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623B1 - 화장용 퍼프 - Google Patents

화장용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623B1
KR102146623B1 KR1020190000927A KR20190000927A KR102146623B1 KR 102146623 B1 KR102146623 B1 KR 102146623B1 KR 1020190000927 A KR1020190000927 A KR 1020190000927A KR 20190000927 A KR20190000927 A KR 20190000927A KR 102146623 B1 KR102146623 B1 KR 102146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surface
film
cosmetic puff
tpu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4989A (ko
Inventor
최재준
Original Assignee
최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준 filed Critical 최재준
Priority to KR102019000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6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4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44Micropores, i.e. average diameter being between 0,1 micrometer and 0,1 milli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지면 자체를 에스테르 계열의 TPU로 구성하여 자체 내구성을 확보하여 변색 및 갈라짐을 방지하면서도, TPU 상부를 PU 필름으로 더 코팅하여 자체 내구성을 더욱 상승시키면서 부드러운 사용감을 보장하면서 다양한 문양을 전사하여 사용성을 더욱 높인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용 퍼프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 사용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로 형성된 파지면, 파지면 상에 접착 형성된 PU 필름, 사용면과 파지면 사이에 충진된 쿠션폼,을 포함하고, 사용면과 파지면의 테두리 영역은 서로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사용면과 파지면은 각각 쿠션폼과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사용면에는 미세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면은 두께가 100 내지 300 ㎛, 밀도가 1.15 내지 1.25g/cm3, 경도가 86 내지 90 Shore A로 형성되고, 상기 화장용 퍼프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양측 단부가 상기 PU 필름에 열융착된다.

Description

화장용 퍼프{PUFF FOR MAKE-UP}
본 발명은 화장용 퍼프에 대한 것이다.
화장용 퍼프는 화장품을 피부에 바르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퍼프는 폴리우레탄 소재의 커버를 사용면 및 파지면으로 구성하고, 그 사이에 쿠션폼이 삽입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퍼프는 그 사용 시간이 경과될수록 가수분해가 발생하여 크랙이 전파되어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공개특허 제10-2017-0125661호(선행기술문헌1)에서는 가수분해를 저감시키기 위해 통상적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파지면을 형성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TPU로 파지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TPU의 경도에 기인한 거칠기가 유발되어 사용시 부드러운 느낌이 표현되지 못하고, TPU에 원하는 문양을 용이하게 전사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TPU로 파지면을 형성하더라도 그 밀도 또는 경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내구성이 발현되는데, 선행기술문헌1은 그러한 인식이 없는 상태이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7-012566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지면 자체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파지면을 부드럽게 형성하면서 자유로운 문양의 전사가 가능한 화장용 퍼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용 퍼프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 사용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로 형성된 파지면, 파지면 상에 접착 형성된 PU 필름, 사용면과 파지면 사이에 충진된 쿠션폼,을 포함하고, 사용면과 파지면의 테두리 영역은 서로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사용면과 파지면은 각각 쿠션폼과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사용면에는 미세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면은 두께가 100 내지 300 ㎛, 밀도가 1.15 내지 1.25g/cm3, 경도가 86 내지 90 Shore A로 형성되고, 상기 화장용 퍼프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양측 단부가 상기 PU 필름에 열융착된다.
이때, 상기 사용면은 루비셀 또는 논라텍스 계열의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용 퍼프는 파지면을 130 내지 145도에서 25 내지 30초 예열하고, 사용면을 160 내지 175도에서 25 내치 30초간 예열한 후 상호 열융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PU필름의 끝단에 선접착의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U필름은 문양이 형성된 기재에 PU 혼합물을 도포한 후 기재를 박리하여 상기 문양이 전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본 발명은 파지면 자체를 에스테르 계열의 TPU로 구성하여 자체 내구성을 확보하여 변색 및 갈라짐을 방지하면서도, TPU 상부를 PU 필름으로 더 코팅하여 자체 내구성을 더욱 상승시키면서 부드러운 사용감을 보장하면서 다양한 문양을 전사하여 사용성을 더욱 높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화장용 퍼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화장용 퍼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화장용 퍼프(10)는 사용면(1), 파지면(2), 쿠션폼(3), 파지면 상 코팅된 PU필름(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면(1)과 파지면(2)의 테두리 영역은 서로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사용면(1)과 파지면(2)은 각각 쿠션폼(3)과 열융착에 의해 접합된다.
사용면(1)은 화장용 퍼프(P)는 통상의 라텍스 재질인 엔비알(N.B.R;NITRILE BUTADIENE RUBBBER), 에스비알(S.B.R;STYRENE BUTADIENE RUBBBER), 엔알(N.R;NATURAL RUBBER), 루비셀(RUBYCELL;습식 URETHANL), 코트 벨로라(COTTON VELOUR),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논라텍스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후술할 파지면과의 열융착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쿠션폼(3)은 사용면(1)과 파지면 사이에 충진되어 있는데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면(10)은 폴리우레탄 혼합물을 기재 위에 도포한 후 이를 다시 응고시키고, 폴리우레탄 및 기재 전체인 복합체를 수세하여 첨가물을 제거하여 미세기공을 형성시킨 후 건조시켜 형성된다. 미세기공은 화장용 퍼프의 통기성과 유연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킨다. 또한, 미세기공은 화장유의 잔류를 막아 퍼프가 화장유를 머금는 현상을 현저하게 저감시킨다.
여기서 폴리우레탄을 포함한 혼합액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자당, 무기염, 전분, 및 다가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이때, 자당 또는 무기염은 수용성이며 상기 소정의 입경 분포를 갖는 것으로서, 설탕,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등의 염화물, 황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로서 자당 또는 무기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가 알코올을 더 포함시키는 것이 후공정에서의 기재 박리에 더욱 유리하다. 다가 알코올이란, 탄화수소의 복수개의 수소를 하이드록실기로 치환한 알코올류를 말한다.
파지면(2)은 에스테르 계열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형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iyurethane:TPU)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부가 반응된 화합물로 분자구조 중 우레탄 결합을 갖고 있는 고무탄성 고분자체(elastomer)로서 선형 고분자를 말한다. 고무와 플라스틱의 중간영역 탄성으로 고반발 탄성, 기계적 강성, 내마모성, 내유성, 내약품성, 내한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타 수지와의 블렌드가 용이하여 일부 타 수지와 펠렛 형태로 혼합하여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엘라스토머로서의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왠만한 외력에 의해서도 찢어지거나 갈라지지 않으며 또한 우레탄 실란트와의 상용성 내지는 부착성이 매우 뛰어나다. 우수한 내마모성과 유연성, 내변색성이 있으면서 뛰어난 인장강도를 지난 특이한 성형재료로 특히 매우 뛰어난 기계적 성질과 압출성형, 사출성형, Calender성형 등이 가능한 가공성이 용이하다. 또한 TPU는 장력 및 복원력, 탄력이 우수하여 내구성이 강해 마모가 잘 되지 않으며, 실리콘보다 단단하고, 먼지가 잘 달라붙지 않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면은 두께가 100 내지 300㎛ 인 경우에 그 내구성의 확보를 위해 밀도가 1.15 내지 1.25g/cm3, 경도가 86 내지 90Shore A로 형성된다. 수치한정의 의의에 대하여는 실험예1에서 설명한다.
실험예1
사용면의 두께를 150㎛으로 하고, 경도는 88 Shore A로 한 경우 파지면 TPU의 밀도에 따른 대하여 ASTM D1004 기준에 따라 찢어짐 강도(Tearing Strength)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 2는 에테르 계열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시편을 준비하였으며, 실시예1 내지 3과 비교예3 내지 4는 에스테르 계열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시편을 준비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3 비교예4
밀도 1.05 1.10 1.15 1.20 1.25 1.30 1.35
찢어짐강도
(N/cm)
320 340 873 950 936 820 766
비교예 1, 2는 에테르 계열이므로 밀도가 높은 경우에도 찢어짐 강도가 매우 취약하게 분포함을 알 수 있었으며, 비교예3, 4의 경우에는 제조시 상대적인 성형 압축력 증가에 따라 실험 중 크랙이 발생하여 찢어짐 강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는 사용면(1)과 파지면(2)의 테두리 영역이 서로 열융착에 의해 접합된다. 이를 위해 파지면(2)을 130 내지 145도에서 25 내지 30초 예열하고, 사용면을 160 내지 175도에서 25 내치 30초간 예열한 후 테두리 영역을 상호 열융착하고, 이때 쿠션폼을 함께 사이에 배치하여 열융착을 수행하므로 사용면, 파지면, 쿠션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완벽한 밀착 사용감도 생기게 되었다.
한편, 파지면(2) 상에는 PU필름(4)이 접착형성된다. PU필름(4)은 벌크형 폴리우레탄을 형성하고 이를 잘라서 개별 원단으로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재(미도시) 상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한 후 이를 박리하여 제조한다. 이때, 기재에 문양 또는 표면요철이 형성되어 있는데, 기재가 최종적으로 박리되는 과정에서 상보적인 문양 이나 표면요철이 PU필름(4)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PU필름(4)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PU필름(4)이 파지면(2) 상에 추가로 코팅 형성되므로, 파지면의 가수분해 또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균열발생을 더욱 저감시키면서 다양한 문양을 전사시키고 질감을 형성시켜 다양한 사용성을 더욱 부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는 손잡이(5)를 더 포함한다. 이때, 손잡이는 파지면(2)과 같은 재질인 에스테르 TPU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5)는 PU필름(4)의 끝단에 열융착될 수 있는데, 상기한 파지면(2)에 PU필름(4)을 접착한 후 이를 사용면(1)과 동시에 단부를 열융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사용면(1)이 열화에 의한 경화되는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손잡이(5)는 PU필름(4)에만 열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손잡이(5)도 파지면(2)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매우 강한 접착력이 인가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사용면
2: 파지면
3: 쿠션폼
4: PU필름
5: 손잡이

Claims (5)

  1. 화장용 퍼프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 사용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로 형성된 파지면;
    파지면 상에 접착 형성된 PU 필름;
    사용면과 파지면 사이에 충진된 쿠션폼;
    을 포함하고,
    사용면과 파지면의 테두리 영역은 서로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사용면과 파지면은 각각 쿠션폼과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사용면에는 미세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면은 두께가 100 내지 300 ㎛, 밀도가 1.15 내지 1.25g/cm3, 경도가 86 내지 90 Shore A로 형성되고,
    상기 화장용 퍼프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TPU로 형성되어 양측 단부가 상기 PU 필름에 열융착되고,
    상기 사용면은 루비셀 또는 논라텍스 계열의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퍼프는 파지면을 130 내지 145도에서 25 내지 30초 예열하고, 사용면을 160 내지 175도에서 25 내치 30초간 예열한 후 상호 열융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PU필름의 끝단에 선접착의 형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U필름은 문양이 형성된 기재에 PU 혼한물을 도포한 후 기재를 박리하여 상기 문양이 전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KR1020190000927A 2019-01-03 2019-01-03 화장용 퍼프 KR102146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927A KR102146623B1 (ko) 2019-01-03 2019-01-03 화장용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927A KR102146623B1 (ko) 2019-01-03 2019-01-03 화장용 퍼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989A KR20200084989A (ko) 2020-07-14
KR102146623B1 true KR102146623B1 (ko) 2020-08-20

Family

ID=71526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927A KR102146623B1 (ko) 2019-01-03 2019-01-03 화장용 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6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610B1 (ko) * 2016-04-19 2017-06-16 주식회사 동우에이엘티 화장용 퍼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086B1 (ko) * 2016-05-04 2018-04-27 주식회사 에스앤드지 화장용 퍼프
KR102544620B1 (ko) * 2016-08-16 2023-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KR20180072412A (ko) * 2016-12-21 2018-06-29 (주)삼본퍼프 퍼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퍼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610B1 (ko) * 2016-04-19 2017-06-16 주식회사 동우에이엘티 화장용 퍼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989A (ko)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482B1 (ko) 화장용 퍼프
CN105178554B (zh) 地板镶板
RU2733925C2 (ru) Панель пола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напольного покрытия и подложка для панели
KR100529785B1 (ko) 차음기능을 가지는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193515B (zh) 非聚氯乙烯地砖
EP3552762B1 (en) A method to provide an abrasive product surface and abrasive products thereof
US20090235944A1 (en) Nail f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475858B2 (ja) 熱可塑性ギプス
WO2011149370A1 (en) Cork fabric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2146623B1 (ko) 화장용 퍼프
JP6927562B2 (ja) 手袋
JP2019208745A (ja) 化粧用パフ
KR101617404B1 (ko) 고분자 연성 적층체
EP1149693A3 (en) Mold releasable composite material for wet production of polyurethane resin synthetic leather
KR20200085091A (ko) 화장용 퍼프
KR20210037640A (ko) 화장용 퍼프
KR100415196B1 (ko) 피브이씨와 변성 티피오로 조성된 발포층을 가진 바닥장식재와 그의 제조방법
KR20080072601A (ko) 다층구조 인조손톱
KR101146554B1 (ko)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과 천연 수세미를 이용한 다용도 쿠션부재의 제조방법
KR20210066703A (ko) 화장용 퍼프
BR112013021631B1 (pt) artigo abrasivo revestido e suporte de espuma de poliuretano
KR20110097451A (ko)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과 직물을 이용한 다용도 쿠션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다용도 쿠션패드
KR200424056Y1 (ko) 매직 테이프를 이용한 복합필름 연마벨트 제품
KR101917162B1 (ko) 방수 시트용 고성능 방수 필름과 이를 이용한 방수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211000277U (zh) 一种抗变形球状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