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140B1 - 차집장치 원격 제어 및 하수시설 통합 관리를 위한 하수시설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집장치 원격 제어 및 하수시설 통합 관리를 위한 하수시설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140B1
KR101907140B1 KR1020170116472A KR20170116472A KR101907140B1 KR 101907140 B1 KR101907140 B1 KR 101907140B1 KR 1020170116472 A KR1020170116472 A KR 1020170116472A KR 20170116472 A KR20170116472 A KR 20170116472A KR 101907140 B1 KR101907140 B1 KR 101907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information
wastewater
pipe
monitor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영
이임건
허경용
심용진
안상현
Original Assignee
김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영 filed Critical 김창영
Priority to KR1020170116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은, 하수시설제어장치, 상기 하수시설제어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서버, 우수토실, 하수관로, 차집관거 및 방류관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센서장치 및 상기 우수토실에 설치되어 상기 우오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하여, 하수 시설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우천시 유입 하수량을 실시간으로 제어하고, 하수처리장치의 유입 하수량을 조절하여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며, 하수관거 월류수를 제어하여 공공수역의 수질 오염을 예방하며 하수시설의 유지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위치 정보에 기반한 증가현실로 하수 시설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하수도관의 노후화 여부를 사전에 센싱하여 싱크홀 발생 가능성이 높은 하수 시설에 대한 안전을 사전에 관리할 수 있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집장치 원격 제어 및 하수시설 통합 관리를 위한 하수시설제어시스템{Sewage facility control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sewage facilities and Remote control of collection sewage}
본 발명은 하수시설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집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하수 시설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우천시 유입 하수량을 실시간으로 제어하고, 하수처리장치의 유입 하수량을 조절하여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며, 하수관거 월류수를 제어하여 공공수역의 수질 오염을 예방하며 하수시설의 유지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정보에 기반한 증가현실로 하수 시설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하수도관의 노후화 여부를 사전에 센싱하여 싱크홀 발생 가능성이 높은 하수 시설에 대한 안전을 사전에 관리할 수 있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매년 오수와 폐수의 유입으로 인한 하천오염으로 인해 공공수역의 물고기의 집단 폐사, 악취 등의 문제가 끊이질 않고 있다. 수질오염의 원인으로는 생활하수, 공장폐수, 농축산 폐수 등 다양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국내 하루 발생되는 오폐수 양은 19,724,000톤이며, 산업폐수보다 생활하수가 오·폐수의 60%이상을 차지함. 환경오염의 주된 요인으로는 합성세제, 음식물 찌꺼기, 분뇨 등을 지목하고 있다. 이러한 공공수역의 오염으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아울러, 전국적으로 하수 월류수는 하천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특히 부산과 같이 많은 하천과 바다가 접하고 있는 지역은 전술한 특징으로 인해 월류수가 더욱 문제가 되고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청천시의 불명수(원인을 알 수 없는 물)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문제, 우수에 의한 비점오염 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문제로 인한 공공수역 오염 문제 해결 절실하다. 비가 많이 오는 계절의 경우 하수처리장 용량을 초과하는 물의 유입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는 등 다양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예로 하천의 오염과 특히 물고기 폐사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일 예로,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정보 공개 시스템에서 조사한 “2016년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결과 보고”에서는 강우시의 하수관거 월류수, 비점오염원에 의한 생태환경 악화 발생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면 9를 참조하면, 17개 하천, 23개 지점의 수질 상태를 수생태계 건강성 등급(BMI 등급)을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A등급(2개소), B등급(8개소), C등급(2개소), D등급(5개소), E등급(6개소)로 하수월류수 및 비점오염원 영향을 많이 받는 지점의 BMI 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차집관로 차집관로, 합류식에서 청천시의 하수나 우천시 일정량의 하수를 차집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수송하기 위한 관로 및 오수중계펌프장의 시설 용량은 시간최대 계획하수량으로 청천시에는 정상 운영되고 있으나 우천시 차집시설로부터 계획 하수량 이상의 하수가 단기간에 급격히 유입되어 차집관로 용량을 초과함으로서 하수관로 및 공공하수처리시설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이며, 처리용량을 초과하여 하천으로 유출된 고농도의 오수는 방류 수역의 오염 등의 2차 환경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시급한 해결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상수도 분야는 IT 기술을 적용하여 제어, 운영, 관리하는 시스템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하수도는 IT 기술의 적용이 미미한 단계이다. 또한, 하수도 관련하여 기존에는 하수 차집시설이나 하수관거를 확장 및 추가 설치하는 등의 하수시설 개선부분에 관심을 두었고, IT를 활용한 시스템 개발은 하수처리장을 운영 관리하는 것 이외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KR 10-2010-0041040 A KR 10-2007-0099510 A KR 10-2011-0011921 A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관거와 공공하수처리 시설로 대변되는 하수도 시스템은 월류수 발생, 신규개발에 따른 하수관로 용량부족, 소요비용의 절감 등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합류식 하수시설에서 우천시, 하수관 용량이 넘쳐 오폐수가 뒤섞인 하수가 하천으로 범람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집관로의 수위변화와 월류현상, 펌프장 및 하수처리시설 운영조건을 고려한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나 불명수 유입에 의한 하수 처리비용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수시설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집시설로 유입되는 하수의 유량, 수질, 패턴 및 처리 구역내의 강우 정보, 도시환경 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관측, 분석하여 정량화된 자료를 기초로 하수 시설 시스템 및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여, 관거의 유지보수, 신설 등 사전에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도상에 가상의 하수시설을 표시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하수시설의 점검 및 관리가 편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도관의 노후화 여부를 판단하여 싱크홀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은, 유입되는 우오수를 공공수역 또는 하수처리장치로 배출하는 우수토실, 우수와 오수를 수집하여 상기 우수토실로 전송하는 하수관로, 상기 우수토실과 상기 하수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차집관거 및 상기 우수토실로부터의 우오수를 상기 공공수역으로 배출하는 방류관거를 포함하고,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처리장치로 우오수를 전달하는 하수시설제어장치; 상기 하수시설제어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서버; 상기 우수토실, 상기 하수관로, 상기 차집관거 및 상기 방류관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센서장치; 및 상기 우수토실에 설치되어 상기 우오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센서장치는, 유량측정센서 및 수질측정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센서장치는 상기 하수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관로에 흐르는 우오수의 상태를 검출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우수토실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토실에 유입된 우오수의 상태를 검출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복수의 하수시설제어장치들 각각에 설치된 센서장치들의 센싱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하수시설제어장치들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복수의 하수시설제어장치들 각각에 설치된 센서장치들로부터 검출된 우오수의 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우오스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하수시설제어장치들 각각의 우수토실 내로 유입되는 우오수를 상기 공공수역 또는 상기 하수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와 통신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에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제1 영역에 매설된 하수시설제어장치의 이미지를 증강현실 형태로 표시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우오스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하수시설제어장치들 각각의 우수토실 내로 유입되는 우오수를 상기 공공수역 또는 상기 하수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은, 유입되는 우오수를 공공수역 또는 하수처리장치로 배출하는 우수토실, 우수와 오수를 수집하여 상기 우수토실로 전송하는 하수관로, 상기 우수토실과 상기 하수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차집관거 및 상기 우수토실로부터의 우오수를 상기 공공수역으로 배출하는 방류관거를 포함하고,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처리장치로 우오수를 전달하는 하수시설제어장치; 상기 하수시설제어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서버; 상기 하수관로 및 상기 우수토실에 설치된 제1 및 제2 센서; 상기 우수토실에 설치되어 상기 우오수가 상기 공공수역 또는 상기 하수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 센싱된 유량 정보 및 수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 센싱된 유량 정보 및 수질 정보 그리고 상기 하수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하수처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 센싱된 유량 정보 및 수질 정보 그리고 상기 하수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하수처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하수처리장치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구역에 설치된 제1 및 제2 우수토실 각각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기상 정보와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 센싱된 유량 정보 및 수질 정보 그리고 상기 하수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하수처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하수처리장치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구역에 설치된 제1 및 제2 우수토실 각각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강우시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와 비강우시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하수처리장치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구역에 설치된 제1 및 제2 우수토실 각각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상 정보는 강우 예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우천이 예상되는 시간 정보와 강우량에 대한 정보,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 그리고 비강우시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우천이 예상되는 시간 전에 하나의 하수처리장치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구역에 설치된 제1 및 제2 우수토실 각각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센싱된 유량 정보와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센싱된 유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수관로로 노후화 정도를 검출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수도에서 우천시에 처리 용량을 초과하는 빗물이 유입되거나 오수관거나 맨홀을 통해 불명수가 유입되어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되지 못하고 공공유역으로 방류됨으로서 발생되는 환경오염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자료 축적, 정보 수집을 바탕으로 상황별 모니터링 및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우시 차집장치의 효율성을 높이고, 불명수 유입 원인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하수시설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운영비를 절감하며, 최적의 하천 환경을 보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처리된 우오수의 방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류식 하수시설 대비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합류식 하수 시설이 많은 지역에서 나타나는 우오수 관리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증강현실로 하수시설을 표시함으로써 하수시설의 편리한 점검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도관의 노후화를 사전에 점검하여 하수도관의 파손에 따른 싱크홀 발생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 설치된 하수시설제어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의 일 예시도이다.
도 3은 복수의 구역 각각의 우오수흐름제어장치와 센서장치 그리고 하수처리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차집장치인 우오수흐름제어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모니터링서버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서로 다른 구역에 설치된 하수시설제어장치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단말기상에 표시되는 하수시설에 대한 증강현실에 대한 일 예시도이다.
도 8은 복수의 센서장치가 설치된 하수시설제어장치를 관리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에 관한 일 예시도이다.
도 9는 조사지점별 수생태계 건강성 등급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수제어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 설치된 하수시설제어장치의 일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시설제어시스템의 일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복수의 구역 각각의 우오수흐름제어장치와 센서장치 그리고 하수처리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4는 차집장치인 우오수흐름제어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하수시설제어장치(1)는 합류식 하수시설에 적용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분류식 하수시설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합류식 하수시설(Combined Sewer)은 오수와 우수를 단일관거로 배제하는 방식이고, 분류식 하수시설 (Sanitary Sewer)은 수와 오수를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별개의 관거를 통하여 배제하는 방식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시설제어장치(1)는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하수시설제어장치(1)는 배수장치(10), 하수관로(20), 맨홀장치(30), 우수토실(100), 차집장치(200), 차집관거(40), 방류관거(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은 우오수를 특정 지점으로 보낼 수 있도록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복수의 구역(P1, P2, P3, P4)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는 하수처리장치(6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하수처리장치(60)가 복수의 구역에서 발생하는 우오수를 정화 처리하는 것을 담당한다면,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하수시설제어장치(1)들은 하나의 하수처리장치(60)에 연결되어, 각각의 우오수를 하수처리장치(60)로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하수시설제어시스템(2)은 복수의 하수시설제어장치(1)와 복수의 하수시설제어장치(1)로부터의 오수를 정화 처리하는 하나의 하수처리장치(60)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오수배출원(A)은 생활 폐수가 발생되는 가정, 산업폐수가 발생하는 공장 그리고 축산 폐수가 발생하는 축산농가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정화 처리가 필요한 오염된 물을 배출하는 곳이라면 어떠한 곳이든 여기에 해당한다.
배수장치(10)는 오수배출원(A)으로부터 버려진 오수를 모으는 오수받이(11), 빗물을 모으는 빗물받이(12)를 포함할 수 있다.
오수받이(11)는 오수를 받는 입구로써 오수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오수배출원(A)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오수배출원(A)으로부터 발생된 오수는 오수받이(11)를 통해 오수관(21)으로 전달된다.
빗물받이(12)는 도로 등의 빗물을 빗물관(22)으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도로 등에 설치된 구조물이다.
맨홀장치(30)는 사람이 들어가는 구멍으로써 관거유지관리를 위해 사람이 들어가도록 만들어진 장치이다.
오수관(21)과 빗물관(22)은 맨홀장치(30)를 통해 합류관(31)에 연결될 수 있고, 오수관(21)으로부터의 오수와 빗물관(22)으로부터의 빗물은 맨홀장치(30)을 경유하면서 우오수는 합류관(31)를 통해 흐를 수 있다.
합류관(31)은 우수토실(100)에 연결되고, 우오수는 우수토실(100)을 통해 차집관거(40)를 경유하여 하수처리장치(60)으로 흐르거나, 방류관거(50)를 통해 공공수역인 하천 등으로 방류될 수 있다.
각 구역별로 복수의 우수토실(100)이 설치될 수 있고, 하나의 우수투실(100)에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합류관(31)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우수토실(100)을 경유한 우오수는 하나의 하수처리장치(60)로 합류하여 정화 처리되거나, 인접한 하천으로 방류될 수 있다.
우수토실(100)에는 차집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우수토실(100)들 각각에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인 오리피스, 부표연동장치, 토사유입방지장치나 원격제어 유량조절장치인 원격제어밸브 장치 등 다양한 차집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집장치(200)는 우오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우오수흐름제어장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어 우오수가 흘러가는 지점이 하수처리장치(60) 또는 방류관거(50)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한다.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는 우수토실(100)로 유입된 우오수의 경로를 하수처리장치(60) 또는 하천 등의 공공 수역 중 어느 하나로 제어 할 수 있다.
즉,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는 외부 서버(400)나 단말기(500) 그리고 센서장치(3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210), 외부 명령 신호 및/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처리 절차에 따라 장치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220), 우오수가 흐르는 경로를 차단 또는 개방 또는 변경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밸브(230)들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240, Actujator)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우수토실(100)에 연결된 차집관거(40)와 하수처리장치(60) 사이 그리고 우수토실(100)에 연결된 방류관거(50)와 공공수역 사이에는 펌프장(7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펌프장(70)은 지형적인 자연경사에 의해 오하수를 흘러보내기가 곤란한 경우 관로시설에서 모인 오하수를 처리시설로 송수나 공공수역으로 방류하는 기능을 가진다.
하수시설제어시스템(2)은 센서장치(300)를 더 포함한다.
센서장치(300)는 하수관로(20), 우수토실(100), 차집관거(40), 방류관거(5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장치(300)는 오수관(21), 빗물관(22) 및 합류관(31)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장치(300)는 복수의 센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장치(300)는 제1 센서(310), 제2 센서(320), 제3 센서(330) 및 제4 센서(3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제1 내지 제4 센서(310, 320, 330, 340) 각각은 복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장치(300)는 유량 측정 센서, 수질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량 측정 센서는 설치된 영역에 흐르는 우오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고, 수질 측정 센서는 설치된 영역에 흐르는 우오수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다.
수질 측정 센서는 우오수의 수소이온농도(pH), 전도도, 수온, 이온(ISE), 용존산소량(DO), Optical DO(HDO),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부유물질(SS), 총질소(T-N), 총인(T-P), 총대장균군수, 생태독성(TU), 탁도, 클로로필 a, 남조류, 산화환원전위(ORP)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센서(310)는 하수관로(2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310)는 제1-1 센서(311), 제1-2 센서(312) 및 제1-3 센서(31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1 센서(311)는 오수관(21)에 설치될 수 있고, 제1-2 센서(312)는 빗물관(22)에 설치되며, 제1-3 센서(313)는 합류관(31)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센서(320)는 우수토실(1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센서(330)는 차집관거(40)에 설치될 수 있다. 제4 센서(340)는 방류관거(5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시설제어시스템(2)은 모니터링서버(400)를 더 포함한다.
모니터링서버(400)는 센서장치(300)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서버(400)는 센서장치(30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축적하여 안정적인 하수량을 관리하고, 적정수위를 유지하는 등 하수관거 운영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서버(400)는 축적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하수 시설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기초설계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시설제어시스템(2)은 단말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500)는 휴대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수시설제어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모니터링서버(400)는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로 우오수 흐름 제어 신호를 전송하면,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는 수신한 우오수 흐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우수토실(100)로 유입된 우오수를 차집관거(40) 또는 방류관거(50) 중 어느 하나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400)는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의 통신부로부터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400)에는 복수의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들 각각으로부터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하수시설이 표시된 지도 상에 각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400)는 센서장치(300)로 센싱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센서장치(300)는 수신한 센싱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우오수의 상태를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모니터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센서장치(300)는 주기적으로 우오수의 상태를 센싱하고 검출된 센싱 정보를 모니터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400)는 센서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센서장치(300)와 모니터링서버(400) 그리고 후술할 단말기(500)들 간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근거리 통신 기술인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서버(400)는 센서장치(3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질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400)는 센서장치(300)로부터 수질 상태 정보와 센서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센서장치(300)의 위치 정보와 함께 해당 센서장치(300)가 위치한 하수도의 우오수 수질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센서장치(300)는 우오수의 수질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이에 대한 수질 오염 정보를 모니터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모니터링서버(400)가 센서장치(300)로부터 수질 오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질 오염 정보를 전송한 센서장치(3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센서장치(300)가 위치한 영역과 가장 인접한 미리 등록된 관리 서버로 관리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모니터링서버(400)가 센서장치(300)로부터 수질 오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질 오염 정보를 전송한 센서장치(3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센서장치(300)가 위치한 영역과 가장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단말기(500)로 관리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나 단말기(500) 소지자는 해당 수신된 관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통해 수질 오염도가 급격히 증가한 영역을 즉각적으로 확인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점오염원(비점 오염원은 넓은 지역으로부터 빗물 등에 의해 씻겨지면서 배출되어 정확히 어디가 배출원인지 알기 어려운 산재된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의미)에 따른 초기 대응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불명수 유입 원인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측면에서, 모니터링서버(400)는 같은 지점에 설치된 센서장치(300)로부터 복수 회 수질 오염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센서장치(300)가 위치한 관거 내의 우오수를 유입하는 유입원에 촬영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서버(400)가 센서장치(300)로부터 수질 오염 정보를 수신하면, 센서장치(300)의 수질 오염 정보에 포함된 센서장치(300)의 고유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센서장치(300)에 대응하는 유입원에 촬영 장치가 설치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이 되면 해당 촬영 장치를 제어하여 촬영 장치로부터 기 설정시간 동안 촬영된 촬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촬영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불명수 유입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모니터링서버(400)는 제1 센서(310)로부터 수질 오염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센서(310)가 설치된 하수관로(20)에 연결된 우수토실(100)의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를 제어하여 우수토실(100)로 유입된 우오수가 하수처리장치(60)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모니터링서버(400)는 제1 센서(310)로부터 수질 오염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센서(310)가 설치된 하수관로(20)에 연결된 우수토실(100)로부터 우오수를 전달받는 하수처리장치(60)로부터 수신한 하수처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우수토실(100)들 각각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하수처리용량이 미리 설정된 처리한계용량이 미리 설정치 만큼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1 센서(310)가 설치된 하수관로(20)에 연결된 우수토실(100)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를 제어하여 이 곳에 유입된 우오수를 하수처리장치(60)로 전달하고, 다른 우수토실(100)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를 제어하여 이 곳에 유입된 우오수를 공공수역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모니터링서버(400)는 오염배출원(A) 중 하나인 공장으로부터의 오수의 흐름을 관리하는 오수관(21)에 설치된 제1-1 센서(311)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정보를 공장용수 및 지하수 등을 사용하는 공장 및 사업소 중 폐수량이 많은 업체에 대해서는 개개의 폐수량 조사를 기초로 장래의 확장이나 신설을 고려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그 밖의 업체에 대해서는 출하액당 용수량 또는 부지면적당 용수량을 결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모니터링서버(400)는 센서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와 하수시설 공간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단말기(500)는 모니터링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와 하수시설 공간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의 하수시설 공간정보는 외부 서버(예를 들어 지자체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하수시설 정보, 하수처리 구역 내 인구변화 정보, 집중강우점관리구역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서버(400)는 휴대폰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모니터링서버(400) 및/또는 단말기(50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이 위치한 영역 내의 하수 시설들에 대한 센싱 정보와 해당 영역의 하수시설 공간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모니터링서버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니터링서버(400)는 버스(410)와 버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치(42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30), 복수의 프레젠테이션 장치(440), 입/출력 포트(450), 입/출력 장치(460) 그리고 전원공급장치(47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420)는 하드디스크, 휘발성메모리, 버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430)는 모니터링서버(400)의 데이터 통신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젠테이션 장치(440)는 그래픽카드, 모니터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 포트(450)는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마이크, 스피커, 외부 저장장치 등과 같은 주변장치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 장치(460)는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스피커, 외부 저장장치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장치(470)는 모니터링서버(400)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방식,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방식, 전계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방식, 전기영동 표시 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 방식 에 따라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하수시설 제어 방법>
모니터링서버(400)는 우수토실(100)의 제2 센서(320)로부터 검출된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400)는 제2 센서(320)로부터 검출된 우수토실(100)의 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우수토실(100)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수토실(100)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를 제어하여 우수토실(100)에 유입된 우오수가 방류관거(50)를 통해 공공수역으로 방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우수토실(100)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를 제어하여 우수토실(100)에 유입된 우오수가 차집관거(40)를 통해 하수처리장치(6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구역의 지리적 특성에 따라 차집관거(40)를 경유한 우오수는 펌프장(70)을 통해 하수처리장치(60)로 전달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400)는 외부 서버(예를 들어 기상청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의 기상 정보는 강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400)는 기상 정보로부터 특정 영역에 비가 내리는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영역의 하수관로(20)에 설치된 제1 센서(310)와 우수토실(100)에 설치된 제2 센서(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질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서버(400)는 제1 센서(310) 및 제2 센서(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질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이를 시간별로 저장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400)의 프로세서(430)는 강우가 시작된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수질 상태를 시간별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우시부터 제1 시점까지 우오수의 오염도가 미리 정해진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메모리 장치(42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의 우오수의 오염도가 미리 정해진 허용 기준치를 초과한다는 것은, 우오수를 공공수역으로 방류하는 것이 부적절할 정도로 수질이 나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모니터링서버(400)는 제1 센서(310) 및 제2 센서(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검출된 센싱 정보에 따라 우오수의 오염도가 미리 정해진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를 제어하여 우오수가 하수처리장치(6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서버(400)는 제1 센서(310) 및 제2 센서(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검출된 센싱 정보에 따라 우오수의 오염도가 미리 정해진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를 제어하여 우오수가 하수처리장치(60)으로 전달하거나 공공수역으로 방류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우오수의 량에 따라 우오수를 하수처리장치(60) 또는 공공수역 중 어느 하나로 수송하는 것이 아니라, 우오수의 오염도를 고려하여 우오수의 수송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오수관거나 맨홀로 불명수가 유입되어 하수처리장치(60)에서 처리되지 못하고 하천에 방류되어 공공수역이 오염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서버(400)는 다음번 강우시 이전 강우시에 저장된 시간 별 수질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서버(400)는 외부 서버(예를 들어 기상청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의 기상 정보는 강우 예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강우 예보 정보는 우천이 예상되는 시간 정보와 강우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서버(400)는 강우 예보 정보로부터 현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예를 들어, 3시간)뒤에 비가 내린다고 판단한 경우, 강우 예보 정보 수신 전 비가 내리지 않는 기상 상태(비강우시)에서 미리 저장한 제1 센서(310) 및 제2 센서(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질 상태 정보와 강우 예보 정보 수신 전에 미리 저장한 비가 내리는 상태에서 미리 저장한 제1 센서(310) 및 제2 센서(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질 상태 정보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 결과 과거 강우시 우오수의 수질 상태가 강우 예보 정보 수신전 비가 내리지 않는 기상 상태에서의 우오수의 수질 상태보다 나쁜 경우, 모니터링서버(400)는 현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강우 예보 정보 수신 후 2시간 30분이 지난 시점)에 우수토실(100)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를 제어하여 우수토실(100)의 우오수를 방류관거(50)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과거 센싱된 정보를 통해 강우시 주변 환경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오히려 우오수의 오염도가 증가할 수 있고, 이 경우, 강우 전 미리 우수토실(100)로 유입된 우오수를 공공수역으로 방류함으로써 우수토실(100)의 수량을 낮추고, 강우시 급격히 유입되는 우오수를 최대한 많이 하수처리장치(60)로 수송할 수 있다. 아울러 강우시 하수의 월류(월류수: 초기 우천시 하수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하천에 방류되는 하수) 현상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서로 다른 구역에 설치된 하수시설제어장치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니터링서버(400)는 서로 다른 구역(P1, P2)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우수토실(100a, 100b) 또는 하나의 구역 내에서 서로 다른 지점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우수토실(100a, 100b) 그리고 제1 우수토실(100a)에 연결된 제1 하수관로(20a) 그리고 제2 우수토실(100b)에 연결된 제2 하수관로(20b)들 각각에 설치된 제1 하수관로의 센서(310a)와 제2 하수관로의 센서(310b)로부터 및/또는 제1 우수토실의 센서(320a)과 제2 우수토실의 센서(320b)로부터 수질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모니터링서버(400)는 서로 다른 구역(P1, P2)에 각각 설치된 제1 차집관거(40a)에 설치된 제1 차집관거의 센서(330a)와 제2 차집관거(40b)에 설치된 제2 차집관거의 센서(330b)로부터 및/또는 제1 방류관거(50a)에 설치된 제1 방류관거의 센서(340a)와 제2 방류관거(50b)에 설치된 제2 방류관거의 센서(340b)로부터 수질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아울러 모니터링서버(400)는 하수처리장치(60)의 서버로부터 하수처리용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서버(400)는 하수처리장치(60)의 서버로부터 하수처리용량 정보를 수신하고, 하수처리용량이 미리 설정된 처리한계용량이 미리 설정치 만큼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1 하수관로의 센서(310a)로부터의 수질 상태와 제2 하수관로의 센서(310b)로부터의 수질 상태를 서로 비교하여 수질 상태가 더 나쁜 하수관로에 연결된 우수토실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여 해당 우수토실의 우오수가 하수처리장치(60)로 전달되도록 하고, 다른 우수토실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여 해당 우수토실의 우오수가 공공수역으로 방류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모니터링서버(400)는 하수처리장치(60)의 서버로부터 하수처리용량 정보를 수신하고, 하수처리용량이 미리 설정된 처리한계용량이 미리 설정치 만큼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1 우수토실의 센서(320a)과 제2 우수토실의 센서(320b)로부터의 수질 상태를 서로 비교하여 수질 상태가 더 나쁜 하수관로에 연결된 우수토실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여 해당 우수토실의 우오수가 하수처리장치(60)로 전달되도록 하고, 다른 우수토실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여 해당 우수토실의 우오수가 공공수역으로 방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더 높은 오염도를 가지는 우오수가 되도록 높은 비율로 하수처리장치(60)로 수송되도록 하여 공공 수역이 오염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다른 측면에서, 모니터링서버(400)는 펌프장(70)의 서버로부터 시간 최대 처리용량 정보를 수신하고, 시간 최대 처리용량이 미리 설정된 시간 최대 처리한계용량이 미리 설정치 만큼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1 우수토실의 센서(320a)과 제2 우수토실의 센서(320b)로부터의 수질 상태를 서로 비교하여 수질 상태가 더 나쁜 하수관로에 연결된 우수토실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여 해당 우수토실의 우오수가 펌프장(70)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다른 우수토실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여 해당 우수토실의 우오수가 공공수역으로 방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더 높은 오염도를 가지는 우오수가 되도록 많이 펌프장(70)으로 수송되도록 하여 우천시 계획 하수량 이상의 하수가 단기간에 급격히 유입되어 펌프장(70)의 용량을 초과함으로서 하수관로 및 하수처리장치(60)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하수처리장치(60)의 기능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공공수역의 수질을 보존할 수 있으며, 하수시설의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통한 관리비용의 최소화로 이익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제1 및 제2 구역(P1, P2)의 하수시설제어장치들에 대한 동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하나의 하수처리장치(60)를 이용하는 더 많은 구역에 설치된 하수시설제어장치들을 제어하는데도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하수시설 관리 방법>
도 7은 단말기상에 표시되는 하수시설에 대한 증강현실에 대한 일 예시도이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단말기(500)에는 하수시설 관리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50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400)는 단말기(500)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하수시설정보를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500)는 미리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상에 모니터링서버(400)로부터 수신한 하수시설정보를 결합하여 증강현실 형태로 촬영된 영역 상에 매립된 하수시설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하수시설정보는 하수시설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수시설상태정보는 센서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센싱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의 제어가 제대로 되지 않는 등, 하수시설이 고장난 경우, 해당 하수시설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단말기(500)는 하수시설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하수시설 중에서 상태가 불량인 하수시설을 정상인 하수시설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복수의 센서장치가 설치된 하수시설제어장치를 관리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에 관한 일 예시도이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하수시설제어장치(1)의 센서장치(300)는 복수의 유량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량측정센서는 제1 내지 제6 유량측정센서(301, 302, 303, 304, 305), 3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유량측정센서(301, 302, 303, 304, 305)들 각각은 오수관(21), 우수관인 빗물관(22), 합류관(31)들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관에 흐르는 우오수의 유량을 센싱할 수 있고, 센싱한 유량 정보를 모니터링서버(400) 및/또는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6 유량측정센서(306)는 우수토실(100)에 설치되어 우수토실(100)에 유입된 우오수의 유량을 센싱하고, 센싱된 유량 정보를 모니터링서버(400) 및/또는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유량측정센서는 차집관거(40), 방류관거(5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모니터링서버(400) 및 또는 단말기(500)는 수신된 유량 정보에 기초하여 하수관의 노후화(예를 들어, 파손) 여부의 판별 및/또는 노후화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서버(400) 및/또는 단말기(500)는 제1 및 제2 유량측정센서(301, 302)로부터 센싱된 정보에 기초하여 오수관(21)과 빗물관(22)의 유량의 합이 합류관(31)에서 센싱된 유량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모니터링서버(400) 및/또는 단말기(500)는 제1 시점에서 오수관(21)과 빗물관(22)의 유량측정센서(301, 302)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시점에서 오수관(21)과 빗물관(22)의 우오수가 합류하는 합류관(31)으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전술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시점은 제1 시점 후 기 설정된 시간 후의 시점으로써, 여기서의 기 설정된 시간은 오수관(21) 또는 빗물관(22)에 설치된 제1 또는 제2 유량측정센서(301, 302)로부터 합류관(31)의 초입 지점까지의 거리와 합류관(31)의 초입 지점부터 합류관(31) 내의 제3 유량측정센서(303)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제1 유량측정센서(301)와 합류관(31)의 초입 지점까지의 거리와 제2 유량측정센서(302)와 합류관(31)의 초입 지점까지의 거리가 서로 동일하도록 제1 및 제2 유량측정센서(301, 302)들 각각이 오수관(21)과 빗물관(22)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모니터링서버(400) 및/또는 단말기(500)는 복수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 설치된 오수관(21)들과 빗물관(22)에서 센싱된 유량 정보 또는 모든 합류관(31)에서 센싱된 유량 정보와 우수토실(100)에서 센싱된 유량 정보를 비교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유량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400) 및/또는 단말기(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량을 연산하여, 하수관의 상측 지점의 유량과 하측 지점의 유량이 기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 정도로 차이가 나는 경우, 이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기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 정도는 하수관의 노후화 등의 원인으로 하수관의 일부가 파손되어 우오수가 하수관으로부터 새어나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정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싱크홀은 하수관의 부식이나, 균열, 누수 등으로 인해 토사가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사고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수관 내의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의 유량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하수관의 파손 등의 문제를 미리 사전에 파악할 수 있어, 싱크홀 등의 재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오수배출원(A), 하수시설제어장치(1), 하수시설제어시스템(2)
배수장치(10), 오수받이(11), 빗물받이(12)
하수관로(20), 오수관(21), 빗물관(22)
맨홀장치(30), 합류관(31), 우수토실(100)
차집장치, 우오수흐름제어장치(200)
통신모듈(210), 제어기(220), 밸브(230)
액츄에이터(240), 차집관거(40), 방류관거(50)
하수처리장치(60), 펌프장(70), 센서장치(300)
제1 내지 제6 유량측정센서(301, 302, 303, 304, 305, 306)
제1 센서(310), 제1-1 센서(311), 제1-2 센서(312)
제2 센서(320), 제3 센서(330), 제4 센서(340)
모니터링서버(400), 버스(410), 메모리 장치(420)
프로세서(430), 프레젠테이션 장치(440), 입/출력 포트(450)
입/출력 장치(460), 전원공급장치(470)
단말기(500)

Claims (7)

  1. 오수관, 빗물관, 상기 오수관 및 상기 빗물관으로부터의 우오수가 합류하는 합류관, 상기 합류관에 연결되고 유입되는 상기 우오수를 공공수역 또는 하수처리장치로 배출하는 우수토실, 우수와 오수를 수집하여 상기 우수토실로 전송하는 하수관로, 상기 우수토실과 상기 하수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차집관거 및 상기 우수토실로부터의 우오수를 상기 공공수역으로 배출하는 방류관거를 포함하고,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처리장치로 우오수를 전달하는 하수시설제어장치;
    상기 하수시설제어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서버;
    상기 우수토실, 상기 하수관로, 상기 차집관거 및 상기 방류관거 각각 설치된 복수의 센서;
    상기 우수토실에 설치되어 상기 우오수가 상기 공공수역 또는 상기 하수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우오수흐름제어장치;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서버로 전송하고 자신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수시설정보를 상기 모니터링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말기; 및
    상기 오수관, 상기 빗물관 및 상기 합류관 각각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 유량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수질 오염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질 오염 정보를 전송한 제1 센서가 설치된 위치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단말기로 관리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센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관거 내의 우오수를 유입하는 유입원에 촬영 장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촬영 장치가 설치된 경우 상기 촬영 장치를 제어하여 기 설정시간 동안 촬영되도록 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과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역 상에 매립된 하수시설정보를 결합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하수시설정보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센싱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센서가 설치된 영역의 하수시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제1 시점에 상기 오수관의 제1 유량측정센서 및 상기 빗물관의 제2 유량측정센서에서 센싱된 유량의 합을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 시간이 경과한 제2 시점에 상기 합류관의 제3 유량측정센서에서 센싱된 유량과 비교하여 기 설정치를 초과하여 유량의 차이가 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기 설정 시간은 상기 제1 및 제2 유량측정센서와 상기 제3 유량측정센서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제1 유량측정센서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합류관의 초입 지점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2 유량측정센서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합류관의 초입 지점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강우가 시작된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수질 상태를 시간별로 분석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유량 정보 및 수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유량 정보 및 수질 정보 그리고 상기 하수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하수처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유량 정보 및 수질 정보 그리고 상기 하수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하수처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하수처리장치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구역에 설치된 제1 및 제2 우수토실 각각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기상 정보와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유량 정보 및 수질 정보 그리고 상기 하수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하수처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하수처리장치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구역에 설치된 제1 및 제2 우수토실 각각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강우시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와 비강우시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하수처리장치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구역에 설치된 제1 및 제2 우수토실 각각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정보는 강우 예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우천이 예상되는 시간 정보와 강우량에 대한 정보,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 그리고 비강우시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우천이 예상되는 시간 전에 하나의 하수처리장치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구역에 설치된 제1 및 제2 우수토실 각각에 설치된 우오수흐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하수시설제어시스템.
KR1020170116472A 2017-09-12 2017-09-12 차집장치 원격 제어 및 하수시설 통합 관리를 위한 하수시설제어시스템 KR10190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472A KR101907140B1 (ko) 2017-09-12 2017-09-12 차집장치 원격 제어 및 하수시설 통합 관리를 위한 하수시설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472A KR101907140B1 (ko) 2017-09-12 2017-09-12 차집장치 원격 제어 및 하수시설 통합 관리를 위한 하수시설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140B1 true KR101907140B1 (ko) 2018-10-11

Family

ID=6386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472A KR101907140B1 (ko) 2017-09-12 2017-09-12 차집장치 원격 제어 및 하수시설 통합 관리를 위한 하수시설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14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9061A (zh) * 2019-08-19 2019-11-12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基于物联网的雨水收集系统及收集方法
KR102060074B1 (ko) 2019-03-12 2020-02-12 주식회사 영국전자 듀얼 촬상장치를 포함하는 수위, 유속 및 유량 측정시스템
KR102080066B1 (ko) * 2019-07-23 2020-02-21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무단방류 감시 시스템
KR102104639B1 (ko) 2019-03-12 2020-04-27 주식회사 영국전자 거리측정방법을 통한 유속 및 유량 측정시스템
CN111424792A (zh) * 2020-03-27 2020-07-17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用于雨水调蓄的处理系统、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13240542A (zh) * 2021-04-25 2021-08-10 江苏迦楠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管网可视化系统
KR20210158285A (ko) * 2020-06-23 2021-12-30 김용석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메인터넌스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834B1 (ko) * 2011-12-15 2013-06-13 (주)안세기술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정보안내시스템
KR101277227B1 (ko) * 2012-01-06 2013-06-26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553770B1 (ko) * 2014-04-18 2015-09-16 전상훈 하수관거 통합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834B1 (ko) * 2011-12-15 2013-06-13 (주)안세기술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정보안내시스템
KR101277227B1 (ko) * 2012-01-06 2013-06-26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553770B1 (ko) * 2014-04-18 2015-09-16 전상훈 하수관거 통합 제어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074B1 (ko) 2019-03-12 2020-02-12 주식회사 영국전자 듀얼 촬상장치를 포함하는 수위, 유속 및 유량 측정시스템
KR102104639B1 (ko) 2019-03-12 2020-04-27 주식회사 영국전자 거리측정방법을 통한 유속 및 유량 측정시스템
KR102080066B1 (ko) * 2019-07-23 2020-02-21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무단방류 감시 시스템
CN110439061A (zh) * 2019-08-19 2019-11-12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基于物联网的雨水收集系统及收集方法
CN111424792A (zh) * 2020-03-27 2020-07-17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用于雨水调蓄的处理系统、处理装置及处理方法
KR20210158285A (ko) * 2020-06-23 2021-12-30 김용석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메인터넌스 방법
KR102430010B1 (ko) 2020-06-23 2022-08-05 김용석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메인터넌스 방법
CN113240542A (zh) * 2021-04-25 2021-08-10 江苏迦楠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管网可视化系统
CN113240542B (zh) * 2021-04-25 2024-06-07 江苏迦楠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管网可视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140B1 (ko) 차집장치 원격 제어 및 하수시설 통합 관리를 위한 하수시설제어시스템
KR101877408B1 (ko) 하수시설제어시스템 및 하수시설제어방법
KR101253532B1 (ko) 하수관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1859666B1 (ko) 도시형 초기우수 분류시스템
Broadhead et al. Captured streams and springs in combined sewers: a review of the evidence, consequences and opportunities
KR101146207B1 (ko) 상하수도시설 컴팩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8376318A (zh) 一种排水管网入流入渗评估方法及系统
Ruggaber et al. Using embedded sensor networks to monitor, control, and reduce CSO events: A pilot study
CN103149888A (zh) 监测和/或控制污水系统处理流程的方法以及执行该方法的系统
Valtanen et al. Key factors affecting urban runoff pollution under cold climatic conditions
US2022041480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program
Xue et al. Development of integrated catchment and water quality model for urban rivers
KR102368531B1 (ko) 지하수 및 우수를 활용한 도심 생태축 구축 시스템
KR101797142B1 (ko) 수요 및 공급의 불균형을 대비한 선제적 다중수원 수운영 시스템
KR101849681B1 (ko)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
Eiswirth Hydrogeological factors for sustainable urban water systems
RAKIB et al. Climate change impacts on urban stormwater best management practices
Morgan et al. Technologies for Monitoring, Detecting and Treating Overflows from Urban Wastewater Networks
KR102713965B1 (ko) 스마트 하수 통합 관제 시스템
KR100803700B1 (ko) 우수토실 감시경보시스템
Ruggaber et al. Detection and control of combined sewer overflow events using embedded sensor network technology
Dimova et al. Coping with extraneous water in sewerage systems
Sethuram et al. Rivers and water security: supply adaptation strategies in the city of Chennai, India
Sakai et al. Management of rainfall-related environmental risks in urban area
Ashley et al. ICE Handbook of Urban Drainage Pract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