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640A - 화장용 퍼프 - Google Patents

화장용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640A
KR20210037640A KR1020210036808A KR20210036808A KR20210037640A KR 20210037640 A KR20210037640 A KR 20210037640A KR 1020210036808 A KR1020210036808 A KR 1020210036808A KR 20210036808 A KR20210036808 A KR 20210036808A KR 20210037640 A KR20210037640 A KR 20210037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surface
cosmetic puff
tpu
gripp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준
Original Assignee
최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준 filed Critical 최재준
Priority to KR102021003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7640A/ko
Publication of KR2021003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지면 자체를 에테르 계열의 TPU로 구성하여 변색 및 갈라짐을 방지하면서도 부드러운 표면 외관을 형성하고 나아가 사용시 파지면과 사용면의 열융착 접착에 따라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확보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용 퍼프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 사용면, 에테르 계열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로 형성된 파지면, 및 사용면과 파지면 사이에 충진된 쿠션폼을 포함하고, 사용면과 파지면의 테두리 영역은 서로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사용면과 파지면은 각각 쿠션폼과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사용면에는 미세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TPU는 두께가 100 내지 300㎛, 밀도가 1.14 내지 1.20g/cm3, 경도가 87 내지 89 Shore A 또는 91 내지 92 Shore A, 인장강도는 70 내지 90Mpa, 인열강도가 650 내지 850N/cm, 연신율이 720 내지 1040%로 형성된다.

Description

화장용 퍼프{PUFF FOR MAKE-UP}
본 발명은 화장용 퍼프에 대한 것이다.
화장용 퍼프는 화장품을 피부에 바르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퍼프는 폴리우레탄 소재의 커버를 사용면 및 파지면으로 구성하고, 그 사이에 쿠션폼이 삽입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퍼프는 그 사용 시간이 경과될수록 가수분해가 발생하여 크랙이 전파되어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공개특허 제10-2017-0125661호(선행기술문헌1)에서는 가수분해를 저감시키기 위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파지면을 형성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1에서는 TPU의 연신률 및 인장강도가 매우 낮아 화장료에 의한 가수분해 파괴는 방지되더라도 파지 사용시 파지면과 사용면이 분리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선행기술문헌1에서는 두께에 대한 인식이 전혀 없는데 연신률 및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퍼프의 두께를 무한정 늘릴 수도 없는 실정이다.
한편, 화장용 퍼프의 파지면에는 파지를 위한 손잡이가 부착됨이 일반적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32576호(선행기술문헌2)의 종래기술에서는 화장용 퍼프에 손잡이를 형성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퍼프에 밴드를 대응한 후, 미싱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박음질하거나, 밴드와 퍼프를 대응시킨 후, 열을 가하여 열성형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그러나,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손잡이를 부착하는 방법은 미싱 등의 장비를 별도록 구비하여야만 하고, 미싱 등에 의해 박음질을 할 경우, 스폰지형의 퍼프의 공극으로 인해 박음질 부분의 품질이 떨어져 손잡이가 퍼프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제품의 불량 및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선행기술문헌2에서는 별도의 양면 접착층을 손잡이 끝단에 붙이고, 이를 파지면과 접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공정 추가에 따른 비용 상승 문제가 유발되었으며 및 접착층의 접착강도도 사용시 손잡이부가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1. 공개특허 제10-2017-0125661호 2. 한국등록특허 제10-123257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지면 자체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사용시 파지면과 사용면이 분리되지 않도록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현저하게 상승된 화장용 퍼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면 손잡이를 같은 TPU로 형성하여 파지면과의 접착 강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킨 화장용 퍼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용 퍼프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 사용면, 에테르 계열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로 형성된 파지면, 및 사용면과 파지면 사이에 충진된 쿠션폼을 포함하고, 사용면과 파지면의 테두리 영역은 서로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사용면과 파지면은 각각 쿠션폼과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사용면에는 미세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TPU는 두께가 100 내지 300㎛, 밀도가 1.14 내지 1.20g/cm3, 경도가 87 내지 89 Shore A 또는 91 내지 92 Shore A, 인장강도는 70 내지 90Mpa, 인열강도가 650 내지 850N/cm, 연신율이 720 내지 1040%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화장용 퍼프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파지면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파지면에 열융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면은 루비셀 또는 논라텍스 계열의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용 퍼프는 파지면을 130 내지 145도에서 25 내지 30초 예열하고, 사용면을 160 내지 175도에서 25 내치 30초간 예열한 후 상호 열융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파지면과 끝단에 선접착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사용면 및 파지면의 열융착 시 동시에 열융착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지면 자체를 에테르 계열의 TPU로 구성하여 변색 및 갈라짐을 방지하면서도 부드러운 표면 외관을 형성하고 나아가 사용시 파지면과 사용면의 열융착 접착에 따라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확보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면 손잡이를 파지면과 같은 TPU로 형성하여 파지면의 끝단에 선접착하는 경우에도 접착 강도를 현저하게 향상시켜 손잡이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화장용 퍼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해를 위해 도 1의 A-A'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화장용 퍼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해를 위해 도 1의 A-A' 영역의 단면을 비약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화장용 퍼프(10)는 사용면(1), 파지면(2) 및 쿠션폼(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면(1)과 파지면(2)의 테두리 영역은 서로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사용면(1)과 파지면(2)은 각각 쿠션폼(3)과 열융착에 의해 접합된다.
사용면(1)은 화장용 퍼프(P)는 통상의 라텍스 재질인 엔비알(N.B.R;NITRILE BUTADIENE RUBBBER), 에스비알(S.B.R;STYRENE BUTADIENE RUBBBER), 엔알(N.R;NATURAL RUBBER), 루비셀(RUBYCELL;습식 URETHANL), 코트 벨로라(COTTON VELOUR),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논라텍스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후술할 파지면과의 열융착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쿠션폼(3)은 사용면(1)과 파지면 사이에 충진되어 있는데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면(10)은 폴리우레탄 혼합물을 기재 위에 도포한 후 이를 다시 응고시키고, 폴리우레탄 및 기재 전체인 복합체를 수세하여 첨가물을 제거하여 미세기공을 형성시킨 후 건조시켜 형성된다. 미세기공은 화장용 퍼프의 통기성과 유연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킨다. 또한, 미세기공은 화장유의 잔류를 막아 퍼프가 화장유를 머금는 현상을 현저하게 저감시킨다.
여기서 폴리우레탄을 포함한 혼합액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자당, 무기염, 전분, 및 다가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이때, 자당 또는 무기염은 수용성이며 상기 소정의 입경 분포를 갖는 것으로서, 설탕,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등의 염화물, 황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로서 자당 또는 무기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가 알코올을 더 포함시키는 것이 후공정에서의 기재 박리에 더욱 유리하다. 다가 알코올이란, 탄화수소의 복수개의 수소를 하이드록실기로 치환한 알코올류를 말한다.
파지면(2)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면(2)의 TPU는 에테르계열의 TPU로 형성된다.
이때, TPU는 밀도가 1.14 내지 1.20g/cm3, 경도는 87 내지 89 Shore A 또는 91 내지 92 Shore A로 형성하여 인장강도가 70 내지 90Mpa, 인열강도가 650 내지 850N/cm, 연신율을 720 내지 1040%로 형성한다. 이때의 두께는 사용성을 위해 100 내지 30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경도가 90에서는 오히려 연신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90 Shore A 근방의 경도 범위는 제외하였다.
실험예1 : 인열강도
파지면의 두께를 120㎛으로 하고, 경도 88 Shore A인 TPU의 밀도를 달리하여 ASTM D1004 기준에 따라 찢어짐 강도(Tearing Strength)를 측정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밀도 1.00 1.05 1.10 1.15 1.20
찢어짐강도
(N/cm)
290 320 340 873 936
비교예 1, 2, 3은 찢어짐 강도가 매우 취약하게 분포하였으며, 실시예의 경우에는 실제로 TPU의 밀도가 1.15 근방에서는 현저한 찢어짐 강도의 향상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2 : 인장강도
파지면의 두께를 120㎛으로 하고, 경도 88 Shore A인 TPU의 밀도를 달리하여 ASTM D792 기준에 따라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를 측정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밀도 1.00 1.05 1.10 1.15 1.20
인장강도
(Mpa)
25 31 34 74 80
비교예 1, 2, 3에 비해 밀도가 소폭 높은 경우인 실시예의 경우에 현저한 인장강도의 상승이 발견되었다. 실시예의 경우에는 에테르계 TPU 임에도 높은 인장강도가 구현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는 사용면(1)과 파지면(2)의 테두리 영역이 서로 열융착에 의해 접합된다. 이를 위해 파지면(2)을 130 내지 145도에서 25 내지 30초 예열하고, 사용면을 160 내지 175도에서 25 내치 30초간 예열한 후 테두리 영역을 상호 열융착하고, 이때 쿠션폼을 함께 사이에 배치하여 열융착을 수행하므로 사용면, 파지면, 쿠션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완벽한 밀착 사용감도 생기게 되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는 손잡이(4)를 더 포함한다. 손잡이는 파지면(2)과 같은 재질인 TPU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는 파지면의 끝단에 열융착되는데, 상기한 사용면(1) 및 파지면(2)의 열융착시 동시에 열융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사용면(1)이 열화에 의한 경화되는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손잡이(4)는 파지면(2)에만 열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손잡이(4)와 파지면(2)이 같은 열가소성 TPU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매우 강한 접착력이 인가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더욱이 손잡이(4)의 끝단이 파지면(2)의 끝단과 거의 선결합의 형태로 접착되어 있었음에도 쉽게 떨어지지 않는 강도가 확보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3 : 외관비교
파지면의 두께를 120㎛으로 하고, 경도 88 Shore A인 TPU의 밀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TPU 표면을 비교하였다. 이때, 손으로 표면을 마찰하는 경우의 감촉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4 비교예5
밀도 1.00 1.05 1.10 1.15 1.20 1.25 1.30
거칠기
만족도
만족 만족 만족 만족 만족 불만족 불만족
비교예1,2,3과 실시예는 모두 표면이 부드럽게 형성되거 사용자의 거칠기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의 경우는 밀도의 상승을 위해 에스테르계 TPU를 대비한 결과 다소 거친 표면 때문에 거치기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는 에테르계 TPU를 사용하여 거칠기 만족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연신율이 향상되므로 화장용 퍼프의 내구성을 현저하게 상승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6)

  1. 화장용 퍼프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 사용면,
    에테르 계열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로 형성된 파지면, 및
    사용면과 파지면 사이에 충진된 쿠션폼을 포함하고,
    사용면과 파지면의 테두리 영역은 서로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사용면과 파지면은 각각 쿠션폼과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사용면에는 미세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TPU는 두께가 100 내지 300㎛, 밀도가 1.14 내지 1.20g/cm3, 경도가 87 내지 89 Shore A 또는 91 내지 92 Shore A, 인장강도는 70 내지 90Mpa, 인열강도가 650 내지 850N/cm, 연신율이 720 내지 1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퍼프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파지면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파지면에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면은 루비셀 또는 논라텍스 계열의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퍼프는 파지면을 130 내지 145도에서 25 내지 30초 예열하고, 사용면을 160 내지 175도에서 25 내치 30초간 예열한 후 상호 열융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파지면과 끝단에 선접착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사용면 및 파지면의 열융착 시 동시에 열융착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KR1020210036808A 2021-03-22 2021-03-22 화장용 퍼프 KR20210037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808A KR20210037640A (ko) 2021-03-22 2021-03-22 화장용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808A KR20210037640A (ko) 2021-03-22 2021-03-22 화장용 퍼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206A Division KR20200085091A (ko) 2019-01-04 2019-01-04 화장용 퍼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640A true KR20210037640A (ko) 2021-04-06

Family

ID=7547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808A KR20210037640A (ko) 2021-03-22 2021-03-22 화장용 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764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576B1 (ko) 2011-03-09 2013-02-13 최재준 화장용 퍼프의 손잡이 밴드 부착방법과 이에 따른 화장용 퍼프
KR20170125661A (ko) 2016-05-04 2017-11-15 주식회사 에스 앤드 지 화장용 퍼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576B1 (ko) 2011-03-09 2013-02-13 최재준 화장용 퍼프의 손잡이 밴드 부착방법과 이에 따른 화장용 퍼프
KR20170125661A (ko) 2016-05-04 2017-11-15 주식회사 에스 앤드 지 화장용 퍼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482B1 (ko) 화장용 퍼프
JP2008531326A (ja) 混合された材料表面領域を有する成形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651117B (zh) 球體結構及其製造方法
KR20170063997A (ko) 특히 차량 실내용 트림부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37640A (ko) 화장용 퍼프
KR20200085091A (ko) 화장용 퍼프
JPH02503776A (ja) 化粧板用又は縫製品製造に用いるための、上質木材又は植物組織の外部層を有する多層積層品の製造法、及びそのような方法により得られる製品
EP1149693A3 (en) Mold releasable composite material for wet production of polyurethane resin synthetic leather
JP2019208745A (ja) 化粧用パフ
KR102146623B1 (ko) 화장용 퍼프
TWI601516B (zh) Three-dimensional flexible breathable physiotherapy film release film
KR20210066703A (ko) 화장용 퍼프
JP6689035B2 (ja) ボール
WO2004039573A3 (en) Improved laminated composite material
KR101891690B1 (ko) 핫멜트 필름이 적층된 원단
JP3240453U (ja) 化粧用パフ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25963B1 (ko) 퍼프
KR101588008B1 (ko) 도트가 형성된 발포 인솔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포 인솔
JP3244671U (ja) 化粧用パフ
US334300A (en) William sochefskt
JP2006116126A (ja) バッグ
TWM382889U (en) Tool mat
TWI293042B (ko)
KR20220049172A (ko) 다중 층 구조의 화장용 퍼프
JP2020005684A (ja) 化粧用パフ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