 소스, 일례로 가솔린 기반 동력 및 전기 기반 동력을 갖는 차량이다(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시트 회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시트 이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시트 이동레일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시트 록킹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100)는 시트(S)의 하단에 구비되어 시트(S)를 전후방 회전 및 레일 이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100)는 시트(S)를 앞뒤 전환할 수 있고 차체 바닥 프레임(200)에 자동 탈착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차체 바닥 프레임(200)은 중앙에 시트(S)의 회전 및 이동을 위한 메커니즘이 장착될 수 있는 중앙 장착홈(210)이 형성되고 중앙 장착홈(2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시트(S)의 록킹을 위한 메커니즘이 장착될 수 있는 양측 장착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100)는 시트 회전부(110), 시트 이동부(130), 시트 록킹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트 회전부(110)는 시트(S)의 중심부 하단에 설치되어 차체 바닥 프레임(200)의 중앙 장착홈(210)에 장착되고 축회전을 통해 시트(S)를 회전시킨다. 시트 회전부(110)는 시트(S)가 차체 바닥 프레임(200)의 양측 장착홈(230)으로부터 록킹 해제된 상태에서 시트(S)에 외력을 가하면 축회전을 통해 시트(S)를 180도 회전시키게 된다. 시트(S)가 회전된 상태에서 시트(S)를 하방을 향해 가압하면 시트(S)의 양측 하단이 차체 바닥 프레임(200)의 양측 장착홈(230)에 장착되어 록킹 상태가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트 회전부(110)는 축부재(111)와 베어링부재(113)를 포함한다. 축부재(111)는 시트(S)의 중심에 축결합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축부재(111)는 일측이 시트(S)의 중심부 하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베어링부재(113)의 중심에 관통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축부재(111)에 결합된 시트(S)를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축부재(111)는 시트(S)의 중심에 축결합되는 상부축(111a)과 베어링부재(113)의 중심에 축결합되는 하부축(111b)으로 구성되고 상부축(111a)이 하부축(111b)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되어 시트(S)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베어링부재(113)는 축부재(111)의 회전 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베어링부재(113)는 볼베어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 회전부(110)는 축부재(111)의 외주면에 스프링부재(115)를 설치하여 시트(S)의 높이 조절 또는 시트(S)를 차체 바닥 프레임(200)에 록킹시에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시트(S)를 차체 바닥 프레임(200)으로부터 언로킹시 시트(S)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시트 이동부(130)는 시트(S)의 중심부 하단에 설치되고 차체 바닥 프레임(200)의 중앙 장착홈(210)에 장착되어 시트(S)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시트 이동부(130)는 시트 회전부(1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시트 이동부(130)는 레일부재(131)과 롤러부재(133)를 포함한다.
레일부재(131)는 차체 바닥 프레임(200)의 중앙 장착홈(210)을 따라 설치되고 시트(S)의 전방 또는 후방에 대해 이송 구간을 제공할 수 있다. 레일부재(13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선레일(a)과 직선레일(b)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뒤쪽에는 바퀴가 돌출되어 있어 시트(S)가 차량 뒤쪽으로 후방 이동시 직선 구간과 곡선 구간이 혼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일부재(131)는 차체 바닥 프레임(200)의 중앙 장착홈(210)을 따라 곡선레일(a)과 직선레일(b)이 설치될 수 있다.
롤러부재(133)는 레일부재(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롤러부재(133)는 시트 회전부(110)의 베어링부재(113)를 중심으로 외측에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 각각에 복수개의 상부 롤러들(133a)와 하부 롤러들(133b)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레일부재(131) 내에서 구름작용에 의해 시트(S)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부 롤러(133a)와 하부 롤러(133b)는 볼프란자(ball plunger)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시트 회전부(110)의 베어링부재(113)와 시트 이동부(130)의 롤러부재(133)는 조립 구성되어 하나의 어셈블리로 형성됨에 따라 레일부재(131) 내 설치가 일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롤러(133a)와 하부 롤러(133b)는 각각 4개씩 서로 어긋나게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레인부재(131)의 상단과 하단에 접촉하여 총 8개의 접점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레인부재(131) 내부가 롤러부재(133)와의 유격이 최소화됨으로써 시트(S)의 회전 및 이동 과정에서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마찰 또는 흔들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시트 록킹부(150)는 시트(S)를 차체 바닥 프레임(200)에 록킹 또는 언록킹하여 시트(S)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고정 해제시킨다. 시트 록킹부(150)는 시트(S)의 양측 하단에 각각 마련되고 차체 바닥 프레임(200)의 양측 장착홈(230)의 양끝단 또는 중간 지점에 설치된 후크부(170)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어 시트(S)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시트 록킹부(150)는 시트(S)의 양 측면에 고정된 판형상의 베이스(151), 베이스(151)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록킹 레버(153) 및 록킹 레버(153)의 회전을 단속하는 코일스프링 형상의 록킹 스프링(1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51)는 시트(S)의 측면에 고정되며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록킹 레버(153)는 베이스(151)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차체 바닥 프레임(200)의 양측 장착홈(230)에 설치된 후크부(170)에 록킹되어 시트(S)를 차체 바닥 프레임(200)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언록킹되어 시트(S)를 차체 바닥 프레임(200) 상에서 회전 및 전후방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고정해제시킬 수 있다. 록킹 레버(153)는 말단에 내측 방향으로 절개된 록킹홈(153a)이 형성되어 후크부(170)가 설치된 위치에서 시트(S)를 하방을 향해 가압하면 록킹홈(153a)을 통해 후크부(170)의 삽입이 유도되어 록킹홈(153a)에 후크부(170)가 삽입되어 록킹 상태가 될 수 있다.
록킹 스프링(155)은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케이블을 통해 사용자 조작 레버(미도시)에 연결되고 타측이 록킹 레버(153)에 연결되어 사용자 조작 레버의 작동에 따라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록킹 레버(153)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의 동작을 도 6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100)는 차체 바닥 프레임(200)과 시트(S) 사이에 설치되어 시트(S)를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며 또한 전후방 이동을 통해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시트(S)는 시트 회전부(110)에 의해 180도 회전할 수 있으며, 시트 록킹부(150)에 의해 차체 바닥 프레임(200)에 설치된 후크부(170)에 록킹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록킹 해제시 자동 리프팅되어 회전 및 이동 대기 상태가 될 수 있다.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100)는 시트 회전부(110)를 통해 시트(S)를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가 차량 앞쪽을 향해 설치된 경우 시트 회전부(110)는 시트(S)가 록킹 해제 상태에서 축부재(111)를 화살표 방향 또는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시트(S)를 180도 회전시켜 차량 뒤쪽을 향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시트 회전부(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재(111)가 시트(S)의 중심부 하단에 고정 체결되고 베어링 부재(113)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시트(S)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100)는 시트 이동부(130)를 통해 시트(S)를 전방 또는 후방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가 차량 앞쪽에 설치된 경우 시트 이동부(130)는 시트(S)가 록킹 해제 상태에서 롤링부재(133)의 롤링에 의해 레일부재(131)를 차체 바닥 프레임(200)의 중앙 장착홈(210)을 따라 이동시켜 시트(S)를 차량 뒤쪽으로 후진되도록 할 수 있다. 시트 이동부(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131)가 차체 바닥 프레임(200)의 중앙 장착홈(210)에 장착되고 레일부재(131) 내에 롤링 부재(133)가 시트 회전부(110)의 베어링부재(113)의 외측에 조립되어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시트(S)의 위치를 전환시킬 수 있다.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100)는 시트(S)의 회전 및 이동 완료 후 시트 록킹부(150)를 통해 시트(S)를 차체 바닥 프레임(200)에 록킹하여 시트(S)의 방향과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해제 상태에서는 시트(S)의 중심부 하단에 고정 체결된 축부재(111)의 외측에 설치된 스프링부재(115)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시트(S)가 상방을 향해 자동 리프트되어 시트(S)가 회전 또는 이동 가능 상태가 된다. 시트 회전부(110) 및 시트 이동부(130)를 통해 시트(S)를 원하는 방향 및 위치로 전환시킨 상태에서 시트(S)를 하방을 향해 가압하면 시트 록킹부(150)의 록킹 레버(153)에 차체 바닥 프레임(200)의 양측 장착홈(230)에 설치된 후크부(170)가 삽입되어 시트(S)를 차체 바닥 프레임(200)에 록킹시킬 수 있다. 이때, 스프링부재(115)는 압축되면서 시트(S)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후크부(170)는 차체 바닥 프레임(200)의 양끝단에 설치되고 중간에 추가 설치되어 시트(S)의 록킹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시트 록킹부(150)는 시트(S)의 양측 하단의 양끝에 각각 설치되어 시트(S)의 흔들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시트 록킹부(150)는 시트(S)가 록킹 해제되어 차체 바닥 프레임(200)으로부터 자동 리프트된 상태에서, 후크부(170)의 설치 지점에서 시트(S)의 하향 가압을 통해 자동 록킹을 진행할 수 있다. 시트(S)가 차체 바닥 프레임(200)을 향해 하향 리프트되는 과정에서 록킹 레버(153)의 록킹홈(153a)에 후크부(170)의 삽입이 유도될 수 있다. 록킹 레버(153)의 록킹홈(153a)에 후크부(170)가 완전 삽입되면 록킹 완료되어 시트(S)를 차체 바닥 프레임(200)에 고정할 수 있다.
시트 록킹부(150)는 시트(S)가 록킹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 레버(미도시)를 사용자가 조작하면 케이블을 통해 록킹 스프링(155)을 잡아당겨 록킹 레버(153)의 록킹홈(153a)에 록킹된 후크부(170)의 탈거가 유도될 수 잇다. 록킹 레버(153)의 록킹홈(153a)에 후크부(170)가 완전 탈거되면 록킹 해제 완료되어 시트(S)를 차체 바닥 프레임(200)으로부터 고정 해제하고 상향 리프트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
110: 시트 회전부 111: 축부재
111a: 상부축 111b: 하부축
113: 베어링부재 115: 스프링부재
130: 시트 이동부
131: 레일부재 133: 롤러부재
133a: 상부 롤러 133b: 하부 롤러
150: 시트 록킹부 151: 베이스
153: 록킹 레버 153a: 록킹홈
155: 록킹 스프링 170: 후크부
200: 차체 바닥 프레임
210: 중앙 장착홈 230: 양측 장착홈

Claims (6)

  1. 시트의 중심부 하단과 차체 바닥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축회전을 통해 상기 시트를 회전시켜 방향을 조절하는 시트 회전부;
    상기 시트 회전부와 일체로 조립 구성되어 하나의 어셈블리로 형성되며 상기 차체 바닥 프레임에 설치되어 레일 이송을 통해 상기 시트를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는 시트 이동부; 및
    상기 시트의 양측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 바닥 프레임에 설치되는 후크부에 록킹 및 록킹 해제를 통해 상기 차체 바닥 프레임에 상기 시트를 탈착시키는 시트 록킹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회전부는
    상기 시트의 중심에 축결합되어 연장 형성되는 상부축과 하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축이 상기 하부축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되는 축부재; 및
    중심에 상기 축부재이 관통 결합되어 상기 축부재의 회전 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키는 볼베어링으로 구성되는 베어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회전부는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의 높이 조절 또는 시트를 상기 차체 바닥 프레임에 록킹시에 탄성 지지하고 상기 시트를 상기 차체 바닥 프레임으로부터 록킹 해제시 상기 시트가 자동 리프트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이동부는
    상기 차체 바닥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의 전방 또는 후방에 대해 이송을 위한 직선 또는 곡선 구간을 제공하는 레일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를 중심으로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재 내에서 상기 직선 또는 곡선 구간을 따라 상기 시트를 이동시키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부와 하부 각각에 복수개의 상부 롤러들과 하부 롤러들이 서로 어긋나게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레일부재 내에서 상단과 하단에 접촉하여 복수개의 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롤러들은 볼프란자(ball plung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록킹부는
    상기 시트의 측면에 고정되며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말단에 내측 방향으로 절개된 록킹홈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가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시트를 하향 가압하면 상기 록킹홈을 통해 상기 후크부의 삽입이 유도되어 상기 록킹홈에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어 록킹 상태가 되는 록킹 레버; 및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케이블을 통해 사용자 조작 레버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록킹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조작 레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록킹 레버를 상기 후크부로부터 록킹 해제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
KR1020220099300A 2022-08-09 2022-08-09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 KR20240020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300A KR20240020943A (ko) 2022-08-09 2022-08-09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300A KR20240020943A (ko) 2022-08-09 2022-08-09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943A true KR20240020943A (ko) 2024-02-16

Family

ID=9005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300A KR20240020943A (ko) 2022-08-09 2022-08-09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94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378B1 (ko) 2014-07-01 2015-12-1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이송장치
KR102347758B1 (ko) 2017-09-18 202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차량의 회전형 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378B1 (ko) 2014-07-01 2015-12-1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이송장치
KR102347758B1 (ko) 2017-09-18 202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차량의 회전형 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7014B2 (ja) 特に自動車用の車両シート
EP3594054B1 (en) Seat-track assembly
CN107662525B (zh) 用于车辆的座椅旋转装置
US8182016B2 (en) Swivel seating system
US6302483B1 (en) Revolving seat, in particular for a rail vehicle
US7665704B2 (en) Seat rail apparatus
JP4440890B2 (ja) 乗り物の内部空間を変更する方法と、その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座席
KR101987006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KR101305815B1 (ko)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US7543874B2 (en) Vehicular sliding console
KR10126315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KR101987030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JP2000238560A (ja) 自動車のシート
KR20240020943A (ko) 차량용 시트 움직임 조절 장치
WO2008093918A1 (en) Apparatus for locking seat track for vehicle
JPH1067263A (ja) 乗物用座席の配列切替装置
US20200189432A1 (en) Armrest assembly with self-leveling capability
CN216610972U (zh) 一种扶手箱组件及汽车
CN1406186A (zh) 用于车辆座椅靠背且尤其是汽车座椅靠背的调节装置
CN114590179A (zh) 汽车座椅
JP3906148B2 (ja) 乗物用座席の配列切替装置
JP2012025222A (ja) 車室内フロア構造
US11524617B2 (en) Device for adjusting a height of a mono-post type headrest for a vehicle
CN213705255U (zh) 一种多向头枕、汽车座椅及车辆
CN113829973B (zh) 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