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852A -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852A
KR20240018852A KR1020220096676A KR20220096676A KR20240018852A KR 20240018852 A KR20240018852 A KR 20240018852A KR 1020220096676 A KR1020220096676 A KR 1020220096676A KR 20220096676 A KR20220096676 A KR 20220096676A KR 20240018852 A KR20240018852 A KR 20240018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water
reservoir
level senso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훈
김영남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96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852A/ko
Priority to PCT/KR2022/021627 priority patent/WO2024029671A1/ko
Publication of KR2024001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07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or pump cylinders, wherein the flow-path through the stages can be changed, e.g. from series to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은, 배수 지점으로부터 유수가 유입되고 방류 지점으로 유수를 방류하는 유수 펌프장의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배수 지점으로부터 유수가 유입되는 제1 수로, 제1 수로로부터 유수를 전달받고 유수를 수용하는 유수지, 유수지로부터 유수를 전달받고 유수를 방류 지점으로 방류하는 제2 수로, 유수지의 유수를 방류 지점으로 전달하고, 복수의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 모듈, 배수 지점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수위 센서 및 유수지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모듈 및 감지 모듈로부터 감지 결과를 전달받고, 펌프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1 수위 센서 및 제2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펌프를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OPERATION SYSTEM FOR WATER PUMP STATION AND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풍 또는 집중 호우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유수가 하천의 수용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지역에는 하천이 범람하거나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급격한 기후 변화에 따라 이상 기후 현상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홍수의 발생 빈도 및 피해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도시화로 인하여 도시 지역에 인구가 집중되고 개발이 이루어지며, 도시 지역의 불투수면적이 증가하였고, 이로 인하여 홍수의 빈도, 위험도 또는 피해 규모가 더 증가하게 되었다.
도시 지역 내지 홍수 피해가 잦은 지역에서는, 홍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배수 시설의 개선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우수 관거, 유수지 및 유수 펌프장을 증설하거나, 저류조의 용량 확대 또는 시설 확충으로 구조적으로 배수 시설을 개선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예산 및 공간을 확보하기에 한계가 있고, 예측이 어려운 이상 기후에 의한 홍수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유수 펌프장은 유수가 하천과 같은 방류 지점에 유입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류시켜 방류 지점의 수위를 조절한다. 예를 들면, 유수 펌프장은 유수지 또는 집수정의 수위를 고려하여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여 유수를 배수하는 시설이다. 종래의 유수 펌프장은 주로 펌프의 구동을 통하여 유수를 배수하였고, 펌프 용량에 따라 유수 펌프장의 성능이 결정되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유수 펌프장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구조 개선 및 방법 개선을 제안하고, 이를 통하여 효율적인 유수 펌프장의 자동 운영 기술을 제시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문서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은, 배수 지점으로부터 유수가 유입되고 방류 지점으로 유수를 방류하는 유수 펌프장의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 지점으로부터 유수가 유입되는 제1 수로, 상기 제1 수로로부터 유수를 전달받고 유수를 수용하는 유수지, 상기 유수지로부터 유수를 전달받고 유수를 상기 방류 지점으로 방류하는 제2 수로, 상기 유수지의 유수를 상기 방류 지점으로 전달하고, 복수의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 모듈, 상기 배수 지점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수위 센서 및 상기 유수지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모듈 및 상기 감지 모듈로부터 감지 결과를 전달받고, 상기 펌프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수위 센서 및 상기 제2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펌프를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는,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배수 지점으로부터 유수가 유입되고, 유수지에 유수를 수용하고, 방류 지점으로 유수를 방류하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수위 센서가 상기 배수 지점의 수위를 감지하는 동작, 제2 수위 센서가 상기 유수지의 수위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유수지로부터 상기 방류 지점으로 유수를 전달하는 펌프 모듈을 구동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 모듈은 복수의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모듈을 구동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수위 센서 및 상기 제2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펌프를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유수지의 수위뿐만 아니라 모니터링 지점의 수위와 유수지의 유입량을 고려하여 펌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유수지 수위와 방류 지점인 하천의 수위를 고려하여 수문을 운영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및/또는 자동으로 유수 펌프장을 운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제1 펌프룰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제2 펌프룰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제3 펌프룰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수문 운영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유닛'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유닛'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유닛'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 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 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c를 참고하여 본 개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은 배수 지점(10)으로부터 유수가 유입되고, 유수지(105)에 유수를 수용하고, 방류 지점(30)으로 유수를 방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수 지점(10)은 유수가 유입되는 지역 또는 지역에 설치된 배수 설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배수 지점(10)은 도시 지역, 또는 상습 침수 구역일 수 있다. 방류 지점(30)은 유수를 방류하기 위한 하천, 또는 다른 유수 시설(예: 댐)로 연결되는 수로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배수 지점(10) 및 방류 지점(30)은 이해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고, 본 문서의 대상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수지(105)는 유수를 수용할 수 있고, 유수를 보관하거나 방류할 수 있다. 유수지(105)에는 유수를 저장하기 위한 집수정(103)을 포함할 수 있다. 집수정(103)은 스크린(107)을 통하여 유수지(105)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수로(110)는 배수 지점(10)으로부터 유수가 유입되는 경로일 수 있고, 유수지(105)로 유수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수로(120)는 유수지(105)로부터 방류 지점(30)으로 유수를 방류하는 경로일 수 있고, 유수지(105)로부터 유수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펌프 모듈(130)은 유수지(105)의 유수를 방류 지점(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펌프 모듈(130)은 복수의 펌프(131)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펌프(131)는 제3 수로(135)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수로(135)는 유수지(105)로부터 방류 지점(30)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수로(120)와는 구분되는 별개의 경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펌프(131)는 제1 펌프(131a), 제2 펌프(131b) 및 제3 펌프(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복수의 펌프(131)는 제1 펌프(131a) 및 제2 펌프(131b)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4개 이상의 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문(140)은 제2 수로(120)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수문(140)이 방류 지점(3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수문(140)은 제2 수로(120)의 내부 또는 유수지(105)에 형성될 수 있다. 수문 구동 모듈(145)은 수문(140)을 개폐할 수 있다. 또는, 수문 구동 모듈(145)은 수문(140)을 개폐 정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2 수로(120)를 통하여 방류되는 유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지 모듈(160)은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다양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161, 162, 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수위 센서(161)는 배수 지점(1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수 지점(10)에는 별도의 모니터링 지점(예: 배수구 또는 맨홀 내부)이 설정될 수 있고, 제1 수위 센서(161)는 모니터링 지점의 수위를 측정하여 배수 지점(10)의 수위를 예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수위 센서(161)가 감지한 배수 지점(10)의 수위를 제1 수위(h1)로 호칭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수위 센서(162)는 유수지(105)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유수지(105)의 수위의 기준은 집수정(103)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할 수 있고, 또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특정 기준점이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수위 센서(162)가 감지한 유수지(105)의 수위를 제2 수위(h2)로 호칭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수위 센서(163)는 방류 지점(3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방류 지점(30)의 수위의 기준은 방류 지점(3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할 수 있고, 또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특정 기준점이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수위 센서(163)가 감지한 유수지(105)의 수위를 제3 수위(h3)로 호칭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수위(h1), 제2 수위(h2) 및 제2 수위(h2)는 각각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상대적인 수위 값일 수 있다. 제1 수위(h1), 제2 수위(h2) 및 제3 수위(h3) 각각은 배수 지점(10), 유수지(105) 및 방류 지점(30) 각각의 유수 상태 또는 포화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수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위(h2)가 제1 수위(h1)보다 더 크다고 하여 반드시 유수지(105)의 집수량이 상대적으로 더 포화된 상태인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50)는 감지 모듈(160)로부터 감지 결과를 전달받을 수 있고, 펌프 모듈(130) 및/또는 수문 구동 모듈(145)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50)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50)에 연결된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50)는 다른 구성요소(예: 감지 모듈(16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구성 및 구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시적으로 간략하게 표시한 것에 불과하고, 실제 구현 시에는 이러한 구성 및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구조가 변경 또는 변형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거나, 구성 중 일부가 생략 또는 교체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S100)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S100)은 복수의 수위 센서 감지 동작(S110, S120, S130), 펌프 모듈(130) 구동 동작(S150) 및 수문(140) 운영 동작(S160)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이하에서,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S100)의 전체 또는 일부의 제어 주체는 프로세서(150)일 수 있고, 또는, 프로세서(150), 메모리(미도시), 사용자, 외부 장치(미도시) 또는 서버(미도시)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한 제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수위 센서 감지 동작(S110, S120, S130)은 제1 수위 센서(161) 감지 동작(S110), 제2 수위 센서(162) 감지 동작(S120) 및 제3 수위 센서(163) 감지 동작(S13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위 센서(161) 감지 동작(S110)은 제1 수위 센서(161)가 배수 지점(10)의 수위인 제1 수위(h1)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수위 센서(162) 감지 동작(S120)은 제2 수위 센서(162)가 유수지(105)의 수위인 제2 수위(h2)를 감지할 수 있다. 제3 수위 센서(163) 감지 동작(S130)은 제3 수위 센서(163)가 방류 지점(30)의 수위인 제3 수위(h3)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펌프 모듈(130) 구동 동작(S150)은 유수지(105)로부터 방류 지점(30)으로 유수를 전달하는 펌프 모듈(130)을 구동할 수 있다. 펌프 모듈(130) 구동 동작(S150)은 복수의 수위 센서 감지 동작(S110, S120, S130)의 감지 결과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펌프 모듈(1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펌프 모듈(130)은 복수의 펌프(131)를 포함할 수 있고, 펌프 모듈(130) 구동 동작(S150)은 제1 수위 센서(161) 및 제2 수위 센서(162)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펌프(131)를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방법(S100)은(또는 프로세서(150)는) 제1 수위(h1) 및 제2 수위(h2)를 판단하여 유수지(105)의 유수 유입 현황 확인 및 유수 유입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펌프 모듈(130) 구동 동작(S150)은 이를 기초로 유수지(105)의 유수를 실시간으로 또는 사전에 미리 방류함으로써, 유수 펌프장은 보다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배수 지점(10)으로부터 유수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펌프 모듈(130) 구동 동작(S150)은 제1 펌프룰 동작(S160), 제2 펌프룰 동작(S170) 및 제3 펌프룰 동작(S18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펌프룰 동작(S160, S170, S180)은 도 4a 내지 도 6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문(140) 운영 동작(S190)은 유수지(105)로부터 방류 지점(30)으로 이어지는 수로(예: 제2 수로(120))를 개폐할 수 있는 수문(140)을 운영할 수 있다. 수문(140) 운영 동작(S190)은 제1 수위 센서(161) 감지 동작(S110) 및 제2 수위 센서(162) 감지 동작(S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수문 구동 모듈(145)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문(140) 운영 동작(S190)은 수문(140) 개방 동작(S193) 및 수문(140) 폐쇄 동작(S195)을 포함할 수 있다. 수문(140) 개방 동작(S193) 및 수문(140) 폐쇄 동작(S195)은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S100)의 제1 펌프룰 동작(S160)의 흐름도이고,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제1 펌프룰 동작(S160)은 제2 수위 센서(162)의 감지 결과인 제2 수위(h2)에 기초하여 복수의 펌프(13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펌프룰 동작(S160)은 제2 수위 센서(162)의 감지 결과인 제2 수위(h2)가 기설정된 제1 수위값(ha)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동작(S1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위값(ha)은 최소한의 펌프 모듈(130)의 구동이 요구되는 유수지(105)의 수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유수를 저장하기 위한 집수정(103) 내지 스크린(107)의 수위 범위를 초과하는 수위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펌프룰 동작(S160)은, 제2 수위(h2)가 기설정된 제1 수위값(ha)을 초과하면, 복수의 펌프(131) 중 어느 하나를, 예를 들면 제1 펌프(131a)를 가동하는 제1 펌프(131a) 가동 동작(S162)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펌프(131a)가 가동됨에 따라 유수지(105)의 유수의 적어도 일부는 방류 지점(30)으로 방류될 수 있고, 유수지(105)의 수위는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펌프룰 동작(S160)은, 제2 수위(h2)가 제1 수위값(ha)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제1 펌프(131a)의 가동을 멈추거나, 제1 펌프(131a)의 미가동 상태에서 대기할 수 있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2 수위(h2)가 제1 수위값(ha)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동작(S161)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펌프룰 동작(S160)은 제2 수위 센서(162)의 감지 결과(예: 제2 수위(h2))가 기설정된 제2 수위값(hb)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동작(S1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위값(hb)은 제1 수위값(ha) 보다 클 수 있다. 제2 수위값(hb)은 일정 수준 이상의 펌프 모듈(130)의 구동이 요구되는 유수지(105)의 수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유수지(105)로부터 배수 지점(10)으로 유수가 역류하지 않거나, 역류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수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펌프룰 동작(S160)은, 제2 수위(h2)가 기설정된 제2 수위값(hb)을 초과하면, 복수의 펌프(131) 중 적어도 둘을 가동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펌프(131a)의 가동 중에 제2 펌프(131b)를 추가로 가동하기 위한 제2 펌프(131b) 가동 동작(S164)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펌프(131b) 가동 동작(S164)은 제1 펌프(131a)가 가동되는 상태에서 제2 펌프(131b)를 추가로 가동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제2 펌프(131b)가 추가로 가동됨에 따라 유수지(105)의 유수의 적어도 일부는 방류 지점(30)으로 추가로 방류될 수 있고, 유수지(105)의 수위는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펌프룰 동작(S160)은, 제2 수위(h2)가 제2 수위값(hb)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제2 펌프(131b)의 가동을 멈추거나, 제2 펌프(131b)의 미가동 상태에서 대기할 수 있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2 수위(h2)가 제2 수위값(hb)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동작(S163)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펌프룰 동작(S160)은, 제2 수위(h2)가 제2 수위값(hb)보다 큰 기설정된 제3 수위(h3)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동작(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제3 펌프(131c)를 추가로 가동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펌프룰 동작(S160)은 제2 수위(h2)에만 기초하여, 또는 제2 수위(h2)를 중심으로 제1 펌프(131a), 제2 펌프(131b) 및 제3 펌프(131c) 중 적어도 일부를 순차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제1 펌프룰 동작(S160)은 유수지(105)의 수위 상태를 고려하여 펌프 모듈(130)의 구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유수지(105)의 유수가 배수 지점(10)으로 역류하는 현상 또는 유수지(105)의 유수가 방류 지점(30)으로 단기간에 급격하게 배출됨으로써 발생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S100)의 제2 펌프룰 동작(S170)의 흐름도이고,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제2 펌프룰 동작(S170)은 제1 수위 센서(161)의 감지 결과인 제1 수위(h1)에 기초하여 복수의 펌프(13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펌프룰 동작(S170)은 제1 수위 센서(161)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배수 지점(10)의 수위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S171)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지점(10)의 수위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S171)은, 제1 수위 센서(161)의 감지 결과(예: 제1 수위(h1))가 기설정된 과부하 수위값(hl)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과부하 수위값(hl)은 배수 지점(10)의 수위가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의 수위일수 있고, 예를 들면, 집중 호우 또는 태풍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하여 배수 지점(10)의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한 상태의 수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펌프룰 동작(S170)은, 제1 수위(h1)가 기설정된 과부하 수위값(hl)을 초과하면, 배수 지점(10)의 수위가 과부하된 것으로 판단하고, 복수의 펌프(131)를 모두 가동하는 동작(S172)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펌프(131)가 모두 가동됨에 따라 유수지(105)의 유수는 빠르게 방류 지점(30)으로 방류될 수 있고, 유수지(105)의 수위는 낮아질 수 있고, 배수 지점(10)으로부터 배수되는 및/또는 배수될 유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펌프룰 동작(S170)은, 제1 수위(h1)가 과부하 수위값(hl)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펌프(131)의 가동을 멈추거나, 복수의 펌프(131)의 미가동 상태에서 대기할 수 있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배수 지점(10)의 수위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S171)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 예에서, 제2 펌프룰 동작(S170)은, 제1 수위(h1)가 과부하 수위값(hl)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제1 펌프룰 동작(S160) 또는 제3 펌프룰 동작(S180)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서, 제2 펌프룰 동작(S170)은 제1 수위(h1)에만 기초하여, 또는 제1 수위(h1)를 중심으로 복수의 펌프(131)를 모두 또는 다수를 적극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제2 펌프룰 동작(S170)은 배수 지점(10)의 수위를 고려하여 펌프 모듈(130)의 구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유수지(105)의 수용 한계를 초과하여 배수 지점(10)에서 유수가 역류하는 현상, 또는 유수지(105)의 유수가 배수 지점(10)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S100)의 제3 펌프룰 동작(S180)의 흐름도이고,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제3 펌프룰 동작(S180)은 수위 유지 모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복수의 펌프(13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펌프룰 동작(S180)은 유수지(105)의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수위 유지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펌프룰 동작(S180)은 수위 유지 모드에 진입하기에 앞서, 유수지(105)의 수위의 유지가 필요한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동작(S181)을 포함할 수 있다. 유수지(105)의 수위의 유지가 필요한 상황은, 예를 들면, 집중 호우 또는 태풍과 같은 사유로 배수 지점(10)의 유수의 다량 유입이 예정되어 있거나, 유수의 다량 유입이 예상되는 상황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유수지(105)의 수위의 유지가 필요한 상황은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펌프룰 동작(S180)은, 수위 유지 모드에 진입한 이후, 제2 수위 센서(162)의 감지 결과인 제2 수위(h2)가 기설정된 초기 가동 수위값(h0)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동작(S182)을 포함할 수 있다. 초기 가동 수위값(h0)은 유수지(105)의 유수 수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수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초기 가동 수위값(h0)은 제1 수위값(ha)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펌프룰 동작(S180)은, 제2 수위(h2)가 초기 가동 수위값(h0)을 초과하면, 유수지(105)의 수용 공간의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복수의 펌프(131)를 모두 가동하는 동작(S182)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펌프(131)가 모두 가동됨에 따라 유수지(105)의 유수는 빠르게 방류 지점(30)으로 방류될 수 있고, 유수지(105)의 수위는 낮아질 수 있고, 배수 지점(10)으로부터 배수되는 및/또는 배수될 유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펌프룰 동작(S180)은, 제2 수위(h2)가 초기 가동 수위값(h0)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펌프(131)의 가동을 멈추거나, 복수의 펌프(131)의 미가동 상태에서 대기할 수 있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유수지(105)의 수위의 유지가 필요한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동작(S181) 또는 제2 수위(h2)가 기설정된 초기 가동 수위값(h0)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동작(S182)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펌프(131)를 모두 가동하는 동작(S182) 이후, 제3 펌프룰 동작(S180)은, 제2 수위(h2)가 초기 가동 수위값(h0) 이하인지 판단하는 동작(S184)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수위(h2)가 초기 가동 수위값(h0)을 초과하는 상태이면, 제3 펌프룰 동작(S180)은, 복수의 펌프(131)를 모두 가동하는 동작(S182)을 유지하거나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수위(h2)가 초기 가동 수위값(h0) 이하인지 판단하는 동작(S184)의 결과, 제2 수위(h2)가 초기 가동 수위값(h0) 이하로 진입하면, 제3 펌프룰 동작(S180)은, 복수의 펌프(131)의 가동을 멈추거나, 복수의 펌프(131)의 미가동 상태에서 대기할 수 있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유수지(105)의 수위의 유지가 필요한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동작(S181) 또는 제2 수위(h2)가 기설정된 초기 가동 수위값(h0)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동작(S182)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서, 제3 펌프룰 동작(S180)은 수위 유지 모드 진입 여부와, 제2 수위(h2)에만 기초하여 또는 제2 수위(h2)를 중심으로 복수의 펌프(131)를 모두 또는 다수를 적극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제3 펌프룰 동작(S180)은 배수 지점(10)의 수위, 유수지(105)의 수위, 방류 지점(30)의 수위, 유수량의 예측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수위 유지 모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펌프 모듈(130)의 구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S100)의 수문(140) 운영 동작(S190)의 흐름도이고, 도 7b 및 도 7c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100)의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7b 및 7c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수문(140) 운영 동작(S190)은 상대 수위(hd)를 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수문(140)의 개폐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문(140) 운영 동작(S190)은 제2 수위 센서(162) 및 제3 수위 센서(163)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유수지(105)로부터 방류 지점(30)으로 이어지는 수로를 개폐할 수 있는 수문(140)을 운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문(140) 운영 동작(S190)은 상대 수위(hd) 결정 동작(S19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대 수위(hd)는, 제2 수위 센서(162)의 감지 결과인 제2 수위(h2) 및 제3 수위 센서(163)의 감지 결과인 제3 수위(h3) 사이의 상대적인 수위 차일 수 있다. 상대 수위(hd) 결정 동작(S191)은 제2 수위(h2) 및 제3 수위(h3)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유수지(105) 및 방류 지점(30)의 수위 차이인 상대 수위(hd)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대 수위(hd)는 제2 수위(h2) 및 제3 수위(h3)의 산술적인 차이일 수 있다. 또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대 수위(hd)는, 유수지(105) 및 방류 지점(30) 각각의 과부하 여부 및 부하 정도를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제2 수위(h2) 및 제3 수위(h3)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상대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문(140) 운영 동작(S190)은, 상대 수위(hd)가 0보다 큰지 판단하는 동작(S192)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대 수위(hd) 결정 동작(S191)에서, 유수지(105)의 유수 방출이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대 수위(hd)를 양수로 결정할 수 있고, 유수지(105)의 유수 방출이 불필요하거나 불가능한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대 수위(hd)를 0 또는 음수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기준은 예시적인 것으로, 수문(140) 운영 동작(S190)은 유수지(105)의 유수 방류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상대 수위(hd) 및 기준 값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문(140) 운영 동작(S190)은, 상대 수위(hd)에 기초하여 유수지(105)의 수위가 과부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수문(140)을 개방하는 동작(S193)을 수행할 수 있다. 수문(140)이 개방되면, 유수지(105)의 유수가 제2 수로(120)를 따라 방류 지점(30)으로 방류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문(140) 운영 동작(S190)은, 상대 수위(hd)에 기초하여 유수지(105)의 수위가 과부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펌프(131)의 모두 또는 대다수를 가동하는 동작(미도시)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문(140) 운영 동작(S190)은, 상대 수위(hd)에 기초하여 방류 지점(30)의 수위가 과부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수문(140)을 폐쇄하는 동작(S195)을 수행할 수 있다. 수문(140)이 폐쇄되면, 유수지(105)의 유수의 방류가 중단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문(140) 운영 동작(S190)은, 상대 수위(hd)에 기초하여 방류 지점(30)의 수위가 과부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펌프(131)의 모두 또는 대다수를 가동을 중단하는 동작(미도시)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서, 수문(140) 운영 동작(S190)은 제2 수위(h2) 및 제3 수위(h3)에 기초하여 유수지(105) 및 방류 지점(30)의 수위 상태 및 이들의 상대적인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수문(140)을 개폐할 수 있다. 수문(140) 운영 동작(S190)은 유수지(105)의 수위, 방류 지점(30)의 수위, 유수량의 예측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유수지(105)의 유수 배출의 필요성 또는 안정성을 판단하고, 수문(140) 운영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8)

  1. 배수 지점으로부터 유수가 유입되고 방류 지점으로 유수를 방류하는 유수 펌프장의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 지점으로부터 유수가 유입되는 제1 수로;
    상기 제1 수로로부터 유수를 전달받고 유수를 수용하는 유수지;
    상기 유수지로부터 유수를 전달받고 유수를 상기 방류 지점으로 방류하는 제2 수로;
    상기 유수지의 유수를 상기 방류 지점으로 전달하고, 복수의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 모듈;
    상기 배수 지점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수위 센서 및 상기 유수지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모듈; 및
    상기 감지 모듈로부터 감지 결과를 전달받고, 상기 펌프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수위 센서 및 상기 제2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펌프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펌프는 제1 펌프, 제2 펌프 및 제3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가 기설정된 제1 수위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펌프를 가동하고,
    상기 제2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가 상기 제1 수위값보다 큰 기설정된 제2 수위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가동하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수지의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수위 유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유지 모드에서, 상기 제2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가 기설정된 초기 가동 수위값을 초과하면, 상기 복수의 펌프를 모두 가동하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가 기설정된 제1 수위값을 초과하면, 상기 복수의 펌프 중 어느 하나를 가동하고,
    상기 제2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가 상기 제1 수위값보다 큰 기설정된 제2 수위값을 초과하면, 상기 복수의 펌프 중 적어도 2개를 가동하고,
    상기 초기 가동 수위값은,
    상기 제1 수위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수 지점의 수위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배수 지점의 수위가 과부하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복수의 펌프를 모두 가동하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은, 상기 제2 수로를 개폐 가능한 수문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모듈은, 상기 방류 지점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3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수위 센서 및 상기 제3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 및 상기 제3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유수지 및 상기 방류 지점의 수위 차이인 상대 수위를 결정하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대 수위에 기초하여 상기 유수지의 수위가 과부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문을 개방하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대 수위에 기초하여 상기 방류 지점의의 수위가 과부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문을 폐쇄하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10. 배수 지점으로부터 유수가 유입되고, 유수지에 유수를 수용하고, 방류 지점으로 유수를 방류하는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수위 센서가 상기 배수 지점의 수위를 감지하는 동작;
    제2 수위 센서가 상기 유수지의 수위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유수지로부터 상기 방류 지점으로 유수를 전달하는 펌프 모듈을 구동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 모듈은 복수의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모듈을 구동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수위 센서 및 상기 제2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펌프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펌프는 제1 펌프, 제2 펌프 및 제3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모듈을 구동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가 기설정된 제1 수위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펌프를 가동하고,
    상기 제2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가 상기 제1 수위값 보다 큰 기설정된 제2 수위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가동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지의 수위를 유지하도록 상기 펌프 모듈을 구동하는 수위 유지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수위 유지 동작은,
    상기 제2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가 기설정된 초기 가동 수위값을 초과하면, 상기 복수의 펌프를 모두 가동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가동 수위값은, 상기 제1 수위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수 지점의 수위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 모듈을 구동하는 동작은,
    상기 배수 지점의 수위가 과부하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복수의 펌프를 모두 가동하는,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제3 수위 센서가 상기 방류 지점의 수위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수위 센서 및 상기 제3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수지로부터 상기 방류 지점으로 이어지는 수로를 개폐할 수 있는 수문을 운영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 및 상기 제3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유수지 및 상기 방류 지점의 수위 차이인 상대 수위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을 운영하는 동작은,
    상기 상대 수위에 기초하여 상기 유수지의 수위가 과부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문을 개방하는,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을 운영하는 동작은,
    상기 상대 수위에 기초하여 상기 방류 지점의 수위가 과부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문을 폐쇄하는, 제어 방법.
KR1020220096676A 2022-08-03 2022-08-03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18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676A KR20240018852A (ko) 2022-08-03 2022-08-03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2/021627 WO2024029671A1 (ko) 2022-08-03 2022-12-29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676A KR20240018852A (ko) 2022-08-03 2022-08-03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852A true KR20240018852A (ko) 2024-02-14

Family

ID=8984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676A KR20240018852A (ko) 2022-08-03 2022-08-03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8852A (ko)
WO (1) WO20240296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6989B2 (en) * 2007-11-09 2012-09-04 Luxin (Green Planet) Ag Water-storage and water-purification system
JP6853733B2 (ja) * 2017-05-29 2021-03-31 株式会社荏原製作所 送水システムおよび送水方法
KR101873870B1 (ko) * 2017-09-26 2018-07-03 주식회사 대영 수위별 펌프일체형 수문 조작시스템
KR102094704B1 (ko) * 2018-06-26 2020-03-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수도 운영관리 시스템
KR102442307B1 (ko) * 2022-07-11 2022-09-13 이용권 농업용수 급수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9671A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1164B2 (en) Optimized hydromodification management with active stormwater controls
US11150673B2 (en) Method of monitoring a fluid level within a fluid volume
KR101900678B1 (ko) 스마트 펌프일체형수문 및 그 구동방법
US5752785A (en) Drainage pump station and drainage operation method for drainage pump station
JP6261960B2 (ja) 雨水排水ポンプ制御装置、雨水排水システム、および雨水排水ポンプ制御プログラム
KR20200039194A (ko) 인버터 제어 방식을 이용한 펌프 일체형 수문 제어 시스템
RU2760417C1 (ru) Модуль мониторинга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рабочего сценария на насосной станции сточных вод
KR20240018852A (ko) 유수 펌프장 운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4427509B2 (ja) 雨水貯留施設運用システム
KR101958326B1 (ko) 연속적 오폐수 가상 수위 생성 알고리즘이 적용된 오폐수 배수 펌프 및 펌프 제어 방법
KR20220081836A (ko) 비상기동 기능이 구비된 배수펌프 제어시스템
KR101277227B1 (ko)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JP3122407B2 (ja) 水田水位自動制御システム
WO2021029387A1 (ja) 水中ポンプ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16184B1 (ko)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298001B1 (ko) 배수통관 수위계를 설치할 수 없는 도심 내 수문 운영시스템
JP4439831B2 (ja) 合流式下水道処理設備の水質改善制御装置
JP2789320B2 (ja) 排水システム
KR20060086011A (ko) 세탁기의 배수 동작 제어 방법
JPH0861244A (ja) 雨水排水ポンプ所制御システム
KR101322010B1 (ko) 수문장치
JPH05265513A (ja) 排水ポンプ所のポンプ運転台数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4342381B2 (ja) ポンプ制御装置
JPH01175613A (ja) ポンプ制御装置
CN107792953B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水质处理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