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706A -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706A
KR20240018706A KR1020220095819A KR20220095819A KR20240018706A KR 20240018706 A KR20240018706 A KR 20240018706A KR 1020220095819 A KR1020220095819 A KR 1020220095819A KR 20220095819 A KR20220095819 A KR 20220095819A KR 20240018706 A KR20240018706 A KR 20240018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hair growth
growth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준
김도형
이광교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095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706A/ko
Publication of KR2024001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7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탈모를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고 육모 또는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천연물로부터 유래되어 부작용이 없으므로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and treating of hair loss,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mixed extract of sea weed fusiforme and Cudrania tricuspidata}
본 발명은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육모 또는 발모를 촉진시키고, 탈모를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탈모 억제에 대한 관심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세계의 탈모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미녹시딜(Minoxidil)은 양모 효과를 유도하는 의약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미녹시딜은 양모를 유도하는 원리가 혈관확장(vasodilatation)에 있기에 동맥의 확장을 유도하지만 정맥은 유지되어 전체적으로 혈압 차를 유도하고, 고혈압 약제와 병용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국소 부위가 아닌 넓은 부위의 양모를 유도해 여성 환자의 경우 뜻하지 않는 다모증을 유도하는 현상이 발견되는 것이 주요 부작용이다. 그렇기에 탈모 환자들의 절반이 넘는 비율이 현재 의약품의 부작용을 피해 탈모 완화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한편, 모유두 세포는 모낭의 기저부에 존재하는 세포로서, 모낭을 구성하는 세포들에게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의 성장과 모주기 조절을 담당한다. 따라서 모유두 세포의 증식이 촉진되면 모발이 건강해지고 모발 성장이 촉진되며 탈모를 막을 수 있다. 모발의 성장은 모유두(dermal papilla)를 둘러싸고 있는 상피세포(epithelial cell)가 분열하여 모간(hair shaft)을 만들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모유두 세포는 상피세포의 분열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남성형 탈모증에서 남성호르몬이 모낭에 작용하는 부위 역시 모유두로서, 모유두 세포는 발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Jahoda(Jahoda CA, et al., Induction of hair growth by implantation of cultured dermal papilla cells., Nature, 311, pp.560-562, 1984) 등이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쥐의 콧수염 모낭에서 모유두 세포를 제거하자 모발의 성장이 일시적으로 중지하였다가 진피 근초로부터 세포가 이동하여 다시 모유두 세포를 형성하면서 모발의 성장이 다시 계속되었으며, 모낭의 아랫부분을 1/3 이하로 제거하면 진피 근초로부터 모유두 세포가 형성되고 외피 근초로부터 모기질 세포가 형성되어 모발의 성장이 계속되나 모낭의 아랫부분의 1/3 이상을 제거하면 모발의 성장이 중지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모낭의 아랫부분 1/3 이상을 제거한 후, 분리된 모유두 세포를 다시 이식하자 모발의 성장이 계속되었다고 보고하면서, 모근을 형성하고 있는 모유두 세포는 모발의 생성 및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부작용이 적고, 여성 및 혈압 약을 함께 복용중인 환자들도 사용하기에 위험이 적은 탈모 완화 제품이 시판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비오틴, 니코틴산 아마이드, 피리미딘 아연액 계열, 또는 식물성 복합물 등(대한민국 등록특허 1127331;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9-0125775)으로서, 모발의 구성성분을 공급하여 탈모 완화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현재까지 영양 성분 공급 위주의 약재는 그 효능이 미녹시딜에 비해 현저하게 부족하다.
따라서, 탈모를 개선, 예방 및 치료하고, 육모 또는 발모를 촉진시킬 수 있으면서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로부터의 추출물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2733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9-0125775호
본 발명의 목적은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육모 또는 발모를 촉진시키고, 탈모를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육모 또는 발모를 촉진시키고, 탈모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육모 또는 발모를 촉진시키고, 탈모를 완화시킬 수 있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육모 또는 발모를 촉진시키고, 탈모를 개선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톳 추출물과 꾸지뽕 추출물이 1 : 0.8-3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은 각각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틸렌글리콜, 에틸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은 20 내지 80 부피%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육모 촉진,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완화용 의약외품 조성물은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육모 촉진, 발모 촉진 또는 탈모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독성이 없으며, 모발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육모 및 발모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므로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개선,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뛰어나 경쟁력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육모 또는 발모를 촉진시키고, 탈모를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톳은 모자반과에 속하는 갈조류 바닷말의 일종으로서, 자라는 모양이 마치 사슴 꼬리와 비슷하다고 하여 녹미채(鹿尾菜)라고도 불린다. 상기 톳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아이오딘, 칼슘, 철분 등 여러 무기염류가 아주 풍부해 빈혈에 좋다.
또한, 상기 꾸지뽕은 뽕나무과의 나무로서, 줄기 속껍질 및 뿌리 속껍질은 자궁 질환, 폐결핵, 신경통, 불규칙한 생리에 좋으며; 잎은 관절염, 피부병, 습진에 좋고; 열매는 타박상으로 멍든 데 좋다.
본 발명에서의 꾸지뽕 추출물은 꾸지뽕 잎의 추출물로서, 잎이 아니라 줄기, 뿌리, 열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모 촉진 및 탈모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거의 없거나 매우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은 각각 추출용매와 1 : 5 내지 2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8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70 내지 100 ℃에서 1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한 후 50 내지 60 ℃에서 감압농축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톳 또는 꾸지뽕과 추출용매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출물에 톳 또는 꾸지뽕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톳 또는 꾸지뽕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효과가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틸렌글리콜, 에틸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상기 저급알코올로는 20 내지 80%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된 추출물이 발모 촉진 및 탈모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바람직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의 용어 “발모 촉진”이란,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전체 모발에서 성장기 모발의 비중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용어는 성장기 모발의 비중이 감소함으로써 유발되는 탈모를 억제하는 것으로, “발모 개선”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육모 촉진"이란, 새로운 모발을 생성하는 발모 기능, 또는 발모를 촉진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성장기에서 퇴행기로의 지연을 촉진하고 모발이 굵어지며 모발의 밀도를 향상시키고 기존 모발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탈모 개선”이란, 모낭의 퇴행기를 약화시키고 성장기를 유도하여 탈모를 방지하는 작용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용어는 성장기 모발의 비중이 감소함으로써 유발되는 탈모를 억제하는 것으로, “탈모 완화”, “탈모 예방” 및 “탈모 치료”와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이 모낭의 퇴행기를 약화시키고 성장기를 유도하여 탈모를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모낭의 퇴행기를 약화시키고 성장기를 유도하여 탈모를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은 10 내지 15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의 농도로 사용된다.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형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상기 가용화 제형으로는 유연화장수 등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앰플,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저자극성 화장료 피부 보호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세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크림, 에센스, 스트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고 본 발명 조성물의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되는 약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하나 이상의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 투여될 수 있는데,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공지된 익상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은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 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완화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대한민국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 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바디 클렌저, 폼, 비누, 마스크, 연고제, 크림, 로션, 에센스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 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육모 촉진, 발모 촉진 및 탈모 완화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식품 100 중량부 당 1 내지 10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in vitro>
실시예 1. 꾸지뽕 에탄올 추출물 + 톳 열수 추출물
꾸지뽕 잎과 7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꾸지뽕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톳과 7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톳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꾸지뽕 에탄올 추출물과 톳 에탄올 추출물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꾸지뽕 에탄올 추출물
꾸지뽕 잎과 7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꾸지뽕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톳 에탄올 추출물
톳과 7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톳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꾸지뽕 열수 추출물
꾸지뽕 잎과 물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꾸지뽕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4. 톳 열수 추출물
톳과 물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톳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5. 서리태 에탄올 추출물
서리태와 7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서리태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6. 서리태 열수 추출물
서리태와 물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서리태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7. 감태 에탄올 추출물
감태와 7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감태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8. 감태 열수 추출물
감태와 물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감태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Ⅰ>
세포배양
모유두 세포(hHDFP cell)는 경북대 의대 면역학실로부터 분양받았다. 3T3-Wnt reporter 세포주는 Enzo life science(Lausen, switzerland), HEK-Blue-STAT6와 TGF/Smad reporter 세포주는 JW중외제약 신약연구센터에서 분양받았다.
hHDFP 세포는 페니실린(100 ug/ml), 스트렙토마이신(100 units/ml) 및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37 ℃, 5% CO2 배양기에서 유지하였다.
3T3-Wnt 세포주는 퓨로마이신(10 ug/ml), 페니실린(100 ug/ml), 스트렙토마이신(100 units/ml) 및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37 ℃, 5% CO2 배양기에서 유지하였다.
JAK3 STAT6 세포주는 블라스티시딘(10 ug/ml), 제오신(100 ug/ml), 페니실린(100 ug/ml), 스트렙토마이신(100 units/ml) 및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37 ℃, 5% CO2 배양기에서 유지하였다.
TGF/Smad 세포주는 제네티신(G418, 400 ug/ml), 페니실린(100 ug/ml), 스트렙토마이신(100 units/ml) 및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37 ℃, 5% CO2 배양기에서 유지하였다.
시험예 1. 모유두 세포 증식 평가
모유두 세포의 증식 평가는 96 well plate에 hHDFP cell 1 X 103 cells/well 농도로 시딩하고 양성 대조군으로 미녹시딜(minoxidil) 1.2 uM, 시료를 각각 0, 20, 50, 100 μg/mL 농도로 처리 후 24시간 배양시켰다. 세포 성장은 CellTiter-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에 의해 분석되었다. 상기 CellTiter-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는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490 nm에서 흡광도로 측정한 formazan product의 양은 살아있는 생물의 수에 정비례한다.
세포 증식율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되었다.
[수학식 1]
세포 증식율(%) = (실험군의 상대 흡광 정도/대조군의 상대 흡광 정도)X100
상기 모유두 세포는 모낭의 기저부에 존재하는 세포로서, 모낭을 구성하는 세포들에게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의 성장과 모주기 조절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모유두 세포의 증식이 촉진되면 모발이 건강해지고 모발 성장이 촉진되며 탈모를 막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용어, “모주기”는 모발의 주기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모발을 성장시키는 성장기(anagen), 성장을 종료하고 모구부가 축소하는 시기인 퇴화기(catagen), 모유두가 활동을 멈추고 모발을 두피에 머무르게 하는 시기인 휴지기(telogen), 모유두가 활동을 시작하거나 새로운 모발을 발생시켜 오래된 모발을 탈모시키는 시기인 활동기를 의미한다.
구분(단위: %) 미녹시딜 1.2 uM ug/ml
0 20 50 100
실시예 1 107.36±1.69c 100±0.0a 113.15±6.35c 118.64±5.17c 125.48±1.57c
비교예 1 108.41±1.28c 100±0.0a 102.46±4.52a 105.63±3.96b 112.81±1.59c
비교예 2 110.83±2.43c 100±0.0a 109.62±8.77c 105.47±7.44b 116.38±3.43c
비교예 3 105.72±3.16b 100±0.0a 106.11±5.69b 107.35±4.83b 107.67±6.42b
비교예 4 105.68±5.44b 100±0.0a 101.66±4.35a 100.64±6.11a 99.48±5.59a
비교예 5 106.18±1.85b 100±0.0a 103.18±3.72a 101.68±1.09a 103.61±5.08a
비교예 6 107.69±5.76b 100±0.0a 100.43±1.68a 98.15±2.64a 99.63±7.25a
비교예 7 106.43±8.18b 100±0.0a 105.18±2.44b 106.17±7.18b 102.39±8.43a
비교예 8 108.54±2.64b 100±0.0a 103.67±3.84a 101.55±2.62a 104.15±2.61b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 1 내지 8의 추출물에 비하여 모유두 세포가 대조군 대비 우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은 꾸지뽕 추출물 및 톳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및 2에 비해서도 모유두 세포가 현저히 우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모유두 세포의 MTT 활성 측정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한 후 세포 생존율의 흡광 정도는 SpectraMax M2(Molecular Devices, Inc, sunnyvale, USA)로 측정하였다. CellTiter-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는 대사 활성 세포의 존재를 나타내는 ATP 정량을 기반으로 배양액에서 생존 세포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LuBi luminometer(berthold TEC GmbH & Co., OakRidge, TN, USA)를 통해 측정하였다.
구분 미녹시딜 1.2 uM ug/ml
0 20 50 100
실시예 1 0.91±0.07b 0.82±0.03a 1.14±0.03c 1.35±0.06c 1.61±.0.07c
비교예 1 0.98±0.08b 0.87±0.07a 0.93±0.06b 1.05±0.07c 1.06±0.05c
비교예 2 0.89±0.06b 0.80±0.08a 0.86±0.05b 0.92±0.01b 0.91±0.03b
비교예 3 0.97±0.09b 0.86±0.06a 1.01±0.08c 0.96±0.06b 0.99±0.05b
비교예 4 0.90±0.05b 0.82±0.02a 0.85±0.05a 0.89±0.04b 0.84±0.02a
비교예 5 0.92±0.04b 0.81±0.07a 0.83±0.09a 0.86±0.08a 0.87±0.09a
비교예 6 0.87±0.07b 0.83±0.05a 0.85±0.04a 0.81±0.04a 0.82±0.08a
비교예 7 0.93±0.06b 0.85±0.06a 0.86±0.06a 0.88±0.09a 0.83±0.02a
비교예 8 0.94±0.03b 0.86±0.10a 0.87±0.03a 0.84±0.06a 0.82±0.04a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 1 내지 8의 추출물에 비하여 모유두 세포의 생존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은 꾸지뽕 추출물 및 톳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및 2에 비해서도 모유두 세포의 생존율이 현저히 우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리포터 유전자(reporter gene) 활성 측정
TCF/LEF luciferase 구조체로 형질 감염된 3T3-Wnt 세포와 SBE(smad binding elements) luciferase 구조체로 형질 감염된 TGF/Smad 세포는 96 well plate(3 X 103 cells/well)에 접종하였고,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그 후, 상기 3T3-Wnt 세포는 Wnt 3a(50%) 단독, 양성 대조군으로 미녹실 1.2 uM 또는 시료들과 혼합하였고, 상기 TGF/Smad 세포는 TGF-β1(7 ng/ml) 단독, 양성 대조군으로 Finasteride 50 uM 또는 시료들과 혼합하여 37 ℃, 5%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STAT6 luciferase 구조체로 형질 감염된 JAK3 세포는 96 well plate(5 X 103 cells/well)에 접종하였고,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에서 16-20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그 후 IL-4 10 ng/ml를 단독, 양성 대조군으로 Tofacitinib 0.4 uM 또는 시료들과 혼합하여 37 ℃, 5%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노출시키고 phospha-Light syste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용해 후 최종 luciferase 활성은 LuBi luminometer(Berthold TEC GmbH & Co., OakRidge, TN, USA)를 통해 측정하였다.
3-1. 3T3-Wnt reporter 세포주에서 TCF/LEF 활성 측정
TCF/LEF는 Wnt 신호전달경로(Wnt/β-catenin pathway)를 활성화시켜 모낭 줄기세포((Hair follicle stem cell)와 모발 형성에 관여하는 세포(primary hair cell)를 분화 및 증진시킨다.
구분 미녹시딜 1.2 uM ug/ml
0 20 50 100
실시예 1 16.02±0.38c 12.98±0.43a 16.37±0.43c 17.66±0.18c 20.75±0.35c
비교예 1 16.18±0.69c 13.37±0.43a 14.29±0.75a 14.95±0.24b 15.02±0.66b
비교예 2 15.84±0.75c 12.68±0.28a 10.67±0.62b 10.94±0.09b 9.96±0.78b
비교예 3 16.12±0.51c 13.07±0.31a 13.45±0.27a 13.69±0.67a 13.88±0.64a
비교예 4 15.97±0.39c 12.85±0.85a 10.43±0.81b 9.36±0.81b 9.00±0.14b
비교예 5 16.08±0.21c 13.22±0.64a 13.89±0.40a 14.11±0.43a 14.07±0.73a
비교예 6 16.06±0.55c 13.07±0.88a 13.64±0.36a 13.96±0.69a 13.81±0.58a
비교예 7 16.12±0.72c 12.85±0.34a 13.02±0.91a 13.61±0.72a 13.80±0.40a
비교예 8 15.99±0.94c 13.14±0.26a 13.42±0.42a 13.75±0.45a 13.61±0.25a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 1 내지 8의 추출물에 비하여 TCF/LEF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은 꾸지뽕 추출물 및 톳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및 2에 비해서도 TCF/LEF 활성이 더욱 우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2. TGF/Smad 세포주에서 SBE(smad binding elements) 활성 측정
TGF-β1(transforming growth factor-β1)은 형질전환성장인자-β 패밀리 중 하나로 액티빈(activin), 골형성인자(bone morphogenetic factor) 등과 함께 세포 활성에 중요한 리간드로 작용한다. TGF-β1 신호 전달은 후생동물 발달(metazoan development) 단계에서부터 성숙한 세포의 증식, 분화, 그리고 세포이동, 세포 사멸과 같은 다양한 세포 반응을 조절하는 사이토카인으로, Wnt/β-카테닌 신호 전달의 TCF/LEF를 활성을 조절하며, TGF-β 신호 전달이 활성화되면 모유두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여 탈모를 유도하기도 한다.
구분 TGF-β1 (7 ng/ml) - + + + + +
Finasteride (50 uM) - - + - - -
시료(ug/m) - - - 20 50 100
실시예 1 47.11±0.94a 62.43±1.72c 49.37±1.02a 42.45±1.46a 35.62±1.00b 30.73±2.35b
비교예 1 56.48±1.09b 61.72±0.67c 65.43±1.59c
비교예 2 51.24±0.85b 54.18±1.35b 62.78±0.82c
비교예 3 62.15±2.28c 63.11±0.94c 62.96±1.97c
비교예 4 63.08±1.43c 63.69±2.38c 64.77±3.52c
비교예 5 62.62±0.99c 62.35±0.57c 60.11±1.68c
비교예 6 63.15±2.63c 61.25±2.43c 69.66±2.43c
비교예 7 61.67±3.15c 60.38±1.67c 65.24±0.85c
비교예 8 62.15±1.06c 61.17±1.85c 62.08±1.61c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 1 내지 8의 추출물에 비하여 TGF-β 신호 전달에 의한 SBE-루시퍼라제 활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은 꾸지뽕 추출물 및 톳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및 2에 비해서도 TGF-β 신호 전달에 의한 SBE-루시퍼라제 활성이 더욱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3. JAK3 STAT6 세포주에서 SEAP 활성 측정
JAK3-STAT6 경로는 사이토카인의 주요 정보 교환 경로로서, IL-6 또는 IL-4에 의해 신호 전달이 조절될 수 있다.
구분 IL-4 (10 ng/ml) - + + + + +
Tofacitinib (0.4 uM) - - + - - -
시료(ug/m) - - - 20 50 100
실시예 1 0.14±0.06b 30.26±0.84c 2.15±0.26a 10.65±0.15b 7.38±0.28a 3.67±0.51a
비교예 1 27.61±0.91c 27.18±0.74c 25.09±1.27c
비교예 2 30.15±1.09c 30.94±0.59c 26.31±0.64c
비교예 3 30.25±0.85c 31.15±0.68c 29.96±0.78c
비교예 4 30.49±1.22c 30.17±1.15c 29.85±1.55c
비교예 5 30.09±0.65c 29.41±0.84c 27.15±0.61c
비교예 6 29.65±0.49c 29.37±1.57c 26.55±1.85c
비교예 7 30.11±0.67c 28.69±0.94c 27.08±0.76c
비교예 8 29.05±1.24c 27.77±2.04c 24.38±0.94c
위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 1 내지 8의 추출물에 비하여 IL-4에 특이적인 STAT6를 억제함으로써, 모발 성장 저해의 신호 체계를 더욱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은 꾸지뽕 추출물 및 톳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및 2에 비해서도 IL-4에 특이적인 STAT6를 더욱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은 탈모 진행 과정에서 감소하는 신호 전달 물질인 Wnt/β-카테닌을 활성화시키고, 모유두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TGF-β1 신호 전달을 억제시키며, 모발 성장을 저해하는 STAT6를 억제시킴으로 모유두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고 상기 세포의 성장을 유도 또는 촉진시킬 수 있어,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in vivo>
실시예 1. 꾸지뽕 에탄올 추출물 + 톳 열수 추출물
꾸지뽕 잎과 7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꾸지뽕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톳과 7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톳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꾸지뽕 에탄올 추출물과 톳 에탄올 추출물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꾸지뽕 에탄올 추출물
꾸지뽕 잎과 7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꾸지뽕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톳 에탄올 추출물
톳과 7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톳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Ⅱ>
동물실험
성장기에는 피하 진피유두세포의 증식 이외에도, 진피유두상부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의 활성화가 동시에 일어나는 까닭에 등 피부색이 검으나, 휴지기로 진입하면 분홍색을 띠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육안적으로 성장기와 퇴화기를 쉽게 분별할 수 있고, 모낭주기 가운데 성장기에 한해 멜라닌이 생성되는 특징이 있어, 모발주기를 육안적으로 추정하기 쉬운 장점을 지닌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였다.
C57BL/6 암컷 마우스의 경우 출생 후 모낭 형태 발생, 2 주후 퇴행기, 3 주후 휴지기, 4 주후 성장기, 6 주후 퇴행기, 7 주후 휴지기가 되며, 12 주후 성장기가 시작되며, 암컷의 경우 수컷 보다 휴지기가 긴 특성이 있다. 따라서 발모 효능이 나타나 피부의 색소 침착과 털의 생장하는 변화를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는 발모 주기가 휴지기인 7주령의 암컷 C57BL/6 마우스를 본 실험의 실험동물로 선정하였다. 일반적인 표준화 모델의 C57BL/6의 경우 제모를 한 1 일 뒤 성장기 I, 3 일후 성장기 II, 4 일후 성장기 IIIa-c, 5 일후 성장기 IV, 6~7 일후 성장기 V, 8~12 일후 성장기 VI 가 시작되며, 17 일후 퇴행기, 25 일후 휴지기가 된다.
6주령의 C57BL/6 암컷을 아크릴 케이지(45 X 60 X 25 cm)에서 사육되었으며, 충분한 사료와 물이 공급되며 적절한 인공조도로 12시간의 낮, 밤을 조절하였다(am 8:00부터 낮). 그리고 일정한 온도(20~24℃) 및 습도(45~65%)를 유지시켜 주었다. 바뀐 환경에 적응하도록 일주일간 살펴보며 수면주기를 유지하고, 이상행동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변화가 일정하고 건강한 동물만을 선별하여 임의 배치법에 의해 실험군마다 9마리씩 사용하였으며, 7주령의 마우스를 제모한 후 시료를 음용 또는 도포시켰다.
마우스의 제모는 마취시킨 마우스를 클리퍼로 1차 제모시키고 제모크림을 도포하여 5분간 방치시킨 다음 2차로 제모하여 실험에 이용하였으며, 음용시키거나 도포하면서 21일 동안 관찰하였다.
-음용군_8개 군의 마우스-
구분 시료 농도 일일 음수량 시료 섭취량
음성 대조군 생리식염수 5 ml -
양성 대조군 미녹시딜 250 ug/ml 5 ml 12.5 ug
실시예 1군(L) 20 mg/ml 5 ml 1 mg
실시예 1군(H) 100 mg/ml 5 ml 5 mg
비교예 1군(L) 20 mg/ml 5 ml 1 mg
비교예 1군(H) 100 mg/ml 5 ml 5 mg
비교예 2군(L) 20 mg/ml 5 ml 1 mg
비교예 2군(H) 100 mg/ml 5 ml 5 mg
-도포군_5개군 마우스-
구분 시료 농도 일일 도포량(uL) 시료 도포량(mg)
음성 대조군 - - -
양성 대조군 미녹시딜 5% 100 5
실시예 1군 10 mg/ml 100 1
비교예 1군 10 mg/ml 100 1
비교예 2군 10 mg/ml 100 1
시험예 4. 11일차 육모효능 평가
4-1. 11일차에 촬영한 사진
음용군
도포군
4-2. Image J를 이용한 화상검사
상기 4-1에서와 같이 21일 동안 촬영한 마우스의 등 피부사진을 Image J를 사용하여 화상분석한 결과를 표로 나타내었다. 음성 대조군의 모발이 완전히 성정한 15일차 이후에는 각 군들 간의 육모 효능 값의 유의성 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아 표에 나타내지는 않았다.
음용군
구분(단위: %) day
5 9 13 15
음성 대조군 2.84±0.64a 17.19±0.69a 62.43±0.61a 67.94±0.43a
양성 대조군 2.95±0.71a 28.37±0.37c 73.56±0.49c 79.26±0.75c
실시예 1군(L) 2.51±0.35a 22.43±0.41c 70.42±0.87c 78.26±0.62c
실시예 1군(H) 3.37±0.69b 27.18±0.55c 73.27±0.62c 79.34±0.43c
비교예 1군(L) 1.10±0.71b 20.51±0.27b 62.11±0.48a 64.12±0.55a
비교예 1군(H) 1.61±0.50b 15.18±0.69a 60.24±0.79a 62.87±0.40b
비교예 2군(L) 1.20±0.75b 18.64±0.43a 61.29±0.88a 67.05±0.17a
비교예 2군(H) 1.80±0.44b 18.82±0.75a 65.01±0.39b 68.51±0.85a
위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실시예 1군(L) 및 실시예 1군(H)은 모든 날에서 양성 대조군과 육모 효능이 유사하며, 비교예 1군(L, H) 및 비교예 2군(L, H)에 비해서는 우수한 육모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포군
구분(단위: %) day
5 9 13 15
음성 대조군 2.81±0.59a 17.52±0.26a 58.12±0.43a 70.85±0.49a
양성 대조군 2.06±0.62 20.45±0.48 70.52±0.75 74.97±0.37
실시예 1군 5.11±0.75 40.68±0.69 68.94±0.68 73.54±0.92
비교예 1군 2.59±0.33 29.67±0.15 59.11±0.22 70.09±0.42
비교예 2군 2.67±0.85 28.48±0.75 58.27±0.49 70.26±0.50
위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실시예 1군은 9일차 까지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육모 효능이 우수하였으며, 15일차 까지는 양성 대조군과 육모 효능이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실시예 1군은 비교예 1군 및 비교예 2군에 비하여 우수한 육모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등 피부조직 검사
각 그룹간의 모낭의 조직학적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21일 동안 음용 또는 도포한 마우스들을 22일차에 등 피부를 절개하여 모낭의 길이, 폭 및 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조직표본 제작은 고정, 조직다듬기(Tissue triming) 및 조직처리(Tissue processing), 조직 포매(Tissue embedding), 조직 절편 제작, 조직 염색 및 현미경 관찰 순으로 진행된다.
조직 고정의 목적은 조직 내의 단백질을 변성(denaturation), 응고(coagulation)시킴으로써 조직에 어느 정도의 경도를 부여함과 동시에 효소의 작용을 정지시켜 세포 또는 조직의 상태를 고정시의 상태로 보존하도록 하는 것이다.
고정된 조직을 처리, 포매, 박절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다듬고 카세트에 군별로 분류하여 넣은 후 탈수와 투명화 과정이 주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시작하기 전에 후고정한 조직을 수세하여 조직을 처리한 다음 탈수가 완전히 이루어지면 투명화 과정이 시작되는데 주로 자일렌(xylene)을 사용하며, 이 과정으로 조직 내 투명제가 침투하여 파라핀의 침투도를 높인다. 조직처리 과정은 총 16시간 정도 걸리므로 자동 조직처리기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위해서는 그 두께가 빛을 투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얇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조직을 균일한 두께로 얇게 절단하는 박절기(microtome)를 사용한다. 조직은 얇게 절단할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하지 않고 모양도 불규칙하기 때문에 먼저 파라핀(paraffin)을 조직 내로 침투시킨 다음, 이를 굳혀 적당한 크기로 잘라 박절기를 이용하여 절단한다. 파라핀을 조직에 침투시켜 단단한 조직으로 만드는 포매(embedding) 과정을 실시한 것이다. 조직에 맞는 조직 몰드를 선택 후 파라핀을 조직 몰드위로 따르고 조직을 적절하게 배열한 후 카세트와 파라핀이 서서히 고정되도록 냉각판 위에 몰드를 올리고 굳힌다.
다음은 조직을 현미경으로 보기 위해서 얇게 자르는 과정이다. 포매된 파라핀 조직을 얇게 자르기 위해서는 특수한 기계인 조직 박절기(microtome)가 사용된다. 파라핀 조직은 포매 후 냉동실에 보관하여야 하는데 충분히 차가워 져야 박절이 잘 이루어진다. 또한 원하는 만큼 얇게 박절하기 위해서 파라핀 조직은 냉동보관 되어야한다. 냉동된 조직을 박절기에 고정시킨 후 손잡이를 돌리며 조직이 나올 때까지 파라핀을 깍아내는 1차 박절을 해준 후 다시 냉동보관을 하여 조직을 원하는 크기로 잘라준다. 일반장기의 적절 박절 두께인 3-4 um로 박절한 후 박절된 조직을 충분히 펴지도록 항온 수조에 옮긴다. 조직을 항온수조에 올리게 되면 조직이 관찰하기 용이하도록 펴지게 되는데 충분히 펴졌을 경우 슬라이드 글라스를 사용하여 조직에 옮긴다.
이렇게 제조된 조직을 염색시키는데, 일반적인 조직표본의 염색에는 헤마톡실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의 두 종류의 염료를 사용하여 세포의 핵과 세포질을 쉽게 구별하는 염색방법을 사용한다. 염색된 조직의 모낭의 길이와 폭 그리고 모낭의 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육모효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모낭의 깊이, 한 시야 내에서 보이는 모낭의 수, 모낭의 성장기 단계 등이 평가 되어야한다. 성장기로의 진입을 시사하는 모낭의 수가 많은 실험군일수록 시료의 육모효능 있음을 의미한다. 퇴행기로의 진입된 모낭의 수가 적을수록 그 시료의 퇴행기 유도가 늦음을 의미한다. 현미경을 통해 조직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모낭이 어느 단계에 진입하였는지 모낭의 수와 깊이는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여 점수를 매긴다.
일반적으로 성장기를 진행하면서 모낭은 표피층과 진피층의 경계에서부터 진피층으로 진입하며 깊어진다. 성장기로 진입하게 되면 dermal papilla fibroblast로부터 dermal papilla가 형성되게 되며 여기서부터 inner root sheat가 형성되며 그 안으로 모발이 자라게 된다. 성장기 모낭은 hair shaft가 활발하게 성장을 하며 부속기관인 sebaceous gland 또한 발달하게 된다. 성장기 stage 6으로 돌입시 모낭은 진피층에서 피하층으로 도달하게 되며 모발은 Stage 8일 때 모공 밖으로 돌출된다.
음용군
구분 길이(um) 폭(um) 모낭 수
음성 대조군 287.59±2.19a 47.12±0.94a 40.81±0.47a
양성 대조군 310.18±4.38c 43.56±0.51a 43.16±0.53a
실시예 1군(L) 308.72±6.67b 46.63±0.43a 48.66±0.75b
실시예 1군(H) 329.15±9.43c 47.82±0.82a 48.19±0.49b
비교예 1군(L) 292.11±2.85a 45.38±0.61a 40.67±0.55a
비교예 1군(H) 295.67±11.96a 46.62±0.72a 41.52±0.69a
비교예 2군(L) 294.56±7.71a 44.18±0.43a 40.92±0.47a
비교예 2군(H) 291.62±12.55a 44.54±0.59a 40.07±0.24a
위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실시예 1군(L) 및 실시예 1군(H)은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모발 길이 및 모낭 수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과 유사하거나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군(L, H) 및 비교예 2군(L, H)은 실시예 1(L, H)에 비하여 모발 길이 및 모낭 수가 우수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포군
구분 길이(um) 폭(um) 모낭 수
음성 대조군 286.15±3.94a 40.77±0.85a 41.92±0.75a
양성 대조군 311.82±5.72a 41.65±0.62a 42.85±0.61a
실시예 1군 435.68±11.65c 42.39±0.75a 48.72±0.77b
비교예 1군 299.64±8.27a 40.86±0.94a 42.06±0.39a
비교예 2군 309.76±6.89a 41.08±0.53a 42.74±0.51a
위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실시예 1군은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모발 길이 및 모낭 수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에 비해서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군 및 비교예 2군은 실시예 1에 비하여 모발 길이 및 모낭 수가 우수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6. 육모관련 유전자 분석
시료의 적용 이후 C57BL/6 마우스의 등 피부 내의 육모관련 유전자 증감을 관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RNA sequencing analysis를 실시하였다.
C57BL/6 마우스의 등 피부 조직으로부터 Easy-blue RNA extraction kit (iNtRON Biotechnology, Korea)를 이용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RNA 품질은 RNA 6000 Nano Chip을 사용하여 Agilent 2100 bioanalyzer (Agilent Technologies, Netherlands)를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Sequencing 진행을 위해 Quantseq 3μmRNA-Seq Library Prep Kit (Lexogen, Austri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cDNA library 제작을 하였다. Sequencing은 QuantSeq 3` mRNA-Seq (Bowtie2 version 2.1.0)을 진행하였으며, High-throughput sequencing은 NextSeq 500 (Illumina, Inc., USA)을 사용하여 single-end 75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차등 발현 유전자들은 R version 3.2.2 및 Biconductor version 3.0 내에서 EdgeR을 사용한 고유 및 다중 정렬의 카운트를 기반으로 결정되었으며, 판독 카운트 데이터는 GenowizTM version 4.0.5.6 (Ocimum Biosolutions, India)를 사용하여 정량화하였고, 유전자 분류는 Medline database (National Centre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A)를 이용하였다.
시료를 21일 동안 음용 또는 도포한 마우스들을 22일차에 등 피부를 절개하여 육모관련 유저자의 증감을 측정하였다.
6-1. 발모를 촉진시키는 Anagen factor genes 분석
음용군
구분 양성 대조군/음성 대조군 실시예 1군(L)/음성 대조군 실시예 1군(H)/음성 대조군 비교예 1군(L)/음성 대조군 비교예 1군(H)/음성 대조군 비교예 2군(L)/음성 대조군 비교예 2군(H)/음성 대조군 유전자 이름
Ctnnbl1 2.639 1.240 2.803 0.654 2.438 0.968 0.860 catenin, beta like 1
Ctnnbip1 1.025 2.406 1.703 1.452 1.626 1.163 1.041 catenin beta interacting protein 1
Ctnnb1 0.923 2.243 1.033 1.105 1.760 1.420 1.015 catenin (cadherin associated protein), beta 1
Fgf2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fibroblast growth factor 2
Fgf7 0.837 0.372 1.210 0.585 0.255 0.132 0.425 fibroblast growth factor 7
Hgf 3.676 1.000 1.000 6.688 2.341 1.000 1.000 hepatocyte growth factor
Igf1 0.785 0.468 0.614 0.819 0.657 0.868 0.716 insulin-like growth factor 1
Pdgfa 1.660 3.728 3.965 2.013 1.890 1.891 0.593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alpha
Shh 1.000 3.265 1.000 1.000 1.000 1.000 1.000 sonic hedgehog
Tgfa 0.577 4.160 0.577 0.577 1.392 0.577 0.577 transforming growth factor alpha
Nog 3.353 0.475 0.901 2.028 2.402 0.266 0.266 noggin
Prl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prolactin
Vegfa 2.906 5.805 6.658 2.453 1.070 2.955 2.36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
Vegfb 0.578 0.321 0.571 0.843 0.427 1.010 0.76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B
Vegfc 1.112 0.459 0.876 0.699 1.064 0.407 0.165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C
Wnt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1
Wnt10a 10.509 7.875 9.647 3.286 2.233 2.323 0.995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10A
Wnt10b 0.434 0.434 0.434 0.434 0.434 0.434 0.434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10B
Wnt11 0.177 2.292 0.529 1.136 0.578 0.177 0.470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11
Wnt16 0.121 0.253 0.683 0.225 0.438 0.121 0.333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16
Wnt2 1.130 1.180 0.798 1.692 0.342 1.117 0.294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2
Wnt2b 1.000 1.394 1.000 1.000 2.482 1.000 1.366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2B
Wnt3 1.069 1.813 1.078 0.130 0.784 2.055 0.966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3
Wnt4 0.525 1.059 0.833 0.231 1.029 0.639 0.823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4
Wnt5a 2.666 13.193 1.702 2.846 4.654 5.813 4.455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5A
Wnt5b 0.201 0.813 0.466 1.512 0.880 0.456 0.807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5B
Wnt6 0.506 4.151 5.350 2.097 1.648 12.628 0.969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6
Wnt7b 1.000 9.963 6.615 1.853 5.445 6.377 4.663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7B
Wnt9a 0.188 2.061 0.577 0.652 3.735 0.772 2.171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9A
Wnt9b 0.240 0.240 0.240 0.240 0.240 0.240 0.240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9B
위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실시예 1군(L) 및 실시예 1군(H)은 음성 대조군 및 비교예 1군(L, H) 및 비교예 2군(L, H)에 비하여 PDGFα, VEGFα, WINT10α, WINT5α, WINT6, WINT7β gene들의 발현이 2배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포군
구분 양성 대조군/음성 대조군 실시예 1군(L)/음성 대조군 비교예 1군(L)/음성 대조군 비교예 2군(L)/음성 대조군 유전자 이름
Ctnnbl1 2.082 4.022 2.048 1.314 catenin, beta like 1
Ctnnbip1 1.129 1.654 1.398 1.876 catenin beta interacting protein 1
Ctnnb1 0.819 1.258 0.951 0.961 catenin (cadherin associated protein), beta 1
Fgf2 1.000 1.000 1.000 1.000 fibroblast growth factor 2
Fgf7 0.392 0.305 0.553 0.419 fibroblast growth factor 7
Hgf 1.000 1.000 1.000 1.000 hepatocyte growth factor
Igf1 1.191 0.690 0.653 0.823 insulin-like growth factor 1
Pdgfa 2.162 2.464 1.041 1.185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alpha
Shh 1.000 1.000 1.000 1.000 sonic hedgehog
Tgfa 0.577 3.098 1.772 1.769 transforming growth factor alpha
Nog 0.780 0.266 0.742 1.047 noggin
Prl 1.000 1.000 1.000 1.000 prolactin
Vegfa 2.417 4.611 2.511 2.81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
Vegfb 0.751 0.539 0.704 0.778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B
Vegfc 0.632 1.204 0.834 2.097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C
Wnt1 1.000 1.000 1.000 1.000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1
Wnt10a 1.014 3.149 1.854 1.274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10A
Wnt10b 0.434 0.434 0.434 0.434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10B
Wnt11 0.771 0.258 0.907 0.851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11
Wnt16 0.121 0.121 0.121 0.444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16
Wnt2 1.951 3.006 1.220 1.951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2
Wnt2b 1.000 2.728 1.075 1.000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2B
Wnt3 0.130 1.375 0.715 1.429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3
Wnt4 0.624 0.483 0.538 0.445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4
Wnt5a 2.563 4.992 0.436 0.459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5A
Wnt5b 0.713 0.620 0.456 1.019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5B
Wnt6 0.506 0.506 0.809 3.051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6
Wnt7b 6.196 6.729 3.168 3.979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7B
Wnt9a 0.205 0.479 1.202 0.188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9A
Wnt9b 0.240 0.240 0.240 0.240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9B
위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실시예 1군은 음성 대조군 및 비교예 1군 및 비교예 2군에 비하여 β-Catenin, PDGFα, TGFα, VEGFα, WINT10α, WINT2, WINT5α, WINT7β gene들의 발현이 2배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6-2. 발모를 억제시키는 Catagen-Telogen tactor genes 분석
음용군
구분 양성 대조군/음성 대조군 실시예 1군(L)/음성 대조군 실시예 1군(H)/음성 대조군 비교예 1군(L)/음성 대조군 비교예 1군(H)/음성 대조군 비교예 2군(L)/음성 대조군 비교예 2군(H)/음성 대조군 유전자 이름
Bdnf 1.927 0.397 2.603 3.310 2.159 0.364 0.235 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
Bmp2 0.692 2.714 0.891 0.399 1.341 0.620 0.395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4 1.078 1.493 0.797 1.318 1.564 1.159 1.027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Egf 1.000 1.591 4.468 1.000 1.494 4.099 1.000 epidermal growth factor
Fgf2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fibroblast growth factor 2
Fgf5 1.000 11.342 1.000 1.000 1.000 1.000 1.000 fibroblast growth factor 5
Il1a 0.978 1.881 0.475 0.381 1.133 2.289 0.694 interleukin 1 alpha
Il1b 0.971 0.613 0.542 0.975 1.264 1.141 0.910 interleukin 1 beta
Ifng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interferon gamma
Osm 1.562 0.369 0.467 1.369 1.369 1.369 1.369 oncostatin M
Osmr 1.884 1.539 1.424 1.300 1.371 1.253 1.173 oncostatin M receptor
Pth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parathyroid hormone
Tac1 1.000 1.295 1.000 1.000 1.000 1.000 1.000 tachykinin 1
Tgfbi 1.074 0.308 0.835 1.349 0.707 1.123 0.525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induced
Tgfb2 0.114 0.762 1.292 0.771 1.368 1.141 0.730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2
위 표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실시예 1군(L) 및 실시예 1군(H)은 음성 대조군 및 비교예 1군(L, H) 및 비교예 2군(L, H)에 비하여 IL1β 및 OSM gene들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도포군
구분 양성 대조군/음성 대조군 실시예 1군(L)/음성 대조군 비교예 1군(L)/음성 대조군 비교예 2군(L)/음성 대조군 유전자 이름
Bdnf 0.235 0.135 0.235 3.492 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
Bmp2 1.108 1.389 0.498 0.349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4 1.010 0.994 0.665 1.241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Egf 1.000 1.000 2.196 2.993 epidermal growth factor
Fgf2 1.000 1.000 1.000 1.000 fibroblast growth factor 2
Fgf5 1.000 1.000 1.000 1.000 fibroblast growth factor 5
Il1a 4.906 1.800 0.438 0.381 interleukin 1 alpha
Il1b 0.075 0.275 0.790 0.683 interleukin 1 beta
Ifng 1.000 1.000 3.767 5.840 interferon gamma
Osm 0.369 0.269 0.369 0.895 oncostatin M
Osmr 3.244 0.770 2.731 0.969 oncostatin M receptor
Pth 1.000 1.000 1.000 1.000 parathyroid hormone
Tac1 1.000 1.000 1.000 1.000 tachykinin 1
Tgfbi 0.791 0.637 0.901 0.828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induced
Tgfb2 1.308 0.901 2.136 0.535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2
위 표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실시예 1군은 음성 대조군 및 비교예 1군 및 비교예 2군에 비하여 BDNF, IL1β, OSM 및 TGFβ1 gene들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은 모발성장 인자인 β-Catenin 및 PDGF gene들을 포함한 VEGF 및 WINT gene들의 발현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퇴행기-휴지기 인자인 OSM gene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서 모낭의 크기(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8. 유화 제형의 화장품의 제조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유연화장수 등의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8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 내지 70 ℃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 내지 70 ℃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8,000 rpm에서 2 내지 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에 넣고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 내지 35 ℃로 냉각시킴으로써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조성 유화제형 1 유화제형 2 유화제형 3
1 스테아린 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콜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증류수 ~ 100 ~ 100 ~ 100
12 농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실시예 1의 추출물 0.0001 1 10
제제예 9.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의 제조
하기 표 19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아직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조성 가용화 제형 1 가용화 제형 2 가용화 제형 3
1 정제수 ~ 100 ~ 100 ~ 100
2 농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실시예 1의 추출물 0.1 5 5
7 알코올(95%)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디트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2

Claims (7)

  1.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톳 추출물과 꾸지뽕 추출물이 1 : 0.8-3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은 각각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틸렌글리콜, 에틸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은 20 내지 80 부피%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완화용 의약외품 조성물.
  7.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또는 탈모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95819A 2022-08-02 2022-08-02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18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819A KR20240018706A (ko) 2022-08-02 2022-08-02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819A KR20240018706A (ko) 2022-08-02 2022-08-02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706A true KR20240018706A (ko) 2024-02-14

Family

ID=8989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819A KR20240018706A (ko) 2022-08-02 2022-08-02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70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331B1 (ko) 2005-11-25 2012-03-29 (주)아모레퍼시픽 비타민 b군 및 피리미딘옥사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190125775A (ko)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하이솔 식물 유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성장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331B1 (ko) 2005-11-25 2012-03-29 (주)아모레퍼시픽 비타민 b군 및 피리미딘옥사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190125775A (ko)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하이솔 식물 유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성장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5226B2 (ja) 毛乳頭細胞増殖促進剤
KR101772574B1 (ko) 모낭 세포의 재생과 성장을 촉진하는 성장인자, 고안정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변이체 및 노긴 펩타이드를 함유한 헤어케어 화장품 조성물
US10967028B2 (en)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Artemisia umbelliformis extract
KR102248258B1 (ko) 녹차 식물세포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KR101440383B1 (ko) 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내포하는 오스모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0251862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ydroxy pyranone derivative compound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JP2017043594A (ja) 育毛組成物
KR102232873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5819209B2 (ja) 幹細胞から褐色脂肪細胞への分化促進剤
CN109689046A (zh) 包含植物雌激素作为有效成分的用于防止脱发及促进毛发生长的组合物
US10568830B2 (en)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KR20140056990A (ko)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9572765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restoration, comprising soy extract
KR20240018706A (ko) 톳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94820A (ko)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5259127B2 (ja) ツツジ科エリカ属植物由来成分を少なくとも含む外皮系組織用組成物
KR101570808B1 (ko)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하수오 줄기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 또는 양모용 조성물
KR102406692B1 (ko) 콩발아배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207989B1 (ko) 꾸지나무 추출물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7202610B2 (ja) 幹細胞の未分化状態維持剤及び増殖促進剤
KR20240006421A (ko)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 촉진, 발모 촉진, 탈모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94433A (ko) 복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
KR20220154042A (ko) 아이리신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US20220347256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alleviating and treating hair loss including substance p
JP2021193071A (ja) 表皮老化細胞の排除促進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