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396A - 양방향 유체 밸브 - Google Patents

양방향 유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396A
KR20240020396A KR1020220098329A KR20220098329A KR20240020396A KR 20240020396 A KR20240020396 A KR 20240020396A KR 1020220098329 A KR1020220098329 A KR 1020220098329A KR 20220098329 A KR20220098329 A KR 20220098329A KR 20240020396 A KR20240020396 A KR 20240020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gear
flow path
port
flu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성
민옥렬
오세원
이상현
한정완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396A/ko
Publication of KR2024002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39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63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multiple 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9Gearboxes for accommodating worm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모터를 구비한 모터하우징, 내부에 유로변경부를 구비한 포트하우징을 구성하되 모터를 기준으로 양측에 포트하우징을 구성하여 복수의 포트를 형성하여 냉각수와 같은 유체의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유체 밸브 {Bi-directional fluid valve}
본 발명은 유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기오염의 우려가 없는 친환경 자동차로써 전기자동차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내용기관을 이용한 차량에도 엔진 등을 냉각하기 위해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가 사용되나 전기자동차는 탑재된 배터리팩의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온도에 민감한 배터리의 온도를 일정한 범위에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배터리는 특정온도 이하 또는 특정온도 이상에서 그 충전이나 방전용량이 급격히 저하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팩은 항시 일정한 온도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배터리팩의 온도조절은 냉각수를 이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와 같이 냉각수로 배터리팩의 온도조절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냉각수의 유동방향을 변경시키는 냉각수 밸브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2층으로 구성된 냉각수와 같은 유체의 유동방향을 변경시키는 유체 밸브를 나타낸 도면으로, 냉각수의 유로를 변경하기 위해 높이방향으로 길게 원통형 관으로 형성된 밸브하우징(10)에 높이방향으로 층을 달리하여 복수개의 포트(20)를 구비하였다.
이렇게 복수개의 포트(20)를 높이를 달리하면서 밸브하우징(10)에 구성됨에 따라 냉각수 밸브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포트(20)에 호스를 결합할 시 호스의 두께나 외경에 제약이 생기고 호스끼리 서로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79242호 (2020.11.16.)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 밸브에서 양방향의 냉각수 경로를 각각 다르게 구성할 수 있는 유체 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방향 샤프트로 양측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일측에는 제1기어부가 배치되고 상기 모터 타측에는 제2기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양방향 샤프트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양방향 샤프트 타측과 결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하우징; 외면은 제1유입포트와 복수의 제2유출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기어부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되 내부에 유로를 형성한 제1유로변경부를 내부에 구비한 제1포트하우징; 외면은 제1유입포트와 복수의 제2유출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기어부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되 내부에 유로를 형성한 제2유로변경부를 내부에 구비한 제2포트하우징; 상기 제1유로변경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유입포트는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제1유출포트 중 하나와 연통하고, 상기 제2유로변경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유입포트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2유출포트 중 하나와 연통하여 유체의 유동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유체 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유체 밸브는 모터를 기준으로 양측에 포트하우징을 구성하되 복수의 포트를 형성하여 다양한 유체 유로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측의 포트하우징 내부에 유로를 변경할 수 있는 유로변경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되 양측의 기어비를 다르게 하여 포트하우징 양측의 유로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경로의 유체 유로를 하나의 유체 밸브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냉각 시스템을 단순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체 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유체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시도를 x축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사시도를 z축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사시도를 x축에서 바라본 일부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사시도를 y축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사시도를 x축에서 바라본 일부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사시도를 y축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유체 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양방향 유체 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도 2에서 x축에서 바라본 단면도)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유체 밸브는 모터하우징(100)과 모터하우징(100)의 일측에 결합된 제1포트하우징(200)과 모터하우징(100)의 타측에 결합된 제2포트하우징(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하우징(100)은 내부에 모터(110)를 구비한다. 모터(100)는 양측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양방향 샤프트(111)를 구비한다.
모터(100)의 일측에는 제1기어부(120)가 구비되고, 모터(100)의 타측에는 제2기어부(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기어부(120)와 제2기어부(130)는 모터(110)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양방향 샤프트(11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제1기어부(120)는 양방향 샤프트(111)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2기어부(130)는 양방향 샤프트(111)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1기어부(120)는 모터(100)의 회전축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기어부(130)는 모터(100)의 회전축의 타측에 배치되어 양방향 샤프트(111)에 각각 연결되어 모터(10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제1기어부(120)에는 제1포트하우징(200)이 결합된다. 제1포트하우징(200)은 유체가 유입하고 유출하는 복수의 포트를 외면에 구비한다. 제1포트하우징(200)은 제1기어부(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유로변경부(230)를 내부에 구비한다.
제1기어부(120)는 모터(110)의 회전력을 제1유로변경부(230)로 전달하여 제1유로변경부(230)가 제1포트하우징(200)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포트는 제1유로변경부(230)의 회전축방향으로 형성된 제1유입포트(210)와 제1포트하우징(200)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제1유출포트(320)로 구성된다. 제1유로변경부(230)의 회전에 의해 제1유입포트(210)와 연통될 제1유출포트(220)가 선택되면, 제1유입포트(210)로 유입된 유체는 선택된 제1유출포트(220)로 유출된다.
또한 제1포트하우징(200)에 2개 이상의 제1유출포트(220)가 형성되면, 제1유출포트(220)들은 제1유로변경부(23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도 2에서 z축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같이 참조하면, 제1유로변경부(230)는 일측에는 제1기어부(1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하여 형성한 제1연결부(231)가 구비된다. 제1연결부(231)는 제1기어부(120) 내부에 삽입되어 제1기어부(120)에 연결된다. 제1유로변경부(230)는 타측에는 제1유입포트(210)에서 유체가 유입할 수 있도록 제1유입홀(23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유로변경부(230)의 둘레면에는 제1유입홀(232)과 내부의 유로를 통해 연통되는 제1유출홀(233)을 형성한다. 제1유입포트(210)로 유입한 유체는 제1유로변경부(230)의 제1유입홀(232)을 통해 제1유로변경부(230)로 들어온다. 그리고 제1유로변경부(230)의 제1유출홀(233)을 통과하여 제1유출포트(220)로 나간다.
제2기어부(130)에는 제2포트하우징(300)이 결합된다. 제2포트하우징(300)은 유체가 유입하고 유출하는 복수의 포트를 외면에 구비한다. 제2포트하우징(300)은 제2기어부(1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유로변경부(330)를 내부에 구비한다.
제2기어부(130)는 모터(110)의 회전력을 제2유로변경부(330)로 전달하여 제2유로변경부(330)가 제2포트하우징(300)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포트는 제2유로변경부(330)의 회전축방향으로 형성된 제2유입포트(310)와 제2포트하우징(300)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제2유출포트(320)로 구성된다. 제2유로변경부(330)의 회전에 의해 제2유입포트(310)와 연통될 제2유출포트(320)가 선택되면, 제2유입포트(310)로 유입된 유체는 선택된 제2유출포트(320)로 유출된다.
또한 제2포트하우징(300)에서 2개 이상의 제2유출포트(320)가 형성되면, 제2유출포트(320)들은 제2유로변경부(33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같이 참조하면, 제2유로변경부(330)는 일측에는 제2기어부(1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하여 형성한 제2연결부(331)가 구비된다. 제2연결부(331)는 제2기어부(130) 내부에 삽입되어 제2기어부(130)에 연결된다. 제2유로변경부(330)는 타측에는 제2유입포트(310)에서 유체가 유입할 수 있도록 제2유입홀(33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유로변경부(330)의 둘레면에는 제2유입홀(332)과 내부의 유로를 통해 연통되는 제2유출홀(333)을 형성한다. 제2유입포트(310)로 유입한 유체는 제2유로변경부(330)의 제2유입홀(332)을 통해 제2유로변경부(330)로 들어온다. 그리고 제2유로변경부(330)의 제2유출홀(333)을 통과하여 제2유출포트(320)로 나간다.
도 5(도 2에서 x축에서 바라본 단면도) 및 도 6(도 2에서 y축에서 바라본 단면도)을 같이 참조하면, 제1유로변경부(230)는 제1포트하우징(20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기어부(120)는 모터(110)의 회전력을 제1유로변경부(230)로 전달한다. 회전력의 전달은 제1기어부(120) 내부에서 기어들의 치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양"?* 샤프트(111) 일측에는 일측웜(121)이 형성된다. 일측웜(121)은 외주부에 나선형 홈부가 형성된 것으로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해준다.
제1유로변경부(230)는 회전축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한 제1연결부(231)가 제1기어부(120) 내부로 돌출하도록 결합되고, 제1연결부(231)에는 제1유로변경웜기어(122)가 구비된다. 일측웜(121)과 제1유로변경웜기어(122)는 서로 직접 맞물리지 않으며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수평하게 배치된다.
일측웜(121)과 제1유로변경웜기어(122)는 제1기어(123)에 의해 연결되는데, 제1기어(123)는 일측웜(121)과 제1유로변경웜기어(122) 각각과 동시에 맞물리도록 일측웜(121)과 제1유로변경웜기어(122)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즉 제1유로변경부(230)를 회전을 위한 제1유로변경웜기어(122)는 제1기어(123)를 매개로 하여 일측웜(121)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일측웜(121)이 회전하면 제1기어(123)가 회전하고, 최종적으로 제1유로변경웜기어(122)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제1유로변경웜기어(122)는 웜과 한쌍으로 사용되는 웜기어로써 웜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웜의 회전방향을 수직한 방향으로 변경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제1유로변경웜기어(122)는 외주부에 웜의 나선형 홈부가 맞물리도록 나선형 돌출부가 형성된다.
일측웜(121)은 외주부에 나선형 홈부가 형성된 웜이고, 제1유로변경웜기어(122)는 나선형 돌출부가 형성된 웜기어이다. 하지만 일측웜(121)과 제1유로변경웜기어(122)는 서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모터(110)와 제1유로변경부(230)의 회전축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이다.
일측웜(121)과 제1유로변경웜기어(122)를 매개하는 제1기어(123)은 일측부는 일측웜(121)과 맞물리도록 제1웜기어(123a)를 형성하고 타측부는 제1유로변경웜기어(122)와 맞물리도록 제1웜(123b)를 형성한다. 제1기어(123)는 웜과 웜기어가 일측부와 타측부에 동시에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제1기어부(120)는 일측부에 제1웜기어(123a)을 형성하고 타측부에 제1웜(123b)을 형성함으로써 일측웜(121)이 제1유로변경웜기어(122)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도 2에서 x축에서 바라본 단면도) 및 도 8(도 2에서 y축에서 바라본 단면도)을 같이 참조하면, 제2유로변경부(330)은 제2포트하우징(30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기어부(130)은 모터(110)의 회전력을 제2유로변경부(330)로 전달한다. 회전력의 전달은 제2기어부(130) 내부에서 기어들의 치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양"?* 샤프트(111) 타측에는 타측웜(131)이 형성된다. 타측웜(131)은 외주부에 나선형 홈부가 형성된 것으로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해준다.
제2유로변경부(330)은 회전축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한 제2연결부(331)의 제2기어부(130) 내부로 돌출하도록 결합되고, 제2연결부(331)에는 제2유로변경웜기어(132)가 구비된다. 타측웜(131)과 제2유로변경웜기어(132)는 서로 직접 맞물리지 않으며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수평하게 배치된다.
타측웜(131)과 제2유로변경웜기어(132)는 제2기어(133)에 의해 연결되는데, 제2기어(133)은 타측웜(131)과 제2유로변경웜기어(132) 각각과 동시에 맞물리도록 타측웜(131)과 제2유로변경웜기어(132)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즉 제2유로변경부(330)을 회전을 위한 제2유로변경웜기어(132)는 제2기어(133)을 매개로 하여 타측웜(131)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타측웜(131)이 회전하면 제2기어(133)이 회전하고, 최종적으로 제2유로변경웜기어(132)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제2유로변경웜기어(132)는 웜과 한쌍으로 사용되는 웜기어로써 웜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웜의 회전방향을 수직한 방향으로 변경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제2유로변경웜기어(132)는 외주부에 웜의 나선형 홈부가 맞물리도록 나선형 돌출부가 형성된다.
타측웜(131)은 외주부에 나선형 홈부가 형성된 웜이고, 제2유로변경웜기어(132)는 나선형 돌출부가 형성된 웜기어이다. 하지만 타측웜(131)과 제2유로변경웜기어(132)는 서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모터(110)와 제2유로변경부(330)의 회전축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이다.
타측웜(131)과 제2유로변경웜기어(132)를 매개하는 제2기어(133)은 일측부는 타측웜(131)과 맞물리도록 제2웜기어(133a)를 형성하고 타측부는 제2유로변경웜기어(132)와 맞물리도록 제2웜(133b)를 형성한다. 제2기어(133)은 웜과 웜기어가 일측부와 타측부에 동시에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제2기어부(130)은 일측부에 제2웜기어(133a)을 형성하고 타측부에 제2웜(133b)을 형성함으로써 타측웜(131)이 제2유로변경웜기어(132)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제1웜(123b)과 제1유로변경웜기어(122)는 제1기어비를 가지고 제2웜(133b)과 제2유로변경웜기어(132)는 제2기어비를 가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기어비와 제2기어비를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제1유로변경부(230)의 회전속도와 제2유로변경부(330)의 회전속도가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비는 1:200으로 설정하고, 제2기어비는 1:100으로 구성하게 되면 모터(110)가 200번 회전할 시 제1유로변경부(230)는 2번 회전하고 제2유로변경부(330)는 1번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속도를 다르게 구성하면 제1포트하우징(200)과 제2포트하우징(300)의 포트들에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제1포트하우징(200)의 제1유출포트(220)는 유체의 유로를 분기하는 분기포트(4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포트하우징(300)의 제2유출포트(320)에도 유체의 유로를 분기하는 분기포트(4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분기포트(400)는 T형의 분기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분기포트(400)에 의해 유체의 유입/유출경로를 한 번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제1포트하우징(200) 또는 제2포트하우징(300)에는 유체의 유로를 분기하는 분기하우징(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기하우징(500)은 복수의 유출입포트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1포트하우징(200) 또는 제2포트하우징(300)에 결합하여 유체의 유동로를 다양하게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유체는 다양한 경로를 흐르도록 제어되고 하나의 유체 밸브로 한 번에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100: 모터하우징
110: 모터
111: 양방향 샤프트
120: 제1기어부
121: 일측웜
122: 제1유로변경웜기어
123: 제1기어
123a:제1웜기어
123b: 제1웜
130: 제2기어부
131: 타측웜
132: 제2유로변경웜기어
133: 제2기어
133a: 제2웜기어
133b: 제2웜
200: 제1포트하우징
210: 제1유입포트
220: 제1유출포트
230: 제1유로변경부
231: 제1연결부
232: 제1유입홀
233: 제1유출홀
300: 제2포트하우징
310: 제2유입포트
320: 제2유출포트
330: 제2유로변경부
331: 제2연결부
332: 제2유입홀
333: 제2유출홀
400: 분기포트
500: 분기하우징

Claims (13)

  1. 양방향 샤프트로 양측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일측에는 제1기어부가 배치되고 상기 모터 타측에는 제2기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양방향 샤프트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양방향 샤프트 타측과 결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하우징;
    외면은 제1유입포트와 복수의 제2유출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기어부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되 내부에 유로를 형성한 제1유로변경부를 내부에 구비한 제1포트하우징;
    외면은 제1유입포트와 복수의 제2유출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기어부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되 내부에 유로를 형성한 제2유로변경부를 내부에 구비한 제2포트하우징;
    상기 제1유로변경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유입포트는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제1유출포트 중 하나와 연통하고, 상기 제2유로변경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유입포트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2유출포트 중 하나와 연통하여 유체의 유동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유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포트는 상기 제1포트하우징에서 상기 제1유로변경부의 회전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유출포트는 상기 제1포트하우징의 둘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유체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포트는 상기 제2포트하우징에서 상기 제2유로변경부의 회전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유출포트는 상기 제2포트하우징의 둘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유체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양방향 샤프트 일측에 형성된 일측웜과, 상기 제1유로변경부의 회전축에 구비되되 상기 일측웜과 수평하게 배치된 제1유로변경웜기어와, 상기 일측웜과 상기 제1유로변경웜기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일측부는 상기 일측웜과 맞물리고 타측부는 상기 제1유로변경웜기어와 맞물리는 제1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양방향 샤프트 타측에 형성된 타측웜과, 상기 제2유로변경부의 회전축에 구비되되 상기 타측웜과 수평하게 배치된 제2유로변경웜기어와, 상기 타측웜과 상기 제2유로변경웜기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일측부는 상기 타측웜과 맞물리고 타측부는 상기 제2유로변경웜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양방향 유체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는 일측부는 상기 양방향 샤프트의 일측웜과 맞물리도록 제1웜기어를 형성하고 타측부는 상기 제1유로변경웜기어와 맞물리도록 제1웜을 형성하고,
    상기 제2기어는 일측부는 상기 양방향 샤프트의 타측웜과 맞물리도록 제2웜기어를 형성하고 타측부는 상기 제2유로변경웜기어와 맞물리도록 제2웜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유체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웜과 상기 제1유로변경웜기어는 제1기어비를 가지고 상기 제2웜과 상기 제2유로변경웜기어는 제2기어비를 가지되, 상기 제1유로변경부의 회전속도와 상기 제2유로변경부의 회전속도가 상이하도록, 상기 제1기어비와 상기 제2기어비는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유체 밸브.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하우징에서 상기 복수의 제1유출포트는 상기 제1유로변경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포트하우징 둘레에서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유체 밸브.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트하우징에서 상기 복수의 제2유출포트는 상기 제2유로변경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포트하우징 둘레에서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유체 밸브.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하우징의 제1유출포트는 유체의 유로를 분기하는 분기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양방향 유체 밸브.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트하우징의 제2유출포트는 유체의 유로를 분기하는 분기포트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유체 밸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포트와 상기 복수의 제1유출포트는 상기 제1포트하우징의 둘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유체 밸브.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포트와 상기 복수의 제2유출포트는 상기 제2포트하우징의 둘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유체 밸브.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하우징 또는 상기 제2포트하우징에는 유체의 유로를 분기하는 분기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양방향 유체 밸브.
KR1020220098329A 2022-08-08 2022-08-08 양방향 유체 밸브 KR20240020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329A KR20240020396A (ko) 2022-08-08 2022-08-08 양방향 유체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329A KR20240020396A (ko) 2022-08-08 2022-08-08 양방향 유체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396A true KR20240020396A (ko) 2024-02-15

Family

ID=8989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329A KR20240020396A (ko) 2022-08-08 2022-08-08 양방향 유체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3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242B1 (ko) 2020-05-21 2020-11-16 주식회사 코렌스 하우징 일체형 냉각수 제어밸브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242B1 (ko) 2020-05-21 2020-11-16 주식회사 코렌스 하우징 일체형 냉각수 제어밸브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4222094U (zh) 多通阀及电动车热管理系统
JP6846076B2 (ja) 流量制御弁および冷却システム
JP6003716B2 (ja) 流路切替装置
US11005318B2 (en) Ro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and vehicle drive device including the ro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CN114738511A (zh) 一种集成式阀芯及其多通阀和车身热管理系统
CN113864490A (zh) 一种多通阀
KR20240020396A (ko) 양방향 유체 밸브
CN105443685B (zh) 多挡位自动变速器
CN114043844A (zh) 车辆热管理系统
CN101980906A (zh) 具有布置在变速箱输出侧上的液力机器的传动系
JP2016205476A (ja) 流体回路及び流体回路を備える冷蔵庫
CN113864489A (zh) 一种多通阀
CN216812978U (zh) 阀装置、热管理系统及电动车
JP2016205475A (ja) 流体切換弁並びに流体切換弁を備える機器及び冷蔵庫
CN217108326U (zh) 车辆热管理系统、集成水壶及其三层结构式多通阀
JP2000018039A (ja) 冷却装置用のロータリ式流量制御弁
CN216666374U (zh) 轮内驱动装置和包括该装置的车辆
EP4045781B1 (en) Fluidic command device of a vehicle
CN116557591A (zh) 多通切换阀、热管理系统及车辆
KR20240018104A (ko) 유체 밸브
JP2020197305A (ja) 弁装置
JP2022059895A (ja) バルブ装置
CN116447354A (zh) 多通阀及热管理系统
KR970003538B1 (ko) 무단변속장치
CN220540273U (zh) 用于差速器的润滑组件、动力总成及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