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227B1 -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227B1
KR101277227B1 KR1020120001936A KR20120001936A KR101277227B1 KR 101277227 B1 KR101277227 B1 KR 101277227B1 KR 1020120001936 A KR1020120001936 A KR 1020120001936A KR 20120001936 A KR20120001936 A KR 20120001936A KR 101277227 B1 KR101277227 B1 KR 101277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real
time
unit
rain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희원
Original Assignee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1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로부터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 및 차집관거 및 하수처리장이 서로 연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간 제 1 이송유닛과,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 사이 또는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와 차집관거 사이에 제공되는 배수유닛,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와 상기 차집관거 사이의 제 2 이송유닛과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와 방류하천 사이의 방류유닛을 실시간 제어하여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및 국지적 강우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적절히 빗물을 관리하고 이용하며, 도시침수를 예방하고, CSOs(합류식하수관거 월류수) 저감 등을 통하여 방류수계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SYSTEM AND MTHEOD FOR RUNNING A RAIN-WATER RETAINING FACILITY IN REAL TIME}
본 발명은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및 국지적 강우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적절히 빗물을 관리하고 이용하며, 도시침수를 예방하고, CSOs(합류식하수관거 월류수) 저감 등을 통하여 방류수계를 보호할 수 있는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강우량이 7월과 8월에 집중될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에 비해 대부분의 수원을 하천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하천의 환경, 수량 및 수질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하천의 환경, 수량 및 수질을 관리방법은, 하천의 적정 지역에 대규모의 저류시설, 예컨대, 댐과 같이 일시적으로 불어나는 유량을 저장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여 홍수해를 방지하고, 수원을 확보하는 정도의 수준 이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하천 관리방법으로는, 댐 또는 저류시설 등이 다른 시스템 또는 기능과 연계되지 못하고 독립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대규모의 시설을 남발하여 환경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막대한 비용을 들이고도 일년에 몇 일 사용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댐이나 저류시설이 설치된 지역에서는 그 남아 그 혜택을 볼 수 있었지만, 그렇지 못한 지역에서는 홍수해나 가뭄 시 물 부족 등 혜택을 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종래의 하천 관리방법은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및 국지적 강우에 대하여 제대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하천의 수질 환경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며, 특히 하수관거 및 처리시설의 정화 용량을 넘어서 미처리된 상태로 하천에 방류되는 오수(CSOs; Combined Sewer Overflows)가 하천의 오염을 유발하는 주요한 비점오염원으로 지목되면서 지역마다 CSOs 저류조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지만, 이들 시스템 또는 기능 사이의 연계가 없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큰 용량으로 설계되어 대규모 공사가 이루어지게 되고, 막대한 규모의 재원이 투입되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및 국지적 강우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적절히 빗물을 관리하고 이용하며, 도시침수를 예방하고, CSOs(합류식하수관거 월류수) 저감 등을 통하여 방류수계를 보호할 수 있는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로부터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 하수를 선택적으로 하수처리장으로 유도하기 위한 차집관거, 상기 하수처리장, 및 방류하천의 수위, 유량, 유속을 실시간 측정하기 위한 계측유닛과, 상기 계측유닛으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 상기 차집관거, 상기 하수처리장, 및 상기 방류하천의 수문 또는 펌프의 운전여부를 실시간 결정하기 위한 실시간 중앙제어서버, 및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의 명령에 따라 상기 수문 또는 펌프를 운전시키는 구동유닛을 이용하여 실시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의 우수 배수방법은,
실시간 중앙제어서버가 계측유닛과 쌍방향 통신하여 계측유닛으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시키는 단계와,
통합 DB에 저장된 각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의 홍수위 데이터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의 수위 데이터를 실시간 비교하여 홍수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중 제 1 빗물저류조의 수위 데이터가 상기 통합 DB에 저장된 홍수위 데이터 이상이면, 상기 제 1 빗물저류조에 대하여 우수유입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 1 빗물저류조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연속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빗물저류조의 실시간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DB를 통해서 강우예보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의 의사결정부가 강우예보가 있다고 판단하면, 강우량이 하천 또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의 여유수위 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강우량이 하천 또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의 여유수위 내라고 판단되면, 기준수위 이상인 상기 제 1 빗물저류조를 하천 또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로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의 실시간 제어방법은,
실시간 중앙제어서버가,
CSO 저류조의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하수처리장의 유입하수량의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한 운전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하수처리장의 기준 유량값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유량값의 데이터 연산의 시간 간격이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와 계측유닛 사이의 쌍방향 통신에 의하여 상기 하수처리장의 실시간 유량데이터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연산 시간간격에 따라 CSO 처리장의 이송량이 실시간 연산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소의 구동유닛을 작동시켜서 CSO 이송량을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의하면, 유량, 유속, 수위 등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빗물 저류조 및 하수처리장 사이를 연계하여 빗물 또는 CSOs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규모 저류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및 운영방법에 의하면, 집중호우 또는 국지적 강우 등에 의한 일시적인 급격한 유량의 변화에 의한 홍수 등의 재해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이 적용된 저류조 운영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각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사이의 우수 이송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배수방법을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CSO 저류조로부터 CSOs로이송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a는 하수처리장 유입하수량의 모니터링 데이터에 의한 CSO의 실시간 이송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b는 하수처리장 유입하수량의 시간패턴에 따른 CSO의 실시간 이송량을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이 적용된 저류조 운영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각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100)은서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101, 101', 101"),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101, 101', 101") 로부터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102', 102"), 및 청천시에는 모든 하수를 처리장으로 유도하고 강우시에는 일부의 하수를 처리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합류식 하수도에 설치하는 차집관거(103) 및 하수처리장(104)이 서로 연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101, 101', 101")간 제 1 이송유닛(110)과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101, 101', 101")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102', 102") 사이 또는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101)와 차집관거(103) 사이에 제공되는 배수유닛(120),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1)와 상기 차집관거(103) 사이의 제 2 이송유닛(130)과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1)와 방류하천(105) 사이의 방류유닛(140)을 실시간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100)은 계측유닛(150), 상기 계측유닛(150)으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제 1 이송유닛(110), 제 1 배수유닛(120), 제 2 이송유닛(130), 및 방류유닛(140)을 구성하는 수문(111, 121, 131, 141) 또는 펌프(113, 123, 133, 143)의 운전여부를 실시간 결정하기 위한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 및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이송유닛(110), 제 1 배수유닛(120), 제 2 이송유닛(130), 및 방류유닛(140)을 구성하는 수문(111, 121, 131, 141) 또는 펌프(113, 123, 133, 143)를 작동 및 정지시키는 구동유닛(170)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101, 101', 101") 간 제 1 이송유닛(110)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101)에 빗물을 유입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유입수문(111)과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101, 101', 101") 에 빗물을 유출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유출수문(111')과,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이송관거(112)와, 상기 유입수문(111')을 통하여 원활하게 빗물이 유입되고, 상기 유출수문(111)을 통해 유출되어 상기 이송관거(112)를 통해서 원활하게 빗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가동되는 펌프(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101, 101', 101")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사이 또는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101, 101', 101")와 차집관거(103) 사이에 제공되는 배수유닛(120)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101, 101', 101")로부터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또는 차집관거(103)로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유출수문(121)과, 상기 유출수문(121)과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또는 상기 차집관거(103) 사이를 연결하는 배수관거(122)와, 상기 유출수문(121)으로부터 또는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또는 상기 차집관거(103) 사이를 연결하는 배수관거(122)를 통해 빗물 또는 오수가 원활하게 빗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가동되는 펌프(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102', 102")와 상기 차집관거(103) 사이의 제 2 이송유닛(130)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102', 102") 로부터 빗물 또는 오수를 이송시키기 위한 유출수문(131)과,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와 상기 차집관거(103)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이송관거(132) 및 상기 유출수문(131)으로부터 상기 제 2 이송관거(132)를 통해 원활하게 빗물 또느 오수를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102', 102")와 방류하천(105) 사이의 방류유닛(140)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102', 102") 로부터 빗물 또는 오수를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수문(141)과 상기 유출수문(141)과 상기 방류하천(105)을 연결하는 방류관거(142)와, 상기 유출수문(141) 및 방류관거(12)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102', 102")와 방류하천(105) 사이의 빗물 또는 오수의 방류를 보조하기 위한 펌프(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100)에있어서, 계측유닛(150)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101),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차집관거(103) 및 하수처리장(104),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제 1 이송유닛(110), 배수유닛(120), 제 2 이송유닛(130), 방류유닛(140)에 각각 설치되는 계측 센서(151)와, 상기 계측 센서(151)가 계측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저장부(152)와, 상기 실시간 제어 중앙서버(160)과 쌍방향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 1 쌍방향 무선통신부(153)와, 상기 계측센서(151), 상기 데이터 저장부(152), 및 무선통신부(153)를 제어하는 계측유닛 제어부(15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100)에있어서, 상기 계측유닛 제어부(154)는 상기 계측센서(151)가 정상시에는 주기적으로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101),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차집관거(103) 및 하수처리장(104),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제 1 이송유닛(110), 배수유닛(120), 제 2 이송유닛(130), 방류유닛(140)의 수위, 유량, 유량속도 등을 계측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152)에 저장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실시간 제어 중앙서버(16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정상 계측유닛 제어부(154-1)과, 상기 실시간 제어 중앙서버(160)의 요청에 따라 주기를 변동하여 집중적으로 계측센서(151)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쌍방향 무선통신부(152)를 통해 실시가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비상 계측유닛 제어부(154-2)를 구비하여, 상시 관측을 수행하면서도,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계측유닛(150)은 가능한 물과 직접 접촉 없이 수위, 유량, 유량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는 상기 실시간 계측유닛(150) 및 상기 운영유닛(170)과 무선 쌍방향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제 2 무선쌍방향 통신부(161)와, 상기 실시간 계측유닛(15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서 상기 제 1 이송유닛(110), 제 1 배수유닛(120), 제 2 이송유닛(130), 및 방류유닛(140)을 구성하는 수문(111, 121, 131, 141) 또는 펌프(113, 123, 133, 143)의 운전여부를 실시간 결정하는 위한 실시간 의사결정부(16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는 상기 실시간 계측유닛(150), 상기 실시간 의사결정부(162), 상기 운영유닛(170)의 모든 로그를 저장하는 통합 DB(160a)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사결정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운영유닛(170)은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와 쌍방향 무선통신을 수행할 있는 제 3 쌍방향 무선통신부(171)와 상기 제 1 이송유닛(110), 제 1 배수유닛(120), 제 2 이송유닛(130), 및 방류유닛(140)을 구성하는 수문(111, 121, 131, 141) 또는 펌프(113, 123, 133, 143)를 가동시키는 가동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시간 계측유닛(150)의 계측센서(151)가 측정한 관거 수위, 저류조 수위, 하천 수위 데이터는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101)의 수문(111, 111') 개폐 및 펌프(113)의 운전에 활용되며, 상기 계측유닛(150)의 계측센서(151)가 측정한 하수처리장 하수유입유량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저류조(102) 운영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100)에의하면,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101)에 저장된 빗물을 유출수문(111)을 개폐시키거나 펌프(113)의 펌핑을 통하여 제 1 이송관거(112)로 연결된 다른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101')로 이송되어 소정 지역의 물 부족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101)에 저장된 빗물을 유출수문(111)을 개폐시키거나 펌프(113)의 펌핑을 통하여 배수관거(112)를 통해서 차집관거(103) 또는 CSO 저류조(102)로 배수하여,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101)의 저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국지적인 호우나 집중 강우시 홍수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국지적인 호우나 집중 강우시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101)의 배수뿐만 아니라 동시에 적어도 1 이상의 다른 빗물 저류조(101', 101”)로 빗물을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101)의 저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계측유닛(150)으로부터 이송관거 및 배수관거(112, 122)의 수위 데이터 및 하천의 수위 데이터를 수신한 실시간 중앙제어 서버(160)는 이를 이용하여 통수능이 확보될 경우 및 하천 홍수위로부터 안전한 경우에 저류된 빗물을 유출시켜 하류 관거로 배수하거나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할 수 있어서 보다 홍수해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에 저장된 하수는 차집관거(103)을 통하여 하수처리장의 시간대별 유입하수량에 따라 이송량을 조절하면서 하수처리장(104)로 이송시킴으로써 하수처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에 저장된 하수는 집중호우 등방류하수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방류유닛(140)을 통해서 직접 방류하천(105)으로 방류될 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방류유닛(140)은 우수에 의하여 쓸려온 폐기물 등이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초기우수처리부(145)를 더 포함하여 최소한의 하천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CSOs, 즉 미처리 하수가 월류하여 하천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는 상기 CSO 저류조(102)와 차집관거103) 사이의 제 2 이송유닛(130)이 정상적으로 운영중인 상황이나 우수 유출량이 많아 상기 CSO저류조(102)가 기준수위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 저류된 하수를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설정되면, 최소한의 하천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CSOs, 즉 미처리 하수가 월류하여 하천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는 상기 계측유닛(150)으로부터 하수처리장(104)에 유입되는 하수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유량과의 차이만큼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저류조(102)에 저류된 CSO를 하수처리장(104)으로 실시간으로 이송하게 할 수 있다.
산정된 CSO이송량은, 시간패턴을 1시간 단위로 나타냈으나, 설정에 의해 시간간격을 2시간, 4시간, 6시간 등으로 조정 가능하며, 시간대별 하수처리장 유입하수의 패턴을 분석하여 평균유량(1.0)을 기준으로 시간대별 승수로 나타내며, 일평균유량 기준, 일최대유량 기준, 처리장 계획하수량 기준으로 CSO이송량을 산정할 수 있다.
이제 도 4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보다 자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사이의 우수 이송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배수방법을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101, 101', 101”…)에 설치된 계측유닛(150)은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와 쌍방향 무선통신을 통하여 실시간 제어부(154-2)의 제어 하에서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101, 101', 101”…) 각각의 실시간 수위를 측정하여 저장부에 저장없이 상기 쌍방향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로 전송하여,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가 실시간으로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101, 101', 101”…)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게 한다(S110)
상기 실시간 중앙 제어 서버(160)의 의사결정부(162)는 쌍방향 무선통신부(161)을 통해서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101, 101', 101”…)의 계측유닛(150)으로부터 수신되는 수위 데이터를 통합 DB(160a)에 저장된 각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101, 101', 101”…) 의 홍수위 데이터와 비교하여 홍수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예를 들어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101, 101', 101”…) 중 상기 제 1 저류조(101)의 수위 데이터가 통합 DB(160a)에 저장된 홍수위 이상이면 우수유입을 차단한다(S121).
또한, 상기 제 1 저류조(101)의 수위 데이터가 통합 DB(160a)에 저장된 홍수위 이상이면(S122), 상기 제 1 저류조(101)에 대하여 우수유입을 허용한다(S130).
상기 제 1 빗물저류조(101)에 우수유입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는 상기 제 1 빗물저류조(101)의 계측유닛(150)으로 하여금 계속해서 실시간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쌍방향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로 전송하여,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가 상기 제 1 빗물저류조(101)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연속 모니터링하게 한다(S140).
상기 제 1 빗물저류조(101), 즉 우수유입이 계속된 빗물저류조의 실시간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의 의사결정부(162)가 판단한다(S150).
상기 제 1 저류조(101)의 수위 데이터가 통합 DB(160a)에 저장된 기준수위이하이면 우수저류 상태를 지속한다(S151).
또한, 상기 제 1 저류조(101)의 수위 데이터가 통합 DB(160a)에 저장된 기준수위 이상이면(S152), 상기 제 1 저류조(101)의 우수를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저류조(101, 101', 101”)중 홍수위 미만인 적어도 1 이상의 제 2 빗물저류조(101')로 강제 이송하도록 한다(S160).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는 쌍방향 무선통신부(161)을 통하여 상기 계측유닛(150)의 실시간 제어부(154-2)의 제어 하에서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101, 101', 101”…) 각각의 실시간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 1 쌍방향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로 전송하여,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가 실시간으로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101, 101', 101”…)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게 한다(S210)
상기 실시간 중앙 제어 서버(160)의 의사결정부(162)는 쌍방향 무선통신부(161)을 통해서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101, 101', 101”…)의 계측유닛(150)으로부터 수신되는 수위 데이터를 통합 DB(160a)에 저장된 각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101, 101', 101”…) 의 홍수위 데이터와 비교하여 홍수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예를 들어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101, 101', 101”…) 중 상기 제 1 저류조(101)의 수위 데이터가 통합 DB(160a)에 저장된 홍수위 이상이면 우수유입을 차단한다(S221).
또한, 상기 제 1 저류조(101)의 수위 데이터가 통합 DB(160a)에 저장된 홍수위 이상이면(S122), 상기 제 1 저류조(101)에 대하여 우수유입을 허용한다(S230).
상기 제 1 빗물저류조(101)에 우수유입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는 상기 제 1 빗물저류조(101)의 계측유닛(150)으로 하여금 계속해서 실시간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쌍방향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로 전송하여,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가 상기 제 1 빗물저류조(101)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연속 모니터링하게 한다(S240).
상기 제 1 빗물저류조(101), 즉 우수유입이 계속된 빗물저류조의 실시간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의 의사결정부(162)가 판단한다(S250).
상기 제 1 저류조(101)의 수위 데이터가 통합 DB(160a)에 저장된 기준수위이하이면 우수저류 상태를 지속한다(S251).
또한, 상기 제 1 저류조(101)의 수위 데이터가 통합 DB(160a)에 저장된 기준수위 이상이면(S252), 상기 통합 DB(160a)를 통해서 강우예보가 있는지 판단한다(S260).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의 의사결정부(162)가 강우예보가 있다고 판단하면, 강우량이 하천(104) 또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102', 102”…)의 여유수위 내인지를 판단한다(S270).
상기 강우량이 하천(104) 또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102', 102”…)의 여유수위 내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 1 빗물저류조(101)는 우수 ㅇ저류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S271).
만약, 상기 강우량이 하천(104) 또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102', 102”…)의 여유수위 내라고 판단되면(S272), 기준수위 이상인 상기 제 1 빗물저류조(101)를 하천 또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 102', 102”..)로 배수한다(S280).
이제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SO 저류조의 실시간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SO 저류조의 실시간 제어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7a는 하수처리장의 유입하수량과 이에 따른 CSO 이송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b는 평균 하수처리장의 유입하수유량과 시간패턴별 CSO 이송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SO 저류조의 실시간 제어방법(S300)은 CSO 저류조의 운전모드, 즉 하수처리장(105)의 유입하수량의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한 운전모드와 하수처리장 유입하수량의 시간패턴에 의한 운전모드를 선택할지를 결정한다(S310).
하수처리장(105)의 유입하수량의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한 운전모드가 선택되면(S311), 상기 하수처리장(105)의 기준유량값이 입력되고(S321), 기준유량을 시간단위로 설정할지, 2시간단위로 설정할지, 데이터 연산의 시간 간격이 설정된다(S331)
이어서,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는 상기 계측유닛(150)으로 하여금 하수처리장의 실시간 유량데이터를 입력하게 한다(S341).
도 7a에 표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연산 시간간격에 따라 CSO 처리장(102)의 이송량이 실시간 연산된다(S351).
이에 따라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는 상기 CSO 저류소(102)의 수문 또는 펌프를 작동시켜서 CSO 이송량을 관거(103)로 이송시킨다(360). 한편, 하수처리장 유입유량을 시간패턴 운전모드로 선택되면(S312), 한시간 간격으로 할지 또는 몇시간 간격으로 할 지 시간패턴값이 입력되고(S322), 유량 기준이 선택된다(S322).
유량기준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평균유량, 일최대유량, 처리장 계획유량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량기준이 선택되면(S342), 시간대별 이송량이 연산되고(S352), 이에 따라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는 상기 CSO 저류소(102)의 수문 또는 펌프를 작동시켜서 CSO 이송량을 관거(103)로 이송시킨다(360).
여기서 상기 실시간 계측유닛(150)의 계측센서(151)가 측정한 관거 수위, 저류조 수위, 하천 수위 데이터는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101)의 수문(111, 111') 개폐 및 펌프(113)의 운전에 활용되며, 상기 계측유닛(150)의 계측센서(151)가 측정한 하수처리장 하수유입유량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저류조(102) 운영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100)에의하면,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101)에 저장된 빗물을 유출수문(111)을 개폐시키거나 펌프(113)의 펌핑을 통하여 제 1 이송관거(112)로 연결된 다른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101')로 이송되어 소정 지역의 물 부족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101)에 저장된 빗물을 유출수문(111)을 개폐시키거나 펌프(113)의 펌핑을 통하여 배수관거(112)를 통해서 차집관거(103) 또는 CSO 저류조(102)로 배수하여,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101)의 저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국지적인 호우나 집중 강우시 홍수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국지적인 호우나 집중 강우시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101)의 배수뿐만 아니라 동시에 적어도 1 이상의 다른 빗물 저류조(101', 101”)로 빗물을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101)의 저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계측유닛(150)으로부터 이송관거 및 배수관거(112, 122)의 수위 데이터 및 하천의 수위 데이터를 수신한 실시간 중앙제어 서버(160)는 이를 이용하여 통수능이 확보될 경우 및 하천 홍수위로부터 안전한 경우에 저류된 빗물을 유출시켜 하류 관거로 배수하거나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할 수 있어서 보다 홍수해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에 저장된 하수는 차집관거(103)을 통하여 하수처리장의 시간대별 유입하수량에 따라 이송량을 조절하면서 하수처리장(104)로 이송시킴으로써 하수처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102)에 저장된 하수는 집중호우 등방류하수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방류유닛(140)을 통해서 직접 방류하천(105)으로 방류될 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방류유닛(140)은 우수에 의하여 쓸려온 폐기물 등이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초기우수처리부(145)를 더 포함하여 최소한의 하천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CSOs, 즉 미처리 하수가 월류하여 하천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는 상기 CSO 저류조(102)와 차집관거103) 사이의 제 2 이송유닛(130)이 정상적으로 운영중인 상황이나 우수 유출량이 많아 상기 CSO저류조(102)가 기준수위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 저류된 하수를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설정되면, 최소한의 하천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CSOs, 즉 미처리 하수가 월류하여 하천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160)는 상기 계측유닛(150)으로부터 하수처리장(104)에 유입되는 하수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유량과의 차이만큼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저류조(102)에 저류된 CSO를 하수처리장(104)으로 실시간으로 이송하게 할 수 있다.
산정된 CSO이송량은, 시간패턴을 1시간 단위로 나타냈으나, 설정에 의해 시간간격을 2시간, 4시간, 6시간 등으로 조정 가능하며, 시간대별 하수처리장 유입하수의 패턴을 분석하여 평균유량(1.0)을 기준으로 시간대별 승수로 나타내며, 일평균유량 기준, 일최대유량 기준, 처리장 계획하수량 기준으로 CSO이송량을 산정할 수 있다.
110 : 제 1 이송유닛
120 : 배수유닛
130 : 제 2 이송유닛
140 : 방류유닛
150 : 계측유닛
160 : 실시간 중앙 제어서버
170 : 운전유닛

Claims (9)

  1.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로부터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 하수를 선택적으로 하수처리장으로 유도하기 위한 차집관거, 상기 하수처리장, 및 방류하천의 수위, 유량, 유속을 실시간 측정하기 위한 계측유닛과, 상기 계측유닛으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 상기 차집관거, 상기 하수처리장, 및 상기 방류하천의 수문 또는 펌프의 운전여부를 실시간 결정하기 위한 실시간 중앙제어서버, 및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의 명령에 따라 상기 수문 또는 펌프를 운전시키는 구동유닛을 이용하여 실시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로부터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 및 차집관거 및 하수처리장이 서로 연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간 제 1 이송유닛과,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 사이 또는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 저류조와 차집관거 사이에 제공되는 배수유닛과,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와 상기 차집관거 사이의 제 2 이송유닛과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와 방류하천 사이의 방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유닛, 배수유닛, 및 방류유닛을 구성하는 관거, 하수처리장의 수위, 유량, 유속을 더 측정하며,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는 상기 계측유닛으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제 1 이송유닛, 배수유닛, 제 2 이송유닛, 및 방류유닛을 구성하는 수문 또는 펌프의 운전여부를 실시간으로 더 결정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의 명령에 따라 상기 상기 제 1 이송유닛, 배수유닛, 제 2 이송유닛, 및 방류유닛을 구성하는 수문 또는 펌프를 운전시켜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유닛,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 및 상기 구동유닛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계측유닛은 일정 주기의 계측을 제어하는 제 1 계측유닛 제어부와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의 지시에 따라 변동 주기의 실시간 계측을 제어하는 제 2 계측유닛 제어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5.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사이의 우수 이송방법에 있어서,
    실시간 중앙제어서버가 계측유닛과 쌍방향 통신하여 계측유닛으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시키는 단계와,
    통합 DB에 저장된 각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의 홍수위 데이터와 상기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의 수위 데이터를 실시간 비교하여 홍수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중 제 1 빗물저류조의 수위 데이터가 상기 통합 DB에 저장된 홍수위 데이터 이상이면, 상기 제 1 빗물저류조에 대하여 우수유입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 1 빗물저류조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연속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빗물저류조의 실시간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빗물저류조의 수위 데이터가 통합 DB에 저장된 기준수위 이상이면, 상기 제 1 빗물저류조의 우수를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중 홍수위 미만인 적어도 1 이상의 제 2 빗물저류조로 강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사이의 우수 이송방법.
  6.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의 우수 배수방법에 있어서,
    실시간 중앙제어서버가 계측유닛과 쌍방향 통신하여 계측유닛으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시키는 단계와,
    통합 DB에 저장된 각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의 홍수위 데이터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의 수위 데이터를 실시간 비교하여 홍수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 중 제 1 빗물저류조의 수위 데이터가 상기 통합 DB에 저장된 홍수위 데이터 이상이면, 상기 제 1 빗물저류조에 대하여 우수유입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 1 빗물저류조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연속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빗물저류조의 실시간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DB를 통해서 강우예보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의 의사결정부가 강우예보가 있다고 판단하면, 강우량이 하천 또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의 여유수위 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강우량이 하천 또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의 여유수위 내라고 판단되면, 기준수위 이상인 상기 제 1 빗물저류조를 하천 또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로 배수하는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적어도 1 이상의 빗물저류조의 우수 배수방법.
  7.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의 실시간 제어방법에 있어서,
    실시간 중앙제어서버가,
    CSO 저류조의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하수처리장의 유입하수량의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한 운전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하수처리장의 기준 유량값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유량값의 데이터 연산의 시간 간격이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와 계측유닛 사이의 쌍방향 통신에 의하여 상기 하수처리장의 실시간 유량데이터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연산 시간간격에 따라 CSO 처리장의 이송량이 실시간 연산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소의 구동유닛을 작동시켜서 CSO 이송량을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의 실시간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중앙제어서버가 하수처리장 유입유량을 시간패턴 운전모드를 선택하면, 시간패턴값이 입력되는 단계와,
    유량 기준이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유량 기준에 따라 시간대별 이송량이 연산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소의 구동유닛을 작동시켜서 CSO 이송량을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의 실시간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기준은 일평균유량, 일최대유량, 처리장 계획유량 중 하나인 적어도 1 이상의 CSO 저류조의 실시간 제어방법.
KR1020120001936A 2012-01-06 2012-01-06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277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936A KR101277227B1 (ko) 2012-01-06 2012-01-06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936A KR101277227B1 (ko) 2012-01-06 2012-01-06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227B1 true KR101277227B1 (ko) 2013-06-26

Family

ID=4886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936A KR101277227B1 (ko) 2012-01-06 2012-01-06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2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439B1 (ko) * 2014-07-09 2015-05-14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농업용수 활용을 위한 지하수 관정 통합운영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907140B1 (ko) * 2017-09-12 2018-10-11 김창영 차집장치 원격 제어 및 하수시설 통합 관리를 위한 하수시설제어시스템
WO2019139179A1 (ko) * 2018-01-09 2019-07-1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수자원 연계시스템
CN111489052A (zh) * 2020-03-10 2020-08-04 上海水顿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水质水量进行截流排水调度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195A (ko) * 2002-12-17 2005-08-12 차희원 강우시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의 실시간모니터링 방법및 그 시스템
KR20060094057A (ko) * 2005-02-23 2006-08-28 에레드 주식회사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통합 우수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00020104A (ko) * 2008-08-12 2010-02-22 이재춘 저류조 수문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195A (ko) * 2002-12-17 2005-08-12 차희원 강우시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의 실시간모니터링 방법및 그 시스템
KR20060094057A (ko) * 2005-02-23 2006-08-28 에레드 주식회사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통합 우수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00020104A (ko) * 2008-08-12 2010-02-22 이재춘 저류조 수문 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439B1 (ko) * 2014-07-09 2015-05-14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농업용수 활용을 위한 지하수 관정 통합운영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907140B1 (ko) * 2017-09-12 2018-10-11 김창영 차집장치 원격 제어 및 하수시설 통합 관리를 위한 하수시설제어시스템
WO2019139179A1 (ko) * 2018-01-09 2019-07-1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수자원 연계시스템
CN111489052A (zh) * 2020-03-10 2020-08-04 上海水顿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水质水量进行截流排水调度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33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gent-based control of sewer infrastructure
US20160115675A1 (en) Method for automated control of a combined greywater/stormwater system with forecast integration
CN108431700B (zh) 用于生成适于被发送至水排放网络中的致动器的控制信号的方法
Schilling et al. Real time control of wastewater systems
KR101253532B1 (ko) 하수관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1277227B1 (ko)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CN111815128B (zh) 深层污水排水隧道的调度运行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JP2010196369A (ja) 雨水排水制御装置
KR101907140B1 (ko) 차집장치 원격 제어 및 하수시설 통합 관리를 위한 하수시설제어시스템
KR20130090278A (ko) 유역모델링 기반 저류조 실시간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CN113902172A (zh) 一种污水处理方法、系统、装置及介质
CN112575883A (zh) 一种城市污水管网流域内截流井群控制方法
Schütze et al. Real-time control of urban water systems
JP4427509B2 (ja) 雨水貯留施設運用システム
CN116068957B (zh) 一种散货港口雨污水收集与调度系统及方法
LU101786B1 (en) Method for operating a sewer network system
KR20040012354A (ko) 우수토실 제어 시스템
TWM607552U (zh) 下水道智能監測暨控制系統
JP2007016551A (ja) 合流式下水設備の運転管理システム
CN111441446A (zh) 一种排水方法、用于该排水方法的电子设备及控制器
JP4739293B2 (ja) 雨水ポンプの制御装置
CN212534410U (zh) 一种排水管网截流调蓄系统
JP4439831B2 (ja) 合流式下水道処理設備の水質改善制御装置
JP3625367B2 (ja) 下水道システムの貯留設備運用支援装置
JP2018111977A (ja) 下水道設備の監視制御装置及び下水ポンプ場の運転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