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597A - 투명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투명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597A
KR20240017597A KR1020220095488A KR20220095488A KR20240017597A KR 20240017597 A KR20240017597 A KR 20240017597A KR 1020220095488 A KR1020220095488 A KR 1020220095488A KR 20220095488 A KR20220095488 A KR 20220095488A KR 20240017597 A KR20240017597 A KR 20240017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case
teeth
strength reinforcement
orthodon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우
서진우
오수환
김명규
김홍석
심나영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5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7597A/ko
Priority to PCT/KR2023/011264 priority patent/WO2024029903A1/ko
Publication of KR20240017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7Material properties using shape memory ef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초기 위치에서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치아를 수용하는 채널이 형성된 투명교정 바디, 및 상기 투명교정 바디에 정의되며, 교합 시 대합치와 접촉하는 교합 영역에 위치하는 교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합부의 두께는 상기 교합부 이외 영역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투명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투명교정 장치 {Clear Aligner}
본 발명은 투명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 교정은 불규칙한 치아 배열이나 상하악의 비정상적인 맞물림 상태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가해지는 치료 행위이다. 기존의 치아 교정은 치아의 부정교합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체에 무해한 소재로 제작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한 후, 브라켓에 치아교정용 와이어의 힘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브라켓과 와이어를 사용하는 기존의 치아 교정의 경우, 브라켓과 와이어가 치아에 고정된 상태로 치료가 진행되기 때문에 심미적으로 좋지 않으며, 구강 내 청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최근 투명교정 장치를 이용한 새로운 치아 교정 행위가 전세계적으로 많이 진행되고 있다. 투명교정 장치는 브라켓과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투명한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므로, 심미적으로 우수하며, 필요 시 착탈이 가능하여 구강 내 청결 관리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투명교정 장치는 이물감이 상대적으로 적어 환자가 편하게 치아 교정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0857호 (2015.04.0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합 시 구치부를 포함한 치아의 조기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투명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초기 위치에서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치아를 수용하는 채널이 형성된 투명교정 바디, 및 상기 투명교정 바디에 정의되며, 교합 시 대합치와 접촉하는 교합 영역에 위치하는 교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합부의 두께는 상기 교합부 이외 영역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투명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교정 바디는 상기 교합부에 인접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이동 방향으로부터 원위 측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외부표면에 컨포멀하게(conformally) 형성되어 교정력을 보강하는 강도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교합부에 인접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확장 케이스(Expansion Case)의 경우,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설면(Lingual) 측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트랙션 케이스(Retraction Case)의 경우,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협면(Buccal) 측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출 케이스(Extrusion Case)의 경우, 상기 강도보강부는 치아의 최대 풍융선을 기준으로 치근으로부터 근위 측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함입 케이스(Intrusion Case)의 경우, 상기 강도보강부는 치아의 최대 풍융선을 기준으로 치근으로부터 원위 측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로테이션 케이스(Rotation Case)의 경우, 상기 강도보강부는 치아의 교합면(Occlusal)에 형성된 그루브 라인을 기준으로 4분면을 설정했을 때,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앵귤레이션 케이스(Angulation Case)의 경우, 상기 강도보강부는 치아의 최대 풍융선을 기준으로 일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근심면(Mesial) 측 외부표면, 및 치아의 최대 풍융선을 기준으로 타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원심면(Distal) 측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토크 컨트롤 케이스(Torque Control Case)의 경우, 상기 강도보강부는 치아의 최대 풍융선을 기준으로 일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설면(Lingual) 측 외부표면 및 치아의 최대 풍융선을 기준으로 타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협면(Buccal) 측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투명교정 장치는 교합부의 두께를 교합부 이외 영역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여 교합 시 구치부를 포함한 치아의 조기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교합부의 두께 감소에 따른 교합력 감소로 구치부 함입 및 개방교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교합부의 두께 감소에 따른 탄력성 증가 및 접촉 면적의 증가로 인해 견인력 및 유지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교합부의 두께 감소에 따라 장착 시 이물감이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교합부의 두께가 얇은 투명교정 장치를 제조하는 경우, 부피 감소에 따라 제작 소요시간이 줄어들고, 소재 사용량이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투명교정 장치는 강도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얇게 형성되는 교합부에 의해 감소될 수 있는 교정력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교정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 영역이 표시된 상악 치아 모델을 나타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 영역이 표시된 하악 치아 모델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교정 장치가 치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교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보강부를 포함하는 투명교정 장치가 치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교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케이스에 따른 강도보강부의 적용 영역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션 케이스에 따른 강도보강부의 적용 영역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출 케이스에 따른 강도보강부의 적용 영역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입 케이스에 따른 강도보강부의 적용 영역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테이션 케이스에 따른 강도보강부의 적용 영역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귤레이션 케이스에 따른 강도보강부의 적용 영역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컨트롤 케이스에 따른 강도보강부의 적용 영역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치아교정은 메탈, 레진, 세라믹 등의 단단한 물질로 제작된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하고 와이어의 탄성에 의해 교정을 진행하는 고정식 교정과, 탈부착이 용이하고 탄성을 가지는 교정 장치를 이용한 가철식 교정방식 등이 있다. 특히, 가철식 교정방식 중 하나인 투명교정 방식은 투명한 소재의 투명교정 장치를 치아에 덮어씌우는 방식이므로 교정 장치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착용성이 뛰어나 다른 교정 방식에 비해 크게 각광받고 있다. 투명교정 장치는 장치 착용 및 탈락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교정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 단면도이다.
투명교정 장치(100)는 환자 치아의 초기 데이터(Initial Data)를 기반으로 가상의 치료 목표 데이터(Virtual Treatment Object Data)를 설정한 후, 치아를 초기 위치에서 목표 위치로 점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각 단계별로 중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러한 각 단계별 중간 데이터 및 목표 데이터를 간접 출력하거나 직접 출력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간접 출력 방식은 투명교정 장치(100)를 디자인하는 장치가 치아의 셋업 모델을 출력하는 단계, 및 투명교정 장치(100)를 제작하는 장치가 상기 셋업 모델을 치아 금형으로 사용하여 상기 치아 금형에 투명 소재의 성형시트가 씌워지도록 가압하는 진공 성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간접 출력 방식에 따른 투명교정 장치(100)는 성형시트를 이용한 진공 성형을 통해 제작된다. 셋업 모델은 교정 치료를 하기 이전에, 환자의 치아 모델로부터 교정 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여 치료계획에 따라 이상적인 형태로 치아를 이동시킨 치아 배열 데이터를 의미한다.
직접 출력 방식은 투명교정 장치를 제작하는 장치 없이 투명교정 장치를 디자인하는 장치가 직접 투명교정 장치를 제작하는 것으로, 투명교정 장치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교정 장치 모델을 3D 프린터와 같은 3D 장치를 통해 직접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직접 출력 방식에 따른 투명교정 장치(100)는 3D 프린터와 같은 3D 장치를 통해 제작될 수 있다.
투명교정 장치(100)는 교정하고자 하는 하악 치아 또는 상악 치아를 감싸서 초기 위치에서 목표 위치로 배열시키기 위해 확장, 리트랙션, 정출, 함입, 회전 등 여러 가지 케이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즉, 투명교정 장치(100)는 환자의 치아에 덧씌워서 사용되며, 교정이 필요한 치아의 최대 이동량을 고려하여 각 단계별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투명교정 장치(10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교정 장치(100)가 갖는 탄성 또는 형상 유지력은 치아에 일정 방향의 힘을 제공하여 치아를 초기 위치에서 목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교정 장치(100)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및 글리콘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교정 장치(100)는 고분자 물질 또는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분자 물질 또는 탄성 중합체는 예컨대, 시스-1,4-폴리이소프렌 천연 고무 및 트랜스-1,4-폴리이소프렌 구타 페르카와 같은 천연 폴리이소프렌, 합성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클로로프렌 고무, 폴리클로로프렌, 네오프렌, 베이프렌, 부틸고무, 할로겐화 부틸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할로겐화 니트릴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폴리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플루오로실리콘 고무, 플루오로엘라스토머, 퍼플루오로엘라스토머,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클로로술포네이티드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설파이드 고무, 엘라스트 올레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투명교정 장치(100)의 소재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투명, 탄성 등 투명교정 장치(100)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성을 가진 소재는 투명교정 장치(100)의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투명교정 장치(100)는 투명교정 바디(110)를 포함한다. 투명교정 바디(110)는 외부표면(111), 내부표면(112), 및 상기 내부표면(112)에 의해 정의되고 치아들을 수용하는 채널(113)을 구비한다. 즉, 투명교정 바디(110)는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초기 위치에서 각 단계별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치아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투명교정 바디(110)는 교정 치료의 각 단계별 목표 위치를 반영한 음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교정 장치(100)는 교합부(120)를 포함한다. 교합부(120)는 상기 투명교정 바디에 정의되며, 교합 시 대합치와 접촉하는 교합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교합부(120)는 교정 치료의 각 단계별로 제작되는 투명교정 장치(100)의 교합 영역에 따라 투명교정 장치(100) 상에서 그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교합부(120)의 두께는 상기 교합부(120) 이외 영역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투명교정 장치의 경우 교합부를 포함한 투명교정 바디의 두께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교합 시 교합부의 두께로 인해 구치부가 대합치와 조기 접촉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구치부가 대합치와 조기 접촉되면, 치아를 압하하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힘이 지속되면 의도하지 않는 구치부 함입(intrusion)이 발생하거나 턱관절에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교합부의 두께로 인해 개방교합(open bite)이 발생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투명교정 장치(100)는 교합부(120)의 두께를 교합부(120) 이외 영역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여 교합 시 구치부를 포함한 치아의 조기 접촉을 방지하여 구치부 함입 및 개방교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투명교정 장치(100)의 전치부 측 두께는 두껍게 형성되고, 구치부 측 교합부(120)의 두께는 얇게 형성되면, 전치부의 함입을 유도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 영역이 표시된 상악 치아 모델을 나타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 영역이 표시된 하악 치아 모델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합부(120)는 상악의 디지털 치아 모델(10a) 및 하악의 디지털 치아 모델(10b)에 의해 매핑 된 접촉 부위(11a, 11b)에 기반하여 투명교정 바디(110)에 형성될 수 있다. 매핑이란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접촉 강도에 따라 접촉 부위(11a, 11b)가 구분될 수 있도록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접촉 강도에 따라 매핑 된 접촉 부위(11a, 11b)에 기반하여 상기 교합부(120)를 정의하는 바운더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교합부(120)는 투명교정 바디(110)의 보다 정확한 교합 영역에 형성되어 치아의 조기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교정 장치가 치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교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구치부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구치부에 대해 적용되는 투명교정 장치의 기술적 특징은 전체 치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악 치아(20a)와 하악 치아(20b)는 교합 시 교합 영역(30)을 형성한다. 투명교정 장치(100)는 치아에 장착되는 투명교정 바디(110) 및 교합 영역(30)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에 형성되는 교합부(1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교정 바디(110)는 상기 교합부(120)를 정의하는 바운더리를 포함하고, 상기 교합부(120)에 인접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교합 영역(30)은 수직 교합뿐만 아니라 측방 교합을 고려하여, 교합 시 대합치가 투명교정 바디(110)의 바운더리에 접촉하지 않거나 상, 하악에 장착된 투명교정 바디(110)의 바운더리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여유 공간을 더 포함하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유 공간은 대략 1mm 이상일 수 있다.
이처럼, 투명교정 장치(100)의 교합부(12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교합 시 투명교정 장치(100)의 교합면 측 두께로 인해 대합치와 조기 접촉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보강부를 포함하는 투명교정 장치가 치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교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투명교정 장치(100)는 강도보강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투명교정 장치(100)의 교합부(12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 치아에 작용하는 교정력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교정 장치(100)에 강도보강부(130)를 더 형성함으로써 교합부(120)에 의해 감소될 수 있는 교정력을 보완할 수 있다. 즉, 강도보강부(130)는 교합부(120)에 인접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의 외부표면(111)에 형성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130)는 교정 치료의 각 케이스에 따라 투명교정 바디(100)의 특정 영역의 두께를 보완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강도보강부(130)는 투명교정 장치(100)의 힘이 가해지는 영역을 그렇지 않은 영역보다 두껍게 하여 대응하는 위치의 치아에 힘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강도보강부(130)는 투명교정 바디(110)와 동일한 소재로 일체로 제작되거나, 투명교정 바디(110)와 다른 소재로 별도로 제작되어 투명교정 바디(110)에 컨포멀하게(conformally)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강도보강부(130)는 예를 들면,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투명교정 바디(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강도보강부(130)는 투명교정 바디(110)의 외부표면(111) 중 어느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교정 바디(110)의 외부표면(111) 중 다른 일부분은 그대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강도보강부(130)는 강도보강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투명교정 바디(110)의 외부표면(111)과의 경계에서 이물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테이퍼(tapered) 또는 칼날(knife edge) 또는 쐐기(wedg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도보강부(130)는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이동 방향으로부터 원위 측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의 외부표면(111)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강도보강부(130)는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의 목표 이동 방향을 향해 교정력을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강도보강부(130)는 투명교정 장치(100)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치아 이동이 계획된 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치아에 일정한 힘을 가하는 기간을 연장하여 치아 이동과 치아 이동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치아 교정 속도와 정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교정 치료의 각 케이스(case)에 따른 투명교정 바디(110)에 대한 강도보강부(130)의 적용 영역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하악 구치부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러한 하악 구치부에 대해 적용되는 투명교정 장치의 기술적 특징은 전체 치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케이스에 따른 강도보강부의 적용 영역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 케이스(Expansion Case)의 경우, 강도보강부(130)는 투명교정 바디(110)의 설면(Lingual) 측 외부표면(111)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확장 케이스(Expansion Case)는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에 설면(Lingual) 측에서 협면(Buccal) 측 방향으로 교정력을 부여하여 치아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설면(Lingual) 측에서 협면(Buccal)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투명교정 바디(110)의 설면(Lingual) 측 외부표면(111)의 두께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즉, 강도보강부(130)가 투명교정 바디(110)의 설면(Lingual) 측 외부표면(111)에 형성됨에 따라 교합부(120)에 의한 교정력 저하를 보완할 수 있게 된다.
확장 케이스(Expansion Case)의 경우, 교합부(120)는 초기 교합 영역(30)에 더하여 치아 이동에 따른 추가 교합 영역(40)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션 케이스에 따른 강도보강부의 적용 영역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트랙션 케이스(Retraction Case)의 경우, 강도보강부(130)는 투명교정 바디(110)의 협면(Buccal) 측 외부표면(111)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리트랙션 케이스(Retraction Case)는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에 협면(Buccal) 측에서 설면(Lingual) 측 방향으로 교정력을 부여하여 치아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협면(Buccal) 측에서 설면(Lingual)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투명교정 바디(110)의 협면(Buccal) 측 외부표면(111)의 두께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즉, 강도보강부(130)가 투명교정 바디(110)의 협면(Buccal) 측 외부표면(111)에 형성됨에 따라 교합부(120)에 의한 교정력 저하를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리트랙션 케이스(Retraction Case)의 경우, 교합부(120)는 초기 교합 영역(30)에 더하여 치아 이동에 따른 추가 교합 영역(40)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출 케이스에 따른 강도보강부의 적용 영역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출 케이스(Extrusion Case)의 경우, 강도보강부(130)는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을 기준으로 치근으로부터 근위 측(하악 치아 기준으로, 최대 풍융선(L1) 아래측)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의 외부표면(111)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은 치아가 측방향으로 최대로 융기된 지점을 연결한 선을 의미한다.
정출 케이스(Extrusion Case)는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에 치근으로부터 정출 방향으로 교정력을 부여하여 치아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정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을 기준으로 치근으로부터 근위 측(하악 치아 기준으로, 최대 풍융선(L1) 아래쪽)에 위치한 외부표면(111)의 두께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즉, 강도보강부(130)가 치근으로부터 근위 측(하악 치아 기준으로, 최대 풍융선(L1) 아래측)에 위치한 외부표면(111)에 형성됨에 따라 교합부(120)에 의한 교정력 저하를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입 케이스에 따른 강도보강부의 적용 영역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함입 케이스(Intrusion Case)의 경우, 강도보강부(130)는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을 기준으로 치근으로부터 원위 측(하악 치아 기준으로, 최대 풍융선(L1) 위쪽)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의 외부표면(111)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은 치아가 측방향으로 최대로 융기된 지점을 연결한 선을 의미한다.
함입 케이스(Intrusion Case)는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에 함입 방향으로 교정력을 부여하여 치아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함입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을 기준으로 치근으로부터 근위 측(하악 치아 기준으로, 최대 풍융선(L1) 아래측)에 위치한 외부표면(111)의 두께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즉, 강도보강부(130)가 치근으로부터 원위 측(하악 치아 기준으로, 최대 풍융선(L1) 위쪽)에 위치한 외부표면(111)에 형성됨에 따라 교합부(120)에 의한 교정력 저하를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테이션 케이스에 따른 강도보강부의 적용 영역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테이션 케이스(Rotation Case)의 경우, 강도보강부(130)는 치아의 교합면(Occlusal)에 형성된 그루브 라인(L2)을 기준으로 4분면을 설정했을 때,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의 외부표면(111)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그루브 라인(L2)은 교합면(Occlusal)을 정의하는 치아의 가장자리 중 서로 대면하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함몰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선을 의미한다.
로테이션 케이스(Rotation Case)는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에 회전 방향으로 교정력을 부여하여 치아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회전시키기 위해 치아의 교합면(Occlusal)에 형성된 그루브 라인(L2)을 기준으로 4분면을 설정했을 때,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의 외부표면(111)의 두께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즉, 강도보강부(130)가 그루브 라인(L2)을 기준으로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의 외부표면(111)에 형성됨에 따라 교합부(120)에 의한 교정력 저하를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귤레이션 케이스에 따른 강도보강부의 적용 영역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앵귤레이션 케이스(Angulation Case)의 경우, 강도보강부(130)는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을 기준으로 일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의 근심면(Mesial) 측 외부표면(111), 및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을 기준으로 타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의 원심면(Distal) 측 외부표면(111)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은 치아가 측방향으로 최대로 융기된 지점을 연결한 선을 의미한다.
앵귤레이션 케이스(Angulation Case)는 치아의 근심면-원심면 측 기울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교정력을 부여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기울기 조절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을 기준으로 일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의 근심면(Mesial) 측 외부표면(111)의 두께, 및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을 기준으로 타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의 원심면(Distal) 측 외부표면(111)의 두께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즉, 강도보강부(130)가 근심면(Mesial) 측 외부표면(111)의 특정 영역 및 원심면(Distal) 측 외부표면(111)의 특정 영역 형성됨에 따라 교합부(120)에 의한 교정력 저하를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컨트롤 케이스에 따른 강도보강부의 적용 영역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크 컨트롤 케이스(Torque Control Case)의 경우, 강도보강부(130)는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을 기준으로 일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의 설면(Lingual) 측 외부표면(111) 및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을 기준으로 타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의 협면(Buccal) 측 외부표면(111)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은 치아가 측방향으로 최대로 융기된 지점을 연결한 선을 의미한다.
토크 컨트롤 케이스(Torque Control Case)는 치아의 설면-협면 측 기울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교정력을 부여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기울기 조절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을 기준으로 일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의 설면(Lingual) 측 외부표면(111)의 두께, 및 치아의 최대 풍융선(L1)을 기준으로 타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110)의 협면(Buccal) 측 외부표면(111)의 두께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즉, 강도보강부(130)가 설면(Lingual) 측 외부표면(111)의 특정 영역 및 협면(Buccal) 측 외부표면(111)의 특정 영역 형성됨에 따라 교합부(120)에 의한 교정력 저하를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투명교정 장치
110 투명교정 바디
111 외부표면
112 내부표면
113 채널
120 교합부
130 강도보강부
10a 상악의 디지털 치아 모델
10b 하악의 디지털 치아 모델
11a 상악에 매핑 된 접촉 부위
11b 하악에 매핑 된 접촉 부위
20a 상악 치아
20b 하악 치아
30 초기 교합 영역
40 추가 교합 영역

Claims (11)

  1.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초기 위치에서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치아를 수용하는 채널이 형성된 투명교정 바디; 및
    상기 투명교정 바디에 정의되며, 교합 시 대합치와 접촉하는 교합 영역에 위치하는 교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합부의 두께는 상기 교합부 이외 영역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투명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교정 바디는 상기 교합부에 인접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이동 방향으로부터 원위 측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외부표면에 컨포멀하게(conformally) 형성되어 교정력을 보강하는 강도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교합부에 인접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확장 케이스(Expansion Case)의 경우,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설면(Lingual) 측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리트랙션 케이스(Retraction Case)의 경우,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협면(Buccal) 측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정출 케이스(Extrusion Case)의 경우, 상기 강도보강부는 치아의 최대 풍융선을 기준으로 치근으로부터 근위 측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함입 케이스(Intrusion Case)의 경우, 상기 강도보강부는 치아의 최대 풍융선을 기준으로 치근으로부터 원위 측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로테이션 케이스(Rotation Case)의 경우, 상기 강도보강부는 치아의 교합면(Occlusal)에 형성된 그루브 라인을 기준으로 4분면을 설정했을 때,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앵귤레이션 케이스(Angulation Case)의 경우, 상기 강도보강부는 치아의 최대 풍융선을 기준으로 일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근심면(Mesial) 측 외부표면, 및 치아의 최대 풍융선을 기준으로 타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원심면(Distal) 측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토크 컨트롤 케이스(Torque Control Case)의 경우, 상기 강도보강부는 치아의 최대 풍융선을 기준으로 일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설면(Lingual) 측 외부표면 및 치아의 최대 풍융선을 기준으로 타방향에 위치한 상기 투명교정 바디의 협면(Buccal) 측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교정 장치.
KR1020220095488A 2022-08-01 2022-08-01 투명교정 장치 KR20240017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488A KR20240017597A (ko) 2022-08-01 2022-08-01 투명교정 장치
PCT/KR2023/011264 WO2024029903A1 (ko) 2022-08-01 2023-08-01 투명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488A KR20240017597A (ko) 2022-08-01 2022-08-01 투명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597A true KR20240017597A (ko) 2024-02-08

Family

ID=8990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488A KR20240017597A (ko) 2022-08-01 2022-08-01 투명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75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857B1 (ko) 2014-02-28 2015-04-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857B1 (ko) 2014-02-28 2015-04-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교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77789A1 (en) Orthodontic system
CA2995173C (en) Masticatory orthodontic device
EP4201368A1 (en) Shell-shaped dental appliance, design method theref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dental appliance set and system
CN112754691B (zh) 一种牙科器械的设计方法及制备方法
CN209884376U (zh) 一种定制式牙齿矫正系统
TWM652840U (zh) 治療口腔的矯治系統
KR102680037B1 (ko) 투명교정 장치
CN219461460U (zh) 颌间关系调整矫治器
CN211094856U (zh) 一种壳状牙科器械、壳状牙科器械套组及矫治系统
KR20240017597A (ko) 투명교정 장치
KR20240017598A (ko) 투명교정 장치
JP3215287U (ja) 歯科矯正具
KR20230089912A (ko) 투명교정 장치
CN114052950B (zh) 壳状牙齿矫治器的设计方法及制备方法
CN214805562U (zh) 无托槽隐形矫治器
KR20240132848A (ko) 투명 유지장치
WO2023113132A1 (ko) 투명교정 장치
RU219768U1 (ru) Раковинообразный ортодон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WO2024029903A1 (ko) 투명교정 장치
US20230200945A1 (en) Shell-like orthodontic appliance, design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orthodontic appliance set and system
CN220001956U (zh) 壳状牙齿矫治器及矫治系统
CN219461457U (zh) 牙科器械及牙齿矫治系统
CN220459432U (zh) 用于咬合调整的牙科器械
CN213406362U (zh) 壳状牙齿矫治器、牙齿矫治套组和矫治系统
CN216148244U (zh) 一种反颌矫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