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416A - 퍼프 - Google Patents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416A
KR20240020416A KR1020220098379A KR20220098379A KR20240020416A KR 20240020416 A KR20240020416 A KR 20240020416A KR 1020220098379 A KR1020220098379 A KR 1020220098379A KR 20220098379 A KR20220098379 A KR 20220098379A KR 20240020416 A KR20240020416 A KR 20240020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main cushion
puff
cush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준
Original Assignee
최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준 filed Critical 최재준
Priority to KR102022009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416A/ko
Priority to KR1020240017756A priority patent/KR20240024138A/ko
Publication of KR20240020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4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드러운 사용감을 갖기 위해 메인쿠션을 PU 재질로 구성하면서도, 밴드의 부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밴드를 메인쿠션에 결합면을 형성하면서 결합하되 결합테와 결합증강선을 형성하는 퍼프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퍼프는 메인쿠션 및 상기 메인쿠션에 결합되는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쿠션과 밴드는 PU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의 양 단부는 상기 메인쿠션의 단부와 용융 압착되어 형성되는 결합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퍼프{Puff}
본 발명은 퍼프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감이 개선되면서도 내구성을 구비한 화장용 퍼프에 대한 것이다.
화장용 퍼프는 화장품을 피부에 바르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퍼프는 폴리우레탄 소재의 커버에 쿠션폼이 삽입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화장용 퍼프의 파지면에는 파지를 위한 손잡이가 부착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손잡이를 부착하는 방법은 미싱 등의 장비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미싱 등에 의해 박음질을 할 경우, 스폰지형 퍼프의 공극으로 인해 박음질 부분의 품질이 떨어져 손잡이가 퍼프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제품의 불량 및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이에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손잡이(밴드)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TPU로 이루어진 사용면에 밴드를 열융착하여 형성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은 단순히 밴드의 결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TPU를 열융착하므로 TPU의 뻗뻗한 성질에 따라 신축성이 없어 사용감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나아가, 선행기술문헌은 사용면과 파지면의 재질을 다르게 구성하므로 사용시에 메인 쿠션의 중간이 벌어지는 문제도 함께 발생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99482호(2019. 10. 01.), 화장용 퍼프{PUFF FOR MAKE-UP}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드러운 사용감을 갖기 위해 메인쿠션과 밴드를 신축성이 좋은 PU 재질로 구성하면서도, 밴드의 부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밴드를 메인쿠션에 결합면을 형성하면서 결합하되 결합테와 결합증강선을 형성하는 퍼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퍼프는 메인쿠션 및 상기 메인쿠션에 결합되는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쿠션과 밴드는 PU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의 양 단부는 상기 메인쿠션의 단부와 용융 압착되어 형성되는 결합면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결합면은 밴드의 폭방향 전체에 형성되되 밴드의 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쿠션의 테두리에는 조직구조가 다른 결합테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은 결합테로부터 시작하여 내측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테는 메인쿠션 또는 밴드의 조직구조보다 상대적으로 밀한 클로즈드 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쿠션과 상기 밴드에는 동시에 상기 결합테에 인접한 결합증강선이 결합테에 대응하도록 메인쿠션 전체 테두리와 밴드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테는 밴드의 폭방향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이 길이방향 단부에는 제2 결합테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테는 상기 제1 결합테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쿠션은 같은 재질의 상부 쿠션과 하부 쿠션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쿠션과 하부 쿠션 사이에 우레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층은 결합면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가 메인쿠션으로부터 박리되는 접착강도는 35kgf/cm2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인쿠션과 밴드를 PU 재질로 구성하여 부드러운 사용감을 도출하면서, 밴드를 메인쿠션의 단부에 결합면을 형성하면서 결합하되 결합테를 형성하여 결합면의 접착력을 더욱 극대화하고, 결합증강선을 더 형성하여 밴드의 부착력을 더욱 극대화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1000)는 크게 메인쿠션(100)과 메인쿠션에 결합되는 밴드(200)로 구성된다. 메인쿠션(100)과 밴드(200)는 부드러운 사용감을 가지기 위해 내부에 기공 구조(오픈셀과 클로즈드 셀이 병존)를 갖는 PU 재질(폴리우레탄폼)로 형성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건식 PU 재질 또는 습식 PU 재질(루비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쿠션(100)은 PU 재질인 상부쿠션(미도시)와 하부쿠션(미도시)로 이루어지고 중간에 우레탄층(150)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밴드(200)의 길이방향 양 단부는 메인쿠션(100)의 단부와 용융 압착되어 결합면(B)을 형성한다. 이러한 결합면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밴드(200)의 폭방향 전체에 형성되되 밴드(200)이 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정거리 만큼 이격된 거리(L) 사이에 형성된다. 이에, 메인쿠션(100)은 결합면(B)이 형성된 단부 쪽 영역이 평면 구간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주된 부분은 위아래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메인쿠션(100)이 상부쿠션(미도시)와 하부쿠션(미도시)로 이루어지고 중간에 우레탄층(150)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 우레탄층(150)은 결합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메인쿠션의 테두리 단부 쪽에는 두께가 매우 작아지는 결합테(110)가 형성되고 메인쿠션과 밴드가 압착된 부위의 테두리에도 그 두께가 매우 작아지는 결합테(110a)가 형성된다. 즉, 여기서 결합테(110a)는 밴드의 폭방향 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테(110,110a)는 밴드의 부착력을 향상하기 위해 그 조직구조가 메인쿠션(100)이나 밴드(200)와 다르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결합테(110,110a)의 조직구조는 메인쿠션 또는 밴드의 조직구조보다 상대적으로 밀한 클로즈드 셀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에 기공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밴드(200)의 단부와 메인쿠션(100)의 단부와의 결합면을 보다 매끈하게 형성하게 되어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여기에서 더욱 나아가 메인쿠션(100)과 밴드(200)에는 동시에 결합테(110.110a)에 인접한 결합증강선(120,220)이 결합테에서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메인쿠션(100) 전체와 밴드(200)의 단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증강선(120,220)은 메인쿠션(100)의 단부가 메인쿠션의 나머지 부분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것에 기인하여 생성된다.
즉, 결합증강선(120,200)이 존재함에 따라 밴드(200)의 단부가 보다 완만한 각도를 이루면서 메인쿠션의 단부와 결합면(B)을 형성하게 되므로 밴드의 부착력이 더욱 강화된다.
또한, 더욱 나아가 밴드의 길이 방향 단부에는 제2 결합테(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결합테(210)는 전술한 결합테(110,110a)와 마찬가지로 클로즈드 셀 구조로 형성된다. 그런데 제2 결합테(210)는 결합테(110,110a)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제2 결합테(210)의 끝단부는 결합테(110,110a)와 연결된다. 따라서 밴드(200)의 부착력이 더욱 강화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험예를 설명한다. 실험예에서는 시편으로 손잡이를 제작한 후, 메인쿠션과 분리되는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일본 Aikoh사의 1605 HTP 장비를 이용하였으며, 측정범위는 0~50kgf/cm2, 속도는 1, 5, 10, 20, 30mm/min의 속도로 테스트하였다. 이때, 측정 스트로크는 150mm로 수행하였다. 비교예1은 메인쿠션의 파지면과 밴드를 에테르 계열의 열가소성 PU로 구성한 것이고, 비교예2는 메인쿠션의 파지면과 밴드를 TPU로 형성한 것이고, 실시예의 경우에는 메인쿠션과 밴드를 모두 습식 PU로 형성하였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테와 결합증강홈을 형성한 것이다.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
밀도 1.10 1.20 1.10
접착강도 13 - 35
비교예1의 경우에는 13kgf/cm2의 하중에서 밴드가 떨어져 나갔으며, 비교예2의 경우에는 TPU의 뻗뻗한 성질에 기인하여 접착면이 떨어지지 않았다.
그런데 실시예는 비교예1과 같은 밀도로 형성되며 부드러운 습식 PU 재질로 형성되었음에도 그 접착강도가 35kgf/cm2의 하중까지 확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접착테와 결합증강홈의 구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실제 퍼프의 통상적인 사용 시 밴드가 떨어지는 현상은 전혀 발생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퍼프
100: 메인쿠션
110a, 110: 결합테
120, 220: 결합증강선
150: 우레탄층
200: 밴드
210: 제2결합테
B: 결합면

Claims (9)

  1. 메인쿠션; 및
    상기 메인쿠션에 결합되는 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쿠션과 밴드는 PU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의 양 단부는 상기 메인쿠션의 단부와 용융 압착되어 형성되는 결합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은 밴드의 폭방향 전체에 형성되되 밴드의 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쿠션의 테두리에는 조직구조가 다른 결합테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은 결합테로부터 시작하여 내측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테는 메인쿠션 또는 밴드의 조직구조보다 상대적으로 밀한 클로즈드 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쿠션과 상기 밴드에는 동시에 상기 결합테에 인접한 결합증강선이 결합테에 대응하도록 메인쿠션 전체 테두리와 밴드의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테는 밴드의 폭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이 길이방향 단부에는 제2 결합테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테는 상기 제1 결합테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쿠션은 같은 재질의 상부 쿠션과 하부 쿠션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쿠션과 하부 쿠션 사이에 우레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층은 결합면에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메인쿠션으로부터 박리되는 접착강도는 35kgf/cm2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
KR1020220098379A 2022-08-08 2022-08-08 퍼프 KR20240020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379A KR20240020416A (ko) 2022-08-08 2022-08-08 퍼프
KR1020240017756A KR20240024138A (ko) 2022-08-08 2024-02-05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379A KR20240020416A (ko) 2022-08-08 2022-08-08 퍼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7756A Division KR20240024138A (ko) 2022-08-08 2024-02-05 퍼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416A true KR20240020416A (ko) 2024-02-15

Family

ID=898992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379A KR20240020416A (ko) 2022-08-08 2022-08-08 퍼프
KR1020240017756A KR20240024138A (ko) 2022-08-08 2024-02-05 퍼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7756A KR20240024138A (ko) 2022-08-08 2024-02-05 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40020416A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등록특허 제10-1999482호(2019. 10. 01.), 화장용 퍼프{PUFF FOR MAKE-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138A (ko) 202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1632A (en) Grip tape for handle
US20210196053A1 (en) Novel cake-type air bed
KR101825681B1 (ko) 화장용 퍼프
US6855651B2 (en) Cover tape
KR20240020416A (ko) 퍼프
KR102051955B1 (ko) 손잡이 리본이 접합된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제조 금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용 퍼프
US3939023A (en) Method of construction of bra pad
US897920A (en) Cushion for boots and shoes.
CN205854760U (zh) 一种可自动装配的提手、一种包装盒
US6742429B2 (en) Seamless type foldable precise cutting pad
US6582021B1 (en) Armrest with oak veneer layer
US4777740A (en) Temperature-proof shoes
JP3068374B2 (ja) 床材用基板および床材
KR101879687B1 (ko) 폭신한 느낌의 차량 시트부재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GB2233239A (en) Manufacture of golf club head covers
MY130590A (en) Corrugator fabric
AU691520B2 (en) Lying underlay
KR20210066703A (ko) 화장용 퍼프
CN103223764B (zh) 薄型多层结构内封边工艺
US2889020A (en) Luggage construction
CN205585420U (zh) 一种多层围托式舒适鞋
JP5457603B1 (ja) 摺動担架の軽量化製作法
JPS6237442Y2 (ko)
KR102627139B1 (ko) 복합 화장도구
KR20210037640A (ko) 화장용 퍼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